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6949A - 스트레칭 기구 - Google Patents

스트레칭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6949A
KR20150136949A KR1020140064722A KR20140064722A KR20150136949A KR 20150136949 A KR20150136949 A KR 20150136949A KR 1020140064722 A KR1020140064722 A KR 1020140064722A KR 20140064722 A KR20140064722 A KR 20140064722A KR 20150136949 A KR20150136949 A KR 20150136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finger
strap
fixing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4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0157B1 (ko
Inventor
장성호
송준찬
권중원
이한도
김대희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64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157B1/ko
Publication of KR20150136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hands or fi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직으로 인하여 생기는 손가락 또는 손의 뻣뻣함이나 구축을 위해 간단하게 손가락 또는 손을 고정시켜 경직을 완화시키기 위한 스트레칭 기구에 관한 것으로, 손을 올려놓고 받쳐주기 위한 손받침부; 및 상기 손받침부와 결합되어, 각각의 손가락을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스트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트레칭 기구{A stretching instrument}
본 발명은 스트레칭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직으로 인하여 생기는 손가락 또는 손의 뻣뻣함이나 구축을 위해 간단하게 손가락 또는 손을 고정시켜 경직을 완화시키기 위한 스트레칭 기구에 관한 것이다.
경직은 신장 반사의 과흥분으로 인한 근육 신장(늘림) 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근육 긴장을 뜻한다. 여기서 신장 반사란 골격근을 지속적으로 신장할 때 그 신장에 저항하듯 신장된 근육에 반사적으로 수축이 일어나 긴장이 고조되는 현상을 말한다.
경직은 운동신경원의 손상으로 인하여 근육의 과도한 신장 반사에 의해 생기는 것으로 뇌졸중환자에게 있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증상 중의 하나이다. 뇌졸중환자는 1년에 약 10만명전도 발생되며 이중 20~40%는 이런 경직을 경험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환자의 기능적이고 독립적인 일상생활동작에 제한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뇌졸중환자의 재활치료에 있어서 경직완화는 가장 중요한 치료임에 분명하나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손 또는 손가락의 경직완화를 위한 스트레칭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48555호(2011. 07. 11 등록)는 프레임; 이러한 프레임 상에 고정되며, 사용자의 손목 부위, 손바닥 및 엄지손가락이 파지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파지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파지된 사용자의 손등 또는 손목 부위를 감싸서 파지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파지부 상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손목 부위, 손바닥 및 엄지손가락이 파지된 상태에서 엄지를 제외한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손가락삽입구; 이러한 손가락삽입구 상에 고정되는 연결부; 프레임에 고정되고, 사용자 손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설치되며, 사용자의 손이 유출입할 수 있도록 형상을 갖는 전방 및 후방거치대; 이러한 전방 및 후방거치대 사이에 설치되고, 힘점을 변환시켜 운동 관절에 압력을 주지 않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도르레; 및 일단부가 연결부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도르레에 의해 지지되며 사용자가 견인할 수 있는 견인줄을 구비하는 수부 수동 운동기구가 제공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10586호(2013. 01. 29 공개)는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를 구비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환자의 팔뚝 및 팔목과 손등을 안치 및 고정하도록 팔뚝 거치수단, 제2 지지대상에 설치되어 환자의 검지 및 중지와 무명지 및 계지를 후측 상방으로 당겨주도록 구동하는 제1 인치수단,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어 환자의 엄지를 후측방으로 당겨주도록 구동하는 제2 인치수단, 제1 지지대에 설치되어 제1,2 인치수단을 구동시켜 주기 위한 권취수단, 제1 지지대에 설치되어 권취수단의 회전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회전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스트레칭 기구는, 설치 및 사용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장비가 고가인 경우가 많아 환자들이 개인적으로 구비하거나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뇌졸중환자와 같은 사용자가 타인의 도움 없이 간단한 조작만으로 적용시키기 어려워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48555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10586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경직으로 인하여 생기는 손가락 또는 손의 뻣뻣함이나 구축을 위해 간단하게 손가락 또는 손을 고정시켜 경직을 완화시키기 위한 스트레칭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손을 올려놓고 받쳐주기 위한 손받침부; 및 상기 손받침부와 결합되어, 각각의 손가락을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스트랩부를 포함하는 스트레칭 기구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트랩부와 결합되며, 손가락 형상에 따라 굴곡지게 형성되어 손가락의 고정을 강화시키기 위한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트랩부는, 상기 손받침부에 형성된 두 개의 관통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손가락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끈; 및 손가락 형상에 맞게 조정하면서 상기 고정끈의 일측과 다른 일측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관통홀은, 손가락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손가락의 길이에 따라 상기 스트랩부를 이동 가능하게 하여 높이 조절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관통홀 중 어느 하나에 연결 형성된 고리; 상기 고정끈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고리에 걸어 손가락 형상에 맞게 조정하기 위한 암부; 및 상기 고정끈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암부와 체결하기 위한 숫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암부는, 말단부분에서 일정 길이만큼 떨어진 위치에 실박음 처리되어, 손가락 형상에 맞게 잡아서 조정하기 위한 손잡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강부는,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가 끼워지도록 하기 위한 끼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강부는, 내면에 매쉬형태로 부착형성되어, 땀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손받침부는, 각각의 손가락 형상에 따라 형성되어, 손가락을 위치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손가락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손받침부는, 손바닥이 접하는 부분에 다수 개의 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손받침부는, 손을 올렸을 경우 손등부분에 해당되는 위치에 연결되어, 손등의 상부부분을 탄력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손등스트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손받침부는, 바닥면에 형성되어, 손을 올려놓고 스트레칭할 경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레칭 기구는 손가락 또는 손을 스트레칭시켜 손가락 또는 손의 경직을 완화시켜줄 뿐만 아니라 환자가 기능적이고 독립적인 손가락 또는 손의 움직임을 가질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간편한 방식으로 누구나 사용하기 간편하여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 스스로 스트레칭할 수 있으며, 언제 어디서나 쉽게 스트레칭 기구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자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스트랩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보강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1에 있는 손받침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를 참조하면, 스트레칭 기구는 손받침부(100) 및 스트랩부(200)를 포함한다.
손받침부(100)는 손을 올려놓고 받쳐주어 스트레칭하기 위한 것으로, 단면이 원 또는 다각형의 얇은 판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뇌졸중환자와 같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손의 경직을 완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손목, 팔, 어깨 등과 같이 인체에 무리하지 않도록 무게가 가벼우면서 견고하게 이루어져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디서나 스트레칭할 수 있도록 한다.
손받침부(100)는 표면과 사용자의 피부 사이의 피부를 최소화하여 피부 자극을 감소시키고자 코팅 처리된 합성수지일 수 있다.
스트랩부(200)는 손받침부(100)와 결합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각각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다수 개 구비된다. 스트랩부(200)는 통상적으로 다섯 손가락 각각을 고정시키기 위해 다섯 개가 구비되도록 구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 네 손가락 이하를 위해 네 개 이하의 스트랩부(200)를 구비하거나 여섯 손가락 이상을 위해 여섯 개 이상의 스트랩부(200)를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스트레칭 기구는 보강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보강부(300)는 스트랩부(200)와 결합되며, 손가락 형상에 따라 굴곡지게 형성되어 손가락의 고정을 강화시켜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강부(300)는 스트랩부(200)의 내측 즉 스트랩부(200)와 손가락 사이에 위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300)는 스트랩부(200)와 결합형성되어 스트랩부(200)에 의해 각각의 손가락을 고정시킬 때 손가락을 감싸도록 구성하여 손가락의 크기에 맞게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강부(300)는 손받침부(100)의 상면 즉 손가락 지문부분 또는 아래부분에 위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300)는 스트랩부(200)와 결합형성되어 스트랩부(200)에 의해 각각의 손가락을 고정시킬 때 손가락의 아래 부분을 지지하면서 손가락의 크기에 맞게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스트랩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트랩부(200)는 관통홀(210), 고정끈(220) 및 체결수단(230)을 포함한다.
관통홀(210)은 손받침부(100)에 각각 두 개씩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관통홀(210)은 손가락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손가락의 길이에 따라 스트랩부(200)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하여 손의 크기에 맞게 손가락 형상에 맞게 높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관통홀(210)은 엄지손가락 부분과 소지(새끼)손가락 부분은 고정끈(220)의 간격보다 길게 형성되며 검지손가락 부분, 중지손가락 부분, 약지손가락 부분은 고정끈(220)의 간격과 비슷하게 즉 엄지손가락 부분과 소지(새끼)손가락 부분의 관통홀(210)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검지손가락, 중지손가락, 약지손가락은 고정시킨 상태에서 엄지손가락 부분과 새끼손가락 부분에 고정끈(220)을 옮길 수 있도록 하여 손의 크기에 따른 위치가 달라져도 정확하게 손가락관절에 적용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일 실시 예에서, 관통홀(210)은 양쪽 내측에 가이드홈(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으며, 가이드홈(미도시)에서 스트랩부(200)를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손가락 길이에 따라 높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끈(220)은 일측 관통홀(210a)에서 다른 일측 관통홀(210b)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손가락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끈(220)은 탄성력을 갖는 밴드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탄력에 의해 손가락을 고정할 수 있다.
체결수단(230)은 손가락 형상에 맞게 조정하면서 고정끈(220)의 일측과 다른 일측을 서로 체결하도록 한다.
체결수단(230)은 고리(231), 암부(232) 및 숫부(233)를 포함한다.
고리(231)는 관통홀(210) 중 어느 하나에 연결 형성되며, 더욱 자세히는 관통홀(210)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관통홀(210)에서 빠지지 않게 걸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암부(232)는 고정끈(220)의 일측에 해당될 수 있으며, 일측에서 일정길이를 가지며 고리(231)에 걸어 손가락 형상에 맞게 조정하도록 한다.
숫부(233)는 고정끈(220)의 다른 일측에 해당될 수 있으며,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암부(232)와 서로 체결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암부(232)와 숫부(233)는 벨크로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암부(232)는 고정끈(220)의 일측에서 일정길이만큼 형성되고, 숫부(233)는 고정끈(220)의 다른 일측에서 일정길이만큼 형성되어 암부(232)와 숫부(233)가 서로 부착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암부(232)와 숫부(233)는 후크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암부(232)는 고정끈(220)의 일측에서 고리형태로 형성되고, 숫부(233)는 고정끈(220)의 다른 일측에서 후크형태로 형성되어 암부(232)와 숫부(233)가 서로 걸어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암부(232)와 숫부(233)는 똑딱이 단추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암부(232)는 고정끈(220)의 일측에 암단추를 구비하며, 숫부(233)는 고정끈(220)의 다른 일측에 숫단추를 구비하여 암부(232)와 숫부(233)가 서로 결합하여 체결될 수 있다.
암부(232)는 손잡이부재(23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손잡이부재(234)는 암부(232)의 말단부분에서 일정길이만큼 떨어진 위치에 실박음 처리되어 있어 손으로 집어서 손가락 형상에 맞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손잡이부재(234)는 실박음 처리되어 있기 때문에 집어 떼어낼 수 있을 정도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암부(232)와 숫부(233)를 서로 체결할 때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보강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보강부(300)는 손가락의 고정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스펀지 재질로 이루어져 손가락을 보호할 수 있다.
보강부(300)는 끼움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끼움부재(310)는 보강부(300)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고정부(200)의 고정끈(220)이 끼움부재(310)에 삽입되면서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보강부(300)는 내면에 흡수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흡수부재(320)는 매쉬형태로 부착형성되어 땀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흡수부재(320)는 에어매쉬 처리를 하여 통풍성이 뛰어나면서 땀을 흡수할 수 있어 사용자가 스트레칭 기구를 오래 사용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또한 흡수부재(320)는 촉감이 부드럽고 피부에 자극이 없는 소재로 사용하여 피부 접촉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강부(300)는 결합부재(301), 스펀지부재(302) 및 손가락 접촉부재(303)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재(301)는 고정부(200)와 결합되는 부분으로, 외측면에 고정끈(22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즉 보강부(300)는 끼움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끼움부재는 결합부재(301)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스펀지부재(302)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탄력이 있어서 손가락 형상에 맞게끔 고정부(20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켜줄 수 있다.
손가락 접촉부재(303)는 손가락부분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흡수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1에 있는 손받침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손받침부(100)는 손가락홈(110)을 구비한다.
손가락홈(110)은 각각의 손가락 형상에 따라 형성되어, 손가락을 손가락홈(110)에 각각 위치시켜 손을 쉽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손가락홈(110)은 마디고정돌기(112)를 마련할 수 있으며, 마디고정돌기(112)는 손가락의 마디를 고정시켜 손 스트레칭하는 동안 손가락의 마디가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디고정돌기(112)는 탄성력을 가지는 스펀지와 같은 완충재질로 이루어져 손가락 마디를 탄력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손받침부(100)는 손바닥이 접하는 부분에 다수 개의 돌기(120)를 형성할 수 있다.
돌기(120)는 사용자가 앉은 자세에서 스트레칭 기구를 옆에 두고 체중을 싣거나 벽 등에 대고 밀 경우 또는 서서 체중을 싣는 등의 자세를 취하며 스트레칭할 때 손바닥에 혈을 자극시켜 지압할 수 있다. 또한 돌기(120)는 스트레칭할 때 땀에 의해 손이 빠질 수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끄럼 방지용 돌기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돌기(120)는 손가락홈(110)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손바닥 뿐만 아니라 손가락이 접하는 부분에도 돌기(120)를 다수 개 구비하여 지압용 또는 미끄럼방지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손받침부(100)는 손등스트랩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손등스트랩부재(130)는 손받침부(100)에 손을 올려놓을 경우 환자의 손등부분에 해당되는 위치에 연결되어, 손등의 상부부분을 탄력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손등스트랩부재(130)는 손받침부(100)에 체결홀(132)을 형성하여, 체결홀(132)에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홀(132)은 손을 손받침부(100)에 위치시켰을 때 손가락의 엄지와 검지에 해당하는 부분 및 손등 측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홀(132)에 손등스트랩부재(130)를 삽입시킨 후에 서로 체결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손등스트랩부재(130)를 삽입시킨 후 손받침부(100)와 손등스트랩부재(130)를 일체로 형성하기 위해 손등스트랩부재(130)의 일측 말단부와 다른 일측 말단부를 서로 박음질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손받침부(100)는 바닥면에 미끄럼방지부재(140)를 부착형성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재(140)는 손받침부(100)에 손을 올려놓고 스트레칭할 때 벽 또는 바닥에 대고 체중을 싣는데, 벽 또는 바닥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 실시 예에서, 미끄럼방지부재(140)는 손받침부(100)의 바닥면에 접착제에 의해 부착될 수 있으며, 손받침부(100)의 둘레면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미끄럼방지부재(140)는 손을 끼워 스트레칭할 때 몸의 무게가 손바닥쪽으로 실리기 때문에 손바닥이 위치하는 부분의 바닥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미끄럼방지부재(140)의 두께는 고정부(20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미끄럼방지부재(140)가 외부면에 직접 접촉시켜 마찰을 일으키며 높은 마찰력을 발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더욱 견고하게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손받침부
110 : 손가락홈
112 : 마디고정돌기
120 : 돌기
130 : 손등스트랩부재
140 : 미끄럼방지부재
200 : 고정부
210 : 관통홀
220 : 고정끈
230 : 체결수단
231 : 고리
232 : 암부
233 : 숫부
234 : 손잡이부재
300 : 보강부
310 : 끼움부재
320 : 흡수부재

Claims (12)

  1. 손을 올려놓고 받쳐주기 위한 손받침부; 및
    상기 손받침부와 결합되어, 각각의 손가락을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스트랩부를 포함하는 스트레칭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부와 결합되며, 손가락 형상에 따라 굴곡지게 형성되어 손가락의 고정을 강화시키기 위한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스트레칭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부는,
    상기 손받침부에 형성된 두 개의 관통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손가락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끈; 및
    손가락 형상에 맞게 조정하면서 상기 고정끈의 일측과 다른 일측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손가락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손가락의 길이에 따라 상기 스트랩부를 이동 가능하게 하여 높이 조절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기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관통홀 중 어느 하나에 연결 형성된 고리;
    상기 고정끈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고리에 걸어 손가락 형상에 맞게 조정하기 위한 암부; 및
    상기 고정끈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암부와 체결하기 위한 숫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는,
    말단부분에서 일정길이만큼 떨어진 위치에 실 박음처리되어, 손가락 형상에 맞게 잡아서 조정하기 위한 손잡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기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가 끼워지도록 하기 위한 끼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기구.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내면에 매쉬형태로 부착형성되어, 땀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받침부는,
    각각의 손가락 형상에 따라 형성되어, 손가락을 위치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손가락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받침부는,
    손바닥이 접하는 부분에 다수 개의 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기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받침부는,
    손을 올렸을 경우 손등부분에 해당되는 위치에 연결되어, 손등의 상부부분을 탄력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손등스트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기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받침부는,
    바닥면에 형성되어, 손을 올려놓고 스트레칭할 경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기구.
KR1020140064722A 2014-05-28 2014-05-28 스트레칭 기구 KR101640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722A KR101640157B1 (ko) 2014-05-28 2014-05-28 스트레칭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722A KR101640157B1 (ko) 2014-05-28 2014-05-28 스트레칭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949A true KR20150136949A (ko) 2015-12-08
KR101640157B1 KR101640157B1 (ko) 2016-07-15

Family

ID=54872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4722A KR101640157B1 (ko) 2014-05-28 2014-05-28 스트레칭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015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89807A (zh) * 2017-11-28 2018-03-13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机械式手指康复训练矫形器及其使用方法
CN108525226B (zh) * 2018-03-29 2019-11-26 东阳市善水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手指运动协调性训练器及其使用方法
KR20210067702A (ko) * 2019-11-29 2021-06-08 최선희 손 강직 완화 보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549B1 (ko) 2019-10-07 2021-11-26 주식회사 네오펙트 손가락 움직임 보조용 장갑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555U (ja) * 1993-10-29 1995-05-23 原田 邦隆 指の固定用装具
JPH09327484A (ja) * 1996-06-10 1997-12-22 Sakai Iryo Kk 体の固定装置及び起立訓練装置
JP2004329490A (ja) * 2003-05-06 2004-11-25 Osaka Industrial Promotion Organization 指運動機能回復支援具および指運動機能回復支援システム
JP2008000587A (ja) * 2006-05-26 2008-01-10 Junko Kutsukake 介護用ハンドストレッチ
KR101048555B1 (ko) 2009-03-04 2011-07-11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부 수동 운동기구
KR20130010586A (ko) 2011-07-19 2013-01-29 송준찬 뇌졸중 환자 재활치료용 교정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555U (ja) * 1993-10-29 1995-05-23 原田 邦隆 指の固定用装具
JPH09327484A (ja) * 1996-06-10 1997-12-22 Sakai Iryo Kk 体の固定装置及び起立訓練装置
JP2004329490A (ja) * 2003-05-06 2004-11-25 Osaka Industrial Promotion Organization 指運動機能回復支援具および指運動機能回復支援システム
JP2008000587A (ja) * 2006-05-26 2008-01-10 Junko Kutsukake 介護用ハンドストレッチ
KR101048555B1 (ko) 2009-03-04 2011-07-11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부 수동 운동기구
KR20130010586A (ko) 2011-07-19 2013-01-29 송준찬 뇌졸중 환자 재활치료용 교정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89807A (zh) * 2017-11-28 2018-03-13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机械式手指康复训练矫形器及其使用方法
CN108525226B (zh) * 2018-03-29 2019-11-26 东阳市善水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手指运动协调性训练器及其使用方法
KR20210067702A (ko) * 2019-11-29 2021-06-08 최선희 손 강직 완화 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0157B1 (ko) 2016-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0157B1 (ko) 스트레칭 기구
US7618356B1 (en) Exercise apparatus including a resistance training assembly coupled within an exercising shoe
JP4397411B2 (ja) 指用リハビリ器具
US9764190B2 (en) Dynamic hand splints
US9205016B2 (en) Therapy apparatus to restore range of motion of limbs
JP6312908B1 (ja) 手指訓練用器具
US4815729A (en) Finger exercise device
US20180093127A1 (en) Tethered Physically-Therapeutic Apparatus with an Adjustable Flexible Cord
EA020400B1 (ru) Трансформируемый тренажёр для 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тренинга
GB2552358A (en) Rehabilitation device
US20150025568A1 (en) Two-hand adjustable acupressure method and apparatus
KR200476101Y1 (ko) 손잡이커버가 장착된 중량조절용 아령
JP2012176083A (ja) リハビリ用手袋
RU269417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абилитации пальцев кисти
KR20130010586A (ko) 뇌졸중 환자 재활치료용 교정기구
JP2008000587A (ja) 介護用ハンドストレッチ
US9072397B2 (en) Compression sock aid
JP3147055U (ja) 健康器具
JP2003265644A (ja) 運動補助器具
CN219646659U (zh) 一种手指屈肌腱牵伸训练器
JP2016073619A (ja) 健康器具およびその使用方法
CN214633650U (zh) 一种柱骨科手足保健带
US11857832B2 (en) Body stretching system
KR101457353B1 (ko) 근력운동기구
JP3115521U (ja) 手の指健康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