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8206A -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8206A
KR20150138206A KR1020157026219A KR20157026219A KR20150138206A KR 20150138206 A KR20150138206 A KR 20150138206A KR 1020157026219 A KR1020157026219 A KR 1020157026219A KR 20157026219 A KR20157026219 A KR 20157026219A KR 20150138206 A KR20150138206 A KR 20150138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range
alpha
olefin interpolym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6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4147B1 (ko
Inventor
메멧 드미러스
테레사 피 카잘라
줄리 더블유 멕켄나
더글라스 에스 진저
Original Assignee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50138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8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16Copolymers of ethene with alpha-alkenes, e.g. EP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410/00Features related to the catalyst preparation, the catalyst use or to the deactivation of the catalyst
    • C08F2410/04Dual catalyst, i.e. use of two different catalysts, where none of the catalysts is a metalloc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420/00Metallocene catalysts
    • C08F2420/02Cp or analog bridged to a non-Cp X anionic don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42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 C08F4/44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 C08F4/60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together with refractory metals, iron group metals, platinum group metals, manganese, rhenium technet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2Refractory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C08F4/64Titanium, zirconium, hafn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59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 C08F4/65908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in combination with an ionising compound other than alumoxane, e.g. (C6F5)4B-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42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 C08F4/44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 C08F4/60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together with refractory metals, iron group metals, platinum group metals, manganese, rhenium technet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2Refractory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C08F4/64Titanium, zirconium, hafn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59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 C08F4/65912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in combination with an organoaluminium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4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6LDPE (radical proc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로운 필름 적용에 적합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블로운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로운 필름 적용에 적합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은 80 중량% 초과의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및 20 중량% 이하의 1종 이상의 알파 올레핀 공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는 0.910 내지 0.918 g/cm3의 범위의 밀도, 0.5 내지 1.1 g/10분의 범위의 용융 지수 I2, 8 내지 10의 범위의 용융 유량비 I10/I2, 3 내지 6 cN의 범위의 용융 강도, CEF에 의해 결정된 11 내지 14퍼센트의 범위의 최고 온도 분획, 96 내지 100℃의 범위의 CEF에 의한 최고 피크 온도 분획, 2 내지 5퍼센트의 범위의 CEF로부터의 최저 온도 분획, 및 최고 온도 용융 피크가 120 내지 124℃의 범위에 있는 3개의 용융 피크, 및 40 내지 50퍼센트의 범위의 결정화도를 갖는 DSC 가열 곡선을 갖는다.

Description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 {AN ETHYLENE/ALPHA-OLEFIN INTERPOLYMER COMPOSITION}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원은 2013년 3월 28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1/806,103을 우선권 주장한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블로운 필름 적용에 적합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블로운 필름에 관한 것이다.
포장 용도에 적합한 필름을 형성하기 위한 중합체 물질, 예컨대 폴리에틸렌의 사용은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필름은 임의의 통상적인 필름 공정, 예를 들어 블로운 필름 공정에 의해 형성된 단일 층 또는 다중 층 필름일 수 있다.
그러나, 개선된 가공성 및 광학 특성을 제공하는 한편 허용되는 수준의 산소 투과율 뿐만 아니라 수증기 투과율을 유지하는 폴리에틸렌 조성물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블로운 필름 적용에 적합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블로운 필름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80 중량% 초과의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및 20 중량% 이하의 1종 이상의 알파 올레핀 공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포함하는, 블로운 필름 적용에 적합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는 0.910 내지 0.918 g/cm3의 범위의 밀도, 0.5 내지 1.1 g/10분의 범위의 용융 지수 I2, 8 내지 10의 범위의 용융 유량비 I10/I2, 3 내지 6 cN의 범위의 용융 강도, CEF에 의해 결정된 11 내지 14퍼센트의 범위의 최고 온도 분획, 96 내지 100℃의 범위의 CEF에 의한 최고 피크 온도 분획, 2 내지 5퍼센트의 범위의 CEF로부터의 최저 온도 분획, 및 최고 온도 용융 피크가 120 내지 124℃의 범위에 있는 3개의 용융 피크, 및 40 내지 50퍼센트의 범위의 결정화도를 갖는 DSC 가열 곡선을 갖는다.
또 다른 대안적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블로운 필름을 추가로 제공한다.
대안적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블로운 필름이 20 미만의 범위, 예를 들어 15 미만의 전체 헤이즈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르는 블로운 필름을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필름은 1 mil의 두께를 갖고, 상기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블로킹방지제 및/또는 하나 이상의 슬립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필름은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의 요구되는 특성 범위 밖의 특성을 하나 이상 갖는 또 다른 에틸렌 기재 중합체에 비해 적어도 10퍼센트 생산 속도 증가를 갖는 블로운 필름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대안적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에틸렌 기재 중합체가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의 요구되는 용융 지수 범위 밖의 용융 지수를 갖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르는 블로운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적인 형태가 도면에 나타나 있지만; 본 발명은 나타낸 정확한 배열 및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이 이해된다.
도 1은 비교 조성물 1 및 본 발명의 조성물 1의 DSC에 의한 가열 곡선을 예시하는 그래프이다 (W/g 단위의 열 유량 대 ℃ 단위의 온도).
도 2는 비교 조성물 1 및 본 발명의 조성물 1의 DSC에 의한 냉각 곡선을 예시하는 그래프이다 (W/g 단위의 열 유량 대 ℃ 단위의 온도).
도 3은 비교 조성물 1 및 본 발명의 조성물 1의 190℃에서의 동적 기계적 분광분석법 점도 데이터를 예시하는 그래프이다 (Pa-s 단위의 복합 점도 대 rad/s 단위의 주파수).
도 4는 비교 조성물 1 및 본 발명의 조성물 1의 190℃에서의 용융 강도를 예시하는 그래프이다 (cN 단위의 용융 강도 대 mm/s 단위의 속도).
도 5는 비교 조성물 1 및 본 발명의 조성물 1의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곡선을 예시하는 그래프이다 (dWf/dLogM 대 Log GPC에 의한 분자량).
도 6은 비교 조성물 1 및 본 발명의 조성물 1의 결정화 용리 분별 데이터를 예시하는 그래프이다 (질량 또는 dWf/dT 및 Log Mw (여기서 Mw는 g/mol 단위임) 대 ℃ 단위의 온도).
본 발명은 블로운 필름 적용에 적합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블로운 필름을 제공한다. 블로운 필름 적용에 적합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은 80 중량% 초과의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및 20 중량% 이하의 1종 이상의 알파 올레핀 공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포함하며, 여기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은 0.910 내지 0.918 g/cm3의 범위의 밀도, 0.5 내지 1.1 g/10분의 범위의 용융 지수 I2, 8 내지 10의 범위의 용융 유량비 I10/I2, 3 내지 6 cN의 범위의 용융 강도, CEF에 의해 결정된 11 내지 14퍼센트의 범위의 최고 온도 분획, 96 내지 100℃의 범위의 CEF에 의한 최고 피크 온도 분획, 2 내지 5퍼센트의 범위의 CEF로부터의 최저 온도 분획, 및 최고 온도 용융 피크가 120 내지 124℃의 범위에 있는 3개의 용융 피크, 및 40 내지 50퍼센트의 범위의 결정화도를 갖는 DSC 가열 곡선을 갖는다.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은 (a) 100 중량% 이하, 예를 들어 적어도 80 중량%, 또는 적어도 90 중량%의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및 (b) 20 중량% 미만, 예를 들어 15 중량% 미만, 또는 10 중량% 미만의 1종 이상의 α-올레핀 공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포함한다. 용어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은 (중합성 단량체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50 몰퍼센트 초과의 중합된 에틸렌 단량체를 함유하고, 임의로 적어도 1종의 공단량체를 함유할 수 있는 중합체를 지칭한다.
α-올레핀 공단량체는 전형적으로 2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 예를 들어, α-올레핀 공단량체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α-올레핀 공단량체는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및 4-메틸-1-펜텐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1종 이상의 α-올레핀 공단량체는, 예를 들어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또는 대안적으로 1-헥센 및 1-옥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은 0.910 내지 0.918 g/cm3, 예를 들어 0.910 내지 0.917 g/cm3의 범위의 밀도를 갖는다. 예를 들어, 밀도는 0.910, 0.911 또는 0.912 g/cm3의 하한치 내지 0.916, 0.917 또는 0.918 g/cm3의 상한치일 수 있다.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은 3.0 내지 5.0의 범위의 분자량 분포 (Mw/Mn)를 갖는다. 예를 들어, 분자량 분포 (Mw/Mn)는 3.0, 3.1 또는 3.2의 하한치 내지 4.0, 4.5 또는 5.0의 상한치일 수 있다.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은 0.1 내지 2.0 g/10분, 예를 들어 0.5 내지 1.5 g/10분 또는 0.5 내지 1.1 g/10분의 범위의 용융 지수 (190℃ / 2.16 kg에서의 I2)를 갖는다. 예를 들어, 용융 지수 (190℃ / 2.16 kg에서의 I2)는 0.1, 0.5, 0.6 또는 0.7 g/10분의 하한치 내지 1.1, 1.6, 1.7, 1.8, 1.9 또는 2.0 g /10분의 상한치일 수 있다.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은 8 내지 10, 예를 들어 8 내지 9.5, 또는 대안적으로는 8.2 내지 9.4의 범위의 용융 유량비 I10/I2를 갖는다.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은 2 내지 8 cN, 예를 들어 3 내지 6 cN, 4 내지 5 cN의 범위의 용융 강도를 갖는다.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은 6 내지 15퍼센트, 예를 들어 10 내지 15, 또는 대안적으로는 11 내지 14, 또는 대안적으로는 8.4 내지 13.3의 범위의, CEF에 의해 결정된 최고 온도 분획을 갖는다.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은 95 내지 105℃, 예를 들어 96 내지 100℃의 범위의, CEF에 의한 최고 피크 온도 분획을 갖는다.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은 1 내지 5퍼센트; 예를 들어 2 내지 5, 또는 대안적으로는 2 내지 4퍼센트의 범위의, CEF로부터의 최저 온도 분획을 갖는다.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은, 3개의 용융 피크를 갖고 최고 온도 용융 피크는 120 내지 124℃, 예를 들어 121 내지 123℃의 범위에 있는 DSC 가열 곡선을 갖는다.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은 40 내지 50퍼센트; 예를 들어 42 내지 47, 또는 대안적으로는 43 내지 46퍼센트의 범위의 결정화도를 갖는다.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은 추가의 성분, 예컨대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대전방지제, 색 증강제, 염료, 윤활제, 충전제, 예컨대 TiO2 또는 CaCO3, 불투명화제, 핵형성제, 가공 보조제, 안료, 1차 항산화제, 2차 항산화제, 가공 보조제, UV 안정화제, 블로킹방지제, 슬립제, 점착제, 난연제, 항미생물제, 냄새 감소제, 항진균제 및 그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에틸렌-기재 중합체 조성물은 이러한 첨가제를 포함하는 에틸렌-기재 중합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총합 약 0.05 내지 약 10 중량%의 이러한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은 추가로 1종 이상의 중합체 물질, 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또는 또 다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과 블렌딩될 수 있다. 이러한 LLDPE는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The Dow Chemical Company)로부터의 상표명 다우렉스(DOWLEX), 엘리트(ELITE), 엘리트 AT 및 어테인(ATTANE) 하에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이러한 LLDPE는 전형적으로 0.900 내지 0.950 g/cm3의 범위의 밀도, 및 0.5 내지 10 g/10분의 범위의 용융 지수 I2를 갖는다.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은 자유-라디칼 중합에 의해 고압에서 제조된다. 고압 자유 라디칼 개시된 중합 공정의 경우, 2개의 기본 유형의 반응기가 공지되어 있다. 제1 유형은 하나 이상의 반응 구역을 갖는 교반형 오토클레이브 용기이다 (오토클레이브 반응기). 제2 유형은 하나 이상의 반응 구역을 갖는 재킷형 튜브이다 (관형 반응기).
공정의 각각의 오토클레이브 및 관형 반응기 구역에서의 압력은 100 MPa 내지 400 MPa; 예를 들어, 120 MPa 내지 360 MPa, 또는 대안적으로는 150 MPa 내지 320 MPa이다.
공정의 각각의 관형 반응기 구역에서의 중합 온도는 100℃ 내지 400℃; 예를 들어, 130℃ 내지 360℃, 또는 대안적으로는 140℃ 내지 330℃이다.
공정의 각각의 오토클레이브 반응기 구역에서의 중합 온도는 150℃ 내지 300℃; 예를 들어, 165℃ 내지 290℃, 또는 대안적으로는 180℃ 내지 280℃이다.
임의의 통상의 중합 공정을 사용하여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통상의 중합 공정은 하나 이상의 통상의 반응기, 예를 들어 루프 반응기, 등온 반응기, 교반 탱크 반응기, 배치 반응기를 병렬로, 직렬로 및/또는 그의 임의의 조합으로 사용하는 용액 중합 공정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루프 반응기, 등온 반응기 및 그의 조합을 사용하는 용액 상 중합 공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용액 상 중합 공정은 하나 이상의 충분히 교반된 반응기, 예컨대 하나 이상의 루프 반응기 또는 하나 이상의 구형 등온 반응기 중에서 115 내지 250℃; 예를 들어, 115 내지 200℃의 범위의 온도, 및 300 내지 1000 psi; 예를 들어, 400 내지 750 psi의 범위의 압력에서 수행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이중 반응기에서, 제1 반응기의 온도는 115 내지 190℃, 예를 들어 115 내지 150℃의 범위이고, 제2 반응기의 온도는 150 내지 200℃, 예를 들어 170 내지 195℃의 범위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단일 반응기에서, 반응기의 온도는 115 내지 190℃, 예를 들어 115 내지 150℃의 범위이다. 용액 상 중합 공정에서의 체류 시간은 전형적으로 2 내지 30분; 예를 들어 10 내지 20분의 범위이다. 에틸렌, 용매, 하나 이상의 촉매 시스템, 임의로 1종 이상의 조촉매 및 임의로 1종 이상의 공단량체가 하나 이상의 반응기에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예시적인 용매는 이소파라핀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용매는 엑손모빌 케미칼 캄파니(ExxonMobil Chemical Co.) (텍사스주 휴스턴)로부터 명칭 이소파르 E(ISOPAR E) 하에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이어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 및 용매의 생성된 혼합물을 반응기로부터 꺼내고,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을 단리한다. 용매를 전형적으로 용매 회수 장치, 즉 열 교환기 및 액체 분리기 드럼을 통해 회수한 다음, 중합 시스템 내로 다시 재순환시킨다.
한 실시양태에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은 이중 반응기 시스템, 예를 들어 이중 루프 반응기 시스템에서 용액 중합 공정을 통해 제조할 수 있고, 여기서 에틸렌 및 임의로 1종 이상의 α-올레핀이 하나 이상의 촉매 시스템의 존재 하에 중합된다. 추가로, 1종 이상의 조촉매가 존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은 단일 반응기 시스템, 예를 들어 단일 루프 반응기 시스템에서 용액 중합 공정을 통해 제조할 수 있고, 여기서 에틸렌 및 임의로 1종 이상의 α-올레핀이 하나 이상의 촉매 시스템의 존재 하에 중합된다. 추가로, 1종 이상의 조촉매가 존재할 수 있다.
최종 용도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은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포장 용도, 예를 들어 식품 포장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은, 예를 들어 블로운 필름 공정에 의해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은 블로운 필름 공정에 의해 단일 층 필름으로 형성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은 다중-층 블로운 필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은 단일 층, 또는 1종 이상의 기판과 결합된 다중-층 블로운 필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블로운 필름은 다양한 포장 용도, 예를 들어 새로이 커팅된 제품 또는 스낵과 같은 식품 포장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로운 필름은 1.25 mil 내지 4 mil의 범위의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로운 필름은 600 내지 800, 예를 들어 650 내지 750, 예를 들어 대략 700 cc-mil/100 제곱인치-일-atm의 범위의, 23℃ 및 0% 상대 습도에서 측정된 산소 투과율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로운 필름은 38℃, 100% RH에서, 1.1 내지 1.4의 범위, 예를 들어 대략 1.2 gm-mil/100 제곱인치-일의 범위의 수증기 투과율을 갖는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이 개선된 가공성 및 광학 특성을 제공하는 한편, 허용되는 수준의 산소 투과율 뿐만 아니라 수증기 투과율을 유지한다는 것을 입증한다.
비교 실시예 1
비교 실시예 1은 0.9155 g/cm3의 밀도 및 1.47 g/10분의 용융 지수 I2을 갖는 에틸렌-옥텐 공중합체이며, 이는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로부터 상표명 엘리트™ 5500G 하에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1은 하기 방법에 따라 표 1-4에 보고된 조건에 따라 제조된다.
모든 원료 (에틸렌, 1-옥텐) 및 공정 용매 (좁은 비등 범위의 고순도 이소파라핀 용매, 엑손 모빌 코포레이션으로부터 상표명 이소파르 E 하에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함)를 분자체를 이용하여 정제한 후 반응 환경에 도입한다. 고순도의 수소를 공유 파이프라인에 의해 공급하고; 반응기로 전달하기 전에 이를 500 psig에서 반응 압력 초과로 기계적으로 가압하고; 임의의 잠재적 잔류 수분을 분자체 4A를 통해 제거한다. 반응기 단량체 공급 (에틸렌) 스트림을 500 psig에서 반응 압력 초과로 기계적 컴프레서를 통해 가압한다. 용매 공급을 500 psig에서 반응 압력 초과로 기계적으로 가압한다. 공단량체 (1-옥텐) 공급을 또한 500 psig에서 반응 압력 초과로 가압하고, 이를 제2 반응기에 대한 조합된 공급 스트림으로 직접 주입한다. 3종의 촉매 성분을 제1 반응기 내로 주입한다 (표 1에 정의된 바와 같은 CAT-B, RIBS-2, 및 MMAO-3A). RIBS-2 촉매 성분을 최적 농도로 희석한다. CAT-B 및 MMAO-3A 촉매 성분을 반응기 내로 주입하기 전에 정제된 용매 (이소파르 E)를 이용하여 최적 농도까지 추가로 회분식으로 희석한다. 2종의 촉매 성분을 제2 반응기 내로 주입한다 (지글러-나타 프리믹스 및 트리에틸알루미늄 (TEA)). 모든 촉매 성분을 독립적으로 500 psig에서 반응 압력 초과로 기계적으로 가압한다. 모든 반응기 촉매 공급 유량을 질량 유량계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용적형(positive displacement) 계량 펌프를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연속 용액 중합 반응기는 직렬 구성으로 작동하는, 2개의 액상 완전 비-단열 등온 순환 및 독립 제어된 루프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반응기는 모든 새로운 용매, 단량체, 공단량체, 수소 및 촉매 성분 공급의 독립적 제어를 갖는다. 각각의 반응기에 대한 조합된 용매, 단량체, 공단량체 및 수소 공급은 일련의 열 교환기를 통해 공급 스트림을 통과시킴으로써 10℃ 내지 50℃의 임의의 온도, 전형적으로 15℃로 독립적으로 온도 제어된다. 중합 반응기로의 새로운 공단량체 공급은 3가지 선택: 제1 반응기, 제2 반응기, 또는 공통 용매 (이는 이어서 공유 용매 공급 분할에 비례하여 2개의 반응기 사이에 분할됨) 중 하나에 공단량체를 첨가하도록 정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공단량체는 제2 반응기로 공급된다. 각각의 중합 반응기에 대한 전체 새로운 공급물을, 반응기당 2개의 위치에서 각각의 주입 위치 사이에 대략 동등한 반응기 부피가 되도록 하면서 반응기에 주입한다. 제1 반응기에 대한 새로운 공급물은 전형적으로 각각의 주입기가 전체 새로운 공급물 질량 유량의 절반을 수용하도록 제어된다. 직렬의 제2 반응기에 대한 새로운 공급물은 전형적으로 각각의 주입기 근처에서 전체 에틸렌 질량 유량의 절반을 유지하도록 제어되고, 제1 반응기로부터의 미반응 에틸렌이 보다 낮은 압력의 새로운 공급물에 인접하여 제2 반응기로 도입되기 때문에, 상기 주입기는 통상적으로 제2 반응기에 대한 전체 새로운 공급 질량 유량의 절반 미만을 갖는다. 제1 반응기를 위한 촉매 성분은 특별히 고안된 주입 스팅어를 통해 중합 반응기에 주입되고, 반응기 이전에 접촉 시간 없이 제1 반응기 내의 동일한 상대적 위치로 각각 개별적으로 주입된다. 제2 반응기를 위한 촉매 성분 (지글러-나타 프리믹스 및 TEA)은 특별히 고안된 주입 스팅어를 통해 제2 중합 반응기로 주입되고, 제2 반응기 내의 동일한 상대적 위치로 각각 주입된다.
각각의 반응기를 위한 1차 촉매 성분 공급물 (제1 반응기의 경우에는 CAT-B 및 제2 반응기의 경우에는 지글러-나타 프리믹스)은 명시된 목표의 개별 반응기 단량체 농도를 유지하도록 컴퓨터 제어된다. 조촉매 성분 (제1 반응기의 경우에는 RIBS-2 및 MMAO-3A, 및 제2 반응기의 경우에는 TEA)은 1차 촉매 성분에 대하여 계산된 명시된 몰비를 기준으로 공급된다. 각각의 새로운 주입 위치 직후에 (공급물 또는 촉매), 공급 스트림을 케닉스(Kenics) 정적 혼합 요소를 사용하여 순환하는 중합 반응기 내용물과 혼합한다. 각각의 반응기의 내용물은 대부분의 반응열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열 교환기를 통해 명시된 반응기 온도에서 등온 반응 환경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냉각수 측의 온도로 연속적으로 순환된다. 각각의 반응기 루프에서의 순환을 스크류 펌프에 의해 제공하였다. 제1 중합 반응기로부터의 유출물 (용매, 단량체, 공단량체, 수소, 촉매 성분 및 용해된 중합체를 함유함)은 제1 반응기 루프를 빠져나가, 제어 밸브 (명시된 목표의 제1 반응기의 압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함)를 통과해서, 유사한 디자인의 제2 중합 반응기에 주입된다. 스트림이 제2 반응기를 빠져나온 후에, 이는 물과 접촉하여 반응이 중단된다. 이어서, 스트림은 또 다른 세트의 케닉스 정적 혼합 요소를 통과함으로써 물 촉매 중단제 및 임의의 첨가제를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첨가제 첨가 후에, 유출물 (용매, 단량체, 공단량체, 수소, 촉매 성분 및 용해된 중합체를 함유함)은 다른 저비점 반응 성분으로부터의 중합체의 분리에 대비하여 스트림 온도가 상승하도록 열 교환기를 통과한다. 이어서, 스트림은 중합체가 용매, 수소 및 미반응 단량체 및 공단량체로부터 제거되는 2단계 분리 및 탈휘발화 시스템에 도입된다. 재순환 스트림을 정제한 후에 반응기에 다시 도입된다. 이어서, 분리 및 탈휘발화된 중합체 용융물은 단축 압출기에 의해 공정으로 주입된 중합체 용융물 내에 함유된 추가의 첨가제의 적은 사이드 스트림과 조합된다. 이들 첨가제는 또 다른 일련의 케닉스 정적 혼합 요소에 의해 주요 공정 중합체 용융물과 혼합된다. 이어서, 첨가제가 완전히 로딩된 중합체 스트림은 수중 펠릿화를 위해 특별히 고안된 다이로 도입되고, 균일한 고체 펠릿으로 절단되고, 건조되고, 호퍼로 전달된다.
탈휘발화 단계에서 제거된 비-중합체 부분은 다양한 부분의 장비를 통과하여, 시스템으로부터 제거된 단량체의 대부분이 분리되고, 냉각되고, 기계적으로 압축되고, 재사용을 위해 파이프라인을 통해 저급 탄화수소 공정 시설로 보내진다. 대부분의 용매 및 공단량체는 정제 층을 통과한 후에 반응기로 다시 재순환된다. 상기 용매는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미반응 공단량체를 그 중에 여전히 가질 수 있고, 반응기로 다시 도입되기 전에 새로운 공단량체가 보충된다. 공단량체의 이러한 보충은 생성물 밀도 제어 방법의 필수 부분이다. 이러한 재순환 용매는 일부 용해된 수소를 함유할 수 있고, 이어서 새로운 수소가 보충되어 중합체 분자량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매우 소량의 용매가 시스템을 일시적으로 빠져나가, 정제되어 재사용되거나 또는 부산물로서 시스템으로부터 퍼징된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2>
Figure pct00002
<표 3>
Figure pct00003
<표 4>
Figure pct00004
비교 실시예 및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성화
본 발명의 조성물 1 및 비교 조성물 1을 그들의 특성에 대해 시험하고, 결과를 표 5-12에 보고하였다. 표 5는 용융 지수 및 밀도 데이터를 함유한다. 표 6은 시차 주사 열량측정 (DSC) 데이터를 요약한다. 표 7 및 8은 190℃에서 측정된 동적 기계적 분광분석법 (DMS) 데이터를 요약한다. 표 9는 190℃에서 측정된 용융 강도 데이터를 함유한다. 표 10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데이터를 요약한다. 표 11은 결정화 용리 분별 (CEF) 데이터를 요약한다.
<표 5>
Figure pct00005
<표 6>
Figure pct00006
<표 7>
Figure pct00007
<표 8>
Figure pct00008
<표 9>
Figure pct00009
<표 10>
Figure pct00010
<표 11>
Figure pct00011
<표 12>
Figure pct00012
블로운 필름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1 및 비교 조성물 1을 하기 방법에 따라 각각 본 발명의 필름 1 및 비교예 필름 1로 형성하였다. 폴리에틸렌 "데이비스 스탠다드 배리어(Davis Standard Barrier) II 스크류"를 이용하여 "8인치 다이" 상에서 단층 블로운 필름을 제조하였다. 에어 링에 의한 외부 냉각 및 내부 버블 냉각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블로운 필름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일반적 블로운 필름 파라미터를 표 13에 보고하였다. 온도는 펠릿 호퍼 (배럴 1)에 가장 가까운 온도에서 중합체가 다이를 통해 압출됨에 따라 증가하는 순서이다.
<표 13>
Figure pct00013
블로운 필름의 최대 토출 속도의 결정을 위한 필름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1 및 비교 조성물 1은 하기 방법에 따라 각각 본 발명의 필름 1 및 비교예 필름 1로 형성하였다. 샘플을 제어된 속도 및 최대 속도로 제조하였다. 제어된 속도는 250 lb/hr이었고, 이는 10.0 lb/hr/다이 원주 인치의 토출 속도와 동일하다. 최대 토출 시험에 사용된 다이 직경은 8인치 다이였고, 이에 따라 예로서 제어된 속도에 대한 "lb/hr"과 "lb/hr/다이 원주 인치" 사이의 전환을 하기 식에 나타내었다. 유사하게, 이러한 식은 다른 속도에 대해서도, 예컨대 최대 속도에 대해, 하기 식에서 최대 속도로 대체함으로써 "lb/hr/다이 원주 인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Lb/Hr/다이 원주 인치 = (250 Lb/Hr) / (8 * π) = 10
주어진 샘플에 대한 최대 속도는 버블 안정성이 제한 인자가 되는 시점까지 토출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결정하였다. 압출기 프로파일은 샘플 (표준 속도 및 최대 속도) 둘 다에 대해 동일하게 유지하였지만, 용융 온도는 최대 속도 샘플에 대해 더 높게 하였는데, 이는 보다 빠른 모터 속도 (rpm, 분당 회전수)에 따라 증가되는 전단 속도로 인한 것이었다. 최대 버블 안정성은 버블이 에어 링에 더 이상 안착되지 않는 시점까지 버블을 취함으로써 결정하였다. 그 시점에, 속도를 버블이 에어 링에 다시 안착될 때까지 감소시킨 다음, 샘플을 수집하였다. 에어 링을 조절하고 버블을 유지시킴으로써 버블 상에서의 냉각을 조절하였다. 이를 버블 안정성이 유지되는 최대 토출 속도로서 취하였다.
본 발명의 필름 1의 특성을 측정하고, 표 14에 나열하였다. 달성된 최대 블로운 필름 속도를 표 15에 나열하였다.
<표 14>
Figure pct00014
<표 15>
Figure pct00015
시험 방법
시험 방법은 하기를 포함한다.
밀도
밀도 측정을 위한 샘플은 ASTM D 4703-10에 따라 제조하였다. 샘플을 10,000 psi (68 MPa)로 5분 동안 374℉ (190℃)에서 가압하였다. 온도를 상기 5분 동안 374℉ (190℃)로 유지한 다음, 압력을 3분 동안 30,000 psi (207 MPa)로 증가시켰다. 이어서, 70℉ (21℃) 및 30,000 psi (207 MPa)에서 1분 유지하였다. ASTM D792-08, 방법 B를 사용하여 샘플 가압 1시간 내에 측정을 실시하였다.
용융 지수
용융 지수 (I2)를 ASTM D 1238-10, 조건 190℃/2.16 kg, 방법 A에 따라 측정하고, 10분당 용리된 그램으로 보고하였다.
용융 지수 (I10)를 ASTM D 1238-10, 조건 190℃/10 kg, 방법 A에 따라 측정하고, 10분당 용리된 그램으로 보고하였다.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GPC)
샘플을 고온 GPC 기기 (모델 PL220, 폴리머 래보러토리즈, 인크.(Polymer Laboratories, Inc.), 현재 애질런트(Agilent))에 의해 분석하였다. 통상적 GPC 측정을 사용하여 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 (Mw) 및 수-평균 분자량 (Mn)을 결정하고, 분자량 분포 MWD 또는 Mw/Mn을 결정하였다. z-평균 분자량 Mz를 또한 결정하였다. 방법은 유체역학 부피의 개념을 기초로 하여 널리 공지된 범용 보정 방법을 이용하였고, 140℃의 시스템 온도에서 작동하는 3개의 10μm 믹스드-B(Mixed-B) 칼럼 (폴리머 래보러토리즈 인크., 현재 애질런트)과 함께 좁은 폴리스티렌 (PS) 표준물을 사용하여 보정을 수행하였다. 폴리에틸렌 샘플을 1,2,4-트리클로로벤젠 용매 중 2 mg/mL 농도로, 샘플을 TCB 중에서 160℃에서 4시간 동안 천천히 교반함으로써 제조하였다. 유량은 1.0 mL/분이었고, 주입 크기는 200 마이크로리터이었다. 크로마토그래피 용매 및 샘플 제조 용매는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 (BHT) 200 ppm을 함유하였다. 용매 공급원 둘 다를 질소 폭기하였다. 폴리스티렌 표준물의 분자량을 문헌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0.4316의 보정 인자를 사용하여 폴리에틸렌 등가 분자량으로 전환하였다 (T. Williams and I.M. Ward, Polym. Letters, 6, 621-624 (1968)). 3차 다항식을 사용하여 관찰된 용리 부피에 대해 각각의 표준물의 폴리에틸렌-등가 분자량을 피팅하였다.
결정화 용리 분별 (CEF) 방법
공단량체 분포 분석은 결정화 용리 분별 (CEF) (폴리머차르(PolymerChar), 스페인)을 이용하여 수행한다 (B Monrabal et al, Macromol. Symp. 257, 71-79 (2007)). 600ppm 항산화제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 (BHT)을 함유하는 오르토-디클로로벤젠 (ODCB)을 용매로서 사용한다. 샘플 제조를 오토샘플러를 이용하여 4 mg/ml에서 진탕 하에 160℃에서 2시간 동안 수행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주입 부피는 300 μl이다. CEF의 온도 프로파일은 다음과 같다: 110℃에서 30℃로 3℃/분에서 결정화, 30℃에서 5분 동안 열 평형, 30℃에서 140℃로 3℃/분에서 용리. 결정화 동안의 유량은 0.052 ml/분이다. 용리 동안의 유량은 0.50 ml/분이다. 데이터를 1 데이터 포인트/초로 수집한다. CEF 칼럼은 1/8인치 스테인레스 관을 이용하여 125 μm± 6%의 유리 비드 (MO-SCI 스페셜티 프로덕츠(Specialty Products))로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에 의해 팩킹된다.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로부터의 요청으로 MO-SCI 스페셜티에 의해 유리 비드를 산 세척한다. 칼럼 부피는 2.06 ml이다. 칼럼 온도 보정은 ODCB 중 NIST 표준 참조 물질 선형 폴리에틸렌 1475a (1.0mg/ml) 및 에이코산 (2mg/ml)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수행한다. 온도는 NIST 선형 폴리에틸렌 1475a가 101.0℃에서 피크 온도를 갖고 에이코산이 30.0℃의 피크 온도를 갖도록 용리 가열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보정한다. CEF 칼럼 분해능은 NIST 선형 폴리에틸렌 1475a (1.0mg/ml) 및 헥사콘탄 (플루카(Fluka), 푸룸(purum), ≥97.0%, 1mg/ml)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헥사콘탄 및 NIST 폴리에틸렌 1475a의 기준선 분리를 달성한다. 헥사콘탄의 면적 (35.0 내지 67.0℃) 대 67.0 내지 110.0℃에서의 NIST 1475a의 면적은 50 대 50이고, 35.0℃ 미만의 가용성 분획의 양은 <1.8 중량%이다. CEF 칼럼 분해능은 하기 방정식에서 정의되며, 여기서 칼럼 분해능은 6.0이다.
Figure pct00016
용융 강도
용융 강도 측정은 괴트페르트 레오테스터(Gottfert Rheotester) 2000 모세관 레오미터에 부착된 괴트페르트 레오텐스(Gottfert Rheotens) 71.97 (괴트페르트 인크.(Goettfert Inc.); 사우스 캐롤라이나주 록힐) 상에서 수행하였다. 용융된 샘플 (약 25 내지 30 그램)을 30 mm의 길이, 2.0 mm의 직경 및 15의 종횡비 (길이/직경)의 편평한 입구 각 (180도)을 갖춘 괴트페르트 레오테스터 2000 모세관 레오미터에 공급하였다. 샘플을 190℃에서 10분 동안 평형화한 후, 피스톤을 0.265 mm/초의 일정한 피스톤 속도에서 실행하였다. 표준 시험 온도는 190℃이었다. 샘플을 다이 100 mm 아래에 위치한 일련의 가속화 닙까지 2.4 mm/s2의 가속도로 단축방향으로 드로잉하였다. 인장력을 닙 롤의 권취 속도의 함수로서 기록하였다. 용융 강도를 가닥이 파단되기 전 안정 힘 (cN)으로서 보고하였다. 하기 조건을 용융 강도 측정에 사용하였다: 플런저 속도 = 0.265 mm/초; 휠 가속 = 2.4 mm/s2; 모세관 직경 = 2.0 mm; 모세관 길이 = 30 mm; 및 배럴 직경 = 12 mm.
동적 기계적 분광분석법 (DMS)
수지를 공기 중 1500 psi 압력 하에 5분 동안 350℉에서 "3mm 두께 x 1인치" 원형 플라크로 압축 성형하였다. 이어서, 샘플을 프레스로부터 꺼내고, 카운터 상에 두어 냉각시켰다.
질소 퍼징 하에, 25 mm (직경) 평행 플레이트가 구비된 TA 인스트루먼츠(TA Instruments) "어드밴스드 레오메트릭 익스팬션 시스템(Advanced Rheometric Expansion System) (ARES)"을 사용하여 일정 온도 주파수 스위프를 수행하였다. 샘플을 플레이트 상에 두고, 190℃에서 5분 동안 용융되도록 하였다. 이어서, 플레이트를 "2 mm"의 간극까지 근접하게 하고, 샘플을 트리밍한 다음 ("25 mm 직경" 플레이트의 원주를 초과하여 연장된 여분의 샘플을 제거함), 시험을 시작하였다. 온도 평형을 허용하기 위해, 방법은 추가 5분의 지연이 내장되어 있었다. 실험을 0.1 내지 100 rad/s의 주파수 범위에 걸쳐 190℃에서 수행하였다. 변형 진폭은 10%로 일정하였다. 이들 데이터로부터 복합 점도 η*, tan (δ) 또는 tan 델타, 0.1 rad/s에서의 점도 (V0.1), 100 rad/s에서의 점도 (V100) 및 점도 비 (V0.1/V100)를 계산하였다.
시차 주사 열량측정 (DSC)
시차 주사 열량측정 (DSC)을 사용하여 광범위한 온도에 걸친 중합체의 용융 및 결정화 거동을 측정하였다. 예를 들어, RCS (냉장 냉각 시스템) 및 오토샘플러가 구비된 TA 인스트루먼츠 Q1000 DSC를 사용하여 상기 분석을 수행하였다. 시험 동안, 50 ml/분의 질소 퍼징 기체 유량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샘플을 약 175℃에서 박막으로 용융 압축하고; 이어서 용융된 샘플을 실온 (대략 25℃)으로 공기 냉각시켰다. "0.1 내지 0.2 그램" 샘플을 175℃에서 1,500 psi 및 30초에서 가압하여 "0.1 내지 0.2 mil 두께" 필름을 형성하였다. 3-10 mg의 6 mm 직경 시편을 냉각된 중합체로부터 추출하고, 칭량하고, 경량 알루미늄 팬 (약 50 mg)에 놓고, 크림핑하여 닫았다. 이어서, 분석을 수행하여 그의 열적 특성을 결정하였다.
샘플의 열적 거동을 샘플 온도를 상하로 증감시켜 열 유량 대 온도 프로파일을 생성함으로써 결정하였다. 먼저, 샘플을 신속하게 180℃로 가열하고 등온으로 5분 동안 유지시켜 그의 열 이력을 제거하였다. 다음에, 샘플을 10℃/분의 냉각 속도로 -40℃로 냉각시키고, -40℃에서 5분 동안 등온으로 유지하였다. 이어서, 샘플을 10℃/분의 가열 속도로 150℃로 가열하였다 (이것이 "제2 가열" 램프임). 상기 냉각 및 제2 가열 곡선을 기록하였다. 결정화 시작부터 -20℃까지 기준선 종점을 설정함으로써 냉각 곡선을 분석하였다. -20℃부터 용융 종료까지 기준선 종점을 설정함으로써 가열 곡선을 분석하였다. 결정된 값은 피크 용융 온도 (Tm), 피크 결정화 온도 (Tc), 용융열 (Hf) (그램당 주울), 및 % 결정화도 = ((Hf)/(292 J/g)) x 100을 사용하여 폴리에틸렌 샘플에 대해 계산된 % 결정화도였다. 용융열 (Hf) 및 피크 용융 온도를 제2 가열 곡선으로부터 보고하였다. 피크 결정화 온도를 냉각 곡선으로부터 결정하였다.
필름 시험
하기 물리적 특성을 실험 섹션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필름 상에서 측정하였다.
전체 (총) 헤이즈 및 내부 헤이즈: 내부 헤이즈 및 전체 헤이즈를 ASTM D 1003-07에 따라 측정하였다. 내부 헤이즈는 필름의 각 표면 상에 코팅으로서 도포된 미네랄 오일 (1-2 티스푼)을 사용한 굴절률 매칭을 통해 획득하였다. 헤이즈가드 플러스(Hazegard Plus) (BYK-가드너(BYK-Gardner) USA; 메릴랜드주 콜럼비아)를 시험에 사용하였다. 각각의 시험에 대해, 5개의 샘플을 시험하고, 평균을 보고하였다. 샘플 치수는 "6인치 x 6인치"이었다.
45° 글로스: ASTM D2457-08 (5개 필름 샘플의 평균; 각각의 샘플 "10인치 x 10인치").
투명성: ASTM D1746-09 (5개 필름 샘플의 평균; 각각의 샘플 "10인치 x 10인치")
2% 시컨트 모듈러스- MD (기계 방향) 및 CD (교차 방향): ASTM D882-10 (각각의 방향에서 5개 필름 샘플의 평균; 각각의 샘플 "1인치 x 6인치")
MD 및 CD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 ASTM D1922-09 (각각의 방향에서 15개 필름 샘플의 평균; 각각의 샘플 "3인치 x 2.5인치" 반달 형상).
MD 및 CD 인장 강도: ASTM D882-10 (각각의 방향에서 5개 필름 샘플의 평균; 각각의 샘플 "1인치 x 6인치").
다트 충격 강도: ASTM D1709-09 (50% 파괴를 달성하기 위한 최소 20회 낙하; 전형적으로 10개의 "10인치 x 36인치" 스트립).
산소 투과를 ASTM D-3985에 의해, 23℃ 및 0% 상대 습도에서, 보정된 모콘(Mocon) 옥스-트렌(OX-TRAN)® 2/21 유닛에 의해 cc-mil/100 제곱인치-일-atm 단위로 측정하였다.
수증기 투과율을 ASTM F-1249에 의해, 38℃ 및 100% 상대 습도에서, 보정된 모콘 퍼마트렌-W(PERMATRAN-W)® 700 유닛에 의해 측정하였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취지 및 본질적인 속성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명세서보다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가 본 발명의 범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언급되어야 한다.

Claims (8)

  1. 80 중량% 초과의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및 20 중량% 이하의 1종 이상의 알파 올레핀 공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포함하는, 블로운 필름 적용에 적합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이며, 여기서 상기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는 0.910 내지 0.918 g/cm3의 범위의 밀도, 0.5 내지 1.1 g/10분의 범위의 용융 지수 I2, 8 내지 10의 범위의 용융 유량비 I10/I2, 3 내지 6 cN의 범위의 용융 강도, CEF에 의해 결정된 8 내지 15퍼센트의 범위의 최고 온도 분획, 96 내지 100℃의 범위의 CEF에 의한 최고 피크 온도 분획, 및 2 내지 5퍼센트의 범위의 CEF로부터의 최저 온도 분획, 및 최고 온도 용융 피크가 120 내지 124℃의 범위에 있는 3개의 용융 피크, 및 40 내지 50퍼센트의 범위의 결정화도를 갖는 DSC 가열 곡선을 갖는 것인 조성물.
  2. 제1항에 따른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블로운 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운 필름이 20% 미만의 범위의 전체 헤이즈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상기 필름은 1 mil의 두께를 갖고, 상기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블로킹방지제 및 하나 이상의 슬립제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필름은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의 요구되는 특성 범위 밖의 특성을 하나 이상 갖는 또 다른 에틸렌 기재 중합체에 비해 적어도 10퍼센트 생산 속도 증가를 갖는 블로운 필름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인 블로운 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또 다른 에틸렌 기재 중합체 조성물이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의 요구되는 용융 지수 범위 밖의 용융 지수를 갖는 것인 블로운 필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운 필름이 20% 미만의 범위의 전체 헤이즈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상기 필름은 1 mil의 두께를 갖고, 상기 필름은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의 요구되는 특성 범위 밖의 특성을 하나 이상 갖는 또 다른 에틸렌 기재 중합체에 비해 적어도 10퍼센트 생산 속도 증가를 갖는 블로운 필름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인 블로운 필름.
  6. 제1항의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 및 하나 이상의 LDPE 또는 하나 이상의 LLDPE를 포함하는 조성물.
  7.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물품이며, 여기서 상기 층 중 적어도 하나는 제1항의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인 물품.
  8. 제7항에 있어서,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이 하나 이상의 LDPE 또는 하나 이상의 LLDPE와 블렌딩된 것인 물품.
KR1020157026219A 2013-03-28 2014-03-13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 KR1021441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06103P 2013-03-28 2013-03-28
US61/806,103 2013-03-28
PCT/US2014/025304 WO2014159844A1 (en) 2013-03-28 2014-03-13 An ethylene/alpha-olefin interpolymer com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206A true KR20150138206A (ko) 2015-12-09
KR102144147B1 KR102144147B1 (ko) 2020-08-12

Family

ID=50588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6219A KR102144147B1 (ko) 2013-03-28 2014-03-13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752021B2 (ko)
EP (2) EP3225639B1 (ko)
JP (1) JP6395804B2 (ko)
KR (1) KR102144147B1 (ko)
CN (1) CN105143288B (ko)
BR (1) BR112015020461B1 (ko)
ES (2) ES2770332T3 (ko)
SG (1) SG11201507925VA (ko)
WO (1) WO20141598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0192A (ko) * 2016-03-03 2018-11-05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폴리에틸렌 조성물,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9307A1 (en) 2012-12-21 2014-06-26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Branched polyethylene with improved processing and high tear films made therefrom
CN105764976B (zh) * 2013-10-30 2017-08-18 株式会社Lg化学 烯烃树脂
KR101847702B1 (ko) * 2015-03-26 2018-04-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올레핀계 중합체
WO2017206008A1 (en) * 2016-05-30 2017-12-0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Ethylene/alpha-olefin/diene interpolymer
WO2018045559A1 (en) * 2016-09-09 2018-03-15 Dow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layer films and laminates and articles comprising the same
CA3038258A1 (en) * 2016-09-28 2018-04-05 Dow Global Technologies Llc Blown films with improved properties
CN110300661B (zh) 2017-02-28 2022-04-05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用于多层膜中的具有良好可加工性的基于乙烯的聚合物
JP6986163B2 (ja) * 2017-10-23 2021-12-22 エクソンモービル ケミカル パテン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触媒系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重合方法
TWI826503B (zh) * 2018-08-20 2023-12-21 美商陶氏全球科技有限責任公司 具有改善的抗穿刺效能的多層熱塑性薄膜
CN114867779A (zh) * 2019-12-26 2022-08-05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具有改进的固化与加工性的平衡的乙烯/α-烯烃互聚物类组合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5114A (ja) * 1997-08-15 2001-09-18 ザ ダウ ケミカル カンパニー 実質的に線状の均一なオレフィン重合体組成物から製造されるフィルム
KR20080078684A (ko) * 2005-11-23 2008-08-27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불균질의, 조성적으로 상 분리된 에틸렌 알파-올레핀혼성중합체
KR20120116432A (ko) * 2010-01-11 2012-10-22 다우 브라질 에쎄.아. 고 용융 강도 폴리에틸렌의 제조 방법
WO2013009511A1 (en) * 2011-07-08 2013-01-1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olyethylene blend composition suitable for blown film,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films made therefro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22879A (fi) * 1991-06-21 1992-12-22 Himont Inc Etenpolymer med hoeg smaelthaollfasthet, foerfarande foer dess framstaellning och dess anvaendning
EP1325073B1 (en) * 2000-06-22 2007-05-09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Metallocene-produced very low density polyethylenes
JP2002029009A (ja) * 2000-07-13 2002-01-29 Oji Paper Co Ltd 熱可塑性樹脂積層フィルム
JP2004051831A (ja) * 2002-07-22 2004-02-19 Asahi Kasei Chemicals Corp 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シュリンクフィルム
JP4260501B2 (ja) * 2003-02-07 2009-04-30 株式会社プライムポリマー 二軸延伸用ポリ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延伸フィルム
MY180069A (en) * 2010-03-02 2020-11-20 Dow Global Technologies Llc Ethylene-based polymer compositions
KR101891371B1 (ko) * 2011-07-08 2018-08-24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블로운 필름에 적합한 폴리에틸렌 배합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필름
US9115233B2 (en) * 2012-06-21 2015-08-25 Nova Chemicals (International) S.A. Ethylene copolymer compositions, film and polymerization processes
CA2798855C (en) * 2012-06-21 2021-01-26 Nova Chemicals Corporation Ethylene copolymers having reverse comonomer incorporation
DK2931763T3 (en) * 2012-12-14 2018-04-16 Nova Chem Int Sa ETHYLENE COPOLYMER COMPOSITIONS, MOVIES AND POLYMERIZATION PROCEDUR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5114A (ja) * 1997-08-15 2001-09-18 ザ ダウ ケミカル カンパニー 実質的に線状の均一なオレフィン重合体組成物から製造されるフィルム
KR20080078684A (ko) * 2005-11-23 2008-08-27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불균질의, 조성적으로 상 분리된 에틸렌 알파-올레핀혼성중합체
KR20120116432A (ko) * 2010-01-11 2012-10-22 다우 브라질 에쎄.아. 고 용융 강도 폴리에틸렌의 제조 방법
WO2013009511A1 (en) * 2011-07-08 2013-01-1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olyethylene blend composition suitable for blown film,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films made therefro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0192A (ko) * 2016-03-03 2018-11-05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폴리에틸렌 조성물,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25639B1 (en) 2019-12-18
JP6395804B2 (ja) 2018-09-26
CN105143288B (zh) 2017-10-13
ES2632549T3 (es) 2017-09-14
ES2770332T3 (es) 2020-07-01
SG11201507925VA (en) 2015-10-29
KR102144147B1 (ko) 2020-08-12
US9752021B2 (en) 2017-09-05
BR112015020461A2 (pt) 2017-07-18
EP3225639A1 (en) 2017-10-04
CN105143288A (zh) 2015-12-09
US20160068667A1 (en) 2016-03-10
JP2016515655A (ja) 2016-05-30
EP2978783A1 (en) 2016-02-03
BR112015020461B1 (pt) 2020-06-02
EP2978783B1 (en) 2017-05-17
WO2014159844A1 (en) 2014-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4147B1 (ko)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 조성물
EP2798003B1 (en) Improved resin compositions for extrusion coating
US20100047599A1 (en) Polymer blend
KR20150065750A (ko) 에틸렌-기재 중합체 및 그의 제조 방법
EP2864103A1 (en) A polyethylene blend-composition suitable for blown films, and films made therefrom
US9493641B2 (en) Resin compositions for extrusion coating
CA2763077A1 (en) Novel ldpe enabling high output and good optics when blended with other polymers
KR20150063094A (ko) 에틸렌-기재 중합체 및 그의 제조 방법
MX2014004815A (es) Peliculas de contraccion de capas multiples.
KR20130113942A (ko) 스트레치 후드에 적합한 조성물,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물품
WO2014003923A1 (en) A polyethylene blend-composition suitable for blown films, and films made therefrom
US11384226B2 (en) Ethylene-based polymer compositions with improved processability
EP2582750B1 (en) Fractional melt index polyethylene composition and films made therefrom
EP2992023B1 (en) An ethylene/alpha-olefin interpolymer composition
EP4019583B1 (en) Polyethylene composition for film applications with improved toughness and stiffness
WO2022112516A1 (en)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