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4338A - 밀봉 시트 수용기 - Google Patents

밀봉 시트 수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4338A
KR20150134338A KR1020157025723A KR20157025723A KR20150134338A KR 20150134338 A KR20150134338 A KR 20150134338A KR 1020157025723 A KR1020157025723 A KR 1020157025723A KR 20157025723 A KR20157025723 A KR 20157025723A KR 20150134338 A KR20150134338 A KR 20150134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sheet
pair
wall
thickness direction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5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카즈 마츠다
센지 지케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34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3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4Open-ended containers shaped to be nested when empty and to be superposed when full
    • B65D21/043Identical stackable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nesting after rotation around a vertical axis
    • B65D21/045Identical stackable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nesting after rotation around a vertical axis about 180°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Encapsulation Of And Coatings For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를 두께 방향에서 수용 위치와 적층 위치에 선택적으로 중첩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용 위치에서는, 두께 방향의 일방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중앙부와 두께 방향의 타방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중앙부가 상대적으로 이격된다. 적층 위치에서는, 두께 방향의 일방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중앙부와 두께 방향의 타방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중앙부가 상대적으로 근접된다.

Description

밀봉 시트 수용기{SEALING SHEET CONTAINER}
본 발명은 밀봉 시트 수용기, 상세하게는 밀봉 시트를 수용하는 밀봉 시트 수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전자 소자 등을 밀봉 시트에 의해 밀봉하여 전자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밀봉 시트로서, 수지막과 수지막의 표면에 가착(假着)되는 박리 시트를 구비하는 밀봉 시트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밀봉 시트에서는, 출하시에는, 수지막의 표면이 박리 시트에 의해 보호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시에는, 밀봉 시트는 수지막으로부터 박리 시트를 벗겨 수지막을 노출시키고, 전자 소자 등에 대해 부착해서 밀봉하도록 하여 사용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9-141020 호 공보
그런데, 상기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밀봉 시트에서는, 턱(tuck)성이 높은 수지가 수지막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박리 시트를 가착할 수 없어서 수지막을 보호할 수 없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한편, 수지막은, 그 표면이 보호되어 있지 않으면, 공기 중의 먼지나 다른 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밀봉 시트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그래서, 밀봉 시트의 보호를 위해서, 수지막과 다른 부재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공간을 갖는 전용의 포장 용기에 밀봉 시트를 수용하는 것이 검토된다. 그러나, 그러한 전용 포장 용기에서는, 밀봉 시트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할 필요가 있는 만큼, 밀봉 시트를 수용하지 않고, 전용의 포장 용기를 보관, 출하, 반송할 경우에, 적층했을 때의 부피가 증가되어 많은 공간이 필요하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이한 구성으로 밀봉 시트를 수용할 수 있으면서, 밀봉 시트를 수용하지 않을 때에는,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는 밀봉 시트 수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밀봉 시트 수용기는, 밀봉 시트를 수용 가능하며, 소정 두께를 갖고,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제 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중앙부와, 중앙부의 제 1 방향의 양 외측에 있어서 두께 방향으로 간격을 두도록 배치되는 한쌍의 단부와, 중앙부와 한쌍의 단부를 두께 방향을 따라서 연결하는 한쌍의 연결부를 구비하고, 한쌍의 연결부는, 제 1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와, 제 1 방향 내측으로 오목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를 두께 방향에서 수용 위치와 적층 위치에 선택적으로 중첩하는 것이 가능하며, 수용 위치에서는, 두께 방향으로 투영했을 때에, 두께 방향의 일방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볼록부와 두께 방향의 타방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오목부가 중첩되고, 두께 방향의 일방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오목부와 두께 방향의 타방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볼록부가 중첩되며, 1쌍의 연결부가 두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에 의해, 두께 방향의 일방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중앙부와 두께 방향의 타방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중앙부가 상대적으로 이격되어, 밀봉 시트를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며, 적층 위치에서는, 제 1 방향으로 투영했을 때에, 두께 방향의 일방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볼록부와 두께 방향의 타방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볼록부가 중첩되고, 두께 방향의 일방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오목부와 두께 방향의 타방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오목부가 중첩되며, 한쌍의 연결부가 제 1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에 의해, 두께 방향의 일방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중앙부와 두께 방향의 타방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중앙부가 상대적으로 근접되어,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적층 길이가 수용 위치에 있어서의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적층 길이보다 짧아진다.
이러한 밀봉 시트 수용기에서는,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를 수용 위치에 중첩하면,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한쌍의 연결부끼리가 두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중앙부끼리가 상대적으로 이격되는 것에 의해, 밀봉 시트를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를 적층 위치에 중첩하면,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한쌍의 연결부끼리가 제 1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중앙부끼리가 상대적으로 근접하는 것에 의해,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적층 길이가 수용 위치에 있어서의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적층 길이보다 짧아진다.
즉,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로부터, 밀봉 시트를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는 수용 위치와, 수용 위치에 있어서의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적층 길이보다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적층 길이가 짧아지는 적층 위치를 구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밀봉 시트 수용기를 2개 중첩하는 것에 의해, 수용 위치에서는, 밀봉 시트를 수용 가능한 공간에 밀봉 시트를 수용 및 보호할 수 있으며, 적층 위치에서는, 밀봉 시트를 수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적층 길이를 짧게 하여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수용 위치에서, 두께 방향 일방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볼록부와 두께 방향 타방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오목부가 중첩되고, 두께 방향 일방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오목부와 두께 방향 타방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볼록부가 중첩되는, 환언하면, 두께 방향 일방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볼록부의 두께 방향 타방측 단부와 두께 방향 타방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오목부의 두께 방향 일방측 단부는 비접촉이며, 두께 방향 일방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오목부의 두께 방향 타방측 단부와 두께 방향 타방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볼록부의 두께 방향 일방측 단부는 접촉된다.
예컨대, 수용 위치에 있어서의 밀봉 시트를 수용 가능한 공간에 밀봉 시트를 탑재할 때에, 밀봉 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시트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고정 시트를, 두께 방향으로 투영했을 때에, 두께 방향 타방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오목부 및 볼록부와 중첩되도록 배치하는 것에 의해, 두께 방향 일방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오목부와 두께 방향 타방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볼록부의 접촉 부분에 고정 시트의 일부를 끼워서 고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한쌍의 연결부의 오목부 및 볼록부를 이용하여 고정 시트를 고정할 수 있어서, 밀봉 시트 수용기에 보다 효율적으로 밀봉 시트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밀봉 시트 수용기에서는, 두께 방향으로 투영했을 때에, 한쌍의 연결부는 한쌍의 연결부 사이의 중앙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 및 제 1 방향의 양쪽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을 따르는 가상선에 대해 선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밀봉 시트 수용기에서는, 한쌍의 연결부를 가상선에 대해 선대칭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두께 방향의 일방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 또는 두께 방향 타방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 중 어느 하나를, 제 2 방향을 따르는 가상선에 대해, 밀봉 시트 수용기의 한쌍의 연결부의 일방측과 타방측이 교체되도록 배치하는 것만으로도,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를 수용 위치와 적층 위치로 전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간이한 작업에 의해 수용 위치와 적층 위치에 선택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연결부를 가상선에 대해 선대칭으로 형성함으로써, 한쌍의 연결부의 각각을 동일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밀봉 시트 수용기에서는, 오목부 및 볼록부는 한쌍의 연결부에서 각각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두께 방향 및 제 1 방향의 양쪽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을 따르는 파형상을 구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밀봉 시트 수용기에서는,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를 수용 위치에 중첩하면, 두께 방향으로 투영했을 때에, 두께 방향 일방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복수의 오목부의 각각과 두께 방향 타방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복수의 볼록부의 각각이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그 때문에, 복수의 접촉 부분을 갖도록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를 중첩할 수 있으므로,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에 의해, 밀봉 시트를 수용 가능한 공간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밀봉 시트 수용기에 볼록부와 오목부가 복수 마련되어 있다고 해도,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를 적층 위치에 중첩하면, 제 1 방향으로 투영했을 때에,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각각의 볼록부끼리가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각각의 오목부끼리가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그 때문에, 볼록부 및 오목부의 수량에 관계없이,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한쌍의 연결부끼리를 제 1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할 수 있어서,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적층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를 수용 위치에 중첩할 때에는, 밀봉 시트를 수용하는 공간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면서,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를 적층 위치에 중첩할 때는, 밀봉 시트를 수용하지 않을 때의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적층 길이를 짧게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밀봉 시트의 품질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밀봉 시트 수용기에서는, 한쌍의 단부보다도 제 1 방향 양 외측에서,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를 중첩할 때에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밀봉 시트 수용기에서는,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를 중첩할 때에 위치 결정부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수용 위치에서는, 두께 방향으로 투영했을 때에, 두께 방향 일방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볼록부와 두께 방향 타방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오목부가 중첩되며, 두께 방향 일방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오목부와 두께 방향 타방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볼록부가 중첩되도록 확실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결정부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적층 위치에서는, 제 1 방향으로 투영했을 때에, 두께 방향 일방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볼록부와 두께 방향 타방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볼록부가 중첩되며, 두께 방향 일방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오목부와 두께 방향 타방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오목부가 중첩되도록 확실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수용 위치 및 적층 위치의 각 위치에서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를 안정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밀봉 시트에서는, 간이한 구성으로 밀봉 시트를 수용할 수 있으면서, 밀봉 시트를 수용하지 않을 때에는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밀봉 시트 수용기, 고정 시트 및 밀봉 시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편의상, 도 1에 도시하는 방향 화살표는 지면 하측에 도시되는 밀봉 시트 수용기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밀봉 시트 수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도시하는 밀봉 시트 수용기의 A-A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3b는 도 2에 도시하는 밀봉 시트 수용기의 B-B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c는 도 2에 도시하는 밀봉 시트 수용기의 C-C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4d는 도 2에 도시하는 밀봉 시트 수용기의 D-D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밀봉 시트 수용기를 수용 위치에 중첩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수용 위치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7a는 도 6에 도시하는 수용 위치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A'-A'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7b는 도 6에 도시하는 수용 위치의 B'-B'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c는 도 6에 도시하는 수용 위치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C'-C'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8d는 도 6에 도시하는 수용 위치의 밀봉 시트 수용기의 D'-D'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하는 밀봉 시트 수용기를 적층 위치에 중첩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a는 도 9에 도시하는 적층 위치의 밀봉 시트 수용기에 있어서의 도 2의 A-A 단면과 동일 위치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10b는 도 9에 도시하는 적층 위치의 밀봉 시트 수용기에 있어서의 도 2의 B-B 단면과 동일 위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c는 도 9에 도시하는 적층 위치의 밀봉 시트 수용기에 있어서의 도 2의 C-C 단면과 동일 위치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10d는 도 9에 도시하는 적층 위치의 밀봉 시트 수용기에 있어서의 도 2의 D-D 단면과 동일 위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a는 도 1에 도시하는 밀봉 시트 수용기를 수용 위치에 복수 중첩한 상태를 도시하며, 도 12b는 도 1에 도시하는 밀봉 시트 수용기를 적층 위치에 복수 중첩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3은 복수의 밀봉 시트가 밀봉 시트 탑재 영역에 탑재되는 상태를 도시하는데, 도 13a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밀봉 시트이며, 도 13b는 대략 원형상의 밀봉 시트이다.
1. 밀봉 시트 수용기의 구성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밀봉 시트 수용기(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 중첩하는 것에 의해 밀봉 시트(96)(후술)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PE), 폴리스티렌(PS)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의 수지로, 일정한 두께(예컨대, 0.3~1.0㎜)를 갖는 평면시(平面視) 대략 직사각형의 박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밀봉 시트 수용기(1)에 관하여, 방향에 대해 언급하는 경우에는, 각각 수평 방향으로 탑재했을 때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며, 구체적으로는, 각 도면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화살표 방향은 지면 하측에 도시되는 밀봉 시트 수용기(1)에 대해 적용되는 것으로 하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하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1)에 대해 상술한다.
밀봉 시트 수용기(1)는 수용부(4)와, 프레임부(5)와, 홈부(6)와, 복수(4개)의 가설부(7)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수용부(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봉 시트 수용기(1)의 내측 부분으로서, 하측이 개방된 대략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부(5)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봉 시트 수용기(1)의 주연 부분으로서, 수용부(4)의 외주연으로부터, 전후 좌우 방향 외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측을 향해 돌출하는 평면시 대략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부(5)는, 그 하단부가 상하 방향(두께 방향)에서 수용부(4)의 하단부(후술하는 한쌍의 제 1 연결벽(11) 및 한쌍의 제 2 연결벽(12)의 하단부)와 대략 동일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부(5)는, 그 상단부가 수용부(4)의 상단부(후술하는 천장벽(10))보다 상방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홈부(6)는, 수용부(4)의 하단 외주연과 프레임부(5)의 하단 내주연을 연결하는 평면시 대략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설부(7)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시에 있어서의 홈부(6)의 4개의 코너의 각각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하며, 수용부(4)의 4개의 코너의 각각과, 수용부(4)의 4개의 코너의 각각과 인접하는 프레임부(5)의 4개의 코너의 각각과의 사이를 가설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설부(7)는, 그 상단부가 상하 방향에서 수용부(4)의 상단부(후술하는 천장벽(10))와 대략 동일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1) 수용부
수용부(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부의 일 예로서의 천장벽(10)과, 한쌍의 연결부의 일 예로서의 한쌍의 제 1 연결벽(11)(좌우 연결벽)과,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연결부의 일 예로서의 한쌍의 제 2 연결벽(12)(전후 연결벽)을 구비하고 있다.
천장벽(10)은 수용부(4)의 상측 부분으로서, 전후 방향으로 기다란 평면시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제 1 연결벽(1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즉, 제 1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천장벽(10)의 좌우 방향 외측의 양단 가장자리로부터 연속하며,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측면시(側面視)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좌측의 제 1 연결벽(11)(한쌍의 제 1 연결벽(11)의 일방측)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전측의 가설부(7)와 좌후측의 가설부(7) 사이에 가설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우측의 제 1 연결벽(11)(한쌍의 제 1 연결벽(11)의 타방측)은 우전측의 가설부(7)와 우후측의 가설부(7) 사이에 가설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쌍의 제 1 연결벽(11)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방을 향함에 따라서, 약간 좌우 방향 내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연결벽(11)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단폭부(15)와, 제 1 장폭부(16)와, 복수(6개)의 볼록부의 일 예로서의 제 1 볼록부(17)(수용부측 좌우 볼록부)와, 복수(5개)의 오목부의 일예로서의 제 1 오목부(19)(수용부측 좌우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단폭부(15)는 제 1 연결벽(11)의 전측 부분으로서, 평면시 대략 직선 형상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장폭부(16)는 제 1 연결벽(11)의 후측 부분으로서, 평면시 대략 직선 형상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장폭부(16)의 전후 방향(즉, 제 2 방향) 길이는 제 1 단폭부(15)의 전후 방향 길이보다 길다.
제 1 볼록부(17)는 제 1 연결벽(11)에 있어서의 제 1 단폭부(15)와 제 1 장폭부(16) 사이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6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최전단의 제 1 볼록부(17)는 제 1 단폭부(15)와 연속되며, 최후단의 제 1 볼록부(17)는 제 1 장폭부(16)와 연속되어 있다. 제 1 볼록부(17)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연결벽(11)의 상하 방향 전역에 걸쳐서, 좌우 방향 외측을 향해 만곡하도록 돌출하는 평면시 대략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볼록부(17)의 좌우 방향 외측 단부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에 있어서 제 1 단폭부(15) 및 제 1 장폭부(16)보다 좌우 방향 외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오목부(19)는 제 1 연결벽(11)에 있어서의 제 1 단폭부(15)와 제 1 장폭부(16) 사이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5개 배치되어 있다. 제 1 오목부(19)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 1 볼록부(17)의 사이에 연속하여 배치되며, 제 1 연결벽(11)의 상하 방향 전역에 걸쳐서, 좌우 방향 내측을 향해 만곡하도록 오목한 평면시 대략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오목부(19)의 좌우 방향 내측 단부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에 있어서 제 1 단폭부(15) 및 제 1 장폭부(16)와 대략 동일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1 연결벽(11)의 전후 방향 단부에 제 1 단폭부(15) 및 제 1 장폭부(16)가 형성되며, 그 사이에 연속하여 복수의 제 1 볼록부(17)와 복수의 제 1 오목부(19)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평면시에 있어서, 천장벽(10)의 좌우 방향 양 외측의 단부 가장자리는, 전후 방향 양단부가 전후 방향을 따르는 대략 직선 형상이며, 그 전후 방향 대략 중앙 부분이 전후 방향을 따르는 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하 방향으로 투영했을 때에, 제 1 볼록부(17)에 의해 둘러싸이는 천장벽(10)의 대략 반원 형상 부분이 제 1 볼록부 상면(18)으로서 구획되어 있다. 즉, 제 1 볼록부 상면(18)은 복수의 제 1 볼록부(17)에 대응하며, 천장벽(10)의 좌우 방향 외측 부분의 각각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6개씩 구획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한쌍의 제 1 연결벽(11)은, 수용부(4)에 있어서, 한쌍의 제 2 연결벽(12) 사이의 중앙에서의 좌우 방향을 따르는 가상선(X)(도 2 가상선 참조)에 대해 비선대칭이며, 한쌍의 제 1 연결벽(11) 사이의 중앙에서의 전후 방향을 따르는 가상선(Y)(도 2 가상선 참조)에 대해 선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제 2 연결벽(12)은,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천장벽(10)의 전후 방향 외측의 양단 가장자리로부터 연속하며,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정면시(正面視)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측의 제 2 연결벽(12)(한쌍의 제 2 연결벽(12)의 일방측)은 좌전측의 가설부(7)와 우전측의 가설부(7) 사이에 가설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후측의 제 2 연결벽(12)(한쌍의 제 2 연결벽(12)의 타방측)은 좌후측의 가설부(7)와 우후측의 가설부(7) 사이에 가설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연결벽(12)은, 그 좌우 방향 길이가 제 1 연결벽(11)의 전후 방향 길이보다 짧다. 한쌍의 제 2 연결벽(12)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방을 향함에 따라서, 약간 전후 방향 내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연결벽(12)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단폭부(25)와, 제 2 장폭부(26)와, 복수(5개)의 오목부의 일 예로서의 제 2 오목부(29)(수용부측 전후 오목부)와, 복수(4개)의 볼록부의 일 예로서의 제 2 볼록부(27)(수용부측 전후 볼록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단폭부(25)는 제 2 연결벽(12)의 좌측 부분으로서, 평면시 대략 직선 형상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장폭부(26)는 제 2 연결벽(12)의 우측 부분으로서, 평면시 대략 직선 형상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장폭부(26)의 좌우 방향 길이는 제 2 단폭부(25)의 좌우 방향 길이보다 길다.
제 2 오목부(29)는 제 2 연결벽(12)에 있어서의 제 2 단폭부(25)와 제 2 장폭부(26) 사이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5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최좌단의 제 2 오목부(29)는 제 2 단폭부(25)와 연속되며, 최우단의 제 2 오목부(29)는 제 2 장폭부(26)와 연속되어 있다. 제 2 오목부(29)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연결벽(12)의 상하 방향 전역에 걸쳐서 전후 방향 내측을 향해 만곡하도록 오목한 평면시 대략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오목부(29)의 전후 방향 내측 단부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 2 단폭부(25) 및 제 2 장폭부(26)보다 전후 방향 내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2 볼록부(27)는 제 2 연결벽(12)에 있어서의 제 2 단폭부(25)와 제 2 장폭부(26) 사이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4개 배치되어 있다. 제 2 볼록부(27)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 2 오목부(29) 사이에 연속하여 배치되며, 제 2 연결벽(12)의 상하 방향 전역에 걸쳐서 전후 방향 외측을 향해 만곡하도록 돌출하는 평면시 대략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볼록부(27)의 전후 방향 외측 단부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 2 단폭부(25) 및 제 2 장폭부(26)와 대략 동일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2 연결벽(12)의 좌우 방향 단부에 제 2 단폭부(25) 및 제 2 장폭부(26)가 형성되며, 그 사이에 연속하여 복수의 제 2 오목부(29)와 복수의 제 2 볼록부(27)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평면시에 있어서, 천장벽(10)의 전후 방향 양 외측의 단부 가장자리는, 좌우 방향 양단부가 좌우 방향을 따르는 대략 직선 형상이며, 그 좌우 방향 대략 중앙 부분이 좌우 방향을 따르는 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하 방향으로 투영했을 때에, 제 2 볼록부(27)에 의해 둘러싸이는 천장벽(10)의 대략 반원 형상 부분이 제 2 볼록부 상면(28)으로서 구획되어 있다. 또한, 천장벽(10)의 우측에서, 최우단의 제 2 오목부(29) 및 제 2 장폭부(26)와 인접하는 부분이 제 2 볼록부 상면(28)으로서 구획되어 있다. 즉, 제 2 볼록부 상면(28)은 천장벽(10)의 전후 방향 외측 부분의 각각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5개씩 구획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한쌍의 제 2 연결벽(12)은, 수용부(4)에 있어서, 가상선(Y)(도 2 가상선 참조)에 대해 비선대칭이며, 가상선(X)(도 2 가상선 참조)에 대해 선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용부(4)에 있어서, 천장벽(10)에는, 고정 시트 탑재 영역(84)과 밀봉 시트 탑재 영역(85)이 구획되어 있다.
고정 시트 탑재 영역(84)은, 천장벽(10)에 있어서, 그 좌우 방향 길이가 한쌍의 제 1 연결벽(11)의 각각의 제 1 볼록부(17)의 좌우 방향 외측 단부 사이의 길이보다 짧고, 한쌍의 제 1 연결벽(11)의 각각의 제 1 오목부(19)의 좌우 방향 내측 단부 사이의 길이보다 길며, 또한, 그 전후 방향 길이가 한쌍의 제 2 연결벽(12)의 각각의 제 2 볼록부(27)의 전후 방향 외측 단부 사이의 길이보다 짧고, 한쌍의 제 2 연결벽(12)의 각각의 제 2 오목부(29)의 전후 방향 내측 단부 사이의 길이보다 긴 영역으로서 구획되어 있다.
밀봉 시트 탑재 영역(85)은, 천장벽(10)에 있어서, 고정 시트 탑재 영역(84)의 내측에 구획되어 있으며, 그 좌우 방향 길이가 한쌍의 제 1 연결벽(11)의 각각의 제 1 오목부(19)의 좌우 방향 내측 단부 사이의 길이보다 약간 짧고, 그 전후 방향 길이가 한쌍의 제 2 연결벽(12)의 각각의 제 2 오목부(29)의 전후 방향 내측 단부 사이의 길이보다 약간 짧은 영역으로서 구획되어 있다.
(2) 프레임부
프레임부(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부의 일 예로서의 한쌍의 제 1 위치 결정부(32)와, 위치 결정부의 일 예로서의 한쌍의 제 2 위치 결정부(33)(도 4 참조)와, 차양부(34)를 구비하고 있다.
(2-1) 제 1 위치 결정부
한쌍의 제 1 위치 결정부(32)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제 1 위치 결정부(32)를 구별하는 경우에는, 좌측의 제 1 위치 결정부(32)를 한쌍의 제 1 위치 결정부(32)의 일방측으로 하고, 우측의 제 1 위치 결정부(32)를 한쌍의 제 1 위치 결정부(32)의 타방측으로 한다. 제 1 위치 결정부(32)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내벽(37)과, 제 1 내벽(37)과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 1 외벽(38)과, 제 1 내벽(37)의 상단부와 제 1 외벽(38)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 1 상벽(39)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내벽(37)은 측면시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내벽(37)은 상방을 향함에 따라서 약간 좌우 방향 외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내벽(37)의 하단 가장자리는 홈부(6)(상세하게는, 후술하는 제 1 바닥벽(69))와 연속되어 있다.
제 1 외벽(38)은 측면시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외벽(38)은 상방을 향함에 따라서 약간 좌우 방향 내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상벽(39)은 제 1 내벽(37)의 상단 가장자리와 제 1 외벽(38)의 상단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평면시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위치 결정부(32)는 제 1 내벽(37)과 제 1 외벽(38)과 제 1 내벽(37)으로부터, 상방을 향함에 따라서 폭이 좁아지는 정단면시(正斷面視)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2-1-1) 제 1 내벽
제 1 내벽(37)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 단폭부(45)와, 제 3 장폭부(46)와, 복수(7개)의 제 3 볼록부(47)(프레임부측 좌우 볼록부)와, 복수(6개)의 제 3 오목부(49)(프레임부측 좌우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 3 단폭부(45)는 제 1 내벽(37)의 전측 부분으로서, 평면시 대략 직선 형상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3 장폭부(46)는 제 1 내벽(37)의 후측 부분으로서, 평면시 대략 직선 형상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3 장폭부(46)의 전후 방향 길이는 제 3 단폭부(45)의 전후 방향 길이보다 길다.
제 3 볼록부(47)는 제 1 내벽(37)에 있어서의 제 3 단폭부(45)와 제 3 장폭부(46) 사이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7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최전단의 제 3 볼록부(47)는 제 3 단폭부(45)와 연속되며, 최후단의 제 3 볼록부(47)는 제 3 장폭부(46)와 연속되어 있다. 제 3 볼록부(47)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내벽(37)에 있어서 제 1 내벽(37)의 상측 부분을 제외한 좌우 방향 내측 부분으로부터 좌우 방향 내측을 향해 만곡하도록 돌출하는 평면시 대략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3 볼록부(47)의 좌우 방향 내측 단부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에 있어서 제 3 단폭부(45) 및 제 3 장폭부(46)보다 좌우 방향 내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3 오목부(49)는 제 1 내벽(37)에 있어서의 제 3 단폭부(45)와 제 3 장폭부(46) 사이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6개 배치되어 있다. 제 3 오목부(49)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 3 볼록부(47) 사이에 연속하여 배치되며, 좌우 방향 외측을 향해 만곡하도록 오목한 평면시 대략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3 오목부(49)의 좌우 방향 외측 단부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에 있어서 제 3 단폭부(45) 및 제 3 장폭부(46)와 대략 동일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1 내벽(37)의 전후 방향 단부에 제 3 단폭부(45) 및 제 3 장폭부(46)가 형성되며, 그 사이에 연속하여 복수의 제 3 볼록부(47)와 복수의 제 3 오목부(49)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평면시에 있어서, 제 1 내벽(37)은, 전후 방향 양단부가 전후 방향을 따르는 대략 직선 형상이며, 그 전후 방향 대략 중앙 부분이 전후 방향을 따르는 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내벽(37)은, 그 제 3 볼록부(47)가 제 1 연결벽(11)의 제 1 오목부(19)와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며, 그 제 3 오목부(49)가 제 1 연결벽(11)의 제 1 볼록부(17)와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는 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내벽(37)의 파형상(복수의 제 3 볼록부(47)와 복수의 제 3 오목부(49))과 제 1 연결벽(11)의 파형상(복수의 제 1 오목부(19)와 복수의 제 2 볼록부(27))은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엇갈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하 방향으로 투영했을 때에, 제 1 내벽(37)에 있어서 제 3 볼록부(47)에 의해 둘러싸이는 대략 반원 형상 부분이 제 3 볼록부 상면(48)으로서 구획되어 있다. 즉, 제 3 볼록부 상면(48)은 복수의 제 3 볼록부(47)에 대응하며, 한쌍의 제 1 위치 결정부(32)의 제 1 내벽(37)의 각각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7개씩 구획되어 있다. 제 3 볼록부 상면(48)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에 있어서 수용부(4)의 천장벽(10)과 대략 동일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2-1-2) 제 1 외벽
제 1 외벽(38)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3개)의 제 1 대오목부(52)와 복수(3개)의 제 1 대볼록부(51)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대오목부(52)는 제 1 외벽(38)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3개 배치되어 있다. 제 1 대오목부(5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외벽(38)의 상하 방향 전역에 걸쳐서 좌우 방향 내측을 향해 평면시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 1 대볼록부(5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외벽(38)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3개 배치되어 있다. 제 1 대볼록부(51)는, 그 중 2개가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 1 대오목부(52) 사이에 연속하여 배치되며, 그 중 1개가 최전단의 제 1 대오목부(52)와 연속하도록 제 1 대오목부(52)의 전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대볼록부(5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외벽(38)의 상하 방향 전역에 걸쳐서 좌우 방향 외측을 향해 평면시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대볼록부(51)는, 그 전후 방향 길이가 제 1 대오목부(52)의 전후 방향 길이보다 길다. 또한, 제 1 대볼록부(51)는 제 1 지지부(53)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지지부(53)는 제 1 대볼록부(51)의 전후 방향 대략 중앙에 있어서의 상측 부분으로부터 좌우 방향 내측을 향해 평면시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 1 지지부(53)는, 그 전후 방향 길이가 제 1 대오목부(52)의 전후 방향 길이와 대략 동일하다. 제 1 지지부(53)의 하면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4)의 천장벽(10)과 상하 방향에서 대략 동일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밀봉 시트 수용기(1)의 전단으로부터 최전단의 제 1 지지부(53)까지의 길이와, 밀봉 시트 수용기(1)의 후단으로부터 최후단의 제 1 대오목부(52)까지의 길이는 대략 동일하다.
(2-2) 제 2 위치 결정부
한쌍의 제 2 위치 결정부(33)는, 한쌍의 제 1 위치 결정부(32)의 전단부 사이 및 후단부 사이를 가설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좌우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제 2 위치 결정부(33)을 구별하는 경우에는, 전측의 제 2 위치 결정부(33)를 한쌍의 제 2 위치 결정부(33)의 일방측으로 하고, 후측의 제 2 위치 결정부(33)를 한쌍의 제 2 위치 결정부(33)의 타방측으로 한다. 제 2 위치 결정부(33)는, 그 좌우 방향 길이가 제 1 위치 결정부(32)의 전후 방향 길이보다 짧다. 또한, 제 2 위치 결정부(33)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내벽(40)과, 제 2 내벽(40)과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 2 외벽(41)과, 제 2 내벽(40)의 상단부와 제 2 외벽(41)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 2 상벽(42)을 구비하고 있다.
제 2 내벽(40)은 정면시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내벽(40)은 상방을 향함에 따라서 약간 전후 방향 외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내벽(40)의 하단부는 홈부(6)(상세하게는, 후술하는 제 2 바닥벽(70))와 연속되어 있다.
제 2 외벽(41)은 정면시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외벽(41)은 상방을 향함에 따라서 약간 전후 방향 내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상벽(42)은 제 2 내벽(40)의 상단 가장자리와 제 2 외벽(41)의 상단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평면시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 2 위치 결정부(33)는 제 2 내벽(40)과 제 2 외벽(41)과 제 2 상벽(42)으로부터, 상방을 향함에 따라서 폭이 좁아지는 측단면시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2-2-1) 제 2 내벽
제 2 내벽(40)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4 단폭부(55)와, 제 4 장폭부(56)와, 복수(5개)의 제 4 볼록부(57)(프레임부측 전후 볼록부)와, 복수(4개)의 제 4 오목부(59)(프레임부측 전후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 4 단폭부(55)는 제 2 내벽(40)의 좌측 부분으로서, 평면시 대략 직선 형상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4 장폭부(56)는 제 2 내벽(40)의 우측 부분으로서, 평면시 대략 직선 형상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4 장폭부(56)의 좌우 방향 길이는 제 4 장폭부(56)의 좌우 방향 길이보다 길다.
제 4 볼록부(57)는 제 2 내벽(40)에 있어서의 제 4 단폭부(55)와 제 4 장폭부(56) 사이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5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최좌단의 제 4 볼록부(57)는 제 4 단폭부(55)와 연속되며, 최우단의 제 4 볼록부(57)는 제 4 장폭부(56)와 연속되어 있다. 제 4 볼록부(57)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내벽(40)에 있어서 제 2 내벽(40)의 상측 부분을 제외한 전후 방향 내측 부분으로부터 전후 방향 내측을 향해 만곡하도록 돌출하는 평면시 대략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4 볼록부(57)의 전후 방향 내측 단부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 4 단폭부(55) 및 제 4 장폭부(56)보다 전후 방향 내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4 오목부(59)는 제 2 내벽(40)에 있어서의 제 4 단폭부(55)와 제 4 장폭부(56) 사이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4개 배치되어 있다. 제 4 오목부(59)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 4 볼록부(57) 사이에 연속하여 배치되며, 전후 방향 외측을 향해 만곡하도록 오목한 평면시 대략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4 오목부(59)의 전후 방향 외측 단부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 4 단폭부(55) 및 제 4 장폭부(56)와 대략 동일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2 내벽(40)의 좌우 방향 단부에 제 4 단폭부(55) 및 제 4 장폭부(56)가 형성되며, 그 사이에 연속하여 복수의 제 4 볼록부(57)와 복수의 제 3 오목부(49)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평면시에 있어서, 제 2 내벽(40)은, 좌우 방향 양단부가 좌우 방향을 따르는 대략 직선 형상이며, 그 좌우 방향 대략 중앙 부분이 좌우 방향을 따르는 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내벽(40)은, 그 제 4 볼록부(57)가 제 2 연결벽(12)의 제 2 오목부(29)와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며, 그 제 4 오목부(59)가 제 1 연결벽(11)의 제 2 볼록부(27)와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는 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 2 내벽(40)의 파형상(복수의 제 4 볼록부(57)와 복수의 제 4 오목부(59))과, 제 2 연결벽(12)의 파형상(복수의 제 2 오목부(29)와 복수의 제 2 볼록부(27))은 좌우 방향을 따라서 엇갈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하 방향으로 투영했을 때에, 제 2 내벽(40)에서 제 4 볼록부(57)에 의해 둘러싸이는 대략 반원 형상 부분이 제 4 볼록부 상면(58)으로서 구획되어 있다. 즉, 제 4 볼록부 상면(58)은 복수의 제 4 볼록부(57)에 대응하며, 한쌍의 제 2 위치 결정부(33)의 제 1 내벽(37)의 각각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5개씩 구획되어 있다. 제 4 볼록부 상면(58)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에 있어서 수용부(4)의 천장벽(10)과 대략 동일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2-2-2) 제 2 외벽
제 2 외벽(41)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2개)의 제 2 대오목부(62)와 복수(2개)의 제 2 대볼록부(61)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대오목부(62)는 제 2 외벽(41)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2개 배치되어 있다. 제 2 대오목부(62)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외벽(41)의 상하 방향 전역에 걸쳐서 전후 방향 내측을 향해 평면시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 2 대볼록부(6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외벽(41)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2개 배치되어 있다. 제 2 대볼록부(61)는, 그 중 1개가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 2 대오목부(62) 사이에 연속하여 배치되며, 그 중 1개가 좌측의 제 2 대오목부(62)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대볼록부(6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외벽(41)의 상하 방향 전역에 걸쳐서 전후 방향 외측을 향해 평면시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대볼록부(61)는, 그 좌우 방향 길이가 제 2 대오목부(62)의 좌우 방향 길이보다 길다. 또한, 제 2 대볼록부(61)는 제 2 지지부(63)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지지부(63)는 제 2 대볼록부(61)의 좌우 방향 대략 중앙에 있어서의 상측 부분으로부터 전후 방향 내측을 향해 평면시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 2 지지부(63)는, 그 좌우 방향 길이가 제 2 대오목부(62)의 좌우 방향 길이와 대략 동일하다. 제 2 지지부(63)의 하면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4)의 천장벽(10)과 상하 방향에서 대략 동일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밀봉 시트 수용기(1)의 좌단으로부터 좌측의 제 2 지지부(63)까지의 길이와, 밀봉 시트 수용기(1)의 우단으로부터 우측의 제 2 대오목부(62)까지의 길이는 대략 동일하다.
(2-3) 차양부
차양부(3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부(5)의 주연 부분으로서, 한쌍의 제 1 위치 결정부(32)의 제 1 외벽(38)의 하단 가장자리, 및 한쌍의 제 2 위치 결정부(33)의 제 2 외벽(41)의 하단 가장자리와 연속하는 평면시 대략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차양부(34)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에서 홈부(6)(상세하게는, 후술하는 한쌍의 제 1 바닥벽(69)과 한쌍의 제 2 바닥벽(70))와 대략 동일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투영했을 때에, 제 1 대오목부(52)에 의해 둘러싸이는 차양부(34)의 대략 직사각형 부분이 제 1 피지지부(64)로서 구획되어 있다. 즉, 제 1 피지지부(64)는 복수의 제 1 지지부(53)에 대응하며, 차양부(34)의 좌우 방향 양측에 3개씩 구획되어 있다. 또한, 상하 방향으로 투영했을 때에, 제 2 대오목부(62)에 의해 둘러싸이는 차양부(34)의 대략 직사각형 부분이 제 2 피지지부(65)로서 구획되어 있다. 즉, 제 2 피지지부(65)는 복수의 제 2 지지부(63)에 대응하며, 차양부(34)의 전후 방향 양측에 2개씩 구획되어 있다.
(3) 홈부
홈부(6)는 한쌍의 단부의 일 예로서의 한쌍의 제 1 바닥벽(69)과, 한쌍의 단부의 일 예로서의 한쌍의 제 2 바닥벽(70)을 구비하고 있다.
한쌍의 제 1 바닥벽(69)은 홈부(6)의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으로서, 서로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좌측의 제 1 바닥벽(69)(한쌍의 제 1 바닥벽(69)의 일방측)은 좌전측의 가설부(7)와 좌후측의 가설부(7)의 하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동시에, 좌측의 제 1 연결벽(11)(한쌍의 제 1 바닥벽(69)의 타방측)과 좌측의 제 1 내벽(37)의 하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후 방향으로 기다란 평면시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우측의 제 1 바닥벽(69)은 우전측의 가설부(7)와 우후측의 가설부(7)의 하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동시에, 우측의 제 1 연결벽(11)과 우측의 제 1 내벽(37)의 하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후 방향으로 기다란 평면시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바닥벽(69)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투영했을 때에, 제 1 연결벽(11)의 제 1 오목부(19)에 의해 둘러싸이는 대략 반원 형상 부분이, 제 1 오목부 하면(73)으로서 구획되어 있다. 또한, 제 1 바닥벽(69)의 후측에 있어서 최후단의 제 1 볼록부(17) 및 제 1 장폭부(16)의 전측 부분과 인접하는 부분이 제 1 오목부 하면(73)으로서 구획되어 있다. 즉, 제 1 오목부 하면(73)은 한쌍의 제 1 바닥벽(69)의 좌우 방향 내측 부분의 각각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6개씩 구획되어 있다.
또한, 제 1 바닥벽(69)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투영했을 때에, 제 1 내벽(37)의 제 3 오목부(49)에 의해 둘러싸이는 대략 반원 형상 부분이, 제 3 오목부 하면(76)으로서 구획되어 있다. 또한, 제 1 바닥벽(69)의 후측에 있어서 최후단의 제 3 볼록부(47) 및 제 3 장폭부(46)의 전측 부분과 인접하는 부분이 제 3 오목부 하면(76)으로서 구획되어 있다. 즉, 제 3 오목부 하면(76)은 한쌍의 제 1 바닥벽(69)의 좌우 방향 외측 부분의 각각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7개씩 구획되어 있다.
한쌍의 제 2 바닥벽(70)은 홈부(6)의 전측 부분 및 후측 부분으로서, 서로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측의 제 2 바닥벽(70)(한쌍의 제 2 바닥벽(70)의 일방측)은 좌전측의 가설부(7)와 우전측의 가설부(7)의 하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동시에, 전측의 제 2 연결벽(12)과 전측의 제 2 내벽(40)의 하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좌우 방향으로 기다란 평면시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후측의 제 2 바닥벽(70)(한쌍의 제 2 바닥벽(70)의 타방측)은 좌후측의 가설부(7)와 우후측의 가설부(7)의 하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동시에, 후측의 제 2 연결벽(12)과 후측의 제 2 내벽(40)의 하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좌우 방향으로 기다란 평면시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바닥벽(70)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투영했을 때에, 제 2 연결벽(12)의 제 2 오목부(29)에 의해 둘러싸이는 대략 반원 형상 부분이, 제 2 오목부 하면(74)으로서 구획되어 있다. 즉, 제 2 오목부 하면(74)은 한쌍의 제 2 바닥벽(70)의 전후 방향 내측 부분의 각각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5개씩 구획되어 있다.
또한, 제 2 바닥벽(70)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투영했을 때에, 제 2 내벽(40)의 제 4 오목부(59)에 의해 둘러싸이는 대략 반원 형상 부분이, 제 4 오목부 하면(77)으로서 구획되어 있다. 또한, 제 2 바닥벽(70)의 우측에 있어서 최우단의 제 4 볼록부(57) 및 제 4 장폭부(56)의 좌측 부분과 인접하는 부분이 제 4 오목부 하면(77)으로서 구획되어 있다. 즉, 제 4 오목부 하면(77)은 한쌍의 제 2 바닥벽(70)의 전후 방향 외측 부분의 각각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5개씩 구획되어 있다.
(4) 가설부
가설부(7)는 수용부(4)의 4개의 코너에 각각 배치되며, 밀봉 시트 수용기(1)의 대각선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수용부(4)와 프레임부(5)를 가설하고 있다. 가설부(7)는 상방을 향함에 따라서 폭이 좁아지는 단면시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설부(7)는 저류부(80)를 구비하고 있다.
저류부(80)는 가설부(7)의 외측 부분으로서, 프레임부(5)의 4개의 코너(한쌍의 제 1 위치 결정부(32)와 한쌍의 제 2 위치 결정부(33)의 연결 부분)에 대해, 밀봉 시트 수용기(1)의 내측으로부터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하방을 향해 대략 반원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2. 고정 시트의 구성
고정 시트(93)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 이루어지며,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두께(예컨대, 0.02~0.20㎜)를 갖는 전후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렉시블한 박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 시트(93)의 전후 좌우 방향 길이는 고정 시트 탑재 영역(84)의 전후 좌우 방향 길이와 동일하다.
고정 시트(93)는, 그 상면이 표면 턱을 갖는 편면 점착 시트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 시트(93)의 점착력은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고정 시트(93)에 대해, 상측으로부터 밀봉 시트 수용기(1)의 제 1 오목부 하면(73) 및 제 2 오목부 하면(74)이 접촉된 것만으로는 밀봉 시트 수용기(1)에 접착되지 않도록, 예컨대, 1Pa 이상, 바람직하게는, 5Pa 이상이며, 예컨대, 100Pa 이하, 바람직하게는, 50Pa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고정 시트(93)의 점착력이 100Pa보다 크면, 고정 시트(93)에 대해 밀봉 시트 수용기(1)의 제 1 오목부 하면(73) 및 제 2 오목부 하면(74)이 접촉된 상태에서, 밀봉 시트 수용기(1)를 상방으로 들어올렸을 때에, 고정 시트(93)가 밀봉 시트 수용기(1)에 추종하여 들어 올려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고정 시트(93)의 점착력이 1Pa보다 작으면, 후술하는 적층 위치에 있어서, 밀봉 시트 수용기(1)(후술하는 밀봉 시트 수용기(1B))에서 고정 시트(93)를 고정하는 것이 곤란해져, 밀봉 시트(96)(후술)를 안정적으로 출하, 반송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고정 시트(93)의 밀봉 시트(96)(후술)에 대한 점착력은 고정 시트(93)의 밀봉 시트 수용기(1)에 대한 점착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3. 밀봉 시트의 구성
밀봉 시트(96)는, 도 1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재(97)와 밀봉층(98)을 구비하고 있다.
기재(97)는 수지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두께(예컨대, 0.02~1.50㎜)를 갖는 좌우 방향으로 기다란 평면시 대략 직사각형의 박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밀봉층(98)은 점착성을 갖는 수지(점착제)로, 평면시에 있어서의 기재(97)의 대략 중앙 부분에 적층되는 평면시 대략 직사각형의 박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밀봉 시트(96)는 그 기재(97)의 형상 및 크기, 또한, 그 밀봉층(98)의 형상 및 크기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기재(97)는 밀봉 시트 탑재 영역(85)보다 작고 밀봉층(98)은 기재(97)보다 작으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다. 예컨대, 도 1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봉 시트(96)는 평면시 대략 원형상의 박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밀봉 시트(96)는, 도시하지 않지만, 예컨대, 평면시 대략 삼각형의 박판 형상, 평면시 대략 L자 형상의 박판 형상, 또는 평면시 대략 별 형상의 박판 형상 등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4. 밀봉 시트 수용기의 중첩
상기한 밀봉 시트 수용기(1)는 상하 방향에서 2개 이상 중첩할 수 있다. 밀봉 시트 수용기(1)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한 밀봉 시트(96)를 수용 가능한 수용 위치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봉 시트(96)를 수용하지 않는 적층 위치에 선택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밀봉 시트 수용기(1)의 중첩을 설명할 때에, 도 5 내지 도 11에서, 하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1)를 밀봉 시트 수용기(1A)로 하고, 밀봉 시트 수용기(1A)에 속하는 모든 부재에는 그 부호의 말미에 A를 부가하며, 또한, 상측의 밀봉 시트 수용기(1)를 밀봉 시트 수용기(1B)로 하고, 밀봉 시트 수용기(1B)에 속하는 모든 부재에는 그 부호의 말미에 B를 부여하여,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1)를 구별한다.
(1) 수용 위치
밀봉 시트 수용기(1)를, 밀봉 시트(96)를 수용 가능한 수용 위치에 중첩하려면, 우선, 2개의 동일 형상의 밀봉 시트 수용기(1)와 고정 시트(93)와 밀봉 시트(96)를 준비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봉 시트 수용기(1A)의 천장벽(10A)에 고정 시트(93)를 탑재한다.
천장벽(10A)에 고정 시트(93)를 탑재하려면, 천장벽(10A)의 고정 시트 탑재 영역(84A)에 대해 고정 시트(93)의 비접착면(하면)이 접촉되도록, 고정 시트(93)를 상측으로부터 탑재한다. 이에 의해, 고정 시트(93)는 천장벽(10A)의 고정 시트 탑재 영역(84A)에 탑재된다.
이어서, 고정 시트(93)에 밀봉 시트(96)를 탑재한다.
고정 시트(93)에 밀봉 시트(96)를 탑재하려면, 천장벽(10A)의 밀봉 시트 탑재 영역(85A) 내에서, 고정 시트(93)에 대해, 밀봉 시트(96)의 기재(97)가 접촉되도록, 밀봉 시트(96)를 상측으로부터 탑재한다. 이에 의해, 밀봉 시트(96)는 천장벽(10A)의 밀봉 시트 탑재 영역(85A)에 탑재된다.
또한, 고정 시트(93)와 밀봉 시트(96)를 천장벽(10A)에 탑재하는 방법은 상기한 순번에 한정되지 않으며, 우선, 고정 시트(93)에 대해 밀봉 시트(96)를 탑재하고 나서, 밀봉 시트(96)가 탑재된 고정 시트(93)를 천장벽(10A)에 탑재할 수도 있다.
또한, 밀봉 시트(96)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봉 시트 탑재 영역(85)에 들어가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복수 배치할 수 있다.
다음에,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시트(93) 및 밀봉 시트(96)가 탑재된 밀봉 시트 수용기(1A)에 대해 밀봉 시트 수용기(1B)를 상측으로부터 중첩시킨다.
상세하게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봉 시트 수용기(1A)에 대해, 밀봉 시트 수용기(1B)를, 평면시에 있어서의 밀봉 시트 수용기(1)의 대각선(도시하지 않음)의 교점을 통과하는 상하 방향을 따르는 중점(Z)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180° 회전시킨다. 즉, 밀봉 시트 수용기(1B)를 가상선(Y)에 대해 한쌍의 제 1 연결벽(11B) 일방측과 타방측이 교체되는 동시에, 가상선(X)에 대해 한쌍의 제 2 연결벽(12B)의 일방측과 타방측이 교체되도록 배치한다.
그렇게 하여, 상하 방향으로 투영했을 때에, 한쌍의 제 1 연결벽(11A)의 일방측과 한쌍의 제 1 연결벽(11B)의 타방측, 한쌍의 제 2 연결벽(12A)의 일방측과 한쌍의 제 2 연결벽(12B)의 타방측, 한쌍의 제 1 위치 결정부(32A)의 일방측과 한쌍의 제 1 위치 결정부(32B)의 타방측, 및 한쌍의 제 2 위치 결정부(33A)의 일방측과 한쌍의 제 2 위치 결정부(33B)의 타방측이 각각 일치하도록, 밀봉 시트 수용기(1B)를 밀봉 시트 수용기(1A)에 대해 상측으로부터 중첩시킨다.
그렇게 하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시에 있어서, 제 1 연결벽(11A)의 제 1 단폭부(15A)와 제 1 연결벽(11B)의 제 1 장폭부(16B)가 중첩되며, 제 1 연결벽(11A)의 제 1 장폭부(16A)와 제 1 연결벽(11B)의 제 1 단폭부(15B)가 중첩되는 것에 의해, 제 1 연결벽(11A)에 있어서의 제 1 볼록부(17A) 및 제 1 오목부(19A)로 이루어지는 파형상과, 제 1 연결벽(11B)에 있어서의 제 1 볼록부(17B) 및 제 1 오목부(19B)로 이루어지는 파형상이 어긋나도록 중첩된다. 즉, 상하 방향으로 투영했을 때에, 제 1 볼록부(17A)와 제 1 오목부(19B)가 중첩되며, 제 1 오목부(19A)와 제 1 볼록부(17B)가 중첩된다.
또한, 평면시에 있어서, 제 2 연결벽(12A)의 제 2 단폭부(25A)와 제 2 연결벽(12B)의 제 2 장폭부(26B)가 중첩되며, 제 2 연결벽(12A)의 제 2 장폭부(26A)와 제 2 연결벽(12B)의 제 2 단폭부(25B)가 중첩되는 것에 의해, 제 2 연결벽(12A)에 있어서의 제 2 볼록부(27A) 및 제 2 오목부(29A)로 이루어지는 파형상과, 제 2 연결벽(12B)에 있어서의 제 2 볼록부(27B) 및 제 2 오목부(29B)로 이루어지는 파형상이 어긋나도록 중첩된다. 즉, 상하 방향으로 투영했을 때에, 제 2 볼록부(27A)와 제 2 오목부(29B)가 중첩되며, 제 2 오목부(29A)와 제 2 볼록부(27B)가 중첩된다.
또한, 평면시에 있어서, 제 1 내벽(37A)의 제 3 단폭부(45A)와 제 1 내벽(37B)의 제 3 장폭부(46B)가 중첩되며, 제 1 내벽(37A)의 제 3 장폭부(46A)와 제 1 내벽(37B)의 제 3 단폭부(45B)가 중첩되는 것에 의해, 제 1 내벽(37A)에 있어서의 제 3 볼록부(47A) 및 제 3 오목부(49A)로 이루어지는 파형상과, 제 1 내벽(37B)에 있어서의 제 3 볼록부(47B) 및 제 3 오목부(49B)로 이루어지는 파형상이 어긋나도록 중첩된다. 즉, 상하 방향으로 투영했을 때에, 제 3 볼록부(47A)와 제 3 오목부(49B)가 중첩되며, 제 3 오목부(49A)와 제 3 볼록부(47B)가 중첩된다.
또한, 평면시에 있어서, 제 2 내벽(40A)의 제 4 단폭부(55A)와 제 2 내벽(40B)의 제 4 장폭부(56B)가 중첩되며, 제 2 내벽(40A)의 제 4 장폭부(56A)와 제 2 내벽(40B)의 제 4 단폭부(55B)가 중첩되는 것에 의해, 제 2 내벽(40A)에 있어서의 제 4 볼록부(57A) 및 제 4 오목부(59A)로 이루어지는 파형상과, 제 2 내벽(40B)에 있어서의 제 4 볼록부(57B) 및 제 4 오목부(59B)로 이루어지는 파형상이 어긋나도록 중첩된다. 즉, 상하 방향으로 투영했을 때에, 제 4 볼록부(57A)와 제 4 볼록부(57B)가 중첩되며, 제 4 오목부(59A)와 제 4 오목부(59B)가 중첩된다.
이에 의해,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봉 시트 수용기(1A)의 복수의 제 1 볼록부 상면(18A)에, 밀봉 시트 수용기(1B)의 복수의 제 1 오목부 하면(73B)이 접촉되고, 밀봉 시트 수용기(1A)의 복수의 제 2 볼록부 상면(28A)에, 밀봉 시트 수용기(1B)의 복수의 제 2 오목부 하면(74B)이 접촉되며, 밀봉 시트 수용기(1A)의 복수의 제 3 볼록부 상면(48A)에, 밀봉 시트 수용기(1B)의 복수의 제 3 오목부 하면(76B)이 접촉되고, 밀봉 시트 수용기(1A)의 복수의 제 4 볼록부 상면(58A)에, 밀봉 시트 수용기(1B)의 복수의 제 4 오목부 하면(77B)이 접촉된다. 즉, 제 1 연결벽(11A)과 제 1 연결벽(11B)이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제 2 연결벽(12A)과 제 2 연결벽(12B)이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에 의해, 천장벽(10A)과 천장벽(10B)이 상대적으로 이격되어, 천장벽(10A)과 수용부(4B)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이 수용 공간(88)으로서 구획된다.
수용 공간(88)의 상하 방향 길이, 즉, 천장벽(10A) 및 천장벽(10B) 사이의 길이(L1)는, 예컨대, 3.0㎜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며, 예컨대, 30.0㎜ 이하,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이다.
이에 의해, 고정 시트 탑재 영역(84)에 탑재되는 고정 시트(93)는, 그 좌우 방향 양단부가 복수의 제 1 볼록부 상면(18A)과 복수의 제 1 오목부 하면(73B) 사이에 끼워지는 동시에, 그 전후 방향 양단부가 복수의 제 2 볼록부 상면(28A)과 복수의 제 2 오목부 하면(74B) 사이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밀봉 시트 수용기(1A) 및 밀봉 시트 수용기(1B)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고정 시트(93)의 점착력은, 밀봉 시트 수용기(1A)로부터 밀봉 시트 수용기(1B)를 이격시켰다고 해도, 제 1 오목부 하면(73B) 및 제 2 오목부 하면(74B)에 추종하지 않을 정도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 시트(93)가 고정 시트 탑재 영역(84)으로부터 이동하는 일은 없다.
또한, 밀봉 시트 수용기(1A)의 복수의 제 1 지지부(53A)에 밀봉 시트 수용기(1B)의 복수의 제 1 대오목부(52B)가 끼워맞춰짐으로써, 복수의 제 1 지지부(53A)의 하면에 복수의 제 1 피지지부(64)가 접촉되는 동시에, 밀봉 시트 수용기(1A)의 복수의 제 2 지지부(63A)에 밀봉 시트 수용기(1B)의 복수의 제 2 대오목부(62B)가 끼워맞춰짐으로써, 복수의 제 2 지지부(63A)의 하면에 복수의 제 2 피지지부(65)가 접촉된다.
이와 같이, 프레임부(5A)에 대해 프레임부(5B)가 맞물리는 것에 의해, 밀봉 시트 수용기(1A)에 대한 밀봉 시트 수용기(1B)의 전후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렇게 하여, 밀봉 시트 수용기(1A)에 대해 밀봉 시트 수용기(1B)가 위치 결정된다.
이상에 의해,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1)는 밀봉 시트(96)를 수용 가능한 수용 위치에 중첩된다.
또한,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봉 시트 수용기(1)를 수용 위치에 복수 중첩하는 것에 의해, 많은 밀봉 시트(96)를 수용할 수 있다.
(2) 적층 위치
밀봉 시트 수용기(1)를, 밀봉 시트(96)를 수용하지 않는 적층 위치에 중첩하려면, 2개의 동일 형상의 밀봉 시트 수용기(1)를 준비한다.
그리고, 밀봉 시트 수용기(1A)에 대해 밀봉 시트 수용기(1B)를 상측으로부터 중첩시킨다.
상세하게는, 상하 방향으로 투영했을 때에, 한쌍의 제 1 연결벽(11A)의 일방측과 한쌍의 제 1 연결벽(11B)의 일방측, 한쌍의 제 2 연결벽(12A)의 일방측과 한쌍의 제 2 연결벽(12B)의 일방측, 한쌍의 제 1 위치 결정부(32A)의 타방측과 한쌍의 제 1 위치 결정부(32B)의 타방측, 및 한쌍의 제 2 위치 결정부(33A)의 타방측과 한쌍의 제 2 위치 결정부(33B)의 타방측이 각각 일치하도록, 밀봉 시트 수용기(1B)를 밀봉 시트 수용기(1A)에 대해 상측으로부터 조립한다.
이에 의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제 1 연결벽(11B)이 한쌍의 제 1 연결벽(11A)의 경사를 따르도록 접촉되고, 한쌍의 제 1 위치 결정부(32B)가 한쌍의 제 1 위치 결정부(32A)의 경사를 따르도록 접촉되며,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제 2 연결벽(12B)이 한쌍의 제 2 연결벽(12A)의 경사를 따르도록 접촉되고, 한쌍의 제 2 위치 결정부(33B)가 한쌍의 제 2 위치 결정부(33A)의 경사를 따르도록 접촉된다.
또한, 이때, 좌우 방향으로 투영했을 때에, 제 1 연결벽(11A)과 제 1 연결벽(11B)에서는, 제 1 볼록부(17A)와 제 1 볼록부(17B)가 중첩되고, 제 1 오목부(19A)와 제 1 오목부(19B)가 중첩되며, 제 1 위치 결정부(32A)와 제 1 위치 결정부(32B)에서는, 제 3 볼록부(47A)와 제 3 볼록부(47B)가 중첩되고, 제 3 오목부(49A)와 제 3 오목부(49B)가 중첩된다.
또한, 전후 방향으로 투영했을 때에, 제 2 연결벽(12A)과 제 2 연결벽(12B)에서는, 제 2 볼록부(27A)와 제 2 볼록부(27B)가 중첩되고, 제 2 오목부(29A)와 제 2 오목부(29B)가 중첩되며, 제 2 위치 결정부(33A)와 제 2 위치 결정부(33B)에서는, 제 4 볼록부(57A)와 제 4 볼록부(57B)가 중첩되고, 제 4 오목부(59A)와 제 4 오목부(59B)가 중첩된다.
그리고, 밀봉 시트 수용기(1A)의 천장벽(10A)과 밀봉 시트 수용기(1B)의 천장벽(10B)이 상대적으로 근접된다. 천장벽(10A) 및 천장벽(10B) 사이의 길이(L2)는, 예컨대, 0.1㎜ 이상이며, 예컨대,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다.
이에 의해, 수용 위치에 있어서의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1)의 적층 길이보다 짧아진다.
이상에 의해,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1)는 밀봉 시트(96)를 수용하지 않는 적층 위치에 중첩된다.
또한,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봉 시트 수용기(1)를 적층 위치에 복수 중첩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밀봉 시트 수용기(1)의 출하·반송시에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5. 작용 효과
이 밀봉 시트 수용기(1)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동일 형상의 밀봉 시트 수용기(1)를 수용 위치에 중첩하면,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1)의 한쌍의 제 1 연결벽(11)끼리가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1)의 한쌍의 제 2 연결벽(12)끼리가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1)의 천장벽(10)끼리가 상대적으로 이격되는 것에 의해, 밀봉 시트(96)를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88)이 형성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1)를 적층 위치에 중첩하면,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1)의 한쌍의 제 1 연결벽(11)끼리가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제 2 연결벽(12)끼리가 전후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1)의 천장벽(10)끼리가 상대적으로 근접하는 것에 의해,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1)의 적층 길이가 수용 위치에 있어서의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1)의 적층 길이보다 짧아진다.
즉,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1)로부터, 밀봉 시트(96)를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88)이 형성되는 수용 위치(도 5 참조)와, 수용 위치에 있어서의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1)의 적층 길이보다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1)의 적층 길이가 짧아지는 적층 위치(도 9 참조)를 구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밀봉 시트 수용기(1)를 2개 중첩하는 것에 의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 위치에서는, 밀봉 시트(96)를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88)에 밀봉 시트(96)를 수용·보호할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층 위치에서는, 밀봉 시트(96)를 수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1)의 적층 길이를 짧게 하여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수용 위치에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봉 시트 수용기(1B)의 제 1 볼록부(17B)와 밀봉 시트 수용기(1A)의 제 1 오목부(19A)가 중첩되며, 밀봉 시트 수용기(1B)의 제 1 오목부(19B)와 밀봉 시트 수용기(1A)의 제 1 볼록부(17A)가 중첩되는, 환언하면, 밀봉 시트 수용기(1B)의 제 1 볼록부(17B)의 하단부와 밀봉 시트 수용기(1A)의 제 1 오목부(19A)의 상단부는 비접촉이며, 밀봉 시트 수용기(1B)의 제 1 오목부(19B)의 하단부(즉, 제 1 오목부 하면(73B))와 밀봉 시트 수용기(1A)의 제 1 볼록부(17A)의 상단부(즉, 제 1 볼록부 상면(18A))는 접촉된다. 또한, 수용 위치에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봉 시트 수용기(1B)의 제 2 볼록부(27B)와 밀봉 시트 수용기(1A)의 제 2 오목부(29A)가 중첩되며, 밀봉 시트 수용기(1B)의 제 2 오목부(29B)와 밀봉 시트 수용기(1A)의 제 2 볼록부(27A)가 중첩되는, 환언하면, 밀봉 시트 수용기(1B)의 제 2 볼록부(27B)의 하단부와 밀봉 시트 수용기(1A)의 제 2 오목부(29A)의 상단부는 비접촉이며, 밀봉 시트 수용기(1B)의 제 2 오목부(29B)의 하단부(즉, 제 2 오목부 하면(74B))와 밀봉 시트 수용기(1A)의 제 2 볼록부(27A)의 상단부(즉, 제 2 볼록부 상면(28A))는 접촉된다.
예컨대, 수용 위치에 있어서의 밀봉 시트(96)를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88)에 밀봉 시트(96)를 탑재할 때에, 밀봉 시트(96)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시트(93)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시트(93)를, 상하 방향으로 투영했을 때에, 밀봉 시트 수용기(1A)의 제 1 오목부(19A) 및 제 1 볼록부(17A)와 중첩되도록 배치하는 것에 의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오목부 하면(73B)과 제 1 볼록부 상면(18A)으로 고정 시트(93)의 일부를 끼워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시트(93)를, 상하 방향으로 투영했을 때에, 밀봉 시트 수용기(1A)의 제 2 오목부(29A) 및 제 2 볼록부(27A)와 중첩되도록 배치하는 것에 의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오목부 하면(74B)과 제 2 볼록부 상면(28A)으로 고정 시트(93)의 일부를 끼워서 고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수용 공간(88)을 형성하기 위한 한쌍의 제 1 연결벽(11)의 제 1 오목부(19) 및 제 1 볼록부(17)와 한쌍의 제 2 연결벽(12)의 제 2 오목부(29) 및 제 2 볼록부(27)를 이용하여, 고정 시트(93)를 고정할 수 있어서, 밀봉 시트 수용기(1)에 보다 효율적으로 밀봉 시트(96)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이 밀봉 시트 수용기(1)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제 1 연결벽(11)을 가상선(Y)에 대해 선대칭으로 형성하고, 한쌍의 제 2 연결벽(12)을 가상선(X)에 대해 선대칭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 때문에,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봉 시트 수용기(1B)를 가상선(Y)에 대해 밀봉 시트 수용기(1B)의 한쌍의 제 1 연결벽(11B)의 일방측과 타방측이 교체되도록 배치하고, 가상선(X)에 대해 밀봉 시트 수용기(1B)의 한쌍의 제 2 연결벽(12B)의 일방측과 타방측이 교체되도록 배치하는 것만으로, 밀봉 시트 수용기(1A)와 밀봉 시트 수용기(1B)를 수용 위치와 적층 위치로 전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간이한 작업에 의해 수용 위치와 적층 위치에 선택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제 1 연결벽(11)을 가상선(Y)에 대해 선대칭으로 형성함으로써, 한쌍의 제 1 연결벽(11)의 각각을 동일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한쌍의 제 2 연결벽(12)을 가상선(X)에 대해 선대칭으로 형성함으로써, 한쌍의 제 2 연결벽(12)의 각각을 동일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밀봉 시트 수용기(1)에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동일 형상의 밀봉 시트 수용기(1)를 수용 위치에 중첩하면, 상하 방향으로 투영했을 때에, 밀봉 시트 수용기(1B)의 복수의 제 1 오목부(19B)의 각각과 밀봉 시트 수용기(1A)의 복수의 제 1 볼록부(17A)의 각각이 중첩되며, 밀봉 시트 수용기(1B)의 제 2 오목부(29B)의 각각과 밀봉 시트 수용기(1A)의 복수의 제 2 볼록부(27A)의 각각이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그 때문에, 복수의 접촉 부분을 갖도록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1)를 중첩시킬 수 있으므로,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1)에 의해, 밀봉 시트(96)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88)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밀봉 시트 수용기(1)에 제 1 볼록부(17)와 제 1 오목부(19)가 복수 마련되며, 제 2 볼록부(27)와 제 2 오목부(29)가 복수 마련되어 있었다고 해도,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1)를 적층 위치에 중첩하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투영했을 때에,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1)의 각각의 제 1 볼록부(17)끼리가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1)의 각각의 제 1 오목부(19)끼리가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투영했을 때에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1)의 각각의 제 2 볼록부(27)끼리가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1)의 각각의 제 2 오목부(29)끼리가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그 때문에, 제 1 볼록부(17) 및 제 1 오목부(19), 또는 제 2 볼록부(27) 및 제 2 오목부(29)의 수량에 관계없이,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1)의 한쌍의 제 1 연결벽(11)끼리를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하고,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1)의 한쌍의 제 2 연결벽(12)끼리를 전후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할 수 있어서,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1)의 적층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1)를 수용 위치에 중첩할 때에는, 밀봉 시트(96)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88)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면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1)를 적층 위치에 중첩할 때에는, 밀봉 시트(96)를 수용하지 않을 때의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1)의 적층 길이를 짧게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밀봉 시트(96)의 품질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 밀봉 시트 수용기(1)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1)를 중첩할 때에, 한쌍의 제 1 위치 결정부(32A)의 복수의 제 1 지지부(53A)에 한쌍의 제 1 위치 결정부(32B)의 복수의 제 1 대오목부(52B)가 끼워맞춰짐으로써, 수용 위치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투영했을 때에, 밀봉 시트 수용기(1B)의 제 1 볼록부(17B)와 밀봉 시트 수용기(1A)의 제 1 오목부(19A)가 중첩되고, 밀봉 시트 수용기(1B)의 제 1 오목부(19B)와 밀봉 시트 수용기(1A)의 제 1 볼록부(17A)가 중첩되도록 확실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제 2 위치 결정부(33A)의 복수의 제 2 지지부(63A)에 한쌍의 제 2 위치 결정부(33B)의 복수의 제 2 대오목부(62B)가 끼워맞춰짐으로써, 밀봉 시트 수용기(1B)의 제 2 볼록부(27B)와 밀봉 시트 수용기(1A)의 제 2 오목부(29A)가 중첩되고, 밀봉 시트 수용기(1B)의 제 2 오목부(29B)와 밀봉 시트 수용기(1A)의 제 2 볼록부(27A)가 중첩되도록 확실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수용 위치 및 적층 위치의 각 위치에서 2개의 밀봉 시트 수용기(1)를 안정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명은, 본 발명의 예시의 실시형태로서 제공했지만, 이것은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명확한 본 발명의 변형예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포함된다.
전자 소자 등을 밀봉하기 위한 밀봉 시트의 보관, 출하, 반송에 이용할 수 있다.
1 : 밀봉 시트 수용기 10 : 천장벽
11 : 제 1 연결벽 12 : 제 2 연결벽
17 : 제 1 볼록부 19 : 제 1 오목부
27 : 제 2 볼록부 29 : 제 2 오목부
32 : 제 1 위치 결정부 33 : 제 2 위치 결정부
69 : 제 1 바닥벽 70 : 제 2 바닥벽
88 : 수용 공간 96 : 제 1 바닥벽

Claims (4)

  1. 밀봉 시트를 수용 가능한 밀봉 시트 수용기에 있어서,
    소정 두께를 갖고,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제 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상기 제 1 방향의 양 외측에 있어서 상기 두께 방향으로 간격을 두도록 배치되는 한쌍의 단부와,
    상기 중앙부와 상기 한쌍의 단부를 상기 두께 방향을 따라서 연결하는 한쌍의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연결부는,
    상기 제 1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와,
    상기 제 1 방향 내측으로 오목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구비하며,
    2개의 상기 밀봉 시트 수용기를 상기 두께 방향에서 수용 위치와 적층 위치에 선택적으로 중첩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수용 위치에서는,
    상기 두께 방향으로 투영했을 때에, 상기 두께 방향의 일방측의 상기 밀봉 시트 수용기의 상기 볼록부와 상기 두께 방향의 타방측의 상기 밀봉 시트 수용기의 상기 오목부가 중첩되고, 상기 두께 방향의 일방측의 상기 밀봉 시트 수용기의 상기 오목부와 상기 두께 방향의 타방측의 상기 밀봉 시트 수용기의 상기 볼록부가 중첩되며, 상기 한쌍의 연결부가 두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두께 방향의 일방측의 상기 밀봉 시트 수용기의 중앙부와 상기 두께 방향의 타방측의 상기 밀봉 시트 수용기의 중앙부가 상대적으로 이격되어, 상기 밀봉 시트를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적층 위치에서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투영했을 때에, 상기 두께 방향의 일방측의 상기 밀봉 시트 수용기의 상기 볼록부와 상기 두께 방향의 타방측의 상기 밀봉 시트 수용기의 상기 볼록부가 중첩되고, 상기 두께 방향의 일방측의 상기 밀봉 시트 수용기의 상기 오목부와 상기 두께 방향의 타방측의 상기 밀봉 시트 수용기의 상기 오목부가 중첩되며, 상기 한쌍의 연결부가 제 1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두께 방향의 일방측의 상기 밀봉 시트 수용기의 중앙부와 상기 두께 방향의 타방측의 상기 밀봉 시트 수용기의 중앙부가 상대적으로 근접되어, 2개의 상기 밀봉 시트 수용기의 적층 길이가 상기 수용 위치에 있어서의 2개의 상기 밀봉 시트 수용기의 적층 길이보다 짧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시트 수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방향으로 투영했을 때에, 상기 한쌍의 연결부는, 상기 한쌍의 연결부 사이의 중앙에 있어서의 상기 두께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의 양쪽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을 따르는 가상선에 대해 선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시트 수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및 상기 볼록부는 상기 한쌍의 연결부에서 각각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두께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의 양쪽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을 따르는 파형상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시트 수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단부보다도 상기 제 1 방향 양 외측에서, 2개의 상기 밀봉 시트 수용기를 중첩할 때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시트 수용기.
KR1020157025723A 2013-03-21 2014-01-20 밀봉 시트 수용기 KR201501343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58719A JP2014183299A (ja) 2013-03-21 2013-03-21 封止シート収容器
JPJP-P-2013-058719 2013-03-21
PCT/JP2014/050957 WO2014148082A1 (ja) 2013-03-21 2014-01-20 封止シート収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338A true KR20150134338A (ko) 2015-12-01

Family

ID=51317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5723A KR20150134338A (ko) 2013-03-21 2014-01-20 밀봉 시트 수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50375898A1 (ko)
EP (1) EP2977330A1 (ko)
JP (1) JP2014183299A (ko)
KR (1) KR20150134338A (ko)
CN (2) CN104058149A (ko)
TW (2) TW201438153A (ko)
WO (1) WO20141480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83299A (ja) * 2013-03-21 2014-09-29 Nitto Denko Corp 封止シート収容器
KR102603102B1 (ko) * 2016-06-28 2023-1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용 트레이 및 트레이 집합체
EP3772275A1 (en) * 2019-08-06 2021-02-10 Alternative Gene Expression S.L. Container for transporting and inoculating pupa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83426A (fr) * 1964-02-24 1964-12-24 Shell Int Research Récipient permettant l'empilage et l'encastrement
US3191796A (en) * 1964-07-21 1965-06-29 Shell Oil Co Compartmented stacking and nesting container
US4216763A (en) * 1979-01-26 1980-08-12 General Electric Company Toaster/oven accessory pan with handle
FR2549447A1 (fr) * 1983-07-19 1985-01-25 Multivac France Sarl Barquette perfectionnee, notamment pour le conditionnement de produits alimentaires
US4974738A (en) * 1989-07-10 1990-12-04 Packaging Corporation Of America Container with interchangeable components
US4925045A (en) * 1989-11-01 1990-05-15 Logsdon Foundation Tub boxes
JPH0584680U (ja) * 1992-04-23 1993-11-16 太陽誘電株式会社 電子部品収納トレイ
US5356023A (en) * 1993-11-04 1994-10-18 Ultra Pac, Inc. Rose box with interchangeable lid and base
FR2719290B1 (fr) * 1994-05-02 1996-06-07 Allibert Equipement Caisse empilable et emboîtable à piliers verticaux.
US7032773B2 (en) * 2001-05-25 2006-04-25 Fort James Corporation Food container with interchangeable lid—base seal provided with undercut sealing profile and asymmetric interlockable stacking ridges
US6886704B2 (en) * 2002-10-22 2005-05-03 Pactiv Corporation Containers and container assemblies with releasable locking feature
JP2006021796A (ja) * 2004-07-08 2006-01-26 Seiko Epson Corp トレイ
DE102006025198A1 (de) * 2006-05-29 2007-12-06 "Deutsche See" Gmbh Systemkiste insbesondere für den Transport von frischem Fisch
JP2008044636A (ja) * 2006-08-11 2008-02-28 Sanyu Kikaku:Kk 収納用トレー
US20080237228A1 (en) * 2007-03-27 2008-10-02 Shin-Jai Chou Airtight food container
JP2009141020A (ja) 2007-12-04 2009-06-2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子部品封止用シート
JP2010222028A (ja) * 2009-03-23 2010-10-07 Sekisui Plastics Co Ltd 真空成形容器
JP3180024U (ja) * 2012-09-18 2012-11-29 株式会社積水技研 積み重ね収納用のトレー
JP2014183299A (ja) * 2013-03-21 2014-09-29 Nitto Denko Corp 封止シート収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3780920U (zh) 2014-08-20
JP2014183299A (ja) 2014-09-29
TWM488101U (zh) 2014-10-11
EP2977330A1 (en) 2016-01-27
US20150375898A1 (en) 2015-12-31
CN104058149A (zh) 2014-09-24
WO2014148082A1 (ja) 2014-09-25
TW201438153A (zh) 201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92889B (zh) Packaging materials and packaging
JP2006290384A (ja) 表示モジュール用の緩衝材及び梱包材並びに表示モジュールの搬送方法
KR20150134338A (ko) 밀봉 시트 수용기
US9181035B2 (en) Rectangular thin panel conveyance unit
WO2013183138A1 (ja) 衝撃吸収機能を備えた基板収納容器
TWM492307U (zh) 面板搬運用容器
US20210269218A1 (en) Container and protection member
TW201226277A (en) A box for transporting
WO2017002318A1 (ja) 組電池
US11117729B2 (en) Container with parallelprotection members
TW201107205A (en) Conveying container for plate-shaped bodies
JP2017149472A (ja) ガラス板梱包用パレット及びガラス板梱包体
JP2011140342A (ja) エアパッキング部材、エアパッキング付き梱包箱および、エアパッキングシステム
JP6547419B2 (ja) 梱包材
CN210681556U (zh) 显示面板包装结构
JP3189470U (ja) 梱包材、梱包構造及び梱包体
US20140116909A1 (en) Encapsulating sheet container
CN108328054B (zh) 用于板状产品的包装结构
JP5317626B2 (ja) 立ち姿勢で複数枚の薄板状部品を並行に梱包するのに用いる梱包体
JP2022029763A (ja) スパウト付きパウチ、パウチ入りケース、およびパウチ収容方法
WO2022102764A1 (ja) トレイ
KR200458066Y1 (ko) 평판표시장치용 포장도구
JP2023006028A (ja) パウチおよびパウチ入りケース
KR100424266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의 포장장치와, 이를 이용한적재장치
TWM526999U (zh) 板狀體之運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