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090Y1 - 파이프 권상용 지그 - Google Patents

파이프 권상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090Y1
KR200484090Y1 KR2020150003736U KR20150003736U KR200484090Y1 KR 200484090 Y1 KR200484090 Y1 KR 200484090Y1 KR 2020150003736 U KR2020150003736 U KR 2020150003736U KR 20150003736 U KR20150003736 U KR 20150003736U KR 200484090 Y1 KR200484090 Y1 KR 2004840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ling
present
members
engaging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7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4341U (ko
Inventor
최원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37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090Y1/ko
Publication of KR201600043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3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0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0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Abstract

파이프 권상용 지그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면(aspect)에 따른 파이프 권상용 지그는, 파이프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외측에 슬링 홈을 구비하는 복수의 결합부재; 상기 슬링 홈에 안착되어 상기 복수의 결합부재를 상기 파이프에 고정시키는 슬링; 및 상기 복수의 결합부재 각각에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를 권상하기 위한 와이어가 연결되는 와이어 고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이프 권상용 지그{Jig for lifting pipe}
본 고안은 파이프 권상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를 권상하기 위해 파이프에 설치되는 파이프 권상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설비의 각종 구조물에는 수직하게 설치되는 파이프 라인들이 존재한다.
파이프 라인들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일단 파이프를 수직하게 인양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는바, 파이프를 수직하게 인양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으로, 인양해야 할 파이프의 끝단에 인양러그가 형성된 리프팅지그를 용접하거나 리프팅 패드아이를 파이프에 직접 용접한 후 파이프를 고공으로 인양하고, 파이프의 설치 또는 수직 결합이 종료되면 고공에서 파이프에 용접된 리프팅지그 또는 패드아이를 제거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파이프에 용접 흔적이 남거나 용접 잔여물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파이프 표면을 깨끗하게 연마하는 별도의 그라인딩 작업을 실시해야 하고, 리프팅지그 또는 패드아이의 용접 및 제거에 따른 파이프의 손상 여부를 검사하기 위하여 비파괴검사 등이 수반되는바, 이에 따라 파이프의 인양작업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고공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제거 작업과 그라인딩 작업 및 비파괴 검사를 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다른 방법으로, 인양해야 할 파이프 자체에 용접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파이프의 끝단부에 패드아이를 용접할 수 있는 별도의 여유부(Margin Portion)를 형성하고 이 여유부에 패드아이를 용접한 다음 파이프를 고공으로 인양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도 파이프를 고공으로 인양한 후 여유부(Margin Portion)를 절단해야 하고, 또한 절단된 부위의 마감을 위해 그라이딩작업을 해야 하므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이프를 인양하여 설치하는 작업이 불편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특히 고공에서 실시되는 절단 작업과 그라인딩 작업으로 인해 항상 안전사고의 위험이 뒤따르게 된다.
한국공개실용신안 KR 20-2013-0004113 (2013.07.05)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파이프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신속하고 간편하게 파이프를 인양할 수 있는 파이프 권상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면(aspect)에 따른 파이프 권상용 지그는 파이프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외측에 슬링 홈을 구비하는 복수의 결합부재; 상기 슬링 홈에 안착되어 상기 복수의 결합부재를 상기 파이프에 고정시키는 슬링; 및 상기 복수의 결합부재 각각에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를 권상하기 위한 와이어가 연결되는 와이어 고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결합부재와 상기 파이프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마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테이퍼지게 형성되되, 상기 와이어 고리가 위치한 측으로 갈수록 점점 두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결합부재는,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파이프 권상용 지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파이프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신속하고 간편하게 파이프를 인양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권상용 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권상용 지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권상용 지그의 일부분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권상용 지그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하나의 소자(elements)가 다른 소자와 "접속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소자가 다른 소자와 "직접 접속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권상용 지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권상용 지그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권상용 지그의 일부분의 횡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권상용 지그의 종단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권상용 지그는 복수의 결합부재(12), 복수의 마찰부재(14), 슬링(16), 와이어 고리(18)을 포함하나,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권상용 지그는 해양 설비의 각종 구조물에 파이프(P)를 수직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파이프(P)를 인양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목적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결합부재(12)는 파이프(P)의 외주면에 적어도 2개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2개의 결합부재(12)는 서로 이격되고, 파이프(P)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결합부재(12)는 외측에 슬링 홈(12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슬링 홈(122)은 후술하는 슬링(16)이 안착되도록 파이프(P)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12)는 4개로 이루어 지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결합부재(12)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마찰부재(14)는 결합부재(12)와 파이프(P) 사이에 배치된다. 이 때, 마찰부재(14)의 개수는 결합부재(12)의 개수와 대응되고, 마찰부재(14)의 크기는 결합부재(12)의 크기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또한, 마찰부재(14)는 파이프(P)의 길이 방향을 따라 테이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와이어 고리(18)가 위치한 측의 두께가 다른 영역에 비해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레인 등의 인양 수단에 의해 파이프(P)가 권상되는 경우, 마찰부재(14)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따라서, 파이프(P)가 권상되는 경우, 결합부재(12)와 마찰부재(14)가 파이프(P) 상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파이프(P)가 권상되는 경우, 결합부재(12)와 마찰부재(14)가 파이프(P) 상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면, 마찰부재(14)의 테이퍼진 각도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부재(14)는 4개로 이루어 지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결합부재(12)의 개수와 대응된다면, 마찰부재(14)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슬링(16)은 결합부재(12)의 슬링 홈(122)에 안착되어 결합부재(12)를 파이프(P)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슬링(16)은 결합부재(12)뿐만 아니라, 결합부재(12)와 파이프(P) 사이에 위치한 마찰부재(14)도 파이프(P)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5을 참조하면, 슬링(16)은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버클 형태의 길이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슬링 홈(122)에 안착된 상태에서, 슬링(16)의 길이가 줄어드는 경우, 슬링(16)이 결합부재(12)와 마찰부재(14) 파이프(P)의 내부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결합부재(12)와 마찰부재(14)는 파이프(P) 상에서 고정된다.
따라서, 별도의 접착제나 결합 없이도, 결합부재(12)와 마찰부재(14)를 파이프(P)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만, 결합부재(12)와 마찰부재(14)를 가압함으로써, 결합부재(12)와 마찰부재(14)를 파이프(P) 상에 고정시킬 수 있따면, 슬링(16)의 형태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와이어 고리(18)는 결합부재(12)에 구비된다. 이 때, 파이프(P)를 권상하기 위한 와이어(20)가 와이어 고리(18)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와이어 고리(18)는 각각 복수의 결합부재(12)의 일측에 구비되고, 크레인 등의 인양 수단을 통해 복수의 와이어 고리(18)에 연결된 와이어(20)을 들어올림으로써, 파이프(P)를 권상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고리(18)와 결합부재(12) 중 와이어 고리(18)가 결합되는 영역은, 와이어 고리(18)가 결합부재(12)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자유롭게 회동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와이어 고리(18)는 링 형상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권상용 지그에 따르면, 파이프(P)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신속하고 간편하게 파이프(P)를 인양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2: 결합부재
14: 마찰부재
16: 슬링
18: 와이어 고리
20: 와이어

Claims (3)

  1. 파이프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외측에 슬링 홈이 형성된 복수의 결합부재;
    상기 슬링 홈에 안착되고 상기 복수의 결합부재를 압박하여 상기 복수의 결합부재를 상기 파이프에 밀착시키는 슬링; 및
    상기 복수의 결합부재 각각에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를 권상하기 위한 와이어가 연결되는 와이어 고리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 고리는 상기 결합부재의 측면 중 상기 슬링 홈이 형성되지 않은 일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결합부재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파이프 권상용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합부재와 상기 파이프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마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테이퍼지게 형성되되,
    상기 와이어 고리가 위치한 측으로 갈수록 점점 두꺼워지는, 파이프 권상용 지그.
  3. 삭제
KR2020150003736U 2015-06-10 2015-06-10 파이프 권상용 지그 KR2004840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736U KR200484090Y1 (ko) 2015-06-10 2015-06-10 파이프 권상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736U KR200484090Y1 (ko) 2015-06-10 2015-06-10 파이프 권상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341U KR20160004341U (ko) 2016-12-20
KR200484090Y1 true KR200484090Y1 (ko) 2017-07-28

Family

ID=57709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736U KR200484090Y1 (ko) 2015-06-10 2015-06-10 파이프 권상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090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5597A (ja) * 2004-02-12 2005-08-25 Koyo Kogyo Kk 玉掛け吊具及び玉掛け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7592U (ko) * 1985-09-12 1987-03-24
KR20130004113U (ko) 2011-12-27 2013-07-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아이볼트를 이용한 스페이드 스페이서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5597A (ja) * 2004-02-12 2005-08-25 Koyo Kogyo Kk 玉掛け吊具及び玉掛け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341U (ko) 201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9121B1 (ko) 해양설비의 파이프 인양지그 장치 및 파이프 수직 결합방법
KR200484090Y1 (ko) 파이프 권상용 지그
EP2949417A1 (en) Joined body
KR200474265Y1 (ko) 이동식 맨홀커버 인양장치
KR20120003718U (ko) 파이프 이송용 클램프
CN206051280U (zh) 一种吊装工具
KR20150001074U (ko) 슬링벨트 보호용 패드
KR20100133705A (ko)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
CN203282122U (zh) 箱体钢吊装及翻转护角工装
CN112777478B (zh) 航空发动机翻转工装及其吊具
KR20100133708A (ko) 러더 혼 블록 이동용 러그
CN103183285B (zh) 一种用于轴承内外圈的吊具
KR101744283B1 (ko) 안전벨트 체결용 지그
KR20160000040U (ko) 블록인양용 러그
KR101812678B1 (ko) 수동식 해제부재를 구비한 중량물 집게장치
CN204549807U (zh) 一种工件吊装装置
KR200476956Y1 (ko) 크레인의 어태치먼트 장착구조
CN107445053B (zh) 吊具
KR20170089290A (ko) 권상용 지그의 체결구조
CN203728406U (zh) 一种吊钩
KR20140006071U (ko) 핸드레일 지지장치
CN104925652B (zh) 吊具
CN205087812U (zh) 一种辐向轴流式转轮起吊翻转夹持装置
CN105621238B (zh) 重型钢板坯料的夹持式卡吊装置及其使用方法
CN204588424U (zh) 一种机加工吊装用龙门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