KR101361733B1 -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733B1
KR101361733B1 KR1020110034348A KR20110034348A KR101361733B1 KR 101361733 B1 KR101361733 B1 KR 101361733B1 KR 1020110034348 A KR1020110034348 A KR 1020110034348A KR 20110034348 A KR20110034348 A KR 20110034348A KR 101361733 B1 KR101361733 B1 KR 101361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ing
support plate
punch ball
support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3932A (ko
Inventor
임동규
Original Assignee
임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동규 filed Critical 임동규
Priority to KR1020110034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733B1/ko
Publication of KR20110053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20Punching balls, e.g. for boxing; Other devices for striking used during training of combat sports, e.g. bags
    • A63B69/24Punching balls, e.g. for boxing; Other devices for striking used during training of combat sports, e.g. bags mounted on, or suspended from, a movable support
    • A63B69/244Punching balls, e.g. for boxing; Other devices for striking used during training of combat sports, e.g. bags mounted on, or suspended from, a movable support suspended from a movable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1/00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 A61H11/02Massage devices with strips oscillating lengthwi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5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1236Push-ups in horizontal position, i.e. eccentric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0Combat sports
    • A63B2244/102Box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가 개시된다. 펀치볼; 펀치볼을 지지하는 지지암; 지지암을 360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바; 지지바를 지지하는 받침판; 및 받침판에 결합되며, 벨트를 구비한 벨트마사지기를 포함하는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펀치볼의 이동경로를 예상할 수 있어, 펀치볼을 연속적으로 타격하기 용이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 {Rotary-type Punching Exercise Equipment}
본 발명은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펀치볼을 이용한 운동기구는, 펀치볼과, 펀치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는 펀치볼의 상하로 연장되어, 실내의 천정과 바닥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펀치볼을 이용한 운동기구는 펀치볼을 주먹으로 타격한 후, 되돌아오는 펀치볼을 연속적으로 타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것은 펀치볼을 지지하는 탄성부재의 강한 탄성력으로 인해 펀치볼의 반동주기가 빠르고, 펀치볼을 상하로 연장되는 탄성부재가 지지함으로 인해 되돌아오는 펀치볼의 위치를 예측하기 어려운 것에 기인한다고 하겠다.
즉, 사용자가 최초 펀치볼을 타격한 후, 되돌아오는 펀치볼을 연속적으로 타격할 수 없어, 사용자의 운동리듬이 깨지기 쉽고, 사용자에게 흥미를 유발하기 어려우며, 운동 과정에서 사용자가 오히려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는 펀치볼을 이용한 운동기구가 남녀노소 모두가 이용하는데 어려움으로 작용하였다.
최근, 권투가 스트레스 해소 또는 다이어트를 위한 운동이라는 인식이 확대되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통상의 펀치볼을 이용한 운동기구는 펀치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의 설치를 위해서는 많은 비용 소요되어, 그 저변이 확대되는데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본 발명은 초보자도 이용이 가능한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펀치볼; 펀치볼을 지지하는 지지암; 지지암을 360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바; 지지바를 지지하는 받침판; 및 받침판에 결합되며, 벨트를 구비한 벨트마사지기를 포함하는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가 제공된다.
여기서, 지지암은 펀치볼의 타격주기가 조절되도록 지지암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길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지지암은 탄성적으로 절곡될 수 있다.
지지바는 펀치볼의 타격높이가 조절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이 조절될 수 있다.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는 지지암을 상기 지지바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지지부는, 지지암을 중심으로 지지바의 상하에 이격하여 결합되는 지지판; 지지판과 지지암의 타단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 및 탄성부재와 지지암 사이에 개재되는 와셔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지지부는, 펀치볼의 타격주기 조절을 위해 지지바에 대한 지지암의 회전 주기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암의 타단에는 지지바가 삽입되는 회전링이 형성될 수 있으며, 조절부는 지지판을 회전링 측으로 가압하도록 지지바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벨트마사지기는 받침판에 지지되는 다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벨트마사지기와 받침판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받침판은 적어도 한 쌍의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몸체는 접힘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될 수 있다.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는 받침판의 저면에 결합되는 충격흡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누워서 윗몸 일으키기를 하도록 사용자의 발을 거는 발걸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침판에는 푸쉬업(push-up) 운동을 위한 손잡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손잡이부는 접힘이 가능하도록 양단부가 받침판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펀치볼은 일정한 궤도를 따라 회전하므로, 사용자는 펀치볼의 이동경로를 예상할 수 있어, 펀치볼을 연속적으로 타격하기 용이할 수 있다.
또한, 펀치볼을 이용한 운동 중에도 벨트를 이용한 마사지 등 다양한 운동을 병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의 펀치볼과 지지암 및 지지바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의 펀치볼과 지지암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의 지지바와 받침판 및 벨트마사기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의 탄성지지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의 충격흡수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10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1000)의 펀치볼(600)과 지지암(100) 및 지지바(200)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1000)의 펀치볼(600)과 지지암(1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1000), 지지암(100), 지지바(200), 받침판(300), 탄성지지부(400), 벨트마사지기(500), 펀치볼(600), 보호쿠션(700) 및 충격흡수부(800)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1000)는, 펀치볼(600), 지지암(100), 지지바(200), 받침판(300) 및 벨트마사지기(500)를 포함할 수 있다.
펀치볼(600)은 그 내부에 공기가 충전되어 탄성을 가지는 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치볼(600)의 일측에는 너트(602)가 결합되며, 이 너트(602)는 후술할 지지암(100)의 일단에 형성되는 볼트(114)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펀치볼(600)과 지지암(100)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지지암(100)은 펀치볼(600)을 지지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암(10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지며, 후술할 지지바(200)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펀치볼(600)을 타격하면, 지지암(100)은 지지바(20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즉, 펀치볼(600)은 일정한 궤도를 따라 회전하므로, 사용자는 펀치볼(600)의 이동경로를 예상할 수 있어, 펀치볼(600)을 연속적으로 타격하기 용이할 수 있다. 이로써, 초보자는 물론 남녀노소 사용이 용이하여, 운동의 재미를 더 하고, 더 많은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펀치볼(600)을 타격하고 난 후, 되돌아오는 펀치볼(600)의 각도와 위치가 일정하여 예측이 가능하므로, 왼손 오른손으로 번갈아가며 받아칠 수 있어 연속타격이 가능하다.
또한, 펀치볼(600)은 내부에 공기가 충전된 탄성체로서 사용자가 맨손으로 타격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암(100)은 펀치볼(600)의 타격주기가 조절되도록 지지암(100)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지지암(100)은 예를 들어 2개의 제1 연결관(110, 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연결관(110, 120)은 그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파이프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2개의 제1 연결관(110, 120)은 직경이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제1 연결관(110, 120)은 서로 인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2개의 제1 연결관(110, 120) 사이에는 고정구(150)가 결합될 수 있다. 고정구(150)는 직경이 큰 제1 연결관(120)의 말단에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바디(152)와, 그 내부에 삽입되는 제1 연결관(110)의 일측을 가압하도록 바디(152)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볼트(15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구(150)는 제1 연결관(110)의 인출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지지암(1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직경이 작은 제1 연결관(110)의 중앙부에는 압축코일 스프링(112)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암(100)은 탄성적으로 절곡될 수 있어, 사용자가 펀치볼(600)을 어느 방향에서 타격하더라도, 지지암(100) 또는 지지바(2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암(100)의 타단에는 회전링(130)이 결합될 수 있다. 회전링(130)은 그 내부에 관통홀(132)이 형성되며, 관통홀(132)에 베어링(136)이 삽입될 수 있다. 베어링(136)의 내부에는 지지바(200)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베어링(136)은 지지암(100)과 지지바(200) 사이에 개재되어, 지지암(10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링(130)의 일측에는 너트(13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연결관(120)의 말단에는 볼트(12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결관(120)과 회전링(130)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호쿠션(700)은 지지암(100)의 외주면을 커버할 수 있다. 사용자가 펀치볼(600)을 타격하여 지지암(100)이 회전하는 경우, 사용자가 지지암(100)에 부딪혀 위험할 수 있으므로, 보호쿠션(700)이 지지암(100)의 외주면을 커버하여 이러한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이 때, 보호쿠션(700)은 지지암(100) 전체를 커버할 수도 있으며, 그 일부를 커버할 수도 있다.
보호쿠션(70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관통홀(702)이 형성되어, 이 관통홀(702)에 지지암(100)이 삽입될 수 있다. 보호쿠션(700)의 일측에는 조절볼트(154)과 노출되도록 관통홀(704)이 형성될 수 있다. 보호쿠션(700)은 예를 들어 발포성 수지로 이루어져 부드러운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1000)의 지지바(200)와 받침판(300) 및 벨트마사기기(5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200)는 지지암(100)을 수평 방향으로 360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지지바(20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지지바(200)는 펀치볼(600)의 타격높이가 조절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바(200)는 예를 들어 2개의 제2 연결관(210, 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연결관(210, 220)은 제1 연결관(110, 120)과 동일한 결합관계를 가질 수 있다. 2개의 연결관(210, 220) 사이에는 고정구(250)가 결합될 수 있으며, 고정구(250)를 이용하여 펀치볼(600)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1000)는 지지암(100)을 지지바(20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1000)의 탄성지지부(400)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200)의 중앙에는 탄성지지부(400)가 결합될 수 있다.
탄성지지부(400)는 지지암(100)을 지지바(200)의 상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탄성지지부(400)는 탄성부재(420), 지지판(430) 및 와셔(4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420)는 예를 들어 압축코일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탄성부재(420)는 회전링(130)의 상하에 배치되어, 지지암(100)을 상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420)와 회전링(130) 사이에는 와셔(410)가 개재되어, 회전링(130)과 탄성부재(420) 간에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지지바(200)의 중앙에는 지지암(100)을 중심으로 이격되어 결합되는 지지판(43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판(430)은 탄성부재(420)의 말단을 지지할 수 있다.
탄성지지부(400)로 인해 지지암(100)은 지지바(200)에 회전 가능하면서도,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펀치볼(600)을 상하 방향으로 타격하는 경우에도 지지암(100) 상하로 이동될 수 있어, 지지암(100) 또는 지지바(2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지지부(400)는 펀치볼(600)의 타격주기 조절을위해 지지바(200)에 대한 지지암(100)의 회전 주기를 조절하는 조절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절부(450)는 조절부(450)의 조임 횟수를 조절하여 지지암(100)과 지지바(200) 간의 마찰력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펀치볼(600)의 회전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링(130)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판(430)은 지지바(2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회전링(130)의 상측에 배치되는 지지판(430)은 지지바(200)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조절부(450)는 지지바(2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452)과, 이 나사산(452)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나사(454)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절나사(454)를 회전시켜 회전링(130)을 가압하는 탄성부재(420)의 탄성력을 조절함으로써, 지지암(10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로써, 펀치볼(600)의 회전주기가 변경되어 되돌아 오는 펀치볼(600)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절나사(454)를 이용하여 펀치볼(600)을 타격할 수 있는 타격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펀치볼(600)의 타격 높이와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음으로 인해, 사용자가 타격 및 방어, 피하기 등 다양한 응용동작을 구사할 수 있으며, 다리, 허리, 복부 등 전신운동, 순발력 향상, 두뇌 발달 효과가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10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지지암(100)은 수평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펀치볼(600)과 지지바(200)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펀치볼(600)이 지지바(200)로부터 이격거리가 짧은 경우(도 6의 l₁ 참조), 펀치볼(600)의 회전주기를 짧아지게 되어, 사용자는 보다 빠르게 펀치볼(600)을 타격할 수 있다. 그리고, 펀치볼(600)이 지지바(200)로부터 이격거리가 긴 경우(도 6의 l₂ 참조), 펀치볼(600)의 회전주기는 길어지게 되어, 사용자는 보다 천천히 펀치볼(600)을 타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지암(10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펀치볼(600)의 타격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지지바(200)는 상하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펀치볼(600)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펀치볼(600)이 바닥으로부터 낮게 설치되어 있는 경우(도 7의 h₁ 참조), 어린이와 같이 키가 작은 사용자가 주먹을 이용한 타격을 연습하거나, 족구 등과 같은 운동을 연습할 수 있다.
그리고, 펀치볼(600)의 바닥으로부터 높게 설치되는 경우(도 7의 h₂ 참조), 키가 큰 사용자가 권투와 같이 주먹을 이용한 타격 연습을 하거나, 발차기 또는 배구와 같은 운동을 연습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지바(20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연령대의 사용자 또는 다양한 형태의 타격 연습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200)의 하단에 벨트마사지기(500)가 결합될 수 있다.
벨트마사지기(500)는, 박스 형태의 몸체(510)와; 상기 몸체(510)의 양측면에 양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벨트(520)와; 상기 몸체(510) 내에 위치하며, 상기 벨트(520)를 구동하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벨트마사지기(500)는, 모터(미도시)에서 제공되는 동력으로 벨트(520)를 진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몸을 마사지하는 역할을 한다.
벨트마사지기(500)는 후술할 받침판(300)에 지지되는 다리부(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리부(530)는 길이를 가진 부재로서 벨트마사지기(500)를 지지한다. 이 경우, 다리부(530)의 양단부는 받침판(300)과 벨트마사지기(500)의 몸체(510)에 각각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개의 다리부(530)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외에도 후술할 실시예에서와 같이 복수 개의 다리부가 설치될 수도 있다.
벨트마사지기(500)는 받침판(3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벨트마사지기(500)의 다리부(530)의 단부가 받침판(3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외에도, 벨트마사지기(500)는 다리부(530) 없이 일체의 몸체(51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몸체(510)의 하단부가 받침판(3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마사지기(500)의 하단에는 받침판(300)이 결합될 수 있다.
받침판(300)은 지지바(200)를 지지할 수 있다. 받침판(300)은 직육면체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그 내부에 예를 들어 물과 같은 중량물이 수용되는 수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받침판(300)는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1000)의 무게 중심을 낮추어 사용자가 펀치볼(600)의 타격할 때,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1000)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받침판(300)은 적어도 한 쌍의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한 쌍의 몸체로 이루어진 받침판(300)은 접힘이 가능하도록 서로 힌지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복수의 몸체로 이루어진 받침판(300)을 서로 힌지결합시킴으로써,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10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받침판(300)을 접어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1000)를 이동시킬 경우에도 받침판(300)을 접음으로써 그 부피를 줄일 수 있어서 운반이 용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에에 따른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1000)는 받침판(300)의 저면에 결합되는 충격흡수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격흡수부(800)는 받침판(300)이 바닥에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받침판(300)의 저면과 바닥 간에 마찰력을 제공한다. 또한, 충격흡수부(800)는 사용자가 받침판(300) 위에서 운동 시 전해지는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서, 충격흡수부(800)는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1000)가 설치되는 바닥과 받침판(300)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중합체(elastomer)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중합체는, 외력을 가해서 잡아당기면 몇 배로 늘어나고 외력을 제거하면 원래의 길이로 돌아가는 성질을 가지는 고분자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실리콘, 가황고무 또는 탄성섬유(스판덱스)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중합체의 일면, 즉 바닥과 접하는 면에는 엠보싱이 형성될 수 있으며, 엠보싱은 받침판(300)의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추가로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의 충격흡수부(800)의 일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다른 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흡수부(800)는 베이스판(820)과 탄성부(8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판(820)은 받침판(300)의 저면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탄성부(830)는 양단이 받침판(300)과 베이스판(820) 사이에 결합되어 받침판(30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부(830)로는 압축코일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받침판(300)과 베이스판(820) 사이에 탄성부(830)가 개재됨으로써, 운동 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운동 시 받침판(300) 상에서 균형을 잡기 위해 발의 스텝(step)을 조절하는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운동 효과를 배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1000)는 발걸이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걸이부(900)는 사용자가 누워서 윗몸 일으키기 등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발을 거는 부분으로서, 받침판(300)의 상면이나 벨트마사지기(500)의 몸체(510) 또는 다리부(530)에 설치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발걸이부(900)는 접힘이 가능하도록 양단부가 받침판(300)이나 벨트마사지기(500)의 몸체(510) 또는 다리부(530)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걸이부(900)가 힌지결합됨으로써, 사용자가 윗몸 일으키기 외의 다른 운동을 할 경우 운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발걸이부(900)를 접을 수 있다.
이외에도, 받침판(300)에는 푸쉬업(push-up) 운동을 위한 손잡이부(910)가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910)는 사용자가 양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받침판(3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910)도 발걸이부(900)와 마찬가지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접을 수 있도록 양단부가 받침판(300)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걸이부(900)와 손잡이부(910)를 각각 접을 수 있도록 그 각각의 결합부를 힌지결합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발걸이부(900) 또는 손잡이부(910)를 펴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1000)는 펀치볼(600)의 타격횟수, 운동시간, 운동에 따른 소모 칼로리량 등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벨트마사지기(500)의 몸체(51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사용자는 운동하는 동안 펀치볼(600)의 타격횟수, 운동시간, 운동 소모 칼로리량 등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1000)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2000, 3000, 4000, 5000, 60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각각의 실시예(2000, 3000, 4000, 5000, 6000)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1000)와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그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20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2000)는 받침판(300)에 지지되는 벨트마사지기(500)의 다리부(530)가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리부(530)를 복수개 구비함으로써,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2000)의 벨트마사지기(500)가 받침판(300)에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보다 안정적으로 타격연습 등의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30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3000)는 다리부(530) 없이 벨트마사지기(500)의 몸체(510)가 받침판(300)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벨트마사지기(500)의 몸체(510)는 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지지바(200)는 몸체(510)의 상단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긴 직육면체 형태의 몸체(510)를 받침판(300)에 결합함으로써, 그 상면에 지지되는 지지바(200) 및 지지바(200)에 지지되는 지지암(10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타격연습 또는 벨트마사지기(500)를 이용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40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4000)는 지지바(200)와 벨트마사지기(500)가 받침판(300)에 각각 개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받침판(300) 상에 지지바(200)와 벨트마사지기(500)를 개별적으로 결합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4000)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50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5000)는 펀치볼(600), 지지암(100), 지지바(200) 및 트레이드밀(treadmill, 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트레이드밀(300)은 전술한 실시예(1000)의 받침판(300)을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트레이드밀(300')은 지지바(200)를 지지하며 사용자가 런닝(running)이나 워킹(walking)을 하도록 구동벨트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받침판으로 트레이드밀(300')을 사용함으로써, 타격연습 또는 벨트마사지기(500)를 이용한 운동을 수행 중에도 걷기나 달리기 등의 운동을 병행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60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6000)는 펀치볼(600), 지지암(100), 지지바(200) 및 사이클 머신(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사이클 머신(300')는 전술한 실시예(1000)의 받침판(300)을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이클 머신(300')은 지지바(200)를 지지하며 사용자가 사이클링(cycling)을 하도록 안장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받침판으로 사이클 머신(300')를 사용함으로써, 타격연습 또는 벨트마사지기(500)를 이용한 운동을 수행 중에도 안장을 이용한 사이클링 등의 운동을 병행할 수 있다.
비록 각각의 실시예(2000, 3000, 4000, 5000, 6000)에서 설명되지는 않았으나, 전술한 실시예(1000)의 도 1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다양한 구성들이 각각의 실시예(2000, 3000, 4000, 5000, 60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외에도,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는 진동식 운동기구(일명, 덜덜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진동식 운동기구는 받침판의 상면에 진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타격연습이나 벨트를 이용한 마사지운동 외에도 진동식 운동기구를 통한 살 빼기 등의 추가 운동을 병행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는 트위스트 운동기구(twist exercise equipment)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트위스트 운동기구는 받침판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타격연습이나 벨트를 이용한 마사지운동 외에도 트위스트 운동기구를 통한 살 빼기 등의 추가 운동을 병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100: 지지암 200: 지지바
300: 받침판 400: 탄성지지부
500: 벨트마사지기 600: 펀치볼
700: 보호쿠션 800: 충격흡수부
900: 발걸이부 910: 손잡이부
1000: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

Claims (17)

  1. 삭제
  2. 펀치볼;
    상기 펀치볼을 지지하는 지지암;
    상기 지지암을 360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를 지지하는 받침판; 및
    상기 받침판에 결합되며, 벨트를 구비한 벨트마사지기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암은 상기 펀치볼의 타격주기가 조절되도록 상기 지지암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길이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
  3. 펀치볼;
    상기 펀치볼을 지지하는 지지암;
    상기 지지암을 360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를 지지하는 받침판; 및
    상기 받침판에 결합되며, 벨트를 구비한 벨트마사지기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암은 탄성적으로 절곡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
  4. 펀치볼;
    상기 펀치볼을 지지하는 지지암;
    상기 지지암을 360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를 지지하는 받침판; 및
    상기 받침판에 결합되며, 벨트를 구비한 벨트마사지기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바는 상기 펀치볼의 타격높이가 조절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이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
  5. 펀치볼;
    상기 펀치볼을 지지하는 지지암;
    상기 지지암을 360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를 지지하는 받침판; 및
    상기 받침판에 결합되며, 벨트를 구비한 벨트마사지기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암을 상기 지지바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지지암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바의 상하에 이격하여 결합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과 상기 지지암의 타단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지지암 사이에 개재되는 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펀치볼의 타격주기 조절을 위해 상기 지지바에 대한 상기 지지암의 회전 주기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의 타단에는 상기 지지바가 삽입되는 회전링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지지판을 상기 회전링 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지지바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
  9. 펀치볼;
    상기 펀치볼을 지지하는 지지암;
    상기 지지암을 360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를 지지하는 받침판; 및
    상기 받침판에 결합되며, 벨트를 구비한 벨트마사지기를 포함하되,
    상기 벨트마사지기는,
    상기 받침판에 지지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마사지기와 상기 받침판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
  11. 펀치볼;
    상기 펀치볼을 지지하는 지지암;
    상기 지지암을 360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를 지지하는 받침판; 및
    상기 받침판에 결합되며, 벨트를 구비한 벨트마사지기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판은 적어도 한 쌍의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몸체는 접힘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
  12. 펀치볼;
    상기 펀치볼을 지지하는 지지암;
    상기 지지암을 360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를 지지하는 받침판; 및
    상기 받침판에 결합되며, 벨트를 구비한 벨트마사지기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판의 저면에 결합되는 충격흡수부를 더 포함하는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
  13. 펀치볼;
    상기 펀치볼을 지지하는 지지암;
    상기 지지암을 360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를 지지하는 받침판; 및
    상기 받침판에 결합되며, 벨트를 구비한 벨트마사지기를 포함하되,
    사용자가 누워서 윗몸 일으키기를 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발을 거는 발걸이부를 더 포함하는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
  14. 펀치볼;
    상기 펀치볼을 지지하는 지지암;
    상기 지지암을 360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를 지지하는 받침판; 및
    상기 받침판에 결합되며, 벨트를 구비한 벨트마사지기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판에는 푸쉬업(push-up) 운동을 위한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접힘이 가능하도록 양단부가 상기 받침판에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
  16. 삭제
  17. 삭제
KR1020110034348A 2011-04-13 2011-04-13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 KR101361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348A KR101361733B1 (ko) 2011-04-13 2011-04-13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348A KR101361733B1 (ko) 2011-04-13 2011-04-13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932A KR20110053932A (ko) 2011-05-24
KR101361733B1 true KR101361733B1 (ko) 2014-02-12

Family

ID=44363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348A KR101361733B1 (ko) 2011-04-13 2011-04-13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17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19784A (zh) * 2016-05-22 2016-09-07 安庆海纳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神经内科按摩机设备上的角度调节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4154U (ja) * 1983-01-21 1984-08-01 ハラシマ工業株式会社 健康機器
KR200343525Y1 (ko) * 2003-09-24 2004-03-03 윤종열 벨트마사지기구
KR200451111Y1 (ko) * 2010-02-17 2010-11-25 임동규 회전형 타격 연습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4154U (ja) * 1983-01-21 1984-08-01 ハラシマ工業株式会社 健康機器
KR200343525Y1 (ko) * 2003-09-24 2004-03-03 윤종열 벨트마사지기구
KR200451111Y1 (ko) * 2010-02-17 2010-11-25 임동규 회전형 타격 연습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19784A (zh) * 2016-05-22 2016-09-07 安庆海纳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神经内科按摩机设备上的角度调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932A (ko) 201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1111Y1 (ko) 회전형 타격 연습기
JP4912403B2 (ja) ツイスト・アンド・ホッピング運動器具
JP3160386U (ja) ツイスト、ステップ式運動器具
US20150011365A1 (en) Body hardening machine
JP4072182B2 (ja) トレーニング器具
JP2012526600A (ja) 足蹴り運動器具
CA2661469A1 (en) Leg rehabilitation apparatus
TW201427748A (zh) 具手部橢圓軌跡之運動器材
KR20090091447A (ko) 하반신 운동기구
KR101345163B1 (ko) 절첩식 다목적 공중걷기 운동기구
KR101361733B1 (ko)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
KR20160001386U (ko) 복싱 연습용 기구
CN203264218U (zh) 振动式铁饼专项力量练习器
JP2014124233A (ja) 水泳練習装置
CN204380196U (zh) 硅胶仿人搏击训练器
RU2311217C2 (ru) Ножной тренажер
GB2501730A (en) Reactive training device
JP3139078U (ja) スイング式腰捻りフィットネス機器
CN202015449U (zh) 跳舞机
CN110215652B (zh) 一种组合式体育器材
KR200439260Y1 (ko) 종합헬스운동기구
KR101538235B1 (ko) 실외용 멀티 운동기구
KR200302630Y1 (ko) 권투 연습기구
US20120142502A1 (en) Vibrating exercise device for assisting stretching
JP3181445U (ja) 身体運動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