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0004A - 멸치와 톳에서의 칼슘분말 추출 방법 및 그 칼슘분말 - Google Patents

멸치와 톳에서의 칼슘분말 추출 방법 및 그 칼슘분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0004A
KR20150140004A KR1020140068082A KR20140068082A KR20150140004A KR 20150140004 A KR20150140004 A KR 20150140004A KR 1020140068082 A KR1020140068082 A KR 1020140068082A KR 20140068082 A KR20140068082 A KR 20140068082A KR 20150140004 A KR20150140004 A KR 20150140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cium
anchovy
powder
calcium powder
extrac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8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8769B1 (ko
Inventor
김만도
Original Assignee
지에스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에스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8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769B1/ko
Publication of KR20150140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0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76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6Aluminium, calcium or magnesium; Compounds thereof, e.g. c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0Fish, e.g. seahorses; Fish eg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4Ebenaceae (Ebony family), e.g. persim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멸치와 톳에서 각각 칼슘 분말을 추출하고, 추출된 칼슘 분말을 혼합하는 칼슘분말 추출 방법 및 그 칼슘분말에 관한 것으로, (a) 멸치젓에서 칼슘분말을 추출하는 단계, (b) 톳에서 톳의 분말을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a)에서 추출된 칼슘분말과 상기 단계 (b)에서 추출된 톳의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칼슘을 효율적으로 섭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멸치와 톳에서의 칼슘분말 추출 방법 및 그 칼슘분말{Extraction method of calcium powder from anchovy and Hizikia fusiforme and calcium powder thereof}
본 발명은 칼슘분말 추출 방법 및 그 칼슘분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멸치와 톳에서 각각 칼슘 분말을 추출하고, 추출된 칼슘 분말을 혼합하는 칼슘분말 추출 방법 및 그 칼슘분말에 관한 것이다.
칼슘은 인체 내 무기질 중에서 가장 많은 양이 존재하며, 성인의 경우 체중의 약 2%인 1,200g 정도를 체내에 함유. 99%가 뼈와 치아에 주로 인산 칼슘염의 형태로 저장되어 있고 나머지 1%는 혈액과 세포 속에 고루 분포하고 있다. 체내에서 칼슘은 골격과 치아의 형성, 혈액응고, 근육의 수축 이완, 신경 전달 작용, 신경 흥분의 조절, 세포막의 투과성 조절, 비타민 B12의 흡수 및 세포막의 융합분열 등에 광범위하게 작용한다. 이러한 칼슘은 성장기, 성인기 이후의 골격질환, 순환기계질환, 대장질환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나 우리나라의 식생활습관은 칼슘의 부족현상을 일으키기 쉬워 현재 칼슘 섭취량은 국민 1인당 평균 섭취량이 1일 496.6 mg으로 영양권장량의 71% 수준에 불과하여, 일상 식생활에서 가장 결핍되기 쉬운 영양소로 지적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정상 식사만으로는 충분한 칼슘을 얻지 못하는 실정이므로 칼슘 함유식품에 대한 수요가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고령화시대에 노인들에게 자주 발생하는 골다공증, 동맥경화, 심장질환, 대장암 등은 칼슘과 깊은 연관성을 가지는 질병들이며 특히, 여성의 경우 폐경기가 되면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감소되어 칼슘의 체내흡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여성의 골다공증이환율은 남성에 비해 약 4배 높게 나타나 전체 인구 중 13%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며, 과거에 비해 지방질과 인산염의 섭취가 증가된 식생활로 인해 소장 내에서 칼슘의 섭취가 저해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멸치는 몸길이가 1∼15㎝에 이르는 다획성, 소형, 적색육 어류로서 전세계 해역에서 고루 분포하지만 한국 연안에서는 연중 생산되는 주요 연근해 어류자원이다. 멸치의 서식 수온은 13∼23℃로서 우리나라에서는 동해, 서해, 남해의 모든 연안에 분포하나 주로 부산, 경남 및 전남지역의 해역에서 어획량이 많으며 계절적으로는 4∼6월 기간을 제외한 모든 기간에 기선권현망, 소형 정치망 및 근해유자망 어법으로 어획됨으로써 주요 연근해 어민의 소득원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멸치의 연간 어획량은 연평균 20∼30만톤 수준에 이르러 단일어종으로서 어획량이 매우 많지만 원료어는 쉽게 부패변질하기 때문에 어획 즉시 저장성이 있는 제품으로 가공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기존의 멸치 가공이용방법은 전체 어획량의 30∼40% 수준만이 경제성 있는 건멸치 제품 형태로 소비되고 있으며 60∼70% 수준의 멸치 어획물은 일시 대량처리에 적합하다는 이유 때문에 모두 염장 발효시켜 저부가가치의 젓갈류 제품형태로 소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멸치류의 어육은 일반적으로 다량의 칼슘을 함유하고 있어 대표적인 고칼슘 식품소재로만 인식되는 경향이 있으나 칼슘 이외에도 양질의 단백질과 EPA 및 DHA를 포함한 비교적 다량의 지방을 함유하고 있을 뿐 아니라 각종 유용한 비타민과 무기질 및 핵산 등 좋은 맛을 내는 정미성분들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영양 및 기호성을 특성으로 한 가공식품의 원료로서 잠재적 이용가치가 매우 높은 수산자원이다.
한편, 톳은 우리나라와 일본의 특산물로서, 우리나라의 중부 이남에 분포하고 특히 제주도와 서남해안에서 많이 생산되는 갈조류에 속하는 해초로서, 해안지방의 구황식품으로 이용되어 왔던 것이다. 부착기는 포부근이고 직립하는 줄기는 원주상이며 방추형 또는 방망이 모양의 작은 가지가 호생한다. 잎은 다육질의 주걱모양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톳의 일반성분으로서는 단백질이 약 1.9%, 지방이 약 0.4%, 탄수화물이 약 4%, 섬유질이 1.0%, 무기질이 4.6%이며 칼슘과 비타민A가 많다. 다른 해조류와 마찬가지로 무기질과 비타민이 풍부하며, 무기질 중 칼슘 양이 특히 많으며 비타민A, B2가 풍부하다.
이러한 멸치와 톳에 대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문헌 1 및 2 등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멸치를 30∼60메쉬(mesh)의 크기로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멸치분말을 중량 대비 2∼10배의 주정에 넣고 20∼60℃에서 1∼5시간 침지한 다음 여과 및 수세하여 주정을 제거하는 단계, 주정을 제거한 멸치분말을 40∼50℃에서 1∼3시간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멸치분말을 구연산, 사과산, 젖산, 초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0.5∼1.5% 유기산에 넣고 20∼50℃에서 30분∼2시간 동안 침지한 다음 40∼50℃에서 1∼3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멸치분말의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자연산 동해안 톳(Hizikia fusiforme) 건조물을 세절 및 분쇄하는 제 1단계, 분쇄물 각각에 1 내지 5배(w/v)의 95% 에탄올로 40℃의 온도에서 20 내지 40분 동안 초음파 추출방법으로 추출하는 제 2단계, 제 2단계의 추출액을 여과, 감압 농축 및 동결건조단계를 통하여 수득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톳 95%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미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05790호(2007.04.03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2059호(2012.09.05 등록)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단순히 멸치에서 칼슘만 추출하거나 톳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기술에 대해서만 개시되어 있을 뿐, 멸치와 톳의 효율적인 칼슘의 추출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았다.
또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인체 내에서의 칼슘의 흡수에 대한 연구가 개시되어 있지 않으며, 항산화활성, 골 형성 등 노화활성을 억제하는 연구에 대해서도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멸치와 톳에 함유된 칼슘을 추출하여 고농축 칼슘을 공급할 수 있는 칼슘분말 추출 방법 및 그 칼슘분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칼슘 및 요오드를 혼합한 칼슘분말을 마련하여 인체 내에서 칼슘의 흡수를 촉진할 수 있는 칼슘분말 추출 방법 및 그 칼슘분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멸치와 톳에서의 칼슘분말 추출 방법은 멸치와 톳에서의 칼슘분말을 추출하는 방법으로서, (a) 멸치젓에서 칼슘분말을 추출하는 단계, (b) 톳에서 톳의 분말을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a)에서 추출된 칼슘분말과 상기 단계 (b)에서 추출된 톳의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칼슘분말 추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a1) 1~3년간 발효 및 숙성된 멸치젓을 침전 및 여과공정을 거쳐 추출하는 방법과 원심분리기에 투입하여 원심분리에 의해 추출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액젓과 찌꺼기를 분리 추출하는 단계, (a2) 단계 a1에서 분리추출된 상기 찌꺼기와 70~80℃의 온수를 5:5의 중량비로 교반기에 넣어 교반하는 단계, (a3) 상기 단계 a2에서 교반된 찌꺼기와 온수 혼합물을 원심분리기에 투입하여 원심분리 후 멸치의 뼈가 주성분인 고형물과 교반 시에 멸치의 껍질, 살, 유분이 용해된 용해수를 분리되도록 추출하느 단계, (a4) 상기 단계 a3에서 원심 분리된 고형물을 150~200℃의 온도 범위 내에서 15분 동안 스팀으로 가온하여 살균 및 소독하는 단계, (a5) 상기 단계 a4에서 스팀으로 살균된 고형물에 함습된 수분을 제거하도록 자연건조 또는 열풍건조를 실행하고, 건조된 고형물을 미세분말로 분쇄하여 고농축의 칼슘분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칼슘분말 추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b1) 상기 톳을 수세한 후 감잎차가 함유된 물에 침지하여 탈염하는 단계, (b2) 상기 단계 b1에서 탈염된 톳을 건조 후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칼슘분말 추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b1에서의 감잎차는 상기 단계 b1에서 사용되는 전체 용수에 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칼슘분말 추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b1은 20~25℃의 물에 1시간 동안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칼슘제는 상술한 칼슘분말 추출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칼슘흡수 촉진제는 상술한 칼슘분말 추출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멸치와 톳에서의 칼슘분말 추출 방법 및 그 칼슘분말에 의하면, 멸치와 톳에서 각각 고농축의 칼슘을 추출하여 복용할 수 있으므로, 칼슘을 효율적으로 섭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멸치와 톳에서의 칼슘분말 추출 방법 및 그 칼슘분말에 의하면, 칼슘과 요오드를 동시에 복용할 수 있으므로, 인체 내에서 칼슘의 흡수율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멸치와 톳에서의 칼슘분말 추출 방법 및 그 칼슘분말에 의하면, 멸치젓에서 액젓을 추출하고 남게 되는 젓갈찌꺼기를 몇 단계의 처리 공정을 거쳐 제조된 것을 사용함으로써 버려지는 젓갈 찌꺼기를 이용해 농가소득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멸치분말의 제조방법의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멸치와 톳에서의 칼슘분말 추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천연물의 기능성 식품에서 소재를 선정할 때에는 우수한 기능과 높은 안전성, 그리고 제품 형태의 안정성을 중시하는 것은 물론이고 소비자에게 주는 인상 및 안정적인 공급을 확인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 이 때문에 사용하는 원료의 출처와 제조방법은 소재선정을 위해 매우 중요하며 이전까지 칼슘 공급원으로 주로 사용된 원료는 우골분, 난각분말, 패각분말, CCM(calcium citrate malate)과 같은 체내 흡수율이 낮은 불용성의 소재가 사용되고 있으며 가장 널리 사용되는 우골분은 광우병 발생으로 인한 안전성 문제로 수입이 금지되고 천연칼슘소재로 활용 가능한 조개, 굴 패각, 불가사리 및 난각류가 매년 막대한 양이 수거되고 있으나 그 활용도는 매우 낮고, 처리비용 및 환경오염발생으로 이에 따른 활용방안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칼슘은 비타민-D와 같은 흡수촉진보조제가 함께 있어야 효과적으로 흡수되며 대부분은 체외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우리나라 연안에서 많은 양이 어획되고 있는 멸치를 이용해 칼슘을 추출하고 흡수촉진과 함께 항산화, 항암 활성을 가지는 리코핀과 함께 혼합함으로써 칼슘보충제 및 항산화 활성 기능을 가지는 기능성 칼슘 신소재 및 기능성 식품을 연구개발 하였다.
멸치는 우리나라 연안에서 많은 양이 어획되고 있는 어종으로서 단백질, 철분, 비타민 및 칼슘뿐 아니라 나이아신, 핵산 및 고도불포화지방산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고 성장기 어린이, 임산부, 노약자 등 현대인들에게 매우 필요한 수산 식량자원이지만 기존의 멸치 이용과 관련된 제반 연구 기술개발들은 단순 분말화 및 가공에 그치고 있어 실제 산업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은 멸치의 일반 성분은 하기 표 1과 같다.
Figure pat00001
이와 같은 멸치의 비타민 및 무기질의 성분은 하기 표 2와 같다.
Figure pat00002
이와 같은 멸치의 아미노산-Ⅰ 성분은 하기 표 3과 같다.
Figure pat00003
이와 같은 멸치의 아미노산-II 성분은 하기 표 4와 같다.
Figure pat00004
이와 같은 멸치의 셀레늄, 핵산, 베타인류 성분은 하기 표 5와 같다.
Figure pat00005
이와 같은 멸치의 지방산 성분은 하기 표 6과 같다.
Figure pat00006
본 발명에서는 해조류인 톳에서 칼슘 분말을 추출한다. 상기 톳은 동맥경화나 혈전을 막아주고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내려주는 효과도 있으며, 섬유소는 수분을 흡수해서 배변을 촉진하고 숙변도 제거해준다. 또 칼로리는 상당히 낮지만 만복감을 주기 때문에 비만증으로 고민하는 사람에게도 좋다. 성분은 섬유질과 칼슘(톳은 칼슘이 우유의 300배가 되는 등 영양조성분이 많이 함유되어있다), 철분이 많이 들어있어 빈혈증세가 있는 젊은 여성들이나 허약자들에게 좋다고 알려졌다. 또 톳나물에 함유된 요오드성분은 갑상선의 활동을 높이기 때문에 갑상선 증세가 있는 사람에게 이롭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멸치와 톳에서의 칼슘분말 추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먼저 칼슘 추출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은 1~3년간 발효 및 숙성된 멸치젓을 침전 및 여과공정을 거쳐 추출하는 방법과 원심분리기에 투입하여 원심분리에 의해 추출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액젓과 찌꺼기를 분리 추출한다(S10).
상기 단계 S10에서 분리추출된 상기 찌꺼기와 70~80℃의 온수를 5:5의 중량비로 교반기에 넣어 교반한다(S20).
다음에 상기 단계 S20에서 교반된 찌꺼기와 온수 혼합물을 원심분리기에 투입하여 원심분리 후 멸치의 뼈가 주성분인 고형물과 교반 시에 멸치의 껍질, 살, 유분이 용해된 용해수를 분리되도록 추출한다(S30).
이어서, 상기 단계 S30에서 원심 분리된 고형물을 150~200℃의 온도 범위 내에서 15분 동안 스팀으로 가온하여 살균 및 소독한다(S40).
상기 단계 S40에서 스팀으로 살균된 고형물에 함습된 수분을 제거하도록 자연건조 또는 열풍건조를 실행한다(S50). 상기 단계 S50에서 건조된 고형물을 미세분말로 분쇄하는 분쇄단계를 거쳐 고농축의 칼슘분말을 생성한다(S60). 이와 같은 칼슘분말 입자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600~700 메쉬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은 멸치젓에서 액젓을 추출하고 남은 찌꺼기에서 고농축의 칼슘분말을 추출한 것으로서, 화학적 방법에 의해 칼슘분말을 제조하는 것이 아니라 멸치젓이라는 천연식품에서 칼슘분말을 추출하여 신뢰도가 높고, 액젓을 추출하고 버려지던 찌꺼기를 원재료로 사용함으로써 원재료의 구매비용이 삭감되어 제조단가를 절감시키며, 제조 공정상에서 인위적인 화학 반응제 등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이 역시 제조단가를 절감시키며, 보다 저가의 제품으로 공급할 수 있어 널리 보편화시켜 국민건강에 일조할 수 있으며, 칼슘 성분이 고농축으로 함유된 칼슘분말을 제공하여 소량의 칼슘분말로도 높은 칼슘 섭취률을 얻을 수 있다.
다음에 톳에서의 칼슘분말 추출 과정을 설명한다.
해조류인 톳은 완도 산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톳 추출 분말을 마련하기 위하여 톳을 수세하여 이물질을 제거하였다(S70).
상기 단계 S70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톳의 염분 제거를 위하여 감잎차가 함유된 20~25℃의 물에 약 1시간 정도 침지하여 탈염한다(S80).
상기 감잎차는 염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감잎을 증자 또는 증숙 후 감잎차를 생성한 것을 사용한다. 즉, 감잎차는 비타민 A, C성분을 함유하므로, 상기 톳에 함유된 염분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뿐만 아니라, 감잎차에 함유된 비타민 A, C가 상기 톳에 함유되게 할 수 있다. 도한 상술한 바와 같이 톳을 감잎차에 침지하는 것에 의해 톳 자체의 특유한 해산물의 이취를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감잎차는 상기 단계 S80에서 사용되는 전체 용수에 3~10%, 바람직하게는 5%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감잎차는 이뇨성분이 있어 몸의 부기를 빼주며 고혈압과 동맥경화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 즉, 감잎차는 비타민 A의 함유량이 다른 작물에 비하여 월등히 높기 때문에 당뇨병, 고혈압 같은 성인병에 좋은 것으로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최근 암환자들의 혈액을 조사해 보면 전반적으로 비타민 A 함량이 낮다고 하는데 감잎차를 계속해 마시면 비타민A의 공급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 감나무 잎에 고혈압 예방, 피부 미백 효과 등의 기능을 가진 성분이 들어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감나무 잎의 폴리페놀은 인체 내 혈압을 높여주는 효소 활동을 억제하고 피부노화를 가져오는 활성산소의 활동을 억제한다.
상기 단계 S80에서 탈염된 톳을 열풍 건조 또는 자연 건조(S90) 후, 상기 멸치에서 추출된 칼슘 분말과 동일 크기인 600~700 메쉬로 분쇄한다(S100).
본 발명에 따른 톳에는 칼슘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나 체내에서 칼슘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단백질원이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멸치에서 추출된 칼슘분말에 단백질이 함유되므로 톳에서 추출된 칼슘분말의 인체 흡수를 촉진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단계 S60에서 생성된 칼슘 분말과 상기 단계 S100에서 생성된 톳의 분말을 혼합한다(S110).
상기 단계 S110에서의 혼합은 최적의 칼슘 섭취 효과를 내는 범위를 반복 실험한 결과, 상기 단계 S60의 분말과 상기 단계 S100의 분말을 칼슘 1일 권장량인 700mg/60kg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S110에서 혼합된 멸치 분말과 톳의 분말을 캡슐로 제조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이 완성된다(S120).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멸치와 톳에서의 칼슘분말 추출 방법 및 그 칼슘분말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우수한 고기능성 칼슘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멸치와 톳에서의 칼슘분말을 추출하는 방법으로서,
    (a) 멸치젓에서 칼슘분말을 추출하는 단계,
    (b) 톳에서 톳의 분말을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a)에서 추출된 칼슘분말과 상기 단계 (b)에서 추출된 톳의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슘분말 추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a1) 1~3년간 발효 및 숙성된 멸치젓을 침전 및 여과공정을 거쳐 추출하는 방법과 원심분리기에 투입하여 원심분리에 의해 추출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액젓과 찌꺼기를 분리 추출하는 단계,
    (a2) 단계 a1에서 분리추출된 상기 찌꺼기와 70~80℃의 온수를 5:5의 중량비로 교반기에 넣어 교반하는 단계,
    (a3) 상기 단계 a2에서 교반된 찌꺼기와 온수 혼합물을 원심분리기에 투입하여 원심분리 후 멸치의 뼈가 주성분인 고형물과 교반 시에 멸치의 껍질, 살, 유분이 용해된 용해수를 분리되도록 추출하느 단계,
    (a4) 상기 단계 a3에서 원심 분리된 고형물을 150~200℃의 온도 범위 내에서 15분 동안 스팀으로 가온하여 살균 및 소독하는 단계,
    (a5) 상기 단계 a4에서 스팀으로 살균된 고형물에 함습된 수분을 제거하도록 자연건조 또는 열풍건조를 실행하고, 건조된 고형물을 미세분말로 분쇄하여 고농축의 칼슘분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슘분말 추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b1) 상기 톳을 수세한 후 감잎차가 함유된 물에 침지하여 탈염하는 단계,
    (b2) 상기 단계 b1에서 탈염된 톳을 건조 후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슘분말 추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1에서의 감잎차는 상기 단계 b1에서 사용되는 전체 용수에 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슘분말 추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1은 20~25℃의 물에 1시간 동안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슘분말 추출 방법.
  6. 청구항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의 칼슘분말 추출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슘제.
  7. 청구항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의 칼슘분말 추출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슘흡수 촉진제.
KR1020140068082A 2014-06-05 2014-06-05 멸치와 톳에서의 칼슘분말 제조 방법 및 그의 칼슘분말 Expired - Fee Related KR101648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082A KR101648769B1 (ko) 2014-06-05 2014-06-05 멸치와 톳에서의 칼슘분말 제조 방법 및 그의 칼슘분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082A KR101648769B1 (ko) 2014-06-05 2014-06-05 멸치와 톳에서의 칼슘분말 제조 방법 및 그의 칼슘분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004A true KR20150140004A (ko) 2015-12-15
KR101648769B1 KR101648769B1 (ko) 2016-08-18

Family

ID=55021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8082A Expired - Fee Related KR101648769B1 (ko) 2014-06-05 2014-06-05 멸치와 톳에서의 칼슘분말 제조 방법 및 그의 칼슘분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76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640A (ko) * 2001-04-06 2002-10-19 이태호 톳을 주원료로 한 칼슘 분말의 제조 방법
KR20020080147A (ko) * 2001-04-11 2002-10-23 이태호 멸치와 해산물을 주원료로 한 분말 제조방법
KR20060102305A (ko) * 2006-08-30 2006-09-27 김만도 멸치젓에서 고농축의 칼슘분말을 추출하는 방법 및 그고농축 칼슘분말
KR100705790B1 (ko) 2005-09-08 2007-04-09 한국식품연구원 고칼슘 멸치분말의 제조방법
KR101182059B1 (ko) 2009-11-05 2012-09-11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항산화 활성을 갖는 톳 정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640A (ko) * 2001-04-06 2002-10-19 이태호 톳을 주원료로 한 칼슘 분말의 제조 방법
KR20020080147A (ko) * 2001-04-11 2002-10-23 이태호 멸치와 해산물을 주원료로 한 분말 제조방법
KR100705790B1 (ko) 2005-09-08 2007-04-09 한국식품연구원 고칼슘 멸치분말의 제조방법
KR20060102305A (ko) * 2006-08-30 2006-09-27 김만도 멸치젓에서 고농축의 칼슘분말을 추출하는 방법 및 그고농축 칼슘분말
KR101182059B1 (ko) 2009-11-05 2012-09-11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항산화 활성을 갖는 톳 정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8769B1 (ko) 2016-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4065B1 (ko) 야생초를 이용한 선식과 이를 이용한 선식음료
KR101458175B1 (ko) 돈피를 이용한 콜라겐 젤리 제조방법
KR100896902B1 (ko) 한방 개량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한방 개량 고추장 조성물
KR100879016B1 (ko) 한방 개량간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한방 개량간장 조성물
JP2018535673A (ja) 乳酸菌発酵丸ごとニンニクの製造方法
KR102204842B1 (ko) 북어 콜라겐을 함유한 기능성 젤리 제조방법
KR20170062737A (ko) 천연 발효식초가 함유된 추어탕 제조방법
KR20170036886A (ko) 배, 석세포 및 딸기를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
KR20110080686A (ko) 달콤한 향미의 미세(微細)한 후코이단을 함유하는 마른김(海苔)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220108838A (ko) 고양이 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13105A (ko) 천년 초와 법제유황을 함유하는 구기자 고추장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896905B1 (ko) 한방 개량된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한방 개량된장 조성물
CN107296174A (zh) 软骨类鱼类饲料
KR100947666B1 (ko) 모시풀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648769B1 (ko) 멸치와 톳에서의 칼슘분말 제조 방법 및 그의 칼슘분말
KR102428386B1 (ko) 항산화제가 풍부하면서 콜레스테롤이 낮은 란을 얻을 수 있는 단미사료의 제조방법.
KR100853838B1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감귤(柑橘) 비타 침출 녹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17947B1 (ko) 매생이 혼합침출차의 제조방법
KR100514403B1 (ko)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콜라겐 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781457B1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기능성 오징어 먹물 순대의 제조방법
KR20230033831A (ko) 방풍나물을 첨가한 굴국 식품 제조방법 및 굴국 식품
KR20170024319A (ko) 비파나무 발효 추출물과 전복의 한방 복합 열수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건강 기능성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798186B1 (ko) 밀웜을 포함한 반려동물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934348B1 (ko) 동백나무잎 또는 꽃송이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140066523A (ko) 함초를 이용한 헬스 밀 제조방법 및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8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8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