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840A - 베이지 및 갈색 지방세포 분화 유도용 조성물 및 이의 방법 - Google Patents

베이지 및 갈색 지방세포 분화 유도용 조성물 및 이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840A
KR20160000840A KR1020150071581A KR20150071581A KR20160000840A KR 20160000840 A KR20160000840 A KR 20160000840A KR 1020150071581 A KR1020150071581 A KR 1020150071581A KR 20150071581 A KR20150071581 A KR 20150071581A KR 20160000840 A KR20160000840 A KR 20160000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ein
adipocytes
dihydroxyphenyl
prop
ex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1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9160B1 (ko
Inventor
박계원
송노준
이석찬
구진모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재단법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재단법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4/745,772 priority Critical patent/US9549908B2/en
Publication of KR20160000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840A/ko
Priority to US15/374,187 priority patent/US987794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뷰테인(Butein) 또는 뷰테인 유도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색 지방세포로부터 베이지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 및 이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Butein 또는 뷰테인 유도체를 이용하여 UCP-1 및 PRDM4의 발현 증가를 확인하였는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에 있어서, 보다 근본적으로 접근하여 타겟치료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베이지 및 갈색 지방세포 분화 유도용 조성물 및 이의 방법 {Composition for inducing beige and brown fat cells and method of in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뷰테인(Butein) 또는 뷰테인 유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갈색 지방세포 유도와 백색 지방세포로부터 베이지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 및 이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내분비적 요인, 유전적 요인, 사회 환경적 요인 등에 의해 대사 과정의 불균형이 발생하는 경우, 체내에 과잉된 에너지가 지방으로 축적됨으로써 야기되는 피하지방 조직의 이상 비대화에 기인한다. 지방조직의 비대화는 지방세포의 크기가 커지거나(지방세포 비대화) 그 수가 증가하는(지방세포 과형성) 현상으로, 이는 국소 정맥-림프 체계의 정체에도 영향을 미쳐 진피-피하 조직의 혈관조직 질환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비만은 그 자체로서 독립된 질병으로 인식되며, 세계보건기구에서는 비만을 세계적인 영양문제로 다루어 건강을 해치는 단순 위험인자가 아닌 치료해야 할 질병으로 인식하고 있다.
비만환자에게 과도하게 축적된 중성지방은 지방조직뿐 아니라, 간이나 근육에 저장되어 인슐린 저항성을 유도한다. 따라서, 과도하게 저장된 중성지방의 소모가 근본적인 비만과 이에 따른 대사질환의 예방 및 치료가 될 수 있다. 지방세포는 크게 백색지방, 갈색 지방세포 및 베이지 지방세포로 분류된다. 백색지방세포는 중성지방의 큰 지방구에 저장되어 주로 복부에서 많이 발견되며, 건강에 부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갈색지방은 백색 지방세포에 비해 많은 미토콘드리아와 작은 크기의 지방구를 함유하고 있으며 열 발생을 통한 체온 유지와 적절한 운동에 의해 유도 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갈색 지방세포가 많이 함유되도록 유도한 쥐는 고지방식이에 의한 비만에 대해 상대적으로 몸무게 감소와 열량 소모의 증가를 유도하여 비만과 대사질환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갈색지방에서는 UCP-1(uncoupling protein-1) 단백질이 많이 발현되며, 이는 지방세포에서 열량의 저장이 아닌 열량 소모로 열 발생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갈색 지방과 더불어 베이지 지방세포 또한 중요한 지방세포로 인식되고 있다. 베이지 지방세포는 건강에 유해한 백색지방세포에서 운동이나 추위 등의 자극에 의해 유도되며 백색지방세포의 형질은 감소되나 갈색지방세포의 특징을 갖게 되어 UCP-1의 발현을 증가를 나타나게 된다. 이들의 베이지 지방세포 또한 쥐에게서 발견되는 갈색 지방세포와 유사하게 비만 및 대사 질환에 유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게다가, 인간에게서 발견되는 유익한 갈색지방세포는 대부분 베이지지방세포로 알려짐에 따라 건강에 해로운 백색 지방세포를 건강에 상대적으로 유익한 베이지 지방세포로의 전환 또는 분화 유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UCP-1 단백질 활성 조절과 베이지 (혹은 갈색) 지방세포의 생성이 주요한 과제의 대상이 되고 있고, 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한국 특허공개번호 10-2012-0049214),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뷰테인(Butein) 또는 뷰테인 유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갈색지방세포 유도와 백색 지방세포로부터 베이지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뷰테인 또는 뷰테인 유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백색 지방세포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백색 지방세포로부터 베이지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in vitro 상에서 지방세포에 비만 치료 후보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b) 상기 지방 세포의 PRDM4의 유전자의 발현을 측정하는 단계; 및 c) 비처리군에 비해 PRDM4의 유전자의 발현을 증진시키는 물질을 비만 치료물질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치료물질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뷰테인(Butein) 또는 뷰테인 유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색 지방세포로부터 베이지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구현 예로서, 상기 뷰테인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OH, 또는 C1-C6 알킬이고, R2는 OH, 할로젠, 또는 C1-C6 알콕시이고, R3는 OH, 또는 C1-C6 알콕시이고, R4는 수소 또는 C1-C6 알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뷰테인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a, Rb, 및 Rc는 각각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수소 또는 OH이고, Rd는 OH 또는 C1-C6 알콕시이고, Re는 수소, 할로젠, 또는 C1-C6 알콕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뷰테인 유도체는 2-(3,4-다이하이드록시페닐)-7-하이드로록시크로멘-4-온; (E)-1-(2,4-다이하이드록시페닐)-3-(4-하이드록시-3-메톡시페닐)프로프-2-엔-1-온; 7-하이드록시-2-(4-하이드록시-3-메톡시페닐)크로멘-4-온; (E)-1-(2,4-다이하이드록시페닐)-3-(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프-2-엔-1-온; 7-하이드록시-2-(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크로멘-4-온; (E)-1-(2,4-다이하이드록시페닐)-3-(3-플루오로-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E)-1-(2,4-다이하이드록시페닐)-3-(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2-(3,4-다이하이드록시페닐)-7-하이드록시-3-메틸크로멘-4-온; 2-(4-플루오로-3-메톡시페닐)-7-하이드록시크로멘-4-온; (E)-3-(3,4-다이하이드록시페닐)-1-(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E)-1,3-비스(3,4-다이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및 (E)-1,3-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뷰테인 또는 뷰테인 유도체는 갈색 지방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뷰테인 또는 뷰테인 유도체는 UCP-1(uncoupling protein-1)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로서, 상기 뷰테인 또는 뷰테인 유도체는 PRDM4의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뷰테인 또는 뷰테인 유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백색 지방세포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백색 지방세포로부터 베이지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상기 유도 방법은 갈색 지방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a) in vitro 상에서 지방세포에 비만 치료 후보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b) 상기 지방 세포의 PRDM4의 유전자의 발현을 측정하는 단계; 및 c) 비처리군에 비해 PRDM4의 유전자의 발현을 증진시키는 물질을 비만 치료물질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치료물질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분화 유도용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뷰테인 또는 뷰테인 유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비만의 치료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뷰테인(Butein) 또는 뷰테인 유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뷰테인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베이지 지방세포의 마커인 UCP-1의 발현 증가를 확인하였는바, 베이지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기 조성물은 비만 또는 대사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C3H10T1/2 세포를 지방세포로 유도한 후, Butein을 처리한 경우에서, PPARγ, aP2와 UCP-1의 발현량의 변화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2는 T37i 세포를 갈색지방으로 분화시키면서 Butein을 처리한 경우에서, Oil Red O 염색결과 및 real time PCR을 통한 UCP-1, PRDM16, Cidea,PGC-1a 의 mRNA 발현량을 비교한 결과이다.
도 3은 C3H10T1/2 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 시킨 후, sulfuretin, fisetin, Butein, resveratrol 또는 genistein을 처리한 경우에서, UCP-1의 발현량을 비교한 결과이다.
도 4는 mouse embryonic fibroblast (MEF)세포에 Butein을 처리한 경우에서, UCP-1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5는 C3H10T1/2 세포에 항비만 효능이 보고된 다양한 항비만 생리활성 물질 및 천연물 유래 단일 물질 등을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의 UCP-1 발현량을 Butein 처리의 경우와 비교한 결과이다.
도 6은 Butein과 PBS를 14일 동안 5mg/kg의 용량으로 마우스의 복강에 주사한 후, 복부지방조직인 epidydymal fat을 분리하여 지방세포 특이적인 PPARγ, aP2, 백색지방세포 특이적인 resistin, Nnmt, 및 베이지 지방세포에서 특이적인 UCP-1, PRDM16, Cox8b, Cidea의 발현량을 비교한 결과이다 (Ctrl; PBS를 투여한 그룹 (N=6), Butein; Butein 투여 그룹 (N=6)).
도 7은 Butein과 PBS를 14일 동안 5mg/kg의 용량으로 마우스의 복강에 주사한 후, 피하지방조직인 subcutaneous fat을 분리하여 지방세포 특이적인 PPARγ, aP2, 백색지방세포 특이적인 resistin, Nnmt, 및 베이지 지방세포에서 특이적인 UCP-1, PRDM16, Cox8b, Cidea의 발현량을 비교한 결과이다.
도 8은 Butein과 PBS를 14일 동안 5mg/kg의 용량으로 마우스의 복강에 주사한 후, 갈색지방조직인 brown fat을 분리하여 지방세포 특이적인 PPARγ, aP2, 백색지방세포 특이적인 resistin, Nnmt, 및 베이지 지방세포에서 특이적인 UCP-1, PRDM16, Cox8b, Cidea의 발현량을 비교한 결과이다 .
도 9는 고지방식이를 투여한 C57BL/6 mice에 Butein을 투여한 실험에서 8주 간의 마우스의 외관상의 변화를 나타낸 사진이다 (ND, normal chow diet를 섭취한 대조군 (N=5), HFD, high fat diet를 섭취한 비만 유도 대조군 그룹 (n= 7); 15, HFD + Butein, high fat diet를 섭취한 그룹에 하루에 15mg/kg 용량으로 복강 주사하여 투여한 그룹 (n= 7)).
도 10은 고지방식이를 투여한 C57BL/6 mice에 Butein을 투여한 실험에서 8주 간의 체중 (body weight)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고지방식이를 투여한 C57BL/6 mice에 Butein을 8주 간 투여한 마우스에서 갈색지방 (BAT, brown Adipose Tissue), 피하지방 (SF, subcutaneous FAT), 복부지방 (AF, abdominal epididymal FAT)의 크기를 비교한 사진이다.
도 12는 고지방식이를 투여하여 비만 유도된 C57BL/6 mice와 Butein을 8주 간 투여한 마우스에서 복부 지방(fat pad)과 간 (liver)의 무게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3은 고지방식이를 투여하여 비만 유도된 C57BL/6 mice와 Butein을 8주 간 투여한 마우스에서 복부 지방(AF)과 피하지방 (SF), 갈색지방 (BAT) 조직을 H&E (Hematoxylin and eosin) 염색을 하여 비교한 그림이다.
도 14의 (a)는 고지방식이를 투여하여 비만 유도된 C57BL/6 mice와 Butein을 8주 간 투여한 마우스에서 glucose tolerance test 및 (b) insulin tolerance test의 결과이다.
도 15는 비만 유도된 C57BL/6 mice를 대상으로 Butein을 처리(5, 15mg/kg)한 경우, 피하지방조직인 subcutaneous fat에서 지방세포 특이적인 PPARγ, aP2, 백색지방세포 특이적인 resistin, Nnmt, 및 베이지 지방세포에서 특이적인 UCP-1, PRDM16, Cox8b, PGC-1α, CIDEA, COX7a, Dio2의 발현량을 비교한 결과이다( HFD, high fat diet를 섭취한 비만 유도 대조군 그룹 (n= 7); 15, HFD + Butein, high fat diet를 섭취한 그룹에 하루에 5mg/kg 용량으로 복강 주사하여 투여한 그룹 (n= 8). HFD + Butein, high fat diet를 섭취한 그룹에 하루에 15mg/kg 용량으로 복강 주사하여 투여한 그룹 (n= 7)).
도 16은 비만 유도된 C57BL/6 mice를 대상으로 Butein을 처리 (5, 15mg/kg)한 경우, 복부지방조직인 epididymal fat에서 지방세포 특이적인 PPARγ, aP2와 베이지 지방세포에서 특이적인 UCP-1, PRDM16, Cox8b, 백색지방세포 특이적인 resistin, Nnmt, 및 베이지 지방세포에서 특이적인 PGC-1α, CIDEA, COX7a, Dio2의 발현량을 비교한 결과이다.
도 17은 비만 유도된 C57BL/6 mice를 대상으로 Butein을 처리 (5, 15mg/kg)한 경우, 갈색지방조직인 brown fat에서 지방세포 특이적인 PPARγ, aP2와 베이지 지방세포에서 특이적인 UCP-1, PRDM16, Cox8b, 백색지방세포 특이적인 resistin, Nnmt, 및 베이지 지방세포에서 특이적인 PGC-1α, CIDEA, COX7a, Dio2의 발현량을 비교한 결과이다.
도 18은 비만 유도된 C57BL/6 mice를 대상으로 Butein을 처리(5, 15mg/kg)한 경우, 혈액내 glucose의 변화, 중성지방, 지방산, LDL, cholesterol 등의 변화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19는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마우스에 butein 또는 resveratrol을 처리하여, 비만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의 대략적인 모식도 이다.
도 20은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a) 20주령 또는 (b) 28주령 마우스에 butein 또는 resveratrol을 처리하여 비만 치료 효과 및 (c) 세 군간 식이량을 비교한 결과이다.
도 21은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마우스에서 Butein 처리에 의한 (a) 항문의 온도 변화, (b) glucose tolerance test, (c) insulin tolerance test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2는 (a) 3T3-L1세포에서, PRDM4 siRNA (si#1과 si#2) 처리에 의한 지방 축적 정도를 Oil red O 염색으로 확인한 결과, (b) C3H10T1/2세포에서 PRDM4 siRNA (si#1과 si#2) 처리에 의한 유전자의 발현 변화, (c) t37i세포에서, PRDM4 siRNA (si#1과 si#2) 처리에 의한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23은 PRDM4 siRNA와 대조군 (scrambled RNA, scr)을 ip injection을 통하여 주사 하였을 때의 (a) 마우스의 체중 변화 및 (b) fat, spleen, kidney, liver 등의 기관 무게 변화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24는 PRDM4 siRNA 가 투여된 마우스의 (a) 항문의 온도 변화, (b) glucose tolerance test, (c) insulin tolerance test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5는 butein의 유도체를 지방세포로 분화된 C3H10T1/2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UCP-1의 발현량 및 PRDM4의 발현량을 나타낸 결과이다.
본 발명에서, 뷰테인(Butein)을 처리한 경우, C3H101/2 세포주에서의 베이지 지방세포의 마커인 UCP-1(uncoupling protein-1)의 발현증가 및 T37i세포에서의 갈색 지방세포 마커인 UCP-1, PRDM16, Cidea등의 발현증가를 확인하였다. 또한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마우스에서 Butein 처리에 의한 체중 감소 및 포도당 과 인슐린의 대사 개선을 확인하고,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뷰테인(Butein) 또는 뷰테인(Butein) 유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색지방세포로부터 베이지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뷰테인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OH, 또는 C1-C6 알킬이고, R2는 OH, 할로젠, 또는 C1-C6 알콕시이고, R3는 OH, 또는 C1-C6 알콕시이고, R4는 수소 또는 C1-C6 알킬일 수 있으며,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합물 C를 프롤린 촉매 하에서 화합물 D와 반응시켜 제조하는 방법으로 상기 화학식 1과 유사한 화학식 B와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pat00004
또한, 본 발명에서 뷰테인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화학식 2]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2에서,
Ra, Rb, 및 Rc는 각각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수소 또는 OH이고, Rd는 OH 또는 C1-C6 알콕시이고, Re는 수소, 할로젠, 또는 C1-C6 알콕시일 수 있으며, 하기 반응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합물 E를 산 촉매 하에서 화합물 F와 반응시켜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2]
Figure pat00006
특히, 상기 화학식 1 또는 2의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2-(3,4-다이하이드록시페닐)-7-하이드로록시크로멘-4-온 (2-(3,4-dihydroxyphenyl)-7-hydroxychroman-4-one); (E)-1-(2,4-다이하이드록시페닐)-3-(4-하이드록시-3-메톡시페닐)프로프-2-엔-1-온 E(()-1-(2,4-dihydroxyphenyl)-3-(4-hydroxy-3-methoxyphenyl)prop-2-en-1-one); 7-하이드록시-2-(4-하이드록시-3-메톡시페닐)크로멘-4-온 (7-hydroxy-2-(4-hydroxy-3-methoxyphenyl)chroman-4-one); (E)-1-(2,4-다이하이드록시페닐)-3-(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프-2-엔-1-온; ((E)-1-(2,4-dihydroxyphenyl)-3-(3-hydroxy-4-methoxyphenyl)prop-2-en-1-one); 7-하이드록시-2-(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크로멘-4-온 (7-hydroxy-2-(3-hydroxy-4-methoxyphenyl)chroman-4-one); (E)-1-(2,4-다이하이드록시페닐)-3-(3-플루오로-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E)-1-(2,4-dihydroxyphenyl)-3-(3-fluoro-4-hydroxyphenyl)prop-2-en-1-one); (E)-1-(2,4-다이하이드록시페닐)-3-(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E)-1-(2,4-dihydroxyphenyl)-3-(4-hydroxyphenyl)prop-2-en-1-one); 2-(3,4-다이하이드록시페닐)-7-하이드록시-3-메틸크로멘-4-온 (2-(3,4-dihydroxyphenyl)-7-hydroxy-3-methylchroman-4-one); 2-(4-플루오로-3-메톡시페닐)-7-하이드록시크로멘-4-온 (2-(4-fluoro-3-methoxyphenyl)-7-hydroxychroman-4-one); (E)-3-(3,4-다이하이드록시페닐)-1-(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E)-3-(3,4-dihydroxyphenyl)-1-(4-hydroxyphenyl)prop-2-en-1-one); (E)-1,3-비스(3,4-다이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E)-1,3-bis(3,4-dihydroxyphenyl)prop-2-en-1-one); 및 (E)-1,3-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E)-1,3-bis(4-hydroxyphenyl)prop-2-en-1-o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이의 염"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염산, 브롬화수소, 황산, 황산수소나트륨, 인산, 탄산 등의 무기산과의 염 또는 개미산, 초산, 옥살산, 벤조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글루콘산, 게스티스산, 푸마르산, 락토비온산, 살리실릭산, 또는 아세틸살리실릭산(아스피린)과 같은 유기산과 함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이들의 산의 염을 형성하거나, 또는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금속이온과 반응하여 이들의 금속염을 형성하거나, 또는 암모늄 이온과 반응하여 또 다른 형태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백색 지방세포"는 중성 지방으로 대량의 지방 에너지를 체내에 축적하는 기능을 갖는 세포로서, 임신말기, 유아기, 사춘기에 집중하여 증식하며, 15배까지 부풀어 올라 지방 비대화 현상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일반적으로 "지방세포"라 함은 "백색 지방세포"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베이지 지방세포"는 백색 지방조직에서부터 유래될 수 있으며, 미토콘드리아에 철분이 존재하여 베이지색을 띄는 세포이다. 갈색지방세포는 백색 지방세포와 비교하여 에너지를 소비하여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지방세포이며, 베이지 지방세포 지방을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차가운 기온이나 특정 호르몬에 반응하여 UCP-1을 생산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분화(differentiation)"는 세포가 분열 증식하여 성장하는 동안에 서로 구조나 기능이 특수화하는 현상, 즉 생물의 세포, 조직 등이 각각에게 주어진 일을 수행하기 위하여 형태나 기능이 변해가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비교적 단순한 계(系)가 둘 이상의 질적으로 다른 부분계(部分系)로 분리되는 현상이다. 예를 들면, 개체 발생에서 처음에 동질적이었던 알 부분 사이에 머리나 몸통 등의 구별이 생기거나 세포에도 근세포 또는 신경세포 등의 구별이 생기는 것과 같이 처음에 거의 동질이었던 어떤 생물계의 부분 사이에 질적인 차이가 생기는 것, 또는 그 결과로서 질적으로 구별할 수 있는 부역 또는 부분계로 나누어져 있는 상태를 분화라고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갈색 지방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키거나 UCP-1 또는 PRDM4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갈색 지방세포"는 베이지 지방세포와 마찬가지로 지방을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는 세포로서, 육안으로 보면 황갈색 내지 적갈색을 띈다. 갈색 지방세포가 많을수록 체지방이 감소하며, 성인이 될수록 갈색 지방세포는 감소한다. 갈색 지방세포는 근육세포로 분화하는 줄기세포에 생성되는 반면, 베이지 지방세포는 백색 지방 세포층 안에서 생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분화 유도 조성물"은 초기 단계의 세포가 각 조직으로서의 특성을 갖게 되는 과정을 유도할 수 있는 조성물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목적상 백색 지방세포를 베이지 지방세포로 분화유도를 할 수 있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베이지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 조성물은 뷰테인 또는 뷰테인 유도체를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뷰테인 (Butein) 처리에 의한 베이지 지방세포의 마커인 UCP-1의 발현 증가를 확인하였으며 (실시예 1 참조), 갈색 지방세포 마커인 PRDM16, Cidea 등의 발현 증가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참조). 또한, 다른 항비만 생리활성 유효성분들과 비교하여, 뷰테인 처리에 의한 UCP-1의 발현에 대한 현저한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실시예 3 참조), in vivo 실험 및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마우스에서 베이지 또는 갈색 지방세포의 증가 및 비만 개선효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4 및 5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Butein의 생리활성을 유도하는 유전자로 PRDM4을 발견하였으며, PRDM4 발현 억제에 의한 체중 증가 및 포도당 인슐린 대사 억제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6 및 7 참조). 아울러, 뷰테인 유도체를 제조하였으며, 상기 뷰테인 유도체 투여에 의한 UCP-1, 및 PRDM4의 발현량을 증가하였는 바, 본 발명의 베이지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 조성물은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 및 9 참조).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예방 또는 치료 대상 질병인 "비만 (obesity)"은 대사 장애로 인하여 체내에 지방세포가 증식 분화하고, 이로 인하여 지방이 과잉으로 축적된 상태를 의미하며, 에너지 흡수량이 소비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지방세포의 수와 부피가 증가되는 과정을 거쳐 결과적으로 지방조직의 질량이 증가된다. 세포 수준에서의 비만은 지방세포의 증식 및 분화의 촉진으로 인한 지방세포의 수와 부피의 증가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생리식염수,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탄올, 식물성 오일, 및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기존에 알려진 줄기세포 배양용 배지, 분화 유도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를 위한 수용성 용액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한스 용액(Hank's solution), 링거 용액(Ringer's solution) 또는 물리적으로 완충된 염수와 같은 완충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수용성 주입(injection) 현탁액은, 소디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솔비톨 또는 데스트란과 같이 현탁액의 점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기질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양태는 멸균 주사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의 멸균 주사용 제제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현탁액은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ex.트윈 80) 및 현탁화제를 사용하여 이 분야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형화할 수 있다. 멸균 주사용 제제는 또한 무독성의 비경구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 또는 용매 중의 멸균 주사 용액 또는 현탁액 (ex. 1,3-부탄디올 중의 용액)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비히클 및 용매로는 만니톨, 물, 링거 용액 및 등장성 염화나트륨 용액 등이 있다. 또한, 멸균 비휘발성 오일이 통상적으로 용매 또는 현탁화 매질로서 사용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합성 모노 또는 디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여 자극성이 적인 비휘발성 오일은 그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뷰테인(Butein) 또는 뷰테인(Butein) 유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백색 지방세포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백색지방으로부터 베이지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분화 유도용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 "개체"란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또는 비-인간인 영장류, 생쥐 (mouse), 쥐 (rat), 개, 고양이, 말 및 소 등의 포유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a) in vitro 상에서 지방세포에 비만 치료 후보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b) 상기 지방 세포의 PRDM4의 유전자의 발현을 측정하는 단계; 및 c) 비처리군에 비해 PRDM4의 유전자의 발현을 증진시키는 물질을 비만 치료물질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치료물질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뷰테인( Butein )에 의한 베이지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 확인
Butein 처리에 의한 베이지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생쥐의 배아 섬유 모세포에서 기원한 다능성 줄기세포주인 C3H10T1/2 세포주를 이용하였다. C3H10T1/2 세포주를 6 well plate에 2.5×10⁴/ml의 농도로 지방세포 분화를 위한 1uM dexamethasone, 5ug/ml insulin, 20nM 3-isobutyl-1-methylxanthine(IBMX)과 PPARγ ligand (GW7845)를 함유한 배지를 이용하여 지방세포로 약 7-10일간 분화를 유도하였다. 분화 유도된 지방세포에 Butein을 농도별(5, 10, 20μM)로 24시간동안 처리한 후, 베이지 지방세포에서 발견되는 UCP-1의 발현을 realtime PCR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Butein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UCP-1의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베이지 지방세포로의 분화 증가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뷰테인(Butein)에 의한 갈색지방세포의 증가 확인
Butein 처리에 의한 갈색지방세포의 증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갈색지방전구세포인 T37i세포를 이용하였다. T37i세포를 5ug/ml insulin, 1nM T3 (triiodothyronine)를 함유한 배지로 2일간 배양하고 이 후, 5ug/ml insulin을 포함한 배지를 이용하여 지방세포로 6-8일간 분화 유도하였다. 분화 유도된 지방세포에 Butein을 농도별(5, 10, 20μM)로 6일간 처리하여, Oil Red O 염색하였으며, 지방세포분화와 관련된 PPARγ, aP2, 그리고 갈색지방세포 마커인 UCP-1, PRDM16, Cidea 유전자의 mRNA 발현량을 realtime PCR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Butein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UCP-1의 발현의 증가 및 갈색지방세포의 마커인 PRDM16, Cidea 등의 발현 증가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3. 뷰테인 (Butein)의 특이적인 UCP-1의 발현 증가 확인
C3H10T1/2 세포를 이용하여, Butein 처리에 의한 UCP-1의 발현량 증가를 지방세포에 영향을 주는 물질로 알려진 sulfuretin, fisetin, resveratrol genistein 처리에 의한 경우와 비교하였으며, mouse embryonic fibroblast (MEF)세포를 이용하여 Butein을 처리에 의한 UCP-1의 발현량 증가를 대조군인 DMSO 처리에 의한 경우와 비교하였다.
또한, 분화가 끝난 C3H10T1/2 세포에 항비만 효능을 지닌 것으로 보고된 다양한 항비만 생리활성 물질 및 천연물 유래 단일 물질 등을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의 UCP-1 발현량을 Butein 처리의 경우와 비교하였다.
도 3 내지 도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C3H10T1/2 세포에서, Butein 처리를 한 경우, sulfuretin, fisetin, resveratrol genistein 처리에 의한 경우와 비교하여 3배이상 UCP-1의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MEF세포에서, Butein 처리에 의한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10배이상 UCP-1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또한, 도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기존에 알려진 항비만 생리활성 물질들을 처리한 경우, UCP-1의 발현량이 증가하지 않은 반면, Butein 처리를 한 경우, UCP-1의 발현량이 특이적으로 현격하게 증가하였다.
실시예 4. in vivo에서 백색 지방세포 억제 및 베이지와 갈색 지방세포의 증가 확인
In vivo에서 Butein의 베이지와 갈색 지방세포의 증가 및 백색지방세포의 억제 활성을 검증하기 위해 마우스에 총 14일간 투여하여 지방조직에서 마커의 발현을 측정하였다. 5mg/kg의 용량으로 6마리의 쥐에 복강주사로 투여하였고 대조군으로 용매만을 6마리에 복강에 투여하였다. 14일 후 복부지방 (epididymal fat)과 피하지방 (subcutaneous fat) 그리고 갈색지방 (brown fat)에서 백색지방 및 베이지(갈색)지방 마커의 발현량을 realtime PCR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C3H10T1/2 및 T37i세포에서와 유사하게 갈색지방세포 마커인 UCP-1, PRDM16 Cox8b, Cidea의 증가 및 지방세포 마커인 PPARg, aP2, 그리고 백색지방세포 마커인 resistin, Nnmt (nicotinamide N-methyltransferase)의 감소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5.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마우스에서 비만 개선효과 확인
5.1. PBS 투여군과의 비교실험
뷰테인의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C57BL6/J 마우스에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하여 복강 주사로 투여하였다. 7주된 마우스를 1주간 적응 시킨 후, 고지방식이 (60% fat, Research Diet에서 구입)를 8주간 투여하면서 비만을 유도하였으며, 뷰테인은 하루에 5mg/kg과 15mg/kg의 용량으로 각각 7마리에 투여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정상 식이 섭취군 (5마리), 고지방식이 섭취에 PBS 투여군 (7마리)을 사용하였다.
투여 기간 동안의 체중 증가량 및 각종 장기의 무게를 조사하여 비교하였으며, 8주 후에는 glucose tolerance test (GTT)와 insulin tolerance test (ITT) 를 수행하였으며, 조직 및 혈액학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도 9 내지 도 1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식이 대조군에 비해 고지방식이 대조군에서 증가된 몸무게와 간과 내장 지방조직 무게는 뷰테인의 투여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GTT와 ITT에서는 15mg/kg을 투여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비만에 의한 포도당과 인슐린의 대사를 개선시켰으며, 베이지 지방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UCP-1, PRDM16, Cox8b, PGC-1α, CIDEA, COX7a, Dio2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혈액 분석에서도 글루코스,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 LDL, fatty acid 등이 고용량의 Butein 투여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5.2. PBS 또는 레즈베라트롤 ( Resveratrol ) 투여군과의 비교실험
뷰테인의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C57BL6/J 마우스에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후, Butein 처리에 따른 체중 변화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7주된 마우스를 1주간 적응시킨 후, 고지방식이 (60% fat, Research Diet에서 구입)를 12주간 투여하여 비만을 유도하였다. 이 후, 상기 비만이 유도된 마우스에 Butein을 하루에 30 mg/kg의 용량으로 8주간 8마리에 투여하였다. 대조군으로는 PBS 투여군 (7마리)과 항비만 예방 효능이 뛰어나다고 알려진 레즈베라트롤 (Resveratrol) 투여군 (8마리)을 사용하였다.
8주간의 투여 후 체중 증가량을 조사하여 비교하였으며, 8주 후에는 glucose tolerance test (GTT)와 insulin tolerance test (ITT) 를 수행하였으며, 혈액학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도 20에 나타난 바와 같이, PBS 투여군에 비해 뷰테인 투여군에서, 체중이 약 10% 가량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종래의 항비만 약물인 레즈베라트롤 (Resveratrol) 투여군에 비해서도 체중 감소효과가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28주령 mice 에서 resveratrol 처리된 군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체중의 변화가 없었던 반면, butein이 처리된 군에서는 체중이 현저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때 식이량에는 세 군간 차이가 없었다.
또한, 도 2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뷰테인을 투여한 군(HFD-But)에서 항문의 온도가 증가하였으며, GTT와 ITT에서는 Butein을 투여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비만에 의한 포도당과 인슐린의 대사를 개선시킴을 확인하였다 (높은 insulin sensitivity).
실시예 6. Butein의 생리활성을 유도하는 유전자의 확인 및 발현 억제
Butein의 생리활성을 유도하는 유전자를 확인하기 위해 microarray를 실시 하였으며, 이들 유전자 중에서 약 2배 이상 발현이 증가된 PRDM4 (PR domain-containing protein 4) 유전자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Butein의 생리활성 유도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PRDM4 유전자 발현을 siRNA (small interfering RNA)로 억제시킨 후, 백색 지방세포 및 베이지세포 분화 정도를 비교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두 개의 PRDM4의 siRNA sequences는 다음과 같다.
PRDM4 siRNA
Sense 5' GAAUUACGCUCAACAGAUAUU 3' (서열번호 1)
Antisense 5' UAUCUGUUGAGCGUAAUUCUU 3' (서열번호 2)
도 2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화된 지방세포인 C3H10T1/2에 PRDM4 siRNA를 처리한 경우, UCP-1의 발현량의 감소와 백색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 및 촉진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PRDM4 siRNA는 C3H10T1/2 세포에서 백색 지방세포 마커인 Nnmt와 resistin은 증가시켰으며, 갈색 지방세포마커인 UCP-1과 Dio2를 억제하였다. 또한, PRDM4 siRNA는 갈색지방세포인 t37i세포에서, 갈색지방세포 마커인 UCP-1, Cidea, Cox7a1, Dio2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상기 결과는 PRDM 유전자는 butein 투여에 의한 갈색지방세포 유도 및 백색지방세포 억제와 관련이 있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7. PRDM4 유전자 발현 억제를 통한 체중 등의 변화 확인
PRDM4의 생체내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고지방식이를 투여하면서PRDM4 siRNA와 scrambled RNA를 일주일에 두 번씩 각각 25mg/kg으로 6주간 주사하였다. 투여 기간 동안 PRDM4 siRNA 투여군 (si PRDM4)과 대조군인 Scrambled RNA 투여군 (Scr)의 체중 증가량 및 각종 장기의 무게를 조사하여 비교하였으며, 6주 후에는 glucose tolerance test (GTT)와 insulin tolerance test (ITT)를 수행하였다.
도 23 내지 도 24에서 나타나 바와 같이, PRDM4 siRNA 투여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투여 4주 후부터 유의적인 체중 증가를 보였다. 내장지방 (Fat)의 무게도 증가되었으며, 간조직 (Liver) 역시 증가되는 경향성을 보였다. PRDM4 siRNA 투여군에서 나타나는 몸무게의 증가는 GTT와 ITT에서 포도당과 인슐린의 대사를 방해하였으며, 체온도 Butein 투여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실시예 8. 뷰테인(Butein) 및 뷰테인 유도체의 제조
화합물의 제조단계는 각각 그에 상응하는 대표적인 예들을 하기에 기재하였다. 치환기가 다른 화합물들의 경우에도 하기와 유사한 단계를 통해 실제로 제조되었으며, 제조된 화합물은 표 1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8.1. 뷰테인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뷰테인 화합물은 상기 반응식 3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3]
Figure pat00009
본 실시예에서 수행된 대표적인 반응예의 반응 조건 등은 하기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a) 반응조건 및 재료 : 화합물 2 (152 mg, 1 mmol)와 화합물 3 (138 mg, 1 mmol)을 반응 용기에 넣고 EtOH (0.1 ml)와 KOH 수용액 (60% w/w, 1 ml)을 넣어 용해시키고 100℃로 온도를 높여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상온으로 서서히 온도를 낮추면서 HCl로 pH 3이 될 때까지 점적하였다. 반응 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 (10 ml)로 희석시킨 후 물로 세척(3 ml, 2회)하고 수집한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켜 여과한 후, 순상 컬럼 조건 (에틸아세테이트 : 헥산 = 1 : 2)으로 정제하여 노란색 고체로서 1-1번 화합물 (102 mg, 수율 40%)을 수득하였으며 이에 대한 NMR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1H, 400 MHz, DMSO-d6): δ 1H-NMR (CD3OD): δ 7.81 (1H, d, J = 8.9 Hz, H-6′), 7.70 (1H, d, J = 15.3 Hz, H-β), 7.40 (1H, d, J = 15.3 Hz, H-α), 7.15 (1H, d,J = 1.8 Hz, H-2), 7.05 (1H, dd, J = 8.2, 1.8 Hz, H-6), 6.82 (1H, d, J = 8.2 Hz, H-5), 6.40 (1H, dd, J = 8.9, 2.4 Hz, H-5′), 6.33 (1H, d, J = 2.4 Hz, H-3′), LRMs(ESI) m/z = 273.1 (M+H)+.
8.2. 화학식 1-2의 화합물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뷰테인 유도체 화합물은 상기 반응식 4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4]
Figure pat00010

본 실시예에서 수행된 대표적인 반응예의 반응 조건 등은 하기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a) 반응조건 및 재료 : 화합물 4 (152 mg, 1 mmol)와 화합물 5 (152 mg, 1 mmol)를 무수 메탄올 (5 ml)에 녹인 후, 프롤린 (0.5 eq, 0.5 mmol)을 첨가하였다. 80 ℃로 서서히 온도를 올린 후, 3일 동안 교반을 하였다. 화합물 3, 6이 모두 소모된 것을 확인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시켜 물로 세척하였다. 수집된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농축시킨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에틸아세테이트:헥산 = 1: 2)로 분리정제하였다. 그 결과 노란색 고체인 화합물 1-1 (114 mg, 수득률 36%)과 노란색 고체인 화합물 1-2 (85 mg, 수득률 33%)를 각각 얻었다. 이 때 얻어진 화합물 1-1은 상기 반응의 생성물과 동일하였으며 화합물 1-2에 대한 NMR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1H NMR (DMSO-d6): 1H-NMR (CD3OD): δ 7.69 (1H, d, J = 8.7 Hz, H-5), 6.87 (1H, d, J = 1.8 Hz, H-2′), 6.77 (1H, d, J =8.2 Hz, H-5′), 6.74 (1H, dd, J = 8.2, 1.8 Hz, H-6′), 6.44 (1H, dd, J = 8.7, 2.2 Hz, H-6), 6.32 (1H, d, J = 2.2 Hz, H-8), 5.22 (1H, dd, J = 13.2, 2.8 Hz, H-2), 2.94 (1H, dd, J = 13.2, 17.0 Hz, H-3a), 2.65 (1H, dd, J = 17.0, 2.8 Hz, H-3b); Ms(ESI) m/z = 273.1 (M+H)+.
8.3. 화학식 1-9의 화합물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9로 표시되는 뷰테인 유도체 화합물은 상기 반응식 5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5]
Figure pat00011

본 실시예에서 수행된 대표적인 반응예의 반응 조건 등은 하기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a) 반응조건 및 재료 : 화합물 1-1 (272 mg, 1 mmol)을 무수 메탄올 (5 ml)에 녹인 후 Pd/C (14 mg, 5% g/g)을 넣고 수소 기류 상태를 만들었다. 상온에서 5시간 반응하여 화합물 1-1이 모두 소모된 것을 확인 후 cellite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여과액을 농축시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에틸아세테이트 : 헥산 = 1:6)을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그 결과 노란 고체인 화합물 1-9 (250 mg, 수득률 91%)를 얻었다. 이 때 얻어진 화합물 1-9에 대한 NMR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MeOD) 7.72 (1H, d, J = 8.8 Hz), 6.85 (1H, s), 6.80 (1H, d, J = 8.0 Hz), 6.57 (1H, dd, J = 2.0, 8.0 Hz), 6.35 (1H, dd, J = 2.4, 8.8 Hz), 6.26 (1H, d, J = 2.4 Hz), 3.17 (2H, t, J = 8.0 Hz), 2.86 (2H, J = 8.0 Hz); Ms(ESI) m/z = 275.1 (M+H)+.
실시예 9. 뷰테인(Butein) 유도체의 항비만 효과 확인
뷰테인 유도체의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Butein 유도체 (화학식 1-1 내지 1-8, 1-10 내지 1-14) 처리에 의한 UCP-1, 및 PRDM4 발현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분화된 C3H10T1/2 지방세포에 뷰테인 및 유도체 화합물을 24시간 동안 투여한 후 real time PCR을 이용해 UCP-1과 PRDM4의 발현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뷰테인 뿐만 아니라 뷰테인 유도체 화합물에서도 유의적인 UCP-1, 및 PRDM4의 발현량 증가를 확인하였다. 특히, 뷰테인 유도체 화합물 1-11 (BD-10), 및 1-12 (BD-11)를 투여한 군의 경우에는, 뷰테인을 투여군 (BFI)보다 UCP-1, 및 PRDM4의 발현량이 현저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120> Composition for inducing beige and brown fat cells and method of inducing the same <130> R-2013-0079-KR-2_MP15-009 <150> 2014/0078275 <151> 2014-06-25 <160> 2 <170> KoPatentIn <210> 1 <211> 21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DM4 siRNA_sense <400> 1 gaauuacgcu caacagauau u 21 <210> 2 <211> 21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DM4 siRNA_antisense <400> 2 uaucuguuga gcguaauucu u 21

Claims (10)

  1. 뷰테인 (Butein) 또는 뷰테인 유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색 지방세포로부터 베이지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뷰테인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화학식 1]
    Figure pat00012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OH, 또는 C1-C6 알킬이고, R2는 OH, 할로젠, 또는 C1-C6 알콕시이고, R3는 OH, 또는 C1-C6 알콕시이고, R4는 수소 또는 C1-C6 알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뷰테인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화학식 2]
    Figure pat00013

    상기 화학식 2에서,
    Ra, Rb, 및 Rc는 각각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수소 또는 OH이고, Rd는 OH 또는 C1-C6 알콕시이고, Re는 수소, 할로젠, 또는 C1-C6 알콕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뷰테인 유도체는 2-(3,4-다이하이드록시페닐)-7-하이드로록시크로멘-4-온; (E)-1-(2,4-다이하이드록시페닐)-3-(4-하이드록시-3-메톡시페닐)프로프-2-엔-1-온; 7-하이드록시-2-(4-하이드록시-3-메톡시페닐)크로멘-4-온; (E)-1-(2,4-다이하이드록시페닐)-3-(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프-2-엔-1-온; 7-하이드록시-2-(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크로멘-4-온; (E)-1-(2,4-다이하이드록시페닐)-3-(3-플루오로-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E)-1-(2,4-다이하이드록시페닐)-3-(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2-(3,4-다이하이드록시페닐)-7-하이드록시-3-메틸크로멘-4-온; 2-(4-플루오로-3-메톡시페닐)-7-하이드록시크로멘-4-온; (E)-3-(3,4-다이하이드록시페닐)-1-(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E)-1,3-비스(3,4-다이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및 (E)-1,3-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뷰테인 또는 뷰테인 유도체는 갈색 지방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뷰테인 또는 뷰테인 유도체는 UCP-1(uncoupling protein-1)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뷰테인 또는 뷰테인 유도체는 PRDM4 (PR domain-containing protein 4)의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백색 지방세포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백색 지방세포로부터 베이지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방법은 갈색 지방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방법.
  10.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치료물질 스크리닝 방법:
    a) in vitro 상에서 지방세포에 비만 치료 후보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b) 상기 지방 세포의 PRDM4 (PR domain-containing protein 4)의 유전자의 발현을 측정하는 단계; 및
    c) 비처리군에 비해 PRDM4의 유전자의 발현을 증진시키는 물질을 비만 치료물질로 선정하는 단계.
KR1020150071581A 2014-06-25 2015-05-22 베이지 및 갈색 지방세포 분화 유도용 조성물 및 이의 방법 KR101699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45,772 US9549908B2 (en) 2014-06-25 2015-06-22 Composition for inducing differentiation into beige and brown adipocytes and method of inducing the same
US15/374,187 US9877946B2 (en) 2014-06-25 2016-12-09 Method for treating, managing, inhibiting, or preventing obes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275 2014-06-25
KR20140078275 2014-06-2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361A Division KR101671675B1 (ko) 2014-06-25 2016-07-27 베이지 및 갈색 지방세포 분화 유도용 조성물 및 이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840A true KR20160000840A (ko) 2016-01-05
KR101699160B1 KR101699160B1 (ko) 2017-01-23

Family

ID=5516475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1581A KR101699160B1 (ko) 2014-06-25 2015-05-22 베이지 및 갈색 지방세포 분화 유도용 조성물 및 이의 방법
KR1020160095361A KR101671675B1 (ko) 2014-06-25 2016-07-27 베이지 및 갈색 지방세포 분화 유도용 조성물 및 이의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361A KR101671675B1 (ko) 2014-06-25 2016-07-27 베이지 및 갈색 지방세포 분화 유도용 조성물 및 이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6991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0790A (ko) * 2016-06-13 2017-12-2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부테아 모노스페르마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WO2021182896A1 (ko) * 2020-03-11 2021-09-16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이소리퀴리티제닌 유도체를 포함하는 갈색 지방 유도화 분화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00720A1 (en) * 2020-04-22 2021-10-27 Sunnutrapharma S.r.l. Composition based on genistein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4579A (ko) * 2009-04-16 2010-10-26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모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3149258A2 (en) * 2012-03-30 2013-10-03 Charles Drew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or preventing metabolic syndrome disorder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45921A1 (en) * 2009-06-08 2018-07-11 Acceleron Pharma Inc. Use of anti-actriib antibodies for increasing thermogenic adipocyt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4579A (ko) * 2009-04-16 2010-10-26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모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3149258A2 (en) * 2012-03-30 2013-10-03 Charles Drew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or preventing metabolic syndrome disorder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VOLUME 738, 2014.09.05) *
논문(THE JOURNAL OF LIPID RESEARCH, 54, 2013.05)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0790A (ko) * 2016-06-13 2017-12-2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부테아 모노스페르마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WO2021182896A1 (ko) * 2020-03-11 2021-09-16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이소리퀴리티제닌 유도체를 포함하는 갈색 지방 유도화 분화 조성물
KR20210115115A (ko) * 2020-03-11 2021-09-27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이소리퀴리티제닌 유도체를 포함하는 갈색 지방 유도화 분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1675B1 (ko) 2016-11-16
KR101699160B1 (ko) 2017-01-23
KR20160097165A (ko)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00806B (zh) 端粒酶活化化合物及其使用方法
KR20200022480A (ko) 모발 성장을 조절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JP2021534248A (ja) 3−アリールオキシル−3−5員ヘテロアリール−プロピルアミン化合物およびその使用
JP2022516136A (ja) 毛髪の成長を調節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JP2021534249A (ja) 3−アリールオキシ−3−アリール−プロピルアミン化合物およびその用途
JP5014332B2 (ja) 非ステロイド型男性ホルモン受容体作用剤、その調製における化合物あるいはその薬学的に受容可能な塩の用途
CN104053439A (zh) 1-(5,6-二氯-1h-苯并[d]咪唑-2-基)-1h-吡唑-4-羧酸的葡甲胺盐制剂
KR101699160B1 (ko) 베이지 및 갈색 지방세포 분화 유도용 조성물 및 이의 방법
JP2018526417A (ja) 高尿酸血症又は痛風の治療又は予防用化合物
JP2023036694A (ja) 皮膚におけるc-Jun N末端キナーゼの阻害の測定方法
US9877946B2 (en) Method for treating, managing, inhibiting, or preventing obesity
JP6931002B2 (ja) ベンゾチアゾール両親媒性物質
CN105209037A (zh) 用于治疗癌症、神经障碍和纤维化病症的脂类呋喃、吡咯和噻吩化合物
US20200331828A1 (en) Novel compounds which activate estrogen receptors an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0624238B1 (ko) 알파-아릴메톡시아크릴레이트 유도체를 함유하는 대사성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6798706B2 (ja) 筋萎縮性疾患治療剤
JP4819692B2 (ja) ベンゾフラン類およびベンゾチオフェン類
KR101457637B1 (ko) 디히드로피라졸카르보티오아미드 유도체 및 그 제법 및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항암제 조성물
KR100903974B1 (ko) 2,4,5-삼중치환-1,3-티아졸 유도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spc 수용체 활성으로 유발되는 염증관련 질환치료제
KR102580387B1 (ko) 신규한 피라졸로[3,4-b]피리딘 유도체를 포함하는 비만 및 당뇨병을 비롯한 대사성질환 또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Jo et al. Phenotypic Discovery of SB1501, an Anti‐obesity Agent, through Modulating Mitochondrial Activity
US8404863B2 (en) Tetrahydroindoles having sphingosine-1-phosphate receptor activity
KR20060134303A (ko) 아미노 치환기를 갖는 알파-아릴메톡시아크릴레이트 유도체및 이를 함유하는 대사성 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CN112930176A (zh) 用于促进脂肪组织中产热的环己烷甲酰胺衍生物
CN104788372A (zh) 一种氘代卡博替尼衍生物、其制备方法、应用及其中间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