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4686A - 유아용 시트 발받침 - Google Patents

유아용 시트 발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4686A
KR20150134686A KR1020140061768A KR20140061768A KR20150134686A KR 20150134686 A KR20150134686 A KR 20150134686A KR 1020140061768 A KR1020140061768 A KR 1020140061768A KR 20140061768 A KR20140061768 A KR 20140061768A KR 20150134686 A KR20150134686 A KR 20150134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plate
fixing
seat
inf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1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주
Original Assignee
이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주 filed Critical 이명주
Priority to KR1020140061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4686A/ko
Publication of KR20150134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6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 B60N3/06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with adjustment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49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fixed structures, i.e. where neither the seat nor a part thereof are displaced during a cr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시트 발받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아용 시트에 착석한 유아의 다리 중 상기 유아용 시트에 안착되지 못하는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유아에게 편안함과 안전성을 제공하고, 유아용 시트와 별도로 구비되어 휴대성을 제공하고자, 자동차 시트와 유아용 시트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전방에 형성된 받침판을 포함하는 몸체가 구비되어, 상기 받침판에 의해 상기 유아용 시트에 착석한 유아의 다리가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발받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아용 시트 발받침{Footrest for baby seat}
본 발명은 유아용 시트 발받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아용 시트에 착석한 유아의 다리를 지지하여 유아에게 편안함과 안전성을 제공하고, 유아용 시트와 별도로 구비되어 휴대성이 있는 유아용 시트 발받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운전자를 비롯한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안전벨트가 구비되어 있으며, 일정이상의 몸집을 가진 어린이나 성인은 안전벨트를 착용하여 충격으로부터 몸이 튕겨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성인에 비해 몸집이 상대적으로 작은 유아의 경우 안전벨트가 꽉 조여지지 않는바 충격발생시 안전벨트의 착용여부와 무관하게 몸이 튕겨 나가게 된다. 또한, 성인이 유아를 안은 상태에서 안전벨트를 착용하기도 하나 이러한 경우 충격발생시 성인과 유아 모두에게 위험이 초래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유아용 시트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으며, 유아가 차량에 탑승하는 경우 유아용 시트를 자동차 시트 상면에 설치한 후 유아용 시트에 유아를 착석시키고 안전벨트를 체결함으로써, 유아의 안전을 보장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유아용 시트를 살펴보면, 영아의 경우 유아용 시트 내에 다리 전체가 안착되므로 차량 주행시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고 안전을 보장받을 수 있는 반면, 영아기를 지난 유아의 경우 다리 전체가 안착되지 못하고 즉, 종아리, 발목, 발바닥 부분이 유아용 시트 내에 안착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유아가 장시간 자동차에 탑승하여 이동하는 경우 불편함을 느끼게 되며, 유아용 시트가 다리 전체를 지지하지 못하는바 충격발생시 다리가 골절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다리 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유아용 시트가 필요하게 되었는바, 이러한 유아용 시트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8961호(이하, '인용발명'이라 한다.)에 제안되어 있다.
인용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앉음판(1)과, 상기 앉음판(1)의 후방상측에 형성된 등받이(10)와, 상기 등받이(10)의 상부에 설치된 머리받침대(20)로 구성되되, 상기 앉음판(1)의 하부에는 한 쌍의 끈(58)이 하향 설치되고, 한 쌍의 끈(58)의 단부에는 끈스토퍼(59)가 형성된 발걸이봉(60)이 설치되어 있는바, 유아가 상기 발걸이봉(60)에 다리를 안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끈(58)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인용발명의 발걸이봉(60)은 높이조절이 가능할 뿐 각도조절이 불가능한바, 일반적으로 성인이 앉는 자세와 마찬가지로 허벅지까지만 상기 앉음판(1)에 안착되고 종아리는 구부러져 하방으로 내려진 상태로 착석하여야 한다. 그러나, 유아의 경우 상기와 같은 자세를 취하기에는 성장이 덜된 상태이므로 상기 등받이(10)에 등을 밀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아의 경우 상기 앉음판(1)에 착석하는 경우 보통 종아리의 일부는 유아용 시트 내에 안착되므로, 몸전체가 "ㄴ"자 형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인용발명의 발걸이봉(60)은 제역할을 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아용 시트에 착석한 유아의 다리 중 상기 유아용 시트에 안착되지 못하는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유아에게 편안함과 안전성을 제공하고, 유아용 시트와 별도로 구비되어 휴대성이 있는 유아용 시트 발받침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유아용 시트 발받침은 자동차 시트와 유아용 시트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전방에 형성된 받침판을 포함하는 몸체가 구비되어, 상기 받침판에 의해 상기 유아용 시트에 착석한 유아의 다리가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아용 시트와 별도인 몸체가 마련되므로 휴대가 가능하며 기존에 발받침이 없는 유아용 시트에 적용이 가능한바, 발받침이 마련된 유아용 시트를 다시 구매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용적인 측면에서 효율적이다.
특히, 유아용 시트에 몸 전체가 안착되지 못하고 "ㄴ"자형으로 착석되는 유아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이 유아의 다리를 지지하게 되는바 장시간 자동차를 타고 이동하더라도 유아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음은 물론, 유아의 다리 전체를 지지하게 되는바 충격발생시 유아가 튕겨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유아용 카시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카시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카시트에 적용되는 받침판과 다리판이 결합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카시트에 적용되는 받침판이 회동하고 고정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카시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카시트에 적용되는 받침판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카시트의 다른 일 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카시트의 다른 일 예에 적용되는 받침판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카시트가 접혀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카시트에 걸이구가 형성된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카시트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은 유아용 시트 발받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아용 시트에 착석한 유아의 다리 중 상기 유아용 시트에 안착되지 못하는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유아에게 편안함과 안전성을 제공하고, 유아용 시트와 별도로 구비되어 휴대성을 제공하고자, 자동차 시트와 유아용 시트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전방에 형성된 받침판을 포함하는 몸체가 구비되어, 상기 받침판에 의해 상기 유아용 시트에 착석한 유아의 다리가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발받침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인 유아용 시트 발받침이 자동차에 적용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 예로 영화관의 좌석과 상기 좌석에 안착되는 유아용 시트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유아용 시트 발받침은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11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유아용 시트 발받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00)과 상기 고정판(100)의 전방에 형성되는 받침판(200)을 포함하는 몸체(A)로 구성된다. 여기서 전방이란 자동차의 앞쪽 부분을 의미하며, 후방이란 자동차의 뒤쪽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판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판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다수의 판이 결합되는 형태 또는 다수의 판이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고정판(100)과 받침판(200)을 포함하는 상기 몸체(A)가 유아용 시트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판(100)에 의해 설치되는바 휴대가 가능하며, 발받침이 없는 상태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유아용 시트에 적용이 가능한바, 발받침이 마련된 유아용 시트를 다시 구매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용적인 측면에서 효율적이다.
상기 고정판(100)은 눕혀진 상태로 자동차 시트와 상기 자동차 시트 위에 놓여지는 유아용 시트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받침판(2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100)의 전방에 형성되는데, 상기 받침판(200)과 고정판(100) 사이에 어떠한 부재가 더 포함되어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받침판(200)이 상기 고정판(100)의 전단에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받침판(200)은 상면에 유아용 시트에 "ㄴ"자 형으로 착석한 유아의 발바닥 부분이 맞닿게 되는바, 일정 각도로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유아용 시트에 착석한 유아의 다리가 상기 받침판(200)에 의해 지지되는바, 장시간 자동차를 타고 이동하더라도 유아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음은 물론, 유아의 하반신이 상기 받침판(200)에 의해 지지되므로 충격시 유아가 튕겨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받침판(200)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받침판(200)이 상기 고정판(100)과 직접 결합된 경우를 살펴보면, 상기 받침판(200)의 일측은 상기 고정판(100)과 축결합되어 유아의 발바닥 부분이 상기 받침판(200)에 긴밀히 맞닿도록 상기 받침판(2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바, 편안함과 안전성이 향상된다. 더욱이, 상기 받침판(200)을 수평으로 하여 유아가 다리를 뻗을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받침판(20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이를 하방을 향하도록 회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받침판(200)과 고정판(100) 사이에 어떠한 부재가 더 포함되고, 상기 받침판(200)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조는 이하에서 다리판(300)과 같이 설명한다.
한편, 상기 몸체(A)에는 상기 몸체(A)를 지지하는 다리판(300)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다리판(300)은 상기 몸체(A)와 유아용 시트가 설치된 자동차 시트 전방 바닥 사이에 세워져 상기 몸체(A)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 다리판(300)이 반드시 바닥에 세워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바닥과 떨어진 상태로 유아용 시트가 설치된 자동차 시트와 맞닿아 상기 몸체(A)를 지지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받침판(200)은 상기 다리판(300)의 상단에 전방을 향해 결합되고, 상기 고정판(100)은 후방을 향해 상기 다리판(300)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받침판(2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는데, 일 예를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리판(300)의 상단에 종단면이 원형인 회전부(311)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받침판(200)은 상기 회전부(311)에 축결합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받침판(200)과 다리판(300)에는 고정수단이 구비되어야 하며, 유아의 다리가 편안하고 안전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받침판(200)은 회동하여 각도가 조절된 후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게 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다리판(300)의 회전부(311)에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수단의 일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회전부(311)의 외측에 형성된 고정홈(10)과, 상기 고정홈(10)에 대응되어 상기 받침판(200)에 형성된 고정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고정홈(10)은 회동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20) 또한 상기 고정홈(10)에 끼워지도록 일정길이를 가지도록 형성함으로써 보다 견고히 체결된다.
또한, 상기 고정홈(10)은 상기 받침판(200)이 회동하는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형성되어 상기 받침판(200)이 유아의 다리에 맞도록 다양한 각도로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구(20)에는 스프링이 포함되어 있어 탄성적으로 상기 고정홈(10)과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20)를 이용하여 상기 받침판(2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일 고정홈(10)에 끼워져 있는 고정구(20)를 당겨 상기 고정홈(10)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상기 받침판(200)을 회동시킨다. 상기 받침판(200)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를 이루는 경우 당겨진 고정구(20)를 놓음으로써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일 고정홈(10)에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다수 개의 고정홈(10)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구(20)가 탄성적으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받침판(200)을 용이하게 다양한 각도로 조절하고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다리판(3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상기 받침판(200)이 결합되는 지지판(310)과, 상기 지지판(310)을 감싸며 후방을 향해 상기 고정판(100)이 결합되는 조절판(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판(310)은 조절판(320)의 내부를 승하강하게 되는데, 상기 고정판(100)은 자동차 시트와 유아용 시트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받침판(200)의 높낮이가 조절되게 된다. 이때 상기 받침판(200)과 결합되어 있는 다리판(300)은 바닥에 세워질 수도 있지만, 바닥과 일정간격 떨어져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자동차의 종류에 따라 상기 고정판(100)이 설치되는 높이가 상이한바, 상기 다리판(300)이 바닥에 세워져 있다고 보면 상기 조절판(320)을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고정판(100)이 설치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조절판(320)의 상하길이는 상기 지지판(310)의 상하길이보다 짧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조절판(320)이 상기 지지판(310)을 감싸며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판(200)이 향하고 있는 상기 조절판(320)의 전방면은 "凹"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凹" 형태에서 양측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부분은 가이드라인(321)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라인(321) 사이의 절곡된 부분에는 상기 지지판(310)과 받침판(200)의 결합지점이 수용되어,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지지판(310)의 길이를 상기 조절판(320)보다 길게 형성하지 않아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판(200)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폭이 증대되게 되는바, 보다 작은 사이즈로 몸체(A)의 제작이 가능하여 휴대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100)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절판(320)의 전방면이 "凹" 형태로 형성되지 않은 경우보다 상기 받침판(200)의 높이를 낮게 형성할 수 있는바, 유아가 다양한 자세로 착석하더라도 상기 받침판(200)은 유아의 다리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판(310)은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가 상기 받침판(200)이 결합되는 방향을 향해 상향경사지도록 절곡되며, 상기 절곡된 부분에 상기 받침판(200)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판(200)은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받침판(200)이 상기 지지판(310)에 회동가능하도록 축결합되는 경우 결합되는 부분이 상기 가이드라인(321) 바깥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바 상기 받침판(200)은 상기 조절판(320)에 방해받지 않으며 용이하게 회동이 가능하다.
한편,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310)과 상기 조절판(320)에는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받침판(200)은 높낮이가 조절된 후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일 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고정홈(30)과 상기 고정홈(30)에 대응되어 상기 조절판(320)에 형성된 고정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구(40)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고정홈(30)에 걸리도록 내측을 향해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310)의 상단에 결합된 상기 받침판(200)의 높낮이를 조절시 상기 고정구(40)는 탄성적으로 상기 고정홈(30)과 체결/분리가 일어나게 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100)과 받침판(200)은 상기 다리판(300)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고정판(100)과 받침판(200)을 상기 다리판(300)과 인접하도록 접음으로써 상기 몸체(A)의 부피를 최소로 할 수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A)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몸체(A)를 보다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판(200)에 길이조절이 가능한 걸이구(5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걸이구(50)는 상기 고정판(100)과 다리판(300)에도 형성될 수 있으나, 일정한 경사를 이루어 유아의 다리를 지지하는 상기 받침판(200)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이구(5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 갈고리가 형성된 와이어로 구성되되, 상기 와이어는 일정 길이가 상기 받침판(200) 내부에 감겨져 있어, 이를 당겨 길이조절을 하게 된다. 사용 예를 살펴보면, 유아용 시트에 착석된 유아의 다리가 지지되도록 상기 받침판(200)의 각도를 조절하고 고정한 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구(50)를 당겨 전방에 위치한 자동차 시트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상기 받참판(200)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시 설치된 상기 몸체(A)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몸체(A)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이를 전방에 위치한 자동차 시트에 걸어둘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아용 시트와 별도로 발받침이 형성되어 유아용 시트에 착석한 유아의 다리 중 상기 유아용 시트에 안착되지 못하는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유아에게 편안함과 안전감을 제공하며, 휴대가 가능하여 사용상 편의성이 증대되고, 기존에 발받침이 없는 유아용 시트에 적용이 가능한바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효율적이다.
A : 몸체 10 : 고정홈
20 : 고정구 30 : 고정홈
40 : 고정구 50 : 걸이구
100 : 고정판 200 : 받침판
300 : 다리판 310 : 지지판
311 : 회전부 320 : 조절판
321 : 가이드라인

Claims (12)

  1. 자동차 시트와 유아용 시트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판(100)과, 상기 고정판(100)의 전방에 형성된 받침판(200)을 포함하는 몸체(A)가 구비되어, 상기 받침판(200)에 의해 상기 유아용 시트에 착석한 유아의 다리가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발받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200)은 회동이 가능하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발받침.
  3. 자동차 시트와 유아용 시트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판(100)과, 상기 고정판(100)의 전방에 형성된 받침판(200)을 포함하는 몸체(A)가 구비되되,
    상기 몸체(A)는 상기 몸체(A)를 지지하는 다리판(30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발받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판(300)은 상단에 종단면이 원형인 회전부(311)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받침판(200)은 상기 회전부(311)에 축결합되되,
    상기 회전부(311)와 상기 받침판(200)에는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받침판(200)은 각도가 조절된 후 견고히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발받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회전부(311)의 외측에 형성된 고정홈(10)과, 상기 고정홈(10)에 대응되어 상기 받침판(200)에 형성된 고정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홈(10)은 상기 받침판(200)이 회동하는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20)는 탄성적으로 상기 고정홈(10)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발받침.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판(300)은 상단에 상기 받침판(200)이 결합되는 지지판(310)와, 상기 지지판(310)을 감싸며 후방을 향해 상기 고정판(100)이 결합되는 조절판(32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받침판(200)은 상기 지지판(310)이 조절판(320)의 내부를 승하강함으로써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발받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320)의 상하길이는 상기 지지판(310)의 상하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발받침.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320)의 전방면은 "凹" 형태로 이루어져 양측에 가이드라인(321)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판(310)과 받침판(200)의 결합지점은 상기 가이드라인(321) 사이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받침판(200)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폭이 증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발받침.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310)과 상기 조절판(320)에는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받침판(200)은 높낮이가 조절된 후 견고히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발받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지지판(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고정홈(30)과, 상기 고정홈(30)에 대응되어 상기 조절판(320)에 형성된 고정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구(40)는 탄성적으로 상기 고정홈(30)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발받침.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100)과 받침판(200)은 상기 다리판(300)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몸체(A)를 접어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발받침.
  12.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200)에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걸이구(50)가 포함되어, 상기 걸이구(50)를 전방에 위치한 자동차 시트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발받침.
KR1020140061768A 2014-05-22 2014-05-22 유아용 시트 발받침 KR201501346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768A KR20150134686A (ko) 2014-05-22 2014-05-22 유아용 시트 발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768A KR20150134686A (ko) 2014-05-22 2014-05-22 유아용 시트 발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686A true KR20150134686A (ko) 2015-12-02

Family

ID=54883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1768A KR20150134686A (ko) 2014-05-22 2014-05-22 유아용 시트 발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468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9219B2 (en) Footrest for car seat
JP6970179B2 (ja) エクササイズ手段を有する椅子
CN101233012B (zh) 幼童车用座椅系统
US8210617B2 (en) Child restraint system
US10717375B1 (en) Appendage support for child seat
US6676212B1 (en) Child car seat having an adjustable armrest
US20170313221A1 (en) Motor Vehicle Seat Head Support System
KR101849849B1 (ko) 부스터 시트
JP2019528218A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と協働するデバイス
JP5584035B2 (ja) 育児器具の座席構造および自動車用チャイルドシート
KR20150134686A (ko) 유아용 시트 발받침
KR102349798B1 (ko) 무단 미세조정이 가능한 유아용 부스터 시트
GB2511530A (en) A headrest
KR101495856B1 (ko) 장애인용 의자
KR101475947B1 (ko) 차량 시트의 머리받침대용 베개
JP7001339B2 (ja) 育児器具の座席マット
KR101918838B1 (ko) 자세 교정용 외발 의자
KR200476173Y1 (ko) 의자등받이의 등받이 쿠션 체결구조
KR102340597B1 (ko) 아동용 안전시트
JP2001112588A (ja) 子守帯
KR20140005046U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목 받침
KR20160114297A (ko) 요람 어셈블리
KR200467294Y1 (ko) 차량의 뒷좌석구조
KR101668388B1 (ko) 운전자 겨드랑이 지지대
KR101767776B1 (ko) 차량용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