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678B1 - 수동식 해제부재를 구비한 중량물 집게장치 - Google Patents

수동식 해제부재를 구비한 중량물 집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678B1
KR101812678B1 KR1020160042688A KR20160042688A KR101812678B1 KR 101812678 B1 KR101812678 B1 KR 101812678B1 KR 1020160042688 A KR1020160042688 A KR 1020160042688A KR 20160042688 A KR20160042688 A KR 20160042688A KR 101812678 B1 KR101812678 B1 KR 101812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bodies
pair
fixed
heavy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5278A (ko
Inventor
강성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전흥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전흥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전흥기업
Priority to KR1020160042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678B1/ko
Publication of KR20170115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2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ctuated by lift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4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4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 B66C1/4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actuated by lifting fo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맞댄 상태로 중간에 형성하는 회동축(120)을 중심으로 내측 또는 외측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한 쌍의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형성하여 중량물(A)의 양측면을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클램프(130);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형성하여 작업자의 조작으로 한 쌍의 상기 몸체(110)의 상부면에 동시에 맞닿아 고정하여 상기 클램프(130)가 내측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유도하여 중량물(A)을 분리할 수 있는 수동식 해제부재(200);를 포함하는 수동식 해제부재를 구비한 중량물 집게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중량물을 바닥에 내려놓은 후 작업자가 조작하여 클램프가 내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시켜 중량물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클램프를 외측으로 벌린 상태로 새로운 중량물을 쉽게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작업자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수동식 해제부재를 구비한 중량물 집게장치{Manual lift member with heavy clamp device}
본 발명은 수동식 해제부재를 구비한 중량물 집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계석 및 하수관 등과 같은 중량물을 고정 및 운반하여 내려놓은 후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 중량물의 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동식 해제부재를 구비한 중량물 집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량물 집게장치는 경계석 또는 블록, 수로관 등과 같은 중량물을 고정하여 지정한 위치로 운반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중량물 집게장치는 클램프가 중량물을 고정하여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압착으로 인해서 중량물을 운반한 후 바닥에 내려놓아도 고정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므로 중량물을 쉽게 분리시킬 수 없는 구조상의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특히 작업자가 일일이 클램프를 양측으로 손으로 벌리거나 발로 밀어서 고정상태를 해지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증가하고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또한, 새로운 중량물을 고정하기 위해서 클램프를 외측으로 벌린 상태를 유지해야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15414호(2003.06.02) 한국등록특허 제10-0603072호(2006.07.24)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35379호(2010.12.27) 한국등록특허 제10-1235852호(2013.02.21) 한국등록특허 제10-1262957호(2013.05.13)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중량물을 바닥에 내려놓은 후 작업자가 조작하여 클램프가 내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시켜 중량물을 쉽게 분리 또는 삽입할 수 있는 수동식 해제부재를 구비한 중량물 집게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수동식 해제부재를 구비한 중량물 집게장치(100)는,
서로 맞댄 상태로 중간에 형성하는 회동축(120)을 중심으로 내측 또는 외측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한 쌍의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형성하여 중량물(A)의 양측면을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클램프(130);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형성하여 작업자의 조작으로 한 쌍의 상기 몸체(110)의 상부면에 동시에 맞닿아 고정하여 상기 클램프(130)가 내측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유도하여 중량물(A)을 분리할 수 있는 수동식 해제부재(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는 연결구(B)를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공(111)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는 상기 클램프(130)가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11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클램프(130)의 내측에는 중량물(A)과 맞닿아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내마모판(13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한 쌍의 상기 몸체(110)의 상부 외측에 제1힌지축(140)을 형성하고, 상기 제1힌지축(140)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 쌍의 보조몸체(150)를 구비하며, 한 쌍의 상기 보조몸체(150)의 내측을 서로 겹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2힌지축(16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수동식 해제부재(200)는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형성하는 지지몸체(210); 상기 지지몸체(210)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삽입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축(220); 상기 회전축(22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고정구(230); 상기 고정구(230)의 타측에서 하부방향으로 형성하는 지지구(2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회전축(220)의 하부에 결합구(221)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220)의 외경에 삽입한 상태로 상기 지지몸체(210)의 하부와 결합구(221)의 상부 사이에 맞닿도록 스프링(25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중량물을 바닥에 내려놓은 후 작업자가 조작하여 클램프가 내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시켜 중량물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클램프를 외측으로 벌린 상태로 새로운 중량물을 쉽게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작업자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수동식 해제부재를 구비한 중량물 집게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수동식 해제부재를 구비한 중량물 집게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수동식 해제부재를 구비한 중량물 집게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수동식 해제부재를 구비한 중량물 집게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수동식 해제부재를 구비한 중량물 집게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작동상태 참고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수동식 해제부재를 구비한 중량물 집게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작동상태 참고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수동식 해제부재를 구비한 중량물 집게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수동식 해제부재를 구비한 중량물 집게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수동식 해제부재를 구비한 중량물 집게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수동식 해제부재를 구비한 중량물 집게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수동식 해제부재를 구비한 중량물 집게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작동상태 참고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수동식 해제부재를 구비한 중량물 집게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작동상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서로 맞댄 상태로 중간에 형성하는 회동축(120)을 중심으로 내측 또는 외측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한 쌍의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형성하여 중량물(A)의 양측면을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클램프(130);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형성하여 작업자의 조작으로 한 쌍의 상기 몸체(110)의 상부면에 동시에 맞닿아 고정하여 상기 클램프(130)가 내측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유도하여 중량물(A)을 분리할 수 있는 수동식 해제부재(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110)는 상부에 로프 또는 사슬, 체인 등과 같은 연결구(B)를 이용하여 굴삭기 등과 같은 중장비에 연결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는 연결구(B)를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공(111)을 형성하여 작업자가 편리하게 연결구(B)를 연결공(111)의 내부를 관통시켜 묶어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축(120)은 한 쌍의 상기 몸체(110)를 서로 맞댄 상태로 중간을 관통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중심역할로 몸체(110)를 상부로 들어올리거나 내릴 경우 상기 클램프(130)가 내측 또는 외측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한편, 상기 클램프(130)는 중량물(A)의 양측면을 압착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클램프(130)의 내측에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내측면에 널링 또는 거칠게 가공한 내마모판(131)을 더 형성하여 중량물(A)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마모 및 미끌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는 상기 클램프(130)가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112)을 형성하여 중량물(A)의 측면 모양 및 기울기에 따라서 클램프(130)가 회전하면서 밀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상부 양측 부분을 들어올릴 경우 상기 몸체(110)의 하부가 상기 회동축(120)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클램프(130)가 중량물(A)의 양측면을 압착 및 고정하여 운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다른 실시예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기 몸체(110)의 상부 외측에 제1힌지축(140)을 형성하고, 상기 제1힌지축(140)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 쌍의 보조몸체(150)를 구비하며, 한 쌍의 상기 보조몸체(150)의 내측을 서로 겹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2힌지축(160)을 형성하여 연결구(B)를 상기 보조몸체(150)의 상부에 연결하여 들어올릴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몸체(150)의 상부에는 연결구(B)를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공(151)을 형성하여 작업자가 편리하게 연결구(B)를 연결공(151)의 내부를 관통시켜 묶어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몸체(150)의 중간 부분을 들어올릴 경우 상기 몸체(110)의 하부가 상기 회동축(120)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클램프(130)가 중량물(A)의 양측면을 압착 및 고정하여 운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동식 해제부재(200)는 종래와 같이 중량물(A)을 바닥에 내려놓은 후 상기 몸체(110)를 다시 들어올리면 상기 클램프(130)가 다시 내측으로 회전하면서 중량물(A)의 양측면을 압착하여 중량물(A)을 분리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중량물(A)을 고정할 경우 상기 클램프(130)가 벌려진 상태가 아닌 내측으로 회전한 상태이므로 작업자가 일일이 클램프(130)를 벌린 상태에서 중량물(A)을 내부로 삽입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다.
즉, 상기 수동식 해제부재(200)는 중량물(A)을 바닥에 내려놓은 후 작업자가 조작하여 한 쌍의 상기 몸체(110)가 상기 회동축(120)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시켜 상기 클램프(130)가 내측으로 회전하지 않아 벌려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중량물(A)을 분리시킬 수 있고, 반대로 새로운 중량물(A)을 운반할 경우 벌려진 상태의 상기 클램프(130)의 내부로 삽입한 후 작업자가 상기 수동식 해제부재(200)를 다시 조작하면 상기 클램프(130)가 내측으로 회전하면서 새로운 중량물(A)을 압착 및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수동식 해제부재(2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형성하는 지지몸체(210); 상기 지지몸체(210)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삽입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축(220); 상기 회전축(22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고정구(230); 상기 고정구(230)의 타측에서 하부방향으로 형성하는 지지구(24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지몸체(210)는 상기 회전축(220)의 내부에 삽입할 수 있도록 관통한 상태로 상기 회전축(220)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몸체(210)의 하부에 고정하기 위한 결합구(221)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구(221)는 핀 또는 너트 등과 같이 상기 회전축(220)의 하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고정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20)의 외경에 삽입한 상태로 상기 지지몸체(210)의 하부와 결합구(221)의 상부 사이에 맞닿도록 스프링(250)을 형성하여 상기 스프링(25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회전축(220) 및 고정구(230)를 하부방향으로 당겨서 쉽게 헛돌지 않도록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230)는 회전방향에 따라서 한 쌍의 상기 몸체(110)의 상부면을 동시에 맞닿아 상기 몸체(110)가 상부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시켜, 결과적으로 상기 클램프(130)가 내측으로 회전하지 못하므로 중량물(A)을 쉽게 분리시키고 새롭게 운반할 중량물(A)을 쉽게 상기 클램프(130)의 사이로 삽입할 수 있다.
여기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230)는 상기 보조몸체(150)의 상부면을 맞닿아 상기 몸체(110) 및 보조몸체(150)가 상부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시켜, 결과적으로 상기 클램프(130)가 내측으로 회전하지 못하므로 중량물(A)을 쉽게 분리시키고 새롭게 운반할 중량물(A)을 쉽게 상기 클램프(130)의 사이로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구(240)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상기 고정구(230)를 회전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몸체(110)의 측면에 맞닿게 되므로 상기 고정구(230)가 헛돌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0: 본 발명 수동식 해제부재를 구비한 중량물 집게장치
110: 몸체 111: 연결공
112: 회전축 120: 회동축
130: 클램프 131: 내마모판
140: 제1힌지축 150: 보조몸체
151: 연결공 160: 제2힌지축
200: 수동식 해제부재
210: 지지몸체 220: 회전축
221: 결합구 230: 고정구
240: 지지구 250: 스프링
A: 중량물 B: 연결구

Claims (6)

  1. 서로 맞댄 상태로 중간에 형성하는 회동축(120)을 중심으로 내측 또는 외측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한 쌍의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형성하여 중량물(A)의 양측면을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클램프(130);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형성하여 작업자의 조작으로 한 쌍의 상기 몸체(110)의 상부면에 동시에 맞닿아 고정하여 상기 클램프(130)가 내측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유도하여 중량물(A)을 분리할 수 있는 수동식 해제부재(200);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는 연결구(B)를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공(111)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는 상기 클램프(130)가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112)을 형성하며, 상기 클램프(130)의 내측에는 중량물(A)과 맞닿아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내마모판(131)을 형성하되, 한 쌍의 상기 몸체(110)의 상부 외측에 제1힌지축(140)을 형성하고, 상기 제1힌지축(140)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 쌍의 보조몸체(150)를 구비하며, 한 쌍의 상기 보조몸체(150)의 내측을 서로 겹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2힌지축(160)을 형성하고, 상기 수동식 해제부재(200)는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형성하는 지지몸체(210); 상기 지지몸체(210)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삽입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축(220); 상기 회전축(22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고정구(230); 상기 고정구(230)의 타측에서 하부방향으로 형성하는 지지구(240);로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축(220)의 하부에 결합구(221)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220)의 외경에 삽입한 상태로 상기 지지몸체(210)의 하부와 결합구(221)의 상부 사이에 맞닿도록 스프링(250)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해제부재를 구비한 중량물 집게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042688A 2016-04-07 2016-04-07 수동식 해제부재를 구비한 중량물 집게장치 KR101812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688A KR101812678B1 (ko) 2016-04-07 2016-04-07 수동식 해제부재를 구비한 중량물 집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688A KR101812678B1 (ko) 2016-04-07 2016-04-07 수동식 해제부재를 구비한 중량물 집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278A KR20170115278A (ko) 2017-10-17
KR101812678B1 true KR101812678B1 (ko) 2017-12-27

Family

ID=60298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688A KR101812678B1 (ko) 2016-04-07 2016-04-07 수동식 해제부재를 구비한 중량물 집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26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218B1 (ko) * 2019-11-14 2020-08-24 노재덕 창문 홀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072B1 (ko) * 2004-08-19 2006-07-24 (주)신우콘크리트산업 블록 파지장치
JP7013408B2 (ja) * 2019-03-27 2022-01-31 パンパシフィック・カッパー株式会社 気液分離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072B1 (ko) * 2004-08-19 2006-07-24 (주)신우콘크리트산업 블록 파지장치
JP7013408B2 (ja) * 2019-03-27 2022-01-31 パンパシフィック・カッパー株式会社 気液分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278A (ko) 2017-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4800B1 (en) Flange lifter device
US4515522A (en) Pipelaying appliance
US20120280521A1 (en) Flange Lifter Device
CN203065010U (zh) 圆环吊具
US8303006B2 (en) Apparatus for gripping and lifting construction castings
US4452481A (en) Lifting tongs
KR101812678B1 (ko) 수동식 해제부재를 구비한 중량물 집게장치
CN209890088U (zh) 一种用于工程施工中板材吊装用夹持爪
USRE32532E (en) Pipelaying appliance
NL2005077C2 (en) Self clamping lifting clamp.
CN203718224U (zh) 快速夹紧释放装置及包括该装置的快速接头装置
US7823945B2 (en) Pipe engaging and lifting apparatus
KR20160149892A (ko) 경계석 집게장치
CN203767856U (zh) 自动开合式钢管吊钳
CN105539935B (zh) 一种压缩机自动上线装置及其包材夹取装置
KR101705790B1 (ko) 중량물 집게장치
JP6415246B2 (ja) 管継手接合装置
CN105314532A (zh) 带有自锁定结构的吊装工具
JP6130281B2 (ja) 管継手接合装置及び管継手接合方法
KR101705789B1 (ko) 중량물 집게장치
WO2020087510A1 (zh) 小修井自动作业装置
US1794306A (en) Automatic lifting device
WO2020087508A1 (zh) 一种管杆自动上卸扣装置
CN216375625U (zh) 一种用于钢管转运的夹持工具
CN106122373B (zh) 一种钢丝绳安装进楔形接头的安装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