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0765A - 스마트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0765A
KR20210070765A KR1020190160877A KR20190160877A KR20210070765A KR 20210070765 A KR20210070765 A KR 20210070765A KR 1020190160877 A KR1020190160877 A KR 1020190160877A KR 20190160877 A KR20190160877 A KR 20190160877A KR 20210070765 A KR20210070765 A KR 20210070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er
seller
payment
accou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원
Original Assignee
(주)넷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넷킨 filed Critical (주)넷킨
Priority to KR1020190160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0765A/ko
Publication of KR20210070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07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9Specified transaction journal output feature, e.g. printed receipt or voice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0Tax strateg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주문자 또는 판매자의 지정된 계좌에 현금이 입금된 경우, 운영사 서버는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입금을 통지받고 입금된 금액을 주문자 또는 판매자의 지정된 계정에 입금하는 단계; 주문자와 판매자 사이에 결제가 발생하는 경우, 운영사 서버가 결제금액을 포함한 결제 정보를 주문자로부터 승인받는 단계; 운영사 서버는 주문자의 계정의 잔액 중 승인받은 결제금액에 해당하는 금액을 판매자의 계정으로 이체하는 단계; 및 운영사 서버가 결제금액을 포함한 결제 정보를 소득 또는 지출의 증빙자료를 수집하는 세금납부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편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스마트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OF PROVIDING SMART PAYMENT SERVICE}
본 발명은 간편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신용카드 및 신용카드 결제단말기 없이 판매자와 주문자 사이의 간편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에 따른 정당한 세금을 부과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전자 상거래가 활성화되고,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기존의 실물 신용카드 결제 방식과 함께 실물 신용카드를 핸드폰에 저장하여 사용하는 간편결제방식, 핀테크 기반의 계좌간 간편 이체 방식 등의 결제 서비스가 다양하게 개발되었다.
다만, 기존의 신용카드를 이용한 간편 결제 서비스는 신용카드 결제단말기를 기반으로 하는 기존의 VAN 결제 방식이며, 간편 계좌이체 결제 서비스의 경우는 결제 계좌에서 현금이 이체되는 것으로, 사실상 현금의 거래가 이루어지는 것과 다름없다. 또한, 신용카드를 이용한 간편 결제 서비스의 경우, 카드 단말기가 요구되고, 카드 결제에 따른 수수료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사업자 등록이 되지 않은 개인판매자와 거래하는 개인주문자 또는 사업자 사이에서는 카드 결제가 불가능하고, 현금을 이용하여 거래하더라도 거래영수증 또는 현금영수증을 발급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어 소득 또는 지출의 증빙자료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현재는 실물 화폐를 사용하는 시대를 넘어, 통신 인프라 및 디지털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가상화폐와 같은 실체가 없는 가상의 화폐가 등장하였다. 가상화폐는 말 그대로 실물의 형체가 없는 가상환경에서의 화폐를 의미한다.
기존에 가상화폐 거래는 가상화폐거래소에서 사용자 본인의 가상계좌에 현금을 입금하여 현금에 해당하는 가상화폐를 구매하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며, 가상화폐를 전자지갑에 보관하고 거래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가상화폐로 결제가 가능한 가맹점이 거의 없고, 가상화폐로 직접 이체하는 방식인 점에서 가상화폐의 시세 변동에 따른 손익이 발생함에 따른 정확한 금액의 결제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고, 가상화폐의 결제 정보를 수집할 수 없어, 판매자와 주문자 사이의 소득 또는 지출의 증빙자료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개인정보 유출 및 계좌에 대한 본인 확인절차가 사실상 어려운 점에서, 정상적인 상거래에 이용되기보다는 투기의 수단, 해외 자금유출 또는 자금 은닉 등의 비정상적인 방식으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인확인이 완료된 주문자의 금융계좌 또는 가상계좌에 입금된 잔액을 본인확인이 완료된 판매자의 금융계좌 또는 가상계좌로 이체하는 방식으로 결제하고, 해당 결제 정보를 소득 또는 지출의 증빙자료를 수집하는 세금납부서버로 전송하는 간편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간편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은 주문자 또는 판매자의 지정된 계좌에 현금이 입금된 경우, 운영사 서버는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입금을 통지받고 입금된 금액을 주문자 또는 판매자의 지정된 계정에 입금하는 단계; 주문자와 판매자 사이에 결제가 발생하는 경우, 운영사 서버가 결제 금액을 포함한 결제 정보를 주문자로부터 승인받는 단계; 운영사 서버는 주문자의 계정의 잔액 중 승인받은 결제 금액에 해당하는 금액을 판매자의 계정으로 이체하는 단계; 및 운영사 서버가 결제 금액을 포함한 결제 정보를 소득 또는 지출의 증빙자료를 수집하는 세금납부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주문자 또는 판매자의 지정된 계정에 입금하는 단계 이전에, 신규의 주문자 또는 판매자가 운영사 서버에 등록을 요청하는 경우, 운영사 서버는 이를 금융기관 서버에 통지하고, 금융기관 서버는 해당 주문자 또는 판매자의 개인정보를 확인하고 고유한 계좌를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문자 또는 판매자가 단체 또는 법인인 경우, 주문자 또는 판매자의 계정은 단체 또는 법인에 소속된 개인별로 분할되고, 주문자 또는 판매자의 지정된 계정에 입금하는 단계에서는, 개인별로 분할된 계정으로 금액을 입금할 수 있다.
결제 정보를 주문자로부터 승인받는 단계에서는, 운영사 서버는 판매자가 결제 정보를 입력하면 주문자에게 승인을 요청하고, 주문자가 승인하면 판매자에게 승인 결과를 공지할 수 있다.
판매자의 계정으로 이체하는 단계 이후에, 주문자 또는 판매자로부터 결제의 전부 또는 일부를 취소하는 경우, 운영사 서버는 취소 금액을 포함한 취소 정보를 판매자로부터 승인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취소 금액을 다시 주문자의 계정으로 이체하는 단계 이후에, 운영사 서버는 취소 금액을 포함한 취소 정보를 소득 또는 지출의 증빙자료를 수집하는 세금납부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정보를 주문자로부터 승인받는 단계에서, 판매자가 사업자인 경우, 결제 정보에는 주문자의 현금영수증 발급 여부가 포함되고, 판매자의 계정으로 이체하는 단계 이후에, 주문자가 현금영수증 발급을 선택한 경우, 운영사 서버는 주문자의 현금영수증을 발급하고, 현금영수증 발행사 서버로부터 부여받은 승인번호, 주문자정보, 판매자정보 및 결제 금액을 포함한 결제 정보를 현금영수증 발행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정보를 현금영수증 발행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현금영수증 발행사 서버는 운영사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결제 정보를 세금납부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운영사 서버가 결제 정보를 세금납부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에서는, 기저장된 주문자정보와 판매자정보를 포함한 결제 정보를 세금납부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결제 정보를 주문자로부터 승인받는 단계 이전에, 판매자의 위치 정보 또는 판매 정보를 실시간으로 주문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판매자의 계정으로 이체하는 단계에서는, 주문자 또는 판매자가 복수인 경우, 승인받은 결제금액에 해당하는 금액을 복수의 주문자의 계정으로부터 판매자의 계정으로 이체하거나 또는 주문자의 계정으로부터 복수의 판매자의 계정으로 이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간편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에 따르면, 온라인 결제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결제를 간단한 승인만으로 결제가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주문자 또는 판매자에게 보안에 강한 전용계좌로 통합 연결된 개인별 금융계좌 또는 가상계좌를 이용하여, 개별 계좌의 관리에 편리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각 카드사별로 상이한 입금일자에 따라 발생되는 사업자금 유동화 문제를 해결하고, 카드결제에 따른 카드승인금액 누락분에 따른 사업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 결제 서비스가 수행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인증에 사용되는 누름 감지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은, 주문자 또는 판매자의 지정된 가상계좌에 현금이 입금된 경우(S100), 운영사 서버(20)는 금융기관 서버(10)로부터 입금을 통지받고 입금된 금액을 주문자 또는 판매자의 지정된 계정에 입금하는 단계(S110); 주문자와 판매자 사이에 결제가 발생하는 경우(S300), 운영사 서버(20)가 결제금액을 포함한 결제 정보를 주문자로부터 승인받는 단계(S400); 운영사 서버(20)는 주문자의 계정의 잔액 중 승인받은 결제금액에 해당하는 금액을 판매자의 계정으로 이체하는 단계(S500); 및 운영사 서버(20)가 결제금액을 포함한 결제 정보를 소득 또는 지출의 증빙자료를 수집하는 세금납부서버(40)로 전송하는 단계(S6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에 따르면, 주문자와 판매자 사이에서 간편한 결제가 가능하고, 이에 따른 결제 정보가 세금납부서버(40)로 전송되어 사업자가 아닌 판매자와 거래시에도 세원확보 및 거래내역 확인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주문자 또는 판매자의 지정된 계정에 입금하는 단계(S110) 이전에, 주문자 또는 판매자가 운영사 서버(20)에 등록을 요청하는 경우, 운영사 서버(20)는 이를 금융기관 서버(10)에 통지하고, 금융기관 서버(10)는 해당 주문자 또는 판매자의 개인정보를 확인하고 고유한 계좌를 지정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문자 또는 판매자는 온라인으로 운영사 서버(20)에 등록을 요청하거나, 오프라인의 운영사 지점에서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주문자 또는 판매자는 일반 개인으로 등록하거나, 국세청에 등록한 사업자로 등록할 수 있다. 개인 또는 사업자는 모두 주문자가 되거나 판매자가 될 수 있다.
운영사 서버(20)는 등록시 법인이나 단체 또는 개인의 개인정보(단체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정보는 이름, 주민번호, 사업자번호, 주소, 연락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민번호는 일시적으로 수집하여 확인 절차 후 삭제할 수 있다.이때, 운영사가 수집권한을 갖지 않는 주문자 또는 판매자의 개인정보(주민번호 또는 사업자번호 등)가 있다면, 이에 대하여는 운영사의 접근권한 없이 금융기관 또는 세무대리인을 통하여 주문자 또는 판매자의 개인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운영사 서버(20)는 일반 개인, 사업자, 등록되지 않은 개인자유직 등으로 분류하여 등록할 수 있고, 사업자 또는 개인자유직의 경우 직종을 추가로 입력 받을 수 있다. 개인 또는 단체의 실명 확인을 위하여 휴대폰 인증 또는 공인인증서 등을 통한 인증을 이용할 수 있다.
운영사 서버(20) 또는 운영사 지점은 등록을 요청한 신규의 주문자 또는 판매자의 고유한 계좌를 개설하도록 금융기관 서버(10)에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금융기관 서버(10)는 등록을 요청한 주문자 또는 판매자의 고유한 계좌를 실명 확인을 거친 후 실명제 계좌로 개설할 수 있다.
금융기관 서버(10)는 주문자 또는 판매자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검토할 수 있고, 금융기관 서버(10)는 주문자 또는 판매자에게 고유한 계좌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계좌 정보를 운영사 서버(20)에 전송하고, 운영사 서버(20)는 주문자 또는 판매자의 계좌 정보를 주문자 또는 판매자에게 통보하고, 이를 저장해둘 수 있다.
특히, 고유한 가상계좌를 지정하는 단계(미도시)에서는, 주문자 또는 판매자에게 지정한 고유한 계좌는 하나의 전용계좌로 통합된 개인계좌 또는 가상계좌일 수 있다. 즉, 전용계좌는 금융기관에서 관리하여 운영사 서버(20)를 포함한 외부로부터 별도의 출금이 불가능하도록 보호하여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고, 주문자 또는 판매자별로 전용계좌에 연결된 고유한 개인계좌 또는 가상계좌를 지정하여 개인별 계좌 관리에 편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전기세, 수도세 등의 세금 납부를 위한 목적을 비롯하여 특정 거래 목적이 있는 경우에는 금융기관 서버(10) 또는 운영서 서버(20) 등에서 별도로 운영 및 관리할 수 있다.
주문자 또는 판매자의 지정된 가상계좌에 현금이 입금된 경우, 금융기관 서버(10)는 입금 정보를 운영사 서버(20)에 통지하고, 운영사 서버(20)는 계좌에 입금된 금액을 주문자 또는 판매자의 지정된 계정에 입금할 수 있다. 여기서, 계정에 입금된 잔액은 계좌에 입금된 현금과 동일한 가치를 갖는다.
주문자 또는 판매자의 지정된 계좌에 현금을 입금한 경우, 금융기관 서버(10)는 이를 운영사 서버(20)에 통지하고, 운영사 서버(20)는 입금된 금액에 해당하는 금액을 주문자 또는 판매자의 계정에 입금할 수 있다. 주문자 또는 판매자는 지정된 계정에 입금된 잔액를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다.
입금은 주문자 또는 판매자가 계좌이체, CD기 입금, 은행 송금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다.
특히, 주문자 또는 판매자가 단체 또는 법인인 경우, 주문자 또는 판매자의 계정은 단체 또는 법인에 소속된 개인별로 분할되고, 주문자 또는 판매자의 지정된 계정에 입금하는 단계(S110)에서는, 개인별로 분할된 계정으로 금액을 입금할 수 있다.
즉, 단체 또는 법인의 경우에 소속된 개인별로 분할된 계정을 포함하는 하나의 계정 안에서 관리할 수 있다. 단체 또는 법인의 계정은 단체 또는 법인에 소속된 개인별로 분할할 수 있고, 개인별로 분할된 계정으로 각각 필요한 금액을 입금할 수 있다. 단체 또는 법인의 계정은 하나의 계정 안에서 개인별로 분할된 계정으로 입금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운영사 서버(20)에 통지함으로써 개인별로 분할된 계정으로의 금액 입금을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속된 개인은 개인별로 분할된 계정에 입금된 잔액을 이용하여 카드와 같은 별도의 결제수단 없이도 간편하게 단체 또는 법인을 대리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주문자와 판매자 사이에 결제가 발생하는 경우(S300), 운영사 서버(20)가 결제금액을 포함한 결제 정보를 주문자로부터 승인 받을 수 있다. 결제 정보를 주문자로부터 승인 받는 단계(S400)에서는, 운영사 서버(20)는 주문자가 설정하거나 등록한 승인 정보를 입력 받음으로써 결제 정보를 승인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승인은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주문자가 설정한 승인 정보인 비밀번호를 입력 받을 수도 있고, 주문자가 등록한 OTP 또는 MOTP 정보를 활용하거나 공인인증서를 통한 승인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개인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주문자가 등록한 각막인식, 지문인식 또는 혈관 인식 등의 다양한 생체정보를 활용한 승인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결제 승인 이전에, 주문자 또는 판매자의 계정에 접근하기 위하여, 로그인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추가할 수도 있고, 이에 따라 주문자 또는 판매자는 계정에 로그인한 후에 결제를 승인함으로써 이중으로 보안을 관리할 수 있다.
추가로, 주문자 또는 판매자의 계좌는 운영사 서버(20)의 계정과의 거래 내역에 의해서만 출금이 가능하여 외부 해킹 등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다.
운영사 서버(20)는 승인받은 결제금액에 해당하는 금액을 판매자의 계정으로 이체할 수 있다. 즉, 주문자의 계정에 입금된 잔액에서 결제금액을 차감하고, 판매자의 계정에 결제금액을 입금하여 승인받은 결제금액에 해당하는 금액을 이체시킬 수 있다.
만약, 운영사 서버(20)는 승인받은 결제금액에 해당하는 금액이 주문자의 계정에 입금되어있지 않은 경우에는 결제 승인을 거부할 수 있다. 또한, 주문자의 계정에 입금된 잔액이 부족한 상태를 주문자에게 푸쉬(Push) 알림 등을 통하여 공지할 수 있다.
결제 정보를 주문자로부터 승인 받는 단계(S400)에서는, 운영사 서버(20)는 판매자가 결제 정보를 입력하면 주문자에게 승인을 요청하고, 판매자에게 승인 결과를 공지할 수 있다. 반대로, 주문자가 결제 정보를 입력한 후에 이를 승인하면 승인 결과를 판매자에게 공지할 수도 있다.
결제 정보에는 주문자와 판매자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QR코드, NFC 등에 의해 간편하게 상대방의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호, 업태, 업종 등을 이용하여 판매자를 검색하는 기능을 활용할 수도 있으며, 판매자가 미리 저장해놓은 메뉴판의 메뉴를 주문자가 선택함에 따라 결제 종목 또는 결제금액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개인판매자와 개인간의 거래라면, 기설정된 업종/업태의 형태, 휴대폰 번호, 계정 아이디 및 계좌번호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대방을 검색할 수도 있다.
판매자의 경우, 홍보 또는 광고를 위하여 판매자정보를 노출시킬 수 있고, 주문자는 이에 대한 정보를 통해 결제로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오프라인 상으로 접촉하지 않더라도 온라인 상으로 주문자가 판매자정보에 접근하여 온라인 결제, 배달주문, 택배주문 또는 퀵서비스 등이 가능할 수 있다.
판매자의 계정으로 이체하는 단계(S500)에서는, 주문자 또는 판매자가 복수인 경우, 승인받은 결제금액에 해당하는 금액을 복수의 주문자의 계정으로부터 판매자의 계정으로 이체하거나 또는 주문자의 계정으로부터 복수의 판매자의 계정으로 이체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주문자가 공동으로 결제하거나 복수의 판매자가 공동으로 결제 받는 경우에는 번거로운 절차 없이 결제금액을 복수의 주문자의 계정으로부터 판매자의 계정으로 이체하거나, 주문자의 계정으로부터 복수의 판매자의 계정으로 이체할 수 있는 것이다.
추가로, 복수의 주문자 또는 판매자 사이의 부담 비율 또는 수입 비율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더치페이 또는 공동 판매자 사이의 수익배분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결제 정보를 주문자로부터 승인받는 단계(S400)에서는, 주문자가 복수인 경우, 운영사 서버(20)가 결제 정보를 복수의 주문자로부터 각각 승인받을 수 있다. 만약 판매자가 복수인 경우에는 복수의 판매자에게 승인 결과를 공지할 수도 있다.
결제 정보를 주문자로부터 승인 받는 단계(S400) 이전에, 판매자의 위치 정보 또는 판매 정보를 실시간으로 주문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판매자가 동의하는 경우에 한하여 판매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판매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GPS에 따른 주문자의 현재 위치에서 판매자의 위치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내비게이션 길 안내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판매자의 판매 물품, 제공하는 테이블이 공석인지 여부 또는 예약된 상태인지 여부 등의 판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식당 또는 카페 등의 테이블을 이용해야 하는 판매자 영업장의 경우, 테이블의 공석 여부를 주문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주문자의 방문의사 또는 예약이 편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동하면서 판매하는 판매자의 경우에는 실시간 위치 정보를 주문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문자는 판매자의 실시간 위치 정보 또는 판매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편리한 소비가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추가로, 결제 정보를 주문자로부터 승인받는 단계(S400)에서는, 주문자와 판매자 사이에 결제가 발생하기 이전에 주문자가 결제를 예약하는 경우(S200), 운영사 서버(20)는 결제금액의 일부 또는 전부인 예약금액을 주문자로부터 미리 승인받고(S210), 금융기관 서버(10)는 미리 승인받은 예약금액을 주문자의 계정에서 판매자의 계정으로 이체할 수 있다(S2200).
즉, 판매자가 물품 또는 서비스 등의 결제를 미리 예약하는 경우에는 보증금에 해당하는 결제금액의 일부 또는 전부를 미리 결제하도록 하여 예약하고 일방적으로 예약을 취소하는 노쇼(No Show)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결제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의 비율은 판매자 별로 상이하게 정해지거나, 업종별로 상이하게 정해질 수 있다. 예약금액이 결제금액의 전부라면, 실제 결제시 추가적인 결제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주문자로부터 결제금액의 일부 또는 전부인 예약금액을 승인받더라도 예약금액을 주문자의 계정으로부터 바로 판매자의 계정으로 이체하지 않고 보류할 수도 있고, 실제 거래가 발생하면 나머지 금액과 함께 이체하거나(S500), 실제 거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미리 승인받은 예약금액 중 예약 해지에 따른 수수료는 판매자의 계정으로 이체하고, 나머지 예약금액은 다시 주문자의 계정으로 환불할 수 있다.
특히, 개인과 개인 사이의 택배 또는 직거래를 통한 중고물품 거래의 경우에는 주문자로부터 승인은 미리 받더라도 결제금액의 실제 이체는 일정기간 보류하고, 주문자가 판매자로부터 물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은 후에 별도의 승인 절차를 추가로 거친 후 실제 이체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신뢰가 부족한 개인간의 거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 중 결제 정보를 세금납부서버(40)로 전송하는 단계를 구체화적으로 표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더 참조하면, 이체(S500)가 완료된 후, 운영사 서버(20)는 결제금액을 포함한 결제 정보를 소득 또는 지출의 증빙자료를 수집하는 세금납부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S600). 운영사 서버(20)는 이체가 완료된 경우,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현금영수증 또는 거래확인서를 판매자 또는 주문자에게 발급할 수 있다(S621, S631).
구체적으로, 판매자가 비사업자인 경우, 판매자정보에는 또는 금융기관 서버(10) 또는 세무대리인(미도시)에 저장된 판매자의 주민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거래시 판매자가 직접 본인의 주민번호를 포함한 판매자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운영사 서버(20)는 판매자가 등록되지 않은 사업자나 개인인 경우(예를 들면, 골프장 캐디, 노점상, 대리기사, 퀵라이더, 배달대행기사 등의 개인자유직 또는 중고물품 거래)에는 결제가 발생하면 주문자에게 거래확인서를 발급할 수 있다(S631). 거래확인서에는 판매자의 이름, 연락처, 주소, 거래내역, 거래금액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사업자의 비용처리를 위해 판매자의 주민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운영사 서버(20)는 거래확인서를 발급한 후(S631), 이러한 결제 정보를 취합하고, 이를 세금납부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632). 여기서 결제 정보에는 운영사 서버(20)에 등록시 기저장된 주문자정보, 판매자정보 및 결제금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판매자정보는 특히 판매자의 주민번호가 포함될 수 있고, 운영사 서버(20)의 주민번호 수집이 불가능한 경우라면 금융기관 서버(10) 또는 세무대리인(미도시)에 저장된 판매자의 주민번호, 판매자의 실명으로 개설된 계좌 정보 또는 판매자가 거래시 입력한 판매자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본인이 직접 입력한 개인정보는 사용이 완료된 시점에 즉시 폐기처리할 수 있다.
운영사 서버(20)는 주문자 및 판매자의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므로, 이러한 주문자와 판매자의 정보 및 결제금액 등을 포함한 결제 정보를 국세청 서버와 같은 소득 또는 지출의 증빙자료를 수집하는 세금납부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세금납부서버(40)로 전송은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도 있고, 일괄적으로 취합하여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등록되지 않은 사업자 또는 개인 사이의 결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소득 또는 지출의 증빙자료를 수집하여 세금을 부과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다만, 이러한 거래확인서 발급으로 직접 판매자의 수입에 따른 세금 신고가 불가능할 수 있고, 세금납부서버는 판매자의 거래에 따른 수입을 국세청에 자진 신고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현행법상 개인사업자의 수입에 따른 면세 기준(일년간 2300만원) 등을 안내하면서 판매자의 거래에 따른 수입을 자진 신고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특히, 국세청은 국세청에 미등록된 개인사업자들의 사업자 등록을 안내하거나 유도할 수 있다.
반대로, 판매자가 사업자인 경우(S610)에는 추가로 현금영수증을 발급할 수 있다(S621). 따라서, 결제 정보를 주문자로부터 승인받는 단계(S400)에서, 판매자가 사업자인 경우(S610), 판매자가 결제 정보에는 주문자의 현금영수증 발급 여부가 포함될 수 있다.
판매자의 계정으로 이체하는 단계(S500) 이후에, 주문자가 현금영수증 발급을 선택한 경우, 운영사 서버(20)는 주문자의 현금영수증을 발급하고(S621), 현금영수증 발행사 서버(30)로부터 부여받은 승인번호, 주문자정보, 판매자정보 및 결제금액을 포함한 결제 정보를 현금영수증 발행사 서버(30)로 전송하는 단계(S6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운영사 서버(20)는 주문자의 현금영수증 발급을 요청할 수 있고(S621), 발급한 현금영수증의 결제 정보를 현금영수증 발행사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S622). 구체적으로, 현금영수증 발행사 서버(30)는 운영사 서버(20)로 승인번호 대역을 부여하고, 운영사 서버(20)는 현금영수증 발행사 서버(30)로부터 부여받은 승인번호, 주문자정보, 판매자정보 및 결제금액을 포함한 결제 정보를 현금영수증 발행사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S622). 주문자정보는 주문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고, 판매자정보는 판매자의 사업자 등록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정보를 현금영수증 발행사 서버(30)로 전송하는 단계(S622) 이후에, 현금영수증 발행사 서버(30)는 운영사 서버(20)로부터 전송받은 결제 정보를 세금납부서버(40)에 전송하는 단계(S6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현금영수증 발행사 서버(30)는 운영사 서버(20)로부터 전송받은 결제 정보를 국세청과 같은 세금납부서버(40)에 전송할 수 있다. 세금납부서버(40)로 전송은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도 있고, 일괄적으로 취합하여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판매자가 사업자인 경우(S610), 운영사 서버(20)가 결제 정보를 세금납부서버(40)로 전송하는 단계(S600)는 운영사 서버(20)가 결제 정보를 현금영수증 발행사 서버(30)로 전송하고(S622), 현금영수증 발행사 서버(30)가 운영사 서버(20)로부터 전송받은 결제 정보를 세금납부서버(40)에 전송함(S623)으로써, 간접적으로 운영사 서버(20)가 결제 정보를 세금납부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별도로 거래확인서를 발급하면서 이러한 결제 정보를 다시 취합하여 세금납부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632). 이에 따라, 세금납부서버(40)는 현금영수증 발행사 서버(30)로부터 전송받은 결제 정보를 전송받은 운영사 서버(20)에서 취합한 결제 정보와 비교하여 등록된 사업자의 소득의 세원 확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주문자가 현금영수증 발급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에는 판매자의 계정으로 이체하는 단계(S500) 이후에, 운영사 서버(20)는 주문자의 현금영수증 발급을 보류할 수 있다. 다만, 현금영수증 승인번호 및 판매자정보를 포함한 영수증을 발급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를 주문자가 열람할 수 있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추후 기설정된 기간 이내에 주문자의 현금영수증 발급 요청이 있는 경우, 운영사 서버(20)는 현금영수증을 발급할 수 있고, 현금영수증 발행사 서버(30)로부터 부여받은 승인번호, 운영사 서버(20)의 주문자정보 및 판매자정보와 결제금액을 포함한 결제 정보를 현금영수증 발행사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금영수증 발행사 서버(30)는 운영사 서버(20)로부터 전송받은 결제 정보를 국세청과 같은 세금납부서버(4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판매자가 사업자인 경우, 결제 정보에는 주문자의 현금영수증 발급 여부를 포함하지 않고, 결제가 발생하는 경우 일괄적으로 운영사 서버는 주문자의 현금영수증을 발급할 수 있다.
기존에 주문자가 현금영수증을 발급하기를 원하지 않거나 보류하기를 원하는 경우, 판매자는 국세청의 지정된 번호를 주문자정보에 입력하고, 현금영수증 발행사 서버(30)로부터 부여받은 승인번호, 판매자정보 및 결제금액 등을 입력한 거래 영수증만을 발급하였다. 주문자는 거래 영수증에 포함된 정보를 자진하여 입력하여 추후 현금영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었다. 다만, 이러한 절차는 까다롭고 별도의 노력과 시간이 소모되었고, 주문자가 자진하여 현금영수증을 발급받지 않을 경우에는 주문자의 지출증빙 및 판매자의 소득세 징수 누락 등의 문제가 야기되었다.
다만, 주문자정보 및 판매자정보를 모두 저장하고 있는 운영사 서버(20)가 주문자의 현금영수증 발급을 강제하여 주문자의 지출증빙자료의 누락 방지 및 국세청의 세원확보에 유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주문자가 등록된 사업자인 경우, 결제 정보를 주문자로부터 승인받는 단계(S400)에서, 결제금액에 원천 징수 세금을 추가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사업자로 등록되지 않은 판매자와 사업자인 주문자가 거래하는 경우에는 결제금액에서 원천 징수 세금을 차감한 차액만을 판매자에게 이체할 수 있다. 따라서, 주문자가 사업자인 경우에 결제 정보를 주문자로부터 승인 받는 단계(S400)에서 결제금액에 원천 징수 세금을 추가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고, 결제금액에 원천 징수 세금을 추가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결제금액만큼의 금액이 주문자 계정으로부터 판매자 계정으로 이체된다.
즉, 판매자의 계정으로 이체하는 단계(S500)에서는, 주문자가 사업자인 경우에는 결제금액에 원천 징수 세금을 더 포함하여 실제로 사업자가 없는 개인판매자가 받는 금액은 동일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주문자가 사업자인 경우에는 거래확인서를 받아 원천 징수 세금을 추가하여 해당 판매자의 비용처리가 가능하다.
판매자의 계정으로 이체하는 단계(S500) 이후에, 주문자 또는 판매자로부터 결제의 전부 또는 일부를 취소하는 경우(S700), 운영사 서버(20)는 취소 금액을 포함한 취소 정보를 판매자로부터 승인 받는 단계(S7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결제 이후에 변심 또는 하자 등에 의하여 결제의 전부 또는 일부를 취소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결제와 반대로 판매자의 승인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취소 정보를 판매자로부터 승인 받는 단계(S720)에서는, 운영사 서버(20)는 주문자가 취소 정보를 입력하면 판매자에게 승인을 요청하고, 판매자가 승인하면 주문자에게 취소 결과를 공지할 수 있다.
취소 정보를 판매자로부터 승인 받는 단계(S720) 이후에, 운영사 서버(20)는 승인받은 취소 금액을 주문자의 계정으로 이체하는 단계(S7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취소 금액을 다시 판매자의 계정으로부터 주문자의 계정으로 이체하는 것이다. 판매자의 계정에서는 환불되는 취소 금액이 차감되고, 주문자의 계정에는 판매자 계좌에서 환불된 취소 금액이 입금될 수 있다. 취소 금액은 결제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일 수 있다.
취소 금액을 주문자의 계정으로 이체하는 단계(S720) 이후에, 운영사 서버(20)는 취소 금액을 포함한 취소 정보를 소득 또는 지출의 증빙자료를 수집하는 세금납부서버(40)로 전송하는 단계(S7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운영사 서버(20)가 거래확인서를 발급한 경우, 결제와 반대로 취소 금액을 포함한 취소 정보를 소득 또는 지출의 증빙자료를 수집하는 세금납부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운영사 서버(20)가 현금영수증을 발급한 경우에는 발급한 현금영수증의 결제 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취소 정보에 따른 현금영수증 발급을 취소할 수 있다. 또한, 운영사 서버(20)는 현금영수증 발행사 서버(30)로부터 부여받은 승인번호, 운영사 서버(20)에 저장된 주문자정보 및 판매자정보와 취소 금액을 포함한 취소 정보를 현금영수증 발행사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현금영수증 발행사 서버(30)는 이러한 취소 정보를 다시 소득 또는 지출의 증빙자료를 수집하는 세금납부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판매자의 계정으로 이체하는 단계(S500) 이후에, 주문자 또는 판매자의 출금 요청이 있는 경우(S800), 금융기관 서버(10)는 요청된 금액만큼 주문자 또는 판매자에게 출금하고, 운영사 서버는 요청된 금액만큼 주문자 또는 판매자의 계정의 잔액을 차감할 수 있다(S810).
주문자 또는 판매자는 운영사 서버(20)로 출금을 요청할 수 있고, 금융기관 서버(10)는 운영사 서버로(20) 출금 요청을 받는 경우 요청된 금액만큼 주문자 또는 판매자에게 출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금은 주문자 및 판매자의 계좌가 일반 금융계좌인 경우에는 체크카드, 통장, CD기기, 인터넷 뱅킹 등의 방법으로 자유롭게 출금이 가능하고, 주문자 및 판매자의 계좌가 가상계좌인 경우에는 지정된 개인계좌로 현금을 입금하는 방법으로 출금할 수 있다.
즉, 주문자 또는 판매자의 지정된 계좌에 현금을 입금한 경우와 반대로, 주문자 또는 판매자가 운영사 서버(20)에 출금을 요청하는 경우, 운영사 서버(20)는 이를 금융기관 서버(10)에 통지하고, 금융기관 서버(10)는 주문자 또는 판매자의 요청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출금을 진행할 수 있다. 금융기관 서버(10)의 주문자 및 판매자의 계좌의 모든 입출금 내역은 운영사 서버(20)와 연동되어 계좌별 지급내역 및 계정의 잔액조회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누름 감지 장치(1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누름 감지 장치(1100)는 제 1 플레이트들(1110), 제 2 플레이트들(1120) 및 제 3 플레이트(1130)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들(1110)는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고 종단에서 상호 연결되고 전류가 흐르며, 제 2 플레이트들(1120)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며, 제 1 플레이트들 사이에 위치되고 종단에서 상호 연결되며 전류가 흐른다. 제 3 플레이트(1130)는 전류가 흐르는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제 1 플레이트들과 제 2 플레이트들의 상부에 위치된다. 제3 플레이트(1130)가 눌려 탄성 변형되면서 제 1 플레이트들(1110)과 제 2 플레이트들(1120) 사이의 저항이 변하게 된다. 이러한 저항 변화에 의해 누름을 감지할 수 있다.
금융기관 또는 운영사에서는 이러한 결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송금수수료 또는 운영수수료 등을 주문자 또는 판매자로부터 수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Claims (14)

  1. 주문자 또는 판매자의 지정된 계좌에 현금이 입금된 경우, 운영사 서버는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입금을 통지받고 입금된 금액을 주문자 또는 판매자의 지정된 계정에 입금하는 단계;
    주문자와 판매자 사이에 결제가 발생하는 경우, 운영사 서버가 결제금액을 포함한 결제 정보를 주문자로부터 승인받는 단계;
    운영사 서버는 주문자의 계정의 잔액 중 승인받은 결제금액에 해당하는 금액을 판매자의 계정으로 이체하는 단계; 및
    운영사 서버가 결제금액을 포함한 결제 정보를 주문자로부터 승인받은 결과를 포함하는 정보는 스토리지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편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주문자 또는 판매자의 지정된 계정에 입금하는 단계 이전에, 신규의 주문자 또는 판매자가 운영사 서버에 등록을 요청하는 경우, 운영사 서버는 이를 금융기관 서버에 통지하고, 금융기관 서버는 해당 주문자 또는 판매자의 개인정보를 확인하고 고유한 계좌를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고유한 계좌를 지정하는 단계에서는, 주문자 또는 판매자에게 지정한 고유한 계좌는 하나의 전용계좌로 통합된 개인계좌 또는 가상계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주문자 또는 판매자가 단체 또는 법인인 경우, 주문자 또는 판매자의 계정은 단체 또는 법인에 소속된 개인별로 분할되고,
    주문자 또는 판매자의 지정된 계정에 입금하는 단계에서는, 개인별로 분할된 계정으로 금액을 입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결제 정보를 주문자로부터 승인받는 단계에서는, 운영사 서버는 주문자가 설정하거나 등록한 승인 정보를 입력받음으로써 결제 정보를 승인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결제 정보를 주문자로부터 승인받는 단계에서는, 운영사 서버는 판매자가 결제 정보를 입력하면 주문자에게 승인을 요청하고, 주문자가 승인하면 판매자에게 승인 결과를 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판매자의 계정으로 이체하는 단계 이후에, 주문자 또는 판매자로부터 결제의 전부 또는 일부를 취소하는 경우, 운영사 서버는 취소 금액을 포함한 취소 정보를 판매자로부터 승인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취소 정보를 판매자로부터 승인받는 단계에서는, 운영사 서버는 주문자가 취소 정보를 입력하면 판매자에게 승인을 요청하고, 판매자가 승인하면 주문자에게 취소 결과를 공지하며,
    취소 정보를 판매자로부터 승인받는 단계 이후에, 운영사 서버는 승인받은 취소 금액을 다시 주문자의 계정으로 이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취소 금액을 다시 주문자의 계정으로 이체하는 단계 이후에, 운영사 서버는 취소 금액을 포함한 취소 정보를 소득 또는 지출의 증빙자료를 수집하는 세금납부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결제 정보를 주문자로부터 승인받는 단계에서, 판매자가 사업자인 경우, 결제 정보에는 주문자의 현금영수증 발급 여부가 포함되고,
    판매자의 계정으로 이체하는 단계 이후에, 주문자가 현금영수증 발급을 선택한 경우, 운영사 서버는 주문자의 현금영수증을 발급하고, 현금영수증 발행사 서버로부터 부여받은 승인번호, 주문자정보, 판매자정보 및 결제금액을 포함한 결제 정보를 현금영수증 발행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판매자의 계정으로 이체하는 단계 이후에,
    주문자가 현금영수증 발급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 운영사 서버는 주문자의 현금영수증을 발급을 보류하고, 추후 기설정된 기간 이내에 주문자의 현금영수증 발급 요청이 있는 경우, 운영사 서버는 현금영수증을 발급하고, 현금영수증 발행사 서버로부터 부여받은 승인번호, 주문자정보, 판매자정보 및 결제금액을 포함한 결제 정보를 현금영수증 발행사 서버로 전송하거나,
    주문자의 현금영수증 발급 여부에 관계없이 일괄적으로 결제정보를 현금영수증 발행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결제 정보를 현금영수증 발행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현금영수증 발행사 서버는 운영사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결제 정보를 세금납부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
  13. 청구항 1에 있어서,
    결제 정보를 주문자로부터 승인받는 단계 이전에, 판매자의 위치 정보 또는 판매 정보를 실시간으로 주문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
  14. 청구항 1에 있어서,
    판매자의 계정으로 이체하는 단계에서는, 주문자 또는 판매자가 복수인 경우, 승인받은 결제금액에 해당하는 금액을 복수의 주문자의 계정으로부터 판매자의 계정으로 이체하거나 또는 주문자의 계정으로부터 복수의 판매자의 계정으로 이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190160877A 2019-12-05 2019-12-05 스마트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0707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877A KR20210070765A (ko) 2019-12-05 2019-12-05 스마트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877A KR20210070765A (ko) 2019-12-05 2019-12-05 스마트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765A true KR20210070765A (ko) 2021-06-15

Family

ID=76412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877A KR20210070765A (ko) 2019-12-05 2019-12-05 스마트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076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27590A1 (en) Secure execution of an exchange item acquisition request
KR101517515B1 (ko) Qr 코드를 이용한 즉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US819051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monetary transactions from multiple source accounts
US8712914B2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micropayments in a financial transaction system
KR102144529B1 (ko) 암호화폐를 활용한 전자금융거래 시스템
US20110055083A1 (en) System and method of funds transfer using a secure financial account
US201503247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refundable taxes
KR102094101B1 (ko) 연동형 디지털화폐 시스템 및 그 방법, 전용 디지털화폐와 연동되는 전자지갑 간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80270246A1 (en) Global electronic payment system
KR20160138429A (ko) 환급 가능한 세금 회수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19050006A (ja) 給与管理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867132B1 (ko) 인터넷 전자상거래 방법
JP5848107B2 (ja) 電子マネー管理サーバ、電子マネー決済処理方法および現金払出処理方法
KR20140099814A (ko) Qr 코드를 이용한 즉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JP2019036169A (ja) スマートフォンを利用したキャッシュアウトシステム
KR20170015655A (ko) 각국 화폐별 비트코인 환전단말 및 이를 이용한 비트코인 환전방법
US20130006850A1 (en) Fast Cash Transactions (FCT)
KR101886573B1 (ko) 카드 결제 시스템
JP4461618B2 (ja) 決済装置及び方法
KR100897498B1 (ko)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통합형 금융 서비스 시스템
GB2566824A (en) Refund system and method
KR101899282B1 (ko) 간편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
CA320190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xy card and/or wallet redemption card transactions
KR102027728B1 (ko) 기능성 디지털화폐 시스템, 기능성 디지털화폐를 위한 전자지갑시스템, 기능성 디지털화폐 발행, 유통 및 사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70765A (ko) 스마트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