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630Y1 - 권투 연습기구 - Google Patents

권투 연습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2630Y1
KR200302630Y1 KR20-2002-0032407U KR20020032407U KR200302630Y1 KR 200302630 Y1 KR200302630 Y1 KR 200302630Y1 KR 20020032407 U KR20020032407 U KR 20020032407U KR 200302630 Y1 KR200302630 Y1 KR 2003026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ing
pedestal
support
support shaf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24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한일
Original Assignee
(주)헬스마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헬스마트 filed Critical (주)헬스마트
Priority to KR20-2002-00324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26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26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26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20Punching balls, e.g. for boxing; Other devices for striking used during training of combat sports, e.g. ba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0Combat s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반이 용이하고 사용할 때에만 소정 장소의 바닥면에 비고정식으로 간단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원하는 시간에 권투 연습을 행할 수 있고, 설치되는 장소의 공간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타격부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체격이 다른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높이의 타격연습을 행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권투 연습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내부에는 액체 또는 고체로 된 중량체가 채워지는 공간부(142)가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상기 공간부(142)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중량체투입구(143)가 형성된 중공의 받침대(140)와, 이 받침대(140)의 일측에 직립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1, 132)에 의해 연결되어 이 스프링(131, 132)을 중심으로 전후좌우로 탄성적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된 소정 길이의 지지축(120)과, 이 지지축(120)의 상단부에 연결 설치되며 그 외면을 타격할 수 있도록 소정 부피의 입체형상으로 이루어진 타격헤드부(110)와, 상기 받침대(140)의 일측으로부터 수평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타격헤드부(110)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받침대(140)가 요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보조지지부재(145)를 포함하는 권투 연습기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권투 연습기구 {A boxing trainer}
본 고안은 권투 연습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반이 용이하고 설치가 용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원하는 시간에 권투 연습을 행할 수 있고, 고정적인 설치공간이 필요 없어 설치장소의 공간이용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권투 연습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권투에 필요한 여러 가지 기술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타격 연습을 행할 수 있도록 된 기구에는 샌드백과 펀칭볼이 있다. 샌드백은 무겁고 커다란 모래주머니로 이루어진 것으로, 천정이나 벽 등에 설치된 소정 높이의 지지대에 자유진동 가능하게 매달아 그 주변을 이동하면서 강하고 정확한 타격을 연습할 수 있도록 된 것이며, 펀칭볼은 상대적으로 가볍고 작은 크기의 볼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스프링 등을 매개로 소정 높이의 지지대에 탄성진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반복적으로 빠르고 리드미컬한 타격 연습을 행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권투 연습기구들을 사용하여 소정 시간 운동을 하면 단시간 내에 상당한 운동 효과를 거둘 수 있으므로, 권투에 필요한 기술과 힘을 습득하기 위한 목적 뿐 아니라 일반적인 체력 단련 및 건강 증진을 위한 목적으로도 샌드백이나 펀칭볼을 이용하여 운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권투 연습기구들은 그 자체만으로는 기능을 발휘할수 없고, 소정 장소에 고정식 지지대를 설치한 다음에 줄이나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매달아야만 권투 연습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일단 어느 한 장소에 설치되면 다른 장소로의 이동 설치가 곤란하여 사람이 연습기구들이 설치된 정해진 장소로 이동해야만 운동이 가능하고, 적지 않은 공간을 설치된 연습기구가 항상 차지하게 되므로, 설치 장소 주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권투연습기구는 지지대 등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설치된 후에 그 높이를 바꾸는 것이 매우 번거로웠기 때문에, 예를 들어 아이와 어른처럼 체격조건이 다른 복수의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에는 체격에 따른 설치 높이의 조절이 어려워 공동으로 사용하기가 어렵고, 특히 크기가 작은 펀치볼의 경우 일정 높이의 타격만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다양한 높이의 가격 연습을 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운반이 용이하고 사용할 때에만 소정 장소의 바닥면에 비고정식으로 간단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원하는 시간에 권투 연습을 행할 수 있고, 설치되는 장소의 공간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타격부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체격이 다른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높이의 타격연습을 행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권투 연습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권투 연습기구의 일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권투 연습기구의 정방향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권투 연습기구의 저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타격헤드 120. 지지축
123 : 고정볼트 131, 132 : 스프링
140 : 받침대 145 : 보조지지부재
본 고안에 따르면, 내부에는 액체 또는 고체로 된 중량체가 채워지는 공간부(142)가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상기 공간부(142)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중량체투입구(143)가 형성된 중공의 받침대(140)와, 이 받침대(140)의 일측에 직립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1, 132)에 의해 연결되어 이 스프링(122. 131)을 중심으로 전후좌우로 탄성적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된 소정 길이의 지지축(120)과, 이 지지축(120)의 상단부에 연결 설치되며 그 외면을 타격할 수 있도록 소정 부피의 입체형상으로 이루어진 타격헤드부(110)와, 상기 받침대(140)의 일측으로부터 수평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타격헤드부(110)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받침대(140)가 요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보조지지부재(145)를 포함하는 권투 연습기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축(120)은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복수의 축부재(121, 122)로 이루어지며, 서로 연결된 양측 축부재(121, 122) 중의 어느 하나에는 다른 축부재(121)가 길이방향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내부통로가 형성되고, 연결된 양측 축부재(121, 122) 중의 적어도 일측의 연결부에는 삽입된 축부재(121)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23, 124)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축(120)이 신축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투 연습기구가 제공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권투 연습기구의 일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정단면도이며, 도 3은 그 저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권투 연습기구는 내부에 공간부(142)가 형성된 중공의 받침대(140)와, 이 받침대(140)의 상면에 직립설치된 지지축(120)과, 이 지지축(120)의 상단부에 연결 설치된 타격헤드부(110)와, 상기 받침대(140)의 저면에 설치된 보조지지부재(145)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받침대(140)의 공간부(142)에는 물이나 기름 등의 액체, 또는 모래나 자갈 등의 고체로 된 중량체가 채워지며, 그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중량체를 투입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 중량체투입구(143)가 형성되고, 이 중량체투입구(143)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원판형의 마개부재(125)가 복수의 볼트(126)를 매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공간부(142)에 중량체를 채우고 마개부재(125)를 결합하면 상기 받침대(140)가 무게추 역할을 하게 되어 타격헤드부(110)를 가격할 때 기구가 쓰러지지 않도록 구성되며,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공간부(142)에 채워진 중량체를 외부로 배출하여 운반이 용이하도록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다.
상기 지지축(12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각각 제1 및 제2스프링(131, 132)이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타격헤드부(11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이 스프링(131,132)을 중심으로 전후좌우로 탄성적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축(120)은 서로 길이방향으로 삽입 결합된 상부축부재(121) 및 하부축부재(122)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축부재(122)는 그 하단부가 상기 마개부재(125)의 상면에 결합되고 그 길이방향으로 내부통로가 형성된 파이프형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상기 상부축부재(121)가 길이방향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축부재(122)의 상단부 일측에는 볼트공(124)이 형성되며, 이 볼트공(124)에는 고정볼트(123)가 관통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축(120)은 신축 가능한 구조가 되어 상부축부재(121)를 하부축부재(122)의 내부통로를 따라 승강시켜 사용자의 체격에 따라 상기 타격헤드부(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원하는 높이로 승강시킨 후에는 상기 고정볼트(123)를 회전시켜 상부축부재(121)에 가압 밀착시킴으로써, 원하는 높이에 타격헤드부(110)가 위치되도록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투 연습기구는 사용자의 체격조건에 따라, 또는 원하는 타격높이에 따라 상기 타격헤드부(110)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예를 들어 어린이와 아이처럼 체격이 다른 여러 사람들도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원하는 높이가 다른 다양한 타격 기술을 연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타격헤드부(110)는 상부지지축(120)의 상단에 제2스프링(131)을 매개로 연결설치된 내부프레임(112)과, 이 내부프레임(112)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타격시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충격흡수성을 가진 소정 부피의 발포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타격몸체(111)로 이루어지며, 이 타격몸체(111)의 내부에는 하부가 개방된 삽입공(113)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프레임(112)에 끼움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타격몸체(111)를 맨손으로 가격하여도 상처를 입지 않게 되어 글러브 등의 장구를 착용하지 않고도 원하는 시간에 간편하게 타격 연습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조지지부재(145)는 소정 굵기의 와이어를 원호 형상으로 절곡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양측단이 볼트(146)를 매개로 상기 받침대(140)의 저면에 체결되며, 그 반경방향 외측단이 받침대(140)의 반경방향 외측단보다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타격헤드부(110)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받침대(140)가 요동되지 않도록 버팀대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140)의 저면에는 고무 소재로 된 흡착부재(151)가 복수개 부착되며, 이 흡착부재(151)의 저면에는 오목부(152)가 형성되어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흡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받침대(140)에 채워지는 중량체에 의해 질량중심이 낮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스프링(131, 132)에 의해 타격헤드부(110)의 타격에 의한 충격이 흡수될 뿐 아니라, 상기 보조지지부재(145)에 의해 받침대(140)의 지지면적이 확대되도록 구성되므로, 사용자의 가격에 의해 넘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공중이 아닌 지상의 소정 위치에 자유롭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투 연습기구는 사용할 때에만 주택의 거실, 방 등과 같은 소정 장소의 바닥면에 비고정식으로 간단하게 설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원하는 시간에 권투 연습을 행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별도의 해체작업 없이 방이나 거실 등의 구석과 같은 이용되지 않는 자투리 공간에 세워놓을 수 있어 거주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축(120)의 상하단에 한 쌍의 스프링(131, 132)이 각각 연결된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지지축(120)에 셋 이상의 스프링(131)을 연결하거나 상기 지지축(120) 전체가 스프링(131)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타격헤드부(110)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 및 흡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소정 장소의 바닥면에 비고정식으로 설치되는 받침대(140)를 구비하여 별도의 설치작업이나 해체작업 없이 설치 및 운반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원하는 시간에 권투 연습을 행할 수 있고, 설치되는 장소의 공간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지지축(120)을 신장 및 수축시켜 타격헤드부(110)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체격이 다른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높이의 타격연습을 행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권투 연습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내부에는 액체 또는 고체로 된 중량체가 채워지는 공간부(142)가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상기 공간부(142)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중량체투입구(143)가 형성된 중공의 받침대(140)와, 이 받침대(140)의 일측에 직립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1, 132)에 의해 연결되어 이 스프링(131, 132)을 중심으로 전후좌우로 탄성적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된 소정 길이의 지지축(120)과, 이 지지축(120)의 상단부에 연결 설치되며 그 외면을 타격할 수 있도록 소정 부피의 입체형상으로 이루어진 타격헤드부(110)와, 상기 받침대(140)의 일측으로부터 수평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타격헤드부(110)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받침대(140)가 요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보조지지부재(145)를 포함하는 권투 연습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120)은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복수의 축부재(121, 122)로 이루어지며, 서로 연결된 양측 축부재(121, 122) 중의 어느 하나에는 다른 축부재(121)가 길이방향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내부통로가 형성되고, 연결된 양측 축부재(121, 122) 중의 적어도 일측의 연결부에는 삽입된 축부재(121)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23, 124)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축(120)이 신축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투 연습기구.
KR20-2002-0032407U 2002-10-30 2002-10-30 권투 연습기구 KR2003026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407U KR200302630Y1 (ko) 2002-10-30 2002-10-30 권투 연습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407U KR200302630Y1 (ko) 2002-10-30 2002-10-30 권투 연습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2630Y1 true KR200302630Y1 (ko) 2003-01-29

Family

ID=49330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2407U KR200302630Y1 (ko) 2002-10-30 2002-10-30 권투 연습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26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402U (ko) * 2017-12-04 2019-06-12 김성민 족구 연습용 타격기의 결합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402U (ko) * 2017-12-04 2019-06-12 김성민 족구 연습용 타격기의 결합구조
KR200489695Y1 (ko) 2017-12-04 2019-07-25 김성민 족구 연습용 타격기의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4157A (en) Rebounder and punching bag-boxing fitness device
US5277679A (en) Martial arts practice apparatus with automatic return
US20100130333A1 (en) Martial Arts Striking Device with Flexible, Non-Force Impact, Relatively Non-Resistant Contact, Striking Targets, and Method of Use
US4305579A (en) Exercising device
US11154739B2 (en) Plyometric exercise ladder
US4483531A (en) Exercise device
US5607377A (en) Rebounder and punching bag-boxing fitness device
US7993249B1 (en) Swing enhancement exercise device with resilient resistance
JP2011519701A (ja) ボクシング・トレーニング装置
US10293234B1 (en) Impact absorbing mechanism
US20040209743A1 (en) Portable punching exercise device
ES2495417T3 (es) Aparato de ejercicios
KR101314325B1 (ko) 발차기용 운동기구
KR200302630Y1 (ko) 권투 연습기구
CN206404270U (zh) 拳击练习装置
KR200397878Y1 (ko) 직립형 격투기구
CN211050830U (zh) 一种组合式体育器材
CN110215652B (zh) 一种组合式体育器材
KR100281599B1 (ko) 운동 연습기
CN112891838A (zh) 一种用于啦啦操训练的平衡力训练装置
US7207928B2 (en) Multi-station martial arts practice device
KR101361733B1 (ko)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
RU51514U1 (ru) Тренажерный набор
CN2146277Y (zh) 壁式多功能击打练习器
RU190072U1 (ru) Тренажер для игровых перемещений спортсме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