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9418A - 여지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에틸아세테이트에 가용한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여지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에틸아세테이트에 가용한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9418A
KR20150139418A KR1020150021330A KR20150021330A KR20150139418A KR 20150139418 A KR20150139418 A KR 20150139418A KR 1020150021330 A KR1020150021330 A KR 1020150021330A KR 20150021330 A KR20150021330 A KR 20150021330A KR 20150139418 A KR20150139418 A KR 20150139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obesity
acid
present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1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수임
최승민
황승환
오현욱
정경진
한지영
김재윤
최종길
이진우
Original Assignee
(주) 와이디생명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와이디생명과학 filed Critical (주) 와이디생명과학
Priority to KR1020150021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9418A/ko
Publication of KR20150139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4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7Salvia (sage)
    • A23L1/3002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16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benactizyne, clofib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지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호모플라타기닌(Homoplantaginin), 루테올린(luteolin) 및 로즈마린산(rosmarinic acid)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여지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호모플라타기닌(Homoplantaginin), 루테올린(luteolin) 및 로즈마린산(rosmarinic acid)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은 지방분화효소 활성을 억제하고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지질의 축적을 억제하는 효능이 우수하므로,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여지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에틸아세테이트에 가용한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A composition comprising the ethylacetate -soluble extract of Salvia plebeia for preventing and treating obesity}
본 발명은 여지초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Stein CJ, Colditz GA. The epidemic of obesity. J Clin Endocrinol Metab 2004; 89: 2522-2525. ; Kopelman PG. Obesity as a medical problem. Nature 2000 Apr 6; 404(6778): 635-43
[문헌 2] Gu L, Weng X. Antioxidant activity and components of Salvia plebeia R. Br.-a Chinese herb. Food Chem. 2001, 73, 299-305
[문헌 3] Yanovski SZ, Yanovski JA. Obesity. N Engl J Med 2002; 346: 591-602
[문헌 4] Kopelman, P.G. Obesity as a medical problem. Nature 2000; 404: 635-643
[문헌 5] Katja Zebisch, Valerie Voigt , Martin Wabitsch, Matthias Brandsch. Protocol for effective differentiation of 3T3-L1 cells to adipocytes. Anal . Biochem . 2012; 425: 88-90
[문헌 6] Bradford MM.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 . Biochem . 1976; 72: 248254
[문헌 7] Paul H, Hans L, Helmut W. Inhibition of pancreatic lipase in vitro by the covalent inhibitor tetrahydrolipstatin. Biochem . J. 1988; 256: 357-361
[문헌 8] Margaret VH, Douglas SC, Constance FF, Richard PT, Ahmad BF, Michael PG, Edmund JS, Catherine DS, Harry RD Jr. Diet-induced Obese Mice Develop Peripheral, but Not Central, Resistance to Leptin. J. Clin . Invest . 1997; 99: 385-390
최근 경제성장과 생활방식의 변화에 따라 식습관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특히, 바쁜 현대인들의 경우 패스트푸드 등의 고열량 식이와 적은 운동량으로 인하여 체중 과다 및 비만이 증가하고 있다. 체중 과다는 체질량 지수 (BMI, 체중을 키의 제곱으로 나눈 비만 척도)가 25 이상 30 미만을 의미하며, 비만은 체질량 지수가 30 이상일 때를 의미한다.
미국 성인의 3분의 2는 체중 과다이거나 비만이며, 체중 과다는 혈압과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여 심장 질환 등의 각종 성인병의 발병률을 증가시킨다. 비만이 여러 가지 질병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심각하여 전 세계 당뇨병 환자의 80 %, 심장질환의 21 %가 비만이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외에도 자궁암, 신장암, 유방암 등 각종 암 또한 비만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으며, 비만이나 과체중의 경우 수면무호흡증, 골관절염, 담석증 등의 발병률도 정상인보다 높다 (Stein CJ, Colditz GA. The epidemic of obesity. J Clin Endocrinol Metab 2004; 89: 2522-2525. ; Kopelman PG. Obesity as a medical problem. Nature 2000 Apr 6; 404(6778): 635-43.).
비만은 한 가지 원인으로 발생하는 질병이 아니라 유전적, 환경-사회적, 정신적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어느 한 가지 방법으로 치료하기는 어렵다. 현재 비만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은 식사요법, 운동요법, 행동요법 등 생활 습관을 교정하는 방법과 약물치료 및 수술적인 치료로 나눌 수 있다. 약물이나 수술적인 치료에 앞서 생활습관을 교정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선행되어야 하지만, 생활습관을 교정하는 일이 쉽지 않을 뿐 아니라 생활습관 교정만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체중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많은 경우에 생활습관 교정과 함께 약물치료가 필요하다.
이러한 비만의 약물 치료를 위해 매년 많은 항비만 제제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현재 사용 가능한 비만 치료 약물은 많지 않으며, 대부분 소화나 식욕을 억제시키는 제제에 국한되어 있다. 소화나 식욕을 조절하는 제제의 경우, 습관성 때문에 향정신성 약물로 분류되며, 소화억제제는 설사, 변비 등의 부작용을 나타낸다. 2010년까지 미국 FDA가 장기사용을 승인한 대표적 비만치료 약물은 노르에피네프린 (norepinephrine)과, 세로토닌 (serotonin)의 재흡수를 억제하는 작용을 가진 시부트라민 (sibutramine; Reductil)과, 췌장 및 소화기계에서 분비되는 리파제 (lipase)를 억제하여 효과를 나타내는 오르리스타트 (orlistat; Xenical)가 있었다 (Yanovski SZ, Yanovski JA. Obesity. N Engl J Med 2002; 346: 591-602.). 그러나 시부트라민은 혈압상승, 불면증, 구강건조, 어지러움 등의 부작용이 흔하고, 심근경색과 뇌졸중 등 심혈관계 증상이 나타날 위험이 있어 2010년 10월 미국 및 국내에서 퇴출되었다. 또한 오르리스타트는 설사, 지방변, 분실금 등의 부작용이 흔하고 한국인과 같이 서양인에 비해 지방섭취가 적은 경우에는 약물의 효과가 뚜렷하지 않아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김상만. Orlistat에 대한 연구. 대한비만학회지 1998; 7(4): 287-92.). 따라서 아직까지 비만 억제 효과가 좋고 장기 복용의 안전성이 확인된 비만 치료 약물이 아직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대체할 만한 비만 예방 및 치료제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지방세포에 저장된 지방은 체내의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나, 과잉의 열량 섭취와 열량의 비효율적 소비로 인하여 비만이 진행된다. 이 때 지방세포의 수적증가와 함께 과다한 지방세포의 분화에 의한 다량의 중성지방 (Triglyceride) 합성이 유발되고 지방세포의 크기 증가를 포함한 형태적 변화와 여러 유전자 발현의 변화를 동반한다. 지방조직의 증가는 지방세포 수의 증가와 지방세포 크기의 증가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는 지방전구세포수의 증가와 지방전구세포로부터 지방세포의 분화과정의 증가로 나타난다. 특히, 지방세포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식사조절로 가능하지만 새로운 전구지방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과정은 식사조절로 효과가 없으므로 비만의 근본적 치료 또는 억제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지방세포의 분화과정을 효율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방세포 분화는 인슐린이나 인슐린 성장인자-1 (insulin like growth factor-1), 성장호르몬 등의 자극에 의하여 촉진되며 이 과정에서 C/EBP (CCAAT enhancer-binding protein-), PPAR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등의 전사인자들이 증가된다. 상기 전사인자들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촉진시키며, GPDH(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나 지방산 생합성효소 (fatty acid synthase)와 같은 효소의 발현량을 증가시켜 비만 유발에 있어 중요한 인자로 알려져 있다 (Kopelman, P.G. Obesity as a medical problem. Nature 2000; 404: 635-643).
여지초는 꿀풀과의 여러해살이 풀으로 설견초, 청와초, 마마초, 과동청, 수양이 등으로도 불리며 겨울철에 잎이 바닥에 붙어 퍼져있는 모양이 배추를 닮았고 잎에 주름지고 울퉁불퉁한 모양이 곰보자국을 닮았다고 하여 여지초라 한다. 여지초는 줄기는 높이 30-70cm, 4개의 능선이 있고 아래를 향한 가는 털이 있다. 줄기에 있는 잎은 길이 3-6cm, 폭 1-2cm로 짧은 자루가 있다. 가지 끝에 화수를 내어 5mm 전후의 작은 꽃을 많이 피운다. 꽃 피는 시기는 5-6월이다. 논둑이나 습한 농로, 하천 제방 등에 생육하고 때로는 휴경논에서 대군락을 만드는 것이 있다. 주름이 있는 특유의 근생엽으로 월동을 한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에도 보통 말라 죽는다. 한국(전국), 일본, 중국, 만주, 우수리, 인도, 말레이시아, 호주에서 분포한다. 여지초 전초에서 비릿한 향 나며 그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서늘하고 독이 없다. 성분으로는 플라보노이드 (flavonoids), 호모플란타기미닌 (homoplantaginin), 히스피둘린 (hispidulin), 에우카포놀린 (eupafolin), 에우카포놀린-7-글루코시드 (eupafolin-7-glucoside) 외에도 페놀성 물질, 정유성분, 사포닌, 강심배당체, 불포화지방산 등이 함유하여 항균, 항암, 항바이러스, 항알레르기 및 항염증 등의 작용을 하여 기관지염, 해수, 천식 등의 폐질환, 부인병, 혈압, 당뇨, 아토피 피부염 등에 효과가 있다 [Gu L, Weng X. Antioxidant activity and components of Salvia plebeia R. Br.-a Chinese herb. Food Chem. 2001, 73, 299-305]
그러나 상기문헌의 어디에도 호모플라타기닌(Homoplantaginin), 루테올린(luteolin) 및 로즈마린산(rosmarinic acid) 및 이들을 포함하는 여지초 추출물과 분획물이 항비만 활성을 가지고 있음은 보고되거나 개시된 바는 없다.
본 발명자들은 여지초 추출물 및 화합물 시료를 대상으로 (1) 3T3-L1 지방세포에서의 축적된 지방 분해 효과(실험예 1), 췌장 지방분해효소(pancreatic lipase) 활성 억제 실험(실험예 2) 및 고지방식이 동물모델에서의 항비만 효과평가실험(실험예 3)을 통하여 상기 시료들이 세포에 독성이 없으면서 지방분해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고,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며 축적된 지질을 강력하게 분해하는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여지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호모플라타기닌(Homoplantaginin), 루테올린 (luteolin) 및 로즈마린산 (rosmarinic acid)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01
Homoplantaginin
Figure pat00002
Rosmarinic acid
Figure pat00003
Luteolin
본 발명은 여지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호모플라타기닌(Homoplantaginin), 루테올린(luteolin) 및 로즈마린산(rosmarinic acid)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여지초 추출물은 여지초의 줄기, 엽 및 뿌리줄기를 포함하는 전초의 조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조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주정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주정 또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주정에 가용한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 분획물은 본원의 조추출물로부터 헥산, 메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바람직하게는 헥산, 또는 클로로포름 용매에 가용한 추출물만을 정제한 비극성 용매에 가용한 추출 분획물들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상기 조추출물로부터 비극성용매 가용분획물들을 제거하고 남은 물, 메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어진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부탄올, 보다 바람직하게는 부탄올에 가용한 추출 분획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0.1 ~ 50 중량%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용매화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산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수혼화성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한다. 동일한 몰량의 화합물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코올(예,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을 가열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증발시켜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킬 수 있다.
이 때,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인산, 황산, 질산, 주석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메탄술폰산, -톨루엔술폰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 세트산, 시트르산, 말레인산(maleic acid), 숙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만데르산,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글리콜산(glycollic acid), 글루콘산(gluconic acid), 갈락투론산, 글루탐산,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빈산, 카본산, 바닐릭산 및 히드로 아이오딕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토 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 용해 화합물염을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서는 특히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며,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염을 적당한 은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화합물에 존재할 수 있는 산성 또는 염기성기의 염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록시기의 나트륨, 칼슘 및 칼륨염이 포함되며, 아미노기의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황산염, 수소 황산염, 인산염, 수소 인산염, 이수소 인산염,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락테이트, 만델레이트, 메탄설포 네이트(메실레이트) 및 p-톨루엔설포네이트(토실레이트) 염이 있으며, 당업계에서 알려진 염의 제조 방법이나 제조과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 및 화합물들은 하기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수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여지초 추출물은 하기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건조된 여지초 전초를 세척 및 세절 후 정제수를 포함한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주정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주정 또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주정를 수회 섞은 다음에 3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12시간 내지 30일, 바람직하게는 1일 내지 7일 동안 초음파 추출법, 열수 추출법, 상온 추출법 또는 환류추출법, 바람직하게는 상온 추출법을 약 1 내지 20회,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회 반복 수행하여 얻은 추출액을 여과, 감압 농축, 및 건조하여 본 발명의 조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극성용매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상기에서 얻은 조추출물,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 에탄올 조추출물 중량의 약 0.0005 내지 5배,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배 부피 (v/w%)의 물을 가한 후, n-헥산, 메틸렌 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을 이용한 통상적인 분획과정을 수행하여 n-헥산, 메틸렌 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비극성 용매에 가용한 비극성 용매 가용 추출 분획물; 및 부탄올, 물 등의 극성용매에 가용한 극성용매 가용 추출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에서 수득한 n-헥산, 메틸렌 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비극성 용매에 가용한 비극성 용매 가용 추출 분획물, 바람직하게는 에틸 아세테이트 가용분획물을 헥산 및 메틸렌클로라이드 혼합용매를 극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플래쉬 컬럼크로마토그래피, RP C18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실리카겔 오픈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등의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정제방법을 선택적으로 수회 반복 수행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인 호모플라타기닌 (Homoplantaginin), 루테올린 (luteolin) 및 로즈마린산 (rosmarinic acid)을 각각 정제 및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수득되는 추출물 및 화합물들을 대상으로 한, (1) 3T3-L1 지방세포에서의 축적된 지방 분해 효과(실험예 1), 췌장 지방분해효소(pancreatic lipase) 활성 억제 실험(실험예 2) 및 고지방식이 동물모델에서의 항비만 효과평가실험(실험예 3)을 통하여 상기 시료들이 세포에 독성이 없으면서 지방분해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고,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며 축적된 지질을 강력하게 분해하는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함으로, 상기 조성물을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여지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호모플라타기닌 (Homoplantaginin), 루테올린 (luteolin) 및 로즈마린산 (rosmarinic acid)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또한, 여지초의 줄기, 엽 및 뿌리줄기는 오랫동안 식용되거나 생약으로 사용되어 오던 약재로서 본 발명의 여지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역시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다.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화합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함유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macrogol),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화합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화합물은 1일 0.0001 내지 100 /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화합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지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호모플라타기닌 (Homoplantaginin), 루테올린 (luteolin) 및 로즈마린산 (rosmarinic acid)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비만증의 예방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여지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호모플라타기닌 (Homoplantaginin), 루테올린 (luteolin) 및 로즈마린산 (rosmarinic acid)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지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호모플라타기닌 (Homoplantaginin), 루테올린 (luteolin) 및 로즈마린산 (rosmarinic acid)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첨가물"로서의 적합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 안정청에 승인된 식품첨가물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첨가물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품,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롤로오스,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 제제류들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화합물이 포함된 기능성 식품으로는 빵, 떡류, 건과류, 캔디류, 초콜릿류, 츄잉껌, 쨈류와 같은 과자류 아이스크림류, 빙과류, 아이스크림 분말류와 같은 아이스크림 제품류 우유류, 저지방 우유류, 유당분해우유, 가공유류, 산양유, 발효유류, 버터유류, 농축유류, 유크림류, 버터유, 자연치즈, 가공치즈, 분유류, 유청류와 같은 유가공품류 식육가공품, 알가공품, 햄버거와 같은 식육제품류 어묵, 햄, 소세지, 베이컨 등의 어육가공품과 같은 어육제품류 라면류, 건면류, 생면류, 유탕면류, 호화건먼류, 개량숙면류, 냉동면류, 파스타류와 같은 면류 과실음료, 채소류음료, 탄산음료, 두유류, 요구르트 등의 유산균음료, 혼합음료와 같은 음료 간장, 된장, 고추장, 춘장, 청국장, 혼합장, 식초, 소스류, 토마토케첩, 카레, 드레싱과 같은 조미식품 마가린, 쇼트닝 및 피자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20 g, 바람직하게는 약 5~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화합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화합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 의해, 여지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호모플라타기닌(Homoplantaginin), 루테올린(luteolin) 및 로즈마린산(rosmarinic acid)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세포에 독성이 없으면서 지방분해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고,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며 축적된 지질을 분해하는 작용으로 비만의 억제 및 치료 효능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여지초추출물 (SPE)의 고지방식이 비만 동물모델에서의 체중 증가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여지초추출물 (SPE)의 고지방식이 비만 동물모델에서의 내장지방조직의 무게를 비교한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여지초추출물 (SPE)의 고지방식이 비만 동물모델에서의 (A) 간 조직에서의 지방침윤 및 (B) 부고환 조직에서의 지방세포 크기 비교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여지초추출물의 고지방식이 비만 동물모델에서의 혈청으로부터 총중성지방 (Total triglyceride) 및 랩틴 (Leptin) 함량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여지초 추출물 및 용매분획물의 제조
1-1. 조추출물
경기도 여주 여지초 농장에서 직접 구입하여 건조한 여지초 0.5kg에 주정 13.5L를 가하여, 상온에서 48시간 동안 2회 반복 추출하고, 추출 상층액을 여과한 후에 감압 농축 동결건조하여 건조 상태의 여지초 주정추출물 130g (SPE, 수율 26%)을 얻었다.
1-2. 유기용매 분획물
상기 여지초 조추출물 100g을 물 1L에 녹인 후, 헥산 7L, 클로로포름 3L, 에틸아세테이트 3L, 부탄올 3L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였다. 각 분획물을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최종적으로 헥산 분획물 74.5g (SP-H), 메칠렌 클로라이드 분획물 (SP-M) 2.54g,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SP-EA) 3.56g, 부탄올 분획물 (SP-B) 4.33g, 물 분획물 12.91g (SP-Aq)을 수득하였다. 모든 건조 추출물 및 분획물들은 -4℃ 에 보관하고 필요한 농도로 녹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여지초 추출물로부터 유효 성분의 분리
상기 제조예 1에서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얻은 여지초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 (SP-EA)을 Sephadex LH-20 컬럼 [이동상 MeOH/H2O (1:5, 8:5, 1:1, 2:3, 1:4)]을 이용하여 분리 정제하여 하기 화합물 1 내지 3: 호모플란타기닌 (Homoplantaginin), 루테올린 (luteolin), 로즈마린산 (Rosmarinic acid)를 분리해냈다.
*여지초 추출액로부터 칼럼크로마토그래피와 HPLC 등으로 항비만 활성을 갖는 물질 3종을 분리하여 하기 물성치를 나타내는 호모플란타기닌 (Homoplantaginin, 이하 HP라 함), 루테올린 (luteolin, 이하 LT라 함) 및 로즈마린산 (rosmarinic acid, 이하 RA라 함)을 각각 9.4mg 6.4mg 및 27.5mg을 얻어 문헌에 기재된 물성치와 비교하여 화합물 구조를 각각 동정하였다.
화합물 1. 호모플란타기닌 ( Homoplantaginin ) ( Hispidulin -7- O - D -glycoside):
성상: 황색 침상 분말(yellow needle powder);
FAB-MS m/z: 485 [M+Na]+/ M.W. 462; 1H NMR (600 MHz, CD3OD): δ 7.40 (d, 1H), 6.85 (d, 2H), 6.64 (s, 1H), 6.53 (s, 1H), 4.42 (d, 1H), 3.71 (s, 3H), 3.69 (d, 1H), 3.63 (d, 1H), 3.14 (m, 2H), 2.93 (m, 2H); 13C NMR (150 MHz, CD3OD): 181.6, 158.3, 156.9, 156.0, 154.2, 153.5, 147.1, 142.8, 122.1, 121.9, 118.4, 114.5, 105.2, 103.6, 102.9, 94.1, 77.1, 75.8, 72.8, 70.2, 61.3, 55.9. [Jiang Ai-li., Wang Chang-hai., Antioxidant properties of natural components from Salvia plebeia on oxidative stability of ascidian oil, Process Biochemistry, 41:11111116, 2006]
화합물 2. 루테올린( luteolin ):
성상: 황색 분말(yellow powder);
ESI-MS (m/z): 285 [M-H]-, M.W. 286; 1H-NMR (400 MHz, CD3COCD3)δ: 7.40 (dd, 1H), 7.37 (d, 1H), 6.87 (d, 1H), 6.64 (s, 1H), 6.42 (d, 1H), 6.16 (s, 1H); 13C NMR spectrum (100 MHz, CD3COCD3): 182.2, 165.07, 164.58, 162.14, 158.0, 150.6, 146.4, 121.9, 119.6, 116.6, 113.9, 104.2, 103.44, 99.58, 94.58 [Eun-Rhan Woo., Mei Shan Piao., Antioxidative constituents from lycopus lucidus, Archives of Pharmacal Reaseach, 27(2): 173-176, 2004]
화합물 3. 로즈마린산( Rosmarinic acid ):
성상: 황색 무정형 분말(yellow amorphous powder);
MALDDI-TOF-MS (m/z): 383 [M+Na]+, M.W. 362; 1H NMR spectrum (600 MHz, CD3OD): δ7.32 (d, 1H), 6.98 (s, 1H), 6.88 (d, 1H), 6.74 (d, 1H), 6.66 (s, 1H), 6.63 (d, 1H), 6.53 (d, 4H), 6.38 (d, 1H), 4.58 (d, 1H), 3.16 (dd, 1H), 2.93 (dd, 1H); 13C NMR spectrum (150 MHz, CD3OD): 177.8, 177.7, 168.3, 148.6, 146.6, 145.9, 144.8, 142.0, 131.4, 130.8, 128.4, 122.2, 122.0, 118.8, 117.6, 116.4, 57.3, 30.7 [Wei X.M., Cheng J.K., Cheng D.L., Gao, L.M., Chemical constituents from Clinopodium urticifolium, Journal of the Chinese Chemical Soiciety, 51(5):1043-1049, 2004]
실험예 1: 3 T3 - L1 지방세포에서의 축적된 지방 분해 효과
상기 실시예 시료들의 분화 유도된 3T3-L1 지방세포에서의 축적된 지방 분해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시험을 수행하였다 (Katja Zebisch, Valerie Voigt , Martin Wabitsch, Matthias Brandsch. Protocol for effective differentiation of 3T3-L1 cells to adipocytes. Anal . Biochem. 2012; 425: 88-90)
1-1. 3 T3 - L1 지방전구세포의 배양 및 분화
미분화된 지방전구세포 3T3-L1 세포주는 ATCC (CL-173, Rockville, MD, USA)로부터 구입하였다. 마우스 유래 3T3-L1 세포를 측정 목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세포배양용 플라스크(flask)에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을 함유한 DMEM (Dubecco's Modified Eagle Medium) 배지(1509667, Gibco® Life Technologies)로 배양기(37℃, 5% CO2)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으며, 0.25%(w/v) 트립신(Trypsin)-0.53mM EDTA(ethylene diamine tetraacetic acid) 용액으로 처리하여 2일 간격으로 계대배양하며 실험에 사용하였다.
미분화된 지방전구세포 3T3-L1을 1×105 cells/ml의 농도가 되도록 배양한 다음, 지방전구세포의 세포밀도가 약 85∼90% 가량이 되면 인슐린 (insulin, I2643, Sigma), 덱사메타손 (dexamethasone, D4902, Sigma) 및 이소부틸메틸잔틴 (IBMX, isobutylmethylxanthine, I5879, Sigma)의 세 가지 호르몬 혼합물을 36~48시간 정도 처리하여 지방세포 (adipocyte)로의 분화를 유도하고, 이어 매 2일마다 세포배양액을 FBS와 인슐린이 들어있는 배지 (세 가지 호르몬 혼합물)로 치환하였다. 지방세포분화 저해활성의 측정을 위해 각각의 시료를 지방세포분화 유도의 초기단계부터 추출물 50, 100 ug/ml 및 단일물질 0~100 uM의 농도로 배지를 치환할 때마다 분화유도 호르몬 혼합물과 동시에 처리하고, 대조군 (호르몬 혼합물만 처리한 군)과 비교하였다. 분화 형태는 현미경 (CKX41, Olympus) 사진을 통해 관찰하였다.
1-2 : 분화 유도된 3 T3 - L1 지방세포 내 지방 축적량의 측정
상기 실험예 1-1에서 3T3-L1 세포를 지방세포로 유도시킨 후 지방세포에서 생성된 지방과립 (lipid drops)을 Oil-Red O 염색법으로 정량하였다.
세포 배양 후 세포 표면을 인산염 완충용액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1510272, Gibco® Life Technologies)으로 2회 세척하고, 3.7%의 포름알데히드 (p-formaldehyde)를 함유한 인산염 완충용액으로 30분간 고정한 후 Oil-Red O 용액 (O0625, Sigma)으로 30분간 염색하였다. 염색된 세포를 증류수로 세척한 후 이소프로판올 (isopropanol)로 염색된 색소를 용출시켜 540 nm에서 흡광도를 분광기 (Multiskan™ GO Microplate Spectrophotometer, Thermo scientific)로 측정하였다.
표 1에 분화 유도된 3T3-L1 지방세포 내 생성된 지방과립 (lipid drops)을 Oil-Red O로 염색 후 여지초추출물 및 분리된 단일물질의 지방분화 억제정도를 나타내었다. 호르몬 복합체 (MDI)만 처리한 음성대조군에서는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가 대부분 유도되어 빨간색으로 염색된 지방구 (oil drop)의 다량 생성이 확인되는 반면에, 여지초추출물, 루테올린 (luteolin) 및 로즈마린산 (rosmarinic acid) 처리 시 분화된 지방세포에서의 지방구 생성이 현저히 감소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1-3: 분화 유도된 3 T3 - L1 지방세포에서의 축적된 지방의 분해 효과 비교
여지초추출물 (200 ug/ml) 및 단일물질 (100 uM) 처리 시 완전히 분화된 지방세포 내 형성된 지방구에 대한 분해 효과를 비교하였다. 분화 8일째 완벽히 분화된 3T3-L1 세포에 시료를 처리한 후에 37에서 72시간 배양한 배지를 튜브에 넣고 70 ℃에서 10분간 가열하여 세포로부터 유리된 효소들을 불활성화시켰다. 50 ul의 배지를 글레세롤 시약 (glycerol reagent, F6428, Sigma)에 첨가하여 1분간 반응시킨 후 흡광도를 540 nm에서 측정하였다. 이때 단백질량을 문헌에 기재된 브래드포드 (Bradford) 방법으로 정량하여 세포수를 보정하였다. (Bradford MM.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 . Biochem . 1976; 72: 248254)
3T3-L1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시료 처리 농도 지방세포 분화 억제율 (%)
MDI (+) -
SPE 50 ug/ml 42.1 ± 0.5*
SPE 200 ug/ml 78.5 ± 0.8***
Luteolin 100 uM 92.3 ± 0.4***
Homoplantaginin -
Rosmarinic acid 84.4 ± 0.6***
표 2는 시료를 농도별로 72시간 처리한 후 배지내로 분비된 유리 글리세롤 (free glycerol)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분화 유도된 대조군과 비교하여 여지초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축적된 중성지방이 글레세롤(glycerol)로 현저히 분해되는 효과 (IC50: 74.6 ug/ml)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분리된 단일물질에서의 지방분해 효능은 나타나지 않았다.
분화 유도된 3T3-L1 지방세포 내 지방 분해 효과
시료 처리 농도 Glycerol 유출량 (ug/ml)
MDI (-) 8.2 ± 0.4
MDI (+) 43.2 ± 2.2
Isopreterenol 1.5 uM 62.8 ± 1.1**
SPE 100 ug/ml 60.9 ± 2.0**
Luteolin 100 uM -
Homoplantaginin -
Rosmarinic acid -
실험예 2. 췌장 지방분해효소( pancreatic lipase ) 활성 억제 실험
상기 실시예 시료들의 췌장 지방분해효소(pancreatic lipase) 활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시험을 수행하였다 (Paul H, Hans L, Helmut W. Inhibition of pancreatic lipase in vitro by the covalent inhibitor tetrahydrolipstatin. Biochem . J. 1988; 256: 357-361)
상기 실시예로부터 얻은 여지초추출물 및 분획물, 분리된 단일물질 5종에 대하여 시험관 내에서 돼지 췌장 지방분해효소 (porcine pancreatic lipase) 활성 억제 실험을 실시하였다. 우선 효소 완충액 [10 mM MOPS (morpholinepropanesulphonic acid) 및 1 mM EDTA (pH 6.8 BME-1068, Tech&Innovation)에 혼합된 돼지 췌장 지방분해효소 (2.5 mg/ml, L3126, Sigma) 6 ul와 트리스 완충액 (100 mM Tris-HCl, T6066, Sigma 및 5 mM CaCl2, C1016, Sigma, pH7.0) 169 ul를 혼합한 후, 다양한 농도의 양성대조군인 오르리스타트 (Orlistat: 지방분해효소 저해제, O4139, Sigma) 20 ul를 혼합하여 37 ℃ 에서 15분간 배양하였다. 이후 기질 용액 [디메틸설폭사이드 (dimethylsulfoxide, D4540, Sigma)에 녹인 10 mM NPB (-nitrophenylbutylrate, N9876, Sigma)] 5 ul를 첨가하여 30분간 더 배양하였다. 지방분해효소의 활성은 지방분해효소에 의해 NPB가 가수분해되면서 유리되는 -니트로페놀을 ELISA 리더(Multiskan GO Microplate Spectrophotometer, Thermo scientific)를 이용하여 405 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지방분해효소 억제 정도는 시험물질에 의하여 억제된 흡광도의 비율을 퍼센트 값으로 환산하여 계산하였고, 지방분해효소의 활성(%)을 계산하였다.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여지초추출물의 리파제 (lipase) 효소활성 (%)은 분획물 중 헥산 (SP-H) 및 메틸렌 클로라이드 (SP-M) 분획물에서 각각 43, 49 %의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단일성분 중 호모플라타기닌 (Homoplantaginin)은 100 uM 처리 시 33 %, 로즈마리닉산 (rosmarinic acid)는 11.5%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고, 지방분해효소 활성을 억제하는 활성물질임을 확인하였다.
췌장 지방분해효소 ( pancreas lipase ) 활성 억제 효능
시료 처리 농도 활성 억제 효능 (%)
SP-H 100 ug/ml 43.1 ± 4.0
SP-M 49.1 ± 0.3
SP-EA 27.8 ± 4.2
SP-B -
Rosmarinic acid 100 uM 11.5 ± 2.2
Homoplantaginin 33.5 ± 4.7
Hispidulin 6.4 ± 0.8
Luteolin -
실험예 3. 고지방식이 동물모델에서의 항비만 효능 평가
상기 실시예 시료들의 고지방식이 동물모델에서의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시험을 수행하였다. (Margaret VH, Douglas SC, Constance FF, Richard PT, Ahmad BF, Michael PG, Edmund JS, Catherine DS, Harry RD Jr. Diet-induced Obese Mice Develop Peripheral, but Not Central, Resistance to Leptin. J. Clin . Invest . 1997; 99: 385-390)
고지방식이를 8주간 유도하여 체중을 증가시킨 비만 쥐에서 항비만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기 위하여 8주간 식이를 투여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에 이용된 마우스는 C57BL6계 5주령 마우스(Male, 오리엔트바이오)였으며, 상기 실험동물의 실험 전 평균체중은 19.0 ± 0.3 g 이었고, 8주간 고지방식이 유도된 각 군당 마우스의 평균체중은 35.2 ± 2.8 g으로, 각 군의 수는 8 마리로 하였다. 물과 식이는 자유롭게 급여하도록 하였고, 고지방식이 (Rodent Diet with 45% kcal % fat diet)를 Research Diets INC. (TD.06415)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여지초추출물 (SPE)을 1일 1회 각각 200 mg/kg의 농도로 마우스에 경구투여하였고, 이때 정상식이를 한 군을 음성대조군으로 하였고, 여지초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고지방식이를 한 군을 양성대조군으로 하였다.
시험물질 투여 개시 직전 및 시험이 진행되는 기간 동안 주 1회씩 각 군의 마우스의 몸무게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식이섭취량은 주 3회 측정하였다. 8주간 식이를 주간의 시료 경구투여 후 지방 조직 및 간 조직을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또한 각 군 개체로부터 분리된 지방 조직 및 간조직을 분리 고정 및 염색하여 조직학적 분석을 실시하였고, 분리된 혈액에 대한 생화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양성대조군에 비하여, 여지초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몸무게, 부고환 지방, 장간막 지방, 복부피하지방 및 총 내장 지방의 무게가 유의성 있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간 조직의 지방침윤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부고환 지방조직의 지방세포를 이미지 분석한 결과, 고지방식이군과 여지초추출물 투여군의 지방세포 직경을 비교한 결과, 유의적인 수준으로 p<0.01 수준으로 직경에 차이 있음이 관찰되었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여지초 추출물이 현저한 항비만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독성검정
식약청의 예규에 따라 ICR 마우스 (male, 6 weeks, 오리에트사로부터 구입)를 대상으로 급성독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의 여지초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들은 300 mg/kg의 경구투여까지 급성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아래와 같은 제형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아래의 제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SPE 추출물 ------------------------------------------ 20 mg
유당 ----------------------------------------------- 100 mg
탈크 ------------------------------------------------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SP-H 추출물 ----------------------------------------- 10 mg
옥수수전분 ----------------------------------------- 100 mg
유당 -----------------------------------------------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SP-M 추출물 ------------------------------------------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 3 mg
락토오스 -------------------------------------------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SP-EA 추출물 -------------------------------------- 10 mg
만니톨 --------------------------------------------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 (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HP 화합물 ----------------------------------------- 10 mg
이성화당 --------------------------------------------- 10 g
만니톨 ------------------------------------------------ 5 g
정제수 -----------------------------------------------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100 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SPE 추출물 --------------------------------------- 1000 mg
비타민 혼합물 ---------------------------------------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 70 ug
비타민 E ------------------------------------------ 1.0 mg
비타민 B1 ---------------------------------------- 0.13 mg
비타민 B2 ---------------------------------------- 0.15 mg
비타민 B6 ----------------------------------------- 0.5 mg
비타민 B12 ---------------------------------------- 0.2 ug
비타민 C ------------------------------------------- 10 mg
비오틴 --------------------------------------------- 10 ug
니코틴산아미드 ------------------------------------ 1.7 mg
엽산 ----------------------------------------------- 50 ug
판토텐산 칼슘 ------------------------------------- 0.5 mg
무기질 혼합물 --------------------------------------- 적량
황산제1철 ---------------------------------------- 1.75 mg
산화아연 ----------------------------------------- 0.82 mg
탄산마그네슘 ------------------------------------- 25.3 mg
제1인산칼륨 ---------------------------------------- 15 mg
제2인산칼슘 ---------------------------------------- 55 mg
구연산칼륨 ----------------------------------------- 90 mg
탄산칼슘 ------------------------------------------ 100 mg
염화마그네슘 -------------------------------------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RA 화합물 --------------------------------------- 1000 mg
구연산 ------------------------------------------ 1000 mg
올리고당 ------------------------------------------ 100 g
매실농축액 ------------------------------------------ 2 g
타우린 ---------------------------------------------- 1 g
정제수를 가하여 -----------------------------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Claims (2)

  1. 건조된 여지초 전초를 세척 및 세절 후 정제수를 포함한 주정 또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를 수회 섞은 다음에 30 내지 150℃에서 상온 추출법을 2 내지 10회 반복 수행하여 얻은 추출액을 여과, 감압 농축, 및 건조하여 조추출물을 제 1단계; 상기에서 얻은 조추출물 중량의 0.05 내지 0.5배 부피 (v/w%)의 물을 가한 후, n-헥산, 메틸렌 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을 이용한 통상적인 분획과정을 수행하는 제 2단계 공정을 통하여 수득한 에틸아세테이트에 가용한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2. 건조된 여지초 전초를 세척 및 세절 후 정제수를 포함한 주정 또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를 수회 섞은 다음에 30 내지 150℃에서 상온 추출법을 2 내지 10회 반복 수행하여 얻은 추출액을 여과, 감압 농축, 및 건조하여 조추출물을 제 1단계; 상기에서 얻은 조추출물 중량의 0.05 내지 0.5배 부피 (v/w%)의 물을 가한 후, n-헥산, 메틸렌 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을 이용한 통상적인 분획과정을 수행하는 제 2단계 공정을 통하여 수득한 에틸아세테이트에 가용한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50021330A 2015-02-12 2015-02-12 여지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에틸아세테이트에 가용한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1394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330A KR20150139418A (ko) 2015-02-12 2015-02-12 여지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에틸아세테이트에 가용한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330A KR20150139418A (ko) 2015-02-12 2015-02-12 여지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에틸아세테이트에 가용한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815A Division KR101520886B1 (ko) 2014-06-03 2014-06-03 여지초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418A true KR20150139418A (ko) 2015-12-11

Family

ID=55020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1330A KR20150139418A (ko) 2015-02-12 2015-02-12 여지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에틸아세테이트에 가용한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941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38923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related diseases mediated by the activation of ampk and including 2,5-bis-aryl-3,4-dimethyltetrahydrofuran lignans as active ingredients
KR101158856B1 (ko) 콩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고지혈증, 동맥경화, 지방간, 당뇨 또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10619B1 (ko) 오리나무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1을 함유하는 골격근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81710B1 (ko) 엉겅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50097173A (ko) 발효 우엉 추출물 또는 우엉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112137A (ko) 오미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우웨이지수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97109B1 (ko) Ppar 작용 조절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130588A (ko) 괭생이 모자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40129492A (ko)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35061B1 (ko) 개똥쑥 추출물, 아테미시닌 또는 디히드로아테미시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75554B1 (ko) 돌단풍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폐경기 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55904B1 (ko) 큰느타리버섯과 오가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20886B1 (ko) 여지초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64756B1 (ko) 오풍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72657B1 (ko) 자화전호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50139418A (ko) 여지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에틸아세테이트에 가용한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77916B1 (ko)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406126B1 (ko) 백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64897B1 (ko) 전립선 비대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KR101996184B1 (ko) 마늘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보조 치료제
KR20130082249A (ko) 담쟁이 덩쿨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00115892A (ko) 간 보호 효과를 갖는 노루궁뎅이 버섯균사체 건조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09572B1 (ko) 오보바톨 및 그 합성 유도체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와 대사증후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99492B1 (ko) 숙지황과 골쇄보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46758B1 (ko) 티모사포닌 에이-ⅲ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성장호르몬분비촉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