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8198B1 -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8198B1
KR101048198B1 KR1020110003973A KR20110003973A KR101048198B1 KR 101048198 B1 KR101048198 B1 KR 101048198B1 KR 1020110003973 A KR1020110003973 A KR 1020110003973A KR 20110003973 A KR20110003973 A KR 20110003973A KR 101048198 B1 KR101048198 B1 KR 101048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tape
motor
pocket
sprocket wheel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3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승옥
Original Assignee
나승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승옥 filed Critical 나승옥
Priority to KR1020110003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81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Loading or unloading of contain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H05K13/0419Feeding with belts or tapes tape fee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리어 테이프의 포켓 들이 주기적으로 각 피치마다 정위치에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반도체 칩 등의 전자부품을 각각의 포켓들에 순차적으로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다수개의 포켓이 형성된 캐리어 테이프를 스텝 이송시키도록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다수개의 포켓 피치마다 대응되는 핀 형태의 다수개의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된 스프로켓 휠과, 스프로켓 휠과 벨트를 매개로 연동되게 연결된 구동풀리를 가지며 주기적으로 회전/정지 동작되는 제 1모터와, 제 1모터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이송되는 캐리어 테이프의 일측 부위와 접촉되는 이송롤러를 가지며 제 1모터와 다른 회전비를 갖도록 주기적으로 회전/정지 동작되는 제 2모터와, 제 1,2모터의 동작과 연계되어 동작되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상기한 제 2모터의 이송롤러와 접촉되는 캐리어 테이프의 타측 부위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누름 롤러부와, 스프로켓 휠과 근접되게 배치되어 상기한 제 1모터의 동작을 캐리어 테이프의 포켓이 반도체 칩의 전자부품 공급부와 대응하는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결정하는 정위치 설정수단을 구비한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반도체 칩의 공급 및 포장시 회전 관성에 의한 불량율을 줄일 수 있으므로, 작업속도가 빨라지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CARRIER TAPE}
본 발명은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모터와 누름 롤러를 이용하여 포켓의 정지 위치를 정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에 매우 작은 부품인 반도체 칩 등의 전자부품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전자부품을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캐리어테이프를 사용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캐리어테이프(1)는 일정피치로 이동하도록 이송구멍(1b)이 연속으로 형성되어 있고, 표면실장부품(2)이 수용되는 홈 형태의 포켓(pocket; 1a)과, 반도체 칩 등의 전자부품(2)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면에 부착되는 커버필름(1c)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캐리어테이프(1)는 릴(reel)에 권취하여서 표면실장장치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전자부품(2)이 캐리어테이프(1)에 수용된 상태에서 릴에 권취되어 있으면, 표면실장장치에서 일정한 속도로 캐리어테이프(1)를 끌어당기면서 전자부품(2)을 하나씩 취출하여 인쇄회로기판에 납땜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캐리어테이프(1)에 불량의 전자부품(2)이 수용된 경우, 이를 장착한 전자제품의 불량을 초래하게 되므로 캐리어테이프(1)에 수용된 전자부품(2)의 불량여부를 검사하여 양호한 전자부품(2)으로 교체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캐리어 테이프의 공급 방식을 주기적으로 회전/정지를 고속으로 반복 동작되는 복수개의 모터와 정위치 설정수단을 이용하여 캐리어 테이프의 포켓이 정 위치에 정지하도록 함으로써, 반도체 칩 등의 부품을 고속상태에서 포켓 내부에 수용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일반적인 속도에서는 모터의 정지후 부하관성에 의한 정지 위치 안정시간이 확보되어야 요구되는 정지위치 정밀도를 얻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목적은 그 관성을 최소화하고 변동되는 부하량을 분산시켜, 고속 상태에서도 필요한 반복 정지 정밀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포켓이 형성된 캐리어 테이프를 이송시키도록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포켓 피치마다 대응되는 다수개의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된 스프로켓 휠과,
상기 스프로켓 휠과 벨트를 매개로 연동되게 연결된 구동풀리를 가지며 주기적으로 회전/정지 동작되는 제 1모터와,
상기 제 1모터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이송되는 캐리어 테이프의 일측 부위와 접촉되는 이송롤러를 가지며 상기 제 1모터와 다른 회전비를 갖도록 주기적으로 회전/정지 동작되는 제 2모터와,
상기 제 1,2모터의 동작과 연계되어 동작되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상기 제 2모터의 이송롤러와 접촉되는 캐리어 테이프의 타측 부위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누름 롤러부와,
상기 스프로켓 휠과 근접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 1모터의 동작을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포켓이 반도체 칩의 전자부품 공급부와 대응하는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결정하는 정위치 설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모터의 회전 주기당 캐리어 테이프 이송량은 상기 제 1모터의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량보다 더 많은 것이다.
상기 정위치 설정수단은 상기 스프로켓 휠과 동일 축상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포켓 피치와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피치홀이 형성된 센서휠과,
상기 센서휠의 피치홀을 감지하여 상기 제1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 측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 확인 센서를 구비한다.
상기 누름 롤러부는 상기 솔레노이드의 상측에 배치되어 스프링을 매개로 복원력을 가지며 시이소오 운동되는 연결암과,
상기 연결암의 단부에 연결축을 매개로 연동 회전되게 연결되는 롤러 암과,
상기 롤러 암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공급롤러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케리어 테이프의 포켓 들이 주기적으로 각 피치마다 정위치에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반도체 칩 등의 전자부품을 각각의 포켓들에 순차적으로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반도체 칩의 공급 및 포장시 회전 관성에 의한 불량율을 줄일 수 있으므로, 작업속도가 빨라지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캐리어 테이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장치가 채용된 캐리어 테이프 포장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제 1모터와 스프로켓 휠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제 2모터와 누름 롤러부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
도 7a,7b,7c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제 1,2모터와 누름 롤러부의 동작관계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플로우챠트.
기존의 캐리어 테이프를 포장하기 위한 포장장치가 요구된다.
그 캐리어 테이프 포장장치는 작업대의 일측에 포켓이 형성된 포켓필름을 공급하는 공급릴이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반도체 칩 등의 전자부품이 수납된 포켓필름의 상면에 커버필름을 공급하는 커버필름공급릴이 마련되어 있으며, 또한 포켓필름과 커버필름이 열융착된 캐리어 테이프를 권회하는 감기릴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작업대에는 포켓필름 및 캐리어 테이프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있고, 캐리어 테이프를 스텝 이송시키는 스프로켓 휠이 마련되어 있다. 모터의 구동으로 스텝 구동되는 스프로켓 휠은, 포켓필름의 이송구멍과 맞물려서 회전되어 이송력을 제공한다.
또한, 작업대에는 포켓필름과 커버필름을 열융착시키는 히팅유니트가 마련되어 있다.
그런데, 포켓필름의 각 포켓 내부로 반도체 칩 등의 전자부품을 수납하기 위해서는, 포켓필름의 스텝 이송시 각각의 포켓이 반도체 칩이 공급되는 정위치에 정지시켜야 한다.
그러나,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시 회전 관성이 발생하게 되므로, 각각의 포켓이 정위치에 위치하지 못하게 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반도체 칩의 수납이 어려워져 공정상 불량이 발생하게 될 뿐만 아니라, 조업이 중지되어 제품 생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모터를 이용하고 포켓 정위치 설정수단을 이용하여 포켓들이 정위치에 정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것을 제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종래 도면 부호와는 다른 도면 부호를 기재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장치는,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구성은 다수개의 포켓이 형성된 캐리어 테이프(50)를 스텝 이송시키도록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다수개의 포켓 피치마다 대응되는 핀 형태의 다수개의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된 스프로켓 휠(400)과, 스프로켓 휠(400)과 벨트(230)를 매개로 연동되게 연결된 구동풀리(210)를 가지며 주기적으로 회전/정지 동작되는 제 1모터(200)와, 제 1모터(200)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이송되는 캐리어 테이프(50)의 일측 부위와 접촉되는 이송롤러(350)를 가지며 제 1모터(200)와 다른 회전비를 갖도록 주기적으로 회전/정지 동작되는 제 2모터(300)와, 제 1,2모터(200)(300)의 동작과 연계되어 동작되는 솔레노이드(610)에 의해 상기한 제 2모터(300)의 이송롤러(350)와 접촉되는 캐리어 테이프(50)의 타측 부위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누름 롤러부(600)와, 스프로켓 휠(400)과 근접되게 배치되어 상기한 제 1모터(200)의 동작을 캐리어 테이프(50)의 포켓이 반도체 칩의 전자부품 공급부(미도시)와 대응하는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결정하는 정위치 설정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스프로켓 휠(400)은 포켓필름(52)이 이송되면서 전자부품이 공급되어 포켓 내에 수납되는 작업대(100)에 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 1모터(200)는 스프로켓 휠(400)의 구동 및 위치 결정을 위한 것으로, 모터축의 단부에 구동풀리(210)가 배치되어 스프로켓 휠(400)의 축에 (타이밍)벨트(230)를 매개로 연동 회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 2모터(300)는 캐리어 테이프(50)의 이송방향으로 제 1모터(200)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캐리어 테이프(50)의 하측에 접촉되도록 모터축의 단부에 이송롤러(35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2모터(300)의 회전 주기당 캐리어 테이프(50) 이송량은 상기 제 1모터(200)의 상기 캐리어 테이프(50)의 이송량보다 더 많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위치 설정수단은 상기 스프로켓 휠(400)과 동일 축상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포켓 피치와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피치홀이 형성된 센서휠(450)과, 센서휠(450)의 피치홀을 감지하여 상기 제1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미도시) 측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 확인 센서(500)를 구비한다.
또 위치 확인 센서(500)는 수광부와 발광부로 구성되어 포켓의 피치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센서휠(450)의 피치홀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캐리어 테이프(50)가 정위치를 이탈할 경우, 제어기 측으로 이상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제어기는 제 1,2모터(200)(300)의 회전/정지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위치 확인 센서(500)의 이상 신호가 인가되면 제 1,2모터(200)(30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경보장치(미도시)를 동작시켜 알람을 울리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누름 롤러부(600)는 솔레노이드(610)의 상측에 배치되어 스프링(620)을 매개로 복원력을 가지며 시이소오 운동되는 연결암(630)과, 연결암(630)의 단부에 연결축(640)을 매개로 연동 회전되게 연결되는 롤러암(650)과, 롤러암(65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캐리어 테이프(50)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공급롤러(660)로 구성된다.
전자부품 공급부는 반도체 칩등의 전자부품이 일렬로 정렬되어 순차적으로 작업대(100)의 상측에서 하측의 포켓 내부로 공급되는 것으로, 이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외에도 작업대(100)의 일측에 포켓이 형성된 포켓필름(52)을 공급하는 공급릴(10)이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반도체 칩 등의 전자부품이 수납된 포켓필름(52)의 상면에 커버필름(54)을 공급하는 커버필름공급릴(30)이 마련되어 있으며, 또한 포켓필름(52)과 커버필름(54)이 열융착된 캐리어 테이프(50)를 권회하는 감기릴(20)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장치는, 먼저 캐리어 테이프(50)의 이송과정시 제 1,2모터(200)(300)가 회전 구동되고 누름 롤러부(600)가 하강 동작된다.
이때, 누름 롤러부(600)의 공급롤러(660)는 캐리어 테이프(50)의 타측 부위와 접촉되어 캐리어 테이프(50)의 이송을 가이드하게 된다.
제 1,2모터(200)(300)는 초고속 회전되면서 포켓필름(52)의 포켓 피치마다 주기적으로 회전/정지 동작된다.
제 1모터(200)의 구동력 전달과정은 제 1모터(200)의 모터축 단부에 배치된 구동풀리(210)가 (타이밍)벨트(230)를 매개로 회전 구동력을 스프로켓 휠(400)에 전달하게 됨에 따라, 스프로켓 휠(400)이 캐리어 테이프(50)(포켓필름)을 끌고 가도록 이송시키는 과정을 갖는다.
스프로켓 휠(400)은 캐리어 테이프(50)(포켓필름)의 이송구멍과 돌기가 맞물리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 1모터(200)의 회전/정지 동작에 따라 캐리어 테이프(50)를 스텝 이송시키게 된다.
제 2모터(300)는 이송롤러(350)가 모터축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 2모터(300)의 회전 구동시 이송롤러(350)가 캐리어 테이프(50)의 일측 부위와 접촉됨과 아울러, 누름 롤러부(600)의 공급롤러(660)가 캐리어 테이프(50)의 타측 부위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캐리어 테이프(50)를 끌고 가는 이송력을 부여하게 된다.
즉, 캐리어 테이프(50)의 이송 과정은 제 1,2모터(200)(300)가 초고속 회전 구동되고, 누름 롤러부(600)의 공급롤러(660)가 캐리어 테이프(50)와 접촉된 상태에서 이송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스프로켓 휠(400)이 회전되면서 포켓필름(52)을 스텝 이송시키는 과정을 갖는다.
한편, 포켓필름(52)의 포켓 내에 반도체 칩등의 전자부품을 수납하기 위해 정 위치에 정지시키는 과정은, 누름 롤러부(600)가 상측으로 회전 동작되면 공급롤러(660)와 캐리어 테이프(50)의 접촉상태가 해제되면서 제 2모터(300)의 이송롤러(350)와 접촉되는 부위에서 발생하는 캐리어 테이프(50)의 이송력이 해제된다.
누름 롤러부(600)의 동작은 연결암(630)이 외부 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솔레노이드(610)와 스프링(620)에 의해 시이소오 운동되고, 그 운동력은 연결축(640)을 매개로 롤러암(650)에 전달되어 상,하로 연동 회전된다.
즉, 누름 롤러부(600)의 상측 회전시 제 2모터(300)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50)를 끌고 가는 이송력이 해제되는 것이다.
제 1모터(200)와 제 2모터(300)의 회전비와 누름 롤러부(600)의 해제 타이밍을 조절하여 포켓필름(52)의 포켓이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1모터(200)가 정지되고, 제 2모터(300)의 회전이 정지된 이후에 모터 자체 및 캐리어 테이프(50)의 이송시 발생하는 관성을 최소화하고 가변하는 부하량을 감안하여 누름 롤러부(600)를 상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적절한 타이밍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과정을 통해 정위치에 포켓이 위치할 때 포켓 내부로 전자부품이 수납되도록 공급되고, 이후 커버필름(54)이 열 융착되어 캐리어 테이프(50)로 제조되는 과정을 갖는다.
한편, 스프로켓 휠(400)의 단부에 센서휠(450)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정지 위치를 벗어나는 이상 발생시, 위치 확인 센서(500)로부터 제어기 측으로 신호가 인가되어 경보장치를 작동시켜 알람을 울리게 함과 아울러, 제 1,2모터(200)(300)를 정지시키고 조업을 중단한다.
상기한 과정을 통해 1 사이클이 완료되며, 이후 주기적으로 제 1,2모터(200)(300)의 회전 및 정지 동작과 누름 롤러부(600)의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어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캐리어 테이프 52 : 포켓필름
54 : 커버필름 100 : 작업대
200 : 제 1모터 210 : 구동풀리
230 : 벨트 300 : 제 2모터
350 : 이송롤러 400 : 스프로켓 휠
450 : 센서휠 500 : 위치 확인 센서
600 : 누름 롤러부 610 : 솔레노이드
620 : 스프링 630 : 연결암
640 : 연결축 650 : 연결축
660 : 공급롤러

Claims (4)

  1. 다수개의 포켓이 형성된 캐리어 테이프를 이송시키도록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포켓 피치마다 대응되는 다수개의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된 스프로켓 휠과,
    상기 스프로켓 휠과 벨트를 매개로 연동되게 연결된 구동풀리를 가지며 주기적으로 회전/정지 동작되는 제 1모터와,
    상기 제 1모터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이송되는 캐리어 테이프의 일측 부위와 접촉되는 이송롤러를 가지며 상기 제 1모터와 다른 회전비를 갖도록 주기적으로 회전/정지 동작되는 제 2모터와,
    상기 제 1,2모터의 동작과 연계되어 동작되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상기 제 2모터의 이송롤러와 접촉되는 캐리어 테이프의 타측 부위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누름 롤러부와,
    상기 스프로켓 휠과 근접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 1모터의 동작을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포켓이 반도체 칩의 전자부품 공급부와 대응하는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결정하는 정위치 설정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누름 롤러부는 상기 솔레노이드의 상측에 배치되어 스프링을 매개로 복원력을 가지며 시이소오 운동되는 연결암과,
    상기 연결암의 단부에 연결축을 매개로 연동 회전되게 연결되는 롤러암과,
    상기 롤러암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공급롤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모터의 회전 주기당 캐리어 테이프 이송량은 상기 제 1모터의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량보다 더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위치 설정수단은 상기 스프로켓 휠과 동일 축상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포켓 피치와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피치홀이 형성된 센서휠과,
    상기 센서휠의 피치홀을 감지하여 상기 제1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 측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 확인 센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장치.
  4. 삭제
KR1020110003973A 2011-01-14 2011-01-14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장치 KR101048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973A KR101048198B1 (ko) 2011-01-14 2011-01-14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973A KR101048198B1 (ko) 2011-01-14 2011-01-14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8198B1 true KR101048198B1 (ko) 2011-07-08

Family

ID=44923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3973A KR101048198B1 (ko) 2011-01-14 2011-01-14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81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3093A (ko) * 2014-05-19 2015-11-27 마성현 완충부를 포함하는 접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핑장치
KR101702638B1 (ko) 2015-08-07 2017-02-06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캐리어 테이프용 릴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검사장치
CN114953026A (zh) * 2022-05-13 2022-08-30 苏州铂普乐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精准定位的载带加工成型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487B1 (ko) * 2000-12-14 2003-03-2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부품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JP2008091709A (ja) * 2006-10-03 2008-04-17 Yamaha Motor Co Ltd 部品供給装置、並びに表面実装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487B1 (ko) * 2000-12-14 2003-03-2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부품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JP2008091709A (ja) * 2006-10-03 2008-04-17 Yamaha Motor Co Ltd 部品供給装置、並びに表面実装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3093A (ko) * 2014-05-19 2015-11-27 마성현 완충부를 포함하는 접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핑장치
KR101627341B1 (ko) * 2014-05-19 2016-06-07 마성현 완충부를 포함하는 접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핑장치
KR101702638B1 (ko) 2015-08-07 2017-02-06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캐리어 테이프용 릴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검사장치
CN114953026A (zh) * 2022-05-13 2022-08-30 苏州铂普乐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精准定位的载带加工成型装置
CN114953026B (zh) * 2022-05-13 2024-04-12 苏州铂普乐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精准定位的载带加工成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97549B2 (ja) 電気部品供給装置およびプリント回路板組立方法
JP6137975B2 (ja) フィーダ
KR101048198B1 (ko)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장치
JP4838195B2 (ja) 半田供給装置、表面実装機
JP2008288334A5 (ko)
JP2007069946A (ja) 電子部品のテーピング装置
JP4751738B2 (ja) テープフィーダ及びそれを用いた部品搭載装置
JPWO2014041686A1 (ja) 生産計画決定システム
JPWO2015162762A1 (ja) キャリアテープ検出装置および検知方法
JP2009004652A (ja) 電子部品の実装装置及び実装方法
JP6561045B2 (ja) テープ不正挿入検出装置
WO2018087857A1 (ja) 部品供給装置、表面実装機、及び部品供給方法
JP2008306046A (ja) 部品供給装置、表面実装機
JP2008147704A (ja) 電気部品供給方法および部品供給ユニット
JP6271551B2 (ja) フィーダ
KR930011052B1 (ko) 태브테이프 본딩장치
KR100963270B1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JP2003226306A (ja) テーピング装置
JP6626750B2 (ja) 搬送装置
JP2004228248A (ja) テープ式電子部品供給装置
JP5171511B2 (ja) 電子部品供給カセット、電子部品供給カート及び電子部品装着装置
JP2017077934A (ja) 基板搬送装置
JP2019149426A (ja) 電子部品供給装置及び電子部品実装装置
JP3752040B2 (ja) 部品供給装置の載設不良検知装置
JP2011091252A (ja) 電子部品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