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6669A - 게이트 구동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게이트 구동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6669A
KR20150136669A KR1020140063639A KR20140063639A KR20150136669A KR 20150136669 A KR20150136669 A KR 20150136669A KR 1020140063639 A KR1020140063639 A KR 1020140063639A KR 20140063639 A KR20140063639 A KR 20140063639A KR 20150136669 A KR20150136669 A KR 20150136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ignal
node
gate
clock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3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4323B1 (ko
Inventor
허용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3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323B1/ko
Priority to US14/535,066 priority patent/US9437168B2/en
Publication of KR20150136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09G3/03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for flexible display surfa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66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74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09G3/3677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8Timing circuits for raster scan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67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other than drivers for liquid crystal, plasma or OLE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4Partial updating of the display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데이터 구동 회로, 게이트 구동 회로 및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한다. 게이트 구동 회로의 제N(N은 자연수) 스테이지는 제1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 신호를 제1 노드에 인가하는 제1 입력부, 제1 노드에 인가된 제1 노드 신호에 응답하여 제2 클럭 신호를 제N 게이트 출력 신호로 출력하는 제1 출력부, 제1 노드 신호에 응답하여 제1 클럭 신호를 제2 노드에 인가하는 제2 입력부, 제2 노드에 인가된 제2 노드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전압을 제N 게이트 출력 신호로 출력하는 제2 출력부, 및 출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출력부를 활성화시키는 출력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게이트 구동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게이트 구동 회로 및 게이트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구동부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및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한다. 구동부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에 게이트 출력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 및 데이터 라인들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 회로를 포함한다. 게이트 구동 회로는 복수의 게이트 출력 신호들을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스테이지들을 포함한다.
최근, 폴더블(foldable) 표시 장치, 플렉서블(flexible) 표시 장치 등 다양한 종류의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휴대용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폴더블 표시 장치 또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 시간에 제한이 있으므로, 소비 전력을 절감시켜 구동 시간을 연장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게이트 출력 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게이트 구동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를 포함하여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목적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게이트 구동 회로는 복수의 게이트 출력 신호들을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스테이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N(N은 자연수) 스테이지는 제1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 신호를 제1 노드에 인가하는 제1 입력부, 상기 제1 노드에 인가된 제1 노드 신호에 응답하여 제2 클럭 신호를 제N 게이트 출력 신호로 출력하는 제1 출력부, 상기 제1 노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클럭 신호를 제2 노드에 인가하는 제2 입력부, 상기 제2 노드에 인가된 제2 노드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전압을 상기 제N 게이트 출력 신호로 출력하는 제2 출력부, 및 출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출력부를 활성화시키는 출력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N 스테이지는 상기 제2 노드 신호 및 상기 제2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N 게이트 출력 신호를 안정화하는 안정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안정화부는 직렬로 연결된 제1 안정화 트랜지스터 및 제2 안정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안정화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1 전압이 인가되는 소스 전극 및 상기 제2 안정화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안정화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2 클럭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 전극, 상기 제1 안정화 트랜지스터의 상기 드레인 전극에 연결된 소스 전극 및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N 스테이지는 상기 제1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노드 신호를 유지시키는 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출력 제어 신호가 제1 논리 레벨인 경우 상기 제1 클럭 신호 및 상기 제2 클럭 신호는 제2 논리 레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 상기 게이트 라인들과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및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복수의 데이터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데이터 구동 회로, 상기 게이트 라인들에 복수의 게이트 출력 신호들을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스테이지들을 포함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 및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 및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를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의 제N(N은 자연수) 스테이지는 제1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 신호를 제1 노드에 인가하는 제1 입력부, 상기 제1 노드에 인가된 제1 노드 신호에 응답하여 제2 클럭 신호를 제N 게이트 출력 신호로 출력하는 제1 출력부, 상기 제1 노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클럭 신호를 제2 노드에 인가하는 제2 입력부, 상기 제2 노드에 인가된 제2 노드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전압을 상기 제N 게이트 출력 신호로 출력하는 제2 출력부, 및 출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출력부를 활성화시키는 출력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 패널은 적어도 하나의 폴딩라인에서 폴드(fold)되는 폴더블(foldable)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폴드되는 경우,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의 상기 스테이지들 중 비표시 영역에 상응하는 비표시 영역 스테이지에 대응하여 상기 출력 제어 신호를 제1 논리 레벨로 출력하고, 상기 제1 클럭 신호 및 상기 제2 클럭 신호를 제2 논리 레벨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 패널은 휘어질 수 있는 플렉서블(flexible)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을 감지하여, 상기 타이밍 제어부에 상기 비표시 영역에 대한 비표시 영역 정보를 제공하는 플렉서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비표시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의 상기 스테이지들 중 상기 비표시 영역에 상응하는 비표시 영역 스테이지에 대응하여 상기 출력 제어 신호를 제1 논리 레벨로 출력하고, 상기 제1 클럭 신호 및 상기 제2 클럭 신호를 제2 논리 레벨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 경우, 기 지정된 길이의 비표시 구간 동안 상기 출력 제어 신호를 제1 논리 레벨로 출력하고, 상기 제1 클럭 신호 및 상기 제2 클럭 신호를 제2 논리 레벨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N 스테이지는 상기 제2 노드 신호 및 상기 제2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N 게이트 출력 신호를 안정화하는 안정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안정화부는 직렬로 연결된 제1 안정화 트랜지스터 및 제2 안정화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정화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1 전압이 인가되는 소스 전극 및 상기 제2 안정화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안정화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2 클럭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 전극, 상기 제1 안정화 트랜지스터의 상기 드레인 전극에 연결된 소스 전극 및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N 스테이지는 상기 제1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노드 신호를 유지시키는 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지부는 상기 제1 클럭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 전극, 제2 전압이 인가되는 소스 전극, 및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유지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입력부는 상기 제1 클럭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 전극, 상기 입력 신호가 인가되는 소스 전극, 및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제1 입력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출력부는 제1 출력 트랜지스터 및 제1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출력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2 클럭 신호가 인가되는 소스 전극, 및 상기 제N 게이트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패시터는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출력 단자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입력부는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1 클럭 신호가 인가되는 소스 전극, 및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제2 입력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출력부는 제2 출력 트랜지스터 및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출력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1 전압이 인가되는 소스 전극, 및 상기 제N 게이트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커패시터는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제1 전압을 출력하는 제1 전압 입력 단자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출력 제어부는 상기 출력 제어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 전극, 제2 전압이 인가되는 소스 전극, 및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출력 제어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게이트 구동 회로는 출력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게이트 출력 신호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게이트 출력 신호의 불필요한 출력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를 포함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는 저주파 구동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가 비표시 영역에서 게이트 출력 신호를 제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게이트 구동 회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게이트 구동 회로에 포함된 제N 스테이지의 일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3의 게이트 구동 회로의 입력 신호들, 노드 신호들 및 출력 신호들의 일 예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6은 도 3의 게이트 구동 회로의 입력 신호들, 노드 신호들 및 출력 신호들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의 표시 장치가 비표시 영역에서 게이트 출력 신호를 제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0A)는 표시 패널(100), 타이밍 제어부(200), 게이트 구동 회로(300) 및 데이터 구동 회로(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000A)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000A)는 액정 표시 장치일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 및 게이트 라인들(GL) 및 데이터 라인들(DL)에 연결된 복수의 화소들(P)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들(P)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게이트 라인들(GL)의 개수는 n개일 수 있다. 데이터 배선들(DL)의 개수는 m개일 수 있다. n 및 m은 자연수이다. 일 실시예에서, 화소들(P)의 개수는 n*m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3개의 화소들(P)이 하나의 화소를 이룰 수 있고, 화소들(P)의 개수는 n*m의 1/3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100)은 적어도 하나의 폴딩라인에서 폴드(fold)되는 폴더블(foldable) 표시 패널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100)은 휘어질 수 있는 플렉서블(flexible) 표시 패널일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200)는 외부의 그래픽 기기와 같은 화상 소스로부터 입력 제어 신호(CONT) 및 입력 영상 데이터(DATA1)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제어 신호(CONT)는 메인 클럭 신호, 수직 동기 신호, 수평 동기 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200)는 입력 제어 신호(CONT)에 기초하여 게이트 구동 회로(300)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CONT1)를 생성하여 게이트 구동 회로(300)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200)는 입력 영상 데이터(DATA1)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100)의 동작 조건에 맞는 데이터 신호(DATA2)를 생성하여 데이터 구동 회로(400)에 공급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200)는 입력 제어 신호(CONT)에 기초하여 데이터 구동 회로(400)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CONT2)를 생성하여 데이터 구동 회로(400)에 공급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200)는 표시 패널(100)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해 제1 제어 신호(CONT1)에 포함된 출력 제어 신호, 제1 클럭 신호 및 제2 클럭 신호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타이밍 제어부(200)는 표시 패널(100)의 비표시 영역의 출력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0)이 적어도 하나의 폴딩라인에서 폴드(fold)되는 폴더블(foldable) 표시 패널인 경우, 타이밍 제어부(200)는 표시 패널(100)이 폴드되는 경우 게이트 구동 회로(300)의 스테이지들 중 비표시 영역에 상응하는 비표시 영역 스테이지에 대응하여 출력 제어 신호를 제1 논리 레벨(예를 들면, 로우 레벨)로 출력하고, 제1 클럭 신호 및 제2 클럭 신호를 제2 논리 레벨(예를 들면, 하이 레벨)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00)이 휘어질 수 있는 플렉서블(flexible) 표시 패널인 경우, 타이밍 제어부(200)는 비표시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게이트 구동 회로(300)의 스테이지들 중 비표시 영역에 상응하는 비표시 영역 스테이지에 대응하여 출력 제어 신호를 제1 논리 레벨로 출력하고, 제1 클럭 신호 및 제2 클럭 신호를 제2 논리 레벨로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타이밍 제어부(200)는 구동 기간을 분할하여 저주파 구동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밍 제어부(200)는 이전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와 비교하여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200)는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 경우, 기 지정된 길이의 비표시 구간 동안 출력 제어 신호를 제1 논리 레벨로 출력하고, 제1 클럭 신호 및 제2 클럭 신호를 제2 논리 레벨로 출력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 회로(300)는 타이밍 제어부(200)로부터 수신되는 제1 제어신호(CONT1)에 기초하여 각각의 프레임마다 게이트 라인들(GL)에 순차적으로 게이트 출력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 회로(300)는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여 출력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게이트 출력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 회로(400)는 타이밍 제어부(200)로부터 수신되는 제2 제어신호(CONT2)에 기초하여 타이밍 제어부(2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DATA2)를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고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이 밖에도, 표시 장치(1000A)는 전압 생성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압 생성부는 외부 전원을 공급받고, 이에 기초하여 게이트 구동 회로(300)를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 전압을 생성하여 게이트 구동 회로(300)에 공급하고, 데이터 구동 회로(400)를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 전압을 생성하여 데이터 구동 회로(400)에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000A)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인 경우, 전압 생성부는 유기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제1 전원 전압 및 제2 전원 전압을 생성하여 표시 패널(100)에 공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000A)가 액정 표시 장치인 경우 전압 생성부는 공통 전압 및 스토리지 전압을 생성하여 표시 패널(100)에 공급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00A)는 출력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게이트 출력 신호를 제어함으로써, 게이트 출력 신호의 불필요한 출력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표시 장치(1000A)는 폴더블 표시 패널 또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을 비활성화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00A)는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 경우 저주파 구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가 비표시 영역에서 게이트 출력 신호를 제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A)는 적어도 하나의 폴딩라인에서 폴드되는 폴더블 표시 패널일 수 있다. 폴더블 표시 패널은 폴딩라인(FP)을 기준으로 폴드되고,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A)으로 구분될 수 있다.
표시 장치에 포함된 게이트 구동 회로는 표시 영역(DA)에 상응하는 게이트 출력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비표시 영역(NA)에 상응하는 게이트 출력 신호들의 출력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게이트 출력 신호 내지 제n 게이트 출력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에서, 제m 게이트 출력 신호(G(m))를 기준으로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A)이 구분될 수 있다. 즉, 표시 영역(DA)이 제1 게이트 출력 신호 내지 제m 게이트 출력 신호에 상응하는 경우, 게이트 구동 회로는 제1 게이트 출력 신호 내지 제m 게이트 출력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제m+1 게이트 출력 신호 내지 제n 게이트 출력 신호는 출력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더블 표시 장치는 센서를 이용하여 폴더블 표시 패널이 폴드됨을 인식할 수 있다. 폴더블 표시 패널이 폴드되는 경우, 출력 제어 신호 및 클럭 신호를 타이밍 제어부는 비표시 영역(NA)에 상응하는 비표시 영역 스테이지에 대응하여 출력 제어 신호, 제1 클럭 신호, 및 제2 클럭 신호를 조정함으로서, 비표시 영역(NA)에서 불필요한 영상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게이트 구동 회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게이트 구동 회로에 포함된 제N 스테이지의 일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3의 게이트 구동 회로의 입력 신호들, 노드 신호들 및 출력 신호들의 일 예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게이트 구동 회로(300)는 서로 종속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스테이지들(SRC1, SRC2, SRC3, SRC4, ...)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테이지들(SRC1, SRC2, SRC3, SRC4, ...) 각각은 제1 클럭 단자(CK1), 제2 클럭 단자(CK2), 출력 제어 단자(GP), 입력 단자(G(n-1)), 및 출력 단자(G(n))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스테이지들(SRC1, SRC2, SRC3, SRC4, ...) 각각은 제1 전압 입력 단자 및 제2 전압 입력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클럭 단자(CK1) 및 제2 클럭 단자(CK2)에는 서로 다른 타이밍을 갖는 제1 게이트 클럭 신호(CLK1) 및 제2 게이트 클럭 신호(CLK2)가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게이트 클럭 신호(CLK2)는 제1 게이트 클럭 신호(CLK1)의 반전 신호일 수 있다. 이웃한 스테이지에서 제1 게이트 클럭 신호(CLK1) 및 제2 게이트 클럭 신호(CLK2)는 서로 반대로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수 번째 스테이지(SRC1, SRC3, ...)의 제1 클럭 단자(CK1)에는 제1 게이트 클럭 신호(CLK1)가 인가되고, 제2 클럭 단자(CK2)에는 제2 게이트 클럭 신호(CLK2)가 공급될 수 있다. 반대로, 짝수 번째 스테이지(SRC2, SRC4, ...)의 제1 클럭 단자(CK1)에는 제2 게이트 클럭 신호(CLK2)가 인가되고, 제2 클럭 단자(CK2)에는 제1 게이트 클럭 신호(CLK1)가 인가될 수 있다.
출력 제어 단자(GP)에는 출력 제어 신호(GPS)가 인가될 수 있다. 출력 제어 신호(GPS)는 모든 스테이지들에 인가되어 표시 패널 전체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 단자(G(n-1))에는 수직 개시 신호(SSP) 또는 이전 스테이지의 게이트 출력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즉, 첫 번째 스테이지인 제1 스테이지(SRC1)의 입력 단자(G(N-1))에는 수직개시신호(SSP)가 인가되고, 제2 내지 제n 스테이지(SRC2 내지 SRCn)의 입력 단자(G(n-1))에는 이전 스테이지의 게이트 출력 신호가 각각 인가될 수 있다.
출력 단자(G(n))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게이트 라인에 게이트 출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수 번째 스테이지(SRC1, SRC3, ...)의 출력 단자(G(n))에서 출력되는 게이트 출력 신호(G(1), G(3), ...)는 제2 게이트 클럭 신호(CLK2)의 로우 레벨 구간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짝수 번째 스테이지(SRC2, SRC4, ...)의 출력 단자(G(n))에서 출력되는 게이트 출력 신호(G(2), G(4), ...)는 제1 게이트 클럭 신호(CLK1)의 로우 레벨 구간에 출력될 수 있다.
제1 전압 입력 단자에는 전압 생성부로부터 제1 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압은 하이 레벨 전압일 수 있다. 제2 전압 입력 단자에는 전압 생성부로부터 제2 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압은 로우 레벨 전압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구동회로의 제N(N은 자연수) 스테이지(300A)는 제1 입력부(310), 제1 출력부(320), 제2 입력부(330), 제2 출력부(340), 출력 제어부(350), 안정화부(360) 및 유지부(3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N 스테이지(300A)의 입력 단자(G(n-1))에는 입력 신호, 제1 클럭 단자(CK1)에는 제1 클럭 신호, 제2 클럭 단자(CK2)에는 제2 클럭 신호, 제1 전압 입력 단자(VGH)에는 제1 전압, 제1 전압 입력 단자(VGL)에는 제2 전압이 각각 인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N이 홀수인 경우, 제1 클럭 신호는 제1 게이트 클럭 신호이고 제2 클럭 신호는 제2 게이트 클럭 신호일 수 있다. 또한, N이 짝수인 경우, 제1 클럭 신호는 제2 게이트 클럭 신호이고 제2 클럭 신호는 제1 게이트 클럭 신호일 수 있다. 제N 스테이지(300A)는 출력 단자(G(n))로 제N 게이트 출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입력부(310)는 제1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 신호를 제1 노드(Q)에 인가할 수 있다. 제1 입력부(310)는 제1 클럭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 전극, 입력 신호가 인가되는 소스 전극, 및 제1 노드(Q)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제1 입력 트랜지스터(T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출력부(320)는 제1 노드(Q)에 인가된 제1 노드 신호에 응답하여 제2 클럭 신호를 제N 게이트 출력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출력부(320)는 제1 노드(Q)에 인가된 제1 노드 신호에 응답하여 제N 게이트 출력 신호를 제1 논리 레벨(예를 들면, 로우 레벨)로 제어할 수 있다. 제1 출력부(320)는 제1 출력 트랜지스터(T7) 및 제1 커패시터(C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출력 트랜지스터(T7)는 제1 노드(Q)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2 클럭 신호가 인가되는 소스 전극, 및 제N 게이트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G(n))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패시터(C1)은 제1 노드(Q)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N 게이트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G(n))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입력부(330)는 제1 노드 신호에 응답하여 제1 클럭 신호를 제2 노드(QB)에 인가할 수 있다. 제2 입력부(330)는 제1 노드(Q)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1 클럭 신호가 인가되는 소스 전극, 및 제2 노드(QB)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제2 입력 트랜지스터(T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출력부(340)는 제2 노드(QB)에 인가된 제2 노드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전압을 제N 게이트 출력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출력부(320)는 제2 노드(QB)에 인가된 제2 노드 신호에 응답하여 제N 게이트 출력 신호를 제2 논리 레벨(예를 들면, 하이 레벨)로 제어할 수 있다. 제2 출력부(340)는 제2 출력 트랜지스터(T6) 및 제2 커패시터(C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출력 트랜지스터(T6)는 제2 노드(QB)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1 전압이 인가되는 소스 전극, 및 제N 게이트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G(n))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패시터(C2)는 제2 노드(QB)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1 전압을 출력하는 제1 전압 입력 단자(VGH)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제어부(350)는 출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출력부(32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출력 제어부(350)는 출력 제어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 전극, 제2 전압이 인가되는 소스 전극, 및 제1 노드(Q)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출력 제어 트랜지스터(T8)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든 스테이지들에서 동시에 게이트 출력 신호를 출력할 필요가 있거나, 게이트 출력 신호를 출력할 필요가 없는 경우, 출력 제어부(350)에 출력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게이트 출력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출력 제어 신호가 제1 논리 레벨인 경우, 제1 클럭 신호 및 제2 클럭 신호는 제2 논리 레벨을 갖도록 제어함으로써, 게이트 출력 신호의 출력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제1 논리 레벨인 출력 제어 신호가 출력 제어부(350)에 인가되어 출력 제어부(350)가 턴-온되고, 제1 출력부(32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제1 출력부(320)가 활성화되어 턴-온됨에 따라, 제N 게이트 출력 신호로 제2 클럭 신호인 제2 논리 레벨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더블 표시 패널 또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에서 비표시 영역을 갖는 경우, 게이트 구동 회로의 스테이지들 중 비표시 영역에 상응하는 비표시 영역 스테이지에 대응하여 출력 제어 신호가 제1 논리 레벨로 출력되고, 제1 클럭 신호 및 제2 클럭 신호가 제2 논리 레벨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 경우, 기 지정된 길이의 비표시 구간 동안 출력 제어 신호가 제1 논리 레벨로 출력되고, 제1 클럭 신호 및 제2 클럭 신호가 제2 논리 레벨로 출력될 수 있다.
안정화부(360)는 제2 노드 신호 및 제2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제N 게이트 출력 신호를 안정화할 수 있다. 안정화부(360)는 직렬로 연결된 제1 안정화 트랜지스터(T2) 및 제2 안정화 트랜지스터(T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정화 트랜지스터(T2)는 제2 노드(QB)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1 전압이 인가되는 소스 전극 및 제2 안정화 트랜지스터(T3)의 소스 전극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안정화 트랜지스터(T3)는 제2 클럭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 전극, 제1 안정화 트랜지스터(T2)의 드레인 전극에 연결된 소스 전극 및 제1 노드(Q)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유지부(370)는 제1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제2 노드 신호를 유지시킬 수 있다. 유지부(370)는 제1 클럭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 전극, 제2 전압이 인가되는 소스 전극, 및 제2 노드(QB)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유지 트랜지스터(T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지부(370)는 제1 클럭 신호가 제2 논리 레벨을 가지면 유지 스위칭 소자(T5)는 턴-오프될 수 있다. 제1 클럭 신호가 제1 논리 레벨을 가지면 유지 스위칭 소자(T5)는 턴-온되어 제2 노드(QB)의 전압을 제2 전압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제어 신호(GPS), 제1 게이트 클럭 신호(CLK1) 및 제2 게이트 클럭 신호(CLK2)가 조정됨으로써,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의 출력을 제한할 수 있다.
제1 스테이지 내지 제n 스테이지 중,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제1 스테이지 내지 제m 스테이지에 대응하여 출력 제어 신호(GPS)는 제2 논리 레벨(예를 들면, 하이 레벨)로 유지되고, 제1 게이트 클럭 신호(CLK1) 및 제2 게이트 클럭 신호(CLK2)는 서로 다른 타이밍을 갖는 클럭 신호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게이트 출력 신호 내지 제m 게이트 출력 신호(G(1), G(2), ..., G(m))는 순차적으로 출력되고, 표시 영역에서 영상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반면에, 비표시 영역인 제m+1 스테이지 내지 제n 스테이지에 대응하여 출력 제어 신호(GPS)는 제1 논리 레벨(예를 들면, 로우 레벨)로 유지되고, 제1 게이트 클럭 신호(CLK1) 및 제2 게이트 클럭 신호(CLK2)는 제2 논리 레벨(예를 들면, 하이 레벨)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m+1 게이트 출력 신호 내지 제n 게이트 출력 신호(G(m+1), ..., G(n))는 출력이 제한되고, 비표시 영역에서 영상 데이터가 불필요하게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의 출력을 제한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 스테이지에 대응하여 제1 게이트 클럭 신호(CLK1) 및 제2 게이트 클럭 신호(CLK2)의 클럭 신호를 생성하지 않으므로 내부적으로 차징(charging)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인 경우, 비표시 영역에서 게이트 출력 신호들의 출력을 제한함으로써, 유기 발광 소자가 발광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는 출력 제어 신호(GPS), 제1 게이트 클럭 신호(CLK1) 및 제2 게이트 클럭 신호(CLK2)를 조정하고,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의 출력을 제한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게이트 구동 회로의 입력 신호들, 노드 신호들 및 출력 신호들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 경우 기 지정된 길이의 비표시 구간 동안 출력 제어 신호(GPS)를 제1 논리 레벨(예를 들면, 로우 레벨)로 출력하고, 제1 게이트 클럭 신호(CLK1) 및 제2 게이트 클럭 신호(CLK2)를 제2 논리 레벨(예를 들면, 하이 레벨)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 경우 동일한 영상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출력될 필요가 없으므로, 표시 장치는 출력 제어 신호(GPS), 제1 게이트 클럭 신호(CLK1) 및 제2 게이트 클럭 신호(CLK2)를 조정하여 저주파 구동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표시 기간 동안 제1 스테이지 내지 제n 스테이지에서 출력 제어 신호(GPS)는 제2 논리 레벨(예를 들면, 하이 레벨)로 유지되고, 제1 게이트 클럭 신호(CLK1) 및 제2 게이트 클럭 신호(CLK2)는 서로 다른 타이밍을 갖는 클럭 신호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게이트 출력 신호 내지 제m 게이트 출력 신호(G(1), G(2), ..., G(m))는 순차적으로 출력되고, 표시 영역에서 영상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저주파 구동을 위해 기 지정된 길이의 제1 비표시 기간 동안, 출력 제어 신호(GPS)가 제1 논리 레벨로 출력되고, 제1 게이트 클럭 신호(CLK1) 및 제2 게이트 클럭 신호(CLK2)가 제2 논리 레벨로 출력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게이트 출력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표시 기간과 게이트 출력 신호들을 출력하지 않는 비표시 기간을 반복적으로 가짐으로써 저주파 구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비표시 기간의 길이는 플리커(flicker)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길이로 조정될 수 있다. 플리커 현상은 표시 패널의 크기, 종류 및 영상 데이터의 계조에 상응하여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저주파 구동 기간의 길이는 표시 패널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표시 기간은 표시 기간과 동일한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초에 60개의 프레임 데이터를 출력하는 표시 장치에서,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 경우 표시 기간과 비표시 기간을 반복함으로써 표시 장치는 1초에 30개의 프레임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저주파 구동 기간은 영상 데이터의 계조를 분석하여 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 장치는 저주파 구동을 수행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0B)는 표시 패널(100), 타이밍 제어부(200), 게이트 구동 회로(300), 데이터 구동 회로(400) 및 플렉서블 감지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B)는 플렉서블 감지부(500)가 추가된 것을 제외하면, 도 1의 표시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 및 게이트 라인들(GL) 및 데이터 라인들(DL)에 연결된 복수의 화소들(P)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휘어질 수 있는 플렉서블(flexible) 표시 패널일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패널은 롤링(rolling)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100)은 하나의 축을 기준으로 롤링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100)는 표시 패널(100)에 복수의 축을 기준으로 롤링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200)는 외부의 그래픽 기기와 같은 화상 소스로부터 입력 제어 신호(CONT) 및 입력 영상 데이터(DATA1)를 수신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200)는 입력 제어 신호(CONT)에 기초하여 게이트 구동 회로(300)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CONT1)를 생성하여 게이트 구동 회로(300)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200)는 입력 영상 데이터(DATA1)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100)의 동작 조건에 맞는 데이터 신호(DATA2)를 생성하여 데이터 구동 회로(400)에 공급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200)는 입력 제어 신호(CONT)에 기초하여 데이터 구동 회로(400)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CONT2)를 생성하여 데이터 구동 회로(400)에 공급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200)는 표시 패널(100)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해 제1 제어 신호(CONT1)에 포함된 출력 제어 신호, 제1 클럭 신호 및 제2 클럭 신호를 조정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200)는 플렉서블 감지부(500)로부터 수신한 비표시 영역 정보(NI)를 이용하여 게이트 구동 회로(300)의 스테이지들 중 비표시 영역에 상응하는 비표시 영역 스테이지에 대응하여 출력 제어 신호를 제1 논리 레벨(예를 들면, 로우 레벨)로 출력하고, 제1 클럭 신호 및 제2 클럭 신호를 제2 논리 레벨(예를 들면, 하이 레벨)로 출력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 회로(300)는 타이밍 제어부(200)로부터 수신되는 제1 제어신호(CONT1)에 기초하여 각각의 프레임마다 게이트 라인들(GL)에 순차적으로 게이트 출력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 회로(300)는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여 출력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게이트 출력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 회로(400)는 타이밍 제어부(200)로부터 수신되는 제2 제어신호(CONT2)에 기초하여 타이밍 제어부(2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DATA2)를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고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플렉서블 감지부(500)는 표시 패널(100)의 비표시 영역을 감지하여, 타이밍 제어부(200)에 비표시 영역에 대한 비표시 영역 정보(NI)를 제공할 수 있다. 플렉서블 감지부(500)는 표시 패널(100)이 롤링되면, 롤링 특성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감지부(500)는 표시 패널(100)에 배치된 벤드 센서(bend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벤드 센서는 그 자체로 구부러질 수 있으며 구부러지는 정도에 따라 저항값이 달라지는 특성을 가지는 센서를 의미한다. 벤드 센서는 광섬유 벤드 센서나, 압력 센서,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이 휘어지는 경우, 표시 패널(100)에 배치된 벤드 센서도 함께 휘어지며, 벤드 센서는 가해지는 장력의 세기에 대응되는 저항값을 출력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감지부(500)는 벤드 센서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 또는 벤드 센서를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이용하여 벤드 센서의 저항값을 감지하고, 그 저항값의 크기에 따라 해당 벤드 센서의 위치에서의 벤딩 상태를 감지함으로써, 비표시 영역을 감지할 수 있다. 플렉서블 감지부(500)는 비표시 영역에 대한 위치, 지속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표시 영역 정보(NI)를 타이밍 제어부(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밖에도, 표시 장치(1000B)는 전압 생성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표시 장치가 비표시 영역에서 게이트 출력 신호를 제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B)은 휘어질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일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패널은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A)으로 구분될 수 있다.
표시 장치에 포함된 게이트 구동 회로는 표시 영역(DA)에 상응하는 게이트 출력 신호들은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비표시 영역(NA)에 상응하는 게이트 출력 신호들은 출력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제1 게이트 출력 신호 내지 제n 게이트 출력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에서, 표시 영역(DA)이 제1 게이트 출력 신호 내지 제m 게이트 출력 신호에 상응하는 경우, 게이트 구동 회로는 제1 게이트 출력 신호(G(1)) 내지 제m 게이트 출력 신호(G(m))를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제m+1 게이트 출력 신호(G(m+1)) 내지 제n 게이트 출력 신호는 출력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센서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표시 패널이 휘어짐으로 인해 비표시 영역(NA)이 발생함을 인식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패널이 비표시 영역(NA)이 존재하는 경우, 출력 제어 신호 및 클럭 신호를 타이밍 제어부는 비표시 영역(NA)에 상응하는 비표시 영역 스테이지에 대응하여 출력 제어 신호, 제1 클럭 신호, 및 제2 클럭 신호를 조정함으로서, 비표시 영역(NA)에서 불필요한 영상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게이트 구동 회로 및 게이트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및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는 표시 장치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표시 장치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피엠피(PMP), 피디에이(PDA),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캠코더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0A, 1000B: 표시 장치 100, 100A, 100B: 표시 패널
200: 타이밍 제어부 300: 게이트 구동 회로
400: 데이터 구동 회로 310: 제1 입력부
320: 제1 출력부 330: 제2 입력부
340: 제2 출력부 350: 출력 제어부
360: 안정화부 370: 유지부

Claims (20)

  1. 복수의 게이트 출력 신호들을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스테이지들을 포함하고, 제N(N은 자연수) 스테이지는
    제1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 신호를 제1 노드에 인가하는 제1 입력부;
    상기 제1 노드에 인가된 제1 노드 신호에 응답하여 제2 클럭 신호를 제N 게이트 출력 신호로 출력하는 제1 출력부;
    상기 제1 노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클럭 신호를 제2 노드에 인가하는 제2 입력부;
    상기 제2 노드에 인가된 제2 노드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전압을 상기 제N 게이트 출력 신호로 출력하는 제2 출력부; 및
    출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출력부를 활성화시키는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N 스테이지는
    상기 제2 노드 신호 및 상기 제2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N 게이트 출력 신호를 안정화하는 안정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부는 직렬로 연결된 제1 안정화 트랜지스터 및 제2 안정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안정화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1 전압이 인가되는 소스 전극 및 상기 제2 안정화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안정화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2 클럭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 전극, 상기 제1 안정화 트랜지스터의 상기 드레인 전극에 연결된 소스 전극 및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N 스테이지는
    상기 제1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노드 신호를 유지시키는 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 신호가 제1 논리 레벨인 경우 상기 제1 클럭 신호 및 상기 제2 클럭 신호는 제2 논리 레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
  6.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 상기 게이트 라인들과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및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복수의 데이터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데이터 구동 회로;
    상기 게이트 라인들에 복수의 게이트 출력 신호들을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스테이지들을 포함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 및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 및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를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의 제N(N은 자연수) 스테이지는
    제1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 신호를 제1 노드에 인가하는 제1 입력부;
    상기 제1 노드에 인가된 제1 노드 신호에 응답하여 제2 클럭 신호를 제N 게이트 출력 신호로 출력하는 제1 출력부;
    상기 제1 노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클럭 신호를 제2 노드에 인가하는 제2 입력부;
    상기 제2 노드에 인가된 제2 노드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전압을 상기 제N 게이트 출력 신호로 출력하는 제2 출력부; 및
    출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출력부를 활성화시키는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적어도 하나의 폴딩라인에서 폴드(fold)되는 폴더블(foldable) 표시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폴드되는 경우,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의 상기 스테이지들 중 비표시 영역에 상응하는 비표시 영역 스테이지에 대응하여 상기 출력 제어 신호를 제1 논리 레벨로 출력하고, 상기 제1 클럭 신호 및 상기 제2 클럭 신호를 제2 논리 레벨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휘어질 수 있는 플렉서블(flexible) 표시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을 감지하여, 상기 타이밍 제어부에 상기 비표시 영역에 대한 비표시 영역 정보를 제공하는 플렉서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비표시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의 상기 스테이지들 중 상기 비표시 영역에 상응하는 비표시 영역 스테이지에 대응하여 상기 출력 제어 신호를 제1 논리 레벨로 출력하고, 상기 제1 클럭 신호 및 상기 제2 클럭 신호를 제2 논리 레벨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 경우, 기 지정된 길이의 비표시 구간 동안 상기 출력 제어 신호를 제1 논리 레벨로 출력하고, 상기 제1 클럭 신호 및 상기 제2 클럭 신호를 제2 논리 레벨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N 스테이지는
    상기 제2 노드 신호 및 상기 제2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N 게이트 출력 신호를 안정화하는 안정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부는 직렬로 연결된 제1 안정화 트랜지스터 및 제2 안정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안정화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1 전압이 인가되는 소스 전극 및 상기 제2 안정화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안정화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2 클럭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 전극, 상기 제1 안정화 트랜지스터의 상기 드레인 전극에 연결된 소스 전극 및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N 스테이지는
    상기 제1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노드 신호를 유지시키는 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제1 클럭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 전극;
    제2 전압이 인가되는 소스 전극; 및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유지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부는
    상기 제1 클럭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 전극;
    상기 입력 신호가 인가되는 소스 전극; 및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제1 입력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부는 제1 출력 트랜지스터 및 제1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출력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2 클럭 신호가 인가되는 소스 전극, 및 상기 제N 게이트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커패시터는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출력 단자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부는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1 클럭 신호가 인가되는 소스 전극; 및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제2 입력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력부는 제2 출력 트랜지스터 및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출력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1 전압이 인가되는 소스 전극, 및 상기 제N 게이트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커패시터는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제1 전압을 출력하는 제1 전압 입력 단자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부는
    상기 출력 제어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 전극;
    제2 전압이 인가되는 소스 전극; 및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출력 제어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140063639A 2014-05-27 2014-05-27 게이트 구동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174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639A KR102174323B1 (ko) 2014-05-27 2014-05-27 게이트 구동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4/535,066 US9437168B2 (en) 2014-05-27 2014-11-06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639A KR102174323B1 (ko) 2014-05-27 2014-05-27 게이트 구동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669A true KR20150136669A (ko) 2015-12-08
KR102174323B1 KR102174323B1 (ko) 2020-11-05

Family

ID=54702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639A KR102174323B1 (ko) 2014-05-27 2014-05-27 게이트 구동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37168B2 (ko)
KR (1) KR10217432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1800A (ko) * 2016-01-04 2017-07-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90139356A (ko) * 2018-06-07 2019-12-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캔 구동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00033567A (ko) * 2018-09-20 2020-03-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시프트레지스터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20200083736A (ko) * 2018-12-28 2020-07-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부분 구동 모드를 지원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011083B2 (en) 2019-04-03 2021-05-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107398B2 (en) 2019-04-18 2021-08-31 Samsung Display Co., Ltd. Selective pixel driv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417264B2 (en) 2020-09-29 2022-08-16 Samsung Display Co., Ltd. Scan driv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638B1 (ko) * 2015-09-09 2021-11-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주사 구동부
CN106814803A (zh) * 2015-11-30 2017-06-0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设备及皮套
CN107221277A (zh) * 2016-03-21 2017-09-2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屏组件、终端以及显示屏控制方法
KR102581368B1 (ko) * 2016-07-07 2023-09-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TWI619103B (zh) * 2016-09-23 2018-03-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可撓式顯示器
CN109389953A (zh) * 2017-08-08 2019-02-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扫描驱动电路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CN110211544A (zh) 2018-04-13 2019-09-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栅极驱动模组、栅极驱动控制方法和显示装置
CN111192545B (zh) * 2019-02-27 2022-09-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栅极驱动电路、栅极驱动方法、折叠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3823207A (zh) 2020-06-18 2021-12-21 华为技术有限公司 驱动控制方法及相关设备
KR20220001555A (ko) * 2020-06-29 2022-01-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30155064A (ko) 2022-05-02 2023-1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캔구동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88479A1 (en) * 2011-10-11 2013-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US20130285888A1 (en) * 2012-04-26 2013-10-31 Bo-Yong Chung Scan driv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WO2013175212A2 (en) * 2012-05-22 2013-11-28 Plastic Logic Limited Electronic reading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5890A (ko) 2010-08-13 2012-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2500898B1 (en) 2011-03-18 2023-01-18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foldable display
CN102651192A (zh) 2011-06-21 2012-08-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源矩阵有机发光二极体面板及其驱动电路与方法
KR101892959B1 (ko) 2012-08-22 2018-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88479A1 (en) * 2011-10-11 2013-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US20130285888A1 (en) * 2012-04-26 2013-10-31 Bo-Yong Chung Scan driv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WO2013175212A2 (en) * 2012-05-22 2013-11-28 Plastic Logic Limited Electronic reading device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1800A (ko) * 2016-01-04 2017-07-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90139356A (ko) * 2018-06-07 2019-12-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캔 구동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00033567A (ko) * 2018-09-20 2020-03-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시프트레지스터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20200083736A (ko) * 2018-12-28 2020-07-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부분 구동 모드를 지원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011083B2 (en) 2019-04-03 2021-05-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107398B2 (en) 2019-04-18 2021-08-31 Samsung Display Co., Ltd. Selective pixel driv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417264B2 (en) 2020-09-29 2022-08-16 Samsung Display Co., Ltd. Scan dri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4323B1 (ko) 2020-11-05
US9437168B2 (en) 2016-09-06
US20150348508A1 (en) 2015-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4323B1 (ko) 게이트 구동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131874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9613582B2 (en) Gate driver integrated on display panel
KR101396942B1 (ko) 게이트 구동부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5403879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2278390B1 (ko) 구동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150310812A1 (en) Source driver
US10262579B2 (en) Drive system and drive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KR101481701B1 (ko) 타이밍 제어장치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100098925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30013766A (ko) 게이트 구동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14071451A (ja) 液晶表示装置
KR20140057794A (ko) 게이트 구동 회로,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 구동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00083955A (ko) 표시 패널 구동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패널 구동 장치 및 이 표시패널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306579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090113079A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회로
KR102288524B1 (ko) 표시장치
KR20160005839A (ko) 표시장치
US10127874B2 (en) Scan driv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08186011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9779675B2 (en) Variable gate clock generator,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device
JP2010122652A (ja) 階調電圧の提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101818465B1 (ko)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KR102420545B1 (ko) 게이트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30062166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