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040U - 블록인양용 러그 - Google Patents

블록인양용 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040U
KR20160000040U KR2020140004826U KR20140004826U KR20160000040U KR 20160000040 U KR20160000040 U KR 20160000040U KR 2020140004826 U KR2020140004826 U KR 2020140004826U KR 20140004826 U KR20140004826 U KR 20140004826U KR 20160000040 U KR20160000040 U KR 201600000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lug
connection hole
stopp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8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1207Y1 (ko
Inventor
이재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48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207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0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0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2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2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02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the lifting is done by hau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재사용이 가능한 블록인양용 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르면, 블록과 결합되는 제1부재, 상기 제1부재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블록 외측까지 연장되며, 인양구와 연결되어 인양구의 장력이 인가되는 제2부재,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시키며, 상기 제2부재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제1결합부재 및 상기 제1부재와 블록을 결합시키는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재가 상기 블록과 착탈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블록인양용 러그{Lug for Lifting Block}
본 고안은 블록인양용 러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재사용이 가능한 블록인양용 러그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곡면 부분을 형성하는 곡블록은 형태나 모양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대량으로 규격화된 크기 및 형태가 아니다. 따라서 곡블록을 인양하려면 추가적으로 러그를 곡블록에 용접하고, 러그에 인양구를 연결하여 이동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할 경우, 곡블록을 회전시킨다던가 하여 방향을 변경하였을 때 크레인의 와이어가 곡블록에 간섭될 수 있다.
따라서 곡블록을 내려놓고 다시 곡블록을 회전시키고 새로운 곳에 다시 상기 러그를 용접하여 곡블록을 들어올리는 작업이 반복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작업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공개실용신안 20-2009-0010323 (공개일: 2009년 10월 12일)
본 고안은 재사용이 가능한 블록인양용 러그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고안은 곡블록 인양에 효과적인 블록인양용 러그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고안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르면, 블록과 결합되는 제1부재, 상기 제1부재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블록 외측까지 연장되며, 인양구와 연결되어 인양구의 장력이 인가되는 제2부재,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시키며, 상기 제2부재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제1결합부재 및 상기 제1부재와 상기 블록을 결합시키는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재가 상기 블록과 착탈이 가능한 블록인양용 러그가 개시된다.
상기 제1부재에 상기 블록과 결합되는 제1연결홀 및 상기 제2부재와 결합되는 제2연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부재에 상기 제1부재의 제2연결홀과 연통되는 제3연결홀 및 상기 인양구와 결합되는 제4연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부재는 상기 제2연결홀과 상기 제3연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제2부재의 어느 일면측과 연접되어 상기 제2부재가 일측으로 더 이상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1스토퍼 및 상기 제2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제1부재의 어느 일면과 연접되어 상기 제2부재가 타측으로 더 이상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스토퍼 및 제2스토퍼 사이의 영역은 상기 제2부재가 회전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블록인양용 러그는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블록인양용 러그는 곡블록 인양에 효과적일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인양용 러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블록인양용 러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블록인양용 러그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블록인양용 러그가 설치된 블록을 도시한 정면도;
도 6 및 도 5에 도시된 블록이 뒤집어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그리고,
도 7은 일반적인 러그가 설치된 블록이 인양된 상태와 블록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블록인양용 러그가 양 측면에 설치된 블록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인양용 러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인양용 러그는 제1부재(100), 제2부재(200), 제1결합부재(300) 및 제2결합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부재(100)는 블록(10)(block)과 결합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블록(10)으로는 곡면을 가진 곡블록(10)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곡면이 없는 형태의 블록(10)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제2부재(200)는 상기 제1부재(10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블록(10) 외측까지 연장되며, 인양구(600)와 연결되어 인양구(600)의 장력이 인가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300)는 상기 제1부재(100)와 제2부재(200)를 결합시키며, 상기 제2부재(200)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재(400)는 상기 제1부재(100)와 상기 블록(10)을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부재(100)는 상기 블록(10)과 착탈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인양구(600)는 크레인(crane)의 와이어(wire) 또는 샤클(shackle) 및 후크(hook)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타 다양한 설비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는 본 실시예의 블록인양용 러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블록인양용 러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10)에 체결홀(70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부재(100)에 상기 블록(10)과 결합되는 제1연결홀(120) 및 상기 제2부재(200)와 결합되는 제2연결홀(1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부재(200)에 상기 제1부재(100)의 제2연결홀(140)과 연통되는 제3연결홀(220) 및 상기 인양구(600)와 결합되는 제4연결홀(240)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부재(300)는 상기 제2연결홀(140)과 상기 제3연결홀(220)을 관통하여 상기 제1부재(100)와 상기 제2부재(200)를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결합부재(400)는 상기 체결홀(700)과 상기 제1연결홀(120)을 관통하여 상기 블록(10)과 상기 제1부재(1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재(300) 및 제2결합부재(400)와 치합되는 너트부(8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너트부(800)는 제1결합부재(300) 및 제2결합부재(400)와 치합되어 제1결합부재(300) 및 제2결합부재(400)를 제1부재(100) 및 제2부재(200)와 고정시키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이 때 제1결합부재(300) 및 제2결합부재(400)의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상기 제1연결홀(120) 내지 제4연결홀(240) 및 체결홀(700)의 크기 및 개수는 도 3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크기 및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블록인양용 러그가 설치된 블록(10)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블록(10)이 뒤집어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양구(600)에 의해 블록(10)이 인양될 경우, 회전가능한 제2부재(200)는 제1스토퍼(160)(stopper) 및 제2스토퍼(26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160)는 상기 제1부재(100)에 형성되어, 상기 제2부재(200)의 어느 일면측과 연접되어 상기 제2부재(200)가 일측으로 더 이상 회전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제2스토퍼(260)는 상기 제2부재(200)에 형성되어, 상기 제1부재(100)의 어느 일면과 연접되어 상기 제2부재(200)가 타측으로 더 이상 회전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160) 및 제2스토퍼(260) 사이의 영역은 상기 제2부재(200)가 회전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160) 및 제2스토퍼(260)는 상기 제2부재(200)와 인접하여 상기 제2부재(200)를 지지하며, 상기 제2부재(200)가 상기 일측 및 타측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선박을 조립하는 다양한 작업 중에, 블록(10)이 인양된 상태에서 상기 블록(10)을 회전시키는 작업이 필요할 수 있다.
도 7은 일반적인 러그(lug)(20)가 설치된 블록(10)이 인양된 상태와 블록(10)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의 (a)는 일반적인 러그(20)가 설치된 블록(10)이 인양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의 (b)는 도 7의 (a)의 상태에서 블록(10)의 양측 중 하나의 일반적은 러그(20)를 중심으로 블록(10)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의 (a)의 상태에서 양측 중 일측의 인양구(600)가 분리되고, 타측의 일반적은 러그(20)를 중심으로 블록(10)이 회전되어 도 7의 (b)의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때 인양구(600)는 상기 블록(10)과 간섭되어 파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러그(20)를 사용할 경우 인양구(600)가 상기 블록(10)에 간섭되기 때문에 블록(10)이 인양된 상태에서 상기 블록(10)을 회전시키는 작업은 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러그(20)를 사용할 경우, 블록(10)을 내려놓고 다시 블록(10)을 회전시키고 새로운 곳에 다시 일반적인 러그(20)를 용접하여 블록(10)을 들어올려야만 한다.
반면에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인양용 러그가 블록(10)의 양 측면 중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일반적인 러그(20)와 연결된 인양구(600)가 분리되고, 블록인양용 러그를 중심으로 블록(10)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일반적인 러그(20)와 연결된 인양구(600)가 분리되고, 블록(10)이 회전된 후, 분리된 인양구(600)는 기존에 연결되던 면과 반대편의 면에 설치된 일반적인 러그(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블록인양용 러그의 제2부재(200)는, 블록(10)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블록(1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록인양용 러그와 연결된 인양구(600)는 상기 블록(10)에 간섭되지 않을 수 있으며, 작업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인양용 러그를 사용하여, 블록(10)이 인양된 상태에서 블록(10)을 회전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블록인양용 러그가 양 측면에 설치된 블록(10)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블록인양용 러그는 블록(10)의 양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일반적인 러그(20)가 블록(1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블록인양용 러그가 블록(10)의 타측에 구비되는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도 8에 도시된 블록인양용 러그가 블록(10) 양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작업자는 블록(10)에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양 측면에 본 고안의 블록인양용 러그를 상기 블록(10)의 양측에 구비할 수 있다.
블록인양용 러그는 블록(10)의 양 측면에 구비될 경우, 일반적인 러그(20)를 용접하는 작업을 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더 높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인양용 러그는 블록(10)과 볼팅연결되기 때문에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재료비 절감에 효과적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고안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블록 20: 일반적인 러그
100: 제1부재 120: 제1연결홀
140: 제2연결홀 160: 제1스토퍼
200: 제2부재 220: 제3연결홀
240: 제4연결홀 260: 제2스토퍼
300: 제1결합부재 400: 제2결합부재
600: 인양구 700: 체결홀
800: 너트부

Claims (4)

  1. 블록과 결합 되는 제1부재;
    상기 제1부재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블록 외측까지 연장되며, 인양구와 연결되어 인양구의 장력이 인가되는 제2부재;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시키며, 상기 제2부재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제1결합부재; 및
    상기 제1부재와 상기 블록을 결합시키는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재가 상기 블록과 착탈이 가능한 블록인양용 러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에 상기 블록과 결합되는 제1연결홀 및 상기 제2부재와 결합되는 제2연결홀이 형성되는 블록인양용 러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에 상기 제1부재의 제2연결홀과 연통되는 제3연결홀 및 상기 인양구와 결합되는 제4연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부재는 상기 제2연결홀과 상기 제3연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블록인양용 러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제2부재의 어느 일면측과 연접되어 상기 제2부재가 일측으로 더 이상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1스토퍼 및
    상기 제2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제1부재의 어느 일면과 연접되어 상기 제2부재가 타측으로 더 이상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스토퍼 및 제2스토퍼 사이의 영역은 상기 제2부재가 회전하는 영역이 되는 블록인양용 러그.
KR2020140004826U 2014-06-26 2014-06-26 블록인양용 러그 KR2004812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826U KR200481207Y1 (ko) 2014-06-26 2014-06-26 블록인양용 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826U KR200481207Y1 (ko) 2014-06-26 2014-06-26 블록인양용 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040U true KR20160000040U (ko) 2016-01-06
KR200481207Y1 KR200481207Y1 (ko) 2016-08-30

Family

ID=55174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826U KR200481207Y1 (ko) 2014-06-26 2014-06-26 블록인양용 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207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323U (ko) 2008-04-07 2009-10-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블록 인양용 러그 설치구조
KR20130053911A (ko) * 2011-11-16 2013-05-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록 이동용 러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323U (ko) 2008-04-07 2009-10-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블록 인양용 러그 설치구조
KR20130053911A (ko) * 2011-11-16 2013-05-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록 이동용 러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207Y1 (ko) 2016-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00548C (en) Arrangement related to guiding of hoses and/or cables
US20160152449A1 (en) Triangular lift frame with load blocks
KR200481207Y1 (ko) 블록인양용 러그
CN207497906U (zh) 一种水平翻转吊挂架
CN203282122U (zh) 箱体钢吊装及翻转护角工装
KR101420970B1 (ko) 선박의 체인 교정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교정 방법
KR200484090Y1 (ko) 파이프 권상용 지그
JP5521849B2 (ja) 移動式クレーンのウインチ取付構造
CN207774617U (zh) 一种重型箱体柱翻面夹具
JP3741620B2 (ja) 異径シーブのロープ外れ止め具
CN208182462U (zh) 一种钢柱吊装抱箍
KR20170089290A (ko) 권상용 지그의 체결구조
KR200429984Y1 (ko) 유니버셜 앵글 죠우 클램프
KR101812678B1 (ko) 수동식 해제부재를 구비한 중량물 집게장치
KR20150000802U (ko) 파이프 리프팅 장치
KR200366335Y1 (ko) 크레인 후크의 연결구조
CN210260819U (zh) 一种应用于钢构件加工焊接组立的伸缩式吊具
KR101258917B1 (ko) 블록 리프팅 장치
KR20130006796U (ko) 슬링벨트 보호용 패드
CN219708863U (zh) 钢卷吊运装置
CN217102699U (zh) 一种整机吊具
CN211034893U (zh) 一种吊具工装
KR20180000542U (ko) 개선된 핀 홀이 형성되는 구멍쇠
CN204238093U (zh) 一种路基板活动吊环
JP2005240296A (ja) 鉄骨材用吊り治具およびその吊り上げ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