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7117A - 음악 세션 관리 방법 및 음악 세션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음악 세션 관리 방법 및 음악 세션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7117A
KR20150137117A KR1020157031455A KR20157031455A KR20150137117A KR 20150137117 A KR20150137117 A KR 20150137117A KR 1020157031455 A KR1020157031455 A KR 1020157031455A KR 20157031455 A KR20157031455 A KR 20157031455A KR 20150137117 A KR20150137117 A KR 20150137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erformance
performance sound
supplementary
music s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1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타로 하세미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37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1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41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 coded form
    • G10H1/0058Transmission between separate instruments or between individual components of a musical system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175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jam sessions or musical collaboration through a network, e.g. for composition, ensemble playing or repeating; Compensation of network or internet delay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복수의 단말 장치를 이용한 음악 세션을 관리하는 음악 세션 관리 장치는, 복수의 연주 파트로 구성되는 연주곡의, 적어도 하나의 연주 파트의 연주음을 나타내는 연주음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연주음 데이터 취득부와, 상기 연주곡의 복수의 연주 파트의 연주음을 나타내는 복수의 보완용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연주곡의 보완 대상 파트의 연주음을 나타내는 보완용 데이터를 선택하는 보완용 데이터 선택부와, 상기 연주음 데이터 취득부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한 상기 연주음 데이터의 연주음과 상기 보완용 데이터 선택부가 선택한 상기 보완용 데이터의 연주음을 다른 단말 장치에서 재생시키는 재생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음악 세션 관리 방법 및 음악 세션 관리 장치{MUSIC SESSION MANAGEMENT METHOD AND MUSIC SESSION MANAGEMENT DEVICE}
본 발명은 서로 이격한 지점에 소재하는 복수의 이용자가 참가하는 음악 세션을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연주 파트로 구성되는 악곡의 음악 세션(합주)을 실현하기 위한 각종 기술이 종래부터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1명의 이용자(제1 이용자)가 특정한 악기로 악곡을 연주한 연주음(악음 또는 가창 음성)을 나타내는 연주음 데이터를 서버에 등록하고, 그 등록된 연주음 데이터를 음악 세션에 이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음악 세션을 희망하는 이용자(제2 이용자)로부터의 지시 등에 따른 검색 조건에 합치하는 연주음 데이터를 서버가 검색하고, 검색된 연주음 데이터를 이용자(제2 이용자)에게 송신함으로써, 이용자(제2 이용자)는 연주음 데이터의 연주음에 병행해서 자신도 원하는 악기를 연주하는 음악 세션을 체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828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57058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1명의 이용자(제2 이용자)에 의한 악기의 연주와 서버에 등록된 연주음 데이터가 나타내는 1명의 이용자(제1 이용자)의 연주의 음악 세션이 실현되는 데 지나지 않고, 서로 이격한 지점에 소재한 복수의 이용자가 동시에 음악 세션에 참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상의 사정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연주곡의 연주 파트를 보완하면서 복수의 이용자가 음악 세션에 참가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음악 세션 관리 방법은, 복수의 단말 장치를 이용한 음악 세션을 관리하는 음악 세션 관리 방법이며, 복수의 연주 파트로 구성되는 연주곡의, 적어도 하나의 연주 파트의 연주음을 나타내는 연주음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취득 공정과, 상기 연주곡의 복수의 연주 파트의 연주음을 나타내는 복수의 보완용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연주곡의 보완 대상 파트의 연주음을 나타내는 보완용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공정과, 상기 취득 공정에서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한 상기 연주음 데이터의 연주음과 상기 선택 공정에서 선택한 상기 보완용 데이터의 연주음을 다른 단말 장치에서 재생시키는 재생 제어 공정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음악 세션 관리 장치는, 복수의 단말 장치를 이용한 음악 세션을 관리하는 음악 세션 관리 장치이며, 복수의 연주 파트로 구성되는 연주곡의, 적어도 하나의 연주 파트의 연주음을 나타내는 연주음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연주음 데이터 취득부와, 상기 연주곡의 복수의 연주 파트의 연주음을 나타내는 복수의 보완용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연주곡의 보완 대상 파트의 연주음을 나타내는 보완용 데이터를 선택하는 보완용 데이터 선택부와, 상기 연주음 데이터 취득부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한 상기 연주음 데이터의 연주음과 상기 보완용 데이터 선택부가 선택한 상기 보완용 데이터의 연주음을 다른 단말 장치에서 재생시키는 재생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되는 연주음 데이터의 연주음과 기억 장치로부터 선택된 보완용 데이터의 연주음이 다른 단말 장치에서 재생되기 때문에, 연주곡의 보완 대상 파트를 보완하면서 복수의 참가자의 음악 세션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음악 세션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단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음악 세션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음악 세션 관리 장치의 기억 장치에 의한 기억 내용의 모식도이다.
도 5는 음악 세션 관리 장치의 기억 장치에 의한 기억 내용의 모식도이다.
도 6은 음악 세션 관리 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의 블록도이다.
도 7은 음악 세션 관리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단말 장치의 표시예이다.
도 9는 보완용 데이터 등록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단말 장치의 표시예이다.
도 11은 보완용 데이터 선택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단말 장치의 표시예이다.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음악 세션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4는 단말 장치의 표시예이다.
도 15는 단말 장치의 표시예이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음악 세션 시스템(100A)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악 세션 시스템(100A)은, 복수의 단말 장치(12)와 음악 세션 관리 장치(14)를 구비하고, 악곡의 각 연주 파트의 연주자가 소유한 각 단말 장치(12)를 이용한 음악 세션을 실현하는 통신 시스템이다. 음악 세션은, 악곡이 상이한 연주 파트를 복수의 연주자가 병렬로 연주하는 것(합주)을 의미한다. 또한, 「연주」는 악기의 연주에 더해 가창자에 의한 가창도 함의한다. 따라서, 「연주 파트」는 악기 파트 및 가창 파트 양쪽을 포함하고, 「연주자」는 악기의 연주자와 가창자 양쪽을 포함한다.
도 2는 각 단말 장치(12)의 블록도이다. 복수의 단말 장치(12) 각각은, 서로 이격한 지점에 소재한 통신 단말기(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 전화기)이며, 통신망(16)(예를 들어 이동 통신망이나 인터넷)을 통해서 음악 세션 관리 장치(14)와 서로 통신한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 단말 장치(12)는, 제어 장치(21)와 기억 장치(22)와 통신 장치(23)와 표시 장치(24)와 입력 장치(25)와 수록 장치(26)와 재생 장치(27)를 구비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현된다. 제어 장치(21)는, 기억 장치(2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종 제어 처리 및 연산 처리를 실행하는 연산 처리 장치이다. 기억 장치(22)(예를 들어 반도체 기록 매체)는 제어 장치(2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제어 장치(21)가 사용하는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통신 장치(23)는, 통신망(16)을 통해서 음악 세션 관리 장치(14) 또는 다른 단말 장치(12)와 통신한다. 각 단말 장치(12)와 통신망(16) 사이의 통신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 중 어느 것으로 실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표시 장치(24)(예를 들어 액정 표시 패널)는 제어 장치(21)로부터 지시된 화상을 표시한다. 입력 장치(25)는, 단말 장치(12)에 대한 이용자로부터의 지시를 접수하는 기기이며, 예를 들어 이용자가 조작하는 복수의 조작자를 포함한다. 또한, 표시 장치(24)와 일체로 구성된 터치 패널을 입력 장치(25)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록 장치(26)는, 이용자가 악곡의 특정한 연주 파트를 연주한 연주음을 수록한다. 제1 실시 형태의 수록 장치(26)는, 이용자에 의한 연주음을 나타내는 연주음 데이터 Da를 생성한다. 연주음 데이터 Da는, 예를 들어 연주음의 시간 파형을 나타내는 음향 데이터(샘플 계열)이다. 구체적으로는, 이용자에 의한 연주 동작에 따라서 전기 악기나 전자 악기로부터 공급되는 소리 신호를 수신해서 연주음 데이터 Da를 생성하는 신호 입력 회로나, 이용자가 발음한 가창음 또는 악기의 연주음을 수음해서 연주음 데이터 Da를 생성하는 수음 기기가 수록 장치(26)로서 적절하게 이용된다. 또한, 재생 장치(27)는, 제어 장치(21)로부터 지시된 음향을 방사한다. 예를 들어 재생 장치(27)는, 제어 장치(21)로부터 공급되는 디지털 데이터(재생용 데이터 Dc, 연주음 데이터 Da)를 아날로그의 음향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기와, 변환 후의 음향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증폭 후의 음향 신호에 따른 음향을 방사하는 방음 장치(예를 들어 헤드폰이나 스피커)를 포함한다.
각 단말 장치(12)의 이용자는, 특정한 악곡(이하 「연주곡」이라고 함)의 각 연주 파트를 복수의 사람에 의해 병렬로 연주하는 음악 세션에 참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음악 세션에 참가하는 이용자의 총 수가 연주곡의 연주 파트의 총 수를 하회하는 경우(즉 연주자가 부족한 경우), 음악 세션 관리 장치(14)에 사전에 등록된 연주음이 음악 세션의 부족분 연주 파트(이하 「보완 대상 파트」라고 함)의 연주음으로서 이용된다. 즉, 사전에 준비된 연주음으로 연주자의 부족분을 보완함으로써 연주곡 전부의 연주 파트에 걸친 음악 세션이 실현된다.
도 3은, 음악 세션 관리 장치(14)의 블록도이다. 음악 세션 관리 장치(14)는, 각 단말 장치(12)의 이용자가 참가하는 음악 세션을 관리하는 서버 장치(예를 들어 웹 서버)이며, 제어 장치(31)와 기억 장치(32)와 통신 장치(33)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31)는, 기억 장치(3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종 제어 처리 및 연산 처리를 실행하는 연산 처리 장치이다. 통신 장치(33)는, 통신망(16)을 통해서 각 단말 장치(12)와 통신한다.
기억 장치(32)는, 제어 장치(3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제어 장치(31)가 사용하는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예를 들어 반도체 기록 매체나 자기 기록 매체 등의 공지된 기록 매체 또는 복수종의 기록 매체의 조합이 기억 장치(32)로서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음악 세션 관리 장치(14)와는 별체의 외부 장치(예를 들어 외부 서버 장치)에 기억 장치(32)를 설치하고, 음악 세션 관리 장치(14)가 통신망(16)을 통해서 기억 장치(32)에 대한 정보의 기입이나 판독을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기억 장치(32)는 음악 세션 관리 장치(14)의 필수적인 요소가 아니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기억 장치(32)는, 이용자 데이터 U와 각 악곡의 수록 데이터 R을 이용자마다 기억한다. 이용자 데이터 U는, 각 단말 장치(12)의 이용자에 관한 기본적인 정보이며, 예를 들어 이용자의 식별 정보나 표시명이나 연주 파트(이용자가 과거의 음악 세션으로 연주한 연주 파트)를 지정한다.
각 악곡의 수록 데이터 R은, 보완용 데이터 Db와 관련 데이터 Q를 포함한다. 보완용 데이터 Db는, 악곡의 각 연주 파트의 연주음을 나타내는 음향 데이터(전형적으로는 연주음의 시간 파형을 나타내는 샘플 계열)이며, 음악 세션의 연주곡 중 보완 대상 파트의 연주음의 재생에 이용된다. 관련 데이터 Q는, 보완용 데이터 Db가 나타내는 연주음에 관련된 메타데이터이며, 보완 대상 파트에 적용할 보완용 데이터 Db의 검색에 이용된다. 보완용 데이터 Db의 생성이나 관련 데이터 Q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도 4에서는, 이용자 데이터 U와 각 악곡의 수록 데이터 R이 이용자마다 개별로 기억된 상태를 편의적으로 도시했지만, 실제로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 이용자의 이용자 데이터 U와 수록 데이터 R이 복수의 이용자에 대해서 혼재한 상태에서 기억 장치(32)에 저장되고, 이용자 데이터 U 및 수록 데이터 R의 저장 장소를 이용자마다 지정하는 테이블(인덱스) TBL을 참조함으로써 이용자마다의 이용자 데이터 U와 수록 데이터 R이 특정된다.
도 6은, 음악 세션 관리 장치(14)의 기능적인 구성도이다. 제1 실시 형태의 음악 세션 관리 장치(14)의 제어 장치(31)는, 기억 장치(3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복수의 단말 장치(12)를 이용한 음악 세션을 관리하기 위한 도 6의 복수의 기능(연주음 데이터 취득부(51), 보완용 데이터 등록부(52), 표시 처리부(53), 보완용 데이터 선택부(54), 재생 제어부(55))을 실현한다. 또한, 제어 장치(31)의 각 기능을 복수의 장치(예를 들어 상이한 위치에 설치된 복수의 서버 장치)로 분산된 구성이나, 제어 장치(31)의 기능의 일부를 전용 전자 회로(예를 들어 DSP)가 실현하는 구성도 채용될 수 있다.
연주음 데이터 취득부(51)는, 음악 세션의 각 참가자의 연주 파트의 연주음을 나타내는 연주음 데이터 Da를, 각 참가자의 단말 장치(12)로부터 통신망(16)과 통신 장치(33)를 통해서 취득한다. 보완용 데이터 등록부(52)는, 연주음 데이터 취득부(51)가 각 단말 장치(12)로부터 취득한 연주음 데이터 Da에 따른 보완용 데이터 Db를 포함하는 수록 데이터 R을 기억 장치(32)에 저장한다. 표시 처리부(53)는, 음악 세션에 관련된 각종 화면의 화상 데이터를 음악 세션의 각 참가자의 단말 장치(12)로 송신함으로써 표시 장치(24)에 그 화면을 표시시킨다.
보완용 데이터 선택부(54)는, 기억 장치(32)에 기억된 복수의 보완용 데이터 Db(수록 데이터 R) 중 연주곡의 보완 대상 파트에 적용되는 보완용 데이터 Db를 선택한다. 재생 제어부(55)는, 음악 세션의 각 참가자의 단말 장치(12)의 재생 장치(27)에 음향을 재생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재생 제어부(55)는, 음악 세션의 각 참가자의 단말 장치(12)에, 다른 참가자의 연주음 데이터 Da를 포함하는 재생용 데이터 Dc를 송신한다. 음악 세션의 참가인수가 연주곡의 연주 파트의 총 수를 하회하는 경우, 재생 제어부(55)는, 보완용 데이터 선택부(54)가 선택한 보완용 데이터 Db와 다른 참가자의 연주음 데이터 Da를 포함하는 재생용 데이터 Dc를 각 단말 장치(12)로 송신한다. 각 단말 장치(12)의 제어 장치(21)는, 통신 장치(23)가 음악 세션 관리 장치(14)로부터 수신한 재생용 데이터 Dc와 수록 장치(26)가 생성한 연주음 데이터 Da를 재생 장치(27)에 공급함으로써 음향으로서 재생한다. 따라서, 서로 이격한 지점에 위치하는 복수의 참가자가 각각의 단말 장치(12)를 이용해서 실시간적으로 음악 세션을 체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음악 세션 관리 장치(14)의 동작 흐름도이다. 음악 세션의 복수의 참가자 중 어느 하나(이하 「특정 참가자」라고 함)의 단말 장치(12)가, 입력 장치(25)에 대한 이용자로부터의 지시를 계기로 해서 음악 세션의 개시를 음악 세션 관리 장치(14)에 대하여 요구한 경우에, 음악 세션 관리 장치(14)는 도 7의 처리를 개시한다.
음악 세션 관리 장치(14)의 표시 처리부(53)는, 특정 참가자의 단말 장치(12)의 표시 장치(24)에 도 8의 화면 GA를 표시시킨다(SA1). 특정 참가자는, 표시 장치(24)에 표시된 화면 GA를 참조하면서 입력 장치(25)를 적절하게 조작함으로써, 연주 대상으로 되는 원하는 연주곡을 지정한다. 또한, 음악 세션의 참가인수가 연주곡의 연주 파트수를 하회하는 경우, 특정 참가자는, 단말 장치(12)의 입력 장치(25)를 조작함으로써 보완 대상 파트(즉 연주곡의 복수의 연주 파트 중 연주자가 존재하지 않는 연주 파트)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수 또는 복수의 연주 파트가 보완 대상 파트로서 지정될 수 있다. 음악 세션 관리 장치(14)의 제어 장치(31)는, 연주곡 및 보완 대상 파트의 지정을 특정 참가자의 단말 장치(12)로부터 접수한다(SA2). 또한, 연주곡의 확정 후의 소정의 시간에 걸쳐 음악 세션의 참가자를 모집하는(임의의 단말 장치(12)로부터의 참가 요구를 접수하는) 구성도 채용된다.
음악 세션의 참가인수가 연주곡의 연주 파트의 총 수 이상인 경우, 특정 참가자는, 보완 대상 파트를 지정하지 않는다. 보완 대상 파트가 지정되지 않은 경우(SA3: 아니오), 기억 장치(32)의 보완용 데이터 Db를 이용하지 않고 음악 세션 처리가 실행된다(SA4). 구체적으로는, 연주음 데이터 취득부(51)는, 음악 세션의 각 참가자의 단말 장치(12)로부터 연주음 데이터 Da를 취득하고, 재생 제어부(55)는, 연주음 데이터 취득부(51)가 각 단말 장치(12)로부터 취득한 연주음 데이터 Da를 포함하는 재생용 데이터 Dc를 다른 단말 장치(12)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3개의 연주 파트 M1 내지 M3으로 구성되는 연주곡의 음악 세션에, 연주 파트 M1을 연주하는 참가자 P1과 연주 파트 M2를 연주하는 참가자 P2와 연주 파트 M3를 연주하는 참가자 P3가 참가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재생 제어부(55)는, 참가자 P1의 단말 장치(12)로부터 수신한 연주 파트 M1의 연주음 데이터 Da와 참가자 P2의 단말 장치(12)로부터 수신한 연주 파트 M2의 연주음 데이터 Da를 포함하는 재생용 데이터 Dc를 참가자 P3의 단말 장치(12)로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참가자 P2의 연주음 데이터 Da와 참가자 P3의 연주음 데이터 Da를 포함하는 재생용 데이터 Dc가 참가자 P1의 단말 장치(12)로 송신되고, 참가자 P3의 연주음 데이터 Da와 참가자 P1의 연주음 데이터 Da를 포함하는 재생용 데이터 Dc가 참가자 P2의 단말 장치(12)로 송신된다. 각 단말 장치(12)에서는, 음악 세션 관리 장치(14)로부터 수신한 재생용 데이터 Dc와 자장치의 수록 장치(26)가 생성한 연주음 데이터 Da가 재생 장치(27)로부터 재생된다. 따라서, 원격지에 소재한 복수의 참가자 P1 내지 P3에 의한 음악 세션이 실현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음악 세션 처리가 종료되면, 보완용 데이터 등록부(52)는, 금회의 음악 세션으로 각 단말 장치(12)로부터 수신한 연주음 데이터 Da를 이용한 보완용 데이터 Db의 등록의 필요 여부를 판정한다(SA5). 보완용 데이터 Db의 등록의 필요 여부는, 음악 세션으로 연주곡의 각 연주 파트를 담당한 참가자(P1, P2, P3)로부터의 지시(또는 특정 참가자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선택된다. 스텝 SA5의 판정 결과가 부정인 경우(SA5: 아니오), 보완용 데이터 Db의 등록이 실행되지 않고 도 7의 처리는 종료한다.
또한, 스텝 SA5에 있어서의 보완용 데이터 Db의 등록 필요 여부의 판정 전에, 상기 음악 세션에 의해 연주된 연주음을, 참가자(또는 특정 참가자)에게 시청시키는 스텝을 삽입시켜도 된다. 그러한 시청을 행하기 위해서, 음악 세션 관리 장치(14)에 상기 연주음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시켜 두어도 되고, 또는 각 단말 장치(12)에 있어서 상기 연주음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시켜 두어도 된다.
한편, 스텝 SA5의 판정 결과가 긍정인 경우(SA5: 예)에는, 도 9의 보완용 데이터 등록 처리가 실행된다(SA6). 금회의 음악 세션으로 각 단말 장치(12)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연주음 데이터 Da의 각각에 대해서 보완용 데이터 등록 처리가 실행된다.
보완용 데이터 등록 처리를 개시하면, 보완용 데이터 등록부(52)는, 연주음 데이터 Da에 따른 보완용 데이터 Db를 생성한다(SB1).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연주음 데이터 Da를 보완용 데이터 Db로서 이용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보완용 데이터 등록부(52)는, 이하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보완용 데이터 Db가 나타내는 연주에 관련된 관련 데이터 Q를 생성한다(SB2 내지 SB5).
보완용 데이터 등록부(52)는, 보완용 데이터 Db가 나타내는 연주음의 음악적인 특징량을 해석한다(SB2). 구체적으로는, 보완용 데이터 Db(연주음 데이터 Da)가 나타내는 연주음에 대해서 연주의 템포나 가창 음성의 키 등의 특징량이 특정된다. 또한, 보완용 데이터 등록부(52)는, 보완용 데이터 Db가 나타내는 연주를 평가함으로써 평가 정보를 생성한다(SB3). 구체적으로는, 연주곡의 각 연주 파트의 표준적인 선율을 지정하는 모범 데이터와 보완용 데이터 Db를 대비함으로써 양자간의 선율의 다름의 정도에 따른 평가 정보(연주의 교졸에 따른 득점)를 생성한다. 연주의 교졸의 평가에는 공지된 기술(예를 들어 특허문헌 2의 기술)이 임의로 채용된다. 또한, 연주곡의 표준적인 박점과 연주음 데이터 Da로부터 추정되는 박점의 시간축 상의 차이에 따라서 연주의 리듬의 경향을 평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연주곡의 박점에 대하여 연주음의 박점이 선행하는 경향(앞서가기)이나 연주음의 박점이 지연되는 경향(뒤처지기), 또는 소절 내의 특정한 박점이 선행 또는 지연되는 경향(엇박자) 등을 나타내는 평가 정보가 생성된다.
보완용 데이터 등록부(52)는, 보완용 데이터 Db가 나타내는 연주음의 연주에 관한 정보(이하 「연주 정보」라고 함)를 생성한다(SB4). 예를 들어, 연주 파트, 연주의 일시, 연주자의 개인 정보(예를 들어 연주자명, 성별, 연령, 주소 등), 연주 경향(예를 들어 「재즈풍」 등의 편곡의 경향), 음악 활동의 주기(예를 들어 월 1회 등), 음악에 대한 지향(프로 지향/취미 정도 등), 연주자의 코멘트 등의 각종 정보를 포함하는 연주 정보가 생성된다. 연주 정보는, 예를 들어 단말 장치(12)에 대한 이용자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특정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처리부(53)는, 음악 세션의 각 참가자의 단말 장치(12)의 표시 장치(24)에 도 10의 화면 GB를 표시시킨다. 도 10에서는, 음악 세션으로 참가자가 연주한 연주 파트와 참가자가 의도한 연주 경향(Arrangement)과 연주자의 코멘트를 지정하는 화면 GB가 예시되고 있다. 보완용 데이터 등록부(52)는, 화면 GB에 대한 이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연주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연주자가 빈번하게 연주하는 악곡이나 장르, 연주자와 함께 음악 세션을 실행하는 다른 이용자의 식별 정보 등을, 예를 들어 과거의 음악 세션의 이력에 따라서 특정해서 연주 정보에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보완용 데이터 등록부(52)는, 스텝 SB2에서 해석된 특징량과 스텝 SB3에서 생성된 평가 정보(선율, 리듬)와 스텝 SB4에서 생성된 연주 정보를 포함하는 관련 데이터 Q를 생성한다(SB5). 그리고, 보완용 데이터 등록부(52)는, 스텝 SB1에서 생성한 보완용 데이터 Db와 스텝 SB5에서 생성한 관련 데이터 Q를 대응지은 수록 데이터 R을 기억 장치(32)에 저장한다(SB6). 또한, 보완용 데이터 등록부(52)는, 각 이용자의 수록 데이터 R의 내용에 따라 그 이용자의 이용자 데이터 U를 갱신한다(SB7). 구체적으로는, 이용자 데이터 U가 지정하는 연주 파트가 수록 데이터 R에 따라서 갱신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보완용 데이터 등록 처리가 음악 세션마다 반복됨으로써, 복수의 악곡 각각의 연주 파트마다, 다수의 이용자의 연주에 대응하는 다양한 수록 데이터 R(보완용 데이터 Db)이 기억 장치(32)에 축적된다. 즉, 기억 장치(32)에 저장되는 수록 데이터 R의 총 수는, 음악 세션의 반복과 함께 자동적(즉, 음악 세션과는 독립적으로 수록 데이터 R을 생성 및 등록하는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으로 증가한다.
도 8의 화면 GA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음악 세션의 참가인수가 연주곡의 연주 파트의 총 수를 하회하는 경우, 특정 참가자는, 음악 세션에서의 보완 대상 파트를 지정한다. 보완 대상 파트가 지정된 경우(SA3: 예)에는,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과거의 보완용 데이터 등록 처리에서 기억 장치(32)에 축적된 보완용 데이터 Db를 이용한 음악 세션 처리가 실행된다(SA7, SA8).
구체적으로는, 보완용 데이터 선택부(54)는, 금회의 음악 세션의 연주곡에 대해서 기억 장치(32)에 기억된 복수의 보완용 데이터 Db 중 특정 참가자가 지정한 보완 대상 파트에 적합한 보완용 데이터 Db를 선택한다(SA7). 구체적으로는, 기억 장치(32)에 기억된 복수의 보완용 데이터 Db(수록 데이터 R)로부터, 음악 세션의 각 참가자에 대응하는 수록 데이터 R의 관련 데이터 Q에 따른 검색 조건에서 보완용 데이터 Db가 검색된다. 예를 들어, 음악 세션의 각 참가자의 기호나 연주 경향 등에 적합한 보완용 데이터 Db가 검색된다.
도 11은, 보완용 데이터 선택부(54)가 보완용 데이터 Db를 선택하기 위해서 실행하는 보완용 데이터 선택 처리(SA7)의 흐름도이다. 보완용 데이터 선택 처리를 개시하면, 보완용 데이터 선택부(54)는, 기억 장치(32)에 기억된 각 이용자의 이용자 데이터 U를 참조함으로써, 금회의 음악 세션의 각 참가자의 수록 데이터 R (즉, 각 참가자의 과거 연주에서 생성된 보완용 데이터 Db를 포함하는 수록 데이터 R)을 기억 장치(32)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각 수록 데이터 R 내의 관련 데이터(이하 「검색용 관련 데이터」라고 함) Q를 특정한다(SC1). 그리고, 보완용 데이터 선택부(54)는, 복수의 이용자(금회의 음악 세션의 참가자를 포함할지 여부는 불문)의 수록 데이터 R로부터, 검색용 관련 데이터 Q에 따른 검색 조건에서 K개(K는 자연수)의 수록 데이터 R을 검색한다(SC2). 구체적으로는, 검색용 관련 데이터 Q에 상관하는 관련 데이터 Q를 포함하는 수록 데이터 R이 검색된다. 예를 들어, 연주 정보(예를 들어 개인 정보, 연주 경향, 지향)가 검색용 관련 데이터 Q에 합치 또는 근사한 관련 데이터 Q를 포함하는 수록 데이터 R이나, 연주음의 음악적인 특징량(예를 들어 템포나 키)이 검색용 관련 데이터 Q에 합치 또는 근사한 관련 데이터 Q를 포함하는 수록 데이터 R이나, 평가 정보가 검색용 관련 데이터 Q에 합치 또는 근사한 관련 데이터 Q를 포함하는 수록 데이터 R이, 기억 장치(32)로부터 검색된다.
표시 처리부(53)는, 보완용 데이터 선택부(54)가 선택한 K개의 수록 데이터 R을, 선택 후보로서 특정 참가자의 단말 장치(12)에 제시한다(SC3). 구체적으로는, 표시 처리부(53)는, K개의 수록 데이터 R을 제시하는 도 12의 화면(리스트) GC를 특정 참가자의 단말 장치(12)의 표시 장치(24)에 표시시킨다. 즉, 표시 처리부(53)는, 금회의 음악 세션에 적합한 K개의 수록 데이터 R(보완용 데이터 Db)을 보완 대상 파트의 후보로서 특정 참가자에게 제안한다.
도 12의 화면 GC에서는, 관련 데이터 Q가 지정하는 정보(예를 들어 연주자명, 연주 파트, 연주 경향(Arrangement), 연주의 일시(Posted) 등의 정보)가 K개의 수록 데이터 R의 각각에 대해서 표시된다. 특정 참가자는, 단말 장치(12)의 입력 장치(25)를 적절하게 조작함으로써, 화면 GC에 제시된 K개의 수록 데이터 R로부터 원하는 연주의 수록 데이터 R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수록 데이터 R의 관련 데이터 Q가 지정하는 정보에 따라서 K개의 수록 데이터 R의 배열순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연주의 일시의 순서나 과거의 음악 세션에서 선택된 횟수의 순서(인기순), 평가 정보가 나타내는 평가의 고저의 순서 등의 각종 소트 조건에서 K개의 수록 데이터 R을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수록 데이터 R 내의 보완용 데이터 Db를 단말 장치(12)로 송신해서 재생 장치(27)로부터 재생시킴으로써, 보완용 데이터 Db의 연주음을 각 참가자에게 시청시키는 구성도 채용될 수 있다.
음악 세션의 특정 참가자는, 단말 장치(12)의 입력 장치(25)를 적절하게 조작함으로써 K개의 수록 데이터 R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음악 세션 관리 장치(14)의 보완용 데이터 선택부(54)는, 특정 참가자에 의한 수록 데이터 R의 선택을 단말 장치(12)로부터 접수하고(SC4), 그 수록 데이터 R 내의 보완용 데이터 Db를 보완 대상 파트의 적용 대상으로서 확정한다(SC5). 이상의 설명에서 이해된 바와 같이, 보완용 데이터 선택부(54)는, 금회의 음악 세션의 각 참가자의 검색용 관련 데이터 Q에 따른 검색 조건과 특정 참가자로부터의 지시에 따른 보완용 데이터 Db를 선택한다.
보완용 데이터 선택부(54)는, 스텝 SC5에서 선택한 보완용 데이터 Db에 대해서 연주음의 음향 특성을 조정하는 조정 처리를 실행한다(SC6). 구체적으로는, 보완용 데이터 선택부(54)는, 금회의 음악 세션의 각 참가자의 단말 장치(12)로부터 연주음 데이터 취득부(51)가 취득하는 연주음 데이터 Da의 음향 특성(예를 들어 템포나 키 등의 음악적인 특징량)에 합치 또는 근사하도록 보완용 데이터 Db의 연주음의 음향 특성을 조정한다. 음향 특성의 조정(예를 들어 템포 변환이나 키 조정)에는 공지된 기술이 임의로 채용된다. 이상이 보완용 데이터 선택 처리(SA7)의 구체적인 내용이다.
보완용 데이터 선택 처리가 실행되면, 재생 제어부(55)는, 보완용 데이터 선택 처리 SA7에서 선택된 보완용 데이터 Db를 이용한 음악 세션 처리를 실행한다(SA8). 구체적으로는, 재생 제어부(55)는, 연주음 데이터 취득부(51)가 각 단말 장치(12)로부터 취득한 연주음 데이터 Da와 보완용 데이터 선택부(54)가 선택한 보완용 데이터 Db(보완용 데이터 선택 처리의 스텝 SC6에 의한 조정 처리 후의 보완용 데이터 Db)를 포함하는 재생용 데이터 Dc를 다른 단말 장치(12)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예시와 마찬가지로 3개의 연주 파트 M1 내지 M3으로 구성되는 연주곡의 음악 세션에, 연주 파트 M1을 연주하는 참가자 P1과 연주 파트 M2를 연주하는 참가자 P2가 참가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연주 파트 M3는 보완 대상 파트로서 지정된다. 재생 제어부(55)는, 참가자 P1의 단말 장치(12)로부터 연주음 데이터 취득부(51)가 취득한 연주 파트 M1의 연주음 데이터 Da와 보완용 데이터 선택부(54)가 선택한 연주 파트 M3(보완 대상 파트)의 보완용 데이터 Db를 포함하는 재생용 데이터 Dc를 참가자 P2의 단말 장치(12)로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참가자 P2의 연주음 데이터 Da와 연주 파트 M3의 보완용 데이터 Db를 포함하는 재생용 데이터 Dc가 참가자 P1의 단말 장치(12)로 송신된다.
각 단말 장치(12)에서는, 음악 세션 관리 장치(14)로부터 수신한 재생용 데이터 Dc와 자장치의 수록 장치(26)가 생성한 연주음 데이터 Da가 재생 장치(27)로부터 재생된다. 따라서, 참가자 P1 및 참가자 P2는, 실제로는 연주자가 존재하지 않는 보완 대상 파트(연주 파트 M3)를 포함하는 전부의 연주 파트(M1 내지 M3)에 대해서 연주곡의 음악 세션을 체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완용 데이터 Db를 이용한 음악 세션 처리(SA8)가 종료되면, 보완용 데이터 등록부(52)는, 음악 세션 처리(SA4)의 종료 시와 마찬가지로, 금회의 음악 세션에서 각 단말 장치(12)로부터 수신한 연주음 데이터 Da를 이용한 보완용 데이터 Db의 등록을 실행한다(SA5, SA6).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단말 장치(12)로부터 송신된 연주음 데이터 Da와 사전에 준비된 보완용 데이터 Db를 이용한 음악 세션 처리가 실행되기 때문에, 악곡의 보완 대상 파트를 보완하면서 복수의 참가자의 음악 세션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음악 세션의 실행 중에 연주음 데이터 취득부(51)가 각 단말 장치(12)로부터 취득한 연주음 데이터 Da에 따른 보완용 데이터 Db가 기억 장치(32)에 저장되기 때문에, 음악 세션에서의 각 이용자의 연주와는 독립적으로 보완용 데이터 Db를 작성 및 등록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다수이면서 또한 다양한 보완용 데이터 Db를 용이하게 등록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음악 세션의 각 참가자의 과거 연주에 대응한 수록 데이터 R 내의 검색용 관련 데이터 Q에 따른 검색 조건 하에서 보완용 데이터 Db가 검색되기 때문에, 보완 대상 파트의 상세한 조건을 음악 세션의 각 참가자가 상세하게 지정하지 않아도, 각 참가자의 기호나 경향에 적합한 보완용 데이터 Db를 선택할 수 있다(따라서, 각 참가자가 쾌적하게 음악 세션을 체험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검색용 관련 데이터 Q를 이용해서 검색된 K개의 수록 데이터 R 중 어느 하나가 음악 세션의 참가자에 의해 선택되기 때문에, 참가자의 의도를 가미한 보완용 데이터 Db를 선택할 수 있다고 하는 현저한 효과도 실현된다. 또한, 보완용 데이터 Db의 연주음의 음향 특성을 조정하는 조정 처리(SC6)가 실행되기 때문에, 각 참가자의 연주음 데이터 Da가 나타내는 연주음과 음악적으로 조화된 자연스러운 인상의 보완용 데이터 Db를 음악 세션에 이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예시하는 각 형태에 있어서 작용이나 기능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 요소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 참조한 부호를 유용해서 각각의 상세한 설명을 적절하게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의 각 단말 장치(12)의 수록 장치(26)는, 음향 기기를 포함한다. 음향 기기는, 음악 세션의 각 참가자에 의한 연주음(참가자의 가창음이나 악기의 연주음)에 각종 음향 특성을 부여하는 요소이다. 예를 들어 연주음을 증폭하는 증폭기(앰프)나 각종 주파수 특성을 연주음에 부여하는 효과 부여 장치(이펙터)가 음향 기기의 전형예이다. 음악 세션의 각 참가자는, 단말 장치(12)의 입력 장치(25)를 적절하게 조작함으로써, 음악 세션에서 자신이 사용하는 음향 기기에 관한 정보(이하 「특성 설정 정보」라고 함)를 입력한다. 특성 설정 정보는, 예를 들어 음향 기기의 종류나 형식, 음향 기기의 각종 설정값(즉, 연주음에 부여되는 음향 특성에 관한 정보)을 포함한다. 단말 장치(12)의 제어 장치(21)는, 이용자가 입력한 특성 설정 정보를 통신 장치(33)로부터 음악 세션 관리 장치(14)로 송신한다.
음악 세션 관리 장치(14)의 보완용 데이터 등록부(52)는, 보완용 데이터 등록 처리(SA6/도 9)에 있어서, 음악 세션의 각 참가자의 단말 장치(12)로부터 특성 설정 정보를 취득하고, 제1 실시 형태에서 예시한 정보(음악적인 특징량, 평가 정보, 연주 정보)와 함께 특성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관련 데이터 Q를 생성한다(SB5). 보완용 데이터 선택 처리(SA7/도 11)에서는, 관련 데이터 Q 내의 특성 설정 정보가 보완용 데이터 Db의 검색에 가미된다. 즉, 음악 세션의 각 참가자의 검색용 관련 데이터 Q에 특성 설정 정보가 합치 또는 근사한 관련 데이터 Q를 포함하는 수록 데이터 R이, 보완용 데이터 선택 처리에서 우선적으로 선택된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실현된다. 또한, 음악 세션의 각 참가자가 사용하는 음향 기기의 형식이나 설정값 등의 특성 설정 정보에는, 그 참가자의 연주 경향이나 기호가 반영되기 쉽다. 따라서, 특성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관련 데이터 Q를 이용해서 보완용 데이터 Db를 선택하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음악 세션의 각 참가자의 기호나 경향에 적합한 보완용 데이터 Db를 선택할 수 있다고 하는 전술한 효과는 각별히 두드러진다.
또한, 이상의 예시에서는, 현실의 음향 기기를 음악 세션에 이용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음향 기기의 동작을 모의하는 프로그램(이하 「음향 기기 시뮬레이터」라고 함)을 단말 장치(12)의 제어 장치(21)가 실행함으로써 연주음에 각종 음향 특성을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구성에서는, 음향 기기 시뮬레이터의 실행 시에 적용되는 설정값(예를 들어 연주음에 부여되는 음향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설정값)이 특성 설정 정보로서 음악 세션 관리 장치(14)로 송신된다. 따라서, 특성 설정 정보를 이용자가 직접적으로 입력할 필요는 없다. 또한, 음악 세션 관리 장치(14)의 제어 장치(31)가 음향 기기 시뮬레이터를 실행함으로써, 각 단말 장치(12)로부터 수신한 연주음 데이터 Da의 연주음에 각종 음향 특성을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예시와 같이 각 연주자의 연주 시의 설정값을 지정하는 특성 설정 정보가 관련 데이터 Q로서 등록되는 구성에서는, 각 연주자의 연주 시에, 원하는 연주자의 특성 설정 정보를 음향 기기 시뮬레이터의 설정값으로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특성 설정 정보(설정값)가 복수의 연주자 사이에 공유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연주자의 설정값에 따른 음색을 다른 연주자가 간단하게 재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3 실시 형태>
전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음악 세션의 각 참가자의 단말 장치(12)와는 별개의 음악 세션 관리 장치(14)가 각 단말 장치(12)의 음악 세션을 관리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음악 세션에 이용되는 복수의 단말 장치(12) 중 어느 하나(이하 「관리 단말 장치」라고 함)가 전술한 각 형태의 음악 세션 관리 장치(14)와 마찬가지 기능을 실현한다.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의 음악 세션 시스템(100B)의 블록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악 세션 시스템(100B)은, 통신망(16)을 통해서 서로 통신하는 복수의 단말 장치(12)를 구비한다. 복수의 단말 장치(12) 각각은, 제1 실시 형태(도 2)의 단말 장치(12)와 마찬가지 구성이다. 단, 음악 세션에 이용되는 복수의 단말 장치(12)로부터 예를 들어 이용자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선택된 관리 단말 장치(12)의 제어 장치(21)는, 전술한 각 형태의 음악 세션 관리 장치(14)의 제어 장치(31)와 마찬가지 요소(연주음 데이터 취득부(51), 보완용 데이터 등록부(52), 표시 처리부(53), 보완용 데이터 선택부(54), 재생 제어부(55))로서 기능한다. 또한, 관리 단말 장치(12)의 기억 장치(22)는, 이용자 데이터 U와 각 악곡의 수록 데이터 R을 이용자마다 기억한다. 단, 관리 단말 장치(12)와는 별개의 기억 장치(예를 들어 외부 서버 장치의 기억 장치)에 이용자 데이터 U나 수록 데이터 R을 저장하고, 관리 단말 장치(12)가 그 기억 장치에 대한 정보의 기입이나 판독을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 실시 형태의 관리 단말 장치(12)의 연주음 데이터 취득부(51)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음악 세션의 각 참가자의 연주음을 나타내는 연주음 데이터 Da를 다른 단말 장치(12)로부터 취득함과 함께, 관리 단말 장치(12)를 사용하는 참가자의 연주음 데이터 Da를 수록 장치(26)로부터 취득한다. 보완용 데이터 등록부(52)는, 각 참가자의 연주음 데이터 Da로부터 보완용 데이터 Db를 생성하고, 보완용 데이터 Db와 관련 데이터 Q를 포함하는 수록 데이터를 참가자마다 기억 장치(22)에 저장한다.
제3 실시 형태의 관리 단말 장치(12)의 보완용 데이터 선택부(54)는, 음악 세션의 각 참가자의 검색용 관련 데이터 Q에 따른 검색 조건에서 보완 대상 파트를 위한 보완용 데이터 Db를 기억 장치(22)로부터 선택한다. 재생 제어부(55)는, 연주음 데이터 취득부(51)가 취득한 연주음 데이터 Da의 연주음과 보완용 데이터 선택부(54)가 선택한 보완용 데이터 Db의 연주음을 각 단말 장치(12)의 재생 장치(27)에 재생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재생 제어부(55)는, 연주음 데이터 취득부(51)가 자장치(관리 단말 장치(12))의 수록 장치(26)로부터 취득한 연주음 데이터 Da와 보완용 데이터 선택부(54)가 선택한 보완용 데이터 Db를 타단말 장치(12)로 송신함으로써 재생 장치(27)로부터 연주음을 재생시켜, 연주음 데이터 취득부(51)가 타단말 장치(12)로부터 취득한 연주음 데이터 Da의 연주음과 보완용 데이터 선택부(54)가 선택한 보완용 데이터 Db의 연주음을 자장치(관리 단말 장치(12))의 재생 장치(27)로부터 재생시킨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각 단말 장치(12)의 이용자는, 보완 대상 파트를 보완용 데이터 Db로 보완하면서 복수의 사람에 의한 음악 세션을 체험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 효과가 실현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구성을 제3 실시 형태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변형예>
전술한 각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인 변형의 형태를 이하에 예시한다. 이하의 예시로부터 임의로 선택된 2 이상의 형태는 적절하게 병합될 수 있다.
(1) 각 보완용 데이터 Db의 이용 상황(인기도)이나 다른 이용자에 의한 평가 결과를 관련 데이터 Q에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보완용 데이터 Db를 적용한 과거의 음악 세션의 횟수(재생 횟수)나, 보완용 데이터 Db를 이용한 음악 세션의 각 참가자에 의한 평가 결과가 관련 데이터 Q에 포함된다. 보완용 데이터 Db의 평가 결과로서는, 예를 들어 음악 세션의 각 참가자가 채점한 점수나 각 참가자에 의한 투표 횟수(긍정적인 평가의 횟수)가 적절하게 이용된다. 또한, 보완용 데이터 Db를 이용한 음악 세션의 각 참가자에 의한 코멘트를 관련 데이터 Q에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특정한 보완용 데이터 Db(예를 들어 도 10의 화면 GB로부터 이용자가 선택한 보완용 데이터 Db)에 대해서, 이상으로 예시한 관련 데이터 Q의 상세한 내용을 제시하는 도 14의 화면 GD를 단말 장치(12)의 표시 장치(24)에 표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에 예시된 화면 GD에서는, 보완용 데이터 Db의 재생 횟수 및 투표 횟수와, 보완용 데이터 Db를 적용한 음악 세션의 각 참가자에 의한 코멘트가 표시된다. 또한,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공통된 악곡에 대응하는 복수의 보완용 데이터 Db를 예를 들어 투표 횟수나 재생 횟수로 소트한 경우의 순위를 화면 GD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2) SNS(Social Networking Service)에서 등록되는 이용자간의 상관 관계(소셜그래프)를 음악 세션 시스템(100; 100A, 100B)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이용자간의 상관 관계를 기초로 보완용 데이터 Db의 연주자에 대하여 소정의 범위(퍼미션) 내에 있는 이용자로 한정해서 그 보완용 데이터 Db의 이용을 허가하는 구성이 채용된다. 예를 들어, 연주자에 대하여 직접적인 상관 관계에 있는 이용자로 한정해서 보완용 데이터 Db의 이용을 허가하는 구성이나, 연주자에 대하여 소정수의 다른 이용자를 통한 간접적인 상관 관계에 있는 이용자(예를 들어 친구의 친구)로 한정해서 보완용 데이터 Db의 이용을 허가하는 구성이 적합하다.
(3) 상술한 각 형태에서는, 연주음 데이터 취득부(51)가 취득한 연주음 데이터 Da를 보완용 데이터 Db로 해서 기억 장치(32)에 저장했지만, 연주음 데이터 Da에 따른 보완용 데이터 Db를 생성하는 방법(연주음 데이터 Da와 보완용 데이터 Db의 형식의 다름)은 불문이다. 예를 들어, 연주음 데이터 Da가 나타내는 연주음의 각 음표를 시계열로 지정하는 데이터(예를 들어 MIDI 형식이나 VSQ 형식의 데이터)를 보완용 데이터 Db로서 기억 장치(32)에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완용 데이터 Db를 연주음 데이터 Da와 마찬가지 형식(연주음의 시간 파형을 나타내는 형식)으로 재변환하는 처리는, 음악 세션 관리 장치(14) 또는 각 단말 장치(12)에서 실행된다.
(4) 각 수록 데이터 R 내의 관련 데이터 Q의 내용은 전술한 각 형태의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각 보완용 데이터 Db의 관련 데이터 Q에 있어서, 그 보완용 데이터 Db를 적용한 음악 세션의 연주음 데이터 Da(그 보완용 데이터 Db를 보완 대상 파트에 이용한 음악 세션의 각 참가자의 연주음 데이터 Da)로부터 생성된 보완용 데이터 Db를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5) 음악 세션의 각 참가자의 검색용 관련 데이터 Q가 나타내는 복수의 정보의 각각에 대해서, 보완용 데이터 Db의 검색 시의 우선도를, 예를 들어 이용자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가변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관련 데이터 Q 중 특성 설정 정보를 우선시킨 보완용 데이터 Db의 검색이나, 관련 데이터 Q 중 평가 정보를 우선시킨 보완용 데이터 Db의 검색이 선택적으로 실행된다.
(6) 음악 세션의 각 참가자에게 과금 처리를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음악 세션 관리 장치(14)는, 음악 세션이 단말 장치(12)의 이용자로부터 지시된 경우에 과금 처리를 실행하고, 과금 처리의 성공을 조건으로 해서 음악 세션을 개시한다. 또한, 과금 처리가 실행된 이용자(이하 「유료 회원」이라고 함)와 과금 처리가 실행되어 있지 않은 이용자(이하 「무료 회원」이라고 함)로 서비스의 내용을 구별하는 구성도 채용된다. 예를 들어, 무료 회원에 대해서는 음악 세션의 실행 횟수나 연주음 데이터 Da를 보완용 데이터 Db로서 등록하는 횟수를 소정의 범위로 제한하고, 유료 회원에 대해서는 제한을 해제하는 구성이 채용된다. 무료 회원의 보완용 데이터 Db가 소정의 임계값을 상회하는 횟수의 음악 세션에 적용된 경우에 제한을 완화 또는 해제하는 구성이나, 무료 회원에 대해서는 특정한 기능(예를 들어 특성 설정 정보를 보완용 데이터 Db에 반영시키는 기능)을 제한하는 구성도 적합하다. 또한, 보완용 데이터 선택부(54)가 선택한 K개의 수록 데이터 R 중 유료 회원의 수록 데이터 R을 도 12의 화면 GC에서 우선적으로 상위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청취자에게 인기 있는 보완용 데이터 Db를 만든 아티스트에게는, 유료 회원과 동등한 권리를 부여하거나, 돈이나 선물을 부여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각 이용자의 과금 처리가 촉진되어 실효적인 수익화가 실현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7) 특정한 이용자의 정보를 제시하는 열람용 화면(페이지)을 각 단말 장치(12)의 표시 장치(24)에 표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2)에 대한 조작으로 선택된 특정한 이용자에 대해서 도 15의 화면 GE가 표시 장치(24)에 표시된다. 화면 GE에는, 이용자의 수록 데이터 R 내의 관련 데이터 Q가 나타내는 각종 정보가 표시된다.
(8) 상술한 각 형태에서는, 보완용 데이터 Db를 이용해서 연주곡 전부의 연주 파트의 음악 세션을 실현했지만, 연주곡 전부의 연주 파트에 걸친 음악 세션까지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즉, 연주곡 중 연주자가 부족한 복수의 연주 파트 중 일부 연주 파트만을 보완 대상 파트로서 보완용 데이터 Db로 보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각 형태에서는, 음악 세션의 각 참가자가 1개의 단말 장치(12)를 사용하는 경우를 편의적으로 예시했지만, 복수의 참가자가 1개의 단말 장치(12)를 공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9) 보완용 데이터 선택부(54)에 의한 보완용 데이터 Db의 선택의 방법은 임의이다. 예를 들어, 음악 세션의 연주곡에 대해서 기억 장치(32)에 기억된 복수의 보완용 데이터 Db 중 어느 하나를 보완용 데이터 선택부(54)가 랜덤하게 선택하는 구성도 채용된다. 즉, 관련 데이터 Q를 사용한 보완용 데이터 Db의 검색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예시 보완용 데이터 Db의 재생 횟수나 투표 횟수가 관련 데이터 Q에 포함되는 구성에서는, 재생 횟수나 투표 횟수의 순서(예를 들어 내림차순)로 상위의 보완용 데이터 Db를 보완용 데이터 선택부(54)가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각 형태에서는, 검색용 관련 데이터 Q를 이용해서 보완용 데이터 선택부(54)가 검색한 K개의 수록 데이터 R(보완용 데이터 Db) 중 어느 하나를 단말 장치(12)의 이용자가 선택했지만, 검색용 관련 데이터 Q를 이용한 검색에서 보완용 데이터 선택부(54)가 1개의 보완용 데이터 Db까지 좁히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음악 세션의 참가자에 의한 수록 데이터 R의 선택은 생략될 수 있다.
(10) 상술한 각 형태에서는, 연주음을 나타내는 재생용 데이터 Dc(연주음 데이터 Da, 보완용 데이터 Db)를 각 단말 장치(12) 사이에서 수수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예를 들어 연주 시의 모습을 촬상한 화상(정지 화상이나 동화상)을 연주음과 함께 재생용 데이터 Dc로서 각 단말 장치(12) 사이에서 수수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 단말 장치(12)에서는, 재생용 데이터 Dc에 따른 음향이 재생 장치(27)로부터 재생됨과 함께, 재생용 데이터 Dc에 따른 화상이 표시 장치(24)에 표시된다. 또한, 재생용 데이터 Dc가 나타내는 화상은, 실제의 연주를 촬상한 화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전에 녹화된 화상을 재생용 데이터 Dc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1) 상술한 각 형태와 같이 보완용 데이터 등록부(52)를 구비하는 구성에 따르면, 다양한 보완용 데이터 Db를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고 하는 현저한 효과가 실현되지만, 보완용 데이터 등록부(52)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음악 세션에서의 각 이용자의 연주와는 독립적으로 보완용 데이터 Db를 작성 및 등록하는 구성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표시 처리부(53)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12) 상술한 각 형태에서는, 각 이용자의 관련 데이터 Q를 보완용 데이터 Db의 선택(검색)에 이용했지만, 관련 데이터 Q의 용도는 보완용 데이터 Db의 선택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호나 경향이 서로 유사 또는 합치하는 복수의 이용자의 특정(매칭)에 각 이용자의 관련 데이터 Q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용자 P1의 관련 데이터 Q에 상관 또는 합치하는 관련 데이터 Q에 대응한 이용자(즉, 이용자 P1에 기호나 경향이 적합한 이용자) P2가 검색되어 이용자 P1에 제시된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예를 들어 게시판 등을 이용해서 밴드의 멤버를 모집하는 종래의 방법과 비교하여, 각 이용자의 기호나 경향에 합치한 다른 이용자를 간단하게 발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13) 상술한 각 형태에서는, 음악 세션의 참가자의 단말 장치(12)에 재생음 데이터 Dc를 송신했지만, 재생음 데이터 Dc(보완용 데이터 Db)의 송신처의 단말 장치(12)의 이용자가 음악 세션에 실제로 참가하는(즉 연주곡의 특정한 연주 파트를 담당하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예를 들어, 음악 세션의 각 참가자의 연주음 데이터 Da와 보완 대상 파트의 보완용 데이터 Db를 포함하는 재생음 데이터 Dc를, 음악 세션에 참가하지 않은 이용자(연주곡의 연주음의 수청을 희망하는 이용자)의 단말 장치(12)로 송신해서 연주곡의 연주음을 재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어 이용자가 선택한 복수의 보완용 데이터 Db로 구성되는 재생음 데이터 Dc(연주음 데이터 Da는 포함하지 않음)를 이용자의 단말 장치(12)로 송신해서 연주곡의 재생음을 재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음악 세션에 참가하지 않은 임의의 이용자가 연주곡의 연주음을 수청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 본 개시를 요약한다. 본 발명의 음악 세션 관리 장치는, 복수의 단말 장치를 이용한 음악 세션을 관리하는 음악 세션 관리 장치이며, 복수의 연주 파트로 구성되는 연주곡의, 적어도 하나의 연주 파트의 연주음을 나타내는 연주음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연주음 데이터 취득부와, 상기 연주곡의 복수의 연주 파트의 연주음을 나타내는 복수의 보완용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연주곡의 보완 대상 파트의 연주음을 나타내는 보완용 데이터를 선택하는 보완용 데이터 선택부와, 상기 연주음 데이터 취득부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한 상기 연주음 데이터의 연주음과 상기 보완용 데이터 선택부가 선택한 상기 보완용 데이터의 연주음을 다른 단말 장치에서 재생시키는 재생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연주곡의 보완 대상 파트는, 상기 연주음 데이터 취득부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한 상기 연주음 데이터로 표현되는 연주 파트와는 다른 연주 파트이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되는 연주음 데이터의 연주음과 기억 장치로부터 선택된 보완용 데이터의 연주음이 다른 단말 장치에서 재생되기 때문에, 연주곡의 보완 대상 파트를 보완하면서 복수의 참가자의 음악 세션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음악 세션 관리 장치는, 상기 연주음 데이터 취득부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한 연주음 데이터에 따른 보완용 데이터를, 상기 기억 장치에 저장하는 보완용 데이터 등록부를 더 구비한다.
이상의 구성에서는, 음악 세션으로 연주음 데이터 취득부가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한 연주음 데이터에 따른 보완용 데이터가 기억 장치에 저장되기 때문에, 음악 세션에서의 각 이용자의 연주와는 독립적으로 보완용 데이터를 작성 및 등록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다수이면서 또한 다양한 보완용 데이터를 용이하게 등록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보완용 데이터 등록부는, 연주음 데이터 취득부가 취득한 연주음 데이터의 연주에 관련된 관련 데이터를, 그 연주음 데이터에 따른 보완용 데이터에 대응시켜서 기억 장치에 저장하고, 보완용 데이터 선택부는, 기억 장치에 기억된 복수의 보완용 데이터 중, 음악 세션의 참가자에 의한 과거의 연주 관련 데이터에 따른 검색 조건에서 검색된 보완용 데이터를 선택한다.
이상의 구성에서는, 음악 세션의 참가자에 의한 과거 연주의 관련 데이터에 따른 검색 조건에서 보완 대상 파트의 보완용 데이터가 검색되기 때문에, 보완 대상 파트의 상세한 조건을 음악 세션의 각 참가자가 상세하게 지정하지 않아도, 각 참가자의 기호나 경향에 적합한 보완용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관련 데이터가, 연주음 데이터가 나타내는 연주음의 음악적인 특징량과, 연주음 데이터가 나타내는 연주음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평가 정보와, 연주음 데이터가 나타내는 연주음에 부여되는 음향 특성에 관한 특성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성에 따르면, 이상의 효과는 각별히 두드러진다.
예를 들어, 상기 보완용 데이터 선택부는, 상기 기억 장치로부터 선택한 보완용 데이터의 연주음의 음향 특성을 조정하는 조정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재생 제어부는, 상기 연주음 데이터 취득부가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한 연주음 데이터의 연주음과 상기 조정 처리가 행해진 보완용 데이터의 연주음을 상기 다른 단말 장치에서 재생시킨다.
이상의 형태에서는, 보완용 데이터의 연주음의 음향 특성을 조정하는 조정 처리가 실행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각 단말 장치의 연주음 데이터가 나타내는 연주음과 음악적으로 조화된 자연스러운 인상의 보완용 데이터를 음악 세션에 이용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각 형태에 따른 음악 세션 관리 장치의 기능을, 음악 세션에 이용되는 복수의 단말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단말 장치는, 음악 세션에 이용되는 단말 장치이며, 연주곡의 각 연주 파트의 연주음을 나타내는 연주음 데이터를, 자장치의 수록 장치와 다른 단말 장치와로부터 취득하는 연주음 데이터 취득부와, 악곡의 각 연주 파트의 연주음을 나타내는 보완용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로부터, 연주곡의 보완 대상 파트의 연주음을 나타내는 보완용 데이터를 선택하는 보완용 데이터 선택부와, 연주음 데이터 취득부가 다른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한 연주음 데이터의 연주음과 보완용 데이터 선택부가 취득한 보완용 데이터의 연주음을 자장치의 재생 장치에 재생시키는 재생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세션 관리 장치와 마찬가지 작용 및 효과가 실현된다.
이상의 각 형태에 따른 음악 세션 관리 장치 및 단말 장치는, 음악 세션의 관리에 전용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의 하드웨어(전자 회로)에 의해 실현되는 것 외에,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범용의 연산 처리 장치와 프로그램의 협동에 의해서도 실현된다.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형태로 제공되어 컴퓨터에 인스톨될 수 있다.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비일과성(non-transitory) 기록 매체이며, CD-ROM 등의 광학식 기록 매체(광 디스크)가 좋은 예이지만, 반도체 기록 매체나 자기 기록 매체 등의 공지된 임의의 형식의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통신망을 통한 배신의 형태로 제공되어 컴퓨터에 인스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악 세션 관리 방법은, 복수의 단말 장치를 이용한 음악 세션을 관리하는 음악 세션 관리 방법이며, 복수의 연주 파트로 구성되는 연주곡의, 적어도 하나의 연주 파트의 연주음을 나타내는 연주음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취득 공정과, 상기 연주곡의 복수의 연주 파트의 연주음을 나타내는 복수의 보완용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연주곡의 보완 대상 파트의 연주음을 나타내는 보완용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공정과, 상기 취득 공정에서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한 상기 연주음 데이터의 연주음과 상기 선택 공정에서 선택한 상기 보완용 데이터의 연주음을 다른 단말 장치에서 재생시키는 재생 제어 공정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상기 연주곡의 보완 대상 파트는, 상기 취득 공정에 의해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한 상기 연주음 데이터로 표현되는 연주 파트와는 다른 연주 파트이다.
예를 들어, 상기 취득 공정에서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한 연주음 데이터에 따른 보완용 데이터를, 상기 기억 장치에 저장하는 등록 공정을 더 구비한다.
예를 들어, 상기 등록 공정에서는, 상기 취득 공정에서 취득한 연주음 데이터의 연주에 관련된 관련 데이터를, 그 연주음 데이터에 따른 보완용 데이터에 대응시켜서 상기 기억 장치에 저장하고,
상기 선택 공정에서는, 상기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복수의 보완용 데이터 중, 상기 음악 세션의 참가자에 의한 과거 연주의 관련 데이터에 따른 검색 조건에서 검색된 보완용 데이터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상기 관련 데이터는, 상기 연주음 데이터가 나타내는 연주음의 음악적인 특징량과, 상기 연주음 데이터가 나타내는 연주음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평가 정보와, 상기 연주음 데이터가 나타내는 연주음에 부여되는 음향 특성에 관한 특성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선택 공정에서는, 상기 기억 장치로부터 선택한 보완용 데이터의 연주음의 음향 특성을 조정하는 조정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재생 제어 공정에서는, 상기 취득 공정에 의해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한 연주음 데이터의 연주음과 상기 조정 처리가 행해진 보완용 데이터의 연주음을 상기 다른 단말 장치에서 재생시킨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 변형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확하다.
본 출원은, 2013년 5월 8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3-098721호에 기초하는 것으로,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도입된다.
본 발명의 음악 세션 관리 방법 및 음악 세션 관리 장치에 따르면, 연주곡의 연주 파트를 보완하면서 복수의 이용자가 음악 세션에 참가할 수 있다.
100A, 100B : 음악 세션 시스템
12 : 단말 장치
14 : 음악 세션 관리 장치
16 : 통신망
21, 31 : 제어 장치
22, 32 : 기억 장치
23, 33 : 통신 장치
24 : 표시 장치
25 : 입력 장치
26 : 수록 장치
27 : 재생 장치
51 : 연주음 데이터 취득부
52 : 보완용 데이터 등록부
53 : 표시 처리부
54 : 보완용 데이터 선택부
55 : 재생 제어부

Claims (10)

  1. 복수의 단말 장치를 이용한 음악 세션을 관리하는 음악 세션 관리 방법이며,
    복수의 연주 파트로 구성되는 연주곡의, 적어도 하나의 연주 파트의 연주음을 나타내는 연주음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취득 공정과,
    상기 연주곡의 복수의 연주 파트의 연주음을 나타내는 복수의 보완용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연주곡의 보완 대상 파트의 연주음을 나타내는 보완용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공정과,
    상기 취득 공정에서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한 상기 연주음 데이터의 연주음과 상기 선택 공정에서 선택한 상기 보완용 데이터의 연주음을 다른 단말 장치에서 재생시키는 재생 제어 공정
    을 구비하는 음악 세션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 공정에서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한 연주음 데이터에 따른 보완용 데이터를 상기 기억 장치에 저장하는 등록 공정을 더 구비하는 음악 세션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공정에서는, 상기 취득 공정에서 취득한 연주음 데이터의 연주에 관련된 관련 데이터를, 해당 연주음 데이터에 따른 보완용 데이터에 대응시켜 상기 기억 장치에 저장하고,
    상기 선택 공정에서는, 상기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복수의 보완용 데이터 중, 상기 음악 세션의 참가자에 의한 과거 연주의 관련 데이터에 따른 검색 조건에서 검색된 보완용 데이터를 선택하는 음악 세션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데이터는, 상기 연주음 데이터가 나타내는 연주음의 음악적인 특징량과, 상기 연주음 데이터가 나타내는 연주음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평가 정보와, 상기 연주음 데이터가 나타내는 연주음에 부여되는 음향 특성에 관한 특성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음악 세션 관리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공정에서는, 상기 기억 장치로부터 선택한 보완용 데이터의 연주음의 음향 특성을 조정하는 조정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재생 제어 공정에서는, 상기 취득 공정에 의해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한 연주음 데이터의 연주음과 상기 조정 처리가 행해진 보완용 데이터의 연주음을 상기 다른 단말 장치에서 재생시키는 음악 세션 관리 방법.
  6. 복수의 단말 장치를 이용한 음악 세션을 관리하는 음악 세션 관리 장치이며,
    복수의 연주 파트로 구성되는 연주곡의, 적어도 하나의 연주 파트의 연주음을 나타내는 연주음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연주음 데이터 취득부와,
    상기 연주곡의 복수의 연주 파트의 연주음을 나타내는 복수의 보완용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연주곡의 보완 대상 파트의 연주음을 나타내는 보완용 데이터를 선택하는 보완용 데이터 선택부와,
    상기 연주음 데이터 취득부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한 상기 연주음 데이터의 연주음과 상기 보완용 데이터 선택부가 선택한 상기 보완용 데이터의 연주음을 다른 단말 장치에서 재생시키는 재생 제어부
    를 구비하는 음악 세션 관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음 데이터 취득부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한 연주음 데이터에 따른 보완용 데이터를 상기 기억 장치에 저장하는 보완용 데이터 등록부를 더 구비하는 음악 세션 관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완용 데이터 등록부는, 상기 연주음 데이터 취득부가 취득한 연주음 데이터의 연주에 관련된 관련 데이터를, 해당 연주음 데이터에 따른 보완용 데이터에 대응시켜 상기 기억 장치에 저장하고,
    상기 보완용 데이터 선택부는, 상기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복수의 보완용 데이터 중, 상기 음악 세션의 참가자에 의한 과거 연주의 관련 데이터에 따른 검색 조건에서 검색된 보완용 데이터를 선택하는 음악 세션 관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데이터는, 상기 연주음 데이터가 나타내는 연주음의 음악적인 특징량과, 상기 연주음 데이터가 나타내는 연주음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평가 정보와, 상기 연주음 데이터가 나타내는 연주음에 부여되는 음향 특성에 관한 특성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음악 세션 관리 장치.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완용 데이터 선택부는, 상기 기억 장치로부터 선택한 보완용 데이터의 연주음의 음향 특성을 조정하는 조정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재생 제어부는, 상기 연주음 데이터 취득부가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한 연주음 데이터의 연주음과 상기 조정 처리가 행해진 보완용 데이터의 연주음을 상기 다른 단말 장치에서 재생시키는 음악 세션 관리 장치.
KR1020157031455A 2013-05-08 2014-05-02 음악 세션 관리 방법 및 음악 세션 관리 장치 KR201501371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98721A JP2014219558A (ja) 2013-05-08 2013-05-08 音楽セッション管理装置
JPJP-P-2013-098721 2013-05-08
PCT/JP2014/062168 WO2014181773A1 (ja) 2013-05-08 2014-05-02 音楽セッション管理方法及び音楽セッション管理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117A true KR20150137117A (ko) 2015-12-08

Family

ID=51867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1455A KR20150137117A (ko) 2013-05-08 2014-05-02 음악 세션 관리 방법 및 음악 세션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4219558A (ko)
KR (1) KR20150137117A (ko)
CN (1) CN105190741A (ko)
WO (1) WO20141817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5805A (ko) * 2018-03-06 2019-09-18 주식회사 웨이테크 인공지능 합주 시스템 및 인공지능 합주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9259A1 (ja) * 2018-02-14 2019-08-22 ヤマハ株式会社 音響パラメータ調整装置、音響パラメータ調整方法および音響パラメータ調整プログラム
CN108766408A (zh) * 2018-05-24 2018-11-06 广州音乐猫乐器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乐器合奏系统和方法
JP6864938B1 (ja) * 2020-08-03 2021-04-28 株式会社デザインMプラス 記録データ再生方法およびシステム
EP4120239A4 (en) * 2020-09-04 2023-06-07 Roland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5082B2 (ja) * 2000-05-23 2009-05-20 ヤマハ株式会社 サーバクライアント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装置
JP4265551B2 (ja) * 2005-03-01 2009-05-20 ヤマハ株式会社 演奏補助装置及び演奏補助プログラム
JP4797523B2 (ja) * 2005-09-12 2011-10-19 ヤマハ株式会社 合奏システム
JP4692189B2 (ja) * 2005-09-28 2011-06-01 ヤマハ株式会社 合奏システム
JP4752425B2 (ja) * 2005-09-28 2011-08-17 ヤマハ株式会社 合奏システム
JP2012018282A (ja) * 2010-07-07 2012-01-26 Cellius Inc 演奏ファイル管理装置、演奏ファイル再生装置および演奏ファイル再生方法
JP5585254B2 (ja) * 2010-07-08 2014-09-10 ヤマハ株式会社 セッション端末及びネットワークセッション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5805A (ko) * 2018-03-06 2019-09-18 주식회사 웨이테크 인공지능 합주 시스템 및 인공지능 합주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219558A (ja) 2014-11-20
WO2014181773A1 (ja) 2014-11-13
CN105190741A (zh)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75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sharing music
KR20150137117A (ko) 음악 세션 관리 방법 및 음악 세션 관리 장치
JP6452229B2 (ja) カラオケ効果音設定システム
JP4103364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カラオケ装置およびカラオケシステムのサーバ装置
JP2011095437A (ja) カラオケ採点システム
WO2014142288A1 (ja) 楽曲編集装置および楽曲編集システム
JP5173380B2 (ja) パーソナルメディアの楽曲作品集合に基づいてカラオケ選曲予約を行えるカラオケ装置
JP2013156543A (ja) 投稿再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20128142A (ko) 믹싱 데이터 배신 서버
JP5498444B2 (ja) 動画情報配信システム
JP2012018282A (ja) 演奏ファイル管理装置、演奏ファイル再生装置および演奏ファイル再生方法
JP5457791B2 (ja) カラオケ採点システム
JP6958676B1 (ja) 制御方法および制御システム
KR101823104B1 (ko) 음악 재능 중계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4066922A (ja) 楽曲演奏装置
JP2017068142A (ja) カラオケ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5551983B2 (ja) カラオケ演奏制御システム
JP6474292B2 (ja) カラオケ装置
JP2015225302A (ja) カラオケ装置
JP6176721B2 (ja) カラオケ用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ホスト装置
JP5847049B2 (ja) 楽器音出力装置
JP2012073310A (ja) カラオケ装置、カラオケシステム
JP5472245B2 (ja) カラオケ装置
JP6289331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及びサーバ
JP6514868B2 (ja) カラオケ装置及びカラオケ採点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