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5037A - 고요산혈증 또는 통풍에 유효한 섬쑥부쟁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화합물 - Google Patents

고요산혈증 또는 통풍에 유효한 섬쑥부쟁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5037A
KR20150135037A KR1020140121178A KR20140121178A KR20150135037A KR 20150135037 A KR20150135037 A KR 20150135037A KR 1020140121178 A KR1020140121178 A KR 1020140121178A KR 20140121178 A KR20140121178 A KR 20140121178A KR 20150135037 A KR20150135037 A KR 20150135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fe
days
gout
extract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1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0842B1 (ko
Inventor
김형자
진창배
손민정
이용섭
육창수
이재열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US14/717,016 priority Critical patent/US9527879B2/en
Publication of KR20150135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5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5/00Compounds containing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5/18Acyclic radicals, substituted by carb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5/00Compounds containing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5/20Carbocyclic rings
    • C07H15/207Cyclohexane rings not substituted by nitrogen atoms, e.g. kasugamyc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9Complex extraction schemes, e.g. fractionation or repeated extraction ste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요산혈증 또는 통풍의 치료, 예방 및 개선에 유효한 섬쑥부쟁이 (Aster glehni) 추출물, 이의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섬쑥부쟁이 (Aster glehni) 추출물, 이의 분획물, 그리고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활성화합물로서 6'-O-카페오일엠플롭시시오노사이드 (6'-O-caffeoylampelopsisionoside), 6'-O-카페오일로세오사이드 (6'-O-caffeoylroseoside), 6'-O-카페오일손츄이오노사이드 씨 (6'-O-caffeoylsonchuinoside C), 6'-O-카페오일디히드로시린진 (6'-O-caffeoyldihydrosyringin), 글레노사이드 (glehnoside)는 요산의 생성 억제 효능 및 농도 강하 효능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섬쑥부쟁이 (Aster glehni) 추출물, 이의 분획물, 그리고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활성화합물은 요산의 농도 증가로 인하여 유발되는 질환으로서 고요산혈증 또는 통풍의 치료, 예방 및 개선이 필요한 의약품, 건강식품 등의 활성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고요산혈증 또는 통풍에 유효한 섬쑥부쟁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화합물 {Aster glehni extracts, fractions or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Hyperuricemia or Gout}
본 발명은 고요산혈증 또는 통풍의 치료, 예방 및 개선에 유효한 섬쑥부쟁이 (Aster glehni) 추출물, 이의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서구화된 식생활로 인하여 요산의 섭취량이 증가하게 되고, 또한 요산이 제대로 분해되지 못하고 체내에 축적되어 고요산혈증 (Hyperuricemia) 또는 통풍 (Gout) 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고요산혈증이나 통풍은 알콜이나 육류의 내장, 해산물의 섭취가 증가하면서 발생빈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고혈압, 고지혈증, 암, 당뇨병 및 비만 등으로의 확대 가능성이 증가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통풍은 주로 40∼50 세 남성에서 흔하지만 최근 식생활이 변하면서 발생 연령이 점점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며, 장기이식 수술 후 면역억제제를 장기 복용중이거나 이뇨제를 장기 복용하거나 신기능이 저하된 여성에서는 가임기 연령에서도 통풍이 생기기 쉽다. 현재 통풍 치료제로 사용되는 알로퓨리놀 (allopurinol), 벤즈브로마론 (benzbromarone), 설핀피라존 (sulfinpyrazone), 프로베네시드 (probenecid)는 1950년에서 1960년대에 개발된 약물이다. 상기 약물 중 알로퓨리놀은 통풍치료에 가장 잘 알려진 약물이지만 간질성 신염, 신장장애, 간 독성, 혈관염, 피부 발진 이외에도 생명을 위협하는 과민성 증후군까지 일으키는 독성이 우려되고 있다. 벤즈브로마론은 임상에서 사용된 가장 강력한 통풍치료제이나 심각한 간독성으로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설핀피라존과 프로베네시드는 최근까지 사용된 약물이지만 신장기능 장애를 초래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통풍은 요산함량의 증가가 직접적인 발병 원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요산함량 강하에 탁월한 효능을 가지는 새로운 천연 통풍치료제의 개발하고자 연구 노력하였다.
한편 본 연구자들은 다양한 천연물로부터 요산함량 강하에 탁월한 효능을 가지는 약물을 개발하고자 탐색하던 중 섬쑥부쟁이 (Aster glehni)이 항염증, 항경련, 진정 또는 수면 유도에 탁월한 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현재까지 발표된 문헌에 의하면, 섬쑥부쟁이 (Aster glehni)가 요산함량 강하에 탁월한 효능을 가지고 있음에 대해서는 전혀 보고된 바가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333,982호,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진정 또는 수면유도용 약제학적 조성물" 한국등록특허 1,382,099호, "섬쑥부쟁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경련용 조성물"
본 발명은 활성성분으로서 섬쑥부쟁이 (Aster glehni)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특정의 활성화합물이 포함되어 있는 고요산혈증 또는 통풍의 치료,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섬쑥부쟁이 (Aster glehni)로부터 혈중 요산강하에 유효한 활성화합물의 분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 화합물로서 상기 활성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섬쑥부쟁이 (Aster glehni)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통풍의 치료, 예방 및 개선용 약제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활성성분으로서 6'-O-카페오일엠플롭시시오노사이드 (6'-O-caffeoylampelopsisionoside), 6'-O-카페오일로세오사이드 (6'-O-caffeoylroseoside), 6'-O-카페오일손츄이오노사이드 씨 (6'-O-caffeoylsonchuinoside C), 6'-O-카페오일디히드로시린진 (6'-O-caffeoyldihydrosyringin) 및 글레노사이드 (glehnos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이의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이 포함되어 있는 고요산혈증 또는 통풍의 치료, 예방 및 개선용 약제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1) 섬쑥부쟁이의 지상부 또는 지하부를 디클로로메탄, 아세톤, 아세톤 수용액, C1∼4알콜 및 C1∼4알콜 수용액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용매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2) 상기 용매추출물을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3)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6'-O-카페오일엠플롭시시오노사이드 (6'-O-caffeoylampelopsisionoside), 6'-O-카페오일로세오사이드 (6'-O-caffeoylroseoside), 6'-O-카페오일손츄이오노사이드 씨 (6'-O-caffeoylsonchuinoside C), 6'-O-카페오일디히드로시린진 (6'-O-caffeoyldihydrosyringin) 및 글레노사이드 (glehnoside)를 각각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섬쑥부쟁이로부터 혈중 요산강하에 유효한 활성화합물의 분리방법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신규 화합물로서 6'-O-카페오일엠플롭시시오노사이드 (6'-O-caffeoylampelopsisionoside); 6'-O-카페오일로세오사이드 (6'-O-caffeoylroseoside); 6'-O-카페오일손츄이오노사이드 씨 (6'-O-caffeoylsonchuinoside C); 6'-O-카페오일디히드로시린진 (6'-O-caffeoyldihydrosyringin); 및 글레노사이드 (glehnoside)를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섬쑥부쟁이 (Aster glehni) 추출물, 이의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화합물은 혈중 요산의 함량을 강하시키는데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섬쑥부쟁이 (Aster glehni) 추출물, 이의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화합물은 고요산혈증 또는 통풍의 치료,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의약품, 건강식품 등의 제조를 위한 활성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통증질환은 구체적으로 통풍성 관절염, 통풍성 신질환, 통풍성 신결석증을 포함한다.
도 1은 6'-O-카페오일엠플롭시시오노사이드 (화합물 1)의 1H NMR 스펙트럼 (A)과 13C NMR 스펙트럼 (B)이다.
도 2는 6'-O-카페오일로세오사이드 (화합물 2)의 1H NMR 스펙트럼 (A)과 13C NMR 스펙트럼 (B)이다.
도 3은 6'-O-카페오일손츄이오노사이드 씨 (화합물 3)의 1H NMR 스펙트럼 (A)과 13C NMR 스펙트럼 (B)이다.
도 4는 6'-O-카페오일디히드로시린진 (화합물 4)의 1H NMR 스펙트럼 (A)과 13C NMR 스펙트럼 (B)이다.
도 5는 글레노사이드 (화합물 5)의 1H NMR 스펙트럼 (A)과 13C NMR 스펙트럼 (B)이다.
도 6은 통풍 유발 동물 모델에서의 섬쑥부쟁이 분획물 투여에 의한 혈중 요산 감소 효능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혈중 요산의 함량을 강하시키는데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섬쑥부쟁이 (Aster glehni) 추출물, 이의 분획물과 이로부터 분리한 활성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식물로서 섬쑥부쟁이 (Aster glehni)는 국화과 식물로, 울릉도 산지에서 자생하는 다년초이며, 취나물과 비슷한 형태이고, 높이는 1∼1.5 m 정도로 자란다. 줄기에는 잔털이 있고 뿌리줄기가 옆으로 자란다. 잎은 호생하고 장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뒷면에 선점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은 백색이며 8∼9월에 피고 원줄기 끝의 산방화서에 달린다. 울릉도에서는 '부지깽이'라고 부르며, 이른 봄 새순을 잘라 식용하면 향이 진하다.
현재까지 보고된 바에 의하면, 섬쑥부쟁이 (Aster glehni)는 항산화, 항염증, 항경련, 진정 또는 수면유도 효능을 가지고 있고, 주성분으로서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페놀계 화합물과 테르펜 화합물 등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섬쑥부쟁이 (Aster glehni)로부터 분리한 혈중 요산 함량강하에 효능을 보이는 신규 화합물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섬쑥부쟁이로부터 분리한 활성화합물은 6'-O-카페오일엠플롭시시오노사이드 (6'-O-caffeoylampelopsisionoside; 화합물 1), 6'-O-카페오일로세오사이드 (6'-O-caffeoylroseoside; 화합물 2), 6'-O-카페오일손츄이오노사이드 씨 (6'-O-caffeoylsonchuinoside C; 화합물 3), 6'-O-카페오일디히드로시린진 (6'-O-caffeoyldihydrosyringin; 화합물 4) 및 글레노사이드 (glehnoside; 화합물 5)의 5종 화합물이며, 이들은 모두 신규 화합물이다.
화합물 1:
Figure pat00001
화합물 2:
Figure pat00002
화합물 3:
Figure pat00003
화합물 4:
Figure pat00004
화합물 5:
Figure pat00005

또한, 본 발명은 섬쑥부쟁이 (Aster glehni)로부터 상기한 활성화합물을 분리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활성화합물을 섬쑥부쟁이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일련의 제조방법은,
1) 섬쑥부쟁이의 지상부 또는 지하부를 디클로로메탄, 아세톤, 아세톤 수용액, C1∼4알콜 및 C1∼4알콜 수용액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용매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2) 상기 용매추출물을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3)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6'-O-카페오일엠플롭시시오노사이드 (6'-O-caffeoylampelopsisionoside; 화합물 1), 6'-O-카페오일로세오사이드 (6'-O-caffeoylroseoside; 화합물 2), 6'-O-카페오일손츄이오노사이드 씨 (6'-O-caffeoylsonchuinoside C; 화합물 3), 6'-O-카페오일디히드로시린진 (6'-O-caffeoyldihydrosyringin; 화합물 4) 및 글레노사이드 (glehnoside; 화합물 5)를 각각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1)용매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섬쑥부쟁이는 지상부 또는 지하부의 식물 전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섬쑥부쟁이의 잎, 꽃 또는 줄기와 같은 지상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채취한 섬쑥부쟁이는 음지에서 건조하여 사용하며, 잘게 절단하거나 또는 이를 분말화하여 그대로 사용하거나 냉동 건조시킨 후에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추출용매로서 통상의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디클로로메탄, 아세톤, 아세톤 수용액, C1∼4알콜 및 C1∼4알콜 수용액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를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디클로로메탄, 아세톤, 메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또는 물이 20∼80 부피% 포함된 이의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1)용매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섬쑥부쟁이 1 ㎏ 당 추출용매를 0. 1 내지 5 ℓ,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ℓ의 양으로 가하고 상온에서 4 내지 5 일 동안 방치한다. 상기 추출은 1회 내지 5회 실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그 이상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추출 시 온도는 1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온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 시간은 1일 내지 7일인 것이 바람직하고, 3일 내지 7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얻어진 추출물을 여과, 감압 증발 및 건조시켜 용매추출물을 얻는다. 감압 증발은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상온건조 또는 동결건조 등으로부터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2)분획물을 수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에서 얻은 용매추출물을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수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용매추출물 1 ㎏ 당 물을 1 내지 5 ℓ,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 ℓ를 가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EA) 0.1 내지 5 ℓ,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 ℓ를 가하고 충분히 추출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기용매를 사용한 용매추출물을 얻는 1)단계를 생략하고, 직접 섬쑥부쟁이를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여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수득하더라도 충분히 활성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보다 고순도의 활성화합물을 수득하기 위해서는 상기 용매추출물을 얻는 1)단계 이후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좋다.
상기 3)활성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에서 얻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한다.
상기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 세파덱스, RP-18, 폴리아미드, 도요펄 (Toyopearl) 및 XAD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충진제가 충진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충진제의 선택에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상기로부터 적절히 선택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한다. 필요에 따라 적절한 충진제를 선택하여 수차례 실시할 수 있는데, 특히, 세파덱스, RP-18 및 실리카겔을 충진제로 사용하는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적절히 조합하여 수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의 칼럼크로마토그래피 과정을 통해 5종의 신규 화합물인 6'-O-카페오일엠플롭시시오노사이드 (6'-O-caffeoylampelopsisionoside; 화합물 1), 6'-O-카페오일로세오사이드 (6'-O-caffeoylroseoside; 화합물 2), 6'-O-카페오일손츄이오노사이드 씨 (6'-O-caffeoylsonchuinoside C; 화합물 3), 6'-O-카페오일디히드로시린진 (6'-O-caffeoyldihydrosyringin; 화합물 4) 및 글레노사이드 (glehnoside; 화합물 5)를 각각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활성성분으로서 섬쑥부쟁이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통풍의 치료, 예방 및 개선용 약제 조성물, 건강식품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활성화합물의 분리방법에서 수득된 섬쑥부쟁이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화합물 1 내지 5의 활성화합물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고요산혈증 또는 통풍의 치료, 예방 및 개선에 있어 각별한 효능을 나타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섬쑥부쟁이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6'-O-카페오일엠플롭시시오노사이드 (6'-O-caffeoylampelopsisionoside; 화합물 1), 6'-O-카페오일로세오사이드 (6'-O-caffeoylroseoside; 화합물 2), 6'-O-카페오일손츄이오노사이드 씨 (6'-O-caffeoylsonchuinoside C; 화합물 3), 6'-O-카페오일디히드로시린진 (6'-O-caffeoyldihydrosyringin; 화합물 4) 및 글레노사이드 (glehnoside; 화합물 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이의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통풍의 치료, 예방 및 개선용 약제 조성물, 건강식품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상의 유기합성 방법을 통해 합성된 6'-O-카페오일엠플롭시시오노사이드 (6'-O-caffeoylampelopsisionoside; 화합물 1), 6'-O-카페오일로세오사이드 (6'-O-caffeoylroseoside; 화합물 2), 6'-O-카페오일손츄이오노사이드 씨 (6'-O-caffeoylsonchuinoside C; 화합물 3), 6'-O-카페오일디히드로시린진 (6'-O-caffeoyldihydrosyringin; 화합물 4) 및 글레노사이드 (glehnoside; 화합물 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이의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통풍의 치료, 예방 및 개선용 약제 조성물, 건강식품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섬쑥부쟁이로부터 분리한 활성화합물은 화학구조적으로 메가스티그만 글리코사이드 유도체, 헤미테르펜 글리코사이드 유도체, 페닐프로파노이드 글리코사이드 유도체로서, 통상의 유기합성 방법을 통해 쉽게 합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천연물이 아닌 합성물로서 화합물 1 내지 5가 포함된 약제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에도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인체에 독성이 낮고 모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과 물리화학적 성질에 악영향을 주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염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염기가 부가되어 생성된 염기부가염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염기는 알칼리금속 수산화물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알칼리금속 중탄산염 (예를 들면, 중탄산나트륨, 중탄산칼륨), 알칼리금속 탄산염 (예를 들면,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칼슘) 등과 같은 무기염기, 또는 1차, 2차 3차 아민 아미노산과 같은 유기염기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외에도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로서 수화물 및 용매화물은 모화합물을 용매에 녹인 다음에 유리산 또는 유리염기를 가한 후에 결정화 또는 재결정화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분리하는 동안 또는 화합물의 흡습성으로 인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용매화물 (특히 수화물)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섬쑥부쟁이의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활성화합물이 잔틴/잔틴옥시다제에 의한 요산 생성을 억제하는 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섬쑥부쟁이의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활성화합물은 고요산혈증 또는 통풍의 치료, 예방 및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약제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에의 활성성분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치료, 예방 또는 개선이 가능한 통풍질환은 통풍성 관절염, 통풍성 신질환, 통풍성 신결석증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통풍질환이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구강,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장관, 설하 또는 국소 투여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임상투여를 위해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적합한 제형으로 제제화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투여 시에는 불활성 희석제 또는 식용 담체와 혼합하거나, 경질 또는 연질 젤라틴 캡슐에 밀봉되거나 또는 정제로 압형하여 투여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의 경우, 활성 화합물은 부형제와 혼합되어 섭취형 정제, 협측 정제, 트로키, 캡슐, 엘릭시르, 서스펜션, 시럽, 웨이퍼등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주사용, 비경구 투여용 등의 각종 제형은 당해 기술 분야의 공지된 기법 또는 통용되는 기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요산함량 강하와 통풍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질병으로는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고요산혈증, 통풍성 관절염, 통풍성 신질환, 통풍성 신결석증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약제조성물은 약제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약제조성물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학 제형을 제조할 수 있다. 제형의 제조에 있어, 활성성분을 담체와 함께 혼합하거나, 담체로 희석하거나, 캅셀, 새세이 또는 기타 용기 형태의 담체 내에 봉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형은 정제, 환제, 분제, 캡슐, 새세이, 엘릭씨르, 현탁제, 에멀젼, 액제, 시럽제,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제, 주사용 용액 또는 현탁액, 연고제, 크림제, 겔제 또는 로숀제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적합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는 예를 들면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제형 제조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 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구강,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장관, 설하 또는 국소 투여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약제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화합물 1 내지 3의 함량을 기준으로 할 때 환자의 몸무게 대비 0.001 ㎎/㎏ 내지 500 ㎎/㎏ 범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200 ㎎/㎏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또는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섬쑥부쟁이의 추출물, 이의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활성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그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시지, 빵, 비스킷, 떡, 선식,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유제품 및 유가공 제품 등이 있으며, 그 밖에도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활성성분으로서 섬쑥부쟁이의 섬쑥부쟁이의 추출물, 이의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활성화합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함량은 사용 목적 (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건강식품의 전체 중량대비 0.001 내지 70 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음료로 제조하는 경우는 상기 활성성분 이외에도 음료 제조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로서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건강식품의 전체 중량대비 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 범위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가 포함될 수 있다. 그 밖에도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풍미제 (합성 또는 천연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함량에 특별한 제한을 두고 있지는 않지만, 건강식품의 전체 중량대비 0.1 내지 20 중량%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섬쑥부쟁이 지상부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 제조
울릉도에서 직접 채집한 섬쑥부쟁이 지상부 (건조중량 2.7 ㎏)에 메탄올 12 ℓ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4일 동안 추출하였다. 이를 3회 반복한 후에 여과하고 40℃에서 회전 농축기로 농축 건조시켜 메탄올 추출물 394.8 g을 수득하였다. 상기 메탄올 추출물에 물 4000 ㎖를 가하여 현탁시킨 후에, 디클로로메탄 (CH2Cl2, 4000 ㎖ x 3)으로 추출하였다. 물층을 에틸아세테이트 (EtOAc, 4000 ㎖ x 3)로 추출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그리고, 또다시 물층을 부탄올 (BuOH, 4000 ㎖ x 3)로 추출하여, 부탄올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섬쑥부쟁이 지하부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 제조
울릉도에서 직접 채집한 섬쑥부쟁이 지하부 (건조중량 1.03 ㎏)에 메탄올 10 ℓ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4일 동안 추출하였다. 이를 3회 반복한 다음 40℃에서 회전 농축기로 농축 건조시켜 메탄올 추출물 138.2 g을 수득하였다. 상기 메탄올 추출물에 물 1300 ㎖를 가하여 현탁시킨 후에, 디클로로메탄 (CH2Cl2, 1300 ㎖ x 3)으로 추출하였다.
물층을 에틸아세테이트 (EtOAc, 4000 ㎖ x 3)로 추출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그리고, 또다시 물층을 부탄올 (BuOH, 4000 ㎖ x 3)로 추출하여, 부탄올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로부터 신규 화합물의 분리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섬쑥부쟁이 지상부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4.6 g을 세파덱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5×45 ㎝)를 실시하였다. 전개용매로 메탄올을 사용하였으며, 얻어진 분획들은 순상 실리카겔 TLC (전개용매: 디클클로메탄/메탄올/물=30/10/1)로 관찰한 후, 유사한 극성을 갖는 화합물끼리 모아 9개의 소분획 (EA∼EI)으로 나누었다. 소분획 EC (1.4 g)은 세파덱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70% 메탄올을 전개용매로 하여 9개의 소분획 (EC1∼EC9)으로 나누었다. 소분획 EC3 (385.7 ㎎)은 역상실리카젤을 고정상으로 이용하여 45% 메탄올을 전개용매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다. TLC로 유사한 화합물을 모아서 20개의 소분획 (EC31∼EC320)으로 나누었다.
소분획 EC310 (23.4 ㎎)은 순상 실리카젤과 분취용 역상 TLC (40% 메탄올)을 반복 실시하여 6'-O-카페오일엠플롭시시오노사이드 (6'-O-caffeoylampelopsisionoside; 화합물 1) (4.4 ㎎)을 분리하였다.
소분획 EC34 (614.4 ㎎)를 역상 실리카젤을 이용하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다. 사용한 용매는 45% 메탄올을 이용하였으며, 점차 극성을 증가시켜 마지막은 메탄올로 씻어 주었다. 분리 정도에 따라 35개의 소분획 (EC34-1∼EC34-35)으로 나누었다. 두 번째 소분획 EC34-2 (68.2 ㎎)는 순상 실리카젤과 분취용 역상 TLC (50% 메탄올)를 이용하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한 결과, 글레노사이드 (glehnoside; 화합물 5) (7.1 ㎎)을 분리하였다.
세 번째 소분획 EC34-3 (70.3 ㎎)은 순상 실리카젤과 분취용 역상 TLC (48% 메탄올)와 도요펄 HW-40 (메탄올)을 이용하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한 결과, 6'-O-카페오일디히드로시린진 (6'-O-caffeoyldihydrosyringin; 화합물 4) (8.7 ㎎) 및 글레노사이드 (glehnoside; 화합물 5) (15.6 ㎎)을 분리하였다.
네 번째 소분획 EC34-4 (54.8 ㎎)는 순상 실리카젤과 분취용 역상 TLC (50% 메탄올)를 이용하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한 결과, 6'-O-카페오일디히드로시린진 (6'-O-caffeoyldihydrosyringin; 화합물 4) (3.3 ㎎)을 분리하였다.
다섯 번째 소분획 EC34-5 (112.1 ㎎)는 순상 실리카젤과 역상 실리카젤 (50% 메탄올)을 이용하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반복 실시하고, 마지막으로 분취용 역상 TLC와 세파덱스를 이용한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6'-O-카페오일디히드로시린진 (6'-O-caffeoyldihydrosyringin; 화합물 4) (11.8 ㎎)을 분리하였다.
여섯 번째 소분획 EC34-6 (54.4 ㎎)은 순상 실리카젤과 역상 실리카젤 (50% 메탄올)을 이용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반복 실시하고, 마지막으로 분취용 역상 TLC와 세파덱스를 이용한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6'-O-카페오일로세오사이드 (6'-O-caffeoylroseoside; 화합물 2) (5.7 ㎎) 및 6'-O-카페오일손츄이오노사이드 씨 (6'-O-caffeoylsonchuinoside C; 화합물 3) (9.2 ㎎)을 분리하였다.
실시예 4. 신규화합물의 구조규명
섬쑥부쟁이 지상부에서 분획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으로부터 분리한 신규 화합물들의 선광도[α]D는 메탄올 용액에서 측정하였고, NMR 스펙트럼은 400 MHz (1H)와 100 MHz (13C)를 이용하였으며, 각 피크의 화학 시프트 (chemical shift)는 내부 표준물질인 트리메틸실란에 대한 상대값으로 나타내었다. 각각의 화합물에 대한 1H NMR 스펙트럼 및 13C NMR 스펙트럼을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었다.
(1) 화합물 1의 구조결정
6'-O-카페오일엠플롭시시오노사이드 (6'-O-caffeoylampelopsisionoside)
Figure pat00006
본 발명의 화합물 1의 화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 무정형분말; [α]20 D -9.4° (c 0.4, MeOH)
- HR-ESI-TOP-MS (positive-ion mode) m/z 573.2311 [M+Na]+
(calcd. for 573.2312, C28H38O11Na)
- 1H (400 MHz)와 13C (100 MHz) NMR: 표 1과 표 2 및 도 1 참조.
이 화합물은 문헌과 비교하여 6'-O-카페오일엠플롭시시오노사이드 (6'-O-caffeoylampelopsisionoside) (Marino et al., J. Agric. Food Chem., 2004, 52, 7525; Inada et al., Chem. Pharm. Bull. 1991, 39, 2437)로 규명하였으며, 자연계에서 처음으로 보고하는 신규 화합물이다.
(2) 화합물 2의 구조결정
6'-O-카페오일로세오사이드 (6'-O-caffeoylroseoside)
Figure pat00007
본 발명의 화합물 2의 화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 무정형분말; [α]21 D +42.8° (c 0.5, MeOH)
- HR-ESI-TOP-MS (positive-ion mode) m/z 571.2159 [M+Na]+
(calcd. for 571.2155, C28H36O11Na)
- 1H (400 MHz)와 13C (100 MHz) NMR: 표 1과 표 2 및 도 2 참조.
이 화합물은 문헌과 비교하여 6'-O-카페오일로세오사이드 (6'-O-caffeoylroseoside) (Otsuka et al., Chem. Pharm. Bull. 1995, 43, 754; Pabst et al., Phytochemistry 1992, 31, 1649; Yamano and Ito Chem. Pharm. Bull. 2005, 45, 541; Weiss et al., J. Chem. Soc. Chem. Commun. 1973, 565)로 규명하였으며, 자연계에서 처음으로 보고하는 신규 화합물이다.
(3) 화합물 3의 구조결정
6'-O-카페오일손츄이오노사이드 씨 (6'-O-caffeoylsonchuinoside C)
Figure pat00008
본 발명의 화합물 3의 화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 무정형분말; [α]24 D -35.6° (c 0.4, MeOH)
- HR-ESI-TOP-MS (positive-ion mode) m/z 571.2160 [M+Na]+
(calcd. for 571.2155, C28H36O11Na)
- 1H (400 MHz)와 13C (100 MHz) NMR: 표 1과 표 2 및 도 3 참조.
이 화합물은 문헌과 비교하여 6'-O-카페오일손츄이오노사이드 씨 (6'-O-caffeoylsonchuinoside C) (Uchiyama et al., Phytochemistry 1990, 29, 2947; Lee et al., Chem. Pharm. Bull., 2011, 59, 773)로 규명하였으며, 자연계에서 처음으로 보고하는 신규 화합물이다.
(4) 화합물 4의 구조결정
6'-O-카페오일디히드로시린진 (6'-O-caffeoyldihydrosyringin)
Figure pat00009
본 발명의 화합물 4의 화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 무정형분말; [α]20 D -51.2° (c 0.5, MeOH)
- HR-ESI-TOP-MS (positive-ion mode) m/z 559.1793 [M+Na]+
(calcd. for 559.1791, C26H32O12Na)
- 1H (400 MHz)와 13C (100 MHz) NMR: 표 3 및 도 4 참조.
이 화합물은 문헌과 비교하여 6'-O-카페오일디히드로시린진 (6'-O-caffeoyldihydrosyringin) (Wagner et al., Planta Med., 1982, 44, 193)로 규명하였으며, 자연계에서 처음으로 보고하는 신규 화합물이다.
(5) 화합물 5의 구조결정
글레노사이드 (glehnoside)
Figure pat00010
본 발명의 화합물 5의 화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 무정형분말; [α]19 D -26.2° (c 0.7, MeOH)
- HR-ESI-TOP-MS (positive-ion mode) m/z 449.1422 [M+Na]+
(calcd. for 449.1424, C20H26O10Na)
- 1H (400 MHz)와 13C (100 MHz) NMR: 표 3 및 도 5 참조.
이 화합물은 문헌과 비교하여 (E)-2-methyl-but-2-enyl-6′-O-caffeoyl-β-glucopyranoside로 규명하였고, 글레노사이드 (glehnoside) (Bohlmann et al., Org. mag. Res., 1975, 7, 426; Nicoletti et al., Planta Med., 1992, 58, 472; Toyota et al., Chem. Pharm. Bull. 2002, 50, 508)로 명명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분석결과
H 화합물 1 화합물 2 화합물 3
2eq 1.69 (dd, 2.4, 13.6) 2.06 (d, 16.8) 1.54 (dd, 2.4, 12.4)
2ax 2.75 (d, 13.6) 2.40 (d, 16.8) 1.82 (d, 12.8)
3 3.86 (td, 3.6, 12.8)
4eq 1.98 (ddd, 2.0, 4.4, 14.0) 5.78 br s 4.01 (d, 3.2)
4ax 2.32 (t, 13.6)
5 2.14 m
7 5.61 (d, 16.0) 5.77 (d, 2.4) 7.11 (d, 16.8)
8 5.79 (dd, 6.4, 15.6) 5.77 (d, 2.4) 6.01 (d, 16.4)
9 4.34 (overlapped) 4.33 (overlapped)
10 1.24 (d, 6.4) 1.23 (d, 6.4) 2.21 s
11 0.796 s 0.95 s 1.01 s
12 0.883 s 0.93 s 0.97 s
13 0.77 (d, 6.4) 1.81 (d, 1.2) 1.78 s
1′ 4.31 (d, 7.6) 4.33 (d, 8.0) 4.45 (d, 7.6)
2′ 3.15 (dd, 7.8, 9.08) 3.14 (dd, 8.0, 9.2) 3.20 (dd, 8.0, 9.2)
3′ 3.31 m 3.28 m 3.49 (t, 9.2)
4′ 3.29 m 3.25 m 3.26 (overlapped)
5′ 3.41 m 3.41 m 3.51 m
6′ 4.19 (dd, 5.6, 11.6) 4.23 (dd, 5.6, 12.0) 4.30 (dd, 6.8, 12.0)
6′ 4.37 (dd, 2.0, 12.0) 4.38 (dd, 2.0, 12.0) 4.41 (dd, 2.4, 12.0)
2″ 6.97 (d, 2.0) 6.98 (d, 2.0) 6.94 (d, 2.0)
5″ 6.69 (d, 8.0) 6.71 (d, 8.0) 6.70 (d, 8.0)
6″ 6.87 (dd, 2.0, 8.0) 6.89 (dd, 2.0, 8.4) 6.84 (dd, 2.0, 8.4)
7″ 7.48 (d, 15.6) 7.50 (d, 16.0) 7.48 (d, 16.0)
8″ 6.24 (d, 16.0) 6.23 (d, 15.6) 6.18 (d, 15.6)
13C NMR (100 MHz, CD3OD) 분석결과
C 화합물 1 화합물 2 화합물 3
1 43.9 42.1 37.9
2 52.4 50.4 40.2
3 214.9 200.9 75.9
4 46.1 126.9 70.2
5 37.9 166.8 132.5
6 78.0 79.7 141.2
7 134.5 131.4 144.2
8 134.5 134.5 134.6
9 78.0 76.8 200.9
10 21.7 20.9 27.3
11 25.0 23.1 27.9
12 25.3 24.3 30.2
13 16.4 19.4 20.0
1′ 103.0 102.7 103.2
2′ 75.3 74.9 75.3
3′ 77.9 77.6 77.8
4′ 71.6 71.2 72.0
5′ 75.4 75.1 75.6
6′ 64.3 64.2 64.8
1″ 127.7 127.3 127.6
2″ 115.2 114.9 115.1
3″ 146.9 146.5 146.9
4″ 149.7 149.3 149.7
5″ 116.5 116.2 116.5
6″ 122.9 122.7 123.0
7″ 147.2 146.9 147.2
8″ 114.9 114.6 114.9
9″ 169.2 168.9 168.9
1H NMR (400 MHz, CD3OD) 및 13C NMR (100 MHz, CD3OD) 분석결과
No 화합물 4 화합물 5
δH δC δH δC
1 140.4 4.12, 4.00 (each d, 12.0) 75.1
2 6.43 s 107.0 135.4
3 154.1 5.59 (t-like, 6.4) 128.5
4 133.9 4.06 (dd, 2.4, 6.4) 59.1
5 154.1 1.63 s 14.1
6 6.43 s 107.0
7 2.49 (dd, 7.6, 8.0) 33.2
8 1.70 m 35.2
9 3.45 (overlapped) 62.1
OMe 3.74 56.8
1′ 4.71 (d, 7.6) 105.3 4.24 (d, 7.6) 102.8
2′ 3.45 (overlapped) 75.5 3.17 (t, 8.4) 75.4
3′ 3.67 m 77.7 3.30 m 78.0
4′ 3.67 m 71.8 3.29 m 71.8
5′ 3.67 m 75.5 3.43 m 75.3
6′ 4.27 (dd, 5.2, 11.2) 64.4 4.27 (dd, 6.0, 11.6) 64.6
6′ 4.38 (dd, 2.0, 12.4) 4.42 (dd, 2.0, 11.6)
1″ 127.6 127.8
2″ 6.96 (d, 2.0) 114.9 6.98 (d, 2.0) 115.1
3″ 146.7 146.9
4″ 149.5 149.7
5″ 6.73 (d, 8.0) 116.4 6.71 (d, 8.4) 116.5
6″ 6.85 (dd, 2.0, 8.4) 122.9 6.88 (dd, 2.0, 8.0) 123.0
7″ 7.42 (d, 16.0) 146.8 7.51 (d, 16.0) 147.2
8″ 6.13 (d, 16.0) 114.8 6.23 (d, 16.0) 114.9
9″ 168.8 169.3
[실험예]
실험예 1. 잔틴/잔틴 옥시다제에 의한 요산 생성 억제 효과
잔틴/잔틴옥시다제의 반응으로 잔틴이 산화되면서 요산이 생성되는데, 본 실험에서는 섬쑥부쟁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활성화합물에 대하여 요산 생성을 억제시키는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노로 등 (Noro et al., Chem. Pharm. Bull., 1983, 31, 3984)의 방법을 수정하여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100 mM 인산완충용액 (pH 7.5)에 시료와 잔틴산화효소 (0.024 unit/mL)를 혼합하고 25 ℃에서 10분간 반응을 시켰다. 여기에 100 μM의 잔틴을 넣고 25℃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에 1N 염산용액을 넣어 반응을 정지시킨 후에 29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하기 수학식 1에 의거하여 요산 생성 억제율 (A, %)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11

시험물질
요산 생성 억제 효과*
(IC50, ㎍/㎖)
지상부의
추출물/
분획물
메탄올 추출물 93.2 ± 3.6
디클로로메탄 분획물 69.3 ± 3.3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4.7 ± 0.1
부탄올 분획물 33.2 ± 2.4
지하부의
추출물/
분획물
디클로로메탄 분획물 32.4 ± 0.4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21.8 ± 1.1
부탄올 분획물 280.8 ± 8.6

시험물질
요산 생성 억제 효과*
(IC50, μM)
활성화합물 화합물 1 93.0 ± 1.7
화합물 2 42.0 ± 1.4
화합물 3 73.2 ± 5.1
화합물 4 71.1 ± 3.9
화합물 5 80.0 ± 4.9
대조약물 알로퓨리놀 (allopurinol) 3.0 ± 0.3
* 3회 실시하여 얻은 평균값임
상기 표 4의 결과에 의하면, 섬쑥부쟁이 지상부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매우 높은 활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부탄올 분획물에서도 유의성 있는 저해효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섬쑥부쟁이 지하부의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이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도 유의성 있는 저해효능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통풍 유발 동물 모델에서의 혈중 요산 감소 효능
본 실험예는 섬쑥부쟁이 지상부에서 분획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하여 통풍 유발 동물 모델에서 항통풍 활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즉, 실험동물에게 요산 분해 효소 저해제인 칼륨 옥소네이트 (potassium oxonate)를 투여하여 고요산혈증을 유도한 후, 시험물질 투여로 인하여 혈중 요산 감소효과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요산 합성 저해제인 알로퓨리놀 (allopurinol)을 투여한 통풍질환 모델을 이용하여 비교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동물은 체중이 200 g±20%인 수컷 스프라그-도올리 랫 (sprague-dawley rat, male)을 사용하였고, 온도 23±3℃, 상대습도 55±15%, 환기횟수 10∼20 회/hr, 조명시간 12 시간 (오전 8 시 점등∼오후 8 시 소등) 및 조도 150∼300 Lux로 설정한 사육장에서 사료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면서 1주일 동안 실험실 환경에서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은 네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정상 대조군 (normal control), 고요산혈증 대조군 (vehicle contorl), 알로퓨리놀 투여군 (positive control), 시험물질 투여군으로 나누어 각 그룹당 10 마리로 설정하여 실험하였다. 알로퓨리놀 투여군은 시판 약의 투여용량인 50 ㎎/㎏을 투여하였고, 시험물질 투여군은 50, 100, 300 ㎎/㎏의 농도로 각각 7 일 동안 1회/1일 경구 투여를 실시하였다. 약물 투여 마지막 날 (7일째) 요산 분해 효소 저해제인 칼륨 옥소네이트 (250 ㎎/㎏)를 복강 내 투여를 실시하여 고요산혈증을 유도하고, 1시간 후 양성대조물질 및 시험물질을 경구 투여하였다. 요산 함량분석을 위하여 모든 동물은 시험물질 7 일 째 투여 후 2 시간째 혈액을 채취하여 요산의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도 6에 나타내었다.
[통계]
자료의 정규성을 가정하고 모수적인 일원분산분석 (One-way ANOVA)을 적용하였고, ANOVA 결과가 유의하였을 경우, Newman-Keul's test로 사후검정을 실시하여, 비유발군의 부형제대조군 (G1), 유발군의 부형제대조군 (G2), 양성대조군 (G3) 및 시험물질 투여군 (G4, G5, G6)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군을 확인하였다.
시험군 구성 및 투여량 설정
급이 그룹 투여물질 성별 동물수 동물
번호
투여액량
(㎖/kg)
투여량
(㎎/㎏)
비유발군 G1 부형제1) M 10 1∼10 2 -


유발군
G2 부형제1) M 10 11∼20 2 -
G3 양성대조군 (allopurinol) M 10 21∼30 2 50
G4 시험물질(저용량) M 10 31∼40 2 50
G5 시험물질(중용량) M 10 41∼50 2 100
G6 시험물질(고용량) M 10 51∼60 2 300
1) 부형제: 멸균주사용수
도 6의 결과에 의하면, 섬쑥부쟁이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투여로 인하여 혈중에서의 요산 농도는 고요산혈증 대조군 (vehicle contorl)에 비해 낮은 수치를 보였다. 섬쑥부쟁이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투여군은, 알로퓨리놀의 대조약물 투여군 (positive control)에 비교하여 요산 감소능력이 다소 떨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지만, 시험물질이 식물에서 추출한 안전한 천연물임을 감안하면 다양한 부작용을 나타내는 알로퓨리놀의 대체 약물로 유용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제예]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섬쑥부쟁이의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조성물은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로 제조가 가능하다. 하기 제제 1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제 제조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 1 : 정제 (직접 가압)
활성성분 5.0 ㎎을 체로 친 후, 락토스 14.1 ㎎, 크로스포비돈 USNF 0.8 ㎎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1 ㎎을 혼합하고 가압하여 정제로 만들었다.
제제 2 : 정제 (습식 조립)
활성성분 5.0 ㎎을 체로 친 후, 락토스 16.0 ㎎과 녹말 4.0 ㎎을 섞었다. 폴리솔베이트 80 0.3 ㎎을 순수한 물에 녹인 후 이 용액의 적당량을 첨가한 다음, 미립화하였다. 건조 후에 미립을 체질한 후 콜로이달 실리콘 디옥사이드 2.7 ㎎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2.0 ㎎과 섞었다. 미립을 가압하여 정제로 만들었다.
제제 3 : 분말과 캡슐제
활성성분 5.0 ㎎을 체로 친 후에, 락토스 14.8 ㎎, 폴리비닐 피롤리돈 10.0 ㎎,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와 함께 섞었다. 혼합물을 적당한 장치를 사용하여 단단한 No. 5 젤라틴 캡슐에 채웠다.
제제 4 : 주사제
활성성분으로서 100 mg을 함유시키고, 그 밖에도 만니톨 180 mg, Na2HPO4·12H2O 26 mg 및 증류수 2974 mg를 함유시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화합물을 포함하는 건강식품 조성물은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로 제조가 가능하다. 하기 제제 5 내지 9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 5. 과립상 건강식품
활성성분 1000 ㎎,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을 혼합한 다음, 통상의 방법에 따라 과립상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제제 6. 건강음료
활성성분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을 혼합하고, 여기에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용량을 900 ㎖로 조절하였다.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 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제 7. 밀가루 식품
활성성분 0.5 내지 5 g을 밀가루 100 g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제제 8. 유제품
활성성분 5 내지 10 g을 우유 100 g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제제 9. 선식
현미 30 g, 보리 20 g, 찹쌀 10 g, 율무 15 g을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 시켜서 건조한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시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은콩 7 g, 검정깨 7 g, 들깨 7 g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한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시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및 종실류와 본 발명의 활성성분 3 g을 혼합하여 선식을 제조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섬쑥부쟁이 (Aster glehni)의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화합물은 요산의 생성 억제 및 농도 강하 효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섬쑥부쟁이 (Aster glehni)의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화합물은 요산의 농도 증가로 인하여 유발되는 질환으로서 고요산혈증 및 통풍의 치료, 예방 및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약제 또는 건강식품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다.

Claims (18)

  1. 섬쑥부쟁이 (Aster glehni)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통풍의 치료 및 예방용 약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섬쑥부쟁이 (Aster glehni)의 추출물은 섬쑥부쟁이 (Aster glehni)의 지상부 또는 지하부를 디클로로메탄, 아세톤, 아세톤 수용액, C1∼4알콜 및 C1∼4알콜 수용액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통풍의 치료 및 예방용 약제 조성물.
  3. 제 1 항의 섬쑥부쟁이 (Aster glehni)의 추출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여 얻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함유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통풍의 치료 및 예방용 약제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섬쑥부쟁이 (Aster glehni)의 추출물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6'-O-카페오일엠플롭시시오노사이드 (6'-O-caffeoylampelopsisionoside), 6'-O-카페오일로세오사이드 (6'-O-caffeoylroseoside), 6'-O-카페오일손츄이오노사이드 씨 (6'-O-caffeoylsonchuinoside C), 6'-O-카페오일디히드로시린진 (6'-O-caffeoyldihydrosyringin) 및 글레노사이드 (glehnos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통풍의 치료 및 예방용 약제 조성물.
  5. 활성성분으로서 6'-O-카페오일엠플롭시시오노사이드 (6'-O-caffeoylampelopsisionoside), 6'-O-카페오일로세오사이드 (6'-O-caffeoylroseoside), 6'-O-카페오일손츄이오노사이드 씨 (6'-O-caffeoylsonchuinoside C), 6'-O-카페오일디히드로시린진 (6'-O-caffeoyldihydrosyringin) 및 글레노사이드 (glehnos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이의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통풍의 치료 및 예방용 약제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5 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은 통풍성 관절염, 통풍성 신질환 및 통풍성 신결석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통풍의 치료 및 예방용 약제 조성물.
  7. 섬쑥부쟁이 (Aster glehni)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통풍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섬쑥부쟁이 (Aster glehni)의 추출물은 섬쑥부쟁이 (Aster glehni)의 지상부 또는 지하부를 디클로로메탄, 아세톤, 아세톤 수용액, C1∼4알콜 및 C1∼4알콜 수용액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통풍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9. 제 7 항의 섬쑥부쟁이 (Aster glehni)의 추출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여 얻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함유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통풍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섬쑥부쟁이 (Aster glehni)의 추출물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6'-O-카페오일엠플롭시시오노사이드 (6'-O-caffeoylampelopsisionoside), 6'-O-카페오일로세오사이드 (6'-O-caffeoylroseoside), 6'-O-카페오일손츄이오노사이드 씨 (6'-O-caffeoylsonchuinoside C), 6'-O-카페오일디히드로시린진 (6'-O-caffeoyldihydrosyringin) 및 글레노사이드 (glehnos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통풍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11. 활성성분으로서 6'-O-카페오일엠플롭시시오노사이드 (6'-O-caffeoylampelopsisionoside), 6'-O-카페오일로세오사이드 (6'-O-caffeoylroseoside), 6'-O-카페오일손츄이오노사이드 씨 (6'-O-caffeoylsonchuinoside C), 6'-O-카페오일디히드로시린진 (6'-O-caffeoyldihydrosyringin) 및 글레노사이드 (glehnos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이의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통풍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12. 제 7 항 내지 제 9 항 및 제 11 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은 통풍성 관절염, 통풍성 신질환 및 통풍성 신결석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통풍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13. 1) 섬쑥부쟁이의 지상부 또는 지하부를 디클로로메탄, 아세톤, 아세톤 수용액, C1∼4알콜 및 C1∼4알콜 수용액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용매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2) 상기 용매추출물을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3)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6'-O-카페오일엠플롭시시오노사이드 (6'-O-caffeoylampelopsisionoside), 6'-O-카페오일로세오사이드 (6'-O-caffeoylroseoside), 6'-O-카페오일손츄이오노사이드 씨 (6'-O-caffeoylsonchuinoside C), 6'-O-카페오일디히드로시린진 (6'-O-caffeoyldihydrosyringin) 및 글레노사이드 (glehnoside)를 각각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쑥부쟁이로부터 혈중 요산강하에 유효한 활성화합물의 분리방법.
  14.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6'-O-카페오일엠플롭시시오노사이드 (6'-O-caffeoylampelopsisionoside).
    [화학식 1]
    Figure pat00012

  15.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6'-O-카페오일로세오사이드 (6'-O-caffeoylroseoside).
    [화학식 2]
    Figure pat00013

  16.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6'-O-카페오일손츄이오노사이드 씨 (6'-O-caffeoylsonchuinoside C).
    [화학식 3]
    Figure pat00014

  17.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6'-O-카페오일디히드로시린진 (6'-O-caffeoyldihydrosyringin).
    [화학식 4]
    Figure pat00015

  18.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글레노사이드 (glehnoside).
    [화학식 5]
    Figure pat00016
KR1020140121178A 2014-05-23 2014-09-12 고요산혈증 또는 통풍에 유효한 섬쑥부쟁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화합물 KR101590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17,016 US9527879B2 (en) 2014-05-23 2015-05-20 Aster glehni extracts, fractions or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hyperuricemia or go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501 2014-05-23
KR20140062501 2014-05-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037A true KR20150135037A (ko) 2015-12-02
KR101590842B1 KR101590842B1 (ko) 2016-02-01

Family

ID=54883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1178A KR101590842B1 (ko) 2014-05-23 2014-09-12 고요산혈증 또는 통풍에 유효한 섬쑥부쟁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화합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08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6645A (ko) * 2015-05-20 2016-11-3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HMG-CoA 환원효소 저해효능이 우수한 에스터 화학반응된 섬쑥부쟁이 분획물
KR20200057176A (ko) 2018-11-15 2020-05-26 파이코일바이오텍코리아 (주) 기탁번호 kctc18635p인 미세조류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요산혈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25969A (ko) * 2020-01-14 2021-10-1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144B1 (ko) * 2016-10-04 2018-07-23 한국 한의학 연구원 관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237A (ko) * 2000-08-12 2002-02-20 이강노 항고지혈,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참취 추출물및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KR20130044286A (ko) * 2013-04-15 2013-05-02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진정 또는 수면유도용 약제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237A (ko) * 2000-08-12 2002-02-20 이강노 항고지혈,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참취 추출물및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KR20130044286A (ko) * 2013-04-15 2013-05-02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진정 또는 수면유도용 약제학적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고지방 식이 흰쥐에서 섬쑥부쟁이 Caffeoylquinic acid 고함유 추출물의 동맥경화 위험지수, 산화적 스트레스 및 체중에 대한 효과", 생약학회지, 2011, 42, 54.
"섬쑥부쟁이 분획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Kor. J. Microbiol. Biotechnol., 2010, 38, 434,
Natural Product Sciences. 2013. Vol.19, No.3, pp.269-274. *
한국등록특허 1,382,099호, "섬쑥부쟁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경련용 조성물"
한국등록특허 제1,333,982호,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진정 또는 수면유도용 약제학적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6645A (ko) * 2015-05-20 2016-11-3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HMG-CoA 환원효소 저해효능이 우수한 에스터 화학반응된 섬쑥부쟁이 분획물
KR20200057176A (ko) 2018-11-15 2020-05-26 파이코일바이오텍코리아 (주) 기탁번호 kctc18635p인 미세조류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요산혈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25969A (ko) * 2020-01-14 2021-10-1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0842B1 (ko) 201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0842B1 (ko) 고요산혈증 또는 통풍에 유효한 섬쑥부쟁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화합물
KR20140064280A (ko) 수면유도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451298B1 (ko)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및 그 제조방법
KR101187032B1 (ko) 벌개미취의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보호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611853B1 (ko) 항염증 활성이 우수한 섬쑥부쟁이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화합물
KR20170109703A (ko) 혼합 생약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US9527879B2 (en) Aster glehni extracts, fractions or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hyperuricemia or gout
KR101509061B1 (ko) 노루궁뎅이버섯 유래 물질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434950B1 (ko) 플라티코딘 디를 대량으로 추출하는 방법
KR101018403B1 (ko)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지연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30222B1 (ko) 포도 줄기 껍질로부터 분리된 레스베라트롤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암제 조성물
KR100999872B1 (ko) 홍경천 추출물, 홍경천 분획물, 이로부터 분리한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이의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60010159A (ko) 꽃대가 올라온 상추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청 조성물
KR20180118413A (ko)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부탄올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29147B1 (ko) 콜라비론의 제조방법
KR101338172B1 (ko) 작약 종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590726B1 (ko) 목질진흙버섯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페린신 에이를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1713526B1 (ko) 헛개나무 씨 유래 탁시폴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독성 질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20068522A (ko) 맥문동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KR20120033443A (ko) 대황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피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57674B1 (ko) 작약 종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470613B1 (ko) 라티폴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34389B1 (ko) 신규한 벤조니트릴 글리코시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118412A (ko)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51105B1 (ko) 상백피에서 유래된 mac 9.23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화합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