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671A - 현금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현금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671A
KR20160000671A KR1020140078098A KR20140078098A KR20160000671A KR 20160000671 A KR20160000671 A KR 20160000671A KR 1020140078098 A KR1020140078098 A KR 1020140078098A KR 20140078098 A KR20140078098 A KR 20140078098A KR 20160000671 A KR20160000671 A KR 20160000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h delivery
user
cash
accoun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8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3338B1 (ko
Inventor
손영수
Original Assignee
중소기업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소기업은행 filed Critical 중소기업은행
Priority to KR1020140078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338B1/ko
Publication of KR20160000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3Credit; Loans; Processing thereof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현금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금융 서버는 사사용자의 단말, 대행업체의 서버, 대행업체의 단말, 에스크로 서버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수신한 현금배달정보에 포함된 현금배달금액을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출금하여 대행업체의 계좌로 이체하고, 사용자의 현금배달 서비스 이용에 대한 수수료를 산정하여 사용자의 계좌에서 수수료에 상응하는 금액을 출금하고, 대행업체의 현금배달에 따른 소정의 대행 수수료를 정산하여 대행수수료를 에스크로 서버의 계좌로 이체하는 제어부; 수수료 산정을 위한 수수료율 및 은행 수수료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정보 및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수수료율은 사용자가 요청하는 현금배달금액대별, 사용자의 신용도별, 사용자의 등급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각각 책정되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현금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CASH SERVICE}
본 명세서는 현금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용카드, 은행 현금 및 직불카드, 전자화폐, 은행 계좌를 이용하여 현금을 지급받는 방법에 있어서, 개별 금융기관들이 자체적으로 설치 및 운용하는 현금자동지급기(ATM)와, 개별금융기관들이 공동으로 설치 및 운용하는 현금자동지급기(CD공동망)와, 금융기관들이 공동으로 설립하여 운용하는 현금자동지급기(NICE)와, 전문용역회사가 설치 및 운용하는 현금자동지급기(ATM)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사용자가 직접 현금자동지급기에서 카드를 이용하여 현금을 출금해야만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현금지급방법은 사용자가 금융기관에서 사용할 카드를 분실한 경우, 현금자동지급기에 장애가 있는 경우, 사용자가 현금자동지급기가 없는 지역에 있는 경우, 현금자동지급기를 운용하지 않는 시간인 경우에는 현금 지급을 받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고객은 자신의 계좌에 예치된 현금을 출금함에 있어 시간적, 공간적인 제약을 받게 된다. 이러한 현금지급의 시간적, 공간적인 제약을 해소하기 위한 적절한 서비스 제공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특2001-0107379호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는 고객에게 현금지급을 함에 있어서, 시간적, 공간적인 제약을 해소하기 위한 현금배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금융 서버의 현금배달 서비스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번호, 상기 사용자의 계좌번호, 비밀번호, 인증정보를 포함한 고객 정보 및 현금배달금액, 상기 현금배달금액의 수령주소지를 포함한 현금배달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현금배달정보에 포함된 현금배달금액을 상기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출금하여 대행업체의 계좌로 이체하는 단계; 상기 현금배달정보를 대행업체의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현금배달정보를 토대로 상기 현금배달금액을 배달하도록 상기 대행업체의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대행업체의 단말로부터 상기 현금배달금액의 수취인에 대한 인증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현금배달금액의 수취인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현금배달금액의 수취인에 대한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현금배달금액의 수취인에게 상기 현금배달금액을 제공하도록 상기 대행업체의 단말로 지시하는 단계; 상기 대행업체의 단말로부터 현금배달을 완료하였음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현금배달에 대한 수수료를 산정하여 상기 수수료를 상기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출금하는 단계; 상기 수수료에서 대행업체의 대행 수수료를 정산하여 상기 대행 수수료를 에스크로 서버의 계좌로 이체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기설정된 기간 내에 상기 현금배달금액을 수령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대행 수수료를 상기 대행업체의 계좌로 이체하도록 상기 에스크로 서버로 지시하는 단계; 상기 에스크로 서버로부터 상기 대행 수수료의 이체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금융 서버의 현금배달 서비스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번호, 상기 사용자의 계좌번호, 비밀번호, 인증정보를 포함한 고객 정보 및 현금배달금액, 상기 현금배달금액의 수령주소지를 포함한 현금배달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현금배달정보에 포함된 현금배달금액을 상기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출금하여 대행업체의 계좌로 이체하는 단계; 상기 현금배달정보를 대행업체의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현금배달정보를 토대로 상기 현금배달금액을 배달하도록 상기 대행업체의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현금배달 서비스에 대한 이용을 취소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대행업체의 단말로부터 상기 현금배달금액의 배송 단계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된 현금배달금액의 배송 단계에 따른 소정의 배송료를 산정하는 단계; 상기 대행업체의 단말로 상기 현금배달금액을 상기 금융 서버의 계좌로 이체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현금배달금액이 상기 금융 서버의 계좌로 이체되면, 상기 현금배달금액에서 상기 소정의 배송료를 출금하여 상기 대행업체의 계좌로 이체하고, 상기 현금배달금액에서 상기 소정의 배송료를 차감한 금액을 상기 사용자의 계좌로 이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금융 서버는, 사용자의 단말, 대행업체의 서버, 대행업체의 단말, 에스크로 서버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수신한 현금배달정보에 포함된 현금배달금액을 상기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출금하여 대행업체의 계좌로 이체하고, 상기 사용자의 현금배달 서비스 이용에 대한 수수료를 산정하여 상기 사용자의 계좌에서 상기 수수료에 상응하는 금액을 출금하고, 상기 대행업체의 현금배달에 따른 소정의 대행 수수료를 정산하여 상기 대행수수료를 에스크로 서버의 계좌로 이체하는 제어부; 상기 수수료 산정을 위한 수수료율 및 은행 수수료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정보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수료율은 사용자가 요청하는 현금배달금액대별, 상기 사용자의 신용도별, 상기 사용자의 등급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각각 책정되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금융사는 고객에게 현금지급을 함에 있어서, 시간적, 공간적인 제약을 해소하는 현금배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금융사는 현금배달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수수료로 인하여 수익 창출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금융사는 현금배달금액대별, 사용자의 신용도별, 사용자의 등급별에 따라 고객에게 수수료를 부과할 수 있기에 고객의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은 현금자동지급기의 위치에 상관없이 자신의 계좌에서 출금된 현금을 수령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행업체의 분실이나 사고로 고객이 현금배달금액을 수령하지 못하는 경우에 고객이 불측의 손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고객의 입장에서는 안전한 현금배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이 현금배달 서비스에 대한 이용을 중도 취소하는 경우에도 대행업체의 배송단계에 따라 소정의 배송료를 현금배달금액에서 차감하고 차감된 현금배달금액을 고객의 계좌로 이체함으로써 합리적인 거래관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의 금융거래정보가 금융 서버에서만 관리될 뿐, 대행업체의 서버에 경유되어 보관 및 관리되지 않으므로 고객의 금융거래정보 노출이 최소화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은 현금자동지급기가 위치하는 곳으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유류비와 방문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금배달 서비스 시스템의 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서버(2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금배달 서비스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금배달 요청 과정(S300)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금배달금액 전달 과정(S310)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금배달 수수료 산정 과정(S320)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 제공되는 현금배달 서비스 신청 관련 인터페이스의 화면의 예시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명세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금배달 서비스 시스템의 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금배달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금융 서버(200), 대행업체 서버(300), 대행업체 단말(310) 및 에스크로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현금배달 서비스를 신청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로서, 통신망을 통해 금융 서버(200)에 접속하여 현금배달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금융 서버(200)에서 직접 제공하는 소정의 현금배달 서비스 신청 관련 인터페이스를 통해 금융 서버(200)에 접근할 수도 있고, 별도의 웹 서버 또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금융 서버(200)로 접근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00)이 금융 서버(200)가 직접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금융 서버(200)로 접근하는 경우는 금융 서버(200)가 웹 서버 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를 이용하여 상술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단말의 번호, 사용자의 계좌번호, 비밀번호, 인증정보를 포함한 고객 정보 및 현금배달금액, 현금배달금액의 수령주소지를 포함한 현금배달정보를 입력함으로써 현금배달 서비스에 대한 신청을 완료할 수 있다. 예컨대, 인증정보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주민등록번호, 공인인증서 및 부가적인 신상정보(집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이용하여 금융 서버(200)에 접속하면 현금배달 서비스 신청 관련 인터페이스를 제공받는 것과 동시에 사용자가 요청하는 현금배달금액대별, 사용자의 신용도별, 사용자의 등급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책정된 수수료율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추후 현금배달 서비스에 따른 수수료를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출금할 수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금융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 스마트 폰, 태블릿형 PC, 노트북 컴퓨터 기타 통신 가능한 단말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이용하여 금융 서버(200)에 접속하여 현금배달 서비스를 신청한 이후,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금융 서버(200)로부터 현금배달금액의 수령과정에서 필요한 수취인 인증을 위한 인증키를 수신할 수 있다. 인증키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고객 정보에 대응하여 금융 서버(200)에 의해 생성되어 고객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서, 금융 서버(200)가 현금배달금액에 대한 수취인에 대한 유효성을 판단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예컨대, 사용자가 요청한 현금배달금액을 수령하는 과정에서 대행업체의 배달원은 현금배달금액의 수령주소지에 도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대행업체 단말(310)에 인증키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대행업체의 배달원은 사용자로 하여금 주민등록번호, 부가적인 신상정보(집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를 추가적으로 더 입력하기를 요청할 수도 있다. 이때, 대행업체 단말(310)에 입력된 인증키는 금융 서버(200)로 전송되고, 금융 서버(200)는 수신한 인증키와 사용자에 상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인증키가 일치하는지를 비교함으로써 수취인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금융 서버(200)는 수취인에 대한 인증 결과, 사용자와 수취인이 동일하다고 확인하면, 현금배달금액을 배달하는 대행업체 배달원이 소지하고 있는 대행업체 단말(310)로 수취인에게 현금배달금액을 제공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대행업체는 현금배달 서비스를 신청한 사용자에게 안전하게 현금배달금액을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가 현금배달 서비스를 신청하였으나 부득이하게 현금배달 서비스에 대한 이용을 중도 취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이용하여 현금배달 서비스 이용을 취소하는 메시지를 금융 서버(200)에 전송하거나, 금융 서버(200)에 접속하여 현금배달 서비스 이용에 대한 취소를 요청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금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 소정의 현금배달 서비스 신청 관련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금융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현금배달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예컨대, 금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서 별도의 현금배달 서비스 신청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이용하여 금융 서버(200)에 접근하여 회원 가입하고 현금배달 서비스 신청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100)에 현금배달 서비스 신청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금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에 고객 정보 및 현금배달정보를 포함하는 현금배달 서비스에 대한 신청정보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이후, 금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입력된 현금배달 서비스에 대한 신청 정보를 사용자에 상응하는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금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고객 정보 및 현금배달정보를 포함하는 현금배달 서비스에 대한 신청 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의 동의를 얻어 현금배달정보에 포함된 현금배달금액을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출금할 수 있다. 그리고, 금융 서버(200)는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출금한 현금배달금액을 대행업체의 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 이때, 금융 서버(200)는 현금배달정보를 대행업체 서버(300)에 전송함으로써 대행업체 서버(300)로 대행업체의 계좌로 이체된 현금배달금액을 현금배달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에게 배달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금융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현금배달 서비스에 대한 이용을 취소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현금배달금액을 배달하고 있는 대행업체 단말(310)로부터 현금배달금액의 배송 단계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금융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현금배달 서비스 이용을 취소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취소 요청을 수신하는 시점이, 금융 서버(100)가 대행업체 단말(310)로부터 현금배달금액의 배송 단계를 확인한 결과, 대행업체 단말(310)이 배송을 하지 않은 단계에 있는 경우에는 대행업체 단말(310)로 현금배달금액을 금융 서버(100)의 계좌로 이체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여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출금한 현금배달금액의 원금을 그대로 사용자의 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
만약, 금융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현금배달 서비스 이용을 취소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취소 요청을 수신하는 시점이, 대행업체 단말(310)를 소지한 대행업체의 배달원이 이미 사용자에게 현금배달금액을 배송하는 단계에 있는 경우에는, 대행업체 단말(100)로부터 확인된 대행업체의 배송단계에 따라 소정의 배송료를 산정하고, 대행업체 단말(310)로 현금배달금액을 금융 서버(100)의 계좌로 이체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며, 대행업체의 계좌로부터 현금배달금액이 금융 서버(100)의 계좌로 이체되면, 현금배달금액에서 산정한 소정의 배송료를 출금하여 대행업체의 계좌로 이체하고, 현금배달금액에서 소정의 배송료를 차감한 금액을 사용자의 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
금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단말의 번호, 사용자의 계좌번호, 비밀번호, 인증정보를 포함한 고객 정보 및 현금배달금액, 현금배달금액의 수령주소지를 포함한 현금배달정보를 수신하여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인증키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생성한 인증키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인증키는 대행업체의 배달원이 현금배달정보에 포함된 현금배달금액의 수령주소지에 도착하여 현금배달금액을 수취인에게 전달하는 과정에서 수취인이 올바른 수취인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대행업체의 배달원이 대행업체 단말(310)을 이용하여 금융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인증키의 입력을 수취인에게 요청하며, 대행업체 단말(310)은 수취인으로부터 입력된 인증키를 금융 서버(200)로 전송하고, 대행업체 단말(310)로부터 인증키를 수신한 금융 서버(200)는 수신한 인증키와 사용자에 상응하는 고객 정보에 대응하여 기저장된 인증키가 일치하는지를 비교함으로써 수취인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금융 서버(200)는 수취인에 대한 인증 결과, 사용자와 수취인이 동일하다고 확인하면, 현금배달금액을 배달하는 대행업체 배달원의 대행업체 단말(310)에 수취인에게 현금배달금액을 제공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만약, 금융 서버(200)는 수취인에 대한 인증 결과, 사용자와 수취인이 동일하지 않다고 확인하면, 현금배달금액을 배달하는 대행업체 배달원의 대행업체 단말(310)로 수취인에게 현금배달금액을 제공하지 않도록 지시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금융 서버(200)는 수취인에 대한 인증 결과, 사용자와 수취인이 동일하다고 확인하고, 대행업체 단말(310)로 수취인에게 현금배달금액을 제공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를 송신한 후, 대행업체 단말(310)로부터 수취인에게 현금배달을 완료하였음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수수료율에 따라 현금배달에 대한 수수료를 산정하여 산정한 수수료를 사용자의 동의를 얻어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출금할 수 있다.
금융 서버(200)는 대행업체 단말(310)로부터 수취인에게 현금배달을 완료하였음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사용자가 현금배달 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 사용자에게 부과할 수 있는 은행의 서비스 수수료 및 대행업체의 대행 수수료를 포함하는 현금배달 수수료를 산정하여 산정한 수수료를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출금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금융 서버(200)는 사용자가 현금배달 서비스를 신청하는 시점에 상술한 바와 같은 수수료율 및 향후 상기 수수료율을 적용한 수수료의 출금 예정을 공지할 수 있다. 수수료는 사용자가 요청하는 현금배달금액대별, 사용자의 신용도별, 사용자의 등급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책정된 수수료율을 적용하여 산정될 수 있다. 수수료율은 금융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가 요청하는 현금배달금액대별, 사용자의 신용도별, 사용자의 등급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책정되고, 이는 고정된 값은 아니며 변동될 수 있다.
표 1에서는 사용자의 현금배달 서비스 이용에 따른 수수료율에 대한 예를 나타내었다.
사용자 신용도 등급 현금배달금액 수수료율
김** 1등급 1,000,000원 3%
이** 2등급 1,000,000원 5%
박** 2등급 1,000,000원 7%
신** 1등급 1,000,000원 3%
설** 1등급 2,000,000원 4%
표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금융 서버(200)는 사용자가 요청하는 현금배달금액대별, 사용자의 신용도별, 사용자의 등급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수수료율을 책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용도는 ‘중’으로 동일하고 사용자가 요청하는 현금배달금액이 각각 1,000,000원, 2,000,000원인 경우에 각각 3%, 4%의 수수료율을 책정할 수 있으며, 신용도는 ‘중’으로 동일하더라도 등급이 각각 1등급, 2등급인 경우에는 각각 3%, 5%의 수수료율을 책정할 수 있다. 즉, 신용도가 동일하더라도 현금배달금액을 더 많이 요청하는 경우에 더 높은 수수료율을 책정할 수 있으며, 신용도가 동일하더라도 은행 내부의 고객 등급이 더 높은 경우에는 더 낮은 수수료율을 책정할 수 있다. 이점은 우량 고객에게 지속적으로 혜택을 주게 되므로 고객 충성도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금융 서버(200)는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출금한 수수료에서 대행업체의 대행 수수료를 정산하여 대행수수료를 에스크로 서버(400)의 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 이때, 대행업체의 대행 수수료는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출금한 수수료에서 은행의 서비스 수수료를 제한 금액으로, 은행과 대행업체 간의 협의를 통해 산정될 수 있다.
금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기설정된 기간 내에 현금배달금액을 수령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대행 수수료를 대행업체의 계좌로 이체하도록 에스크로 서버(400)로 지시할 수 있다. 이후, 금융 서버(200)는 에스크로 서버(400)로부터 대행업체의 계좌로 대행 수수료의 이체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대행업체 서버(300)는 금융 서버(200)와 통신하여 각종등록사항이나 현금배달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서 각종 데이터를 읽어서 현금배달을 수행하는 대행업체 배달원이 소지한 대행업체 단말(31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대행업체 서버(300)는 대행업체 단말(310)과 통신할 수 있다. 예컨대, 대행업체 서버(300)는 금융 서버(200)로부터 현금배달정보를 수신하면, 현금배달금액을 배달하는 대행업체의 배달원이 소지한 대행업체 단말(310)로 현금배달정보를 전송하여 현금배달정보를 토대로 현금배달금액을 배달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대행업체 서버(300)는 대행업체의 배달원이 대행업체 단말(310)을 이용하여 각종 등록사항을 등록할 수 있는 기능과, 금융 서버(200)로부터 현금배달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하는 기능과, 대행업체의 배달원의 현금배달 처리 상황을 등록할 수 있는 기능 및 대행업체의 계좌를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대행업체 단말(310)과 대행업체의 계좌 정보를 통합 관리할 수 있다.
대행업체 서버(300)는 금융 서버(200)로부터 현금배달정보를 수신하면, 대행업체의 배달원을 지정하는 단계, 지정된 배달원이 소지한 대행업체 단말(310)로 현금배달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지정된 배달원이 현금배달금액의 수령주소지로 이동하는 단계, 대행업체 단말(310)로부터 수령주소지에 도착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취인에 대한 인증을 위해 대행업체 단말(310)에 입력된 인증키를 수신하는 단계, 인증키를 금융 서버(200)에 전송하여 인증을 요청하여 수취인에 대한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수취인에 대한 인증 결과에 따라, 수취인에게 현금배달금액을 제공하도록 대행업체 단말(310)로 지시하는 단계, 배달원이 현금배달을 완료하는 단계 등으로 나누어 단계별 현금배달금액의 배달 처리 과정을 관리할 수 있다.
대행업체 서버(300)는 금융 서버(100)로부터 사용자의 현금배달 서비스 이용을 중도 취소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대행업체 서버(3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별 현금배달금액의 배달 처리 과정에 따라 소정의 배송료를 현금배달금액에서 차감하고 차감된 현금배달금액을 사용자의 계좌로 이체하거나, 금융 서버(200)로부터 이체된 현금배달금액의 원금을 금융 서버(100)의 계좌로 이체한 후 배송 단계에 따른 대가를 지불하도록 금융 서버(100)에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행업체 서버(300)가 대행업체의 배달원을 지정하는 단계에서 금융 서버(100)로부터 사용자의 현금배달 서비스 이용을 취소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배송료를 O원으로 설정하여 차감없이 현금배달금액을 그대로 사용자의 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
대행업체 서버(300)는 대행업체의 분실이나 사고로 현금배달금액을 기설정된 시간 내에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못한 경우, 금융 서버(200)로부터 금융 서버(200)의 계좌에 현금배달금액에 상응하는 보상금액을 이체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현금배달금액에 상응하는 보상금액을 금융 서버(200)의 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현금배달 서비스의 이용에 따른 불측의 사고에 대한 안심을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대행업체 서버(300)는 금융 서버(200)의 지시를 받은 에스크로 서버(400)에 의해 대행업체의 계좌로 이체된 대행 수수료를 확인할 수 있다. 대행 수수료는 배달원이 배달 업무를 수행한 대가로 지급받는 금액을 말하며, 이 금액은 대행업체의 계좌로 이체된다. 따라서, 대행업체는 직접 고객으로부터 대행 수수료를 수금하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대행업체 단말(310)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탑재하여 배달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더욱 정확한 현금배달금액의 수령지와 배달사원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며, 지도가 내장되어 자동으로 길안내를 해주는 네비게이션 시스템도 탑재하여 현금배달금액을 배달하는 배달원이 사용자가 요청한 현금배달금액의 수령지를 쉽게 찾아가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현금배달업무를 수행하는 대행업체 배달원은 대행업체 단말(310)을 통해 대행업체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현금배달정보에 포함된 현금배달금액의 수령지에 도착하여 사용자가 대행업체 단말(310)을 이용하여 금융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인증키의 입력을 수취인에게 요청하고, 입력된 인증키를 금융 서버(200)에 전송하여 수취인에 대한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대행업체 단말(310)은 금융 서버(200)의 수취인에 대한 인증 결과에 따라 현금배달금액을 수취인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에스크로 서버(400)는 통신망을 통해 금융 서버(200)와 통신하고, 금융 서버(200)에 의해 에스크로 서버(400)의 가상 계좌가 개설될 수 있다. 예컨대, 금융 서버(200)는 대행업체 단말(310)로부터 현금배달을 완료하였음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현금배달에 대한 수수료를 산정하여 수수료를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출금하고, 수수료에서 기설정된 소정의 은행 수수료를 제하고 남은 금액을 대행업체의 대행 수수료로 정산하여 에스크로 서버(400)의 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
에스크로 서버(400)는 금융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기설정된 기간 내에 사용자가 현금배달금액을 수령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였음을 확인하면, 대행업체의 계좌로 대행 수수료를 이체할 수 있다. 만약, 금융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기설정된 기간 내에 현금배달금액을 수령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였음을 확인하면, 에스크로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현금배달금액을 수령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에스크로 서버(400)의 가상 계좌에 입금된 대행 수수료를 대행업체의 계좌로 이체하는 것을 유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서버(2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서버(200)는 통신부(210), 제어부(220), 입력부(230) 및 저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금융 서버(200)는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는 단말에게 첨부된 도 7과 같은 현금배달 서비스 신청 관련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도 1의 100), 대행업체 서버(도 1의 300), 대행업체 단말(도 1의 310) 및 에스크로 서버(도 1의 4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도 1의 100)로부터 단말의 번호, 사용자의 계좌번호, 비밀번호, 인증정보를 포함한 고객 정보 및 현금배달금액, 현금배달금액의 수령주소지를 포함한 현금배달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인증정보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주민등록번호, 공인인증서 및 부가적인 신상정보(집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수신한 현금배달정보를 대행업체 서버(도 1의 300)로 전송하여, 현금배달정보를 토대로 현금배달금액을 배달하도록 대행업체 서버(도 1의 300)로 요청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대행업체 단말(도 1의 310)로부터 현금배달을 완료하였음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사용자 단말(도 1의 100)로부터 기설정된 기간 내에 현금배달금액을 수령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신할 수 있으며, 에스크로 서버(도 1의 400)로부터 대행업체 서버(도 1의 300)의 계좌로 대행 수수료 이체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통신부(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도 1의 100)로부터 수신한 현금배달정보에 포함된 현금배달금액을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출금하여 대행업체의 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사용자의 현금배달 서비스 이용에 대한 수수료를 산정하여 사용자의 계좌에서 수수료에 상응하는 금액을 출금할 수 있으며, 수수료로부터 기설정된 소정의 은행 수수료를 제하고 남은 금액을 대행 수수료로 정산하여 에스크로 서버(도 1의 400)의 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저장부(240)에 저장된 사용자가 요청하는 현금배달금액대별, 사용자의 신용도별, 사용자의 등급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각각 입력된 수수료율 및 은행 수수료를 참조하여 수수료를 산정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통신부(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도 1의 100)로부터 고객 정보 및 현금배달정보를 수신하면,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인증키를 생성하여 저장부(240)에 저장하고, 생성한 인증키를 사용자 단말(도 1의 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대행업체 단말(도 1의 310)로부터 수취인이 입력한 인증키를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하면, 수취인이 입력한 인증키와 고객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부(240)에 기저장된 사용자의 인증키가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수취인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결과, 사용자와 수취인이 동일하다고 확인하면, 대행업체 단말(도 1의 310)에 수취인에게 현금배달금액을 제공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만약, 인증 결과, 사용자와 수취인이 동일하지 않다고 확인하면, 대행업체 단말(도 1의 310)로 현금배달금액을 수취인에게 제공하지 않도록 지시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저장부(240)에 저장된 사용자가 요청하는 현금배달금액대별, 사용자의 신용도별, 사용자의 등급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각각 책정된 수수료율을 적용하여 사용자가 현금배달 서비스를 요청함에 따르는 수수료를 산정할 수 있다. 수수료는 은행이 현금배달금액을 제공하는 대가로 지급받는 금액인 은행 수수료와 대행업체의 배달원이 현금배달금액의 배달 업무를 수행하는 대가로 지급받는 금액인 대행 수수료를 합한 금액을 말한다. 수수료는 사용자의 동의를 얻어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출금될 수 있으며, 은행 수수료는 금융 서버(200)의 가상 계좌에 입금되고, 대행 수수료는 에스크로 서버(도 1의 400)의 계좌를 거쳐 대행업체 서버(도 1의 300)의 계좌로 입금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통신부(210)를 통해 대행업체 단말(도 1의 310)로부터 현금배달을 완료하였음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현금배달에 대한 수수료를 산정하여 수수료를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출금하고, 출금한 수수료에서 기설정된 소정의 은행 수수료를 제하고 남은 금액을 대행업체의 대행 수수료로 정산하여 에스크로 서버(도 1의 400)의 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 에스크로 서버(도 1의 400)의 계좌는 금융 서버(도 1의 200)에 의해 가상 계좌로 개설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통신부(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도 1의 100)로부터 기설정된 기간 내에 현금배달금액을 수령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대행 수수료를 대행업체의 계좌로 이체하도록 에스크로 서버(도 1의 400)로 지시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통신부(210)를 통해 대행업체 서버(도 1의 300)로부터 대행업체의 배송단계에 따른 소정의 배송료의 값을 수신하여 저장부(240)에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대행업체의 배송 단계는, 대행업체의 배달원을 지정하는 단계, 지정된 배달원이 소지한 대행업체 단말(도 1의 310)로 현금배달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지정된 배달원이 현금배달금액의 수령주소지로 이동하는 단계, 대행업체 단말(도 1의 310)로부터 수령주소지에 도착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취인에 대한 인증을 위해 대행업체 단말(도 1의 310)에 입력된 인증키를 수신하는 단계, 인증키를 금융 서버(도 1의 200)에 전송하여 인증을 요청하여 수취인에 대한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수취인에 대한 인증 결과에 따라, 수취인에게 현금배달금액을 제공하도록 대행업체 단말(310)로 지시하는 단계, 배달원이 현금배달을 완료한 단계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제어부(220)는 통신부(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도 1의 100)로부터 현금배달 서비스에 대한 이용을 취소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대행업체 서버(도 1의 300)에 요청하여 대행업체 단말(도 1의 310)부터 현금배달금액의 배송 단계를 확인하고, 확인된 현금배달금액의 배송 단계에 따른 소정의 배송료를 산정하며, 대행업체 단말(도 1의 310)로 현금배달금액을 금융 서버(도 1의 200)의 계좌로 이체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대행업체의 계좌로부터 현금배달금액이 금융 서버(도 1의 200)의 계좌로 이체되었음을 확인하면, 현금배달금액에서 현금배달금액의 배송 단계에 따른 소정의 배송료를 출금하여 대행업체의 계좌로 이체하고, 현금배달금액에서 소정의 배송료를 차감한 금액을 사용자의 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통신부(210)를 통해 대행업체 서버(도 1의 300) 또는 대행업체 단말(310)로부터 대행업체의 분실이나 사고로 현금배달금액을 기설정된 시간 내에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못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금융 서버(200)의 계좌로 현금배달금액에 상응하는 보상금액을 이체하도록 대행업체 서버(도 1의 300)로 지시하고, 현금배달금액에 상응하는 보상금액을 사용자의 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
입력부(230)는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버튼, 문자 입력을 위한 문자 버튼과 메뉴 선택 버튼 등을 구비하여 금융 서버(200)에 접속하는 은행 직원으로부터 키 또는 명령을 입력받는 키 입력 수단으로, 금융 서버(200)에 접속하는 은행 직원으로부터 수수료 산정을 위한 수수료율 및 은행 수수료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저장부(240)는 통신부(210)가 수신한 정보와 입력부(230)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저장하고, 기타 금융 서버(200)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정보 및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은행 직원으로부터 입력부(230)를 통해 입력된 수수료 산정을 위한 수수료율 및 은행 수수료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금배달 서비스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금배달 서비스 방법은 크게 3가지 과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금배달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 단말(도 1의 100)로부터 고객 정보 및 현금배달정보를 포함하는 현금배달 서비스에 대한 신청 정보를 수신하면 현금배달정보를 대행업체 서버(도 1의 300)에 전송하여 금융 서버로부터 이체된 현금배달금액을 현금배달정보를 토대로 배달하도록 대행업체 서버(도 1의 300)로 요청하는 제1단계인 현금배달 요청 과정(S300), 대행업체 단말(도 1의 310)로부터 수신한 수취인에 의해 입력된 인증키와 기저장된 인증키를 비교하여 인증 결과에 따라 현금배달금액을 수취인에게 전달하는 제2단계인 현금배달금액 전달 과정(S310), 사용자가 요청하는 현금배달금액대별, 사용자의 신용도별, 사용자의 등급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각각 미리 책정된 수수료율을 적용하여 수수료를 산정하는 제3단계인 현금배달 수수료 산정 과정(S320)으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금배달 요청 과정(S300)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상술한 현금배달 서비스 방법 중 제1단계인 현금배달 요청 과정(S300)에 대한 상세한 흐름도이다.
우선, 금융 서버(도 1의 200)는 첨부된 도 7과 같은 현금배달 서비스 신청 관련 인터페이스 화면(도 7의 700)을 접속한 사용자 단말(도 1의 100)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도 1의 100)로부터 고객 정보 입력 항목(도 7의 710)을 통해 입력된 고객 정보 및 현금배달 정보 입력 항목(도 7의 715)를 통해 입력된 현금배달정보를 포함하는 현금배달 서비스에 대한 신청 정보를 수신한다(S301). 여기서, 고객 정보는 단말의 번호, 사용자의 계좌번호, 비밀번호, 인증정보를 포함하고, 현금배달정보는 현금배달금액, 현금배달금액의 수령주소지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금융 서버(도 1의 200)는 사용자 단말(도 1의 100)로 소정의 현금배달 서비스 신청 관련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접속된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서 현금배달 서비스 신청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현금배달 서비스 신청 관련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시점에 사용자가 요청하는 현금배달금액대별, 사용자의 신용도별, 사용자의 등급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책정된 수수료율을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하고, 수수료율이 적용된 현금배달 서비스에 따른 수수료를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출금할 수 있음을 표시하여 미리 사용자에게 수수료 출금 예정을 알릴 수 있다.
단계 S301 이후에, 금융 서버(도 1의 200)는 단계 S301에서 사용자 단말(도 1의 100)로부터 수신한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인증키를 생성하여 저장한다(S302). 인증키는 사용자 단말(도 1의 100)로부터 수신한 고객 정보에 대응하여 금융 서버(도 1의 200))에 의해 생성된 식별가능한 정보로 도 5에서 도시된 현금배달금액 전달과정(S310)의 상세 흐름도에 있어서, 대행업체 배달원이 현금배달정보에 포함된 현금배달금액의 수령주소지에 도착하여 현금배달금액을 수취인에게 전달하는 과정에서 수취인이 올바른 수취인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상세한 설명은 도 5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단계 S302 이후에, 금융 서버(도 1의 200)는 단계 S301에서 생성한 인증키를 사용자 단말(도 1의 100)에 전달한다(S303). 이때, 사용자 단말(도 1의 100)은 금융 서버(도 1의 200)로부터 도 5에서 설명할 현금배달금액의 수령과정에서 필요한 수취인 인증을 위한 인증키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303 이후에, 금융 서버(도 1의 200)는 단계 S301에서 사용자 단말(도 1의 100)로부터 현금배달정보에 포함된 현금배달금액을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출금하여 대행업체의 계좌로 이체한다(S304). 여기서, 금융 서버(도 1의 200)는 사용자 단말(도 1의 100)에 사용자의 계좌에서 현달금액의 출금을 미리 알리고 사용자 단말(도 1의 100)로부터 동의를 얻어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현금배달금액을 출금할 수 있다.
단계 S304 이후에, 금융 서버(도 1의 200)는 단계 S301에서 사용자 단말(도 1의 100)로부터 수신한 현금배달금액, 현금배달금액의 수령주소지를 포함하는 현금배달정보를 대행업체 서버(도 1의 300)로 전송하여 현금배달을 요청한다(S305). 대행업체 서버(도 1의 300)는 금융 서버(도 1의 200)로부터 현금배달정보를 수신하면, 현금배달금액을 배달하는 대행업체의 배달원이 소지한 대행업체 단말(도 1의 310)로 현금배달정보를 전송하여 현금배달정보를 토대로 대행업체의 계좌에 이체된 현금배달금액을 배달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금배달금액 전달 과정(S310)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상술한 현금배달 서비스 방법 중 제2단계인 현금배달금액 전달 과정(S310)에 대한 상세한 흐름도이다.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대행업체 서버(도 1의 300)는 금융 서버(도 1의 200)로부터 사용자가 현금배달 서비스를 신청할 때 입력한 현금배달정보를 수신하면, 대행업체 단말(도 1의 300)을 소지한 대행업체의 배달원에게 현금배달정보에 포함된 현금배달금액의 수령주소지로 찾아가 수취인에게 대행업체의 계좌에 이체된 현금배달금액을 전달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이후, 대행업체 단말(도 1의 300)을 소지한 대행업체의 배달원은 현금배달정보에 포함된 현금배달금액의 수령주소지에 도착하여 수취인에게 현금배달금액을 전달하는 과정에 있어서, 현금배달금액을 제공할 올바른 수취인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대행업체 단말(도 1의 310)을 이용하여 금융 서버(도 1의 200)로부터 수신한 인증키의 입력을 수취인에게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수취인은 대행업체 단말(도 1의 300)을 이용하여 인증키를 입력하면, 대행업체 단말(도 1의 310)은 수취인으로부터 입력된 인증키를 금융 서버(도 1의 2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금융 서버(도 1의 200)는 대행업체 단말(도 1의 310)로부터 현금배달금액의 전달하는 과정에 있어서, 현금배달금액을 제공할 올바른 수취인인지에 대한 인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311). 그리고, 금융 서버(200)는 대행업체 단말(도 1의 310)로부터 수취인이 입력한 인증키를 수신하면(S312), 수신한 인증키와 사용자에 상응하는 고객 정보에 대응하여 기저장된 인증키를 비교한다(S313).
단계 S303 이후에, 금융 서버(도 1의 200)는 대행업체 단말(도 1의 300)로부터 수신한 수취인이 입력한 인증키와 사용자에 상응하는 고객 정보에 대응하여 기저장된 인증키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S314).
단계 S314에서의 확인 결과, 금융 서버(도 1의 200)는 수신한 인증키와 기저장된 인증키가 일치하다고 확인하면, 현금배달금액을 배달하는 대행업체 배달원의 대행업체 단말(도 1의 310)로 수취인에게 현금배달금액을 제공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S315). 금융 서버(도 1의 200)로부터 대행업체 단말(도 1의 310)을 통해 현금배달금액을 제공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대행업체 배달원은 수취인에게 현금배달금액을 전달할 수 있다.
만약, 단계 S314에서의 확인 결과, 금융 서버(도 1의 200)는 수신한 인증키와 기저장된 인증키가 일치하지 않다고 확인하면, 현금배달금액을 배달하는 대행업체 배달원의 대행업체 단말(도 1의 310)로 수취인에게 현금배달금액을 제공하지 않도록 지시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금배달 수수료 산정 과정(S320)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3에서 상술한 현금배달 서비스 방법 중 제3단계인 현금배달 수수료 산정 과정(S320)에 대한 상세한 흐름도이다. 도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현금배달금액을 제공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를 대행업체 단말(도 1의 310)을 통해 수신한 대행업체 배달원은 수취인에게 현금배달금액을 전달하고, 금융 서버(도 1의 200)로 수취인에게 현금배달을 완료하였음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금융 서버(도 1의 200)는 대행업체 단말(310)로부터 수취인에게 현금배달을 완료하였음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사용자가 현금배달 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 사용자에게 부과할 수 있는 은행의 서비스 수수료 및 대행업체의 대행 수수료를 포함하는 현금배달 수수료를 산정하여 산정한 수수료를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출금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
우선, 금융 서버(도 1의 200)는 대행업체 단말(도 1의 310)로부터 수취인에게 현금배달을 완료하였음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사용자가 현금배달 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 사용자에게 부과할 수 있는 은행의 서비스 수수료 및 대행업체의 대행 수수료를 포함하는 현금배달 수수료를 산정한다(S321). 이때, 현금배달 수수료는 사용자가 요청하는 현금배달금액대별, 사용자의 신용도별, 사용자의 등급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책정된 수수료율을 적용하여 산정될 수 있다.
단계 S321 이후에, 금융 서버(도 1의 200)는 단계 S321에서 산정된 수수료를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출금한다(S322). 이를 위하여 단계 S322 이전에 금융 서버(도 1의 200)는 미리 사용자 단말(도 1의 100)로 수수료율 및 수수료율을 적용한 수수료의 출금 예정을 공지하며, 사용자의 동의를 얻어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단계 S321에서 산정된 수수료를 출금할 수 있다.
단계 S322 이후에, 금융 서버(도 1의 200)는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출금한 수수료에서 대행업체의 대행 수수료를 정산하여 대행수수료를 에스크로 서버(도 1의 400)의 계좌로 이체한다(S333). 이때, 대행업체의 대행 수수료는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출금한 수수료에서 은행의 서비스 수수료를 제한 금액으로, 은행과 대행업체 간의 협의를 통해 산정되어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될 수 있다.
단계 S333 이후에, 금융 서버(도 1의 200)는 사용자 단말(도 1의 100)로부터 기설정된 기간 내에 현금배달금액을 수령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 확인한다(S334). 이때, 금융 서버(도 1의 200)는 현금배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도 1의 100)로 현금배달금액을 수령하였는지 확인하는 메시지를 수시로 전송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현금배달금액을 수령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응답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334에서의 확인 결과, 금융 서버(도 1의 200)가 사용자 단말(도 1의 100)로부터 기설정된 기간 내에 현금배달금액을 수령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금융 서버(도 1의 200)는 대행 수수료를 대행업체의 계좌로 이체하도록 에스크로 서버(도 1의 400)에 지시할 수 있다(S335). 단계 S335 이후에, 금융 서버(200)는 에스크로 서버(400)로부터 대행업체의 계좌로 대행 수수료의 이체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만약, 단계 S334에서의 확인 결과, 금융 서버(도 1의 200)가 사용자 단말(도 1의 100)로부터 기설정된 기간 내에 현금배달금액을 수령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였다면, 금융 서버(도 1의 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현금배달금액을 수령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에스크로 서버(도 1의 400)의 가상 계좌에 입금된 대행 수수료를 대행업체의 계좌로 이체하는 것을 유예할 것을 에스크로 서버(도 1의 400)에 요청할 수 있다.
만약, 단계 S334에서의 확인 결과, 금융 서버(도 1의 200)가 사용자 단말(도 1의 100)로부터 기설정된 기간 내에 현금배달금액을 수령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것이 대행업체의 현금배달금액의 분실이나 사고로 인한 것이라고 확인하면, 금융 서버(도 1의 200)는 대행업체 서버(도 1의 300)에 현금배달금액에 상응하는 보상금액을 금융 서버(도 1의 200)의 계좌로 이체할 것을 요청한다(S337). 보상금액은 사용자가 신청한 현금배달금액의 원금이 될 수 있으며, 현금배달금액에 사용자의 불편에 대한 보상 금액을 더한 금액일 수도 있다.
단계 S337 이후에, 금융 서버(도 1의 200)는 대행업체로부터 이체된 현금배달금액에 상응하는 보상금액을 현금배달 서비스를 신청한 사용자의 계좌에 이체할 수 있다(S338). 상술한 과정을 통해서 사용자는 현금배달 서비스의 이용에 따른 불측의 사고에 대한 안심을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 200 : 금융 서버
210 : 통신부 220 : 제어부
230 : 입력부 240 : 저장부
300 : 대행업체 서버 310: 대행업체 단말
400 : 에스크로 서버

Claims (19)

  1. 금융 서버의 현금배달 서비스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번호, 상기 사용자의 계좌번호, 비밀번호, 인증정보를 포함한 고객 정보 및 현금배달금액, 상기 현금배달금액의 수령주소지를 포함한 현금배달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현금배달정보에 포함된 현금배달금액을 상기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출금하여 대행업체의 계좌로 이체하는 단계;
    상기 현금배달정보를 대행업체의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현금배달정보를 토대로 상기 현금배달금액을 배달하도록 상기 대행업체의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대행업체의 단말로부터 상기 현금배달금액의 수취인에 대한 인증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현금배달금액의 수취인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현금배달금액의 수취인에 대한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현금배달금액의 수취인에게 상기 현금배달금액을 제공하도록 상기 대행업체의 단말로 지시하는 단계;
    상기 대행업체의 단말로부터 현금배달을 완료하였음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현금배달에 대한 수수료를 산정하여 상기 수수료를 상기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출금하는 단계;
    상기 수수료에서 대행업체의 대행 수수료를 정산하여 상기 대행 수수료를 에스크로 서버의 계좌로 이체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기설정된 기간 내에 상기 현금배달금액을 수령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대행 수수료를 상기 대행업체의 계좌로 이체하도록 상기 에스크로 서버로 지시하는 단계;
    상기 에스크로 서버로부터 상기 대행 수수료의 이체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현금배달 서비스방법.
  2. 금융 서버의 현금배달 서비스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번호, 상기 사용자의 계좌번호, 비밀번호, 인증정보를 포함한 고객 정보 및 현금배달금액, 상기 현금배달금액의 수령주소지를 포함한 현금배달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현금배달정보에 포함된 현금배달금액을 상기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출금하여 대행업체의 계좌로 이체하는 단계;
    상기 현금배달정보를 대행업체의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현금배달정보를 토대로 상기 현금배달금액을 배달하도록 상기 대행업체의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현금배달 서비스에 대한 이용을 취소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대행업체의 단말로부터 상기 현금배달금액의 배송 단계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된 현금배달금액의 배송 단계에 따른 소정의 배송료를 산정하는 단계;
    상기 대행업체의 단말로 상기 현금배달금액을 상기 금융 서버의 계좌로 이체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현금배달금액이 상기 금융 서버의 계좌로 이체되면, 상기 현금배달금액에서 상기 소정의 배송료를 출금하여 상기 대행업체의 계좌로 이체하고, 상기 현금배달금액에서 상기 소정의 배송료를 차감한 금액을 상기 사용자의 계좌로 이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현금배달 서비스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고객 정보 및 현금배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인증키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생성한 인증키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현금배달 서비스방법.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현금배달금액의 수취인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대행업체의 단말로부터 상기 현금배달금액의 수취인에 의해 입력된 인증키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인증키와 상기 고객 정보에 대응하여 기저장된 인증키가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배달 서비스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행업체의 단말로 지시하는 단계는,
    상기 현금배달금액의 수취인에 대한 인증 결과, 상기 사용자와 상기 현금배달금액의 수취인이 동일하다고 확인하면, 상기 대행업체의 단말에 상기 현금배달금액의 수취인에게 상기 현금배달금액을 제공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배달 서비스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금배달에 대한 수수료를 산정하여 상기 수수료를 상기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출금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가 요청하는 현금배달금액대별, 상기 사용자의 신용도별, 상기 사용자의 등급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수수료율을 각각 책정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현금배달 서비스방법.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현금배달에 대한 수수료를 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요청하는 현금배달금액대별, 상기 사용자의 신용도별, 상기 사용자의 등급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각각 미리 책정된 수수료율을 적용하여 상기 수수료를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배달 서비스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수료에서 상기 대행업체의 대행 수수료를 정산하여 대행수수료를 에스크로 결제 서버의 계좌로 이체하는 단계는,
    상기 수수료로부터 기설정된 소정의 은행 수수료를 제하고, 남은 금액을 상기 대행 수수료로 정산하여 상기 에스크로 서버의 계좌로 이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배달 서비스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기설정된 기간 내에 상기 현금배달금액을 수령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현금배달금액을 수령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대행 수수료를 상기 대행업체의 계좌로 이체하는 것을 유예하도록 상기 에스크로 서버로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현금배달 서비스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행업체의 분실이나 사고로 상기 현금배달금액을 기설정된 시간 내에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못한 경우에,
    상기 금융 서버의 계좌에 상기 현금배달금액에 상응하는 보상금액을 이체하도록 상기 대행업체의 서버로 지시하는 단계; 및
    상기 현금배달금액에 상응하는 보상금액을 상기 사용자의 계좌로 이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현금배달 서비스방법.
  11. 금융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의 단말, 대행업체의 서버, 대행업체의 단말, 에스크로 서버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수신한 현금배달정보에 포함된 현금배달금액을 상기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출금하여 대행업체의 계좌로 이체하고, 상기 사용자의 현금배달 서비스 이용에 대한 수수료를 산정하여 상기 사용자의 계좌에서 상기 수수료에 상응하는 금액을 출금하고, 상기 대행업체의 현금배달에 따른 소정의 대행 수수료를 정산하여 대행수수료를 에스크로 서버의 계좌로 이체하는 제어부;
    상기 수수료 산정을 위한 수수료율 및 은행 수수료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정보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수료율은 사용자가 요청하는 현금배달금액대별, 상기 사용자의 신용도별, 상기 사용자의 등급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각각 책정되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고객 정보 및 현금배달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인증키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생성한 인증키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서버.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행업체의 단말로부터 수신한 인증키와 고객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부에 기저장된 인증키가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수취인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결과, 상기 사용자와 상기 수취인이 동일하다고 확인하면, 상기 대행업체의 단말에 수취인에게 상기 현금배달금액을 제공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서버.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요청하는 현금배달금액대별, 상기 사용자의 신용도별, 상기 사용자의 등급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각각 미리 정해진 수수료율을 적용하여 상기 수수료를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서버.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대행업체의 단말로부터 현금배달을 완료하였음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현금배달에 대한 수수료를 산정하여 상기 수수료를 상기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출금하고, 상기 수수료에서 기설정된 소정의 은행 수수료를 제하고 남은 금액을 상기 대행업체의 대행 수수료로 정산하여 에스크로 서버의 계좌로 이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서버.
  16. 제11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기설정된 기간 내에 상기 현금배달금액을 수령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대행 수수료를 상기 대행업체의 계좌로 이체하도록 에스크로 서버로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서버.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현금배달 서비스에 대한 이용을 취소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대행업체의 배송단계에 따라 소정의 배송료를 상기 현금배달금액에서 차감하고 상기 차감된 현금배달금액을 상기 사용자의 계좌로 이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서버.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대행업체의 분실이나 사고로 상기 현금배달금액을 기설정된 시간 내에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못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금융 서버의 계좌로 상기 현금배달금액에 상응하는 보상금액을 이체하도록 상기 대행업체의 서버로 지시하고, 상기 현금배달금액에 상응하는 보상금액을 상기 사용자의 계좌에 이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서버.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 상기 대행업체의 서버, 상기 대행업체의 단말, 상기 에스크로 서버부터 수신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금융 서버.


KR1020140078098A 2014-06-25 2014-06-25 현금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683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098A KR101683338B1 (ko) 2014-06-25 2014-06-25 현금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098A KR101683338B1 (ko) 2014-06-25 2014-06-25 현금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671A true KR20160000671A (ko) 2016-01-05
KR101683338B1 KR101683338B1 (ko) 2016-12-06

Family

ID=55164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8098A KR101683338B1 (ko) 2014-06-25 2014-06-25 현금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3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041B1 (ko) * 2018-08-06 2019-02-01 주식회사케이티에스솔루션스 현금 수송을 위한 제어 방법
EA038037B1 (ru) * 2019-09-05 2021-06-28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Сбербанк России" (Пао Сбербанк)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оптимизации инкассаторск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объектов наличного денежного обращения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379A (ko) 2000-05-27 2001-12-07 김덕오 현금배달 서비스 방법
WO2002050731A1 (fr) * 2000-12-21 2002-06-27 Fujitsu Limited Systeme de livraison d'especes a domicile et procede de livraison d'especes a domicile
KR20030068823A (ko) * 2002-02-18 2003-08-25 박재선 전자 상거래에서의 신용/거래 보증방법
KR20110001203A (ko) * 2009-06-29 2011-01-06 전달용 배송확인을 통한 전자 상거래 매매 보호 방법 과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379A (ko) 2000-05-27 2001-12-07 김덕오 현금배달 서비스 방법
WO2002050731A1 (fr) * 2000-12-21 2002-06-27 Fujitsu Limited Systeme de livraison d'especes a domicile et procede de livraison d'especes a domicile
KR20030068823A (ko) * 2002-02-18 2003-08-25 박재선 전자 상거래에서의 신용/거래 보증방법
KR20110001203A (ko) * 2009-06-29 2011-01-06 전달용 배송확인을 통한 전자 상거래 매매 보호 방법 과 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041B1 (ko) * 2018-08-06 2019-02-01 주식회사케이티에스솔루션스 현금 수송을 위한 제어 방법
EA038037B1 (ru) * 2019-09-05 2021-06-28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Сбербанк России" (Пао Сбербанк)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оптимизации инкассаторск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объектов наличного денежного обращени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3338B1 (ko) 201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0915B1 (ko) 국내전용카드와 연계된 해외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카드사 서버
US201703232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ly transferring funds between persons
JP7247008B2 (ja) 第1のサーバの制御方法、端末の情報処理方法、第2のサーバ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第1のサーバ、端末、第2のサーバ
JP2019036169A (ja) スマートフォンを利用したキャッシュアウトシステム
US20130179334A1 (en) Prefunding for money transfer send transactions
US20130166453A1 (en) Virtual traveler's check
KR101683338B1 (ko) 현금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4351242B2 (ja) 現金支払システム、金融機関端末装置及び現金支払方法
KR102027403B1 (ko) 송금 기반 결제 처리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KR101864408B1 (ko) 입금자 구별 맵핑 시스템을 이용한 환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30006802A (ko) 외국통화 실물을 제공하는 환전 서비스 방법
KR101659372B1 (ko) 계좌 송금을 이용한 예금주 인증방식의 자동이체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46009A (ko) 해외송금방식을 이용한 환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62395A (ko) 금융자동화기기를 이용한 포인트 통합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040028017A (ko) 통합진료카드, 통합진료카드시스템 및 운용방법
KR20150019774A (ko) 카드 결제 처리 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
JP2006113816A (ja) 貯金口座自動引落システム
KR102345499B1 (ko) 해외송금방식을 이용한 환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2015153127A (ja) 物品提供システム、および登録データ管理サーバ
KR20080018580A (ko) 전자카드를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01980A (ko) 공용 가상 계좌 서비스를 이용한 금융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55291A (ko) 은행 서버 및 기부금 관리 서비스 방법
EP2746999A1 (en) Secured payment travel reservation system
KR20100098359A (ko) 개인 전자금고를 이용한 소액 결제 방법
JP2005092350A (ja) 公営競技情報システムおよびキャッシュレス投票/払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