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649B1 -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649B1
KR102650649B1 KR1020190034488A KR20190034488A KR102650649B1 KR 102650649 B1 KR102650649 B1 KR 102650649B1 KR 1020190034488 A KR1020190034488 A KR 1020190034488A KR 20190034488 A KR20190034488 A KR 20190034488A KR 102650649 B1 KR102650649 B1 KR 102650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unit
frame
transfer unit
suppor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3790A (ko
Inventor
김영섭
Original Assignee
한화비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비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비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4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649B1/ko
Publication of KR20200113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2Lateral adjustment of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46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zoom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 어셈블리에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상기 렌즈 어셈블리와 연결되어 상기 렌즈 어셈블리에 동력을 전달하는 렌즈이송부;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렌즈이송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렌즈이송부를 미리 설정되는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지지부는 서로 다른 열팽창 계수를 가지는,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촬상 장치{Camera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도 변화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의 미세 이동을 보상하여, 렌즈의 초점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캠코더 등과 같은 촬상 장치에는 포커싱(focusing) 또는 줌(zoom) 작용이 수행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러한 작용을 위해서는 경우에 따라 렌즈의 이동이 필요하며 광축 방향으로 렌즈를 이동시키는 장치가 요구된다.
렌즈 이동 장치는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렌즈가 끼워지는 렌즈 틀과, 렌즈 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수단과, 렌즈 틀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 수단을 포함하는데 렌즈 이동 장치가 장착되는 촬상 장치의 구조 및 종류에 따라 다양한 렌즈 이동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 CCTV 촬상 장치의 경우 온도 변화가 심한 환경에서 설치되며 줌 배율 및 포커스를 고정한 후 계속적으로 영상을 촬영하게 되는데, 온도가 소정 범위 사이에서 변화할 경우, 촬상 장치의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렌즈 이동 장치 및 이와 결합되는 렌즈 어셈블리의 열팽창 및 열수축에 의한 미세 이동으로 인하여 초점이 흐려지는 디포커스(defocus)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22318호(2006.09.04 등록, 발명의 명칭: 줌 렌즈 바렐)에는 내부 렌즈들의 이동을 수행하여 줌 구동을 수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프레임부와 지지부가 서로 다른 열팽창 계수를 가짐으로 인하여 온도 변화로 인한 렌즈 어셈블리의 미세 이동을 보상하며, 포커스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렌즈 어셈블리에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상기 렌즈 어셈블리와 연결되어 상기 렌즈 어셈블리에 동력을 전달하는 렌즈이송부;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렌즈이송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렌즈이송부를 미리 설정되는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지지부는 서로 다른 열팽창 계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트러스(truss)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렌즈이송부를 접촉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면에 접촉되며 배치되는 제1지지본체; 및 상기 제1지지본체가 배치되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면에 대향되는 타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1지지본체와 교차되며 상기 렌즈이송부를 접촉 지지하는 제2지지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상기 렌즈이송부의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렌즈이송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부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렌즈이송부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지지부와 접촉하는 미리 설정되는 영역을 따라 홈부의 형상으로 가이드부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촬상 장치의 주변 온도 변화에 따른 프레임부의 열팽창 또는 열수축으로 인한 렌즈이송부 및 이와 결합되는 렌즈 어셈블리의 미세 이동을 보상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온도 변화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의 미세 이동을 보상함으로 인하여 미리 설정되는 줌 배율 및 포커스가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송커버부로 인하여 렌즈이송부 및 이와 결합되는 렌즈 어셈블리가 미리 설정되는 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부분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촬상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부분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는, 프레임부(100), 렌즈이송부(200), 지지부(300), 탄성부재(400), 이송커버부(500), 가압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100)는 렌즈 어셈블리(10)에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촬상 장치(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100)에는 렌즈 어셈블리(10), 구체적으로 제1렌즈(11), 제2렌즈(13)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1렌즈(11)가 렌즈이송부(2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됨으로 인하여 제2렌즈(13)와의 거리가 변경되고, 제1렌즈(11)와 제2렌즈(13) 사이의 거리에 따라 줌 배율 또는 포커스가 설정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렌즈(11)가 뒤에 설명할 렌즈이송부(200)와 연결되어, 렌즈이송부(2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2렌즈(13) 측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제2렌즈(13)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2렌즈(13)가 렌즈이송부(200)와 연결되고, 렌즈이송부(2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1렌즈(11) 측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제1렌즈(1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100)에는 뒤에 설명할 지지부(300)와 접촉하는 미리 설정되는 영역을 따라 홈부의 형상으로 가이드부(110a, 110b)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가이드부(110a, 110b)는 서로 마주보며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뒤에 설명할 지지부(300), 구체적으로 제1지지본체(310), 제2지지본체(320)가 각각의 가이드부(110a, 110b)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고, 미리 설정되는 영역에서 제1지지본체(310) 및 제2지지본체(32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100)에는 고정돌기(130)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130)는 뒤에 설명할 이송커버부(500)를 마주보는 프레임부(100)의 일면에서 이송커버부(500) 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고정돌기(130)를 마주보는 이송커버부(500)의 일면에 고정홀부(510)가 형성될 수 있고, 고정홀부(510)에 고정돌기(130)가 통과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렌즈이송부(200)의 이동 방향(도 1 기준 상하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 예를 들어 제1렌즈(11) 또는 제2렌즈(13)의 중심축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렌즈이송부(200)가 이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돌기(13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복수 개의 고정돌기(130)에 대응되도록 고정홀부(510)도 이송커버부(500)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렌즈이송부(200)는 프레임부(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렌즈 어셈블리(10)와 연결되어 렌즈 어셈블리(10)가 이동가능하도록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렌즈이송부(200)는 구동부(210), 구동축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이송부(200)가 프레임부(100)의 측부에 설치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렌즈 어셈블리(10)와 연결되고, 렌즈 어셈블리(10)를 미리 설정되는 구간에서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기술 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210)는 프레임부(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동부(210)는 구동축부(230)와 연결되며, 구동축부(230)에 회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구동부(210)는 지지부(300), 구체적으로 제2지지본체(320)와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이송부(200)는 일측(도 2 기준 하측)에서 제2지지본체(320)가 구동부(210)를 접촉 지지하고, 타측(도 2 기준 상측)에서 뒤에 설명할 탄성부재(400)가 하측(도 2 기준)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며, 렌즈이송부(200)를 접촉 지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축부(230)는 구동부(210)와 연결되는 것으로, 구동부(2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축부(230)는 렌즈 어셈블리(10)와 연결이 가능하며, 구동부(2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발생되는 회전력을 렌즈 어셈블리(10)에 전달하여 렌즈 어셈블리(10)의 직선 이동(도 2 기준 상하 방향)이 가능하도록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구동축부(230)는 구동부(2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렌즈 어셈블리(10)와 기어 방식으로 맞물림으로 인하여 구동축부(230)의 회전을 렌즈 어셈블리(10)의 직선 이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구동축부(230)가 렌즈 어셈블리(10)로 동력을 전달하여 렌즈 어셈블리(10), 구체적으로 제1렌즈(11)와 제2렌즈(13) 간 상대 이동하는 기술 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300)는 프레임부(100)와 렌즈이송부(20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렌즈이송부(200)를 미리 설정되는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부(300)는 제1지지본체(310), 제2지지본체(320)를 포함할 수 있고, 렌즈이송부(200), 구체적으로 구동축부(230)의 일면(도 4 기준 하면)에 접촉되어 일측 방향(도 4 기준 상측)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본체(310)는 프레임부(100)의 일면에 접촉되는 것으로, 프레임부(100)에 형성되는 가이드부(110a, 110b)에 안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지지본체(320)는 제1지지본체(310)가 배치되는 프레임부(100)의 일면에 대향되는 타면에 접촉되는 것으로, 제1지지본체(310)와 교차되며 렌즈이송부(200)를 접촉 지지할 수 있다.
제2지지본체(320)는 일단부가 프레임부(100), 구체적으로 제1지지본체(310)가 안착되는 가이드부(110a)가 형성되는 일면에 대향되는 타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부(110b)에 접촉되며 안착될 수 있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제2지지본체(320)는 가이드부(110b)에 접촉되는 일단부에 대향되는 타단부가 렌즈이송부(200), 구체적으로 구동부(210)의 일면(도 4 기준 하면)에 접촉되며, 구동부(210) 및 이와 결합되는 구동축부(230)를 일측 방향(도 4 기준 상측)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300)는 트러스 구조로 형성되어 렌즈이송부(200), 구체적으로 구동부(210)를 일측 방향(도 4 기준 상측)으로 접촉 지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지지본체(310)와 제2지지본체(320)는 교차되며, 구체적으로 제1지지본체(310)에 형성되는 교차홈부(311)에 제2지지본체(320)가 얹혀지며, 교차홈부(311)에 얹혀지는 제2지지본체(320)의 일단부가 렌즈이송부(200)를 접촉 지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부(100)에 마주보며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110a, 110b)에 접촉되는 제1지지본체(310)와 제2지지본체(320), 프레임부(100)의 저면부가 삼각형 형상을 이루며 트러스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300), 구체적으로 제1지지본체(310), 제2지지본체(320)는 프레임부(100)와 다른 열팽창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지지부(300)가 프레임부(100)에 설치되며, 프레임부(100)의 저면부와 소정 각도를 이루며 기울어지도록 배치되고, 프레임부(100)의 저면부, 제1지지본체(310), 제2지지본체(320)가 삼각형 형상을 이루는 트러스 구조로 형성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가 설치되는 장소의 주변 온도 변화에 따른 렌즈이송부(200)의 미세한 이동을 보상해주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촬상 장치(1)가 설치되는 장소의 주변의 온도가 상승하거나 하락함에 따라 열팽창 또는 열수축이 발생되고, 프레임부(100)의 열팽창 또는 열수축으로 인하여 프레임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렌즈이송부(200)가 광축(C)을 따라 미세하게 이동되고, 렌즈이송부(200)와 연결되는 렌즈 어셈블리(10) 또한 광축(C) 방향(도 2 기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미리 설정되는 초점이 벗어나게 되는 디포커스 현상이 발생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촬상 장치(1)의 주변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 경우 프레임부(100)가 열팽창됨으로 인해 하측 방향(도 3 기준)으로 팽창하게 되는데, 지지부(300), 구체적으로 제1지지본체(310) 및 제1지지본체(310)와 교차되며 렌즈이송부(200)를 접촉 지지하는 제2지지본체(320)가 열팽창됨으로 인하여 상측 방향(도 3 기준)으로 팽창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프레임부(100)의 열팽창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렌즈이송부(200) 및 이와 결합되는 렌즈 어셈블리(10)의 미세 이동을 상쇄시키고, 미리 설정되는 초점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100)와 지지부(300)는 열팽창 계수가 다르게 형성되므로, 광축(C) 방향(도 2 기준 상하 방향)으로의 프레임부(100)의 미세 이동 거리와 렌즈이송부(200), 구체적으로 구동부(210)를 접촉 지지하는 지지부(300)의 미세 이동 거리를 동일하게 설정해야 하며, 이는 가이드부(110a, 110b)가 형성되는 프레임부(100)의 저면부와 제1지지본체(310), 제2지지본체(320)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여 설정할 수 있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400)는 프레임부(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지지부(300)와 연결되는 렌즈이송부(200)의 일측(도 2 기준 하측)에 대향하는 타면(도 2 기준 상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렌즈이송부(20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탄성부재(400)는 프레임부(100)에서 이격되는 방향(도 2 기준 상측에서 하측)으로 렌즈이송부(20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탄성부재(400)가 접촉 지지하는 렌즈이송부(200)의 일측(도 2 기준 상측)에 대향되는 타측(도 2 기준 하측)에서 접촉 지지하는 지지부(300)와 함께 양측에서 렌즈이송부(200)를 가압하며 프레임부(100)의 내부에서 렌즈이송부(200) 및 이와 결합되는 렌즈 어셈블리(1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400)는 코일(coil)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스프링 방식으로 형성되어 렌즈이송부(200)를 가압할 수 있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커버부(500)는 프레임부(100)와 연결되는 것으로, 렌즈이송부(200)를 커버할 수 있다.
이송커버부(500)로 인하여 렌즈이송부(200) 및 이와 결합되는 렌즈 어셈블리(10)가 미리 설정되는 방향, 즉 광축(C) 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하고, 광축(C)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프레임부(100)를 마주보는 이송커버부(500)의 일면에는 프레임부(100)에 형성되는 고정돌기(130)가 통과하도록 고정홀부(510)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130)가 고정홀부(510)의 내측에 배치됨으로 인하여 이송커버부(500)가 좌우 방향(도 1 기준)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프레임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렌즈이송부(2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600)는 프레임부(100)에 결합되는 것으로, 이송커버부(500)를 렌즈이송부(200)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가압부(60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송커버부(500)를 렌즈이송부(200) 측, 구체적으로 광축(C) 방향으로 이송커버부(500)를 가압할 수 있다.
가압부(600)가 이송커버부(500)를 광축(C) 또는 렌즈이송부(200) 측으로 가압함으로 인하여 렌즈이송부(200)에 연결되는 렌즈 어셈블리(10)가 정해진 방향(도 2 기준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60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가압부(600)는 병렬로 배치되어 이송커버부(500)에 각각 접촉되며 가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압부(600)는 판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이송커버부(500)에서 렌즈이송부(200) 측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의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는 프레임부(100), 렌즈이송부(200), 지지부(300), 탄성부재(400), 이송커버부(500), 가압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10)는 렌즈이송부(200)와 결합되며, 렌즈이송부(2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광축(C)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다. 렌즈 어셈블리(10)는 제1렌즈(11), 제2렌즈(13)를 포함하며, 제1렌즈(11)와 제2렌즈(13)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면서 줌 배율, 포커스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는 렌즈이송부(2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렌즈 어셈블리(10)가 이동되며 줌 배율, 포커스가 확정되면 프레임부(100)의 내부에서 렌즈 어셈블리(10)의 위치가 고정된다.
본 발명의 촬상 장치(1)의 주변 환경에 따라 온도 변화가 발생될 수 있고, 온도 변화가 +/- 35℃ 변화하게 되면, 프레임부(100)의 열팽창 또는 열수축에 의하여 미세 이동이 발생하게 되고, 렌즈이송부(200) 및 이와 결합되는 렌즈 어셈블리(10)에도 미세 이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렌즈 어셈블리(10), 구체적으로 제1렌즈(11)와 제2렌즈(13)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므로 초점이 이탈하는 디포커스 현상이 발생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100)에 마주보며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110a, 110b)에 지지부(300), 구체적으로 제1지지본체(310), 제2지지본체(320)가 각각 안착될 수 있다.
제1지지본체(310), 제2지지본체(320)는 가이드부(110a, 110b)가 형성되는 프레임부(100)의 저면부와 소정 각도를 가지며 경사면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제1지지본체(310)와 제2지지본체(320)가 교차 배치됨으로 인하여 삼각형 형상의 트러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지지본체(310)에 교차홈부(311)가 형성되고, 교차홈부(311)에 제2지지본체(320)가 얹혀짐으로 인하여 제2지지본체(320)와 제1지지본체(310) 간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2지지본체(320)가 제1지지본체(3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300)는 프레임부(100)와 열팽창 계수가 다르게 형성되고, 촬상 장치(1)가 설치되는 장소의 온도 변화로 인하여 프레임부(100)가 열팽창되는 길이만큼 프레임부(100)의 열팽창 방향(도 3 기준 하측)과 반대 방향(도 3 기준 상측)으로 팽창되도록 하여 프레임부(100)의 열팽창으로 인한 렌즈이송부(200)의 미세 이동을 보상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촬상 장치(1)가 설치되는 장소의 온도 변화로 인하여 프레임부(100)가 열수축되는 길이만큼 프레임부(100)의 열수축 방향(도 3 기준 상측)과 반대 방향(도 3 기준 하측)으로 지지부(300)가 수축되도록 하여 프레임부(100)의 열수축으로 인한 렌즈이송부(200)의 미세 이동을 보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300), 구체적으로 제1지지본체(310), 제2지지본체(320)가 교차되며 트러스 구조로 형성되고, 제1지지본체(310)와 제2지지본체(320) 및 제1지지본체(310), 제2지지본체(320)를 마주보는 프레임부(100)의 저면부가 이루는 각도 등을 조절함으로써 프레임부(100)로 인한 렌즈이송부(200)의 미세 이동거리와 동일하게 렌즈이송부(200)를 미세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프레임부(100)의 열팽창 또는 열수축으로 인한 미세 이동이 보상됨으로 인하여 렌즈 어셈블리(10), 구체적으로 제1렌즈(11)와 제2렌즈(13)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촬상 장치(1)가 설치되는 주변 환경의 온도에 관계 없이 줌 배율 및 초점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400)로 인하여 지지부(300), 구체적으로 제2지지본체(320)가 접촉 지지하는 렌즈이송부(200)의 일측(도 2 기준 하측)에 대향되는 타측(도 2 기준 상측)에서 렌즈이송부(200)를 탄성 지지함으로 인하여 프레임부(100)의 내측에서 렌즈이송부(20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커버부(500)가 렌즈이송부(200)를 커버함으로 인하여 렌즈이송부(200) 및 이와 결합되는 렌즈 어셈블리(10)가 광축(C)을 따라 이동되고, 광축(C)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압부(600)가 프레임부(100)에 결합되고 이송커버부(500)를 렌즈이송부(200) 측으로 가압함으로 인하여 렌즈이송부(200) 및 이와 결합되는 렌즈 어셈블리(10)가 미리 설정되는 방향, 구체적으로 광축(C)을 따라서만 이동가능하도록 이동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촬상 장치 C: 광축
10: 렌즈 어셈블리 11: 제1렌즈
13: 제2렌즈 100: 프레임부
110a, 110b: 가이드부 130: 고정돌기
200: 렌즈이송부 210: 구동부
230: 구동축부 300: 지지부
310: 제1지지본체 311: 교차홈부
320: 제2지지본체 400: 탄성부재
500: 이송커버부 510: 고정홀부
600: 가압부

Claims (6)

  1. 렌즈 어셈블리에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상기 렌즈 어셈블리와 연결되어 상기 렌즈 어셈블리에 동력을 전달하는 렌즈이송부;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렌즈이송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렌즈이송부를 미리 설정되는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지지부는 서로 다른 열팽창 계수를 가지고,
    상기 지지부는 제1지지본체 및 제2지지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본체, 상기 제2지지본체 및 상기 프레임부의 저면부가 삼각형을 이루며 트러스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렌즈이송부를 접촉 지지하는, 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본체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면에 접촉되며 배치되고,
    상기 제2지지본체는 상기 제1지지본체가 배치되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면에 대향되는 타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1지지본체와 교차되며 상기 렌즈이송부를 접촉 지지하는, 촬상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상기 렌즈이송부의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렌즈이송부를 탄성 지지하고,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부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렌즈이송부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촬상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34488A 2019-03-26 2019-03-26 촬상 장치 KR102650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488A KR102650649B1 (ko) 2019-03-26 2019-03-26 촬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488A KR102650649B1 (ko) 2019-03-26 2019-03-26 촬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790A KR20200113790A (ko) 2020-10-07
KR102650649B1 true KR102650649B1 (ko) 2024-03-25

Family

ID=72884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488A KR102650649B1 (ko) 2019-03-26 2019-03-26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6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4387A (ja) * 2004-02-25 2005-09-08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読取装置
KR101058857B1 (ko) * 2003-05-19 2011-08-23 소니 주식회사 렌즈 구동 기구 및 촬상 장치
KR101505440B1 (ko) 2008-08-01 2015-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렌즈 이동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595A (ja) * 1994-06-28 1996-01-19 Fujitsu Ltd 焦点補正機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857B1 (ko) * 2003-05-19 2011-08-23 소니 주식회사 렌즈 구동 기구 및 촬상 장치
JP2005244387A (ja) * 2004-02-25 2005-09-08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読取装置
KR101505440B1 (ko) 2008-08-01 2015-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렌즈 이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790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9183B2 (en) Shape memory alloy actuators and methods thereof
US20220035176A1 (en) Camera assembly providing optical image stabilisation
US7555210B2 (en) Axial snubbers for camera
KR102632706B1 (ko) 형상기억 합금 엑추에이터 배열 구조
US7212358B2 (en) Digital camera system with piezoelectric actuators
US20070257989A1 (en) Image shake corr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10247902B2 (en) Motor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9664877B2 (en) Prism-based focal plane adjustment for thermal compensation in a lens assembly
GB2591699A (en) Shape memory alloy actuation apparatus
US11245343B2 (en) Vibration wave motor and driving device
GB2569668A (en) Shape memory alloy actuation apparatus
KR102650649B1 (ko) 촬상 장치
KR19980031017A (ko) 비데오 카메라의 떨림 방지장치
WO2019243846A1 (en) Shape memory alloy actuation apparatus
JP7198506B2 (ja) レンズ駆動装置、レンズ駆動装置の製造方法、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US7792421B1 (en) Triaxial snubber assembly
JP2019133113A (ja) レンズ装置
JP7023674B2 (ja) 光学装置
GB2570358A (en) Shape memory alloy actuation apparatus
US20240160032A1 (en) An actuator assembly and a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2007123799A (ja) レーザー光源ユニットを備えた光学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JP2018125582A (ja) 微動装置
TWI844331B (zh) 成像光學系統
KR102531700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US7573662B2 (en) Movement preventing structure for color separation pr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