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289A - 냄새포획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냄새포획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289A
KR20160000289A KR1020140077486A KR20140077486A KR20160000289A KR 20160000289 A KR20160000289 A KR 20160000289A KR 1020140077486 A KR1020140077486 A KR 1020140077486A KR 20140077486 A KR20140077486 A KR 20140077486A KR 20160000289 A KR20160000289 A KR 20160000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oking
cylinder
steam
od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2245B1 (ko
Inventor
신창근
신이슬
Original Assignee
신창근
신이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창근, 신이슬 filed Critical 신창근
Priority to KR1020140077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245B1/ko
Publication of KR20160000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2/00Devices having temperatur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음식 냄새분자를 물속에서 포획 및 용해시켜 제거효율을 높임으로써 음식냄새로 인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음과 동시에, 수증기 및 냄새 배출 시점을 조리하는 사람이 알 수 있도록 인식기능을 구비하여 수증기와 함께 배출되는 냄새를 적시에 차단할 수 있고 또한 조리 종료시점을 조리하는 사람에게 인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을 편리하게 한 냄새포획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조리기구는,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방부를 가지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개방부를 덮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조리본체; 및 상기 조리본체에 설치되어 냄새를 포획 및 용해시켜 제거하기 위한 냄새포획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냄새포획장치는, 조리본체 내부에서 발생한 냄새분자를 포함한 수증기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수증기 유입측에 고정 설치되어 수증기가 통과할 때 경보음을 발생하는 미세한 슬릿이 형성된 제1 경보음발생판과, 상기 제1 경보음발생판 상부에 물저장공간을 구비한 포획통체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냄새포획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Cookware with Smell Trapping Device}
본 발명은 냄새포획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조리시 용기내에서 배출되는 스팀 및 음식냄새를 포획 후 용해시켜 제거함으로써 조리시 음식냄새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냄새 배출시점과 조리 종료시점을 조리하는 사람이 인지할 수 있어 사용을 더욱 편리하게 한 냄새포획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기구는 솥, 냄비, 찜통, 압력밥솥 또는 주전자 등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크기로 제조되며,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방부를 가지는 용기와, 용기의 개방부를 막는 뚜껑으로 구성된다. 또한 조리 용도에 따라서는 용기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증기배출구나 증기압 배출을 위한 안전밸브가 뚜껑에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통상의 조리기구는 음식물 조리시 증기배출구나 안전밸브를 통해 수증기와 함께 음식물 냄새가 방출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즉, 냄새분자는 물에 녹으며, 높은 온도에서 움직임이 활발해져 온도가 높을수록 냄새가 많이 난다. 조리시 열에너지가 가해지기 전에는 냄새분자가 음식 재료 속에 녹아있으며, 수온이 높지않아 움직이지 않는다. 열에너지가 가해져 가열조리가 시작되면, 물속에 용해되어 있던 냄새분자가 증발해, 열기 및 습기와 함께 조리용기와 뚜껑 사이 틈 및 뚜껑의 폭발방지 구멍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어 주방을 고온다습하게 만들고 음식냄새로 가득차게 만든다.
고온다습한 주방은 미생물 번식을 용이하게 하여 위생성을 떨어뜨리고 식중독 발생의 원인이 되며, 열기, 습기와 함께 배출된 음식냄새는 불쾌감을 유발한다.
종래에도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 있다. 예를 들면 등록특허 10-0944796호에 개시된 "탈취기능을 구비하는 조리용기"는, 음식물 조리시 발생되는 수증기를,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가열원으로 유도함으로써 상기 수증기에 혼합된 냄새분자를 직접연소시켜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냄새 제거방식은 가열원으로 유도되는 수증기가 가열원의 불꽃을 흔들리게 하거나 조리용기와 불꽃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등 정상적인 가열을 방해하여 열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냄새분자를 연소시키는 것에 의해 냄새를 저감시킬 수는 있지만, 개방된 공간내에서 이루어지므로 제거효율이 낮고, 주방내의 공기를 오염시킬 염려가 있으며, 냄새분자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또 다른 냄새를 발생할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음식 냄새분자 및 수증기를 미세분할하여 배출하고 필터링 역할을 함과 동시에, 물속에서 포획 및 용해시켜 제거효율을 높임으로써 음식냄새로 인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수증기 및 냄새 배출 시점을 조리하는 사람이 알 수 있도록 인식기능을 구비하여 수증기와 함께 배출되는 냄새를 적시에 차단할 수 있고 또한 조리 종료시점을 조리하는 사람에게 인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을 편리하게 한 냄새포획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방부를 가지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개방부를 덮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조리본체; 및 상기 조리본체에 설치되어 냄새를 포획 및 용해시켜 제거하기 위한 냄새포획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냄새포획장치는, 조리본체 내부에서 발생한 냄새분자를 포함한 수증기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수증기 유입측에 고정 설치되어 수증기가 통과할 때 경보음을 발생하는 미세한 슬릿이 형성된 제1 경보음발생판과, 상기 제1 경보음발생판 상부에 물저장공간을 구비한 포획통체로 이루어진 냄새포획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포획통체의 상단에 설치되고 수증기가 통과할 때 경보음을 발생하는 미세한 슬릿이 형성된 제2 경보음발생판과, 상기 포획통체의 수증기 배출측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에 설치된 블로워를 더 포함하는 냄새포획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포획통체의 물저장공간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검출된 온도를 미리 입력한 기준온도와 비교하여 기준온도에 도달할 때 경보수단을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냄새포획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포획통체의 수증기 배출측 개방부를 선택적으로 덮기 위한 덮개와, 상기 덮개에 설치되어 포획통체의 내부압력이 일정치 이상 상승할 때 수증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안전밸브를 더 포함하는 냄새포획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방부를 가지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개방부를 덮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조리본체; 및 상기 조리본체에 설치된 냄새포획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냄새포획장치는, 상기 조리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조리본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냄새분자를 포함한 수증기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수증기 유입측 끝단은 조리본체 내의 상부에 위치하고 수증기 배출측 끝단은 조리본체 바닥을 관통하여 하부로 노출되며, 상기 수증기 배출측에 설치되어 수증기가 통과할 때 경보음을 발생하는 미세한 슬릿이 형성된 경보음발생판을 구비한 증기배출통체; 상기 증기배출통체의 수증기 유입측에 설치된 필터; 상기 조리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증기배출통체의 수증기 배출측 끝단이 내부에 위치하고 물수용 공간을 구비한 포획통체; 상기 포획통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포획통체 내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주입관; 상기 물주입관에 설치되어 물주입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밸브; 상기 포획통체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어 포획통체 내에서 발생한 수증기를 배출하는 배기관; 및 상기 배기관에 설치된 블로워로 이루어진 냄새포획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방부를 가지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개방부를 덮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조리본체; 및 상기 조리본체에 설치된 냄새포획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냄새포획장치는, 상기 조리본체 외부에 설치되어 조리본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냄새분자를 포함한 수증기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수증기 유입측 끝단이 조리본체의 상부 측벽에 연결되고 수증기 배출측에는 수증기가 통과할 때 경보음을 발생하는 미세한 슬릿이 형성된 경보음발생판을 구비한 증기배출통체; 상기 증기배출통체의 수증기 유입측에 설치된 필터; 상기 조리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증기배출통체의 수증기 배출측 끝단이 내부에 위치하고 물수용 공간을 구비한 포획통체; 상기 포획통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포획통체 내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주입관; 상기 물주입관에 설치되어 물주입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밸브; 상기 포획통체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어 포획통체 내에서 발생한 수증기를 배출하는 배기관; 및 상기 배기관에 설치된 블로워로 이루어진 냄새포획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리시 조리본체 내에서 발생된 냄새분자를 포함하는 수증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냄새포획장치에 구비된 물에 포획 및 용해됨에 따라 냄새 제거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고, 냄새분자 및 수증기의 외부방출을 차단하여 조리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기존의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일하던 주방 종사자들의 직업 자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본체 내에서 발생된 냄새분자를 포함하는 수증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냄새포획장치의 경보음발생판에 형성된 미세 슬릿을 통과하면서 경보음을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냄새가 외부로 배출되는 시점을 조리하는 사람이 알 수 있어 냄새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최대한 신속히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소리로 인해 현재의 조리 상태를 인지하여 조리를 종료하거나 더 연장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냄새포획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냄새포획장치에서 경보음발생판을 나타낸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냄새포획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냄새포획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냄새포획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냄새포획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본체(110)와 냄새포획장치(120)로 구성된다.
조리본체(110)는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방부를 가지는 용기(111)와, 상기 용기(111)의 개방부를 밀폐시켜 막기 위한 뚜껑(11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조리본체(110)가, 조리시 용기(111)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보다 높게 유지할 필요가 있는 압력용기일 경우, 뚜껑(112)을 용기(111)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통상의 체결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냄새포획장치(120)는 상기 조리본체(110) 내부에서 발생한 냄새분자 및 수증기를 포획 및 용해시켜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실시예에서는 조리본체(110)의 뚜껑(112)에 설치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즉 냄새포획장치(120)는, 조리본체(110)의 뚜껑(112)에 설치되어 조리본체(110) 내부에서 발생한 냄새분자를 포함하는 수증기가 유입되어 배출되도록 통로를 형성하는 포획통체(121)를 구비한다. 또한 포획통체(121)의 수증기 유입측에는 수증기가 통과할 때 경보음을 발생하는 미세 슬릿(122a)이 형성된 제1 경보음발생판(122)이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경보음발생판(122) 상부에는 물저장공간이 마련된다.
제1 경보음발생판(12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 부재를 절단한 후 연결하여 미세한 틈새가 형성되도록 하여 미세 슬릿(122a)을 구성할 수 있으며, 미세 슬릿(122a)의 폭은 대략 0.2mm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미세 슬릿(122a)은 복수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조리본체(110)로부터 유입되는 냄새분자와 증기를 미세하게 분할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에서와 같이 포획통체(121)의 물저장공간에 물이 공급되는 경우, 미세하게 분할된 냄새분자와 수증기가 물속에서 완전히 포획된 후 용해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슬릿(122a)이 음식물 찌꺼기 등의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경우, 폭발 등의 문제를 대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포획통체(121)의 상단에 수증기가 통과할 때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미세 슬릿(132a)이 형성된 제2 경보음발생판(132)이 설치되며, 제2 경보음발생판(132)도 제1 경보음발생판(122)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포획통체(121)의 수증기 배출측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배기관(1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획통체(121)의 물저장공간에 온도센서(124)를 설치하여 저장된 물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온도센서(124)로부터 검출된 온도를 제어부(125)가 미리 입력한 기준온도와 비교하여 물의 온도가 기준온도에 도달할 때 경보수단(126), 예를 들면 경보음 또는 경광등을 작동시켜 조리하는 사람이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물의 끊는점(100℃)보다 낮은 온도에서 분해되는 음식 냄새 분자의 경우, 음식물이 분해되는 온도에서 물을 더 공급하여 물의 온도를 낮추거나 조리를 종료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배기관(123)에는 블로워(127)를 설치하여 조리 종료 후 작동시킴으로써 조리본체(110)의 뚜껑(112)을 열 때, 냄새나 증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또한 조리본체(110)에 안전밸브(128)를 설치하여 냄새포획장치(120)의 제1 경보음발생판(122)이 막혀 내부압 상승에 의한 폭발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1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서와 같이 조리본체(110) 내에 물과 음식물을 넣고 가열수단으로 가열하여 조리하는 경우, 가열수단에 의한 지속적인 가열로 온도가 상승하여 물이 끓게 되면, 음식물과 물로부터 냄새분자 및 수증기가 발생함과 동시에, 조리본체(110)의 내부압이 상승하여 냄새분자 및 수증기는 냄새포획장치(120)의 제1 경보음발생판(122)에 형성된 슬릿(122a)을 통해 포획통체(121)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제1 경보음발생판(122)은 이물질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필터 기능을 겸하고, 조리본체(110)로부터 유입되는 냄새분자와 증기를 미세하게 분할하게 된다.
또한, 냄새분자가 포함된 수증기가 제1 경보음발생판(122)의 미세 슬릿(122a)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날카로운 경보음을 발생하게 되고, 조리하는 사람은 경보음을 듣고 물이 끓기 시작하는 것으로 인식하게 되며, 즉시 조리를 종료하거나 포획통체(121) 내에 물을 공급하여 냄새분자와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음식물 조리시간을 더욱 연장할 경우, 포획통체(121) 내에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냄새분자와 수증기는 물에 포획 및 용해되어 제거되므로 조리를 계속하여도 냄새분자와 수증기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고, 이어서 뜨거운 수증기가 포획통체(121) 내의 물에 지속적으로 유입됨에 따라, 결국 물이 끓게 되면, 포획통체(121) 내에서도 수증기가 발생함과 동시에 내부압이 상승하여 포획통체(121) 상단에 설치한 제2 경보음발생판(132)의 슬릿(132a)을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제1 경보음발생판(122)과 마찬가지로 제2 경보음발생판(132)에서도 경보음이 발생하게 되고, 조리하는 사람은 이를 인식하여 조리를 종료할 수 있다.
이때, 포획통체(121) 내에 공급된 물의 끓는점 도달 시간은 물의 공급양에 비례하므로, 음식물의 조리시간에 따라 물의 공급량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물의 끓는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냄새분자가 발생하는 음식물의 경우는, 물이 끓지 않는 상태에서 물을 통과하여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70℃에서 냄새분자가 발생하는 음식물의 경우, 제어부(125)에 70℃를 기준온도로 설정하고, 온도센서(124)로부터 검출된 온도가 70℃일 때, 경보음 또는 경광등의 경보수단(126)을 작동시킴으로써 조리하는 사람이 이를 인식하여 조리를 종료시키거나 물을 추가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와 같이 블로워(127)가 설치된 배기관(123)을 포획통체(121)에 조립하여 연결하게 되면, 제2 경보음발생판(132)를 통과한 수증기를 블로워(127)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고, 또한 조리본체(110)의 뚜껑(112)을 열 때, 배출될 수 있는 냄새, 열기 및 수증기를 배기관(123)으로 유도함으로써 냄새, 열기 및 수증기가 실내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냄새포획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본체(210)와 냄새포획장치(220)로 구성된다.
조리본체(21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방부를 가지는 용기(211)와, 상기 용기(211)의 개방부를 밀폐시켜 막는 뚜껑(212)을 구비한다.
냄새포획장치(220)는 상기 조리본체(210)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 및 냄새분자를 포획 및 용해시켜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제2 실시예에서는 조리본체(210)의 뚜껑(212)에 설치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즉 냄새포획장치(220)는, 조리본체(210)의 뚜껑(212)에 설치되어 조리본체(210) 내부에서 발생한 냄새분자를 포함하는 수증기가 유입되어 배출되도록 통로를 형성하는 포획통체(221)를 구비한다. 포획통체(221)의 수증기 유입측에는 수증기가 통과할 때 경보음을 발생하는 미세 슬릿(222a)이 형성된 경보음발생판(222)이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경보음발생판(222) 상부에는 물저장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경보음발생판(222)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제1 및 제2 경보음발생판(122,132)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포획통체(221)의 수증기 배출측 개방부를 선택적으로 덮기 위한 덮개(223)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덮개(223)에는 포획통체(221)의 내부압력이 일정치 이상 상승할 때 수증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안전밸브(223a)를 설치한다. 상기 안전밸브(223a)로서, 무게추를 이용하는 공지의 구성을 적용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내부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의 안전밸브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도 제1 실시예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포획통체(221)의 물저장공간에 온도센서(224)를 설치하여 저장된 물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온도센서(224)로부터 검출된 온도를 제어부(225)가 미리 입력한 기준온도와 비교하여 물의 온도가 기준온도에 도달할 때 경보수단(226), 예를 들면 경보음 또는 경광등을 작동시켜 조리하는 사람이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조리본체(210)에 안전밸브(228)를 설치하여 냄새포획장치(220)의 경보음발생판(222)이 막혀 내부압 상승에 의한 폭발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2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서와 같이 조리본체(210) 내에 물과 음식물을 넣고 가열수단으로 가열하여 조리하는 경우, 가열수단에 의한 지속적인 가열로 온도가 상승하여 물이 끓게 되면, 음식물과 물로부터 냄새분자 및 수증기가 발생함과 동시에, 조리본체(210)의 내부압이 상승하여 냄새분자 및 수증기는 냄새포획장치(220)의 경보음발생판(222)에 형성된 슬릿(222a)을 통해 포획통체(221) 내부로 유입되며, 경보음발생판(222)은 조리본체(110)로부터 유입되는 냄새분자와 증기를 미세하게 분산시키고, 이물질은 필터링하게 된다.
이때, 냄새분자가 포함된 수증기가 경보음발생판(222)의 미세 슬릿(222a)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날카로운 경보음을 발생하게 되고, 조리하는 사람은 경보음을 듣고 물이 끓기 시작하는 것으로 인식하게 되며, 즉시 조리를 종료하거나 포획통체(221) 내에 물을 공급하여 냄새분자와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음식물 조리시간을 더욱 연장할 경우, 포획통체(221) 내에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냄새분자와 수증기는 물에 포획 및 용해되어 제거되므로 조리를 계속하여도 냄새분자와 수증기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고, 이어서 뜨거운 수증기가 포획통체(221) 내의 물에 지속적으로 유입됨에 따라, 결국 물이 끓게 되면, 포획통체(221) 내에서도 수증기가 발생함과 동시에 내부압이 상승하게 되고, 이때 도 5에서와 같이 덮개(223)를 포획통체(221)에 조립하여 연결하게 되면, 덮개(223)에 설치된 안전밸브(223a)를 통해 수증기가 배출된다.
따라서 무게추를 이용한 안전밸브(223a)를 통해 배출되는 수증기에 의해 딸랑거리는 경보음이 발생하게 되고, 조리하는 사람은 이를 인식하여 조리를 종료할 수 있다.
이때, 포획통체(221) 내에 공급된 물의 끓는점 도달 시간은 물의 공급양에 비례하므로, 음식물의 조리시간에 따라 물의 공급량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물의 끓는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냄새분자가 발생하는 음식물의 경우는, 물이 끓지 않는 상태에서 물을 통과하여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70℃에서 냄새분자가 발생하는 음식물의 경우, 제어부(225)에 70℃를 기준온도로 설정하고, 온도센서(224)로부터 검출된 온도가 70℃일 때, 경보음 또는 경광등의 경보수단(226)을 작동시킴으로써 조리하는 사람이 이를 인식하여 조리를 종료시킬 수 있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냄새포획장치(320)가 구비된 조리기구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본체(310)와 냄새포획장치(320)로 구성된다. 조리본체(31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방부를 가지는 용기(311)와, 상기 용기(311)의 개방부를 덮는 뚜껑(312)을 구비한다.
냄새포획장치(320)는, 상기 조리본체(310) 내부에 설치되어 조리본체(310) 내부에서 발생하는 냄새분자를 포함한 수증기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증기배출통체(321)를 구비하며, 증기배출통체(321)의 수증기 유입측 끝단은 조리본체(310) 내의 상부에 위치하고 수증기 배출측 끝단은 조리본체(310) 바닥을 관통하여 하부로 노출된다.
증기배출통체(321)의 수증기 유입측에는 이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329)가 설치되고, 수증기 배출측에는 경보음발생판(322)이 설치된다. 경보음발생판(322)에는 수증기가 통과할 때 경보음을 발생하는 미세한 슬릿(322a)이 형성되며, 상기 경보음발생판(322)의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1 경보음발생판(122)의 구성과 동일하다.
또한, 상기 조리본체(310)의 하부에는 물수용 공간을 가지는 포획통체(323)가 구비되고, 포획통체(323) 내부에는 증기배출통체(321)의 수증기 배출측 끝단을 위치시킨다.
포획통체(323)의 일측에는 물주입관(324)을 구비하여 포획통체(323) 내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물주입관(324)에는 개폐밸브(325)를 설치하여 물공급시 물주입관(324)의 통로를 개방하고 물공급후 조리시에는 통로를 폐쇄하여 냄새분자와 수중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포획통체(323)의 다른 일측에는 배기관(326)을 구비하여 포획통체(323) 내에서 발생한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배기관(326)에는 블로워(327)를 설치할 수 있으며, 조리본체(310)에 안전밸브(328)를 설치하여 냄새포획장치(320)의 경보음발생판(322)이 막혀 내부압 상승에 의한 폭발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3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리본체(310) 내에 물과 음식물을 넣고 가열수단으로 가열하여 조리하는 경우, 가열수단에 의한 지속적인 가열로 온도가 상승하여 물이 끓게 되면, 음식물과 물로부터 냄새분자 및 수증기가 발생함과 동시에, 조리본체(310)의 내부압이 상승하여 냄새분자 및 수증기는 냄새포획장치(320)의 증기배출통체(321)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이물질은 증기배출통체(321)의 입구측에 구비된 필터(329)에 의해 필터링되고 냄새분자가 포함된 수증기는 필터(329)를 통과하여 증기배출통체(321)의 배출측 끝단에 설치된 경보음발생판(322)의 미세 슬릿(322a)을 통과한다. 이 과정에서 날카로운 경보음을 발생하게 되고, 조리하는 사람은 경보음을 듣고 물이 끓기 시작하는 것으로 인식하게 되며, 즉시 조리를 종료하거나 물주입관(324)을 통해 포획통체(121) 내에 물을 공급한 후, 개폐밸브(325)를 조작하여 물주입관(324)의 통로를 폐쇄하여 냄새분자와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어서, 포획통체(323) 내에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냄새분자와 수증기는 물에 포획 및 용해되어 제거되므로 조리를 계속하여도 냄새분자와 수증기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고, 이어서 뜨거운 수증기가 포획통체(323) 내의 물에 지속적으로 유입됨에 따라, 결국 물이 끓게 되면, 포획통체(323) 내에서도 수증기가 발생함과 동시에 배기관(326)에 설치된 블로워(327)에 의해 배출된다.
도 7은 제3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3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증기배출통체(321)의 구성이 조리본체(310) 외부에 설치되고, 증기배출통체(321)의 수증기 유입측 끝단이 조리본체(310)의 상부 측벽에 연결된 것으로, 그 외의 구성은 전술한 제3 실시예의 구성과 모두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0,210,310 : 조리본체 120,220,320 : 냄새포획장치
121,221,323 : 포획통체 122,132,222,322 : 경보음발생판
122a,132a,222a,322a : 슬릿 123,326 : 배기관
124,224 : 온도센서 125,225 : 제어부
126,226 : 경보수단 321 : 증기배출통체
324 : 물주입관 325 : 개폐밸브

Claims (6)

  1.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방부를 가지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개방부를 덮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조리본체; 및 상기 조리본체에 설치되어 냄새를 포획 및 용해시켜 제거하기 위한 냄새포획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냄새포획장치는, 조리본체 내부에서 발생한 냄새분자를 포함한 수증기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수증기 유입측에 고정 설치되어 수증기가 통과할 때 경보음을 발생하는 미세한 슬릿이 형성된 제1 경보음발생판과, 상기 제1 경보음발생판 상부에 물저장공간을 구비한 포획통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포획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통체의 물저장공간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검출된 온도를 미리 입력한 기준온도와 비교하여 기준온도에 도달할 때 경보수단을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포획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통체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어 수증기가 통과할 때 경보음을 발생하는 미세한 슬릿이 형성된 제2 경보음발생판과, 상기 포획통체의 수증기 배출측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에 설치된 블로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포획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통체의 수증기 배출측 개방부를 선택적으로 덮기 위한 덮개와, 상기 덮개에 설치되어 포획통체의 내부압력이 일정치 이상 상승할 때 수증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안전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포획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
  5.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방부를 가지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개방부를 덮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조리본체; 및 상기 조리본체에 설치된 냄새포획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냄새포획장치는,
    상기 조리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조리본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냄새분자를 포함한 수증기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수증기 유입측 끝단은 조리본체 내의 상부에 위치하고 수증기 배출측 끝단은 조리본체 바닥을 관통하여 하부로 노출되며, 상기 수증기 배출측에 설치되어 수증기가 통과할 때 경보음을 발생하는 미세한 슬릿이 형성된 경보음발생판을 구비한 증기배출통체;
    상기 증기배출통체의 수증기 유입측에 설치된 필터;
    상기 조리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증기배출통체의 수증기 배출측 끝단이 내부에 위치하고 물수용 공간을 구비한 포획통체;
    상기 포획통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포획통체 내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주입관;
    상기 물주입관에 설치되어 물주입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밸브;
    상기 포획통체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어 포획통체 내에서 발생한 수증기를 배출하는 배기관; 및
    상기 배기관에 설치한 블로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포획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
  6.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방부를 가지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개방부를 덮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조리본체; 및 상기 조리본체에 설치된 냄새포획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냄새포획장치는,
    상기 조리본체 외부에 설치되어 조리본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냄새분자를 포함한 수증기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수증기 유입측 끝단이 조리본체의 상부 측벽에 연결되고 수증기 배출측에는 수증기가 통과할 때 경보음을 발생하는 미세한 슬릿이 형성된 경보음발생판을 구비한 증기배출통체;
    상기 증기배출통체의 수증기 유입측에 설치된 필터;
    상기 조리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증기배출통체의 수증기 배출측 끝단이 내부에 위치하고 물수용 공간을 구비한 포획통체;
    상기 포획통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포획통체 내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주입관;
    상기 물주입관에 설치되어 물주입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밸브;
    상기 포획통체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어 포획통체 내에서 발생한 수증기를 배출하는 배기관; 및
    상기 배기관에 설치된 블로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포획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
KR1020140077486A 2014-06-24 2014-06-24 냄새포획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 KR101592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486A KR101592245B1 (ko) 2014-06-24 2014-06-24 냄새포획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486A KR101592245B1 (ko) 2014-06-24 2014-06-24 냄새포획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289A true KR20160000289A (ko) 2016-01-04
KR101592245B1 KR101592245B1 (ko) 2016-02-05

Family

ID=55164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486A KR101592245B1 (ko) 2014-06-24 2014-06-24 냄새포획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22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448B1 (ko) * 2016-04-25 2016-12-01 이영희 팬 탈취장치와 조리후 탈취방법
KR20230051645A (ko) * 2021-10-10 2023-04-18 류운형 냄새 및 연기 방지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기 뚜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793Y1 (ko) * 2018-05-01 2020-01-03 조용균 오목냄비뚜껑
EP3805647A4 (en) 2018-06-07 2022-07-06 Younghee Lee COOKING SMOKE VENTILATION APPARATUS
KR102056024B1 (ko) 2019-03-26 2019-12-13 이영희 요리 매연 배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9500B1 (ko) * 1999-08-30 2002-03-23 신이슬 냄새제거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
JP5241460B2 (ja) * 2008-12-08 2013-07-17 三菱電機株式会社 炊飯器
JP2013029264A (ja) * 2011-07-29 2013-02-07 Iwao Yuasa 膨張式台所換気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448B1 (ko) * 2016-04-25 2016-12-01 이영희 팬 탈취장치와 조리후 탈취방법
WO2017188561A1 (ko) * 2016-04-25 2017-11-02 이영희 팬 탈취장치와 조리 후 탈취방법
KR20230051645A (ko) * 2021-10-10 2023-04-18 류운형 냄새 및 연기 방지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기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2245B1 (ko) 2016-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2245B1 (ko) 냄새포획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
US72826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limiting the escape of heat and steam from an open oven door
KR102053571B1 (ko) 다단 취사기의 제어방법
JP2008178719A (ja) 炊飯器
JP2010246657A (ja) 炊飯器
WO2008148281A1 (fr) Procédé et dispositif permettant de préparer une solution avec un équipement pour préparer du thé parfumé
JP4660942B2 (ja) 加熱調理器
JP6655394B2 (ja) 乾燥機
JP2012223473A (ja) 炊飯器
JP5265324B2 (ja) 加熱調理器
CN112120527A (zh) 一种烹饪器具的控制方法
JP2011161094A (ja) 炊飯器
KR101440981B1 (ko) 전기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
JP2004275293A (ja) 圧力フライヤー
JP2007204564A (ja) 炭化処理装置
KR100791099B1 (ko) 전기압력 보온밥솥의 공기배출장치
JP3576964B2 (ja) だし取り装置
JP2005087358A (ja) 炊飯器
JP2018033646A5 (ko)
KR200182394Y1 (ko) 압력튀김장치
JP2009261833A (ja) 燻製調理器
IT201900002861A1 (it) Apparato per la cottura automatica e veloce di cibi
JP2007204563A (ja) 炭化処理装置および炭化処理方法
JP2005152196A (ja) 炊飯器
KR200165198Y1 (ko) 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