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0790A - 부테아 모노스페르마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부테아 모노스페르마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0790A
KR20170140790A KR1020170074471A KR20170074471A KR20170140790A KR 20170140790 A KR20170140790 A KR 20170140790A KR 1020170074471 A KR1020170074471 A KR 1020170074471A KR 20170074471 A KR20170074471 A KR 20170074471A KR 20170140790 A KR20170140790 A KR 20170140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ipocytes
composition
extract
frac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8554B1 (ko
Inventor
구진모
박계원
이석찬
이정헌
이석오
홍성수
송노준
노강산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70140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테아 모노스페르마의 추출물 또는 분획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백색 지방세포의 브라우닝을 유도하거나 촉진하며, 또한 줄기세포, 배아세포 또는 전지방세포를 갈색 지방세포 또는 베이지 지방세포로 분화시킨다.

Description

부테아 모노스페르마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R FRACTION OF BUTEA MONOSPERMA}
본 발명은 부테아 모노스페르마의 추출물 또는 분획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백색 지방세포의 브라우닝을 유도하거나 촉진하며, 또한 줄기세포, 배아세포 또는 전지방세포(pre-adipocyte)를 갈색 지방세포 또는 베이지 지방세포로 분화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비만, 당뇨병, 지질이상증, 지방간 및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을 치료,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다.
부테아 모노스페르마(butea monosperma)는 인도를 비롯하여 방글라데시, 네팔, 스리랑카 등 인도아대륙과 동남아시아 지역을 원산지로 하는 식물의 학명이다. 천천히 성장하여 약 10 내지 15 m의 높이까지 자라며, 주황색 내지 붉은색을 띄는 꽃잎은 그 모양이 앵무새의 부리 형상을 나타낸다.
상기 부테아 모노스페르마는 다양한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미국공개공보 US 2006/0013782는 부테아 모노스페르마의 활성 추출물이 머리카락, 피부, 입술, 손톱의 라이트닝을 통해 외관을 개선시키는 미용 효과가 있다고 개시하고 있다. 또한, 중국공개공보 CN 101287481은 부테아 모노스페르마의 추출물이 간세포암의 치료 효능을 나타낸다고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부테아 모노스페르마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과 백색, 베이지 또는 갈색 지방세포의 관계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연구된 바 없으며 어디에도 개시되어 있지 않다.
지방세포는 크게 백색 지방세포, 갈색 지방세포 및 베이지 지방세포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백색 지방세포는 중성지방의 형태로 에너지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지만, 백색 지방세포의 수가 과도하게 많아지거나 기능 이상이 생긴다면 비만 또는 대사 관련 질환, 예컨대 당뇨병, 지질이상증,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 지방간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반면, 상기 갈색 지방세포는 백색 지방세포에 비해 많은 미토콘드리아와 작은 크기의 지방구를 함유하고 있는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미토콘드리아의 대사 작용에 의해 열 발생(thermogenic)을 통한 체온 유지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백색 지방세포가 추위와 같은 열 발생 자극을 받은 후에 갈색 지방세포로 전환되는 과정을 브라우닝(browning)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백색 지방세포가 브라우닝 과정을 통해 전환된 갈색 지방세포를 일반적으로 베이지 지방세포라고 지칭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2538호는 이러한 갈색 지방 세포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갈색 지방 세포의 분화 조절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단백질 탈인산화 효소 수용체 E형(protein tyrosine phosphatase receptor type E: PTP-RE)을 사용한다.
그러나, 백색 지방세포의 수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갈색 지방세포 또는 베이지 지방세포의 수를 유의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물질 또는 기술에 대해서는 여전히 당업계에서 높은 필요성이 존재한다.
미국공개공보 US 2006/0013782 (2006.01.19) 중국공개공보 CN 101287481 (2008.10.15)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2538호 (2014.10.20)
본 발명자들은 갈색 지방세포 또는 베이지 지방세포의 수를 증가시키고 이의 세포 활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식물종들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놀랍게도 부테아 모노스페르마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에 의해 상기 목적이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는 점을 입증하여,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은 부테아 모노스페르마의 추출물 또는 분획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색 지방세포의 브라우닝(browning) 유도 또는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브라우닝(browning)은 백색 지방세포가 열 발생(thermogenic) 자극을 받은 후에 갈색 지방세포로 전환되는 과정을 가리킨다. 본래 브라우닝 과정이 진행되기 위해서는 추위와 같은 열 발생 자극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요구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투여하는 경우에는 열 발생 자극이 없거나 적더라도 백색 지방세포의 브라우닝 과정이 유도되거나 촉진될 수 있다. 그 결과, 백색 지방세포가 베이지 지방세포 또는 갈색 지방세포로 전환분화(transdifferentiation)된다. 여기서, 전환분화라는 용어는 완전히 분화한 세포 또는 이의 분열에 의해 생산된 자손세포가 다른 분화를 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나타내는 백색 지방세포의 브라우닝 유도 또는 촉진 효과는 시험관내에서(in vitro) 그리고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경우 생체내에서(in vivo) 모두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투여하는 경우 백색 지방세포의 수는 감소하는 반면, 브라우닝 과정에 의해 갈색 지방세포의 수는 증가한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부테아 모노스페르마의 추출물 또는 분획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줄기세포, 배아세포 또는 전지방세포(pre-adipocyte)의 갈색 지방세포 또는 베이지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 또는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줄기세포, 배아세포 또는 전지방세포는 주변 환경 또는 자극과 같은 요인에 따라 백색 지방세포로 분화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갈색 지방세포 또는 베이지 지방세포로 분화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투여하는 경우에는 갈색 지방세포 또는 베이지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과정이 유도되거나 촉진된다. 그 결과, 지방 조직에서 갈색 지방세포 또는 베이지 지방세포의 수가 유의적인 수준으로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열 발생과 같은 고유 활성 또는 체온 유지 작용이 효율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나타내는 줄기세포, 배아세포 또는 전지방세포의 갈색 지방세포 또는 베이지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 또는 촉진 효과는 시험관내에서(in vitro) 그리고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경우 생체내에서(in vivo) 모두 얻을 수 있다.
상기 부테아 모노스페르마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당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는 통상의 추출 또는 분획추출 방법에 따라 수득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부테아 모노스페르마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물,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C1-4 알코올(예컨대, 에탄올, 메탄올 등),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를 이용하여 수득된 것이다. 상기 C1-4 알코올의 농도는 10% 내지 90%가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부테아 모노스페르마의 잎, 가지, 줄기, 꽃, 뿌리, 나무껍질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수득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부테아 모노스페르마의 꽃으로부터 수득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부테아 모노스페르마는 재배한 것, 채취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생약을 적절한 추출용매로 추출하고 추출용매를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 또는 분획물이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테아 모노스페르마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일반적인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열탕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효소 추출, 또는 산처리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효소 추출 또는 산처리 추출 방법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부테아 모노스페르마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함량은 대상체의 연령, 성별, 체중 및 건강상태, 비만이나 비만 합병증 또는 대사 질환의 중증도, 발병 시점, 치료 기간, 투여 경로 등의 다양한 인자들을 고려하여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 또는 숙련된 의사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테아 모노스페르마 추출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01 내지 100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일일 투여량은 대상체의 연령, 성별, 체중 및 건강상태, 비만이나 비만 합병증 또는 대사 질환의 중증도, 발병 시점, 치료 기간, 투여 경로 등의 다양한 인자들을 고려하여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 또는 숙련된 의사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일일 투여량은 대상체의 체중 kg 당 1 내지 500 mg의 양이 될 수 있다. 상기 일일 투여량은 하루에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대상체"라는 용어는 인간, 포유류를 포함한 동물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상체는 인간이다. 특히, 상기 대상체는 백색 지방세포의 수가 정상 수준보다 과량으로 존재하는 인간일 수 있으며, 또는 비만 또는 비만합병증, 예컨대 당뇨병, 지질이상증, 고혈압, 대사증후군, 지방간 등을 이미 앓고 있거나 앓을 가능성이 있는 인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비만,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및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용도로 제공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비만,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및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개선 또는 예방을 위한 용도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질환 또는 이상 증세가 호전되거나 완치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질환 또는 이상 증세가 억제 또는 지연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선"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질환 또는 이상 증세의 정도가 감소되거나 호전되거나 진행이 지연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다양한 경로로 대상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국소, 복강내, 피하 또는 정맥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지만, 이러한 투여 경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식품 또는 식품보충제의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대상체에게 경구로 투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특정 제형에 한정됨이 없이,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가지 제형들로 제제화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은 제형 내에 단위 용량으로 함유될 수도 있고, 분취량으로 나뉘어 함유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제화하는 경우, 약학적으로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통상의 가소제, 부형제, 붕해제,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활택제, 착색제,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계면활성제, 희석제, 항산화제 등의 다양한 첨가제들을 필요에 따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는 예를 들어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일 수 있으며, 여기에는 부테아 모노스페르마 추출물 또는 분획물 외에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또는 젤라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는 예를 들어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일 수 있으며, 여기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외에 여러가지 부형제들, 예컨대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는 예를 들어 멸균된 수용액, 비수용성제, 현탁용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일 수 있다. 상기 현탁용제로서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식품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향미제, 비타민 등과 같이 당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식품 첨가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백색 지방세포의 브라우닝을 유도 또는 촉진하거나, 및/또는 줄기세포, 배아세포 또는 전지방세포의 갈색 지방세포 또는 베이지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유도 또는 촉진하는 것으로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다른 활성성분들 또는 분화유도제 등이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의 효과를 저해하거나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해서는 하기의 실시예와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기초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나,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또한,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를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대해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을 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백색 지방세포의 브라우닝을 유도 또는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줄기세포, 배아세포 또는 전지방세포의 갈색 지방세포 또는 베이지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유도 또는 촉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백색 지방세포의 수에 비해 갈색 지방세포 또는 베이지 지방세포의 수를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갈색 지방세포 또는 베이지 지방세포가 나타내는 열 발생과 같은 고유 활성 또는 체온 유지 작용이 효율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서 포함되는 부테아 모노스페르마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천연물에서 유래된 것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대상체에게 투여되더라도 부작용 또는 역효과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궁극적으로는 대상체의 비만 또는 비만합병증, 예컨대 당뇨병, 지질이상증, 고혈압, 대사증후군, 지방간 등을 치료, 예방 또는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의약품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또다르게는 기능성 식품 또는 식품보충제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은 C3H10T1/2 세포를 부테아 모노스페르마의 추출물로 처리한 경우 갈색 지방세포 및 베이지 지방세포 마커 UCP1, Cidea, PGC-1α, Dio2의 발현양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C57BL/6J 마우스에 부테아 모노스페르마의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 8주 동안의 체중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C57BL/6J 마우스에 부테아 모노스페르마의 추출물을 8주 동안 투여한 후에 복부 지방에서의 갈색 지방세포 및 베이지 지방세포 마커 UCP-1, PRDM16, Cox8b, Cox7b 및 Cidea의 발현양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C57BL/6J 마우스에 부테아 모노스페르마의 추출물을 8주 동안 투여한 후에 복부 지방에서의 백색 지방세포 마커 Nnmt 및 Resistin의 발현양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C57BL/6J 마우스에 부테아 모노스페르마의 추출물을 8주 동안 투여한 후에 복부 지방과 피하 지방의 크기 변화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C57BL/6J 마우스에 부테아 모노스페르마의 추출물을 8주 동안 투여한 후에 GTT(glucose tolerance test)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시예 1-1: 부테아 모노스페르마 추출물 및 분획물의 준비
부테아 모노스페르마의 꽃 1g을 10% 효소와 함께 물 10 ml에 침착시켰다. 그 후, 45℃에서 10시간 동안 효소반응시켰다. 이어서, 여과 과정을 통해 불용성 고형물을 제거하고 여과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여과액은 감압농축하여 고체 추출물을 생성하였다.
상기 효소로서 알칼라아제(alcalase) 및 카탈라아제(catalase, CAT200)의 혼합물 형태를 사용하거나 또는 카탈라아제(catalase, CAT200)를 단독으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알칼라아제(alcalase) 및 카탈라아제(catalase, CAT200)의 혼합물 형태를 효소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카탈라아제(catalase, CAT200)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가 갈색 지방세포 또는 베이지 지방세포의 마커인 UCP1의 발현양이 더 높았다.
UCP1의 발현양이 더 높은 카탈라아제(catalase, CAT200)를 효소로 사용하여 수득한 고체 추출물에 대해,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유기층과 물층으로 분획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감압농축하여 분획물을 생성하였다.
상기 유기용매로서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에틸 아세테이트를 유기용매로 사용하여 수득한 유기층의 분획물이 타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수득한 유기층의 분획물에 비해 UCP1의 발현양이 더 높았다.
실시예 1-2: 부테아 모노스페르마 추출물 및 분획물의 준비
부테아 모노스페르마의 꽃 100mg을 산 촉매와 함께 메탄올 2 ml에 침착시켰다. 그 후, 50℃에서 10시간 동안 산처리반응을 시켰다. 이어서, 여과 과정을 통해 불용성 고형물을 제거하고 여과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여과액은 감압농축하여 고체 추출물을 생성하였다.
상기 산 촉매는 10% 1N HCl, 10% 3N HCl, 10% 6N HCl, 10% CH3SO4H, 1% H2SO4, 2.5% H2SO4, 5% H2SO4 또는 10% H2SO4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5% H2SO4를 산 촉매로 사용하는 경우가 갈색 지방세포 또는 베이지 지방세포의 마커인 UCP1의 발현양이 가장 높았다.
UCP1의 발현양이 가장 높은 5% H2SO4를 산 촉매로 사용하여 수득한 고체 추출물에 대해, 유기용매로서 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유기층과 물층으로 분획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감압농축하여 분획물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2: 전지방세포의 분화 유도 실험
앞서 제조한 부테아 모노스페르마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이 줄기세포 또는 전지방세포를 베이지 지방세포로 분화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입증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세포 실험 모델을 제작하였다.
C3H10T1/2 세포는 세포배양시에 섬유모세포 형태를 나타내며, 기능적으로는 중간엽 줄기세포와 유사하다. 상기 C3H10T1/2 세포를 상업적으로 구입한 후 전지방세포로 분화시켰다. 이와 같이 분화된 전지방세포에 대해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부테아 모노스페르마의 분획물을 10μg/ml의 저농도로 처리한 것을 제1실험군으로 설정하고, 50μg/ml의 고농도로 처리한 것을 제2실험군으로 설정하였다. DMSO를 처리한 것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대조군, 제1실험군, 제2실험군에 대해 각각 UCP1, Cidea, PGC-1α, Dio2의 발현양을 real time PCR에 의해 확인하였다.
UCP1(uncoupling protein-1)은 갈색 지방세포 또는 베이지 지방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 함유되어 있는 반면, 백색 지방세포는 미토콘드리아가 거의 없기 때문에 UCP1을 발견하기 어렵다. 따라서, UCP1의 발현양을 측정함으로써, 전지방세포가 백색 지방세포로 분화되었는지, 아니면 갈색 지방세포 또는 베이지 지방세포로 분화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UCP1의 발현양이 많을수록, 전지방세포가 갈색 지방세포 또는 베이지 지방세포로 더 많이 분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Cidea, PGC-1α 및 Dio2는 갈색 지방세포의 마커로 이미 알려져 있다.
실험 결과, 제1실험군과 제2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UCP1의 발현양이 현저하게 높았으며, Cidea, PGC-1α 및 Dio2의 발현양 역시 유의적으로 높게 관찰되었다(도 1 참조).
실시예 3: 동물 모델 실험
부테아 모노스페르마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인비보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동물 실험 모델을 제작하였다.
7주령 C57BL/6J 마우스를 구입한 후 1주 동안 적응시키고, 고지방 식이(60% fat, Research Diet)를 8주 동안 처리하여 비만을 유도하였다.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부테아 모노스페르마의 분획물을 100 mg/kg의 일일 투여량으로 복강내 투여한 실험군(6마리)을 정상 식이를 실시하고 PBS를 투여한 정상군(5마리), 8주 동안 고지방 식이를 실시하고 PBS를 투여한 대조군(6마리)과 비교하였다.
(1) 체중 변화
8주 동안의 체중 변화를 도 2에 나타내었다. 고지방 식이를 실시한 대조군은 정상 식이를 실시한 정상군에 비해 마우스의 체중이 증가하였다. 부테아 모노스페르마의 분획물을 투여한 실험군은 고지방 식이를 실시했음에도 불구하고 증가된 체중이 유의적으로 감소된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2) 특이적 마커의 발현양 변화
투여 8주 후에 C57BL/6J 마우스의 복부 지방 조직에서, 갈색 지방세포 또는 베이지 지방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마커 UCP-1, PRDM16, Cox8b, Cox7b 및 Cidea의 발현양을 real time PCR에 의해 측정하여 도 3에 각각 나타내었다. 그 결과, 실험군은 5개의 마커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한 발현양을 나타내었다. 이는 갈색 지방세포 또는 베이지 지방세포의 수가 증가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투여 8주 후에 C57BL/6J 마우스의 복부 지방 조직에서, 백색 지방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마커 Nnmt 및 Resistin의 발현양을 real time PCR에 의해 측정하여 도 4에 각각 나타내었다. 그 결과, 실험군은 2개의 마커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한 발현양을 나타내었다. 이는 백색 지방세포의 수가 감소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3) 지방 조직의 크기 변화
투여 8주 후에 대조군 및 실험군에서 마우스의 복부지방조직(구체적으로, epididymal fat)과 피하지방조직(구체적으로, subcutaneous inguinal fat)을 채취하여 그 크기를 육안으로 비교하였다.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험군의 마우스의 복부지방조직과 피하지방조직은 대조군의 마우스의 복부지방조직과 피하지방조직에 비해 크기가 현저하게 감소되었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4) 포도당 대사의 변화
대조군과 실험군의 마우스에 대해, 당뇨병 검사법 중의 하나인 GTT(glucose tolerance test)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글루코오스의 양이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는 비만에 의한 포도당 대사가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에 의해 유의적으로 개선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Claims (9)

  1. 부테아 모노스페르마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색 지방세포의 브라우닝(browning) 유도 또는 촉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백색 지방세포가 베이지 지방세포 또는 갈색 지방세포로 전환분화(transdifferentiation)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부테아 모노스페르마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줄기세포, 배아세포 또는 전지방세포(pre-adipocyte)의 갈색 지방세포 또는 베이지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 또는 촉진용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부테아 모노스페르마의 꽃으로부터 수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각각 독립적으로 물,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C1-4 알코올,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된 용매를 이용하여 수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UCP-1, PRDM16, Cox8b, Cox7b 및 Cide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Nnmt 및 Resist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만, 당뇨병, 지질이상증, 지방간 및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만, 당뇨병, 지질이상증, 지방간 및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70074471A 2016-06-13 2017-06-13 부테아 모노스페르마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885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73437 2016-06-13
KR1020160073437 2016-06-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790A true KR20170140790A (ko) 2017-12-21
KR102088554B1 KR102088554B1 (ko) 2020-03-12

Family

ID=60663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471A KR102088554B1 (ko) 2016-06-13 2017-06-13 부테아 모노스페르마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88554B1 (ko)
WO (1) WO2017217746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3782A1 (en) 2002-12-17 2006-01-19 Avon Products, Inc. Use of active extracts to improve the appearance of skin, lips, hair and/or nails
CN101287481A (zh) 2005-05-26 2008-10-15 科学工业研究委员会 用于治疗肝细胞癌的药物组合物
KR20140122538A (ko) 2013-04-10 2014-10-2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tp―re를 이용한 갈색 지방세포 분화 조절 방법
KR20160000840A (ko) * 2014-06-25 2016-01-0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베이지 및 갈색 지방세포 분화 유도용 조성물 및 이의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3782A1 (en) 2002-12-17 2006-01-19 Avon Products, Inc. Use of active extracts to improve the appearance of skin, lips, hair and/or nails
CN101287481A (zh) 2005-05-26 2008-10-15 科学工业研究委员会 用于治疗肝细胞癌的药物组合物
KR20140122538A (ko) 2013-04-10 2014-10-2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tp―re를 이용한 갈색 지방세포 분화 조절 방법
KR20160000840A (ko) * 2014-06-25 2016-01-0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베이지 및 갈색 지방세포 분화 유도용 조성물 및 이의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cell. 36(2). pp.63~71. (2012.0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8554B1 (ko) 2020-03-12
WO2017217746A1 (ko) 201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4298B2 (ja) 高麗人参の実抽出物を含有する血行促進、血管老化防止及び虚血性心疾患治療用組成物
KR101059471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42930B1 (ko) 밀크씨슬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101523820B1 (ko)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89407B1 (ko)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RU2668135C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лечения и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дегенеративных неврологических нарушений, которая содержит, в качестве активного ингредиента, смешанный экстракт коры корня пиона полукустарникового, корня дудника даурского и корня володушки или его фракцию
KR20140120667A (ko) 버드나무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JP5730550B2 (ja) Cgrp応答性促進剤
KR101636345B1 (ko) 노회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갑상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02348A (ko) 지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 위축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5816426B2 (ja) Cgrp応答性抑制剤
KR101732483B1 (ko) 연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초신경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88554B1 (ko) 부테아 모노스페르마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50051158A (ko) 감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갑상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7228544B2 (ja) 有効成分としてヤブラン(Liriope platyphylla)の抽出物を含む、ニコチン中毒の予防又は治療用の組成物
KR101687270B1 (ko) 상륙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갑상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69089B1 (ko) 뇌기능 및 인지 기능 개선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20220046417A (ko) 발모용 및/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
JP5730549B2 (ja) Cgrp応答性促進剤
JP5730548B2 (ja) Cgrp応答性促進剤
KR20200129596A (ko) 초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6163535B (zh) 包含胡桃萃取物的抗肥胖剂
KR102149783B1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손상 억제,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2277061B1 (ko) 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20220233623A1 (en) Composition, comprising aucklandia lappa decne. extract,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regrow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