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5499B1 - 해외송금방식을 이용한 환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외송금방식을 이용한 환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5499B1
KR102345499B1 KR1020210003295A KR20210003295A KR102345499B1 KR 102345499 B1 KR102345499 B1 KR 102345499B1 KR 1020210003295 A KR1020210003295 A KR 1020210003295A KR 20210003295 A KR20210003295 A KR 20210003295A KR 102345499 B1 KR102345499 B1 KR 102345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ry
withdrawal
user terminal
terminal
curr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3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8445A (ko
Inventor
윤형운
Original Assignee
(주)캐시멜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캐시멜로 filed Critical (주)캐시멜로
Priority to KR1020210003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499B1/ko
Publication of KR20210048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6Software aspects at ATM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환전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a) 제 1 국가의 통신사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환전 신청을 수신하면, 환전 신청에 대응하는 송금요청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b) 송금요청정보에 따라 결제가 완료되었음이 확인되면,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가상 지갑을 생성하여 제 1 국가의 통화를 제2국가 통화로 환전 된 금액을 예치하는 단계; (c) 제 2 국가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 2 국가의 금전에 대한 출금 신청을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에 대한 가상지갑의 잔액을 확인한 후, 인출식별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d) 제 2 국가에서, 출금대상객체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입력정보와 인출식별정보가 대응하는 경우, 출금대상객체를 통해 제2국가의 화폐로 예치된 금액 내에서 사용자 단말이 신청한 환전금액의 출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출금대상객체는 제 2 국가의 가맹점 단말 또는 제 2 국가의 ATM (Automated Teller Machine) 단말을 의미하는 것이고, 인출식별정보는 OTP(One Time Password) 정보, 바코드, QR코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이고,가상지갑은 제 1 국 은행서버의 제 1 국 메인계좌 및 제 2 국 은행서버의 제 2 국 메인계좌와 연동되어, 예치된 제 1 국가의 금전은 제 1 국 메인계좌로 전송되고, 출금신청된 금전은 제 2 국 메인계좌로부터 출금된다.

Description

해외송금방식을 이용한 환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FOREIGN CURRENCY EXCHANGE SERVICES BASED ON NET EXCHANGE DEMAND BETWEEN COUNTRIES}
본 발명은 해외송금 방식을 이용한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타 국가의 통화로 된 은행계좌를 보유하지 않더라도, 타 국가에서 저렴한 수수료를 통해 상기 타 국가의 통화에 대한 환전이나 출금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수단이 발달함에 따라, 해외로 여행을 떠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에 따라, 자신이 방문하는 국가에서 사용할 금전에 대한 환전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해외여행은 불확실성이 높기 때문에 여행자들은 여전히 현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저가항공의 발달로 가격민감도가 높은 18-34세의 여행자 비중이 높아지면서 인터넷 상 환전에 대한 정보 교류 또한 활발해지고 있다.
하지만, 여행객들은 낯선 장소에서 현금이 부족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넉넉한 금액을 환전함에 따라, 평균적으로 여행객 중 80%는 여행 이후 외화가 남는다고 한다. 환전한 금액에 따라 수수료가 결정되기에 넉넉한 금액을 환전하는 것은 여행객에게 불필요한 수수료를 지출하게 한다.
또한, 여행 중 현금이 부족한 경우, 현지에서 추가로 환전을 수행할 수 있는 수단이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많은 여행객들이 글로벌 ATM이나 호텔 등에서 비싼 수수료를 지불하여 추가 환전을 수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 밖에도 종래의 환전 서비스는 비주류 화폐에 대한 환전 서비스 제공 은행이 제한적이고, 그에 대한 우대 사항이 거의 없다는 한계점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해외송금방식을 이용한 환전서비스로 여행자가 현지 국가에서 사용되는 통장이 없더라도 금전에 대한 환전 및 환전된 금전에 대한 인출이 가능한 서비스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환전 서비스를 통해, 타 국가의 통화로 된 은행계좌를 보유하고 있지 않더라도 저렴한 환전 수수료로 시간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환전할 수 있는 환경의 조성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환전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a) 제 1 국가의 통신사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환전 신청을 수신하면, 환전 신청에 대응하는 송금요청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b) 송금요청정보에 따라 결제가 완료되었음이 확인되면,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가상 지갑을 생성하여 제 1 국가의 통화를 제2국가 통화로 환전된 금액을 예치하는 단계; (c) 제 2 국가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 2 국가의 금전에 대한 출금 신청을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에 대한 가상지갑 잔액을 확인한 후, 인출식별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d) 제 2 국가에서, 출금대상객체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입력정보와 인출식별정보가 대응하는 경우, 출금대상객체를 통해 상기 제 2 국가의 화폐로 예치된 금액 내에서 사용자 단말 가상지갑에 사용자 단말이 신청한 환전금액의 출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출금대상객체는 제 2 국가의 가맹점 단말 또는 제 2 국가의 ATM (Automated Teller Machine) 단말, 현금지급이 가능한 오프라인 창구를 의미하는 것이고, 인출식별정보는 OTP(One Time Password) 정보, 바코드, QR코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이고, 가상지갑은 제 1 국 은행서버의 제 1 국 메인계좌 및 제 2 국 은행서버의 제 2 국 메인계좌와 연동되어, 송금요청정보에 대응하는 결제 방식으로 결제된 제 1 국가의 금전은 제 1 국 메인계좌로 전송되고, 출금신청된 금전은 제 2 국 메인계좌로부터 출금될 수 있다.
또한, (a) 단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환전 대상이 되는 제 2 국가의 정보, 및 사용자가 입금할 제 1 국가의 통화의 액수를 수신하는 단계; 기 설정된 환율을 기초로 제 2 국가의 통화 기준으로 한 환전가능액수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제 1 국가의 시중은행 환율에 근거한 환전가능액수와 기 설정된 환율에 근거한 환전가능액수를 비교할 수 있는 비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환전 신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기 설정된 환율은 기 설정된 환전수수료를 고려하여 산출된 것으로서, 제 1 국가의 시중은행 환전수수료보다 저렴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환전 대상이 되는 제2 국가의 식별정보 및 사용자가 입금할 제1국가의 통화의 액수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 2 국가의 통화의 금액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환율에 따라 변환된 제 1 국가의 금액이 환전 신청 금액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될 수 있다.
또한, (c) 단계 이전에 사용자 단말로 환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제 2 국가의 출금대상객체들의 위치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단계를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출금대상객체가 ATM 단말인 경우, (c) 단계는, 출금 신청을 수신함에 따라, 제 2 국가의 ATM 협력사 서버로 인출식별정보 발급요청을 한 후, ATM 협력사 서버로부터 수신한 인출식별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d) 단계는, 사용자가 입력한 인출식별정보를 ATM 단말이 ATM 협력사 서버로 전달함에 따라 인출식별정보 인증이 완료되었다는 메시지를 ATM 협력사 서버로부터 수신한 경우 가상 지갑에서 사용자 단말이 신청한 제 2 국가의 통화의 금액을 차감하고, ATM 단말에서 제 2 국가의 통화의 출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출금대상객체가 제 2 국가의 가맹점 단말인 경우, (c) 단계는, 출금 신청을 수신함에 따라, 인출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로 인출식별정보를 전송하는 것이고, (d) 단계는, 가맹점 단말로부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된 인출식별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인출식별정보 인증이 완료된 경우, 인증완료 메시지를 가맹점 단말로 전송하고, 가상 지갑에서 사용자 단말이 신청한 제 2 국가의 통화의 금액을 차감될 수 있다.
또한, (d) 단계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인출식별정보를 가맹점 단말이 인식함에 따라, 가맹점 단말로부터 인출식별정보를 수신될 수 있다.
또한, 환전서비스 제공하기 위한 메인 서버에 있어서, 환전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환전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프로세서는 제 1 국가의 통신사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환전 신청을 수신하면, 환전 신청에 대응하는 송금요청정보를 제공하고, 송금요청정보에 결제가 완료되었음이 확인되면,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지갑을 생성하여 제 1 국가의 통화를 제2국가 통화로 환전 된 금액을 예치하고, 제 2 국가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 2 국가의 금전에 대한 출금 신청을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에 대한 가상지갑 잔액을 확인한 후, 인출식별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제 2 국가에서, 출금대상객체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입력정보와 인출식별정보가 대응하는 경우, 출금대상객체를 통해 제2국가의 화폐로 예치된 금액 내에서 사용자 단말이 신청한 환전금액의 출금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출금대상객체는 제 2 국가의 가맹점 단말 또는 제 2 국가의 ATM (Automated Teller Machine) 단말을 의미하는 것이고, 인출식별정보는 OTP(One Time Password) 정보, 바코드, QR코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이고, 가상지갑은 상기 제 1 국 은행서버의 제 1 국 메인계좌 및 제 2 국 은행서버의 제 2 국 메인계좌와 연동되어, 송금요청정보에 대응하는 결제 방식으로 결제된 제 1 국가의 금전은 제 1 국 메인계좌로 전송되고, 출금신청된 금전은 제 2 국 메인계좌로부터 출금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여행자의 자국에 보유하고 있는 은행계좌를 통해 자국에서 환전하거나, 해외에서 출금하는 방식으로 서비스가 제공되어 오고 있다. 즉, 금전을 입금한 루트와 출금하는 루트가 자국의 은행계좌라는 매개체로 통일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경우, 은행의 환전수수료가 개입될 수밖에 없고 소비자는 이를 지불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계좌송금이나 카드결제, 펌뱅킹 등 다양한 방식으로 금전의 입금이 가능하도록 하고, 입금한 루트와 다른 루트(해외의 ATM단말이나 가맹점 등)를 통해 해외에서 출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과정에서 은행의 환전수수료가 개입되는 것을 제거하고, 본 발명의 서비스운영주체가 수수료 등에 대한 운영정책을 수립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자들에게 시중 은행보다 더 저렴한 수수료의 환전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는 데에 큰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서비스 운영주체가 해당 국가의 가상계좌의 역할을 제공함으로써, 타 국가의 현지 은행계좌를 보유하고 있지 않더라도, 현지에서 환전 및 출금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이러한 환전 과정에서 종래의 환전 방식보다 저렴한 환전 수수료나 우대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며, 여행지에서도 시간에 얽매이지 않고 가까운 ATM단말 및 가맹점 검색을 통해 자유롭게 환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전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계좌를 이용한 환전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계좌를 이용한 환전 신청을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금대상객체가 ATM 단말일 경우 출금이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금대상객체가 가맹점 단말일 경우 출금이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범위의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전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은 메인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제 1 국 은행서버(300) 및 출금대상객체(40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 상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각각의 구성 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은 메인 서버(100)로 환전 신청을 수행하고, 메인 서버(100)는 환전 신청에 대응하는 송금요청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한 후, 송금요청정보에 대응하는 결제가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송금요청정보를 제공하고 결제가 이루어졌는지 확인하는 과정은 사용자 단말(200)의 가상지갑에 환전신청 할 금액을 송금하는 과정을 뜻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과정은 송금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제 1 국가에 소속된 제 1 국 은행 서버(300)가 생성하는 가상계좌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는 방식, 메인 서버(100)가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해 기 생성한 계좌를 사용자 단말(200)로 직접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금전을 입금 받는 일반 송금 방식, 펌뱅킹 방식 등과 같이 은행계좌로 입금하는 모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정은 결제할 금액을 제시하고 다양한 수단으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휴대전화결제나 카드결제 방식, 가상화폐기반의 결제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예에서 서술되지는 않았으나, 서비스의 구현 방법이나 환경에 맞게 적용될 수 있는 다른 방식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원명세서는 발명의 원활한 설명을 위해 가상계좌를 이용하는 방식을 대표적인 예로 대응시켜 설명하도록 한다. 따라서,본 발명의 범위는 가상계좌를 이용하는 방식만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송금요청정보에 대응하는 방법을 통해 환전을 원하는 제 1 국가의 금전이 결제되면, 메인 서버(100)가 이를 인식 후 가상 지갑을 생성하여 입금된 제 1 국가의 통화를 제 2 국가의 통화로 환전하여 예치하게 된다.
이때, 환전에 필요한 기 설정된 값의 금전이 사용자로부터 입금되지 않는다면, 메인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주어진 금액에 대한 입금을 거부한다는 입금 거부 메시지를 전달하고, 송금요청정보에 대응하는 결제 방식으로 입금된 제 1 국가의 금전을 환불할 수도 있다. 이는 메인 서버(100)가 환전에 유효한 금액이 일치할 때에만 입금 완료에 대한 승인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1달러의 금전을 원화로 환전하기 위해 1200원을 필요로 하지만, 사용자가 1000원 또는 2000원과 같이 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적합한 원화를 입금하지 않으면, 메인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경고 메시지 등을 제공하고, 잘못된 환전 작업이 진행되지 않도록 막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가상지갑이란 각각의 사용자 단말(200, 혹은 사용자의 개별식별정보)과 연동되고, 복수의 사용자가 각각 입금한 제 1 국가의 통화에 대한 구분을 수행하기 위해 생성되는 가상의 지갑을 뜻할 수 있다.
또한, 가상지갑은 제 1 국 은행서버(300)의 제 1 국 메인계좌 및 도면 상에 도시되지 않은 제 2 국 은행서버의 제 2 국 메인계좌와 연동되어 있고, 송금요청정보에 대응하는 결제 방식으로 결제된 제 1 국가의 금전은 제 1 국 메인계좌로 전송되고, 출금 신청된 금전은 제 2 국 메인계좌로부터 출금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가 제 1 국가의 통화를 가상계좌에 1200원만큼 입금하면, 가상 지갑에서는 특정 사용자와 매핑되어 제 2 국가의 통화를 1달러만큼 예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호간의 제 1 및 제 2 국가의 금전이 입금 또는 인출되기 위해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최소한의 금전이 제 1 및 제 2 메인계좌에 예치되어 있어야 한다.
이후, 제 2 국가를 방문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제 2 국가의 금전에 대한 출금 신청을 메인 서버(100)로 요청하면, 메인 서버(100)는 인출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게 된다.
이때, 선택적 실시예로, 메인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가상 지갑의 잔액을 확인하는 작업을 거칠 수 있다.
또한, 인출식별정보는 OTP(One Time Password) 정보, 바코드, QR코드 중 어느 하나를 뜻할 수 있다.
또한, 인출식별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이 메인 서버(100)로 환전 신청을 수행한 이후 환전 신청에 대응하여 인출식별정보가 생성되는 것이다.
추가 실시예로, 상기 인출식별정보는 기 설정된 시간이 흐르거나, 인출에 사용된 경우 다시 사용할 수 없으며, 만료된 인출식별정보에 대해서는 사용자 단말(200)이 메인 서버(100)로 새롭게 인출식별정보를 요청해야만 한다.
사용자 단말(200)로 인출식별정보를 제공된 이후, 메인 서버(100)는 제 2 국가의 출금대상객체(400)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입력정보와 인출식별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만약, 두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출금대상객체(400)를 통해 가상지갑에 예치된 환전금액을 잔액 내에서 사용자 단말(200)이 신청한 제 2 국가의 통화의 출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확인이 끝나는 경우, 가상 지갑에 기 예치된 제 2국가의 통화 단위로 표기된 환전금액만큼 출금대상객체(400)로부터 제 2 국가의 현지 화폐로 금전을 출금 받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환전 신청을 수신 및 입금된 제 1 국가의 금전을 제2국가의 화폐로 환전하여 가상 지갑에 예치하고, 반대로 출금 신청을 수신하면 인출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 후 출금대상객체(4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입력정보와 비교하여 제2국가의 화폐단위로 예치된 환전금액(환전증표)이 출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은 제 1 국가의 통신사에 등록되어, 환전을 수행하게 되는 사용자의 단말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메인 서버(100)로 환전 신청을 수행하고, 제 1 국가의 금전을 입금하기 위한 계좌번호를 수신하게 된다. 또한, 출금 신청을 메인 서버(100)로 요청하는 경우, 그에 대한 인출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밖에도 입금된 제 1 국가의 금전이 제 2 국가의 금전으로 얼마만큼 환전되는지 혹은 시중 은행보다 환전 수수료를 얼마나 할인 받게 되는지 등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때, 환전서비스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200)에 내장된 어플리케이션이거나,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200)이 휴대용 단말기의 일종인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할 수 있는 단말에 대해서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면, PDA,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 핸드폰의 임의의 형태,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팅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국 은행서버(300)는 제 1 국가에 위치하여,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소속된 제 1 국가의 통화를 관리하는 은행이 소유한 서버를 뜻할 수 있다.
이때, 제 1 국 은행서버(300)는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 1 국 메인계좌를 관리하고, 메인 서버(100)와 기 연계된 송금요청방식에 따라 제 1 국 메인계좌에 사용자가 결제한 제 1 국가의 금전을 예치하게 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송금요청방식이 가상계좌에 대응하는 경우, 제 1 국 은행서버(300)는 메인 서버(100)로 가상계좌 발급 규칙을 사전에 제공하여, 메인 서버(100)가 가상계좌정보의 생성을 주도할 수 있다.
또한, 도면 상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 2 국 은행서버는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제 2 국 메인계좌를 관리하고, 메인 서버(100) 또는 출금대상객체(400)로부터 출금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제 2 국가의 금전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출금대상객체(400)는 제 2 국가의 가맹점 단말 또는 제 2 국가의 ATM (Automated Teller Machine) 단말을 의미할 수 있으며, 사용자(사용자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제 2 국가의 금전을 출금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출금대상객체(4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된 인출식별정보를 사용자의 입력정보로서 입력 받아, 메인 서버(100)로 전달하게 된다.
이후, 메인 서버(100)로부터 출금 지시가 내려지는 경우, 출금대상객체(400)가 구현된 형태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 2 국가의 금액을 제공하게 된다(이때, 출금대상객체(400)가 ATM 단말인 경우, ATM 협력사 서버가 제 2 국가의 금액에 대한 출금 지시를 수행하게 된다.).
예컨대, 출금대상객체(400)가 ATM 단말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제 2 국 메인계좌에 기 예치된 제 2 국가의 금전을 직접 출금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하지만, 가맹점 단말의 소유주(제 2 국가에 위치하여, 제 2 국가의 금전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가게 등)가 제 2 국가의 금전을 제공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가맹점이 소유한 제 2 국가의 금전을 인출금액만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구매하려는 물건의 값에 차감할 수 있으며, 이후 제 2 국 메인계좌에 예치된 금액을 사용자에게 제공된 제 2 국가의 금전만큼 가맹점으로 지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통신망은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200), 제 1 국 은행서버(300) 및 출금대상객체(4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통신망은 사용자 단말(200), 제 1 국 은행서버(300) 및 출금대상객체(400)가 서버(100)에 접속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통신망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서버(100)는 통신 모듈(110), 메모리(120), 프로세서(130) 및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한다.
상세히, 통신 모듈(110)은 통신망과 연동하여 메인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제 1 국 은행서버(300) 및 출금대상객체(400)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나아가, 통신 모듈(110)은 사용자 단말(200), 제 1 국 은행서버(300) 및 출금대상객체(400)로부터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모듈(110)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20)는 환전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또한, 프로세서(13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메모리(12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3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환전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체 과정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30)가 수행하는 각 단계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환전 신청에 대응하는 가상 계좌 및 가상 지갑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출금 신청을 수신할 시,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되는 인출식별정보를 임시로 저장하고, 출금대상객체(4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입력정보와 비교하게 된다.
또한, 추가 실시예로 사용자의 개별식별정보 또는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환전(또는 거래)을 수행한 데이터를 로그 기록의 형태로 남길 수 있다.
비록 도 2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환전 신청에 대응하는 가상 계좌 및 가상 지갑 데이터 중 일부는 데이터베이스(140)와 물리적 또는 개념적으로 분리된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계좌를 이용한 환전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환전 신청 수신 및 제 1 국 은행서버(300)로 가상계좌의 생성을 요청한다(S310).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메인 서버(100)는 제 1 국가의 통신사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환전 신청을 수신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 1 국가에 소속된 은행인 제 1 국 은행서버(300)로 환전 신청에 대응하는 가상계좌의 생성을 요청하게 된다.
이때, 환전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제 1 국가의 금전이 기 예치된 제 1 국 메인계좌를 필요로 하며, 단계(S310)에서 생성되는 가상 계좌는 제 1 국 메인계좌와 연동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메인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가상계좌 전달 및 제 1 국가의 통화 입금 시, 가상 지갑에 환전된 제 2 국가의 통화를 생성 및 예치한다(S320).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메인 서버(100)는 단계(S310)에서 제 1 국 은행서버(300)에 개설된 가상계좌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하게 된다.
이후, 메인 서버(100)는 사용자로부터 가상계좌를 통해 환전되길 원하는 제 1 국가의 통화가 입금되면, 해당 사용자 단말(200)에 대응하는 가상 지갑을 생성하여 제2국가의 화폐로 환전된 외화(환전증표)를 예치하게 된다.
이때, 단계(S310) 내지 단계(S320)에 해당하는 출금 신청이 수행되는 과정은 후술할 도 4를 통해 더 설명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메인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출금 신청 수신하고, 인출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한다(S330).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 2 국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메인 서버(100)가 제 2 국가의 금전에 대한 출금 신청을 수신받으면, 메인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가상지갑의 잔액을 확인한 후, 인출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게 된다.
환전 서비스의 마지막 단계로, 메인 서버(100)는 출금대상객체(400)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정보 수신하고, 입력정보와 인출식별정보의 대조 후 제2국가의 화폐로 예치된 금액의 출금을 허용한다(S340).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메인 서버(100)는 제 2 국가에 위치한 출금대상객체(400)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입력정보는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된 인출식별정보 또는 그에 대응하는 정보를 뜻하게 된다.
따라서, 출금대상객체(400)는 현장에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직접 인출식별정보를 수신하거나 출금대상객체(400)의 관리자가 입력정보를 직접 입력하여 입력정보를 메인 서버(100)에 전달하게 된다.
메인 서버(100)는 입력정보가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된 인출식별정보와 대응하는 경우, 출금대상객체(400)를 통해 가상지갑에 제2국가의 화폐로 예치된 금액을 사용자 단말(200)이 신청한 금액만큼 출금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환전된 외화를 수령할 수 있는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단계(S330) 내지 단계(S340)에 해당하는 출금 신청이 수행되는 과정은 후술할 도 5 및 도 6을 통해 추가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계좌를 이용한 환전 신청을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환전 신청을 처리하는 과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200)은 메인 서버(100)로 환전 신청을 요청한다(S401).
이때, 메인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환전 대상이 되는 제 2 국가의 정보 및 사용자가 입금할 제 1 국가의 통화의 액수에 대한 정보를 환전 신청 정보로서 수신하게 된다.
또한, 메인 서버(100)는 기 설정된 환율에 기초하여 제 2 국가의 통화 기준으로 한 환전가능액수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200)은 환전가능액수를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표시하게 된다.
또한, 제 1 국가의 시중은행 환율에 근거한 환전가능액수와 기 설정된 환율에 근거한 환전가능액수를 비교할 수 있는 비교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비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신이 환전 서비스를 통해 얼마만큼의 환전수수료를 아끼게 되는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기 설정된 환율은 기 설정된 환전수수료(환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비스를 제공 주체가 설정한 수수료)를 고려하여 산출된 것이다. 따라서, 기 설정된 환율은 제 1 국가의 시중은행 환전수수료보다 저렴하게 측정되거나, 더 비싸지만 프리미엄 서비스가 부가되는 등 사용자에게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환전 서비스의 이용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환전 대상이 되는 제2 국가의 정보 및 사용자가 입금할 제1국가의 통화의 액수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메인 서버(100)는 제 2 국가의 통화의 금액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환율에 따라 변환된 제 1 국가의 금액이 환전 신청 금액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 사용자가 제 1 국가의 금전을 입금 시, 입금된 금액이 제 2 국가의 통화로 환전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값 이하의 금전이 입금되거나, 환전 과정에서 환전에 필요한 최소 값 이하의 금전이 남기게 된다면, 메인 서버(100)는 이를 인지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제 1 국가의 금전에 대한 추가적인 입금 요청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율을 원화(1200원) - 달러(1달러)로 가정하고 사용자가 2천원을 가상계좌로 입금하게 되는 경우, 메인 서버(100)는 2달러의 환전에 필요한 400원의 추가 입금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환전 신청을 수신한 메인 서버(100)는 제 1 국 은행서버(300)로 가상계좌를 신청한다(S402).
이때, 메인 서버(100)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 1 국의 금전이 기 예치된 제 1 메인계좌를 필요로 하며, 제 1 국 은행서버(300)는 제 1 메인계좌에 연동되어 제 1 국가의 금전을 예치하기 위해 필요한 가상계좌를 생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 1 국 은행서버(300)는 가상계좌를 생성하여 메인 서버(100)로 전달하고, 이를 수신한 메인 서버(100)도 상기 가상계좌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한다(S403).
이때, 가상계좌는 메인 서버(100)를 거쳐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될 수 있지만, 제 1 국 은행서버(300)가 사용자 단말(200)로 직접 가상계좌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상계좌에 관한 정보를 제 1 국 은행서버(300)로부터 수신한 메인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200)로 알릴 수 있으나, 이러한 과정을 생략하고 제 1 국 은행서버(300)가 가상계좌를 생성함과 동시에 직접 사용자 단말(200)로 가상계좌에 관한 정보를 알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 1 국 은행 서버(300)는 메인 서버(100)로 가상계좌 입금 정보를 제공한다(S404).
사용자는 가상계좌를 통해 자신이 환전하길 원하는 제 1 국가의 금전을 제 1 국 메인계좌로 입금해야만 한다. 이후, 메인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조작 여부나 제 1 국 은행서버(300)로부터 입금이 완료되었음을 인지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 등을 통해 사용자가 제 1 국가의 화폐로 표기된 금전이 제2국가의 화폐로 표기된 금전으로 환전되었음을 인지해야만 한다.
마지막으로 메인 서버(100)는 가상 지갑을 생성하고, 제2국가 화폐로 환전 된 금액을 예치한다(S405).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금대상객체가 ATM 단말일 경우 출금이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출금대상객체(400)가 ATM 단말인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메인 서버(100)로 인출 신청을 제공한다(S501).
출금 신청을 수신한 메인 서버(100)는 ATM 협력사 서버로 인출식별정보의 발급을 요청한다(S502).
다음으로 ATM 협력사 서버가 인출식별정보의 생성 후 메인 서버(100)로 제공하면(S503), 메인 서버(100)는 이를 사용자 단말(200)에도 제공한다(S504).
ATM 협력사 서버가 ATM 단말로부터 인출식별정보를 수신하면(S505), 인출식별정보가 올바른지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S506), 인출식별정보 확인 결과를 ATM 단말로 제공한다(S507).
또한, 추가 실시예로, ATM 단말로부터 잘못된 인출식별정보를 수신하면, ATM 협력사 서버는 ATM 단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인출식별정보가 잘못되었음을 알리는 오류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으며, 인출식별정보를 새롭게 갱신하여 인증을 수행하라는 메시지를 함께 전달할 수 있다.
단계(S507) 이후, 사용자는 ATM 단말을 통해 제 2 국가의 금전을 출금 받게 된다(S508).
또한, ATM 단말로부터 제 2 국가의 금전 출금이 완료되었다는 인출완료 정보를 ATM 단말이 ATM 협력사 서버로 제공하고(S509), ATM 협력사 서버는 인출완료 정보를 메인 서버(100)로 제공하게 된다(S510).
마지막으로, 메인 서버(100)는 가상 지갑에 예치된 금액에서 출금되는 액수만큼 차감하게 된다(S511).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금대상객체가 가맹점 단말일 경우 출금이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출금대상객체(400)가 가맹점 단말인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메인 서버(100)로 인출 신청을 제공한다(S601).
메인 서버(100)는 인출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게 된다(S602).
이후, 가맹점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수신하면(S603), 가맹점 단말은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메인 서버(100)로 제공하게 된다(S604).
이때,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인출식별정보를 가맹점 단말이 인식하여, 인출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입력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예컨대, 인출식별정보가 바코드나 QR코드인 경우 가맹점 단말과 연동된 스캐너로 이를 인식 할 수 있다.
메인 서버(100)는 수신된 입력정보와 인출식별정보를 비교하는 인증작업을 수행하고(S605), 인증이 완료되면 인증완료 메시지를 가맹점 단말로 제공하게 된다(S606).
이때, 인증완료 메시지는 어떤 사용자에게 제 2 국가의 금전을 인출해야 되는지 식별할 수 있는 정보 및 얼마만큼의 제 2 국가의 금전을 제공해야 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이후, 가맹점 단말의 관리자는 제 2 국가의 금전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S607), 인출완료 정보를 가맹점 단말을 통해 메인 서버(100)로 전달하게 된다(S608).
마지막으로, 메인 서버(100)는 가상 지갑에 예치된 금액에서 출금되는 액수만큼 차감하여 단계를 마무리하게 된다(S609).
추가 실시예로, 단계(S609) 이후, 사용자에게 제 2 국가의 금전을 지급한 가맹점은 추후 제 2 국 메인계좌로부터 사용자에게 출금하여 제공된 금액만큼 제 2 국가의 금전을 보상받게 된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 단계(S501) 및 단계(S601) 이전에, 메인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환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제 2 국가의 출금대상객체(400)들의 위치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 인터페이스가 제공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 검색 인터페이스는 지도의 형태로 주어지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 위치한 출금대상객체(400)의 위치를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자신이 이동할 수 있는 출금대상객체(400)의 아이콘을 입력하면 현재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에서 선택된 출금대상객체(400)의 위치까지 경로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출금대상객체(400)의 위치까지의 경로안내는 구글맵과 같은 지도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메인 서버 200: 사용자 단말
300: 제 1 국 은행서버 400: 출금대상객체

Claims (7)

  1. 메인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환전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a) 제 1 국가의 통신사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환전 신청을 수신하면, 상기 환전 신청에 대응하는 송금요청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송금요청정보에 따라 결제 또는 송금이 완료되었음이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가상 지갑에 상기 제 1 국가의 통화가 제2국가 통화로 환전 된 금액을 예치하고, 결제 또는 송금된 금액이 상기 송금요청정보에 포함된 환전에 필요한 기 설정된 금액과 다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입금거부메시지를 전달하고 상기 결제 또는 송금된 금액을 환불하는 단계;
    (c) 제 2 국가에 위치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 2 국가의 금전에 대한 출금 신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가상지갑의 잔액을 확인한 후, 인출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 2 국가에 위치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출금대상객체로 소정의 입력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상기 출금대상객체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입력정보와 상기 인출식별정보가 대응하는 경우, 상기 출금대상객체를 통해 상기 제2국가의 화폐로 예치된 금액 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신청한 환전금액의 출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출금대상객체로서, 제 2 국가의 가맹점 단말 및 제 2 국가의 ATM (Automated Teller Machine) 단말이 사용되고, 상기 제 2 국가의 가맹점 단말은 제 2 국가에 위치하여 제 2 국가의 금전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가게의 단말이며, 상기 제 2 국가의 ATM단말은 상기 제 2 국가에 위치한 단말이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된 인출식별정보는 OTP(One Time Password) 정보, 바코드, QR코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이고, 상기 출금 신청에 대응하여 생성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이 흐르거나 인출에 이미 사용되어 만료된 경우 출금에 활용할 수 없는 것이고,
    상기 가상지갑은 제 1 국 은행서버의 제 1 국 메인계좌와 연동되며, 상기 예치된 제2국가 통화에 대응하는 제 1 국가 통화의 금전은 상기 제 1 국 메인계좌로 수집되며, 상기 제 2 국가에서 출금된 금전은 제 2 국 메인계좌로부터 출금되고,
    상기 (c)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 환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제 2 국가의 상기 출금대상객체들의 위치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금대상객체가 ATM 단말인 경우,
    상기 (c) 단계는,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인출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며,
    상기 (d)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ATM 단말에 입력한 입력정보를 상기 메인 서버가 수신하면, 상기 (c) 단계에서 생성한 인출식별정보와 상기 ATM단말로부터 수신한 입력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ATM 단말을 통해 출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출금대상객체가 상기 제 2 국가의 가맹점 단말인 경우,
    상기 (d) 단계는 상기 소정의 입력정보가 바코드나 QR코드인 경우 상기 가맹점 단말이 상기 가맹점 단말과 연동된 스캐너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인출식별정보를 인식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정보가 상기 메인 서버에 기록된 인출식별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인증완료 메시지를 상기 가맹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가상지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신청한 제 2 국가의 통화의 금액을 차감하고, 상기 출금 신청한 제 2 국가의 통화의 금액으로부터 사용자가 구매하려는 물건값이 차감되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된후, 상기 출금 신청한 제 2 국가의 통화의 금액이 상기 제 2 국 메인계좌로부터 상기 가맹점 단말의 계좌로 지급되는 것이며,
    상기 인증완료 메시지는 어떤 사용자에게 제 2 국가의 금전을 인출해야 되는지 식별할 수 있는 정보 및 얼마만큼의 제 2 국가의 금전을 제공해야 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환전서비스 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환전 대상이 되는 제 2 국가의 정보, 및 사용자가 입금할 제 1 국가의 통화의 액수를 수신하는 단계;
    기 설정된 환율을 기초로 제 2 국가의 통화 기준으로 한 환전가능액수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국가의 시중은행 환율에 근거한 환전가능액수와 상기 기 설정된 환율에 근거한 환전가능액수를 비교할 수 있는 비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환전 신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기 설정된 환율은 환전에 필요한 기 설정된 수수료를 고려하여 산출된 것으로서, 상기 기 설정된 수수료는 상기 제 1 국가의 시중은행을 통해 수행되는 환전에 필요한 수수료보다 저렴한 것인, 환전서비스 제공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환전 대상이 되는 제2 국가의 식별정보, 및 사용자가 입금할 제1국가의 통화의 액수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국가의 통화의 금액을 기준으로 상기 기 설정된 환율에 따라 변환된 제 1 국가의 금액이 환전 신청 금액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환전서비스 제공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금대상객체가 상기 제 2 국가의 가맹점 단말인 경우,
    상기 (c) 단계는
    상기 출금 신청을 수신함에 따라, 인출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인출식별정보를 전송하는 것이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가맹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된 인출식별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인출식별정보 인증이 완료된 경우, 인증완료 메시지를 상기 가맹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가상 지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신청한 제 2 국가의 통화의 금액을 차감하는 것인, 환전서비스 제공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인출식별정보를 상기 가맹점 단말이 인식함에 따라, 상기 가맹점 단말로부터 상기 인출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것인, 환전서비스 제공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또는 송금 과정은,
    은행계좌입금, 카드결제, 가상화폐기반의 결제 및 휴대전화요금기반의 결제 중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수행되는 것인, 환전서비스 제공방법.
  7. 환전서비스 제공하기 위한 메인 서버에 있어서,
    상기 환전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환전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제 1 국가의 통신사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환전 신청을 수신하면, 상기 환전 신청에 대응하는 송금요청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고, 상기 송금요청정보에 따라 결제 또는 송금이 완료되었음이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가상 지갑을 생성하여 상기 제 1 국가의 통화가 제2국가 통화로 환전 된 금액을 예치하고, 결제 또는 송금된 금액이 상기 송금요청정보에 포함된 환전에 필요한 기 설정된 금액과 다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입금거부메시지를 전달하고 상기 결제 또는 송금된 금액을 환불하고, 제 2 국가에 위치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 2 국가의 금전에 대한 출금 신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가상지갑 잔액을 확인한 후, 인출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제 2 국가에 위치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출금대상객체로 소정의 입력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상기 출금대상객체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입력정보와 상기 인출식별정보가 대응하는 경우, 상기 출금대상객체를 통해 상기 제2국가의 화폐로 예치된 금액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신청한 환전금액의 출금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출금대상객체로서 제 2 국가의 가맹점 단말 및 제 2 국가의 ATM (Automated Teller Machine) 단말이 사용되고, 상기 제 2 국가의 가맹점 단말은 제 2 국가에 위치하여 제 2 국가의 금전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가게의 단말이며, 상기 제 2 국가의 ATM단말은 상기 제 2 국가에 위치한 단말이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된 인출식별정보는 OTP(One Time Password) 정보, 바코드, QR코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이고, 상기 출금 신청에 대응하여 생성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이 흐르거나 인출에 이미 사용되어 만료된 경우 출금에 활용할 수 없는 것이고, 상기 가상지갑은 제 1 국 은행서버의 제 1 국 메인계좌와 연동되며, 상기 예치된 제2국가 통화에 대응하는 제 1 국가 통화의 금전은 상기 제 1 국 메인계좌로 수집되며, 상기 제 2 국가에서 출금된 금전은 제 2 국 메인계좌로부터 출금되고,
    상기 인출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과정 이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 환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제 2 국가의 상기 출금대상객체들의 위치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며,
    상기 출금대상객체가 ATM 단말인 경우, 상기 인출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과정에서,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인출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이 신청한 환전금액의 출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ATM 단말에 입력한 입력정보를 상기 메인 서버가 수신하면, 상기 인출식별정보와 상기 ATM단말로부터 수신한 입력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ATM 단말을 통해 출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출금대상객체가 상기 제 2 국가의 가맹점 단말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이 신청한 환전금액의 출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과정은, 상기 소정의 입력정보가 바코드나 QR코드인 경우 상기 가맹점 단말이 상기 가맹점 단말과 연동된 스캐너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인출식별정보를 인식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정보가 상기 메인 서버에 기록된 인출식별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인증완료 메시지를 상기 가맹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가상지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신청한 제 2 국가의 통화의 금액을 차감하고, 상기 출금 신청한 제 2 국가의 통화의 금액으로부터 사용자가 구매하려는 물건값이 차감되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된후, 상기 출금 신청한 제 2 국가의 통화의 금액이 상기 제 2 국 메인계좌로부터 상기 가맹점 단말의 계좌로 지급되는 것이며,
    상기 인증완료 메시지는 어떤 사용자에게 제 2 국가의 금전을 인출해야 되는지 식별할 수 있는 정보 및 얼마만큼의 제 2 국가의 금전을 제공해야 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메인 서버.
KR1020210003295A 2019-10-23 2021-01-11 해외송금방식을 이용한 환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2345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295A KR102345499B1 (ko) 2019-10-23 2021-01-11 해외송금방식을 이용한 환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115 2019-10-23
KR1020210003295A KR102345499B1 (ko) 2019-10-23 2021-01-11 해외송금방식을 이용한 환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115 Division 2019-10-23 2019-10-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445A KR20210048445A (ko) 2021-05-03
KR102345499B1 true KR102345499B1 (ko) 2022-01-04

Family

ID=79342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3295A KR102345499B1 (ko) 2019-10-23 2021-01-11 해외송금방식을 이용한 환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499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6107A (ko) * 2007-11-29 2009-06-03 임재용 소액화폐 환전장치
KR101719478B1 (ko) * 2014-08-18 2017-03-27 김찬영 해외 송금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해외 송금 서비스 방법
KR20160053623A (ko) * 2014-11-05 2016-05-13 마이뱅크주식회사 환율 정보 수요자에 최적화된 환율 정보를 제공하는 사설 환전소 환율 정보 수요자에 최적화된 환율 정보를 제공하는 사설 환전소 환율 정보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정보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445A (ko) 2021-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0915B1 (ko) 국내전용카드와 연계된 해외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카드사 서버
US870041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ordinating pooled financial transactions
US11126998B1 (en) Device enabled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JP6881826B2 (ja) 海外送金方式を用いた両替サービス方法及びシステム
JP6839630B2 (ja) スマートフォンを利用したキャッシュアウトシステム
JP6475790B2 (ja) 金融決済システム、金融決済方法、及び金融決済プログラム
KR102554713B1 (ko) 해외송금방식을 이용한 환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5421017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1864408B1 (ko) 입금자 구별 맵핑 시스템을 이용한 환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45499B1 (ko) 해외송금방식을 이용한 환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850995B1 (ko) 정보화 단말을 이용한 atm 환전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035745A (ko) 가상계좌를 이용한 간편 송금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83338B1 (ko) 현금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11276055B1 (en) Cash delivery service
KR20170062300A (ko) 정보화 단말을 이용한 atm 환전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00063530A (ko) 인터넷 또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외국환 환전방법
KR20100077294A (ko) 해외점포와 제휴된 현지 여행사를 통한 선불카드 정산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2033576B1 (ko) 전자 결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2413360B1 (ko) 전자결제수단을 이용한 현금 활용 방법 및 시스템
KR102120987B1 (ko) 전자 결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2220210B1 (ko) 결제 수수료 차액 정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결제 대행 서버
KR20180001980A (ko) 공용 가상 계좌 서비스를 이용한 금융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118840A (ko) 선불카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282344B1 (ko) 전자 결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210070765A (ko) 스마트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