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3911A - 블록 이동용 러그 - Google Patents

블록 이동용 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3911A
KR20130053911A KR1020110119620A KR20110119620A KR20130053911A KR 20130053911 A KR20130053911 A KR 20130053911A KR 1020110119620 A KR1020110119620 A KR 1020110119620A KR 20110119620 A KR20110119620 A KR 20110119620A KR 20130053911 A KR20130053911 A KR 20130053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g
plate
connector
rotating
moving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9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4398B1 (ko
Inventor
박진용
김지운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9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4398B1/ko
Publication of KR20130053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02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24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5/00Chain couplings, Shackles; Chain joints; Chain links; Chain bushes
    • F16G15/04Quickly-detachable chain couplings; Shackles chain links with rapid junction mean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kind of chain
    • F16G15/06Shackles designed for attachment by joint pins to chain elements, e.g. D-shackles so called harp links; the D-chain link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kind of ch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블록 이동용 러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이동용 러그는, 크레인에 연결되도록 제1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구를 구비하는 제1 바디, 선박 또는 해양 설비의 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1 바디에 연결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를 연결하여 상기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 이동용 러그 {LUG FOR MOVING BLOCK}
본 발명은 블록 이동용 러그(lug)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면외각(out of plane angle)을 최소화하는 블록 이동용 러그에 관한 것이다.
선박 또는 해양 시설물은 전체를 여러 개의 대형 블록으로 나누어 제작한 후 이들을 쌓고 연결하는 탑재 공정을 거쳐 완성된다. 이러한 대형 블록의 탑재 공정에 대형 크레인이 사용된다.
크레인으로 블록을 들어올리거나(lifting) 전도시키기(turn over) 위하여, 블록에 크레인의 훅이나 섀클(shackle)을 연결하는 러그(lug)가 사용된다.
러그는 블록과 별도로 제작되어 블록의 강도가 강한 위치에 요구되는 하중 조건을 충족시키는 강도를 가지고 설치된다. 러그는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블록에 작용하는 하중을 직접 받는 부분이다.
일례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그는 관통구(1)를 가지는 메인 바디(2) 및 메인 바디(2)의 측방에 구비되는 리브(rib)(3)를 가진다. 메인 바디(2)와 리브(3)가 블록에 용접으로 연결되고, 관통구(1)에 섀클(4)이 핀(5)으로 연결된다. 러그는 관통구(1)와 섀클(4)의 연결 각도, 즉 면내각(in plane angle)과 면외각(out of plane angle)의 크기에 따라 상이한 반력을 받을 수 있다.
상대적으로 비교할 때, 러그에 작용하는 면내각(in plane angle) 방향의 하중, 즉 x축을 중심 축으로 하여 러그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허용 각도는 크다. 그러나 러그에 작용하는 면외각 방향의 하중, 즉 y 또는 z축을 중심 축으로 하여 러그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허용 각도는 작다.
다른 예를 들면, 러그는 면외각 하중에 대한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메인 바디의 양면에 리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면외각 방향으로 러그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허용 각도가 미미하게 증가된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면외각 방향으로 러그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허용 각도를 벗어나는 것에 대비하여, 리브를 비대칭으로 구비하는 러그를 사용하거나 리프팅 빔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러그 및 리프팅 빔의 표준화가 어려워 인적 물적 손실이 유발되며, 러그 및 리프팅 빔의 재생이 어려워 자재 사용의 효율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면외각을 최소화 하는 블록 이동용 러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이동용 러그는, 크레인에 연결되도록 제1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구를 구비하는 제1 바디, 선박 또는 해양 설비의 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1 바디에 연결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를 연결하여 상기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제2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 연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2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2 연결구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연결구와 상기 제2 연결구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관통구를 형성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단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1 회전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구는 상기 제1 회전 돌기에 상기 제2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회전 돌기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회전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구는 상기 제2 회전 돌기에 상기 제2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 돌기와 상기 제2 회전 돌기는, 상기 제2 방향에서 서로 마주하여 면접촉하는 측방 평면을 형성하며, 상기 측방 평면은 상기 제2 방향에 직교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 돌기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양측에 확장 형성되는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단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1 회전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 돌기에 대응하여 이격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2 회전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회전 돌기에 연결되는 볼, 및 상기 제2 회전 돌기에 연결되어 상기 볼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바디에 면외각 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연결부재에 의하여 제1 바디 및 제2 바디가 상대 회전하여 면외각이 영으로 조절된다. 따라서 면외각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하여 우수한 강도를 가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블록 이동용 러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록 이동용 러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을 따라 잘라서 조립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 선을 따라 잘라서 조립한 상태 및 작동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블록 이동용 러그의 재사용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록 이동용 러그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Ⅶ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Ⅷ-Ⅷ 선을 따라 자른 상태 및 작동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이동용 러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록 이동용 러그(1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을 따라 잘라서 조립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블록 이동용 러그(100)는 크레인(미도시)에 연결되는 제1 바디(10), 선박 또는 해양 설비의 블록(미도시)에 설치되는 제2 바디(20), 및 제1, 제2 바디(10, 2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30)를 포함한다.
제1 바디(10)는 크레인에 연결되도록 제1 방향(y축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구(14)를 구비한다. 또한 제1 바디(10)는 제2 방향(x축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 연결구(11)를 구비하고, 제2 바디(20)는 제2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2 연결구(21)를 구비한다.
제1, 제2 연결구(11, 21)는 x축 방향으로 배치되고, 연결부재(30)는 제1, 제2 연결구(11, 21)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1, 제2 바디(10, 20)는 x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연결부재(30)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서로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바디(10)는 관통구(14)을 형성하여 크레인(미도시)에 연결되어 면내각 방향(D1)의 하중 및 면외각 방향(D2)의 하중을 받는 제1 플레이트(12), 및 제1 플레이트(12)의 일단에 돌출 형성되는 제1 회전 돌기(13)를 포함한다. 제1 회전 돌기(13)는 복수로 구비되어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다.
관통구(14)는 제1 바디(10)에 작용하는 면내각 방향(D1)의 하중에 따라 크레인의 연결되는 후크나 섀클을 회전시키므로 면내각 방향(D1)의 하중에 대하여 면내각의 허용 각도를 크게 한다. 즉 면내각 방향(D1)으로 작용하는 반력이 작아진다(도 3 참조).
제2 바디(20)는 블록(미도시)에 용접으로 고정 연결되는 제2 플레이트(22), 및 제2 플레이트(22)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 회전 돌기(23)를 포함한다. 제2 회전 돌기(23)는 복수로 형성되어 제1 회전 돌기(13)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연결구(11)는 제1 회전 돌기(13)에 x축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제2 연결구(21)는 제2 회전 돌기(13)에 x축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제1, 제2 연결구(11, 21)는 x축 방향으로 서로 연결된다.
연결부재(30)는 핀으로 형성되어, x축 방향으로 제1, 제2 연결구(11, 21)에 삽입되어 제1, 제2 회전 돌기(13, 23)를 면외각 방향(D2)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한다. 연결부재(30)의 양단에 구비되는 멈춤 부재(31)는 제1, 제2 회전 돌기(13, 23)에서 연결부재(30)의 삽입 상태를 유지시킨다.
연결부재(30)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에서, 제1 회전 돌기(13)와 제2 회전 돌기(23)는 x축 방향에서 서로 마주하여 면접촉하는 측방 평면(P1, P2)을 형성한다. 이 측방 평면(P1, P2)은 x축 방향에 직교하여 yz평면에 설정된다. 제1, 제2 회전 돌기(13, 23)의 면접촉 측방 평면(P1, P2)은 면외각 방향(D2)의 하중에 대하여 연결부재(30)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대 회전한다.
도 4는 도 2의 Ⅳ-Ⅳ 선을 따라 잘라서 조립한 상태 및 작동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제2 회전 돌기(13, 23) 및 연결부재(30)는 제1 바디(10)에 작용하는 면외각 방향(D2)의 하중에 따라 제1, 제2 바디(10, 20)를 상대 회전시키므로 면외각 방향(D2)의 하중에 대하여 면외각을 영으로 조절한다. 따라서 면외각 방향(D2)으로 작용하는 반력이 작아진다.
또한, 제1 회전 돌기(13)는 제1 플레이트(12)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양측에 확장 형성되는 확장부(15)를 포함한다. 확장부(15)는 하중에 대한 제1 플레이트(12)의 강도를 보강한다. 제1, 제2 플레이트(12, 22)의 두께는 블록 이동용 러그(100)의 용량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블록 이동용 러그(100)의 재사용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블록 이동용 러그(100)는 제2 바디(20)의 제2 플레이트(22)를 블록(B)에 용접(W)하여 블록(B) 이동에 사용된다(a).
작업 후, 블록(B)으로부터 제2 플레이트(22)를 분리한다. 이 때, 제2 플레이트(22)의 단부에는 용접 잔재(W1)가 남아 있게 된다(b).
분리된 블록 이동용 러그(100)의 제2 플레이트(22)에서 용접 잔재(W1)를 그라인딩으로 제거한다. 제2 플레이트(22)는 최초 상태보다 폭 차이(ΔW)만큼 작아진다. 따라서 블록 이동용 러그(100)는 수회 반복적으로 재사용될 수 있다.
블록 이동용 러그(100)는 블록(B)에 연결되는 제2 바디(20)를 용량 별로 표준화하고, 제1 바디(10)를 타입 별로 제작하여, 용량에 따라 제1, 제2 바디(10, 20)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 이동용 러그(100)의 표준화 및 제작이 용이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생략하고, 서로 다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록 이동용 러그(200)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Ⅶ-Ⅶ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Ⅷ-Ⅷ 선을 따라 자른 상태 및 작동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1 바디(40)와 제2 바디(5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60)는 볼(61)과 하우징(62)의 볼 조인트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제2 바디(40, 50)는 연결부재(60)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제1 바디(40)는 제1 플레이트(12)와 제1 플레이트(12)의 일단에 돌출 형성되고 제2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연결부재(60)의 일측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1 회전 돌기(43)를 포함한다.
제2 바디(50)는 제2 플레이트(22)와 제2 플레이트(22)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고 제1 회전 돌기(43)에 대응하여 이격되며 연결부재(60)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2 회전 돌기(53)를 포함한다.
연결부재(60)는 제1 회전 돌기(43)에 연결되는 볼(61)과 제2 회전 돌기(53)에 연결되어 볼(61)을 수용하는 하우징(62)을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제2 회전 돌기(43, 53) 및 연결부재(60)는 제1 바디(40)에 작용하는 면외각 방향(D2)의 하중에 따라 제1, 제2 바디(40, 50)를 상대 회전시키므로 면외각을 영으로 조절 한다. 따라서 면외각 방향(D2)으로 작용하는 반력이 작아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이동용 러그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40 : 제1 바디 11, 21 : 제1, 제2 연결구
12, 22 : 제1, 제2 플레이트 13, 23 : 제1, 제2 회전 돌기
14 : 관통구 15 : 확장부
20, 50 : 제2 바디 30, 60 : 연결부재
31 : 멈춤 부재 43, 53 : 제1, 제2 회전 돌기
61 : 볼 62 : 하우징
100, 200 : 블록 이동용 러그 B : 블록
D1 : 면내각 방향 D2 : 면외각 방향
P1, P2 : 측방 평면 W : 용접
W1 : 용접 잔재 ΔW : 폭 차이

Claims (9)

  1. 크레인에 연결되도록 제1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구를 구비하는 제1 바디;
    선박 또는 해양 설비의 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1 바디에 연결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를 연결하여 상기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블록 이동용 러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제2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 연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2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2 연결구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연결구와 상기 제2 연결구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를 연결하는
    블록 이동용 러그.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관통구를 형성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단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1 회전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구는,
    상기 제1 회전 돌기에 상기 제2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블록 이동용 러그.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회전 돌기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회전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구는,
    상기 제2 회전 돌기에 상기 제2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구에 연결되는
    블록 이동용 러그.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돌기와 상기 제2 회전 돌기는,
    상기 제2 방향에서 서로 마주하여 면접촉하는 측방 평면을 형성하며,
    상기 측방 평면은 상기 제2 방향에 직교하는
    블록 이동용 러그.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돌기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양측에 확장 형성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블록 이동용 러그.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단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1 회전 돌기를 포함하는
    블록 이동용 러그.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 돌기에 대응하여 이격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2 회전 돌기를 포함하는
    블록 이동용 러그.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회전 돌기에 연결되는 볼, 및
    상기 제2 회전 돌기에 연결되어 상기 볼을 수용하는 하우징
    을 포함하는 블록 이동용 러그.
KR1020110119620A 2011-11-16 2011-11-16 블록 이동용 러그 KR101304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620A KR101304398B1 (ko) 2011-11-16 2011-11-16 블록 이동용 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620A KR101304398B1 (ko) 2011-11-16 2011-11-16 블록 이동용 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911A true KR20130053911A (ko) 2013-05-24
KR101304398B1 KR101304398B1 (ko) 2013-09-05

Family

ID=48663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9620A KR101304398B1 (ko) 2011-11-16 2011-11-16 블록 이동용 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439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040U (ko) * 2014-06-26 2016-01-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록인양용 러그
KR20160000218U (ko) * 2014-07-11 2016-01-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블록 연결 러그
KR20160010007A (ko) 2014-07-18 2016-01-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러그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블록 리프팅 방법
KR20160000990U (ko) * 2014-09-18 2016-03-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회전 러그
KR20170000336U (ko) * 2015-07-15 2017-01-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운용선박의 매니폴드 커버 조립체 및 그것을 포함하는 lng 운용선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7313A (en) * 1995-09-13 1997-12-16 Laird Plastics, Inc. Barge and walkway connection system
KR200450226Y1 (ko) * 2008-04-07 2010-09-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블록 인양용 러그 설치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040U (ko) * 2014-06-26 2016-01-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록인양용 러그
KR20160000218U (ko) * 2014-07-11 2016-01-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블록 연결 러그
KR20160010007A (ko) 2014-07-18 2016-01-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러그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블록 리프팅 방법
KR20160000990U (ko) * 2014-09-18 2016-03-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회전 러그
KR20170000336U (ko) * 2015-07-15 2017-01-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운용선박의 매니폴드 커버 조립체 및 그것을 포함하는 lng 운용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4398B1 (ko) 201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4398B1 (ko) 블록 이동용 러그
EP2113610B1 (en) Locking device for grappling links
US20140186105A1 (en) Lock
WO2019015207A1 (zh) 吊码
WO2016143695A1 (ja) リペアージョイントおよび水底ケーブルの修理方法
US6581996B1 (en) Lifting system for use in hoisting, particularly heavy cast panels
KR101933975B1 (ko) 해양 구조물 및 블록 조립 방법
JP5883528B1 (ja) 亀裂進展抑制工法及び亀裂進展抑制構造
US20170121928A1 (en) Stick and coupler assembly
CN105439010A (zh) 复合接头和臂架
CN115583573B (zh) 支腿垫板、支腿垫板组件及工程车辆
CN111155576B (zh) 一种挖掘机抓斗及挖掘机
CN105439003A (zh) 履带起重机及其吊装测试装置、吊装方法
CN213923939U (zh) 用于搬运刀盘的铰接机构和工程机械
JP2000063083A (ja) 建設機械のカウンタウエイト装置
JP2002037181A (ja) 分割組立式作業用台船
JP7371568B2 (ja) 建設機械の反力受け構造及び反力受け部材
KR200481207Y1 (ko) 블록인양용 러그
CN111503111A (zh) 一种浮箱快速拼装刚性接头
CN216662316U (zh) 配重组件及大吨位起重机、小吨位起重机
CN111112949A (zh) 一种箱体结构的加工工艺
CN209830431U (zh) 一种耐磨轻便型剪板机衬板
CN210655848U (zh) 大吨位薄壁板式构件吊装用可拆卸式双销轴吊具
CN219824758U (zh) 磁浮道岔梁
KR101064857B1 (ko) 중량 구조물 위치결정 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