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3314A - 셀프 장식 반지 - Google Patents

셀프 장식 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3314A
KR20230143314A KR1020220042039A KR20220042039A KR20230143314A KR 20230143314 A KR20230143314 A KR 20230143314A KR 1020220042039 A KR1020220042039 A KR 1020220042039A KR 20220042039 A KR20220042039 A KR 20220042039A KR 20230143314 A KR20230143314 A KR 20230143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body
ring
hole
self
decor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2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희
Original Assignee
김연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희 filed Critical 김연희
Priority to KR1020220042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3314A/ko
Publication of KR20230143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33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44C9/0084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44C17/0208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removable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셀프 장식반지가 개시된다. 셀프 장식반지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삽입되며 측면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링 바디와, 링 바디의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장식 와이어를 포함한다. 여기서, 장식 와이어는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링 바디의 외표면에 매듭으로 고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셀프 장식 반지{SELF DECORATION RING}
본 발명은 반지를 구성하는 링 바디에 장식 와이어를 매듭을 이용한 고정 또는 장식부재의 적절한 삽입 고정이 가능하여 셀프 장식이 가능한 셀프 장식 반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신구는 몸치장을 하는 데 쓰는 물건으로서, 통상 반지, 목걸이, 귀고리, 팔찌, 노리개, 비녀, 브로치, 넥타이 핀 등으로 구분된다.
그 중 반지는 금, 은 등의 귀금속재를 링형상으로 형성하여 손가락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링본체의 표면에 장식 모양을 각인하거나, 보석 등의 큐빅을 부착하여 다양하게 제조되고 있다.
반지는 특히 연인 사이를 표시하는 장신구로 많이 사용되며, 통상 연인 이름의 이니셜을 반지의 링본체에 각인하여 표시하고 있다.
또한, 근래에 들어 사용자의 취향이 다양해지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도형, 숫자 또는 사용자 본인 이름의 이니셜과 같은 문자를 반지에 각인하여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반지의 장식을 위해 도형 등을 각인하거나 제조 과정에서 큐빅 등을 고정하는 경우, 향후 장식용 큐빅 등의 변경이 용이하지 못하여 사용자 기호에 대응하는 반지의 구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10-1581016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반지에 장식을 위한 장식부재의 변경 고정이 용이하고, 장식을 위한 와이어 등을 연결 고정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한 셀프 장식 반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삽입되며 측면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링 바디와, 링 바디의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장식 와이어를 포함한다.
장식 와이어는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링 바디의 외표면에 매듭으로 고정될 수 있다.
링 바디의 상기 관통홀 위치에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안착부에는 장식부재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안착부는 링 바디의 관통홀 위치에 형성되는 다각의 안착홈일 수 있다.
안착홈은, 링 바디의 대향하는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한 쌍이 장식부재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링 바디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사용 의미의 부여가 가능한 소정의 색상을 갖는 장식 와이어가 매듭 형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실시예의 셀프 장식 반지를 커플링으로 적용하는 경우, 인연의 의미하는 붉은 색상의 매듭 등으로 링 바디(10)의 장식이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링 바디의 안착홈에는 사용자의 기호에 대응하는 소정 형상의 장식부재가 삽입 고정되는 바, 미려한 심미감의 부여가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 기호에 대응하는 소정 형상이 장식부재(130)를 적절하게 변경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셀프 장식 반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링 바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링 바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셀프 장식 반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장식부재가 링 바디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셀프 장식 반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링 바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링 바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셀프 장식 반지(100)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삽입되며 측면에는 관통홀(11)이 형성된 링 바디(10)와, 링 바디(10)의 관통홀(11)에 삽입되는 장식 와이어(30)를 포함할 수 있다.
링 바디(10)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삽입되는 것으로, 손가락에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반지의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링 바디(10)는 외표면이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피부 손상이 발생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링 바디(10)는 외표면 전체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표면이 일부분이 다각형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링 바디(10)는 사용자의 피부 접촉시 피부 손상을 방지하도록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피부 손상을 방지하는 소정의 표면 코팅 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링 바디(10)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장식 와이어(30)의 고정을 위한 관통홀(11)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1)은 링 바디(10)의 일측에서 관통홀(11)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1)은 링 바디(10)의 측면에 단일개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즉, 관통홀(11)은 본 실시예에서 단일개의 장식 와이어(30)의 고정을 위해 링 바디(10)의 측면에 단일개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장식 와이어(30)를 적어도 2개 이상 링 바디(10)의 측면에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관통홀(11)의 개수도 적어도 2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장식 와이어(30)는 관통홀(11)을 통과하여 형상 변형이 용이한 플렉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장식 와이어(30)는 본 실시예에서 매듭의 형성을 위한 연결실로 적용될 수 있다. 몰론 장식 와이어(30)는 연결실로 반드시 적용되는 것은 아니고 매듭을 형성 하도록 형상 변형이 가능한 소정의 플렉시블 재질로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장식 와이어(30)는 사용자의 기호에 대응하는 소정의 색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본 실시예를 커플 반지로 사용하는 경우 장식 와이어(30)의 색상을 붉은 색상으로 하여 커플 서로간의 인연을 상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장식 와이어(30)는 링 바디(10)의 관통홀(11)을 통과하여 매듭이 링 바디(10)의 표면에 위치되도록 고정되는 바, 장식 기능을 구현하는 매듭과 사용자에게 의미 부여가 가능한 소정의 색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만족감의 향상이 가능하도록 링 바디(10)에 고정될 수 있다.
장식 와이어(30)는 링 바디(10)의 일측에 단일개로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링 바디(10)의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개로 연결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셀프 장식 반지(100)는, 링 바디(10)에 형성된 관통홀(11)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사용 의미의 부여가 가능한 소정의 색상을 갖는 장식 와이어(30)가 매듭 형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실시예의 셀프 장식 반지를 커플링으로 적용하는 경우, 인연의 의미하는 붉은 색상의 매듭 등으로 링 바디(10)의 장식이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셀프 장식 반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장식부재가 링 바디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셀프 장식 반지(200)는, 링 바디(10)의 관통홀(11) 위치에는 안착부(12)가 형성되며, 안착부(12)에는 장식부재(130)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부(12)는 이하에서 링 바디(10)의 관통홀(11) 위치에 형성되는 다각의 안착홈으로 적용될 수 있다. 안착부와 안착부는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안착홈(12)은 링 바디(10)의 측면에 다각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장식부재(130)의 하부가 삽입된 상태로 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12)은 장식부재(130)의 다각형의 하부 부분이 삽입된 상태로 안착되는 것으로, 안착된 상태에 끼움 고정된 상태에서 장식 와이어의 매듭에 의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안착된 상태에서 소정의 접착부재의 고정력에 의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장식부재(130)는 안착홈(12)에 삽입된 상태로 링 바디(10)의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장식부재(130)는 반지를 구성하는 링 바디(10)의 측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기호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꽃 등의 소정의 장식물로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링 바디(10)의 안착홈(12)에는 사용자의 기호에 대응하는 소정 형상의 장식부재(130)가 삽입 고정되는 바, 미려한 심미감의 부여가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 기호에 대응하는 소정 형상이 장식부재(130)를 적절하게 변경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링 바디 11...관통홀
12...안착부, 안착홈 30...장식 와이어
130..장식부재

Claims (4)

  1. 사용자의 손가락에 삽입되며 측면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링 바디; 및
    상기 링 바디의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장식 와이어;
    를 포함하고,
    상기 장식 와이어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링 바디의 외표면에 매듭으로 고정되는, 셀프 장식 반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 바디의 상기 관통홀 위치에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장식부재가 삽입 고정되는, 셀프 장식 반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링 바디의 상기 관통홀 위치에 형성되는 다각의 안착홈인, 셀프 장식 반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상기 링 바디의 대향하는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한 쌍이 상기 장식부재가 삽입 고정되는, 셀프 장식 반지.















KR1020220042039A 2022-04-05 2022-04-05 셀프 장식 반지 KR202301433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039A KR20230143314A (ko) 2022-04-05 2022-04-05 셀프 장식 반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039A KR20230143314A (ko) 2022-04-05 2022-04-05 셀프 장식 반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3314A true KR20230143314A (ko) 2023-10-12

Family

ID=88291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2039A KR20230143314A (ko) 2022-04-05 2022-04-05 셀프 장식 반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331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016B1 (ko) 2014-05-28 2015-12-29 주식회사 이랜드월드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016B1 (ko) 2014-05-28 2015-12-29 주식회사 이랜드월드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6966B2 (en) Interchangeable jewelry clip
JP2007268242A (ja) 装飾石の固着方法および宝飾品
KR20230143314A (ko) 셀프 장식 반지
KR101581016B1 (ko)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
KR200474073Y1 (ko) 장식체의 교체 및 위치 조절이 용이한 장신구.
EP2135519B1 (en) Ornament setting for detachable ornament and jewelry comprising such setting
KR20050107350A (ko) 꽃모양의 장식부재를 가진 반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023327B1 (ko) 마찰식 압입구조의 초경량 라이트 장식볼을 갖는 장식줄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한 장식줄
KR101967202B1 (ko) 디자인 확장성을 갖는 매듭장식구 결합형 액세서리
KR101959518B1 (ko) 매듭장식구 결합형 액세서리
KR200373540Y1 (ko) 보석이 회전되는 장신구
KR200319384Y1 (ko) 꽃모양 장신구
KR101910929B1 (ko) 볼륨 장신구 제조 방법
JP3152383U (ja) アクセサリー
JP3140698U (ja) 装飾部材の係止構造及びその係止構造を有する装飾品
JP2005528153A (ja) 外観を変形させ得る設計の宝飾品
KR200437172Y1 (ko) 반지 겸용 펜던트
KR200215578Y1 (ko) 구슬을 이용한 악세서리
KR200283608Y1 (ko) 목걸이 장식용 기판
KR200179934Y1 (ko) 장신구
KR200193482Y1 (ko) 치장품용 보석 고정구조
JP3140225U (ja) 装身具
KR200431840Y1 (ko) 장식의 교체가 가능한 액세서리
JP3115496U (ja) ピアスイヤリング
KR200261237Y1 (ko) 악세사리용 진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