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6836A -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 - Google Patents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6836A
KR20150136836A KR1020140064375A KR20140064375A KR20150136836A KR 20150136836 A KR20150136836 A KR 20150136836A KR 1020140064375 A KR1020140064375 A KR 1020140064375A KR 20140064375 A KR20140064375 A KR 20140064375A KR 20150136836 A KR20150136836 A KR 20150136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decorative body
decorative
mounting groove
r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4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1016B1 (ko
Inventor
김은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랜드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랜드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랜드월드
Priority to KR1020140064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016B1/ko
Publication of KR20150136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44C9/02Finger-rings adjustable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에 관한 것으로, 손가락에 착용되는 링본체의 내주면에 장식체 장착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장식체 장착홈부 내에 문자, 도형, 숫자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내부장식체를 삽입하여 장착한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 도형, 숫자 등의 장식체를 링본체의 내주면에 돌출되지 않도록 부착 고정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의 크기와 링본체의 크기를 기존과 차이 없이 일치시켜 제조함으로써 착용 시 불편함이 없고, 사용자의 만족감을 크게 향상시키는 독특한 형태의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Ring for mounting of inner characters}
본 발명은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링의 안쪽면에 문자, 도형, 숫자 등의 장식체를 사용자가 원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반지 착용 시 착용감이 우수한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장신구는 몸치장을 하는 데 쓰는 물건으로서, 통상 반지, 목걸이, 귀고리, 팔찌, 노리개, 비녀, 브로치, 넥타이 핀 등으로 구분된다.
그 중 반지는 금, 은 등의 귀금속재를 링형상으로 형성하여 손가락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링본체의 표면에 장식 모양을 각인하거나, 보석 등의 큐빅을 부착하여 다양하게 제조되고 있다.
반지는 특히 연인 사이를 표시하는 장신구로 많이 사용되며, 통상 연인이름의 이니셜을 반지의 링본체에 각인하여 표시하고 있다.
또한, 근래에 들어 사용자의 취향이 다양해지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도형, 숫자 또는 사용자 본인이름의 이니셜과 같은 문자를 반지에 각인하여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연인이름의 이니셜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도형, 숫자, 문자 등을 반지에 각인하여 표시하는 경우 링본체를 각인할 수 있는 고가의 레이저 각인 장치를 구비해야하며, 고가의 각인 장치를 사용하여 링본체를 각인할 수 있는 숙련공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인하는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각인된 도형, 숫자, 문자의 작업 만족도가 상이하고, 작업자의 숙련도가 낮은 경우 복잡한 도형, 숫자, 문자를 각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작업자의 작업비로 인해 비용부담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반지의 링본체에 직접 각인된 도형, 숫자, 문자는 사용 중 마모에 의해 각인된 형태를 확인하기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도형, 숫자, 문자 등을 링본체에 각인하는 방법 이외에 국내특허공개 제2010-0087434호 '반지'(2010.08.05 공개)에서 반지 내면에 사용자가 원하는 양각문양을 형성한 것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특허공개 제2010-0087434호 '반지'는 원형의 몸체 내주면에 돌출되는 양각문양을 형성하므로 돌출된 문양이 손가락의 피부를 누르게 되어 착용 시 착용감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원형의 몸체 즉, 링본체의 내주면에 돌출되는 양각문양에 의해 반지의 링 크기를 손가락의 크기를 정확하게 맞추기 어려워 착용감이 더욱 안좋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링본체의 내주면에 돌출되는 양각문양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링본체의 내주면을 직접 가공하여 양각문양을 형성하거나, 양각문양을 링본체의 내주면에 부착하여 고정시키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그런데, 링본체의 내주면에 양각문양을 직접 가공하여 형성하는 방법은 링본체의 내주면에서 양각문양을 제외한 부분을 깍아 내어 제거하기 때문에 재료의 손실량이 많고, 제조 과정이 복잡하며 가공 시 작업자의 숙련도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링본체의 내주면에 양각문양을 부착하는 경우 링본체의 내주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바 정확한 위치에 균일하게 부착 고정하기 어렵고, 부착된 상태에서의 고정력이 약해 장기간 사용 중 양각문양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링본체의 내주면에 양각문양을 땜작업으로 고정하면 땜작업 시 발생된 땜자국이 상기 링본체의 내주면에 노출되어 외관미가 저하되고, 땜자국이 착용감을 더 안좋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링본체의 내주면에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 도형, 숫자 등의 장식체를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고, 착용 시 불편함이 없고 착용감이 우수한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과제는, 손가락에 끼워 착용되도록 링형상을 가지는 링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링본체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장식체가 내부로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는 장식체 장착홈부가 형성된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내부 장식체는 문자, 도형, 숫자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장식체 장착홈부는 상기 링본체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장식체 장착홈부는 상기 링본체의 내주면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상기 내부장식체를 배치하여 장착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장식체 장착홈부의 바닥에는 상기 내부장식체가 장착되도록 상기 장착홈부의 깊이보다 낮게 돌출된 안착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착부는, 상기 장식체 장착홈부 내에서 상기 링본체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내벽에 서로 마주보고 이격되게 돌출되어 상기 내부장식체의 양 측부 중 일부분 씩 안착되어 장착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착부는 상기 내부장식체가 안착되는 평면의 안착면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착면은 상기 링본체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내부장식체는 상기 안착면에 장착되는 평면의 고정면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착면과 상기 고정면 사이에는 상기 내부장식체를 장착 고정시키는 장식체 고정제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내부장식체는 상기 장식체 장착홈부 내에서 상기 링본체의 내주면 이하의 높이로 함몰되게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는 상기 장식체 장착홈부 내에 삽입된 상기 내부장식체를 장착 고정시키는 장식체 고정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장식체 고정제는 접착제, 양면테이프, 땜제 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내부장식체는 레이저땜작업을 통해 상기 장식체 장착홈부 내에 장착 고정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 도형, 숫자 등의 장식체를 링본체의 내주면에 돌출되지 않도록 부착 고정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의 크기와 링본체의 크기를 기존과 차이 없이 일치시켜 제조함으로써 착용 시 불편함이 없고, 사용자의 만족감을 크게 향상시키는 독특한 형태의 반지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 과정이 단순하고, 제조 시 소요되는 비용이 저렴하여 사용자가 부담없이 원하는 문자, 도형, 숫자 등의 장식체를 링본체의 내주면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에서 링본체의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에서 링본체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 - A'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 - B' 단면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는 손가락에 끼워 착용되도록 링형상을 가지는 링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링본체(10)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장식체(20)가 내부로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는 장식체 장착홈부(10a)가 형성된다. 상기 장식체 장착홈부(10a)는 상기 링본체(10)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링본체(10)를 주물로 형성할 때 함께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내부장식체(20)는 문자, 도형, 숫자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진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써, 링본체(10)와 상기 링본체(10)의 내주면에 장착되는 내부 장식체(20)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의 다수의 내부 장식체(20)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내부 장식체(20)를 상기 장식체 장착홈부(10a)에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링본체(10)는 손가락에 끼워 착용되도록 원형상의 링형상을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하며, 손가락의 둘레를 모두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손가락의 둘레 중 적어도 2/3 이상을 감싸도록 링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링본체(10)는 외주면 측에서 확인할 수 있는 별도의 외부 장식체를 장착하거나, 디자인의 차별성 등을 이유로 일부분 개방된 원형의 링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상기 개방된 일부분은 손가락 둘레 중 1/3 초과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착용 시 착용감을 확보하고, 착용 시 손가락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본체(10)는 외주면에 외부 장식부를 구비하여 외주면에서의 장식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외부 장식부는 보석, 큐빅 등으로 링본체(10)의 외주면에 장착 고정되는 외부 장식체 또는 상기 링본체(10)의 외주면을 조각하여 형성하는 조각 장식부일 수 있고, 문자로 이루어진 이니셜, 도형, 숫자를 각인하여 형성된 것일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하게 외부 장식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링본체(10)의 내주면에는 내부장식체(20)가 장착 고정되며, 상기 내부장식체(20)는 문자, 도형, 숫자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진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내부장식체(20)는 알파벳, 한글의 자음 또는 모음, 아라비아숫자 등과 같은 문자와 숫자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연인이름을 이니셜로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의 생일 또는 사용자의 연인 생일, 연인 간의 기념일 등을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장식체(20)는 별모양, 달모양, 전화기 모양 등의 다양한 도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모양을 선택하여 상기 링본체(10)의 내주면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내부 장식체(20)는 상기 링본체(10)를 손가락에 끼워 착용한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가려져 확인이 어려워 사용자의 비밀스러운 문자, 숫자, 도형을 상기 링본체(10)의 내주면에 장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독특한 만족감을 주게 된다.
상기 링본체(10)의 내주면에는 상기 내부장식체(20)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장식체 장착홈부(10a)가 형성된다. 상기 장식체 장착홈부(10a)는 내부에 상기 내부장식체(20)가 삽입되어 장착 고정된다.
상기 링본체(10)의 외주면에 외부에서 확인되는 외부장식부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외부장식부가 구비된 측이 상기 링본체(10)의 상부 측이되고, 그 반대편이 상기 링본체(10)의 하부 측이 된다.
이는 상기 링본체(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외부장식부가 외부로 노출되기 위해 상기 링본체(10)가 상기 외부장식부가 손등 측으로 향하도록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되기 때문이다. 상기 링본체(10)의 상부 측 또는 하부측에는 상기 외부장식부가 구비되기 위해 평면의 장착부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장식체 장착홈부(10a)는 상기 링본체(10)의 내주면에서 상기 링본체(10)의 상부 측 또는 상기 링본체(10)의 하부측에 형성된 평면의 장착부 측에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내부장식체(20)가 장착되는 평면의 장착면을 가져 상기 내부장식체(20)를 견고하게 장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식체 장착홈부(10a)는 상기 링본체(10)의 내주면에서 내주면 둘레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장식체(20)를 상기 링본체(10)의 내주면에서 내주면 둘레 방향으로 복수로 장착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장식체 장착홈부(10a)는 상기 링본체(10)의 내주면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상기 내부장식체(20)를 배치하여 장착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다양한 문자, 숫자, 도형을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조합하여 장착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장식체 장착홈부(10a)는 상기 링본체(10)의 내주면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상기 내부장식체(20)를 배치하여 장착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장식체 장착홈부(10a)의 바닥에는 상기 내부장식체(20)가 장착되도록 상기 장착홈부(10a)의 깊이보다 낮게 돌출된 안착부(11)가 구비된다.
즉, 상기 장식체 장착홈부(10a)의 내벽에는 상기 내부장식체(20)가 장착되는 안착부(11)가 돌출되어 상기 장식체 장착홈부(10a) 내에 삽입된 상기 내부장식체(20)를 상기 안착부(11)에 안착시켜 용이하게 장착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부(11)는 상기 장식체 장착홈부(10a) 내에서 상기 링본체(10)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내벽에 서로 마주보고 이격되게 돌출되어 상기 내부장식체(20)의 양 측부 중 일부분 씩 안착되어 상기 내부장식체(20)가 안정적으로 장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안착부(11)의 사이에 노출되는 상기 장식체 장착홈부(10a)의 바닥면은 곡면이며, 상기 안착부(11)는 상기 내부장식체(20)가 안착되는 평면의 안착면(11a)을 가져 곡면 대비 장착면의 면적을 증대시켜 상기 내부장식체(20)를 더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상기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부장식체(20)는 평면의 고정면을 가져 제조 시 제조원가 절감 및 상기 링본체(10)의 곡률에 관계없이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링본체(10)에 장착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내부장식체(20)가 상기 링본체(10)의 특정 직경을 가지는 상기 링본체(10)의 곡률에 맞게 고정면을 형성하는 경우 해당 직경을 가지는 링본체(10)에만 장착 가능하므로, 착용자의 손가락 크기에 따라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상기 링본체(10)의 각 직경에 따라 고정면의 곡률을 다르게 제조해야하므로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경제성이 미흡하여 실제로 제품으로 제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내부장식체(20)를 평면의 고정면을 가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장식체 장착홈부(10a) 내에 평면의 안착면(11a)을 가지는 상기 안착부(11)를 형성하여 상기 링본체(10)의 직경에 관계없이 동일한 내부장식체(20)를 적용하여 상기 평면의 안착면(11a) 상에 저렴한 비용으로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장착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경제성이 확보되어 실제 제품의 판매가 가능하도록 하며, 사용 중 상기 내부장식체(20)가 상기 링본체(10)에서 분리되는 불량 문제를 해결한다.
평면의 상기 안착면(11a)은 상기 내부장식체(20)의 폭과 같거나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하나의 안착면(11a)에 하나의 상기 내부장식체(20)가 안착되어 장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안착면(11a)은 상기 링본체(10)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며, 각각 상기 링본체(10) 내주면 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내부장식체(20)를 이격되게 장착할 수 있도록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내부장식체(20)는 상기 장식체 장착홈부(10a) 내에 삽입되어 장착된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내부장식체(20)는 외측면이 상기 링본체(10)의 내주면 상에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장식체 장착홈부(10a) 내에 삽입되어 장착된다.
상기 내부장식체(20)는 외측면이 상기 링본체(10)의 내주면과 일치되거나 상기 장식체 장착홈부(10a)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장식체 장착홈부(10a) 내에 삽입되어 장착됨으로써 상기 링본체(10)의 내주면 상에 돌출되지 않는다.
즉, 상기 내부장식체는 상기 장식체 장착홈부(10a) 내에서 상기 링본체(10)의 내주면 이하의 높이로 함몰되게 장착되어 상기 링본체(10)의 내주면 상에 돌출되지 않는다.
상기 내부장식체(20)는 상기 장식체 장착홈부(10a) 내에 삽입되어 상기 링본체(10)의 내주면 상에 돌출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의 크기와 링본체(10)의 크기를 기존과 차이 없이 일치시켜 착용 가능하며, 착용 시 상기 링본체(10)의 내주면에 돌출되는 내부 장식체(20)로 인한 불편함을 방지하고 착용감 으로써 착용 시 불편함이 없고, 사용자의 만족감을 크게 향상시키는 독특한 형태의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링본체(10)와 상기 내부장식체(20)는 주물로 제조되는 것을 일 예로 하며, 이외에도 사출성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내부장식체(20)는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 등을 이용하거나 땜작업으로 상기 장식체 장착홈부(10a) 내에서 장착 고정될 수 있으며, 땜작업으로 상기 장식체 장착홈부(10a) 내에서 견고하게 장착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는 상기 장식체 장착홈부(10a) 내에 삽입된 상기 내부장식체(20)를 장착 고정시키는 장식체 고정제(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식체 고정제(30)는 접착제, 양면테이프, 땜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상기 내부장식체(20)를 견고하게 장착 고정할 수 있는 땜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식체 고정제(30)는 상기 내부장식체(20)의 고정면과 상기 안착부(11)의 안착면(11a)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장식체(20)를 상기 안착부(11) 상에 견고히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내부장식체(20)는 레이저땜작업을 통해 상기 장식체 장착홈부(10a) 내에서 상기 안착부(11) 상에 장착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이저땜작업은 업체에서 레이저땜장비로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내부장식체(20)를 상기 장식체 장착홈부(10a) 내에 장착할 수 있고, 상기 장식체 홈부(10a) 내에서 상기 내부장식체(2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내부장식체(20)는 손가락에 끼워 착용되는 상기 링본체(10)의 내주면에 장착되므로, 크기가 반지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고, 이를 주물 작업 등을 통해 상기 링본체(10)의 내주면에 일체로 돌출시키는 경우 크기가 작은 상기 내부장식체(20)가 원하는 형상으로 제대로 표현되기 어렵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내부장식체(20)는 주물 등의 방법으로 별도로 제조되므로 그 형상이 정확하게 표현될 수 있고, 이는 제품의 질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만족감을 더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내부장식체(20)를 장착 고정시키는 상기 장식체 고정제(30)는 상기 장식체 장식홈부(10a) 내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링본체(10)의 내주면에 상기 장식체 고정제(30)가 돌출되면 장식미가 저하되고, 상기 링본체(10)의 내주면에 돌출되는 상기 장식체 고정제(30)에 의해 상기 링본체(10)를 착용하는 경우 불편함이 발생된다.
상기 장식체 고정제(30)는 상기 장식체 장식홈부 내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는 장식미가 우수하고, 착용 시 상기 장식체 고정제(30)에 의한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 도형, 숫자 등의 장식체를 링본체(10)의 내주면에 돌출되지 않도록 부착 고정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의 크기와 링본체(10)의 크기를 기존과 차이 없이 일치시켜 제조함으로써 착용 시 불편함이 없고, 사용자의 만족감을 크게 향상시키는 독특한 형태의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 과정이 단순하고, 제조 시 소요되는 비용이 저렴하여 사용자가 부담없이 원하는 문자, 도형, 숫자 등의 장식체를 링본체(10)의 내주면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링본체 10a : 장식체 장착홈부
11 : 안착부 11a : 안착면
20 : 내부 장식체 30 : 장식체 고정제

Claims (13)

  1. 손가락에 끼워 착용되도록 링형상을 가지는 링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링본체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장식체가 내부로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는 장식체 장착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장식체는 문자, 도형, 숫자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식체 장착홈부는 상기 링본체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식체 장착홈부는 상기 링본체의 내주면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상기 내부장식체를 배치하여 장착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장식체 장착홈부의 바닥에는 상기 내부장식체가 장착되도록 상기 장착홈부의 깊이보다 낮게 돌출된 안착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장식체 장착홈부 내에서 상기 링본체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내벽에 서로 마주보고 이격되게 돌출되어 상기 내부장식체의 양 측부 중 일부분 씩 안착되어 장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내부장식체가 안착되는 평면의 안착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은 상기 링본체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내부장식체는 상기 안착면에 장착되는 평면의 고정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과 상기 고정면 사이에는 상기 내부장식체를 장착 고정시키는 장식체 고정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장식체는 상기 장식체 장착홈부 내에서 상기 링본체의 내주면 이하의 높이로 함몰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식체 장착홈부 내에 삽입된 상기 내부장식체를 장착 고정시키는 장식체 고정제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장식체 고정제는 접착제, 양면테이프, 땜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장식체는 레이저땜작업을 통해 상기 장식체 장착홈부 내에 장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
KR1020140064375A 2014-05-28 2014-05-28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 KR101581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375A KR101581016B1 (ko) 2014-05-28 2014-05-28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375A KR101581016B1 (ko) 2014-05-28 2014-05-28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836A true KR20150136836A (ko) 2015-12-08
KR101581016B1 KR101581016B1 (ko) 2015-12-29

Family

ID=54872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4375A KR101581016B1 (ko) 2014-05-28 2014-05-28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10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5979A1 (en) * 2016-05-31 2017-12-07 Crown Ring Inc. Ring assembly, and corresponding kit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102294274B1 (ko) * 2021-02-04 2021-08-25 최용창 장식 개별 세팅 방식의 반지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3314A (ko) 2022-04-05 2023-10-12 김연희 셀프 장식 반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810U (ja) * 1991-07-31 1993-02-19 進化株式会社 金属製の装身具
JPH08299037A (ja) * 1995-05-02 1996-11-19 Hiroyoshi Yamaura 指 輪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810U (ja) * 1991-07-31 1993-02-19 進化株式会社 金属製の装身具
JPH08299037A (ja) * 1995-05-02 1996-11-19 Hiroyoshi Yamaura 指 輪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5979A1 (en) * 2016-05-31 2017-12-07 Crown Ring Inc. Ring assembly, and corresponding kit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102294274B1 (ko) * 2021-02-04 2021-08-25 최용창 장식 개별 세팅 방식의 반지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1016B1 (ko) 2015-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515876A (ja) 目立たないはめ込み台およびそれをもたらすための方法および工具
CN108523328A (zh) 包含镶贴在刚性镂空结构下的衬件的便于携带的装饰件
KR101581016B1 (ko)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
US7596966B2 (en) Interchangeable jewelry clip
US7181930B2 (en) Multiple configuration ring
JP2007268242A (ja) 装飾石の固着方法および宝飾品
KR20120035660A (ko) 장신구의 보석류 고정 구조체
US118058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ring with design insert on inner surface
JP3143250U (ja) 宝石保持具
USD931114S1 (en) Educational clock dial
KR101871401B1 (ko) 장신구
JP3210197U (ja) 装飾具
KR20150069149A (ko) 장식구 연결구조 및 장식용 클립
KR101602310B1 (ko) 장신구의 보석결착구조
KR101910929B1 (ko) 볼륨 장신구 제조 방법
KR101949161B1 (ko) 점자 교체형 쥬얼리
KR200431840Y1 (ko) 장식의 교체가 가능한 액세서리
KR101615718B1 (ko)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과 이를 이용한 액세서리 제조방법 및 그 액세서리
KR200277085Y1 (ko) 장식 교체구조를 갖는 장신용구
CN209931675U (zh) 饰品
KR200328407Y1 (ko) 장신구용 보석고정구조
KR200336845Y1 (ko) 반지
KR200420655Y1 (ko) 장신구부재
KR20170110252A (ko) 스마트 주얼리
KR200256444Y1 (ko) 목걸이용 펜던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