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1070A - 배관 고정 클립 - Google Patents

배관 고정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1070A
KR20150141070A KR1020140069612A KR20140069612A KR20150141070A KR 20150141070 A KR20150141070 A KR 20150141070A KR 1020140069612 A KR1020140069612 A KR 1020140069612A KR 20140069612 A KR20140069612 A KR 20140069612A KR 20150141070 A KR20150141070 A KR 20150141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ipe
clip
fixing par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9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5339B1 (ko
Inventor
임선규
이용석
이승훈
신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원공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to KR1020140069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5339B1/ko
Publication of KR20150141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에 배관을 고정하는 클립으로서, 판 형상이고, 차체 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고정홀이 형성되고 양측으로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제1 고정부; 및 판 형상으로, 상기 제1 고정부의 일단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고정부의 일면에 밀착되며 상기 제1 고정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고정홀이 형성되는 제2 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의 연결부위는 곡선형으로 절곡되어 상기 배관이 복수로 배치되는 배관 고정부를 형성하는 배관 고정 클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클립의 가조립 시 별도의 조립용 공구없이 가조립 작업이 진행될 수 있고, 차량의 배관 고정 시, 고정홀의 위치가 어긋나도 조립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관 고정 클립{Clip for pipe fixing}
본 발명은 배관 고정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서 사용되는 복수의 배관 고정 시 고정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배관 고정 클립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다양한 종류의 배관이 사용되고, 배관의 고정을 위한 배관 고정 클립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배관 고정 클립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배관 고정 클립(1)은 클립(1)이 차체에 고정되도록 하는 판 형상의 제1 고정부(2), 배관의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로서 하나 이상의 배관이 고정 배치되는 배관 고정부(6)가 일단 내측에 형성되고 제1 고정부(2)에 고정되도록 하는 판 형상의 제2 고정부(4)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고정부(2, 4) 각각에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동일한 크기의 고정홀(3, 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고정부(4)의 외주를 따라서는 제1 고정부(1)의 외주를 감싸는 체결팁(7)이 복수로 돌출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립의 조립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배관이 배관 고정부(6)에 배치된 후, 제1 고정부(2)와 제2 고정부(4)가 맞닿도록 한다. 그리고 체결팁(7)을 절곡하여, 제1 고정부(2)와 제2 고정부(4)가 결합되도록 하고, 고정홀(3, 5)을 통해서는 볼트를 삽입하여 클립(1)이 차체에 고정되도록 한다.
도면에서 도면부호 8은 클립을 차체에 고정하는 구성 요소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배관 고정 클립(1)은 배관 고정 작업 시, 제1 및 제2 고정부(2, 4)에 형성된 고정홀(3, 5)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작업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체결팁(7)이 제1 고정부(2)의 외주를 감싸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작업 도구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체결팁(7)이 제1 고정부(2)의 외주를 감싸기 전까지 배관이 클립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려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공보 20-0131615호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배관 고정을 위한 클립의 가조립 시 별도의 조립용 공구없이 가조립 작업이 진행될 수 있는 배관 고정 클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배관 고정 시, 클립을 차체에 고정하기 위해 제1 및 제2 고정부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홀의 위치가 어긋나도 고정 작업이 진행될 수 있는 배관 고정 클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체에 배관을 고정하는 클립으로서, 판 형상이고, 차체 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고정홀이 형성되고 양측으로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제1 고정부; 및 판 형상으로, 상기 제1 고정부의 일단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고정부의 일면에 밀착되며 상기 제1 고정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고정홀이 형성되는 제2 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의 연결부위는 곡선형으로 절곡되어 상기 배관이 복수로 배치되는 배관 고정부를 형성하는 배관 고정 클립을 제공한다.
상기 배관 고정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배관에 대응하는 직경의 배관 고정홀이 관통 형성되는 배관 고정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관 고정관은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관 고정관은 상기 배관의 배치를 위해 일단에서 내측 중간까지 절개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의 폭은 상기 제2 고정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의 외주 양측에 각각 돌출되고 상기 체결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돌기의 폭과 상기 체결홈의 폭은 서로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체결 돌기의 일측단으로는 상기 체결홈의 일측단에 걸리는 고정 돌기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홀의 직경은 상기 제1 고정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배관 고정을 위한 클립의 가조립 시 별도의 조립용 공구없이 가조립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배관 고정 시, 클립을 차체에 고정하기 위해 제1 및 제2 고정부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홀의 위치가 어긋나도 고정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관 고정 클립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립의 조립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 클립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배관 고정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고정 클립의 사용 준비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의 연결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고정 클립의 가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고정 클립이 차체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 클립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관 고정 클립(100)은 제1 고정부(110) 및 제2 고정부(120)를 포함한다.
제1 고정부(110)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판 형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클립(100)이 차체의 소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고정부(110) 상에는 클립의 고정을 위한, 제1 고정홀(112)이 형성된다. 제1 고정홀(112)로는 클립(100)이 차체에 고정될 때, 볼트와 같은 결속 수단이 삽입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10)의 양측으로는 후술하는 체결돌기(124)가 삽입되는 체결홈(114)이 형성된다. 제1 고정부(110) 양측의 체결홈(114)은 동일한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고정부(110)의 일단으로는 제2 고정부(120)가 연결된다.
제2 고정부(120)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판 형상이다. 여기서, 제2 고정부(120)의 폭은 제1 고정부(110)의 폭보다 다소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체결돌기(124)와 체결홈(114)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제2 고정부(120) 상에는 제1 고정홀(112)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고정홀(122)이 형성된다. 제1 고정홀(112)과 제2 고정홀(122) 상으로는 볼트와 같은 결속 수단이 삽입되어, 제2 고정부(120)와 제1 고정부(110)가 차체의 소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고정홀(122)의 직경은 제1 고정홀(11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각각의 고정홀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후술하는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이 제1 고정홀(112)을 통해 삽입하여 클립(100)이 차체에 쉽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제2 고정부(120)의 일면은 제1 고정부(110)의 일면에 맞닿은 후, 차체 측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10)의 일단부와 제2 고정부(120)의 일단부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1 고정부(110)의 제2 고정부(120)의 연결부위는 곡선형 또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소정의 형태로 절곡되어, 고정 대상인 배관이 내측으로 배치될 수 있는 배관 고정부(130)를 형성한다.
배관 고정부(130)는 내측으로 고정 대상인 배관(미도시)이 배치된다. 이때, 배관 고정부(130)의 내주면과 배관의 외주면 사이에 공간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배관 고정 상태가 불량해지거나, 외부의 진동에 의해 배관과 배관 고정부(130)가 충돌하며 손상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배관 고정부(130) 상에는 고정 대상인 배관의 직경에 대응하는 배관 고정홀(142)이 관통 형성되는 배관 고정관(140)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배관 고정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배관 고정관(140)은 배관 고정부(130)의 내부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 대상인 배관에 대응하는 배관 고정홀(142)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배관 고정홀(142)의 형성 개수는 배관의 고정 개수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배관 고정관(140)은 고무로 제작되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진동의 흡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관 고정관(140) 상에는 일단에서 중간부까지 소정의 폭을 갖는 절개홈(144)이 형성되어 있어, 배관의 고정 시 절개홈(144)을 기준으로 배관 고정홀(142)의 폭을 확장시킨 후, 배관을 배관 고정홀(142) 내측으로 배치할 수 있다.
제2 고정부(120)의 외주 양측으로는 체결돌기(124)가 돌출된다.
체결돌기(124)는 제2 고정부(120)와 제1 고정부(110)의 결합 시, 결합 상태의 유지가 용이하도록 한다.
제1 고정부(110)의 외주 상에서 체결돌기(124)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체결돌기(124)가 삽입되는 체결홈(114)이 형성된다. 여기서, 체결돌기(124)가 체결홈(114)에 삽입된 후 삽입 상태의 유지가 용이하도록, 체결돌기(124)와 체결홈(114)의 폭은 서로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체결돌기(124)의 일측으로는 체결홈(114)에 삽입된 후, 제1 고정부(110)의 후면을 향하여 걸리는 고정 돌기(125)가 돌출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고정 돌기(125)가 체결돌기(124)의 일측으로만 돌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체결돌기(124)의 양측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고정부(110)와 제2 고정부(120)가 서로 맞대어지면 체결돌기(124)는 체결홈(114)에 삽입되고, 이때 고정 돌기(125)가 체결홈(114)에 걸리며 제1 고정부(110)와 제2 고정부(120)의 결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관 고정 클립(100)을 이용한 배관 고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고정 클립의 사용 준비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작업자는 배관 고정관(140)을 준비한다. 작업자는 고정 작업 대상인 배관을 대응하는 배관 고정홀(142)에 각각 배치한다. 이후, 작업자는 제1 고정부(110)와 제2 고정부(120)의 간격을 확장한 후, 배관 고정관(140)을 배관 고정부(130)에 배치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제1 고정부(110)가 제2 고정부(120)에 밀착하도록 외력을 인가한다. 이때의 외력은 작업자의 엄지 손가락으로 밀어 올리는 힘이 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의 연결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상기 외력에 의하여, 제1 고정부(110)가 제2 고정부(120)에 밀착되면, 체결돌기(124)의 일측으로는 체결홈(114)에 삽입되고, 고정 돌기(125)가 체결홈(114)에 걸리며 제1 고정부(110)와 제2 고정부(120)의 밀착된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고정 클립의 가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정 돌기(125)가 체결홈(114)에 걸려 클립(100)의 가조립 상태가 유지된다. 도면에서, 클립(100)의 가조립 상태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배관 고정관(140)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고정 클립이 차체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가조립 된 클립(100)은 차체의 소정 위치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볼트와 같은 결합 수단을 제1 고정홀(112)과 제2 고정홀(122)을 통해 삽입하여 배관 고정 클립(100)이 차체에 고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클립의 가조립 시 별도의 조립용 공구없이 가조립 작업이 진행될 수 있고, 차량의 배관 고정 시, 고정홀의 위치가 어긋나도 조립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배관 고정 클립
110: 제1 고정부
112: 제1 고정홀
114: 체결홈
120: 제2 고정부
122: 제2 고정홀
124: 체결 돌기
125: 고정 돌기
130: 배관 고정부
140: 배관 고정관
142: 배관 고정홀
144: 절개홈

Claims (9)

  1. 차체에 배관을 고정하는 클립으로서,
    판 형상이고, 차체 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고정홀이 형성되고 양측으로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제1 고정부; 및
    판 형상으로, 상기 제1 고정부의 일단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고정부의 일면에 밀착되며 상기 제1 고정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고정홀이 형성되는 제2 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의 연결부위는 곡선형으로 절곡되어 상기 배관이 복수로 배치되는 배관 고정부를 형성하는 배관 고정 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의 폭은 상기 제2 고정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배관 고정 클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의 외주 양측에 각각 돌출되고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는 체결 돌기를 더 포함하는 배관 고정 클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돌기의 폭과 상기 체결홈의 폭은 서로 대응하는 배관 고정 클립.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돌기의 일측단으로는 상기 체결홈의 일측단에 걸리는 고정 돌기가 돌출되는 배관 고정 클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홀의 직경은 상기 제1 고정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배관 고정 클립.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고정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배관에 대응하는 직경의 배관 고정홀이 관통 형성되는 배관 고정관을 더 포함하는 배관 고정 클립.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고정관은 고무를 포함하는 배관 고정 클립.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고정관은 상기 배관의 배치를 위해 일단에서 내측 중간까지 절개되는 배관 고정 클립.
KR1020140069612A 2014-06-09 2014-06-09 배관 고정 클립 KR102225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612A KR102225339B1 (ko) 2014-06-09 2014-06-09 배관 고정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612A KR102225339B1 (ko) 2014-06-09 2014-06-09 배관 고정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070A true KR20150141070A (ko) 2015-12-17
KR102225339B1 KR102225339B1 (ko) 2021-03-09

Family

ID=55080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9612A KR102225339B1 (ko) 2014-06-09 2014-06-09 배관 고정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53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7678A (ja) * 1989-05-15 1991-08-01 Usui Internatl Ind Co Ltd 配管・配線把持用固定クランプ
KR19990026971A (ko) * 1997-09-27 1999-04-15 양재신 차량용 에어 컨디셔너 파이프의 고정구조
JP2000217232A (ja) * 1999-01-22 2000-08-04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ネス固定用クリップ
JP2012165675A (ja) * 2011-02-14 2012-09-06 Lixil Corp メッシュパネルの添設連結併用取付金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7678A (ja) * 1989-05-15 1991-08-01 Usui Internatl Ind Co Ltd 配管・配線把持用固定クランプ
KR19990026971A (ko) * 1997-09-27 1999-04-15 양재신 차량용 에어 컨디셔너 파이프의 고정구조
JP2000217232A (ja) * 1999-01-22 2000-08-04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ネス固定用クリップ
JP2012165675A (ja) * 2011-02-14 2012-09-06 Lixil Corp メッシュパネルの添設連結併用取付金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5339B1 (ko) 202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7919B2 (ja) クリップ
JP5231333B2 (ja) 止め具
KR101269686B1 (ko) 호스용 클램프
JP2007531849A (ja) 角度位置固定を有するプラグイン接続
JP2007315467A (ja) 部品の取付装置
JP2014118983A (ja) 螺合金具離脱防止具及びクランプ装置
JP2010195533A (ja)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
JP2009270615A (ja) クリップ
KR20150141070A (ko) 배관 고정 클립
KR101181609B1 (ko) 클램프 고정 부재
JP2017187132A (ja) ホースクリップ
JP4725999B2 (ja) 接合具
JP2000039016A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端末固定装置
JP2014126133A (ja) ツーピースクリップ
KR101509191B1 (ko) 커플링 및 커플링의 고정 클립
JP5567902B2 (ja) クイックファスナの外れ防止構造
JP5886066B2 (ja) クリップ
JP3214076U (ja) ラウドスピーカ又はアンプフレームの固定キット
JP2015077674A (ja) ホースクランプ取り外し用工具
KR20080003496U (ko) 호스용 클램프
US20140068897A1 (en) Hose clamp
JP2013083294A (ja) 被取付部材の装着構造
JP2009208685A (ja) シューパッドの取り付け構造
JP6116156B2 (ja) 圧力管路のための接続装置
KR200441794Y1 (ko) 호스용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