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0693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0693A
KR20150140693A KR1020157030022A KR20157030022A KR20150140693A KR 20150140693 A KR20150140693 A KR 20150140693A KR 1020157030022 A KR1020157030022 A KR 1020157030022A KR 20157030022 A KR20157030022 A KR 20157030022A KR 20150140693 A KR20150140693 A KR 20150140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maric acid
sheet
absorbent article
absorben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0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8233B1 (ko
Inventor
요시히사 오타
모토코 니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브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브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브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140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0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omprising an additive, e.g. lotion or odour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17Making absorbent pads from fibres or pulverulent material with or without treatment of the fibres
    • A61F13/15658Forming continuous, e.g. composite, fibrous webs, e.g.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pulverulent material on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2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0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6Deodorants or malodour counteractants, e.g. to inhibit the formation of ammoni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2013/5105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being sprayed with chemicals
    • A61F2013/5107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being sprayed with chemicals with perfumes or odour-mask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61F2013/8408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6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form
    • A61L2300/606Coat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사용자의 피부 발진을 예방하는 동시에, 사용 후의 악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흡수성 물품은 흡수체와, 그 흡수체의 피부면측에 배치된 푸마르산 담지시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푸마르산 담지시트가 평균 입자경이 30㎛ 이하의 푸마르산 입자를 담지한 시트 및/또는 적어도 일부의 구성섬유가 푸마르산으로 피복된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푸마르산은, 체액 등에 접촉한 경우에도, 즉시 용해하지 않고, 서서히 용해하기 때문에, 푸마르산의 주변이 알칼리성이 되는 것을 장기에 걸쳐 방지할 수 있다. 또, 푸마르산은 부패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작용을 가지기 때문에, 체액 등을 흡수한 후의 흡수성 물품으로부터의 악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피부 발진의 예방이나 체액을 흡수한 후의 흡수성 물품의 방취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기저귀, 생리용 냅킨, 실금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은 통상, 이것들의 탑시트가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할 수 있는 상태로 사용된다. 그 때문에 배뇨, 배월경혈 등의 체액에 의해 탑시트가 알칼리성이 되면, 사용자의 피부의 피지, 단백질, 아미노산의 막이 흘러나오기 쉬운 환경이 되어, 피부의 발진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종래, 이러한 발진을 방지하는 흡수성 물품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기저귀 발진의 방지, 또는 감소시키면서 배설된 체액을 흡수하는데 유용한 일회용 흡수 물품으로써, (A) 액체 불투과성 백시트, (B) 요소의 존재하에 피부 pH를 약 3.0∼5.5의 범위 내로 유지하는데 호적한 1 또는 그 이상의 pH 조절제를 그 안에 또는 그 위에 배합하고 있는 비교적 소수성의 액체 투과성 탑시트, 및, (C) 상기 백시트와 상기 탑시트 사이에 위치 결정되는 가소성 흡수심(이 가소성 흡수심은 본질상 친수성 섬유재료와, 그 산성 작용기의 적어도 50%가 염생성 양이온으로 중화되어 있는 실질상 수불용성의 고도로 중화된 하이드로겔 물질의 입자로 이루진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 물품이 기재되어 있다(특허문헌 1(청구범위 제7항) 참조).
일본 공개특허 S62-28402호
상기 특허문헌 1에서는 pH 조절제로서, 시트르산, 아디프산, 푸마르산 등의 유기산이 예시되어 있다(특허문헌1, 9쪽 좌하란 18라인∼우하란 3라인). 그렇지만, 시트르산과 같은 수용성 화합물은 체액에 용이하게 용해되어 확산되어 버리기 때문에, 체액 배출부(배뇨부, 배월경혈부)에 머물러 있을 수 없다. 그 때문에 사용자에 접촉하는 체액 배출부분을 약산성으로 유지할 수 없고, 발진 방지의 효과가 발휘되지 않는다. 또, 상기 특허문헌 1에서는 푸마르산과 같은 수난용성의 pH 조절제는 실제로 사용되고 있지 않고, 이러한 수난용성 화합물의 담지성에 대해서는 검토되고 있지 않다.
또,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은 체액 중에서 부패 세균이 번식되기 쉽고,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서 악취를 발하는 경우가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부패세균에 의한 악취의 발생에 대해서는, 충분한 대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사용자의 피부의 발진을 예방하는 동시에, 체액을 흡수한 후의 악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흡수체와, 그 흡수체의 피부면측에 배치된 푸마르산 담지시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푸마르산 담지시트가 평균 입자경이 30㎛ 이하의 푸마르산 입자를 담지한 시트 및/또는 적어도 일부의 구성섬유가 푸마르산으로 피복된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난용성인 푸마르산은 체액 등에 접촉해도, 즉시 용해되지 않고 서서히 체액 등에 용해된다. 그 때문에 푸마르산 담지시트를 배치하면, 그 주변이 체액 등에 의해 알칼리성이 되는 것을 장기에 걸쳐서 방지할 수 있다. 푸마르산 담지시트는 푸마르산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30㎛ 이하이면, 담지부재(예를 들면, 시트재)에 담지시키기 쉬우며, 또, 담지부재로부터 탈락되기 어렵다. 또, 구성섬유를 푸마르산으로 피복하면, 푸마르산이 구성섬유로부터 탈락하기 어렵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에서의 체액 등과 접촉할 수 있는 부분에 푸마르산 담지시트를 배치함으로써, 장기간에 걸쳐서 발진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푸마르산은 부패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작용을 갖는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에서의 체액 등과 접촉할 수 있는 부분(예를 들면, 흡수성 수지분말의 주변)에 푸마르산 담지시트를 배치함으로써, 체액 등을 흡수한 후의 흡수성 물품으로부터의 악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푸마르산 입자는 입자표면의 적어도 일부가 분산제로 피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푸마르산 담지시트의 푸마르산의 담지량은 0.01g/㎡∼10g/㎡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제는 음이온성 고분자형 분산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형 분산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형 분산제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호적하다.
상기 흡수성 물품의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흡수체의 피부면측에 배치된 탑시트와, 상기 흡수체의 외면측에 배치된 백시트를 가지고, 상기 탑시트가 상기 푸마르산 담지시트인 형태; 상기 흡수체의 피부면측에 배치된 탑시트와, 상기 흡수체의 외면측에 배치된 백시트를 가지고, 상기 흡수체와 상기 탑시트 사이에, 중간시트로서 상기 푸마르산 담지시트가 배치되어 있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상기 푸마르산 담지시트는 푸마르산과 용매를 함유하는 푸마르산 함유액과, 시트기재를 접촉시킨 후, 용매를 제거 하는 것에 의해 푸마르산을 담지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푸마르산 함유액은 분산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사용자의 피부의 발진을 예방하는 동시에, 체액을 흡수한 후의 악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푸마르산 담지시트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푸마르산 담지시트의 다른 예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1예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3의 V-V선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다른 예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다른 예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흡수체와, 그 흡수체의 피부면측에 배치된 푸마르산 담지시트 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푸마르산 담지시트가 평균 입자경이 30㎛ 이하의 푸마르산 입자를 담지한 시트 및/또는 적어도 일부의 구성섬유가 푸마르산으로 피복된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푸마르산은 물에 대한 용해도(25℃)가 0.63g/100g이고, 수난용성이다. 이러한 푸마르산은 체액 등에 접촉한 경우에도, 즉시 용해되지 않고, 서서히 용해되게 된다. 또, 푸마르산은 분자 내에 카복실기를 2개 가지고 있고, 액 중에서는 산성을 나타낸다. 그 때문에 흡수성 물품에서의 체액 등과 접촉할 수 있는 부분에 푸마르산 담지시트를 배치하면, 체액 등에 의해 그 주변이 알칼리성이 되는 것을 장기에 걸쳐서 방지할 수 있다. 푸마르산 담지시트는 푸마르산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30㎛ 이하이면, 푸마르산 입자를 담지부재(예를 들면, 부직포 등의 시트재)에 담지시키기 쉬우며, 또, 담지부재로부터의 탈락도 억제할 수 있다. 또, 구성섬유를 푸마르산으로 피복하면, 푸마르산이 구성섬유로부터 탈락되기 어렵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에 푸마르산 담지시트를 배치함으로써, 장기간에 걸쳐서 사용자의 피부의 발진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푸마르산은 부패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작용을 갖는다. 따라서, 체액 등이 지니는 흡수성 수지분말의 주변에 푸마르산 담지시트가 배치되어 있으면, 체액 등을 흡수한 후의 흡수성 물품으로부터의 악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푸마르산 담지시트를 배치하는 위치는 흡수성 물품에 흡수되는 체액과 접촉할 수 있는 위치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흡수체보다도 피부면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푸마르산 담지시트로서는 평균 입자경이 30㎛ 이하의 푸마르산 입자를 담지한 시트, 적어도 일부의 구성섬유가 푸마르산으로 피복된 시트를 들 수 있다. 푸마르산 담지시트의 시트기재로서는 투액성의 시트재료, 예를 들면, 부직포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부직포는 예를 들면, 포인트 본드 부직포나 에어스루 부직포, 스펀레이스 부직포, 스판본드 부직포이고, 이것들의 부직포를 형성하는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레이온, 코튼 등의 친수성 섬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나일론 등의 소수성 섬유; 표면을 계면활성제에 의해 친수화 처리한 소수성 섬유를 들 수 있다.
상기 푸마르산 입자를 담지한 시트로서는 예를 들면, 구성섬유가 푸마르산 입자를 담지하고 있는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푸마르산 입자를 담지한 시트에 사용되는 푸마르산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25㎛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다. 평균 입자경이 30㎛ 이하이면, 푸마르산 입자를 부직포 등의 시트재에 담지시키기 쉬우며, 또, 시트재로부터의 탈락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푸마르산 입자의 평균 입자경의 하한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0.05㎛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푸마르산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시트기재에 담지시키기 전에, 레이저 회절ㆍ산란식 입도 분석계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트기재와 푸마르산 입자 분산액을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푸마르산 입자를 담지시키는 경우, 푸마르산 입자 분산액 중의 푸마르산 입자의 평균 입자경을 푸마르산 담지시트에 담지된 푸마르산 입자의 평균 입자경으로 간주할 수 있다. 푸마르산 입자 분산액 중의 푸마르산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레이저 회절ㆍ산란식 입도 분석계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푸마르산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체적기준의 평균 입자경이다.
상기 푸마르산 입자는 그 입자표면의 적어도 일부가 분산제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제로 피복되어 있는 것에 의해, 이 분산제가 푸마르산 입자와 시트기재의 결합제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담지부재로의 푸마르산 입자의 유지성이 한층 더 향상하고, 푸마르산 입자가 시트기재로부터 탈락되는 것이 더욱 저감된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트기재에 푸마르산 입자 분산액을 도포하고, 푸마르산 입자를 담지시키는 경우, 분산액에 분산제를 첨가함으로써, 푸마르산 입자를 더욱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또, 푸마르산 입자의 분산제에 의한 피복은 푸마르산 입자, 분산제 및 용매를 혼합한 후,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로서는 분산액에 있어서, 푸마르산 입자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고분자형 분산제, 계면활성제형 분산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형 분산제 및 계면활성제형 분산제에는 각각 음이온성, 비이온성, 카티온성의 분산제가 있지만, 이것들 중에서도 음이온성 또는 비이온성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분자형 분산제는 분산제분자의 입체장해에 의한 반발효과가 있고, 장기간의 분산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 고분자형 분산제는 푸마르산 입자와 담지부재를 결합하는 결합제로서의 작용이 우수하다. 상기 고분자형 분산제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1,000 이상이 바람직하고, 200,000 이하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100,000 이하이다.
음이온성 고분자형 분산제로서는 폴리카복시산(염)형 분산제, 폴리설폰산형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복시산(염)형 분산제로서는 불포화 카복시산(공)중합체(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 이소부틸렌-말레산 공중합체, 디이소부틸렌-말레산 공중합체, 스티렌-말레산 공중합체, 스티렌-말레산-(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등), 카르복실화 다당체(예를 들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 및, 이것들의 염(예를 들면, 유기 아민염,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토금속염)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설폰산형 분산제로서는 나프탈렌설폰산 포르말린 축합물, 폴리스티렌설폰산, 및, 이것들의 염(예를 들면, 유기 아민염,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토금속염)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고분자형 분산제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카티온성 고분자형 분산제로서는 N,N-디알킬아미노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공)중합체의 무기산(염산, 인산 등)염 또는 유기산(포름산, 아세트산, 락트산등)염을 들 수 있다. 또, N,N-디알킬아미노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공)중합체에 있어서, 질소원자에 결합하는 알킬기는 탄소수 1∼3이 바람직하고, 알킬렌기는 탄소수 2 또는 3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면활성제형 분산제는 푸마르산 입자표면에 흡착하고, 용매로의 젖음성을 높인다. 상기 계면활성제형 분산제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100 이상이 바람직하고, 10,000 이하가 바람직하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형 분산제로서는 카복시산(염)형 분산제, 설폰산(염)형 분산제, 황산 에스테르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카복시산(염)형 분산제로서는 탄소수 6∼15의 지방산의 염(예를 들면, 유기 아민염,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토금속염)을 들 수 있다. 설폰산(염)형 분산제로서는 예를 들면, 디알킬설포숙신산염(예를 들면, 유기 아민염,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토금속염)을 들 수 있다. 또, 디알킬설포숙신산염에 있어서, 알킬기의 탄소수는 6∼15가 바람직하다. 황산 에스테르염으로서는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 황산염(예를 들면, 유기 아민염,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토금속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페닐에테르 황산염(예를 들면, 유기 아민염,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토금속염) 등을 들 수 있다.또,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 황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페닐에테르 황산염에 있어서, 알킬렌기의 탄소수는 2∼4가 바람직하고, 알킬기의 탄소수는 1∼20이 바람직하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형 분산제로서는 폴리옥시알킬렌형 분산제, 다가 알코올형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옥시알킬렌형 분산제로서는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알킬아미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프로필렌 블록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가 알코올형 분산제로서는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다가 알코올알킬에스테르에텔, 지방산 디알킬롤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카티온성 계면활성제형 분산제로서는 4급 암모늄형 분산제를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분산제로서는 음이온성 고분자형 분산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형 분산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형 분산제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고분자형 분산제, 특히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복시산(염)형 분산제이다.
폴리카복시산(염)형 분산제를 사용하면, 푸마르산 입자분산제 중에 있어서, 더욱 용이하게, 푸마르산 입자의 응집체를 기계적 조작에 의해 분열, 마쇄할 수 있게 된다. 또, 입자표면에 흡착한 폴리카복시산(염)의 해리에 의해 전기 이중층이 형성되고, 전기적인 반발에 의해 푸마르산 입자의 재응집이 억제된다. 그 때문에 푸마르산 입자 분산액 중에서의 푸마르산 입자의 분산 안정성이 더욱 양호하게 된다.
폴리카복시산(염)형 분산제의 구체예로서는 Sanyo Chemical Industries Co. Ltd.로부터 시판되고 있는 「CARRYBON(등록상표) B」, 「CARRYBON L-400」, 「CARRYBON AR-33」, 「SANSPEARL(등록상표) PS-8」, 「GRANUP(등록상표) PC-121」, Takemoto Oil and Fat Co. Ltd.로부터 시판되고 있는 「UTC-124」, DKS Co. Ltd.로부터 시판되고 있는 「Shallol(등록상표) AN-103P」, 「ShallolAN-144P」, San Nopco Limited로부터 시판되고 있는 「Thickener A-818」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분산제의 사용량은 푸마르산 입자 100질량부에 대해서, 1질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2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질량부 이상이며, 50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45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질량부 이하이다. 분산제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푸마르산 입자의 분산 안정성이 향상한다. 한편, 분산제의 사용량이 50질량부를 넘어도, 분산 안정성의 향상은 더 이상 인정되지 않고, 경제성이 떨어지며, 또, 분산액이 증점되어 작업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적어도 일부의 구성섬유가 푸마르산으로 피복된 시트로서는 구성섬유의 적어도 일부가 푸마르산으로 피복된 부직포를 들 수 있다. 구성섬유를 푸마르산으로 피복하는 경우, 사용하는 섬유로서는 특별하게 한정은 없지만 극성기(수산기, 에스테르기, 에테르기 등)을 가지는 섬유가 바람직하다. 섬유로서 극성기를 가지는 섬유를 사용하면, 수소결합에 의해 피복하기 쉬워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트기재와 푸마르산 용액을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섬유를 푸마르산으로 피복하는 방법이라면, 소수성 섬유라 해도 용이하게 피복할 수 있다. 구성섬유를 푸마르산으로 피복하는 경우, 섬유를 피복하는 푸마르산의 두께는 0.1㎛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푸마르산 담지시트의 푸마르산의 담지량은 0.01g/㎡ 이상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0.02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g/㎡ 이상이고, 10g/㎡ 이하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5.0g/㎡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5g/㎡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0g/㎡ 이하이다. 담지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피부자극의 억제나 악취의 억제의 효과가 더욱 향상한다. 푸마르산의 담지량은 소정의 크기(예를 들면, 1㎠)로 절단한 푸마르산 담지시트를, 다량의 에탄올(예를 들면, 2ℓ)을 사용한 속슬렛 추출을 실시해서, 담지되어 있는 푸마르산을 모두 용해시킨 후, 용액 중의 푸마르산의 질량을 측정함으로써 산출된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푸마르산 함유액을 시트기재에 스프레이하는 경우에는, 푸마르산 함유액의 푸마르산 농도와 스프레이하는 액량으로부터 산출할 수도 있다.
또, 상기 푸마르산 담지시트의 푸마르산의 담지량과 후술하는 흡수성 물품 중의 흡수성 수지분말의 무게와의 비율(푸마르산의 담지량/흡수성 수지분말의 무게)은 0.001 이상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0.00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3 이상이고, 20 이하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8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6 이하이다. 상기 비율이 상기 범위내이면, 피부자극의 억제나 악취의 억제의 효과가 더욱 향상한다.
상기 푸마르산 담지시트는 시트기재에 푸마르산 입자를 담지, 혹은 시트기재를 구성하는 섬유를 푸마르산으로 피복함으로써 수득된다. 푸마르산 담지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푸마르산 입자의 분체를 담지부재에 살포하는 방법이나, 푸마르산과 용매를 함유하는 푸마르산 함유액과, 시트기재를 접촉시킨 후, 용매를 제거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시트기재에 푸마르산 입자를 담지시키는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푸마르산 입자를 함유하는 분산액을 담지부재에 스프레이한 후, 용매를 제거하는 방법; 푸마르산 입자를 함유하는 분산액에 담지부재를 침지시킨 후, 용매를 제거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시트기재를 구성하는 섬유를 푸마르산으로 피복하는 형태로서는 푸마르산을 용해시킨 푸마르산 용액을 담지부재에 스프레이한 후, 용매를 제거하는 방법; 푸마르산을 용해시킨 푸마르산 용액에 담지부재를 침지시킨 후, 용매를 제거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흡수성 물품의 제조 시에는 미리 푸마르산 담지시트를 제작해 두고, 이것을 탑시트, 중간시트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흡수성 물품의 제조할 때에, 푸마르산이 담지되어 있지 않은 시트기재를 탑시트, 중간시트 등으로서 배치한 후, 이 시트기재에 푸마르산 함유액을 스프레할 수도 있다.
상기 푸마르산 함유액 중의 푸마르산의 함유율은 0.05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0.10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질량% 이상이고, 5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47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5질량% 이하이다. 푸마르산의 함유율이 상기 범위내이면, 담지부재로의 담지성이 더욱 향상한다.
또, 상기 푸마르산 함유액은 상기 분산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푸마르산 함유액 중의 분산제의 함유량은 푸마르산 100질량부에 대해서, 1질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2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질량부 이상이고, 50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45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질량부 이하이다. 분산제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내이면, 푸마르산 입자의 분산 안정성이 향상한다. 한편, 분산제의 사용량이 50질량부를 넘어도, 분산 안정성의 향상은 더 이상 인정되지 않아, 경제성이 떨어지며, 또, 분산액이 증점되어 작업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푸마르산 함유액의 용매로서는 물, 물과 친수성 유기용제의 혼합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유기용매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용매를 제거하는 방법으로서는 분산액을 담지부재에 접촉시킨 후, 용매를 휘발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체액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체를 구비한다. 상기 흡수체는 적어도 1층의 흡수층으로 구성된다. 흡수층은 흡수성재료로서, 상기 흡수성 수지분말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수층은 흡수성재료로서 추가로, 흡수성 섬유를 함유할 수도 있다. 상기 흡수성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펄프 섬유, 셀룰로오스 섬유, 레이온을 들 수 있다. 상기 흡수층은 흡수성 수지분말에 부가해서, 섬유기재를 함유할 수도 있다. 상기 섬유기재로서는 열융착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열융착성 섬유는 보형성을 높이기 위해서 사용된다. 열융착 섬유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섬유,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나 복합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흡수성 재료로서 흡수성 수지분말만을 함유하는 흡수층은 박형화가 가능하다. 섬유기재를 함유하는 흡수층은 체액의 분산성이 우수하다.
상기 흡수층은 예를 들면, 분쇄한 펄프 섬유나 셀룰로오스 섬유 등의 친수성 섬유 집합층에 입상의 흡수성 수지분말을 혼합한 것을, 티슈페이퍼 등의 종이 시트 또는 액투과성 부직포 시트에 고정한다, 혹은 이것들의 액투과성 부직포 시트로 두르고 직사각형, 모래시계형, 표주박형, 빨래방망이형 등의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에 의해 수득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흡수성 수지분말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아크릴산을 주 구성성분으로 하는 (A) 가교 중합체로써, 그 카복실기의 적어도 일부가 중화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 가교 중합체를 구성하는 아크릴산 성분의 함유율은 9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95질량% 이상이 더 바람직하고, 99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97질량%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아크릴산 성분의 함유율이 상기 범위내이면, 수득되는 흡수성 수지분말이 소망하는 흡수성능을 발현하기 쉬워진다.
(A) 가교 중합체의 카복실기의 적어도 일부를 중화하는 양이온으로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리튬,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금속 이온; 마그네슘, 칼슘 등의 알칼리토금속 이온 등을 들 수 있다. 가교 중합체의 카복실기의 중화도는 60몰% 이상이 바람직하고, 65몰%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중화도가 너무 낮으면, 수득되는 흡수성 수지분말의 흡수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 중화도의 상한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카복실기의 전부가 중화될 수도 있다. 또, 중화도는, 하기 식에 의해 산출된다.
중화도(몰%) = 100×「가교 중합체의 중화되어 있는 카복실기의 몰수」 / 「가교 중합체가 가지는 카복실기의 총 몰수(중화, 미중화를 포함한다.)」
상기 가교 중합체는 (a1)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 및/또는 가수분해에 의해 (a1)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를 생성하는 (a2) 가수분해성 모노머와, (b) 내부가교제를 함유하는 불포화 단량체 조성물을 중합해서 수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1)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적어도 1개의 수용성 치환기와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가지는 모노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수용성 모노머란 25℃의 물 100g에 적어도 100g 용해하는 성질을 가지는 모노머를 의미한다. 또, 상기 (a2) 가수분해성 모노머는 50℃의 물, 필요에 따라 촉매(산 또는 염기 등)의 작용에 의해 가수분해 되어, (a1)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를 생성한다. (a2) 가수분해성 모노머의 가수분해는 가교 중합체의 중합 중, 중합 후, 및, 이것들의 양쪽의 어느 경우일 수 있지만, 수득되는 흡수성 수지분말의 분자량의 관점 등으로부터 중합 후가 바람직하다.
수용성 치환기로서는 예를 들면, 카복실기, 설포기, 설포옥시기, 포스포노기, 수산기, 카르바모일기, 아미노기, 또는, 이것들의 염, 및, 암모늄염을 들 수 있고, 카복실기의 염(카복실레이트), 설포기의 염(설포네이트), 암모늄염이 바람직하다. 또, 염으로서는 리튬,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염; 마그네슘, 칼슘 등의 알칼리토금속염을 들 수 있다. 암모늄염은 제1급∼제3급 아민의 염 또는 제4급 암모늄염이 어느 것일 수도 있다. 이것들의 염 중, 흡수 특성의 관점으로부터 알칼리 금속염 및 암모늄염이 바람직하고, 알칼리 금속염이 더 바람직하고, 나트륨염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카복실기 및/또는 그 염을 가지는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로서는 탄소수 3∼30의 불포화 카복시산 및/또는 그 염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복실기 및/또는 그 염을 가지는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메타)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염 등의 불포화 모노카복시산 및/또는 그 염; 말레산, 말레산염 등의 불포화 디카복시산 및/또는 그 염; 말레산 모노부틸에스테르 등의 불포화 디카복시산의 모노알킬에스테르 및/또는 그 염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서, 「(메타)아크릴」은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을 의미한다. 설포기 및/또는 그 염을 가지는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로서는 비닐설폰산, 스티렌설폰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a2) 가수분해성 모노머로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가수분해에 의해 수용성 치환기가 되는 가수분해성 치환기를 적어도 1개 가지는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가수분해성 치환기로서는 산무수물을 포함하는 기, 에스테르 결합을 포함하는 기 및 시아노기 등을 들 수 있다. 산무수물을 포함하는 기를 가지는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로서는 탄소수 4∼20의 불포화 디카복시산 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 결합을 포함하는 기를 가지는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로서는 에틸렌성 불포화 카복시산의 저급 알킬에스테르; 에틸렌성 불포화 알코올의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시아노기를 가지는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로서는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등의 비닐기 함유의 니트릴 화합물을 들 수 있다.
(a1)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 및 (a2) 가수분해성 모노머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a1)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와 (a2) 가수분해성 모노머를 병용할 경우도 동일하다.
(A) 가교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로서는 (a1)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 및 (a2) 가수분해성 모노머의 이외에, 이것들과 공중합 가능한 (a3) 기타의 비닐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a3) 기타의 비닐 모노머로서는 소수성 비닐 모노머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흡수특성의 관점으로부터, (a3) 기타의 비닐 모노머의 함유량은 0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b) 내부가교제로서는 (b1)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개 이상 가지는 내부가교제; (b2) (a1)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의 수용성치환기 및/또는 (a2) 가수분해성 모노머의 가수분해에 의해 생성하는 수용성 치환기와 반응할 수 있는 작용기를 적어도 1개 가지며, 또, 적어도 1개의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가지는 내부 가교제; (b3) (a1)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의 수용성 치환기 및/또는 (a2) 가수분해성 모노머의 가수분해에 의해 생성하는 수용성 치환기와 반응할 수 있는 작용기를 적어도 2개 이상 가지는 내부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b1) 내부 가교제로서는 탄소수 8∼12의 비스(메타)아크릴아미드, 탄소수 2∼10의 폴리올의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탄소수 2∼10의 폴리알릴아민 및 탄소수 2∼10의 폴리올의 폴리(메타)알릴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의 구체예로서는 N,N'-메틸렌비스(메타)아크릴아미드,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중합도 2∼5)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디 또는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디알릴아민, 트리알릴아민, 트리알릴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테트라알릴옥시에탄, 펜타에리트리톨디알릴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알릴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알릴에텔 및 디글리세린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b2) 내부 가교제로서는 탄소수 6∼8의 에폭시기를 가지는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 탄소수 4∼8의 수산기를 가지는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 및 탄소수 4∼8의 이소시아나토기를 가지는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b3) 내부 가교제로서는 다가 알코올, 다가 글리시딜, 다가 아민, 다가 아지리딘 및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A) 가교 중합체의 중합형태로서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용액 중합법, 유화 중합법, 현탁 중합법, 역상현탁 중합법을 적응할 수 있다. 또, 중합시의 중합액의 형상으로서 박막상 및 분무상 등일 수도 있다. 중합제어의 방법으로서는 단열 중합법, 온도제어 중합법 및 등온 중합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중합방법으로서 현탁 중합법 또는 역상현탁 중합법을 적용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서 종래 공지의 분산제, 및, 보호콜로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역상현탁 중합법의 경우, 헥산 등의 용매를 사용해서 중합을 실시할 수 있다. 중합방법으로서는 용액 중합법이 바람직하고, 유기용매 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생산코스트면에서 유리기 때문에 수용액 중합법이 더 바람직하다.
중합에 의해 수득되는 수분함유 겔{가교 중합체와 물로 이루어진다.}은, 필요에 따라서 세단할 수 있다. 세단 후의 겔의 크기(최장경)은, 50㎛∼10cm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건조공정에서의 건조성이 더욱 양호하게 된다. 세단은 공지의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고, 예를 들면, Bexmill, Rubber Chopper, Pharma Mill, Mincing Machine, 충격식 분쇄기 및 롤식 분쇄기 등의 종래의 세단장치를 사용해서 세단할 수 있다.
중합에 용매(유기용매, 물 등)를 사용하는 경우, 중합 후에 용매를 증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에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경우, 증류후의 유기용매의 함유율(질량%)은 가교 중합체의 질량(100질량%)에 대해서, 0질량%∼10질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내이면, 흡수성 수지분말의 흡수성능(특히 보수량)이 더욱 양호하게 된다.
용매(물을 포함한다.)를 증류하는 방법으로서는 80℃∼230℃의 온도의 열풍으로 증류(건조)하는 방법, 100℃∼230℃로 가열된 드럼 드라이어 등에 의한 박막 건조법, (가열)감압 건조법, 동결 건조법, 적외선에 의한 건조법, 디캔테이션 및 여과 등을 적용할 수 있다.
(A) 가교 중합체는 건조 후에 분쇄 할 수 있다. 분쇄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해머식 분쇄기, 충격식 분쇄기, 롤식 분쇄기 및 제트기류식 분쇄기 등의 통상의 분쇄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분쇄된 (A)가교 중합체는 필요에 따라서 체가름 등에 의해 입도 조정할 수 있다. (A) 가교 중합체의 중량평균 입자경(㎛)은 100㎛∼800㎛가 바람직하다. (A) 가교 중합체의 중량평균 입자경(㎛)이 상기 범위내이면, 흡수 성능이 더욱 양호하게 된다. 또, 중량평균 입자경은 ro-tap 체가름 시험기 및 표준체(JIS Z8801-1:2006)을 사용해서, Perry's Chemical EngineersㆍHandbook 제6판(McGraw-Hill Companies, 1984, 21쪽)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된다.
(A) 가교 중합체는 필요에 따라서 표면가교를 실시할 수 있다. 표면가교를 실시하기 위한 가교제(표면 가교제)로서는 (b) 내부 가교제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표면 가교제로서는 흡수성 수지분말의 흡수 성능 등의 관점으로부터, 상기 (b3) 가교제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다가 글리시딜,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및 글리세린디글리시딜에테르,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이다.
(A) 가교 중합체는 1종일 수도 있고,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A) 가교 중합체는 추가로 (B) 표면 개질제로 처리될 수도 있다. (B) 표면개질제로서는 황산알루미늄, 칼륨 명반, 암모늄 명반, 나트륨 명반, (폴리)염화알루미늄, 이것들의 수화물 등의 다가 금속 화합물; 폴리에틸렌이민, 폴리비닐아민, 폴리알릴아민 등의 폴리카티온 화합물; 무기 미립자; (B1) 탄화수소기를 함유하는 표면 개질제; (B2) 불소원자를 가지는 탄화수소기를 함유하는 표면 개질제; 및, (B3) 폴리실록산 구조를 가지는 표면 개질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미립자로서는 산화 규소(실리카), 산화 알루미늄(알루미나), 산화철, 산화 타이타늄, 산화 마그네슘, 및, 산화 지르코늄 등의 산화물, 탄화규소 및 탄화 알루미늄 등의 탄화물, 질화 타이타늄과 같은 질화물, 및, 이것들의 복합체(예를 들면, 제올라이트 및 탈크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산화물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산화 규소이다. 무기 미립자의 체적평균 입자경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1nm∼500nm가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미립자의 비표면적은 20㎡/g∼4000㎡/g이 바람직하다. 비표면적이 이 범위내이면, 흡수성능이 더욱 양호하게 된다. 또, 비표면적은 JIS Z8830:2001(질소, 용량법, 다점법)에 준거해서 측정된다.
(A) 가교 중합체를 (B) 표면개질제 로 처리하는 방법으로서는, (B)표면개질제가 (A)가교 중합체의 표면에 존재하도록 처리하는 방법이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그러나, (B) 표면개질제는 (A)가교 중합체의 수분함유 겔 또는 (A)가교 중합체를 중합하기 전의 중합액 가 아니라, (A)가교 중합체의 건조체와 혼합되는 것이 표면의 (B)표면 개질제의 량을 컨트롤 하는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또, 혼합은, 균일하게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 수지분말의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하게 한정은 없고, 부정형 파쇄상, 인편상, 펄상(pearl shape) 및 쌀알형상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종이기저귀 용도 등에서의 섬유상물과의 얽힘이 좋고, 섬유상물로부터의 탈락의 걱정이 없다는 관점으로부터 부정형 파쇄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수성 수지분말은 볼텍스법에 의한 흡수속도가 5초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초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55초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3초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흡수속도가 55초를 넘을 경우, 체액의 배설속도가 높고, 한 번에 다량의 체액이 배설되었을 때에는, 체액의 흡수를 충분하게 실시할 수 없다. 그 결과, 액누설이 일어나기 쉬워진다. 상기 흡수속도는 작을 수록 바람직하지만, 5초 미만이면, 흡수성 수지분말의 뇨에 대한 안정성, 특히, 하중 하안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볼텍스법에 의한 흡수속도는 체액을 흡수하는 시간(초)을 측정함으로써 평가하고 있다. 그 때문에 측정시간(초)이 짧을 수록 흡수성 수지분말이 체액을 흡수하는 속도가 크다.
상기 흡수성 수지분말은 흡수배율이, 50g/g 이상, 70g/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수배율은 52g/g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54g/g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68g/g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64g/g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흡수배율은 흡수성 수지분말이 어느 정도의 량을 흡수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상기 흡수배율이 50g/g 이상이면, 소량의 흡수성 수지분말에 의해 흡수 용량을 소정의 레벨로 유지할 수 있고, 박형의 흡수체를 제조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 흡수배율은 액누설을 방지하는 관점으로부터, 크면 클 수록 바람직하지만, 70g/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수배율이 70g/g 이하이면, 흡수성 수지분말의 뇨에 대한 안정성이 향상하기 때문이다.
상기 흡수성 수지분말은 보수량이 20g/g 이상, 65g/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수량은 22g/g 이상이 더 바람직하고, 24g/g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고, 63g/g 이하가 더 바람직하고, 61g/g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보수량은 흡수성 수지분말이 흡수한 액을 어느 정도 유지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상기 보수량이 20g/g이상이면 소량의 흡수성 수지분말에 의해 체액의 저장용량을 소정의 레벨로 유지할 수 있고, 박형의 흡수체를 제작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 보수량은 액누설을 방지하는 관점으로부터 크면 클 수록 바람직하지만, 65g/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수량이 65g/g 이하이면, 흡수성 수지분말의 뇨에 대한 안정성이 향상하기 때문이다.
흡수성 수지분말의 흡수속도, 흡수배율, 보수량은 (A) 가교 중합체의 조성, 표면 개질제의 종류, 흡수성 수지분말의 입도, 건조조건 등을 적당하게 선택하는 것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흡수성 수지분말에는 방부제, 방곰팡이제, 항균제,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착색제, 방향제, 탈취제, 무기질분말 및 유기질 섬유상물 등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로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2556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31767호 등에 예시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의 첨가제를 함유시키는 경우, 첨가제의 함유율(질량%)은 (A)가교 중합체(100질량%)에 대해서, 0.001질량%∼10질량%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0.01질량%∼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질량%∼1질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1질량%∼0.5질량%이다.
흡수성 물품중의 흡수성 수지분말의 단위면적당 중량은 50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75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g/㎡ 이상이고, 800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700g/㎡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00g/㎡ 이하이다. 단위면적당 중량이 50g/㎡이상이면, 흡수체의 강도가 보다 향상한다. 단위면적당 중량이 600g/㎡ 이하이면, 흡수체의 텍스처가 보다 양호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이 구조서는 예를 들면, (1)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의 피부면측에 배치된 탑시트와, 상기 흡수체의 외면측에 배치된 백시트를 가지고, 상기 탑시트가 상기 푸마르산 담지시트인 형태; (2)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의 피부면측에 배치된 탑시트와, 상기 흡수체의 외면측에 배치된 백시트를 가지고, 상기 흡수체와 상기 탑시트 사이에 중간시트가 배치되어 있고, 이 중간시트가 상기 푸마르산 담지시트인 형태; (3)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의 피부면측에 배치된 탑시트와, 상기 흡수체의 외면측에 배치된 백시트를 가지고, 상기 흡수체가 상기 푸마르산 담지시트로 덮어져 있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구체적인 적용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실금패드, 일회용 기저귀, 생리용 냅킨 등의 인체로부터 배출되는 체액을 흡수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흡수성 물품을 들 수 있다.
상기 흡수성 물품이 실금패드 또는 생리용 냅킨인 경우, 예를 들면, 투액성의 탑시트와 불투액성의 백시트 사이에, 흡수체 및 필요에 따라서 중간시트가 배치된다. 그리고 탑시트 및/또는 중간시트가 푸마르산 담지시트이다. 실금패드나 생리용 냅킨의 형상으로서는 거의 직사각형, 모래시계형, 표주박형 등을 들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 상기 투액성의 탑시트의 폭방향 양측에 불투액성의 사이드시트가 설치될 수도 있다. 사이드시트는 탑시트의 폭방향 양측의 상면에 접합되고, 접합점에서 폭방향 내측의 사이드시트는 흡수체의 양측연을 따라서 한 쌍의 라이징 플랩을 형성한다.
상기 투액성의 탑시트 및 중간시트는 투액성의 시트재료 예를 들면, 친수성 섬유에 의해 형성된 부직포이고, 착용자의 체액을 신속하게 포착해서 흡수체로 이동시킨다. 탑시트로서 이용되는 부직포는 예를 들면, 포인트본드 부직포나 에어스루 부직포, 스펀레이스 부직포, 스판본드 부직포이고, 이것들의 부직포를 형성하는 친수성 섬유로서는 통상, 셀룰로오스나 레이온, 코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탑시트로서 표면을 계면활성제에 의해 친수화 처리한 소수성 섬유(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나일론)로 형성된 투액성의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다.
백시트, 사이드시트에 사용되는 불투액성 시트로서는 예를 들면, 소수성 섬유(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나일론)로 형성된 발수성 또는 불투액성의 부직포(예를 들면, 스판본드 부직포나 멜트블로운 부직포, SMS(스판본드ㆍ멜트블로운ㆍ스판본드)부직포)나, 발수성 또는 불투액성의 플라스틱 필름이 이용되고, 불투액성 시트에 도달한 체액이 흡수성 물품의 외측으로 배어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불투액성 시트에 플라스틱 필름이 이용되는 경우, 물크러짐을 방지해서 착용자의 쾌적성을 향상한다는 관점에서는 투습성(통기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필름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새로운 확산성 부여, 형상 안정성을 위해서, 플라스틱 필름과, 흡수체 사이에 종이 시트를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흡수성 물품이 일회용 기저귀인 경우, 일회용 기저귀로서는 예를 들면, 후배부 또는 전복부의 좌우로 한 쌍의 체결부재가 설치되고, 당해 체결부재에 의해 착용시에 팬티형으로 형성되는 전개형 일회용 기저귀; 전복부와 후배부가 접합됨으로써 웨스트 개구부와 한 쌍의 다리 개구부가 형성된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 등을 들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이 일회용 기저귀인 경우, 일회용 기저귀는 예를 들면, 내측시트와 외측 시트로 이루어지는 적층체가 전복부와 후배부와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부로 이루어지는 기저귀 본체를 형성하고, 상기 가랑이부에, 상기 흡수층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 일회용 기저귀는 예를 들면, 탑시트와 백시트 사이에, 흡수체가 배치된 적층체로 이루어지고, 이 적층체가 전복부와 후배부와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부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또, 전복부, 후배부, 가랑이부란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할 때에, 착용자의 배쪽에 대는 부분을 전복부와 부르고, 착용자의 엉덩이측에 대는 부분을 후배부라고 부르고, 전복부와 후배부 사이에 위치해 착용자의 고간에 대는 부분을 가랑이부라고 부른다. 상기 내측시트는 친수성 또는 발수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외측시트는 발수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 물품에는 흡수체의 양측연부를 따라서 라이징 플랩이 설치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이징 플랩은 예를 들면, 흡수체의 상면의 폭방향 양측연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흡수체의 폭방향 양쪽외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라이징 플랩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체액의 옆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라이징 플랩은 탑시트의 폭방향 양측에 설치된 사이드시트의 내측단이 일어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라이징 플랩 및 사이드시트는 발수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도면에 나타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푸마르산 담지시트의 형태를 예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지면의 C방향의 상측이 피부면측이고, 하측이 외면측이다. 도 1에 나타낸 푸마르산 담지시트(1)는 평균 입자경이 30㎛ 이하의 푸마르산(2)의 입자가 기재시트를 구성하는 섬유(3)에 담지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푸마르산 담지시트(1)에 있어서, 푸마르산(2)의 입자는 분산제(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음)에 의해 피복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푸마르산 담지시트(1)는 기재시트를 구성하는 적어도 일부의 섬유(3)가 푸마르산(2)으로 피복되어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 실금패드를 도시했다. 도 3은 실금패드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실금패드의 V-V단면도를 나타낸다. 또, 도면에서는 화살표(B)를 폭방향으로 하고, 화살표(A)를 길이방향으로 정의한다. 또, 화살표(A, B)에 의해 형성되는 면상의 방향을, 평면방향이라고 정의한다.
실금패드(11)는 액투과성의 탑시트(12)와, 불투액성의 백시트(13)와, 이들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20)를 가지고 있다. 흡수체(20)는 흡수성 수지분말(21) 및 섬유기재(22)를 티슈페이퍼(14)로 고정하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탑시트(12)가 푸마르산 담지시트(1)로 구성되어 있다.
탑시트(12)는 착용자의 가랑이부의 피부에 면하도록 배치되고, 착용자의 체액을 투과한다. 탑시트(12)를 통과한 체액은 흡수체(20)에 합입되고, 흡수성 수지분말(21)에 흡수된다. 푸마르산(2)(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음)은 수난용성이기 때문에, 체액에 대해서 즉시 용해하지 않고, 서서히 용해되게 된다. 그 때문에 흡수성 수지분말(21)이 체액 등을 흡수한 후에 있어서도, 탑시트(12)가 알칼리성이 되는 것을 장기에 걸쳐서 방지할 수 있다.
탑시트(12)의 폭방향(B)의 양측연에는, 실금패드(11)의 길이방향(A)으로 연장하는 사이드시트(15)가 접합하고 있다. 사이드시트(15)는 액불투과성의 플라스틱 필름이나 발수성 부직포 등에 의해 구성된다. 사이드시트(15)에는 실금패드(11)의 폭방향 내측단에 기립용 탄성부재(16)가 설치되고 있다. 실금패드(11)의 사용시에는 기립용 탄성부재(16)의 수축력에 의해 사이드시트(15)의 내측단이 착용자의 피부를 향해서 일어서고, 이것에 의해 체액의 옆누설이 방지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다른 예의 모식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에 기재의 실금패드는 액투과성의 탑시트(12)와, 흡수체(20) 사이에, 중간시트로서 푸마르산 담지시트(1)가 배치되어 있다. 도 5에서는, 중간시트를 푸마르산 담지시트(1)로 한 형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중간시트 및 탑시트(12)의 양쪽을 푸마르산 담지시트(1)로 해도 된다. 또, 도 4 및 도 5에서는 흡수성 수지분말(21) 및 섬유기재(22)를 티슈페이퍼(14)로 고정해서 흡수체(20)를 형성하고 있지만, 이것들의 흡수성 수지분말(21) 및 섬유기재(22)는 티슈페이퍼(14)로 덮어져 있을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다른 예의 모식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에 기재된 실금패드는 흡수성 수지분말(21) 및 섬유기재(22)로 이루어지는 흡수체(20)가 푸마르산 담지시트(1)로 덮어져 있다. 도 6에서는 흡수체(20)를 덮는 액투과성 시트를 푸마르산 담지시트(1)로 한 형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추가로 탑시트(12)를 푸마르산 담지시트(1)로 할 수도 있고, 추가로 중간시트로서 푸마르산 담지시트(1)을 배치할 수도 있다. 또, 도 4∼도 6에서는, 흡수체(20)가 1층의 흡수층을 가지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흡수체(20)가 복수층의 흡수층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또, 도 4∼도 6에서는, 흡수성 물품(11)이 1개의 흡수체(20)를 가지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흡수체(20)를 2이상 배치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도 4과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구체예로서는 일회용 기저귀, 생리용 냅킨, 실금패드 등의 인체로부터 배출되는 체액을 흡수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흡수성 물품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변경, 실시형태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평가방법]
(볼텍스법에 의한 흡수속도의 측정방법)
100㎖의 글래스 비이커에, 생리식염수(0.9질량% 염화나트륨수) 50㎖과 마그네틱 교반기 칩(중앙부 직경 8mm, 양단부 직경 7mm, 길이 30mm, 표면이 불소 수지 코팅되어 있는 것)을 넣고, 비이커를 마그네틱 교반기(AS ONE Corporation, 「HPS-100」)에 올려 놓는다. 마그네틱 교반기의 회전수를 600±60rpm로 조정하고, 생리식염수를 교반시킨다. 시료 2.0g을, 교반 중의 식염수의 소용돌이 중심부에서 액 중에 투입하고, JIS K7224(1996)에 준거해서 그 흡수성 수지분말의 흡수속도(초)를 측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시료인 흡수성 수지분말의 비이커로의 투입이 완료한 시점에서 스톱워치를 스타트시키고, 교반기 칩이 시험액에 덮어진 시점(소용돌이가 사라지고, 액 표면이 평평해진 시점)에서 스톱워치를 멈추고, 그 시간(초)을 흡수속도로서 기록한다. 측정은 5회 실시하고(n=5), 상하 각 1점의 값을 삭제하고, 남는 3점의 평균값을 측정값으로 했다. 또, 이것들의 측정은 23±2℃, 상대습도 50±5%로 실시하고, 측정 전에 시료를 동일 환경에서 24시간 이상 보존한 후에 측정한다.
(흡수배율의 측정방법)
흡수배율의 측정은 JIS K7223(1996)에 준거해서 실시한다. 눈크기 63㎛의 나일론망(JIS Z8801-1:2000)을 폭 10cm, 길이 40cm의 직사각형으로 절단해서 길이방향 중앙에서 둘로 접고, 양단을 히트실링해서 폭 10cm(안쪽 치수 9cm), 길이 20cm의 나일론 봉지를 제작한다. 측정시료 1.00g을 정확하게 칭량하고, 제작한 나일론 봉지의 저부에 균일하게 되도록 넣는다. 시료가 들어 간 나일론 봉지를, 생리식염수에 침지시킨다. 침지 개시로부터 60분 후에 나일론 봉지를 생리식염수에서 꺼내고, 1 시간 수직상태로 매달아 놓고 수분 제거한 후, 시료의 질량 F1(g)을 측정한다. 또, 시료를 사용하지 않고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고, 그 때의 질량 F0(g)을 측정한다. 그리고 이것들 질량 F1, F0 및 시료의 질량으로부터, 다음 식에 따라서, 목적으로 하는 흡수배율을 산출한다.
흡수배율(g/g)=(F1-F0)/시료의 질량
(보수량의 측정방법)
보수량의 측정은, JIS K7223(1996)에 준거해서 실시한다. 눈크기 63㎛의 나일론망(JISZ8801-1:2000)을 폭 10cm, 길이 40cm의 직사각형으로 절단해서 길이방향 중앙에서 둘로 접고, 양단을 히트실링해서 폭 10cm(안쪽 치수 9cm), 길이 20cm의 나일론 봉지를 제작한다. 측정시료 1.00g을 정확하게 칭량하고, 제작한 나일론 봉지의 저부에 균일하게 되도록 넣는다. 시료가 들어 간 나일론 봉지를, 생리식염수에 침지시킨다. 침지 개시로부터 60분 후에 나일론 봉지를 생리식염수에서 꺼내고, 1시간 수직상태로 매달아 놓고 수분 제거한 후, 원심 탈수기(Kokusan Co., Ltd, 형식 H-130 특형)을 사용해서 탈수한다. 탈수조건은 143G(800rpm)로 2분간으로 한다. 탈수후의 질량 R1(g)을 측정한다. 또, 시료를 사용하지 않고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고, 그 때의 질량 R0(g)을 측정한다. 그리고 이것들 질량 R1, R0 및 시료의 질량으로부터, 다음 식에 따라서 목적으로 하는 보수량을 산출한다.
보수량(g/g)=(R1-R0-시료의 질량)/시료의 질량
(피부자극, 악취강도)
폭 5cm, 길이 5cm로 가공한 흡수성 물품에, 뇨 5㎖을 3회로 나누어서 흡수시켰다. 뇨를 흡수시킨 흡수성 물품을 시험자의 허벅다리에, 탑시트(투액성 부직포)가 피부에 접촉하도록 꼭 대고, 16시간 방치했다. 16시간 경과 후, 흡수성 물품을 떼어내고, 접촉하고 있었던 부분의 피부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하기의 5단계로 평가했다. 또, 떼어낸 흡수성 물품에 대해서, 악취강도를 하기의 6단계로 평가했다. 평가는 각각 20명의 시험자가 실시하고, 20명의 평가의 평균을 그 흡수성 물품의 평가값으로 했다.
<피부자극의 평가기준>
5 : 변화없음.
4 : 거의 변화없음.
3 : 조금 붉은 기가 있음.
2 : 붉은 기 있음.
1 : 피부가 발진된 상태.
<악취강도의 평가기준>
0 : 무취.
1 : 간신히 감지할 수 있는 정도의 냄새가 난다.
2 : 무슨 냄새인지는 이해할 수 있지만, 약한 냄새가 난다.
3 :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냄새가 난다.
4 : 강하게 냄새 난다.
5 : 강열하게 냄새 난다.
[적층체의 제작]
비투액성 시트 상에 합성 고무계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하고, 이 위에 티슈페이퍼를 적층했다. 상기 티슈페이퍼 상에 합성 고무계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한 후, 펄프와 흡수성 수지분말(San-Dia Polymers, Ltd., 「Aqua Pearl(등록상표)」 DS560)을 혼합한 상태에서 살포(흡수성 수지분말의 단위면적당 중량 100g/㎡)하고, 흡수층을 형성했다. 이 흡수층 상에 합성 고무계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하고, 이 위에 티슈페이퍼를 적층했다. 티슈페이퍼 상에, 추가로 합성 고무계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하고, 투액성 부직포를 적층해서 적층체를 형성했다. 또, 흡수성 수지분말의 물성은 흡수배율이 60g/g, 보수량이 42g/g, 볼텍스법에 의한 흡수속도가 38초였다.
[흡수성 물품의 제작]
흡수성 물품1
실온의 증류수 47.5g과, 분산제로서의 CARRYBON(등록상표) B(폴리카복시산(염)형 분산제, 고형분농도 40질량%, Sanyo Chemical Industries Co. Ltd.) 12.5g을 포함하는 혼합액을 조제했다. 여기에, 푸마르산 40g을 투입하고, 호모게나이저(Nihonseiki Kaisha Ltd., Biomixer BM-2)을 사용해서 푸마르산 입자의 체적평균 입자경이 2㎛가 될 때까지 분쇄하고, 분산시켰다. 추가로, 증류수를 추가하고, 푸마르산 농도를 0.1질량%로 조정한 푸마르산 분산액을 얻었다. 또, 분산제의 함유량은 푸마르산 100질량부에 대해서 12.5질량부이다. 분산액 중의 푸마르산의 체적평균 입자경은 레이저 회절ㆍ산란식 입도 분석계(Nikkiso Co., Ltd, MT3000II)을 사용해서 측정했다. 상기 적층체의 투액성 부직포(탑시트) 상에, 스프레이를 사용해서 상기 푸마르산 분산액을 도포하고, 건조시켜서 흡수성 물품1을 제작했다. 또, 푸마르산 분산액의 도포량은 흡수성 물품1의 투액성 부직포의 푸마르산 담지량이 1.0g/㎡가 되도록 조정했다. 이 흡수성 물품1은 탑시트가 평균 입자경 30㎛ 이하의 푸마르산 입자를 담지한 시트이다.
흡수성 물품2∼12
산성 화합물의 종류 및 체적평균 입자경을,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변경한 이외는, 흡수성 물품1과 동일하게 해서, 흡수성 물품2∼12를 제작했다.
흡수성 물품13
푸마르산을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는, 흡수성 물품1과 동일하게 해서 흡수성 물품 13을 제작했다.
흡수성 물품1∼13에 대해서, 피부자극, 악취강도를 평가하고,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담지하고 있는 푸마르산의 평균 입자경이 30㎛ 이하인 흡수성 물품1∼3에서는 푸마르산에 의해 탑시트가 약산성으로 유지되고 있어, 피부자극이 약해지고 있다. 또, 이것들의 흡수성 물품1∼3에서는 부패균의 번식이 억제되어, 악취강도도 약해지고 있다.
이에 대해서 담지하고 있는 푸마르산의 평균 입자경이 30㎛를 넘는 흡수성 물품 9에서는 피부자극이 강하고, 악취강도도 강하게 되어 있어, 푸마르산을 담지시킨 효과를 충분하게 발휘되고 있지 않다. 또, 흡수성 물품4∼8과 같이 , 아디프산, 숙신산, 이타콘산, 벤조산 및 실리카에서는 평균 입자경을 30㎛ 이하로 조정한 경우에도, 피부자극, 악취강도의 억제효과가 작다. 또, 흡수성 물품11, 12과 같이, 락트산이나 시트르산을 사용한 경우에서는 산성 화합물이 뇨에 녹아버리어 탑시트에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피부자극의 평가가 산성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고 있는 흡수성 물품13과 같은 정도의 결과였다.
흡수성 물품14
실온의 증류수 47.5g과, 분산제로서의 CARRYBON(등록상표) B(폴리카복시산(염)형 분산제, 고형분 농도 40질량%, Sanyo Chemical Industries Co. Ltd.) 12.5g을 포함하는 혼합액을 조제했다. 여기에, 푸마르산 40g을 투입하고, 호모게나이저(Nihonseiki Kaisha Ltd., Biomixer BM-2)를 사용해서 푸마르산 입자의 체적평균 입자경이 8㎛가 될 때까지 분쇄했다. 이 분산액에서 수분을 제거하고, 체적평균 입자경 8㎛의 푸마르산 입자의 분체를 얻었다. 상기 적층체의 투액성 부직포(탑시트) 상에, 이 푸마르산 입자를 살포하고, 흡수성 물품14를 제작했다. 또, 푸마르산 입자의 살포량은 흡수성 물품14의 투액성 부직포의 푸마르산 담지량이 1.0g/㎡이 되도록 조정했다. 이 흡수성 물품14는 탑시트가 평균 입자경 30㎛ 이하의 푸마르산 입자를 담지한 시트이다.
흡수성 물품14에 대해서, 피부자극, 악취강도를 평가하고,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또, 대비를 위해서, 상기 흡수성 물품 2의 평가결과도 합쳐서 나타냈다. 또, 푸마르산 입자의 담지 성능을 비교하기 위해서, 흡수성 물품 2, 14에 대해서는 흡수성 물품에 진동처리를 실시한 후의 피부자극, 악취강도에 대해서도 평가했다. 진동처리는 흡수성 물품의 탑시트를 아래로 해서, 새니터리 진동체(Sansho Industry Co., Ltd., SF-300) 상에 두고, 1분간 진동시킴으로써 실시했다.
Figure pct00002
흡수성 물품2는 투액성 부직포에 푸마르산 분산액을 도포하는 것에 의해 푸마르산 입자를 담지시킨 것이다. 흡수성 물품14는 투액성 부직포에 푸마르산 입자의 분체를 살포하는 것에 의해 푸마르산 입자를 담지시킨 것이다. 이들 흡수성 물품 2 및 흡수성 물품14는 진동 처리전의 피부자극, 악취강도의 평가가 거의 동일한 결과였다. 이것으로부터, 피부자극, 악취강도에 대한 푸마르산의 효과는, 담지방법에 영향받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흡수성 물품2는 진동처리 전후에서 피부자극, 악취강도의 평가가 변화되지 않은 것에 대해서, 흡수성 물품14에서는 진동처리 후는 피부자극, 악취강도의 평가가 저하했다. 이것은, 진동처리에 의해 푸마르산 입자가 탈락해버렸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푸마르산 입자는 푸마르산 분산액을 담지부재에 도포함으로써 담지시킨 쪽이, 담지강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흡수성 물품15
액온을 50℃로 조정한 온수 200g에 대해서, 푸마르산 1.0g을 투입하고, 마그네틱 초음파 교반기 USS-2(Nihonseiki Kaisha Ltd.)를 사용해서 교반하고, 푸마르산을 완전하게 용해시키고, 푸마르산 용액1을 조제했다. 상기 적층체의 투액성 부직포(탑시트) 상에 스프레이를 사용해서 상기 푸마르산 용액1을 도포하고, 건조시켜서 흡수성 물품15를 제작했다. 또, 푸마르산 용액1의 도포량은 흡수성 물품15의 투액성 부직포의 푸마르산 담지량이 1.0g/㎡이 되도록 조정했다. 이 흡수성 물품15는 탑시트가 적어도 일부의 구성섬유가 푸마르산으로 피복된 시트이다.
흡수성 물품16
액온을 30℃로 조정한 에탄올(순도 95% 이상) 200g에 대해서, 푸마르산 1.0g을 투입하고, 마그네틱 초음파 교반기 USS-2(Nihonseiki Kaisha Ltd.)를 사용해서 교반하고, 푸마르산을 완전하게 용해시키고, 푸마르산 용액2을 조제했다. 상기 적층체의 투액성 부직포(탑시트) 상에 스프레이를 사용해서 상기 푸마르산 용액2를 도포하고, 건조시켜서 흡수성 물품16을 제작했다. 또, 푸마르산 용액2의 도포량은 흡수성 물품16의 투액성 부직포의 푸마르산 담지량이 1.0g/㎡이 되도록 조정했다. 이 흡수성 물품16은 탑시트가 적어도 일부의 구성섬유가 푸마르산으로 피복된 시트이다.
흡수성 물품15, 16에 대해서, 피부자극, 악취강도를 평가하고,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또, 대비를 위해서 상기 흡수성 물품1의 평가결과도 합쳐서 나타냈다.
Figure pct00003
흡수성 물품15, 16은 푸마르산을 용해시킨 푸마르산 함유액과 시트기재를 접촉시킨 후, 용매를 제거하는 것에 의해, 시트기재를 구성하는 섬유의 적어도 일부를 푸마르산으로 피복한 것이다. 이것들 흡수성 물품15 및 흡수성 물품16은 피부자극, 악취강도의 평가가 흡수성 물품1과 거의 동일한 결과였다. 이 결과로부터, 푸마르산 함유액의 용매로서, 푸마르산을 용해할 수 있는 온수, 친수성 유기용매 등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인체로부터 배출되는 체액을 흡수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흡수성 물품에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실금패드, 일회용 기저귀,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호적하게 이용할 수 있다.
1 : 푸마르산 담지시트
2: 푸마르산
3: 섬유
11: 실금패드(흡수성 물품)
12: 탑시트
13: 백시트
14: 티슈페이퍼
15: 사이드시트
16: 기립용 탄성부재
17: 중간시트
20: 흡수체
21: 흡수성 수지분말
22: 섬유기재

Claims (8)

  1. 흡수체와, 그 흡수체의 피부면측에 배치된 푸마르산 담지시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푸마르산 담지시트가 평균 입자경이 30㎛ 이하의 푸마르산 입자를 담지한 시트 및/또는 적어도 일부의 구성섬유가 푸마르산으로 피복된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마르산 입자는 입자표면의 적어도 일부가 분산제로 피복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푸마르산 담지시트의 푸마르산의 담지량이 0.01g/㎡∼10g/㎡인 흡수성 물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가 음이온성 고분자형 분산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형 분산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형 분산제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흡수성 물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피부면측에 배치된 탑시트와, 상기 흡수체의 외면측에 배치된 백시트를 가지고, 상기 탑시트가 상기 푸마르산 담지시트인 흡수성 물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피부면측에 배치된 탑시트와, 상기 흡수체의 외면측에 배치된 백시트를 가지고, 상기 흡수체와 상기 탑시트 사이에, 중간시트로서 상기 푸마르산 담지시트가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푸마르산 담지시트는 푸마르산과 용매를 함유하는 푸마르산 함유액과, 시트기재를 접촉시킨 후, 용매를 제거 하는 것에 의해 푸마르산을 담지시킨 것인 흡수성 물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푸마르산 함유액이 분산제를 함유하는 것인 흡수성 물품.
KR1020157030022A 2013-04-11 2014-03-14 흡수성 물품 KR1022082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83138A JP6253241B2 (ja) 2013-04-11 2013-04-11 吸収性物品
JPJP-P-2013-083138 2013-04-11
PCT/JP2014/056848 WO2014167939A1 (ja) 2013-04-11 2014-03-14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693A true KR20150140693A (ko) 2015-12-16
KR102208233B1 KR102208233B1 (ko) 2021-01-26

Family

ID=51689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0022A KR102208233B1 (ko) 2013-04-11 2014-03-14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0195095B2 (ko)
JP (1) JP6253241B2 (ko)
KR (1) KR102208233B1 (ko)
CN (2) CN108743045B (ko)
DE (1) DE112014001898B4 (ko)
HK (1) HK1213167A1 (ko)
MY (1) MY169070A (ko)
TW (1) TWI616213B (ko)
WO (1) WO20141679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92763B2 (ja) * 2013-04-11 2018-03-14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性物品
JP6278774B2 (ja) * 2014-03-24 2018-02-14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フマル酸含有不織布およびこ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6436795B2 (ja) * 2015-01-28 2018-12-12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フマル酸含有繊維、フマル酸含有繊維集合体および吸収体
WO2016195009A1 (ja) * 2015-06-02 2016-12-08 東洋紡株式会社 空気清浄用濾材
JP6464045B2 (ja) * 2015-06-25 2019-02-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11936B1 (ko) 2015-12-09 2018-10-25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
JP6290164B2 (ja) * 2015-12-17 2018-03-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6754212B2 (ja) * 2016-04-04 2020-09-09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性物品
RU2711302C1 (ru) * 2016-09-22 2020-01-16 Эссити Хайджин Энд Хелт Актиеболаг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С ВЕРХНИМ ЛИСТОМ С КОНТРОЛИРУЕМЫМ pH
US11083638B2 (en) * 2017-09-06 2021-08-10 Naomie Crownie Crown bottoms: disposable undergarments
JP6644099B2 (ja) * 2018-02-27 2020-02-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9189445A1 (ja) * 2018-03-28 2019-10-03 住友精化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370151B2 (ja) * 2019-03-27 2023-10-27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7329785B2 (ja) * 2019-03-27 2023-08-21 大阪印刷インキ製造株式会社 吸湿性を有するコーティング剤、コーティング剤によって乾燥被膜が形成された衛生材料用成形体、および、コーティング剤の製造方法
JP7431510B2 (ja) * 2019-04-15 2024-02-15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性物品
CN110859705A (zh) * 2019-11-22 2020-03-06 湖南贝恩叮当猫婴童用品有限公司 一种抑菌亲肤型婴儿尿布
WO2022019218A1 (ja) * 2020-07-22 2022-01-27 住友精化株式会社 吸水性樹脂組成物、吸水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吸水性樹脂粒子の吸水速度低速化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07148A (en) * 1969-06-05 1972-12-26 Boots Pure Drug Co Ltd Impregnated diaper
JPS6228402A (ja) 1985-05-15 1987-02-06 ザ、プロクタ−、エンド、ギヤンブル、カンパニ− 使い捨て吸収物品
JP2002505918A (ja) * 1998-03-12 2002-02-26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吸収製品のプロトン供与性活性成分
KR20020059661A (ko) * 1999-11-03 2002-07-13 추후기재 알칼리 중화 초흡수성 제품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05709A1 (de) * 1995-02-20 1996-08-22 Stockhausen Chem Fab Gmbh Schichtförmig aufgebauter Körper zur Absorption von Flüssigkeiten sowie seine Herstellung und Verwendung
EP1149594A1 (en) * 2000-04-25 2001-10-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cles comprising chitosan material and an anionic absorbent gelling material
ATE283073T1 (de) 2000-09-07 2004-12-15 Solutia Inc Zusammensetzung und methode zur geruchsverringerung
CN102088939A (zh) 2008-07-11 2011-06-08 住友精化株式会社 吸水片组合物
MX2013000160A (es) * 2010-07-05 2013-05-22 Reluceo Inc Polimeros superabsorbentes degradables.
JP5765962B2 (ja) * 2011-02-17 2015-08-19 川嶋 清治 紙おむつ
JP6128790B2 (ja) * 2012-10-15 2017-05-17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性物品
JP6228402B2 (ja) * 2013-07-23 2017-11-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再生装置、画像再生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07148A (en) * 1969-06-05 1972-12-26 Boots Pure Drug Co Ltd Impregnated diaper
JPS6228402A (ja) 1985-05-15 1987-02-06 ザ、プロクタ−、エンド、ギヤンブル、カンパニ− 使い捨て吸収物品
JP2002505918A (ja) * 1998-03-12 2002-02-26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吸収製品のプロトン供与性活性成分
KR20020059661A (ko) * 1999-11-03 2002-07-13 추후기재 알칼리 중화 초흡수성 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51423A1 (en) 2016-02-25
TWI616213B (zh) 2018-03-01
WO2014167939A1 (ja) 2014-10-16
CN105120816B (zh) 2019-03-01
US11382803B2 (en) 2022-07-12
CN105120816A (zh) 2015-12-02
KR102208233B1 (ko) 2021-01-26
JP2014204799A (ja) 2014-10-30
DE112014001898T5 (de) 2015-12-24
HK1213167A1 (zh) 2016-06-30
JP6253241B2 (ja) 2017-12-27
DE112014001898B4 (de) 2023-08-31
US10195095B2 (en) 2019-02-05
US20190117481A1 (en) 2019-04-25
MY169070A (en) 2019-02-12
CN108743045A (zh) 2018-11-06
TW201501733A (zh) 2015-01-16
CN108743045B (zh) 202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8233B1 (ko) 흡수성 물품
JP6184670B2 (ja) 吸収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6184669B2 (ja) 吸収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2009072421A (ja) 吸収性物品
JP6754212B2 (ja) 吸収性物品
JP2018166887A (ja) 吸収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吸収性物品
WO2020213303A1 (ja) 吸収性物品
JP6292763B2 (ja) 吸収性物品
JP6204717B2 (ja) 吸収性物品
JP6324037B2 (ja) 吸収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吸収性物品
JP2021090476A (ja) 吸収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吸収性物品
JP6300498B2 (ja) 吸収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吸収性物品
JP6316575B2 (ja) 吸収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吸収性物品
WO2020213304A1 (ja) 吸収性物品
JP2013188386A (ja) 吸収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