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5291A - 은행 서버 및 기부금 관리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은행 서버 및 기부금 관리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5291A
KR20170055291A KR1020150158293A KR20150158293A KR20170055291A KR 20170055291 A KR20170055291 A KR 20170055291A KR 1020150158293 A KR1020150158293 A KR 1020150158293A KR 20150158293 A KR20150158293 A KR 20150158293A KR 20170055291 A KR20170055291 A KR 20170055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nation
account
information
server
don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8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은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은행
Priority to KR1020150158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5291A/ko
Publication of KR20170055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2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28One-time or temporary data, i.e. information which is sent for every authentication or authorization, e.g. one-time-password, one-time-token or one-time-ke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은행 서버 및 기부금 관리 서비스 방법이 개시된다. 여기서, 은행 서버는 기부금 계좌의 잔액 정보 및 기부자 별로 기부금 누적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기부금 계좌 정보를 저장하는 기부금 계좌 DB, 기부금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기부자가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포함된 기부금 계좌 조회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유효한지 확인하고, 유효하면, 상기 기부금 계좌 DB로부터 획득한 상기 기부금 계좌의 잔액 정보 및 상기 조회 요청한 기부자의 기부금 누적 금액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기부금 계좌 조회부를 포함하고, 상기 잔액 정보 및 상기 누적 금액 정보는,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기부자에게 제공된다.

Description

은행 서버 및 기부금 관리 서비스 방법{BANK SERVER AND CONTRIBUTION MANAGEMENT SERVICE METHOD}
본 발명은 은행 서버 및 기부금 관리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장을 활용하는 기부의 전형적인 형태는 집금 계좌번호를 공지하고 기부하고자하는 사용자가 자신의 계좌에서 집금 계좌로 송금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은 계좌에 기반하여 처리되는 형태라 즉시 결심을 하더라도 별도의 송금절차가 수반되어야 하므로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계좌이체를 하지 않는 방식으로서, 특정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게하고 전화요금에 기부금액을 가산하는 방식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기부를 위한 별도의 집금 계좌가 있어야 하거나 송금 또는 전화거는 행위를 해야만 기부를 할 수 있어 지속적 기부를 유도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부금을 모집하는 과정에서 부딪히는 가장 큰 난관 중의 하나가 기부금 처리의 투명성을 홍보하는 것인데 기부자들이 처리 결과를 확인하는 것은 상당한 노력이 수반되어야만 하고, 이러한 투명성 문제로 기부를 망설이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지속적 기부를 유도하고, 기부금 운용을 투명성을 보장할 수 있는 기부금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 서버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은행 서버는 기부금 계좌의 잔액 정보 및 기부자 별로 기부금 누적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기부금 계좌 정보를 저장하는 기부금 계좌 DB, 그리고 기부금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기부자가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포함된 기부금 계좌 조회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유효한지 확인하고, 유효하면, 상기 기부금 계좌 DB로부터 획득한 상기 기부금 계좌의 잔액 정보 및 상기 조회 요청한 기부자의 기부금 누적 금액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기부금 계좌 조회부를 포함하고, 상기 잔액 정보 및 상기 누적 금액 정보는,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기부자에게 제공된다.
상기 기부금 계좌에 기부금을 납부한 기부자의 단말로 일회용 비밀번호를 전송하는 기부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부금 계좌 조회부는, 상기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와 상기 기부 처리부가 전송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상기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의 유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기부 처리부는, 기부자가 사전에 지정한 상품 구매에 따른 결제 요청이 발생하면, 결제 요청 금액에 기 지정된 금액을 할증하여 결제 처리하고, 할증된 금액을 상기 기부금 계좌로 입금 처리하며, 일회용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가 포함된 결제 결과 메시지를 상기 기부자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기부금 정보 제공 서버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기부금 계좌 DB는,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에 등록된 기부금 집금을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계정과,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계정에 매핑된 상기 기부금 계좌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기부금 계좌 조회부는,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계정을 통해 기부자가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전달되면, 상기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유효한지 확인하고, 유효하면, 상기 잔액 정보 및 상기 누적 금액 정보를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잔액 정보 및 상기 누적 금액 정보는,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계정을 통해 상기 기부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부금 정보 제공 서버는 포털 서버 또는 모바일 앱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기부금 계좌 조회부는, 상기 포털 서버 또는 상기 모바일 앱 서버로부터 기부자가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전달되면, 상기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유효한지 확인하고, 유효하면, 상기 잔액 정보 및 상기 누적 금액 정보를 상기 포털 서버 또는 상기 모바일 앱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잔액 정보 및 상기 누적 금액 정보는, 상기 포털 서버 또는 상기 모바일 앱 서버가 제공하는 사용자 화면을 통해 상기 기부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기부금 집금을 위한 모바일 통장을 개설하는 기부금 계좌 개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부금 계좌 DB는, 상기 기부금 계좌 개설부가 개설한 모바일 통장 타입의 기부금 계좌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기부금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기부자가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포함된 기부금 계좌 해지 동의가 수신되면,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가 유효한지 확인하고, 유효하면, 상기 기부자의 해지 동의에 따라 상기 기부금 계좌 해지를 승인하는 기부금 계좌 해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부금 계좌 해지부는, 모든 기부자의 해지 동의 여부 및 사전에 협의된 해지 조건이 충족되면, 상기 기부금 계좌 해지를 승인할 수 있다.
상기 기부금 정보 제공 서버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기부금 계좌 DB는,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에 등록된 기부금 집금을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계정과,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계정에 매핑된 상기 기부금 계좌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기부금 계좌 해지부는,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계정으로 기부금 계좌 해지 공지를 요청하고,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계정을 통해 기부자가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포함된 상기 기부금 계좌 해지 동의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기부금 정보 제공 서버는 포털 서버 또는 모바일 앱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기부금 계좌 해지부는, 상기 포털 서버 또는 상기 모바일 앱 서버로 기부금 계좌 해지 공지를 요청하고, 상기 포털 서버 또는 상기 모바일 앱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 화면을 통해 기부자가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포함된 상기 기부금 계좌 해지 동의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부금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기부금 정보 제공 서버가 기부금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그래픽 이미지 형태의 기부금 조회 정보를 기부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부자 단말에서 상기 기부금 조회 정보를 클릭하면, 일회용 비밀번호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기부자 단말에서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포함된 기부금 조회 요청을 사전 제휴관계가 설정된 은행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유효한 경우, 상기 은행 서버로부터 기부금 잔액 정보 및 상기 기부자의 기부금 누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잔액 정보 및 상기 기부금 누적 정보를 상기 기부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부금 누적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이후, 상기 은행 서버의 요청에 따라 그래픽 이미지 형태의 기부금 해지 동의 요청 정보를 상기 기부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부자 단말에서 상기 기부금 해지 동의 요청 정보를 클릭하면, 일회용 비밀번호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부자 단말에서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포함된 기부금 해지 동의를 상기 은행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가 유효한 경우, 기부금 계좌가 해지될 수 있다.
상기 기부금 조회 정보를 기부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이전에, 그래픽 이미지 형태의 기부자 모집 정보를 상기 기부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부자 단말에서 상기 기부자 모집 정보를 선택하면, 결제 상품 및 기부금액의 지정을 요청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부자 단말에서 지정한 결제 상품 및 기부금액을 상기 은행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제 상품의 결제시 상기 기부금액을 할증하여 결제 처리된 후, 상기 기부금 조회에 필요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상기 기부자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기부금 정보 제공 서버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기부자 모집 정보를 상기 기부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이전에, 기부금 계정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부자 모집 정보, 상기 기부금 조회 정보 및 상기 기부금 해지 동의 요청 정보는, 상기 기부금 계정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부자 모집 정보, 상기 기부금 조회 정보 및 상기 기부금 해지 동의 요청 정보는, 상기 기부금 계정을 통해 배너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부금 정보 제공 서버는, 포털 서버 또는 모바일 앱 서버를 포함하고,상기 기부자 모집 정보, 상기 기부금 조회 정보 및 상기 기부금 해지 동의 요청 정보는, 포털 서비스 화면의 배너 또는 모바일 앱의 배너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부금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은행 서버가 기부금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기부금 계좌의 잔액 정보 및 기부자 별로 기부금 누적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기부금 계좌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기부금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기부자가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포함된 기부금 계좌 조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가 유효한지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유효하면, 상기 기부금 계좌의 잔액 정보 및 상기 조회 요청한 기부자의 기부금 누적 금액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잔액 정보 및 상기 누적 금액 정보는 상기 서버를 통해 기부자 단말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기부금 계좌에 기부금을 납부한 기부자의 단말로 일회용 비밀번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와 상기 전송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상기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의 유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기부자가 사전에 지정한 상품 구매에 따른 결제 요청이 발생하면, 결제 요청 금액에 기 지정된 금액을 할증하여 결제 처리하는 단계, 할증된 금액을 상기 기부금 계좌로 입금 처리하는 단계, 일회용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생성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포함된 결제 결과 메시지를 상기 기부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 상기 기부금 정보 제공 서버로 기부금 해지 동의를 요청하는 단계, 기부자의 단말로 일회용 비밀번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부금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기부자가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포함된 기부금 계좌 해지 동의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가 상기 전송한 일회용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비교하고, 일치하면, 상기 기부자의 해지 동의에 따라 상기 기부금 계좌 해지를 승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부금 정보 제공 서버는 기부자 모집, 기부금 계좌 조회 및 기부금 계좌 해지 동의를 기부금 계정을 통해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부금 정보 제공 서버는 기부자 모집, 기부금 계좌 조회 및 기부금 계좌 해지 동의를 배너를 통해 제공하는 포털 서버 또는 모바일 앱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부를 위한 통장번호나 전화번호를 기억할 필요없이 일상 생활에서 지속적으로 하는 소비 행위를 통해 기부를 유도할 수 있는 방식을 제공하고 집금 계좌를 당행의 계좌로 지정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부금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 서버 및 주변 구성 간의 연결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부금 기부금 관리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부금 기부금 관리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부금 기부금 관리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부금 기부금 관리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은행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행 서버 및 기부금 관리 서비스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부금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 서버 및 주변 구성 간의 연결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은행 서버(1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SNS(Social Network Sercice,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300) 및 기부자 단말(400)과 연결된다.
여기서, 은행 서버(100)는 기부금 계좌 DB(101), 기부금 계좌 개설부(103), 기부 처리부(105), 기부자 정보DB(107), 기부금 계좌 조회부(109) 및 기부금 계좌 해지부(111)를 포함한다.
기부금 계좌 DB(101)는 기부금 계좌의 잔액 정보 및 기부자 별로 기부금 누적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기부금 계좌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기부금 계좌는 예금주가 설정한 비밀번호가 존재하지 않는다. 기부금 계좌의 조회, 해지는 모두 후술할 일회용 비밀번호 인증을 통해 이루어진다. 물론, 계좌 잔액과 기부금을 공개하는 것에 대해서는 기부금 집금 단체와의 계약에 의해 사전 허락을 받는다고 가정한다.
이때, 기부금 계좌 DB(101)는 기부금 계좌 개설부(103)가 개설한 모바일 통장 타입의 기부금 계좌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기부금 계좌 DB(101)는 기부금 계좌의 잔액 정보 및 기부자 식별정보 별로 기부자가 지급한 기부금 누적 금액 정보를 저장한다.
기부금 계좌 개설부(103)는 기부금 집금을 위한 기부금 계좌를 개설하여 기부금 계좌 DB(101)에 저장한다. 이때, 기부금 집금을 위한 모바일 통장을 개설할 수 있다.
기부 처리부(105)는 SNS 서버(300)로부터 기부금 참가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기부자의 식별정보 및 기부금액 정보를 기부자 정보 DB(107)에 저장한다.
기부 처리부(105)는 기부금 계좌에 기부금을 납부한 기부자의 단말(400)로 일회용 비밀번호를 전송한다.
기부 처리부(105)는 기부자가 사전에 지정한 상품 구매에 따른 결제 요청이 발생하면, 결제 요청 금액에 기 지정된 금액을 할증하여 결제 처리한다.
예를 들면, 소비시 할증결제 방식은 SNS 기부금 계정에 "기부참여"등의 버튼을 선택하고 소비상품과 할증 금액을 지정하게 하는데, 가령 스타벅스 100원 등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스타벅스에서 5,000원짜리 아메리카노를 구매하면 5,100원이 결제되고 그 중 100원은 지정된 기부금 계좌로 집금된다.
기부 처리부(105)는 할증된 금액을 기부금 계좌로 입금 처리한다.
기부 처리부(105)는 일회용 비밀번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포함된 결제 결과 메시지를 기부자의 단말(400)로 전송한다.
기부자 정보 DB(107)는 기부자의 식별정보 별로 기부자가 지정한 기부금액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다.
또한, 기부자의 식별정보에는 소정의 마게팅 정보가 매핑될 수 있다. 마게팅 정보는 기부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기부를 위한 소비재를 판매한 회사로부터 일정액의 사은품 제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부자의 식별정보에는 당행과 거래가 없는 고객만을 대상으로 특정상품 가입에 대한 우대금리 제공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부자 정보는 은행의 금융상품과 연동할 수 있다.
기부금 계좌 조회부(109)는 SNS 서버(300)로부터 기부자가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포함된 기부금 계좌 조회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유효한지 확인한다.
이때, 기부금 계좌 조회부(109)는 상기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와 기부 처리부(105)가 전송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상기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의 유효 여부를 확인한다. 유효하면, 기부금 계좌 DB(101)로부터 획득한 기부금 계좌의 잔액 정보 및 조회 요청한 기부자의 기부금 누적 금액 정보를 SNS 서버(3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잔액 정보 및 누적 금액 정보는 SNS 서버(300)를 통해 기부자 단말(400)로 제공된다.
기부금 계좌 해지부(111)는 기부금 계좌 해지 요청이 발생하면, 기부자 정보 DB(107)를 확인하여 기부자들의 단말로 각각의 일회용 비밀번호를 전송한다. 이때, 전송은 SMS 또는 푸쉬 메시지 형태로 할 수 있다.
이후, SNS 서버(300)로부터 기부자가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포함된 기부금 계좌 해지 동의가 수신되면,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가 전송한 일회용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유효한지 확인한다. 유효하면, 기부자의 해지 동의에 따라 기부금 계좌 해지를 승인한다. 이때, 기부금 계좌 해지부(111)는 모든 기부자의 해지 동의 여부 및 사전에 협의된 해지 조건이 충족되면, 기부금 계좌 해지를 승인할 수 있다.
통상 계좌 해지는 통장실물과 본인 신분증과 인장 또는 사인을 제출하고 비밀번호를 핀패드로 입력하여야 하지만, 기부금 계좌를 기부자들이 알지 못하는 사이에 부당하게 해지하는 것을 막기 위해 기부금 계좌 해지부(111)는 해지절차를 기부금 계정 등에서 동의하도록 하고 동의 조건을 충족한 경우에 한해 기부금 계좌의 해지를 허용한다.
또한, 해지가능한 동의수준은 참여 고객과의 동의에 의해 정하거나 동의 간주 조건을 설정하여 사전에 동의받는 절차를 둘 수도 있다.
SNS 서버(300)는 기부금 정보 제공 서버로서, 기부금 집금을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계정을 생성한다.
SNS 서버(300)는 기부금 계정을 통해 기부금 참가 모집 정보, 기부금 조회 정보, 기부금 해지 동의 요청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기부금 참가 모집 정보, 기부금 조회 정보, 기부금 해지 동의 요청 정보는 배너 형태일 수 있다.
기부금 정보 제공 서버가 SNS 서버(300)일 경우, 기부금 계좌 DB(101)는 SNS 서버(300)에 등록된 기부금 계정과, 상기 기부금 계정에 매핑된 기부금 계좌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기부금 정보 제공 서버는 SNS 서버(300)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부금 정보 제공 서버는 포털 서버 또는 모바일 앱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포털 서버는 포털 메인 화면 또는 기부금 전용 화면을 통해 기부금 참가 모집 정보, 기부금 조회 정보, 기부금 해지 동의 요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배너 형태일 수도 있다.
기부자 단말(400)은 일회용 비밀번호를 수신하는 단말, 기부금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로서, 일회용 비밀번호를 수신하는 단말과 기부금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은 같을 수도 있지만, 다를 수도 있다.
기부자 단말(400)은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제, 전술한 구성에 기초하여 기부금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실시예 별로 설명하고, 도 1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이때, 기부금 정보 제공 서버는 SNS 서버(300)로 기재하였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것처럼, 포털 서버 또는 모바일 앱 서버 등이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부금 기부금 관리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SNS 서버(300)는 기부 사연 및 기부금 사용 목적이 명시된 기부금 계정을 생성한다(S101).
은행 서버(100)의 기부금 계좌 개설부(103)는 S101 단계에서 생성된 기부금 계정과 매핑된 기부금 계좌를 개설한다(S103).
SNS 서버(300)는 기부금 계정을 통해 기부 참여 버튼을 제공하고, 기부자가 기부 참여 버튼을 클릭(S105)하면, 소비 상품 및 할증 금액을 지정하도록 요청하여 지정받는다(S107). 그리고 지정된 정보, 즉 기부자 정보 및 지정 정보(소비 상품 정보 및 할증 금액)를 은행 서버(100)로 전송한다(S109).
은행 서버(100)의 기부 처리부(105)는 S109 단계에서 수신한 기부자 정보를 기부자 정보DB(107)에 저장한다(S111).
이후, 은행 서버(100)의 기부 처리부(105)는 S111 단계에서 저장된 지정된 소비 상품의 결제 요청이 발생하면(S113), 결제 금액에 지정된 금액을 할증(115)하여 결제 처리한다. 그리고 할증 금액을 기부금 계좌에 입금 처리한다(S117).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부금 기부금 관리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은행 서버(100)의 기부 처리부(105)는 지정된 소비 상품의 결제 처리가 완료되면(S201), 기부금 계좌 조회를 위한 일회용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저장한다(S203). 그리고 결제 결과 메시지에 S203 단계에서 생성한 일회용 비밀번호를 포함시켜 기부자의 단말(400)로 전송한다(S205).
SNS 서버(300)는 기부자가 기부금 배너를 클릭(S207)하면, 일회용 비밀번호 입력을 요청하여 입력받는다(S209). 그리고 입력받은 일회용 비밀번호가 포함된 기부금 조회 요청을 은행 서버(100)로 전송한다(S211). 이때, 기부자 식별정보 및 일회용 비밀번호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기부자 식별정보는 휴대폰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은행 서버(100)의 기부 처리부(105)는 S211 단계에서 기부금 조회 요청에 포함된 일회용 비밀번호가 S205 단계에서 전송한 일회용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비교하여 유효 여부를 판단한다(S213).
이때, 일치하지 않으면,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비밀번호 인증 오류를 SNS 서버(300)로 전송한다(S215).
SNS 서버(300)는 비밀번호 인증 오류 메시지를 기부자의 단말(400)로 출력한다(S217).
한편, S213 단계에서 일치하면, 기부금 계정에 매핑된 기부금 계좌의 잔액을 조회(S219)하고, 기부자 식별정보에 매핑된 기부자 누적 금액을 조회(S221)한다. 그리고 S219 단계 및 S221 단계에서 조회한 정보를 SNS 서버(300)로 전송한다(S223).
그러면, SNS 서버(300)는 S223 단계에서 수신한 기부금 잔액 및 누적 금액을 기부자의 단말(400) 화면에 출력한다(S225).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부금 기부금 관리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은행 서버(100)의 기부금 계좌 해지부(111)는 기부금 계좌 해지 정보를 SNS 서버(300)로 전송한다(S301).
SNS 서버(300)는 기부금 계정을 통해 기부금 계좌 해지를 공지한다(S303).
은행 서버(100)의 기부금 계좌 해지부(111)는 해지 동의를 위한 일회용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저장한다(S305). 이때, 기부금 계정과 매핑된 기부자 정보를 기부자 정보DB(107)로부터 확인하여 모든 기부자를 위한 각각의 일회용 비밀번호를 복수개 생성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일회용 비밀번호는 기부자 식별정보와 매핑될 수 있다.
은행 서버(100)의 기부금 계좌 해지부(111)는 S305 단계에서 생성한 일회용 비밀번호를 기부자의 단말(400)로 전송한다(S307).
이후, SNS 서버(300)는 기부자의 단말(400)에서 해지 동의 버튼이 클릭(S309)되면, 기부자에게 일회용 비밀번호 입력을 요청하여 입력받는다(S311). 그리고 입력받은 일회용 비밀번호를 포함한 기부금 해지 동의를 은행 서버(100)로 전송한다(S313).
은행 서버(100)의 기부금 계좌 해지부(111)는 S313 단계에서 수신한 일회용 비밀번호와 S307 단계에서 전송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유효 여부를 판단한다(S315).
이때, 유효하지 않으면, 비밀번호 인증 오류를 SNS 서버(300)로 전송(S317)하고, 기부자 해지 불동의로 계수하거나 또는 기부금 계좌 해지를 불허할 수 있다.
한편, 유효하면, 기부자 해지 동의로 간주한다(S319).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부금 기부금 관리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부금 계좌 해지부(111)는 도 4의 S313 단계에서 기부자들의 해지 동의가 모두 수집(S401)되면, 사전에 정해진 해지 조건이 충족되는지 판단한다(S403). 이때, 충족되면, 기부금 계좌를 해지한다(S405).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은행 서버의 개략적인 도면으로,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 기부금 계좌 DB(101), 기부금 계좌 개설부(103), 기부 처리부(105), 기부자 정보DB(107), 기부금 계좌 조회부(109) 및 기부금 계좌 해지부(111)의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6을 참고하면, 은행 서버(500)는 프로세서(501), 메모리(503), 적어도 하나의 저장장치(505), 입출력(input/output, I/O) 인터페이스(507)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09)를 포함한다.
프로세서(501)는 중앙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나 기타 칩셋,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메모리(503)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램버스 DRAM(rambus DRAM, RDRAM), 동기식 DRAM(synchronous DRAM, SDRAM), 정적 RAM(static RAM, SRAM) 등의 RAM과 같은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 장치(505)는 하드디스크(hard disk),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CD-RW(CD rewritable), DVD-ROM(digital video disk ROM), DVD-RAM, DVD-RW 디스크, 블루레이(blue-ray) 디스크 등의 광학디스크, 플래시메모리, 다양한 형태의 RAM과 같은 영구 또는 휘발성 저장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I/O 인터페이스(507)는 프로세서(501) 및/또는 메모리(503)가 저장 장치(505)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09)는 프로세서(501) 및/또는 메모리(503)가 네트워크(20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501)는 기부금 계좌 개설부(103), 기부 처리부(105), 기부금 계좌 조회부(109) 및 기부금 계좌 해지부(111)의 기능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메모리(503)에 로드하고, 기부금 계좌 DB(101), 기부자 정보DB(107)의 기능을 저장 장치(505)에 위치시켜서, 도 1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503) 또는 저장장치(505)는 프로세서(501)와 연동하여 기부금 계좌 개설부(103), 기부 처리부(105), 기부금 계좌 조회부(109) 및 기부금 계좌 해지부(111)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프로세서(501), 메모리(503), 저장장치(505), I/O 인터페이스(507)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09)는 하나의 컴퓨터에 구현될 수도 있으며 또는 복수의 컴퓨터에 분산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2)

  1. 기부금 계좌의 잔액 정보 및 기부자 별로 기부금 누적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기부금 계좌 정보를 저장하는 기부금 계좌 DB, 그리고
    기부금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기부자가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포함된 기부금 계좌 조회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유효한지 확인하고, 유효하면, 상기 기부금 계좌 DB로부터 획득한 상기 기부금 계좌의 잔액 정보 및 상기 조회 요청한 기부자의 기부금 누적 금액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기부금 계좌 조회부를 포함하고,
    상기 잔액 정보 및 상기 누적 금액 정보는,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기부자에게 제공되는 은행 서버.
  2. 제1항에서,
    상기 기부금 계좌에 기부금을 납부한 기부자의 단말로 일회용 비밀번호를 전송하는 기부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부금 계좌 조회부는,
    상기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와 상기 기부 처리부가 전송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상기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의 유효 여부를 확인하는 은행 서버.
  3. 제2항에서,
    상기 기부 처리부는,
    기부자가 사전에 지정한 상품 구매에 따른 결제 요청이 발생하면, 결제 요청 금액에 기 지정된 금액을 할증하여 결제 처리하고, 할증된 금액을 상기 기부금 계좌로 입금 처리하며, 일회용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가 포함된 결제 결과 메시지를 상기 기부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은행 서버.
  4. 제2항에서,
    상기 기부금 정보 제공 서버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기부금 계좌 DB는,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에 등록된 기부금 집금을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계정과,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계정에 매핑된 상기 기부금 계좌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기부금 계좌 조회부는,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계정을 통해 기부자가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전달되면, 상기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유효한지 확인하고, 유효하면, 상기 잔액 정보 및 상기 누적 금액 정보를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잔액 정보 및 상기 누적 금액 정보는,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계정을 통해 상기 기부자에게 제공되는 은행 서버.
  5. 제2항에서,
    상기 기부금 정보 제공 서버는 포털 서버 또는 모바일 앱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기부금 계좌 조회부는,
    상기 포털 서버 또는 상기 모바일 앱 서버로부터 기부자가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전달되면, 상기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유효한지 확인하고, 유효하면, 상기 잔액 정보 및 상기 누적 금액 정보를 상기 포털 서버 또는 상기 모바일 앱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잔액 정보 및 상기 누적 금액 정보는,
    상기 포털 서버 또는 상기 모바일 앱 서버가 제공하는 사용자 화면을 통해 상기 기부자에게 제공되는 은행 서버.
  6. 제2항에서,
    기부금 집금을 위한 모바일 통장을 개설하는 기부금 계좌 개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부금 계좌 DB는,
    상기 기부금 계좌 개설부가 개설한 모바일 통장 타입의 기부금 계좌 정보를 저장하는 은행 서버.
  7. 제2항에서,
    기부금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기부자가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포함된 기부금 계좌 해지 동의가 수신되면,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가 유효한지 확인하고, 유효하면, 상기 기부자의 해지 동의에 따라 상기 기부금 계좌 해지를 승인하는 기부금 계좌 해지부
    를 더 포함하는 은행 서버.
  8. 제7항에서,
    상기 기부금 계좌 해지부는,
    모든 기부자의 해지 동의 여부 및 사전에 협의된 해지 조건이 충족되면, 상기 기부금 계좌 해지를 승인하는 은행 서버.
  9. 제8항에서,
    상기 기부금 정보 제공 서버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기부금 계좌 DB는,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에 등록된 기부금 집금을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계정과,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계정에 매핑된 상기 기부금 계좌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기부금 계좌 해지부는,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계정으로 기부금 계좌 해지 공지를 요청하고,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계정을 통해 기부자가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포함된 상기 기부금 계좌 해지 동의를 수신하는 은행 서버.
  10. 제8항에서,
    상기 기부금 정보 제공 서버는 포털 서버 또는 모바일 앱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기부금 계좌 해지부는,
    상기 포털 서버 또는 상기 모바일 앱 서버로 기부금 계좌 해지 공지를 요청하고, 상기 포털 서버 또는 상기 모바일 앱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 화면을 통해 기부자가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포함된 상기 기부금 계좌 해지 동의를 수신하는 은행 서버.
  11. 기부금 정보 제공 서버가 기부금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그래픽 이미지 형태의 기부금 조회 정보를 기부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부자 단말에서 상기 기부금 조회 정보를 클릭하면, 일회용 비밀번호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기부자 단말에서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포함된 기부금 조회 요청을 사전 제휴관계가 설정된 은행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유효한 경우, 상기 은행 서버로부터 기부금 잔액 정보 및 상기 기부자의 기부금 누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잔액 정보 및 상기 기부금 누적 정보를 상기 기부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부금 관리 서비스 방법.
  12. 제11항에서,
    상기 기부금 누적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이후,
    상기 은행 서버의 요청에 따라 그래픽 이미지 형태의 기부금 해지 동의 요청 정보를 상기 기부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부자 단말에서 상기 기부금 해지 동의 요청 정보를 클릭하면, 일회용 비밀번호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부자 단말에서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포함된 기부금 해지 동의를 상기 은행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가 유효한 경우, 기부금 계좌가 해지되는 기부금 관리 서비스 방법.
  13. 제12항에서,
    상기 기부금 조회 정보를 기부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이전에,
    그래픽 이미지 형태의 기부자 모집 정보를 상기 기부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부자 단말에서 상기 기부자 모집 정보를 선택하면, 결제 상품 및 기부금액의 지정을 요청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부자 단말에서 지정한 결제 상품 및 기부금액을 상기 은행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제 상품의 결제시 상기 기부금액을 할증하여 결제 처리된 후, 상기 기부금 조회에 필요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상기 기부자 단말로 전송되는 기부금 관리 서비스 방법.
  14. 제13항에서,
    상기 기부금 정보 제공 서버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기부자 모집 정보를 상기 기부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이전에,
    기부금 계정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부자 모집 정보, 상기 기부금 조회 정보 및 상기 기부금 해지 동의 요청 정보는,
    상기 기부금 계정을 통해 제공되는 기부금 관리 서비스 방법.
  15. 제14항에서,
    상기 기부자 모집 정보, 상기 기부금 조회 정보 및 상기 기부금 해지 동의 요청 정보는,
    상기 기부금 계정을 통해 배너 형태로 제공되는 기부금 관리 서비스 방법.
  16. 제13항에서,
    상기 기부금 정보 제공 서버는, 포털 서버 또는 모바일 앱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기부자 모집 정보, 상기 기부금 조회 정보 및 상기 기부금 해지 동의 요청 정보는,
    포털 서비스 화면의 배너 또는 모바일 앱의 배너를 통해 제공되는 기부금 관리 서비스 방법.
  17. 은행 서버가 기부금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기부금 계좌의 잔액 정보 및 기부자 별로 기부금 누적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기부금 계좌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기부금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기부자가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포함된 기부금 계좌 조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유효한지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유효하면, 상기 기부금 계좌의 잔액 정보 및 상기 조회 요청한 기부자의 기부금 누적 금액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잔액 정보 및 상기 누적 금액 정보는 상기 서버를 통해 기부자 단말로 제공되는 기부금 관리 서비스 방법.
  18. 제17항에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기부금 계좌에 기부금을 납부한 기부자의 단말로 일회용 비밀번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와 상기 전송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상기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의 유효 여부를 확인하는 기부금 관리 서비스 방법.
  19. 제18항에서,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기부자가 사전에 지정한 상품 구매에 따른 결제 요청이 발생하면, 결제 요청 금액에 기 지정된 금액을 할증하여 결제 처리하는 단계,
    할증된 금액을 상기 기부금 계좌로 입금 처리하는 단계,
    일회용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생성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포함된 결제 결과 메시지를 상기 기부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부금 관리 서비스 방법.
  20. 제18항에서,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
    상기 기부금 정보 제공 서버로 기부금 해지 동의를 요청하는 단계,
    기부자의 단말로 일회용 비밀번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부금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기부자가 입력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포함된 기부금 계좌 해지 동의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가 상기 전송한 일회용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비교하고, 일치하면, 상기 기부자의 해지 동의에 따라 상기 기부금 계좌 해지를 승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기부금 관리 서비스 방법.
  21. 제20항에서,
    상기 기부금 정보 제공 서버는 기부자 모집, 기부금 계좌 조회 및 기부금 계좌 해지 동의를 기부금 계정을 통해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 서버를 포함하는 기부금 관리 서비스 방법.
  22. 제20항에서,
    상기 기부금 정보 제공 서버는 기부자 모집, 기부금 계좌 조회 및 기부금 계좌 해지 동의를 배너를 통해 제공하는 포털 서버 또는 모바일 앱 서버를 포함하는 기부금 관리 서비스 방법.
KR1020150158293A 2015-11-11 2015-11-11 은행 서버 및 기부금 관리 서비스 방법 KR201700552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293A KR20170055291A (ko) 2015-11-11 2015-11-11 은행 서버 및 기부금 관리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293A KR20170055291A (ko) 2015-11-11 2015-11-11 은행 서버 및 기부금 관리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291A true KR20170055291A (ko) 2017-05-19

Family

ID=59049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8293A KR20170055291A (ko) 2015-11-11 2015-11-11 은행 서버 및 기부금 관리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52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432B1 (ko) * 2022-10-04 2023-06-22 강인구 후원금 관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432B1 (ko) * 2022-10-04 2023-06-22 강인구 후원금 관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20715C2 (ru) Система проведения денежных транзакций
US10860992B2 (en) Method of remitting/receiving payment using messenger server
US10242351B1 (en) Digital wallet for groups
US20150127527A1 (en) Payment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20160086179A1 (en) Shared Electronic Wallet With Permissions
KR20140099676A (ko) Qr 코드를 이용한 즉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59932A (ko) 송금 및/또는 결제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장치-판독가능한 매체
AU20142512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device financing
US10176464B2 (en) Point of sale device leveraging a payment unification service
US11386413B2 (en) Device-based transaction authorization
US20200273022A1 (en) Card-less transaction systems and techniques
KR20140099814A (ko) Qr 코드를 이용한 즉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JP6667010B2 (ja) モバイルプリペイドカードのサービスシステム、そのクローンカード保存装置及びサービス方法
KR101871312B1 (ko) 미성년자결제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027403B1 (ko) 송금 기반 결제 처리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US20220198440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Generating a Token for a User Based on Another Token of Another User
KR20170127770A (ko) 사이버 머니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55291A (ko) 은행 서버 및 기부금 관리 서비스 방법
KR20200055439A (ko) 셀러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EP38398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account transaction information
KR101889360B1 (ko) 모바일 결제 방법, 이를 수행하는 모바일 결제 단말, 이를 수행하도록 하는 결제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130006802A (ko) 외국통화 실물을 제공하는 환전 서비스 방법
KR20210043267A (ko) 모바일 기반의 대금 수납 대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56317B1 (ko) 폰빌 카드를 이용한 소액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289829B1 (ko) 카드 정보 보호 및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