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3093A - 완충부를 포함하는 접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핑장치 - Google Patents

완충부를 포함하는 접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3093A
KR20150133093A KR1020140059973A KR20140059973A KR20150133093A KR 20150133093 A KR20150133093 A KR 20150133093A KR 1020140059973 A KR1020140059973 A KR 1020140059973A KR 20140059973 A KR20140059973 A KR 20140059973A KR 20150133093 A KR20150133093 A KR 20150133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plate
rotation
solenoi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9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7341B1 (ko
Inventor
마성현
Original Assignee
마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성현 filed Critical 마성현
Priority to KR1020140059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341B1/ko
Publication of KR20150133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32Apparatus for placing on an insulating substrate, e.g. t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테이핑장치의 접합유닛은,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플레이트,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전단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접촉되어 캐리어테이프와 커버테이프의 융착을 수행하는 융착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융착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솔레노이드부, 상기 솔레노이드부에 의해 회전된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상기 융착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복원부 및 상기 솔레노이드부에 의해 상기 융착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접촉 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테이핑장치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캐리어테이프가 권취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캐리어테이프를 이송시키는 한 쌍의 제1회전릴, 상기 캐리어테이프와 접합되는 커버테이프가 권취되어, 상기 커버테이프를 이송시키는 제2회전릴 및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전단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접촉되어 캐리어테이프와 커버테이프의 융착을 수행하는 융착부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융착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솔레노이드부와, 상기 솔레노이드부에 의해 회전된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상기 융착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복원부와, 상기 솔레노이드부에 의해 상기 융착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접촉 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접합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완충부를 포함하는 접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핑장치{Joining Unit Having Buffering Part and Tap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캐리어테이프 및 커버테이프를 서로 접합시키는 접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압식 솔레노이드의 공압장치를 생략하고, 완충부를 구비하여 보다 합리적인 접합 방식을 제공하는 접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등에 사용되는 다양한 부품을 캐리어테이프(Carrier Tape)에 포장하는 테이핑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테이핑장치는 캐리어테이프에 부품을 삽입한 상태에서 커버테이프를 열융착시켜 패키징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종래의 테이핑장치의 경우, 열융착을 위한 접합유닛이 구비되며, 상기 접합유닛은 왕복 회전을 통해 상기 캐리어테이프와 커버테이프를 융착시키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종래의 테이핑장치는 상기 접합유닛의 왕복 회전을 위해 공압식 솔레노이드가 적용되고 있다.
다만, 상기 공압식 솔레노이드는 상기 접합유닛의 구동 신뢰성을 증가시키나, 장치가 고비용이며 구동 시 컴프레셔의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테이핑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며, 이로 인한 유지 보수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도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압식 솔레노이드를 전자식 솔레노이드로 바꿀 경우, 정밀한 동작이 이루어지기가 어려우며, 접합 시 충격이 장치에 그대로 전달되어 마모 및 고장이 쉽게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0885778호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를 포함하는 접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핑장치는 공압장치를 생략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소음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구조를 간단히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그리고 이와 함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정밀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를 포함하는 접합유닛은,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플레이트,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전단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접촉되어 캐리어테이프와 커버테이프의 융착을 수행하는 융착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융착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솔레노이드부, 상기 솔레노이드부에 의해 회전된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상기 융착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복원부 및 상기 솔레노이드부에 의해 상기 융착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접촉 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회전플레이트 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며, 다른 일측을 향해 돌출된 제1완충부재 및 상기 회전플레이트 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중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솔레노이드부에 의해 상기 융착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접촉 시 상기 제1완충부재와 접촉되고, 적어도 상기 제1완충부재와 접촉되는 부분이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2완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는, 상기 회전플레이트 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방향으로 돌출된 제1완충부재 및 상기 회전플레이트 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중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솔레노이드부에 의해 상기 융착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접촉 시 상기 제1완충부재와 접촉되고, 상기 제1완충부재와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제2완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부는, 중공이 형성된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의 중공에 구비되며, 상기 코일부의 통전 시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융착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상기 가압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압부가 상측으로 이동 시 접촉되도록 형성되고, 돌출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 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가압부의 상측 최대 이동을 제한하는 제1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상기 가압부의 하측 최대 이동을 제한하는 제2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원부는, 상기 회전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융착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외력을 인가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탄성부재의 양단을 고정시키는 한 쌍의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상하 이동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상기 융착부의 상부를 가리도록 형성된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테이핑장치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캐리어테이프가 권취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캐리어테이프를 이송시키는 한 쌍의 제1회전릴, 상기 캐리어테이프와 접합되는 커버테이프가 권취되어, 상기 커버테이프를 이송시키는 제2회전릴 및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전단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접촉되어 캐리어테이프와 커버테이프의 융착을 수행하는 융착부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융착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솔레노이드부와, 상기 솔레노이드부에 의해 회전된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상기 융착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복원부와, 상기 솔레노이드부에 의해 상기 융착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접촉 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접합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를 포함하는 접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핑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공압식 솔레노이드의 공압 관련장치를 생략함에 따라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이에 따라 구조가 간단해져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노력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공압 관련장치가 생략되었으나 완충부가 구비되어 정밀한 동작이 가능하며,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테이핑장치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캐리어테이프 및 커버테이프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테이핑장치의 접합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테이핑장치의 접합유닛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테이핑장치의 접합유닛을 이용하여 캐리어테이프와 커버테이프를 열융착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테이핑장치의 접합유닛에 있어서, 회전플레이트가 상측으로 회전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테이핑장치의 접합유닛에 있어서, 회전플레이트가 하측으로 회전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테이핑장치의 접합유닛에 있어서, 완충부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테이핑장치의 접합유닛에 있어서, 완충부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테이핑장치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테이핑장치는 한 쌍의 제1회전릴(20, 30)과, 제2회전릴(40)과, 접합유닛(100)을 포함한다.
상기 제1회전릴(20, 30)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캐리어테이프가 권취되도록 구비되며, 회전에 따라 상기 캐리어테이프를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상기 제2회전릴(40)은 상기 캐리어테이프와 접합되는 커버테이프가 권취되며, 상기 커버테이프를 이송시키는 구성요소이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회전릴(20, 30)은 베이스(10)의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회전릴(40)은 상기 베이스(10) 상에 구비된 제어모듈(50) 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릴(20, 30)에 의해 이송되는 캐리어테이프와 상기 제2회전릴(40)에 의해 이송되는 커버테이프는 상기 접합유닛(100)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패키징이 이루어진다.
도 2는 캐리어테이프(1) 및 커버테이프(5)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회전릴(20, 30)에 권취되는 캐리어테이프(1)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수용홈(2)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2)에는 반도체 등에 사용되는 전자부품(M)이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부품(M)이 상기 수용홈(2)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캐리어테이프(1)의 상면 형상에 대응되는 커버테이프(5)가 상기 캐리어테이프(1)의 상면에 위치되고, 상기 캐리어테이프(1) 및 커버테이프(5)의 둘레를 열융착하여 패키징이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상기 캐리어테이프(1) 및 커버테이프(5)를 서로 열융착시키는 접합유닛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테이핑장치의 접합유닛(100)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테이핑장치의 접합유닛(100)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테이핑장치의 접합유닛(100)은 베이스플레이트(110)와, 회전플레이트(120)와, 융착부(130)와, 솔레노이드부(140)와, 복원부와, 완충부(18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 및 상기 회전플레이트(120)는 회전축(115)에 의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플레이트(120)는 상기 회전축(115)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회전플레이트(12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에 대해 시소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회전플레이트(12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 상에 구비된 한 쌍의 고정부(117)에 의해 회전축(115)을 가지도록 고정된 형태를 가진다.
상기 융착부(130)는 상기 회전플레이트(120)의 전단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플레이트(1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접촉되어 캐리어테이프와 커버테이프의 융착을 수행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융착부(130)에는 상기 캐리어테이프와 상기 커버테이프의 융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융착부(130)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히터(134)와, 상기 융착부(130)의 온도를 측정하는 열전대(13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융착부(130)의 하부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와 접촉되어 융착을 수행하는 융착돌기(13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융착돌기(132)는 상기 캐리어테이프와 상기 커버테이프의 둘레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부(14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구비되어, 상기 융착부(130)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플레이트(120)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의 솔레노이드부(140)는 공압 관련장치를 생략한 형태로, 전자식 솔레노이드만이 구비된 간단한 형태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솔레노이드부(140)는 중공이 형성된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의 중공에 구비되며, 상기 코일부의 통전 시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융착부(130)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플레이트(120)를 회전시키는 가압부(142)를 포함한다.
즉 상기 코일부에 전류가 인가될 경우 상기 가압부(142)는 상측으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플레이트(120)를 가압하여 회전시키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회전플레이트(120)에는 상기 가압부(142)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압부(142)가 상측으로 이동 시 접촉되도록 형성되고, 돌출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 조절부재(122)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142)는 상기 조절부재(122)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회전플레이트(120)를 회전시키게 되며, 이때 상기 조절부재(122)는 돌출된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가압부(142)에 최초 접촉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부(142)의 하단부에는 상기 가압부(142)의 상측 최대 이동을 제한하는 제1스토퍼(144)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에는, 상기 가압부(142)의 하측 최대 이동을 제한하는 제2스토퍼(15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스토퍼(150)의 경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후단에 구비되고, 전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142)의 하부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솔레노이드부(140)의 코일부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142)가 자중에 의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복원부는 상기 솔레노이드부(140)에 의해 회전된 상기 회전플레이트(120)를 상기 융착부(130)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복원부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복원부는 제1탄성부재(160)를 포함하며, 상기 제1탄성부재(160)는 상기 회전플레이트(120)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인장스프링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플레이트(120)가 회전 시 이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외력을 인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플레이트(120)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에는 상기 제1탄성부재(160)의 양단을 고정시키는 한 쌍의 고정부재(124, 152)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124, 1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상하 이동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160)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124, 152)를 조절하여 상기 제1탄성부재(160)의 탄성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 측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52)는 전술한 제2스토퍼(150)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였다.
상기 완충부(180)는 상기 솔레노이드부(140)에 의해 상기 융착부(130)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접촉 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완충부(180)의 형태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위치 역시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완충부(180)는 제1완충부재(180b)와 제2완충부재(180a)를 포함한다. 상기 제1완충부재(180b)는 상기 회전플레이트(120) 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며, 다른 일측을 향해 돌출된다.
또한 상기 제2완충부재(180a)는 상기 회전플레이트(120) 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 중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솔레노이드부(140)에 의해 상기 융착부(130)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접촉 시 상기 제1완충부재(180b)와 접촉되고, 적어도 상기 제1완충부재(180b)와 접촉되는 부분이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2완충부재(180a)의 상단에는 탄성부(182)가 형성되어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융착부(130)의 상부를 가리도록 형성된 커버부(170)를 더 포함하며, 이는 작업자가 상기 융착부(130)의 고온에 의해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테이핑장치의 접합유닛을 이용하여 캐리어테이프(1)와 커버테이프(5)를 열융착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접합유닛은 한 쌍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캐리어테이프(1)는 상기 한 상의 접합유닛 사이로 이송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각 접합유닛의 융착부(130)는 상기 캐리어테이프(1)와 커버테이프(5)의 둘레(3)를 가압하여 열융착시키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한 쌍의 접합유닛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접합유닛 사이의 이격 거리를 가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캐리어테이프(1)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상기 한 쌍의 접합유닛을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융착부(130)를 교체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테이핑장치의 접합유닛(100)에 있어서, 회전플레이트(120)가 상측으로 회전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테이핑장치의 접합유닛(100)에 있어서, 회전플레이트(120)가 하측으로 회전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부(140)의 코일부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가압부(142)가 하측으로 이동된 상태이며, 상기 회전플레이트(120)는 상기 복원부의 제1탄성부재(160)에 의해 상기 융착부(130)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가진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부(140)의 코일부에 전류가 인가된 상태에서는 가압부(142)가 상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회전플레이트(120)는 상기 가압부(142)에 의해 상기 융착부(130)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가진다.
또한 이때 상기 제1완충부재(180b) 및 제2완충부재(180a)는 서로 접촉되어 상기 융착부(130)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접촉 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공압식 솔레노이드의 공압 관련장치를 생략함에 따라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해져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노력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공압 관련장치가 생략되었으나 완충부가 구비되어 정밀한 동작이 가능하며,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테이핑장치의 접합유닛에 있어서, 완충부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상기 완충부가 제1완충부재(180b) 제2완충부재(280a)를 포함하는 것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나, 상기 제2완충부재(280a)의 형태가 다르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완충부재(280a)는 상기 제1완충부재(180b)와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제2탄성부재(284)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보다 효과적으로 완충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2완충부재(280b)의 일부에 상기 제2탄성부재(284)가 구비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제2완충부재(280b) 전체가 상기 제2탄성부재(284)로 형성되는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테이핑장치의 접합유닛에 있어서, 완충부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상기 완충부가 제1완충부재(380b) 제2완충부재(380a)를 포함하는 것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나, 상기 제1완충부재(280b)와 상기 제2완충부재(380a)가 서로 반대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다르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2완충부재(380a)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구비되며, 다른 일측을 향해 돌출된다. 그리고 제1완충부재(380b)는 상기 회전플레이트에 구비되고, 상기 솔레노이드부에 의해 상기 융착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접촉 시 상기 제2완충부재(380a)와 접촉되고, 적어도 상기 제2완충부재(380a)와 접촉되는 부분이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완충부재(380b)의 상단에는 탄성부(382)가 형성되어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완충부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캐리어테이프 5: 커버테이프
10: 베이스 20, 30: 제1회전릴
40: 제2회전릴 50: 제어모듈
100: 접합유닛 110: 베이스플레이트
120: 회전플레이트 130: 융착부
140: 솔레노이드부 160: 제1탄성부재
170: 커버부 180: 복원부

Claims (11)

  1.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플레이트;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전단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접촉되어 캐리어테이프와 커버테이프의 융착을 수행하는 융착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융착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솔레노이드부;
    상기 솔레노이드부에 의해 회전된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상기 융착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복원부; 및
    상기 솔레노이드부에 의해 상기 융착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접촉 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
    를 포함하는 테이핑장치의 접합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회전플레이트 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며, 다른 일측을 향해 돌출된 제1완충부재; 및
    상기 회전플레이트 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중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솔레노이드부에 의해 상기 융착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접촉 시 상기 제1완충부재와 접촉되고, 적어도 상기 제1완충부재와 접촉되는 부분이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2완충부재;
    를 포함하는 테이핑장치의 접합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회전플레이트 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방향으로 돌출된 제1완충부재; 및
    상기 회전플레이트 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중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솔레노이드부에 의해 상기 융착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접촉 시 상기 제1완충부재와 접촉되고, 상기 제1완충부재와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제2완충부재;
    를 포함하는 테이핑장치의 접합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부는,
    중공이 형성된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의 중공에 구비되며, 상기 코일부의 통전 시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융착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가압부;
    를 포함하는 테이핑장치의 접합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상기 가압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압부가 상측으로 이동 시 접촉되도록 형성되고, 돌출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테이핑장치의 접합유닛.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가압부의 상측 최대 이동을 제한하는 제1스토퍼가 구비된 테이핑장치의 접합유닛.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상기 가압부의 하측 최대 이동을 제한하는 제2스토퍼가 구비된 테이핑장치의 접합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는,
    상기 회전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융착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외력을 인가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테이핑장치의 접합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탄성부재의 양단을 고정시키는 한 쌍의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상하 이동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 테이핑장치의 접합유닛.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상기 융착부의 상부를 가리도록 형성된 커버부를 포함하는 테이핑장치의 접합유닛.
  11. 서로 이격된 상태로 캐리어테이프가 권취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캐리어테이프를 이송시키는 한 쌍의 제1회전릴;
    상기 캐리어테이프와 접합되는 커버테이프가 권취되어, 상기 커버테이프를 이송시키는 제2회전릴; 및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전단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접촉되어 캐리어테이프와 커버테이프의 융착을 수행하는 융착부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융착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솔레노이드부와, 상기 솔레노이드부에 의해 회전된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상기 융착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복원부와, 상기 솔레노이드부에 의해 상기 융착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접촉 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접합유닛;
    을 포함하는 테이핑장치.
KR1020140059973A 2014-05-19 2014-05-19 완충부를 포함하는 접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핑장치 KR101627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973A KR101627341B1 (ko) 2014-05-19 2014-05-19 완충부를 포함하는 접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973A KR101627341B1 (ko) 2014-05-19 2014-05-19 완충부를 포함하는 접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093A true KR20150133093A (ko) 2015-11-27
KR101627341B1 KR101627341B1 (ko) 2016-06-07

Family

ID=54847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973A KR101627341B1 (ko) 2014-05-19 2014-05-19 완충부를 포함하는 접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3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5982A (ko) * 2004-10-23 2006-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캐리어 테이프를 이용한 반도체 패키지의 포장 장치
KR200439432Y1 (ko) * 2006-11-15 2008-04-16 디앤디테크 주식회사 전자부품 포장용 장치
KR100885778B1 (ko) 2003-02-20 2009-02-26 미쓰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자부품 실장용 필름 캐리어 테이프의 반송장치 및반송방법
KR101048198B1 (ko) * 2011-01-14 2011-07-08 나승옥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778B1 (ko) 2003-02-20 2009-02-26 미쓰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자부품 실장용 필름 캐리어 테이프의 반송장치 및반송방법
KR20060035982A (ko) * 2004-10-23 2006-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캐리어 테이프를 이용한 반도체 패키지의 포장 장치
KR200439432Y1 (ko) * 2006-11-15 2008-04-16 디앤디테크 주식회사 전자부품 포장용 장치
KR101048198B1 (ko) * 2011-01-14 2011-07-08 나승옥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7341B1 (ko) 201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520479A (ja) 宇宙物体上の圧力要素および少なくとも2つの再閉可能要素を含む、宇宙物体を検出するための装置
JP6571147B2 (ja) 受動的コンプライアンス機構
CN113012578B (zh) 折叠屏及显示装置
US11245343B2 (en) Vibration wave motor and driving device
KR101627341B1 (ko) 완충부를 포함하는 접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핑장치
US20150002279A1 (en) Haptic solenoid and haptic solenoid mounting structure
WO2006027704A3 (en) Stabilized deployable-retractable system, principally for an acoustic loudspeaker system
WO2019013300A1 (ja) ボンディング装置及びボンディング方法
KR102303934B1 (ko) 본딩 장치 및 본딩 방법
KR101511731B1 (ko) 웨이퍼 운반장치
JP7234604B2 (ja) 把持機構及び組み立て装置
JP6388396B2 (ja) 振動波モータを備えた駆動装置
US20160129863A1 (en) Curl cord routing structure
EP3239065B1 (en) Pallet for transferring a glass plate
KR102294805B1 (ko)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장치 및 전자기기
CN212109931U (zh) 一种汽车气囊支架冲压孔检测装置
TWI465789B (zh) Resonance Suppression Method and Structure of Anti - Shot Lens Focusing Module
CN209982436U (zh) 一种组件电子设备调节机构
KR102165503B1 (ko) 반도체 패키지모듈의 휨 방지장치
JPH07326141A (ja) フロッピーディスク装置
CN113691097B (zh) 一种音圈马达及其调节方法
KR102357305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JP6211459B2 (ja) 超伝導電磁石
KR102650649B1 (ko) 촬상 장치
US20190267914A1 (en) Vibration wave motor and lens driv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