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2973A -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2973A
KR20150132973A KR1020140059646A KR20140059646A KR20150132973A KR 20150132973 A KR20150132973 A KR 20150132973A KR 1020140059646 A KR1020140059646 A KR 1020140059646A KR 20140059646 A KR20140059646 A KR 20140059646A KR 20150132973 A KR20150132973 A KR 20150132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cooling
tube
header tank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9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9628B1 (ko
Inventor
임홍영
송준영
임연우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9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628B1/ko
Priority to DE112014004189.0T priority patent/DE112014004189T5/de
Priority to CN201480050472.6A priority patent/CN105580505B/zh
Priority to PCT/KR2014/006494 priority patent/WO2015037824A1/ko
Priority to US15/021,322 priority patent/US9807915B2/en
Publication of KR20150132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2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46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involving the transfer of heat by flowing fluids
    • H01L23/473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involving the transfer of heat by flowing fluids by flow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2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oling heat generating elements, e.g. for cooling electronic components or electric devices
    • F28D2021/0029Heat sin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42Fillings or auxiliary members in containers or encapsulations selected or arranged to facilitate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및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전기소자의 삽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단으로 적층된 전기소자의 양측면과 냉각수가 유동되는 튜브가 서로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및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heat exchanger for cooling electric element}
본 발명은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및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전기소자의 삽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단으로 적층된 전기소자의 양측면과 냉각수가 유동되는 튜브가 서로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및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 문제 대책의 일환으로서,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연료전지 차량, 전기 차량 등의 발전이 더욱 더 주목받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차량은 일반적으로, 구동용 배터리(예를 들면, 300V의 전압)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모터에 원하는 상태로 공급되도록 조절하는 PCU(파워제어유닛)가 함께 장착된다.
PCU는 인버터, 평활 콘덴서 및 컨버터 등의 전기소자들을 포함한다. 상기 전기소자들은 전력(electricity)의 공급 되면서 열을 발생하기 때문에, 반드시 별도의 냉각수단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된 기술로, 일본공개특허 제2001-245478호(공개일 2001.09.07, 명칭 : 인버터의 냉각 장치)에는 IGBT 등의 반도체 소자와 다이오드를 내장한 반도체 모듈이 사용되는 인버터가 개시된 바 있으며, 일본공개특허 제2008-294283호(공개일 2008.12.04, 명칭 : 반도체 장치)에는 반도체 소자의 하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유체가 흐르면서 열교환하도록 형성되는 히트싱크가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단면 냉각방식의 경우, 냉각성능에 한계가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 양면 냉각방식인데, 양면 냉각방식은 열교환기 사이 공간에 소자가 삽입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열교환기의 전기소자 삽입 간격이 전기소자 높이보다 높아야 하는 동시에, 열교환기의 열전달 성능 증대를 위해서는 소자와 열교환기가 잘 압착되어야 한다는 조건이 모두 만족되는 것이 좋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양면 냉각 방식의 열교환기는 전기소자(10)의 양측면에 위치하며 내부에 열교환매체가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튜브(20)와, 상기 튜브의 양단에 결합되며 열교환매체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탱크(3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열교환기는 브레이징 결합되어 전기소자의 삽입 공간이 고정된 이후, 전기소자를 삽입해야 하므로 전기소자의 삽입 작업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는 전기소자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튜브 사이 간격을 넓게 하면, 소자와 튜브가 압착되지 않아 열교환 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기소자의 삽입이 용이하며, 소자와 열교환기의 압착이 잘 이루어질 수 있는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의 개발이 필요하다.
선행특허 1 : 일본공개특허 제2001-245478호(공개일 2001.09.07, 명칭 : 인버터의 냉각 장치) 선행특허 2 : 일본공개특허 제2008-294283호(공개일 2008.12.04, 명칭 : 반도체 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2열로 배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적어도 두 지점 이상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벤딩되어 다단으로 적층 형성되고, 내부에 열교환매체가 유동되는 튜브를 포함하여 형성됨으로써, 전기소자의 삽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단으로 적층된 전기소자의 양측면과 냉각수가 유동되는 튜브가 서로 접촉할 수 있어 냉각성능 및 조립성이 향상된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는 전기소자를 냉각하기 위한 열교환기에 있어서, 2열로 배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적어도 두 지점 이상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벤딩되어 다단으로 적층 형성되고, 내부에 열교환매체가 유동되는 튜브; 상기 튜브의 길이방향으로 일측 단부에 결합 고정되는 제1헤더탱크; 상기 튜브의 길이방향으로 타측 단부에 결합 고정되는 제2헤더탱크; 상기 제1헤더탱크 또는 제2헤더탱크에 형성되어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입구파이프 및 배출되는 출구파이프;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는 다단으로 적층 형성되는 상기 튜브 사이에 전기소자가 삽입되어, 상기 전기소자의 양측면과 상기 튜브가 접하도록 형성되되, 다단의 상기 튜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튜브 상ㆍ하측면이 모두 상기 전기소자와 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는 상기 제1헤더탱크에 상기 입구파이프 및 출구파이프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헤더탱크는 1열의 튜브와 연결되는 부분인 제1-1헤더탱크와, 2열의 튜브가 연결되는 부분인 제1-2헤더탱크가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1헤더탱크 및 제1-2헤더탱크 중 어느 하나에는 입구파이프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 출구파이프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헤더탱크는 1열의 튜브와 연결되는 부분과, 2열의 튜브가 연결되는 부분 사이에 배플이 구비되어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며, 분리된 영역 중 하나에는 입구파이프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 출구파이프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는 상기 전기소자가 안착되는 지점의 상기 튜브 사이 간격보다 벤딩되는 지점의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되도록 벤딩되는 지점이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라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는 상기 튜브 사이가 너비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튜브 갭(gap)을 포함하되, 상기 튜브 갭이 상기 전기소자의 너비방향으로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소자고정부의 길이보다 적어도 2배 이상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조립체는 상기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및 전기소자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조립체는 상기 튜브가 두 지점에서 벤딩될 경우, 상기 전기소자가 2열 2단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조립체는 이웃한 상기 튜브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내측 공간에 상기 전기소자의 소자고정부가 배치되며, 외측 공간에 상기 전기소자의 커넥터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는 전기소자의 양측면과 냉각수가 유동되는 튜브가 서로 접촉할 수 있어 집적회로 소자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는 전기소자의 높이방향으로 양측면과 접하도록 적어도 두 지점 이상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벤딩되어 다단으로 적층 형성되는 튜브를 포함하여 형성됨으로써, 다단으로 적층된 전기소자의 양측면과 냉각수가 유동되는 튜브가 서로 접촉할 수 있어 냉각성능 및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해, 기존의 양면 냉각 방식의 열교환기에서 전기소자가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튜브 사이 간격을 넓게 하면 전기소자와 튜브가 압착되기가 어렵고, 반대로 전기소자와 튜브가 압착되도록 하기 위해 튜브 사이 간격을 좁게 하면 전기소자가 삽입되기 어려웠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기소자를 좁은 틈새로 끼워 넣는 공정 없이 벤딩된 튜브 사이 공간에 전기소자가 배치되도록 한 다음, 튜브 및 전기소자가 서로 압착되도록 함으로써, 냉각성능과 조립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벤딩되는 지점이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라운드부를 포함하여 형성됨으로써, 두께가 약 4~5mm정도인 얇은 전기소자의 양면에 접하도록 튜브를 벤딩하는 과정에서 튜브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튜브 양단에 결합 고정되는 헤더탱크 중 하나를 분리형으로 형성하거나, 2열의 튜브 사이 공간에 배플이 구비되도록 하고, 나머지 헤더탱크를 일체형으로 형성할 경우, 입ㆍ출구파이프를 동일 방향으로 구성할 수 있어 유로구성이 간단해지며, 차량 내 차지하는 공간이 축소될 수 있어 주변 부품 배치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헤더탱크를 분리형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1열씩 소자를 조립할 수 있어 열교환기 변형가능성이 낮아지고, 조립이 더욱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소자 냉각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의 튜브가 벤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에서의 열교환매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조립체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및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조립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기소자(2)의 양측면과 접하여 형성되는 양면 냉각 방식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에 관한 것으로, 크게, 튜브(100), 제1헤더탱크(210) 및 제2헤더탱크(2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전자소자는 IGBT 등의 반도체 소자와 다이오드를 내장한 반도체 모듈이 사용되는 자동차용 인버터, 모터구동 인버터, 에어컨 인버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를 냉각하기 위한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에 관한 것이다.
상기 튜브(1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열교환매체가 유동되는 것으로 도 3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튜브(100) 내부에 유동되는 열교환매체는 에틸렌 글리콜계의 부동액이 혼입되는 물이나, 물, 암모니아 등의 자연냉매 또는 R134a 등의 Fron계 냉매, 알코올계 냉매, 아세톤 등의 케톤계 등의 냉매일 수 있다.
상기 튜브(100)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격벽이 압출된 방식으로 제조된 튜브(100)일 수도 있고, 접어서 제조되거나, welded 방식으로 제조된 튜브(100)일 수도 있다.
특히, 상기 튜브(100)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2열로 배치되며, 적어도 두 지점 이상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벤딩되어 다단으로 적층 형성됨으로써, 지그재그 형태를 갖게 된다.
상기 튜브(100)는 두 지점에서 벤딩될 경우, 벤딩되는 지점은 대략 총 길이의 1/3, 2/3 지점이 되어, 각 단의 총 길이가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튜브(100)는 벤딩되는 지점이 N개라면, 벤딩되는 지점은 총 튜브(100) 길이의 1/(N-1), 2/(N-1)...N/(N-1)인 지점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는 다단으로 적층 형성되는 상기 튜브(100) 사이에 전기소자(2)가 삽입되어, 상기 전기소자(2)의 양측면과 상기 튜브(100)가 접하도록 형성되며, 다단의 상기 튜브(1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튜브(100) 상ㆍ하측면이 모두 상기 전기소자(2)와 접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는 높이방향으로 가운데 위치한 튜브(100)가 위ㆍ아래 위치하게 될 전기소자(2)와 접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는 상기 튜브(100) 사이가 너비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갭(gap)을 포함하되, 상기 갭이 상기 전기소자(2)의 너비방향으로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소자고정부(21)의 길이보다 적어도 2배 이상 길게 형성됨으로써, 이웃하여 배치된 전기소자(2)의 소자고정부(21)끼리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는 상기 튜브(100)가 상기 전기소자(2)의 너비방향으로 양측면에 돌출형성된 핀을 덮지 않도록 상기 튜브(100)의 너비(Tw)는 상기 전기소자(2)의 너비(Cw)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는 전기소자(2)와 조립 시, 벤딩된 상기 튜브(100) 사이에 전기소자(2)가 삽입된 형태를 갖는데, 상기 전기소자(2)의 양측면과 상기 튜브(100)가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 완전히 벤딩된 상태에서 상기 튜브(100) 사이 거리는 불과 4~5mm정도이다.
벤딩된 상기 튜브(100) 사이 거리를 4~5mm정도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벤딩되는 지점에 가해지는 피로도가 상당할 수밖에 없는데,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튜브(100)는 상기 전기소자(2)가 안착되는 지점의 상기 튜브(100) 사이 간격보다 벤딩되는 지점의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도록 벤딩되는 지점이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라운드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운드부(110)는 벤딩되는 지점에 형성되며, 단면이 일측 일부영역이 개구된 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헤더탱크(210)는 튜브(100)의 길이방향으로 일측 단부에 결합 고정되고, 상기 제2헤더탱크(220)는 상기 튜브(100)의 길이방향으로 타측 단부에 결합 고정된다.
도 2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헤더탱크(210)는 상기 튜브(100)의 길이방향으로 일측 단부에 결합 고정되며, 입구파이프(310) 및 출구파이프(320)가 형성되어 열교환매체가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헤더탱크(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헤더탱크(210)는 1열의 튜브(100)와 연결되는 부분인 제1-1헤더탱크(211)와, 2열의 튜브(100)가 연결되는 부분인 제1-2헤더탱크(212)가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1헤더탱크(211) 및 제1-2헤더탱크(212) 중 어느 하나에는 입구파이프(310)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 출구파이프(3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는 1열씩 소자를 조립할 수 있어 열교환기 변형가능성이 낮아지고, 조립이 더욱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1헤더탱크(2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1열의 튜브(100)와 연결되는 부분과, 2열의 튜브(100)가 연결되는 부분 사이에 배플(400)이 구비되어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며, 분리된 영역 중 하나에는 입구파이프(310)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 출구파이프(320)가 형성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는 동일한 열교환매체 흐름을 가지며, 1열 튜브(100) 측에 형성된 상기 입구파이프(310)를 통해 유입된 열교환매체가 1열 튜브(100)를 통과하여 상기 제2헤더탱크(220)에 도달한 후, 2열 튜브(100)를 따라 상기 출구파이프(320)를 통해 배출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입ㆍ출구파이프(320)를 동일 방향으로 구성할 수 있어 유로구성이 간단해지며, 차량 내 차지하는 공간이 축소될 수 있어 주변 부품 배치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본 발명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는 도 9처럼 상기 전기소자(2)의 길이방향으로 양단에 위치한 상기 튜브(100) 일부영역이 상기 전기소자(2) 측으로 가압되어 함입 형성된 클립결합부(12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전기소자(2)는 압착시키기 위한 구조로, 상기 전기소자(2)가 상기 튜브(100) 사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는 상기 전기소자(2)가 상기 튜브(100) 사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튜브(100)가 완전히 벤딩된 다음, 상기 전기소자(2)와 압착되도록 가압하는 별도의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 수단과 방법은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가 가능하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조립체(3)를 나타낸 것으로,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의 상기 튜브(100) 사이에 전기소자(2)가 삽입되어 조립됨으로써 형성된다.
도 6과 같이, 본 발명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조립체(3)는 상기 튜브(100)가 두 지점에서 벤딩될 경우, 상기 전기소자(2)가 2열 2단으로 배치되며, 벤딩되는 횟수에 따라 2열 3단, 2열 4단 등 적층되는 전기소자(2)의 단수를 필요에 따라 조절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조립체(3)는 상기 튜브(100)가 2열인 경우, 이웃한 상기 튜브(100)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내측 공간에 상기 전기소자(2)의 소자고정부(21)가 배치되며, 외측 공간에 상기 전기소자(2)의 커넥터(22)가 배치됨으로써, 전체적인 모듈 조립 시 전원부 연결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가 조립되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는 벤딩된 상기 튜브(100)가 대략 5~10도 정도 각도를 이루도록 벤딩된 상태에서 상기 전기소자(2)가 상기 튜브(100) 사이에 삽입 고정되도록 한 후, 이격된 간격을 눌러, 상기 전기소자(2) 윗면과 상기 튜브(100)가 압착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기소자(2)는 상ㆍ하측면이 모두 상기 튜브(100)와 밀착될 수 있으며, 좁은 틈사이로 전기소자(2)를 어렵게 끼워 넣는 공정 없이도, 상기 열교환기에 조립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는 전기소자(2)의 양측면과 냉각수가 유동되는 튜브(100)가 서로 접촉할 수 있어 집적회로 소자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2 : 전기소자
21 : 소자고정부 22 : 커넥터
3 :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조립체
100 : 튜브
110 : 라운드부 120 : 클립결합부
210 : 제1헤더탱크
211 : 제1-1헤더탱크 212 : 제1-2헤더탱크
220 : 제2헤더탱크
310 : 입구파이프 320 : 출구파이프
400 : 배플

Claims (10)

  1. 전기소자(2)를 냉각하기 위한 열교환기에 있어서,
    2열로 배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적어도 두 지점 이상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벤딩(bending)되어 다단으로 적층 형성되고, 내부에 열교환매체가 유동되는 튜브(100);
    상기 튜브(100)의 길이방향으로 일측 단부에 결합 고정되는 제1헤더탱크(210);
    상기 튜브(100)의 길이방향으로 타측 단부에 결합 고정되는 제2헤더탱크(220);
    상기 제1헤더탱크(210) 또는 제2헤더탱크(220)에 형성되어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입구파이프(310) 및 배출되는 출구파이프(320);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는
    다단으로 적층 형성되는 상기 튜브(100) 사이에 전기소자(2)가 삽입되어, 상기 전기소자(2)의 양측면과 상기 튜브(100)가 접하도록 형성되되,
    다단의 상기 튜브(1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튜브(100) 상ㆍ하측면이 모두 상기 전기소자(2)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는
    상기 제1헤더탱크(210)에 상기 입구파이프(310) 및 출구파이프(3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헤더탱크(210)는
    1열의 튜브(100)와 연결되는 부분인 제1-1헤더탱크(211)와, 2열의 튜브(100)가 연결되는 부분인 제1-2헤더탱크(212)가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1헤더탱크(211) 및 제1-2헤더탱크(212) 중 어느 하나에는 입구파이프(310)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 출구파이프(3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헤더탱크(210)는
    1열의 튜브(100)와 연결되는 부분과, 2열의 튜브(100)가 연결되는 부분 사이에 배플(400)이 구비되어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며,
    분리된 영역 중 하나에는 입구파이프(310)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 출구파이프(3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100)는
    상기 전기소자(2)가 안착되는 지점의 상기 튜브(100) 사이 간격보다 벤딩되는 지점의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되도록
    벤딩되는 지점이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라운드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는
    상기 튜브(100) 사이가 너비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튜브(100) 갭(gap)을 포함하되, 상기 튜브(100) 갭이 상기 전기소자(2)의 너비방향으로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소자고정부(21)의 길이보다 적어도 2배 이상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8. 제 1항 내지 제 7항에 의한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 및 전기소자(2)가 조립되는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조립체.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조립체(3)는
    상기 튜브(100)가 두 지점에서 벤딩될 경우, 상기 전기소자(2)가 2열 2단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조립체.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조립체(3)는
    이웃한 상기 튜브(100)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내측 공간에 상기 전기소자(2)의 소자고정부(21)가 배치되며, 외측 공간에 상기 전기소자(2)의 커넥터(22)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조립체.
KR1020140059646A 2013-09-12 2014-05-19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KR102089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646A KR102089628B1 (ko) 2014-05-19 2014-05-19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DE112014004189.0T DE112014004189T5 (de) 2013-09-12 2014-07-17 Wärmetauscher zum Kühlen eines elektrischen Bauteils
CN201480050472.6A CN105580505B (zh) 2013-09-12 2014-07-17 用于冷却电气元件的热交换器
PCT/KR2014/006494 WO2015037824A1 (ko) 2013-09-12 2014-07-17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US15/021,322 US9807915B2 (en) 2013-09-12 2014-07-17 Heat exchanger for cooling electric el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646A KR102089628B1 (ko) 2014-05-19 2014-05-19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2973A true KR20150132973A (ko) 2015-11-27
KR102089628B1 KR102089628B1 (ko) 2020-03-16

Family

ID=54847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646A KR102089628B1 (ko) 2013-09-12 2014-05-19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62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279A (ja) * 1992-05-12 1994-02-01 Nippondenso Co Ltd 電気自動車用冷却装置
JP2001245478A (ja) 1999-09-21 2001-09-07 Toyota Motor Corp インバータの冷却装置
JP2001352023A (ja) * 2000-06-08 2001-12-21 Denso Corp 冷媒冷却型両面冷却半導体装置
JP2006190972A (ja) * 2004-12-08 2006-07-20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力用半導体装置
JP2008294283A (ja) 2007-05-25 2008-12-04 Showa Denko Kk 半導体装置
JP2011238756A (ja) * 2010-05-10 2011-11-24 Fujitsu Ltd 冷却ジャケ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279A (ja) * 1992-05-12 1994-02-01 Nippondenso Co Ltd 電気自動車用冷却装置
JP2001245478A (ja) 1999-09-21 2001-09-07 Toyota Motor Corp インバータの冷却装置
JP2001352023A (ja) * 2000-06-08 2001-12-21 Denso Corp 冷媒冷却型両面冷却半導体装置
JP2006190972A (ja) * 2004-12-08 2006-07-20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力用半導体装置
JP2008294283A (ja) 2007-05-25 2008-12-04 Showa Denko Kk 半導体装置
JP2011238756A (ja) * 2010-05-10 2011-11-24 Fujitsu Ltd 冷却ジャケ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628B1 (ko) 202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8985B2 (en) Heat exchanger for cooling electrical element
US9807915B2 (en) Heat exchanger for cooling electric element
KR102173362B1 (ko) 전기소자 쿨링모듈
KR102413829B1 (ko)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KR102351954B1 (ko)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US20170301610A1 (en) Cooler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oler module
JP5985600B2 (ja) 熱交換器のプレート間の接続補強
KR102173312B1 (ko)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WO2015029446A1 (ja) 積層型冷却器
KR20180077461A (ko)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KR102264504B1 (ko) 전기소자 쿨링모듈
JP2013524145A (ja) 熱交換器
KR101819488B1 (ko) 냉각 모듈 및 조립 방법
CN110945977B (zh) 用于冷却电气装置的热交换器
KR102173395B1 (ko)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KR101988992B1 (ko)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KR102161487B1 (ko)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JP2008221951A (ja) 自動車用電子部品の冷却装置
KR102089630B1 (ko)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제조방법
JP5213941B2 (ja) 熱交換装置
US9991571B2 (en) Battery module with flanges in fluidic communication
JP6331870B2 (ja) 積層式冷却器
KR20150132973A (ko)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KR101988985B1 (ko)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KR20190131223A (ko)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