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2707A - 자동차용 가변 오일펌프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가변 오일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2707A
KR20150132707A KR1020140058717A KR20140058717A KR20150132707A KR 20150132707 A KR20150132707 A KR 20150132707A KR 1020140058717 A KR1020140058717 A KR 1020140058717A KR 20140058717 A KR20140058717 A KR 20140058717A KR 20150132707 A KR20150132707 A KR 20150132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ump
chamber
pressure
oi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8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3225B1 (ko
Inventor
김수원
이현우
Original Assignee
명화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화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명화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8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225B1/ko
Publication of KR20150132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2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3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auxiliary equipment, e.g. air-conditioning compressors or oi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2Pressure lubrication using lubricating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3/00Lubricating-pumps
    • F16N13/20Rotary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Details And Applications Of Rotary Liquid Pumps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에 아웃터 링의 오일압력을 조절하는 데 필요한 피드백 구성을 탑재하여 구성함으로써, 기존에 오일펌프에 별도로 구성하던 피드백 구성을 생략할 수 있어 오일펌프의 구전체 성을 간단하게 하면서도 오일펌프의 출력 압력으로 유량을 제어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가변 오일펌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처럼 아웃터 링의 오일 압력을 조절하는 구성을 가능한 한 하우징에 직접 형성하므로 그 구성을 더욱 간략하게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일펌프 자체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한정된 엔진룸과 엔진에 대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한 자동차용 가변 오일펌프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오일의 압력 차이가 발생하게 하는 오리피스부의 어댑터를 교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 어댑터를 통과하는 유속에 따라 달라지는 압력 차이에 맞게 여러 가지 차종이나 오일펌프에서 요구하는 압력에 맞게 어댑터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가변 오일펌프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가변 오일펌프{VARIABLE DISPLACEMENT OIL PU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가변 오일펌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변 오일펌프에 별도의 오리피스 작용을 하는 구성을 추가하지 않고, 가변 오일펌프 내에 이러한 작용을 하는 구성을 형성함으로써, 오일펌프의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하면서도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에서 냉각과 윤활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오일을 공급하기 위해 가변 오일펌프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가변 오일펌프는 엔진회전수(RPM)가 저속 구간일 때는 그 RPM에 비례하여 오일을 공급하고 중고속구간일 때에는 불필요한 오일양을 줄여 오일펌프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여 준다.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는 오일펌프 중에서 출력 측의 오일 일부를 다시 오일펌프로 피드백시켜 2단으로 오일 압력을 조절하는 오일펌프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가변 오일펌프는 오일을 흡입 및 토출되는 흡입 및 토출 포트를 포함하는 로터 챔버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로터 챔버에 내장되는 링상의 아웃터 로터와, 상기 아웃터 로터의 내측에 편심되게 배치되는 인너 로터와, 상기 인너 로터의 외주 측에 방사상 슬라이딩할 수 있게 원주 방향 같은 간격으로 배치되는 베인을 포함하는 펌핑수단; 토크 컨터버압이 오일펌프의 피드백 압력으로 작동되고, 라안압 가변 제어압이 오일펌프의 피드백 반대방향의 작동압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된 가변용량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특허문헌 2의 가변용량형 오일펌프는 블레이드(11)가 로터(10)에 수평방향이 아닌 수직방향으로 끼워지고, 고속회전시 피드백되는 오일의 가압력이 로터의 상면으로 직접 작용해 종래구조와 동일한 토출 유량시 약 40~50% 정도의 토출 면적이 축소되면서도, 가변체적을 위한 구성 부품수량이 축소되고 그에 따른 원가와 중량이 줄어드는 특징이 있다.
특허문헌 3은, 운전자가 실제로 많이 사용하는 2500rpm 이내의 영역에서 오일의 토출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기존의 토출 압력보다 낮게 유지되어 가변 오일펌프에서 손실되는 에너지가 줄어든다. 아울러, 가변 오일펌프에서 발생하는 소음도 줄어들고 오일펌프의 전체적인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오일의 온도가 낮은 조건(cold)에서는 오일의 압력을 상대적으로 낮추고, 오일의 온도가 높은 조건(hot)에서는 오일의 압력을 정상적으로 높임으로써 저온상태에서 오일펌프에서 손실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한다. 뿐만 아니라, 온도감응구동부의 왁스가 오일의 온도에 따라서 수축/팽창함으로써, 가변오일펌프에서 손실되는 에너지가 줄어들어 연료소모를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 오일펌프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탄성 지지를 받는 아웃터 로터의 작동력을 얻기 위해 오일펌프의 출력 측에서 분출하는 오일의 일부를 다시 오일펌프 내로 피드백시켜 줘야 한다. 이에, 오일 일부를 피드백시켜 주기 위한 구성이 필요하다.
(2) 예를 들어서, 오일펌프의 출력 측에 레귤레이션 밸브를 장착하고, 오일 압력을 변화시켜 주기 위해 오리피스와 같은 압력 가변 수단을 장착해야 한다. 이에, 실제 오일펌프의 구성과 전혀 상관없는 레귤레이션 밸브와 압력 가변 수단 등을 오일펌프에 추가로 구성해야 한다.
(3) 이런 추가 구성은 오일펌프의 외부에 장착하는 경우가 많아 오일 공급 장치 전체가 차지하는 부피를 늘이는 한가지 요인으로 작용한다.
(4) 이처럼 부피가 커짐에 따라 엔진룸 내에서 한정된 공간에 오일 공급 장치 전체를 모두 설치해야 하는 데 따른 설계 자유도를 떨어뜨린다.
(6) 또한, 오일펌프 이외에 이를 제어하기 위한 이런 별도의 추가 구성으로 오일펌프의 제조단가를 높이는 요인이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18368호(공개일 : 2012.10.26) 한국등록특허 제10-1199143호(등록일 : 2012.11.01)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30972호(공개일 : 2014.03.12)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발명한 것으로, 하우징에 아웃터 링의 오일압력을 조절하는 데 필요한 피드백 구성을 탑재하여 구성함으로써, 기존에 오일펌프에 별도로 구성하던 피드백 구성을 생략할 수 있어 오일펌프의 구전체 성을 간단하게 하면서도 오일펌프의 출력 압력으로 유량을 제어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가변 오일펌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처럼 아웃터 링의 오일 압력을 조절하는 구성을 가능한 한 하우징에 직접 형성하므로 그 구성을 더욱 간략하게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일펌프 자체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한정된 엔진룸과 엔진에 대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한 자동차용 가변 오일펌프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오일의 압력 차이가 발생하게 하는 오리피스부의 어댑터를 교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 어댑터를 통과하는 유속에 따라 달라지는 압력 차이에 맞게 여러 가지 차종이나 오일펌프에서 요구하는 압력에 맞게 어댑터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가변 오일펌프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가변 오일펌프는, 입구(111)와 출구(112)를 가진 유압실(110)이 형성된 하우징(100); 상기 유압실(110) 내에 설치되는 로터(200); 로터(200)를 감싸도록 유압실(110) 내에 설치되며, 레귤레이팅 스프링(310)의 탄성 지지를 받아 유압실(110)의 크기를 변화시켜 유압을 조절하는 아웃터 링(300);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100)에는 아웃터 링(300)의 움직임에 따라 용적이 변하는 제1 챔버(120a)와 제2 챔버(120b)·상기 출구(112)에 형성한 오리피스부(130)·이 오리피스부(130)의 전후에서 각각 상기 제1 챔버(120a)와 제2 챔버(120b)로 연결한 제1 피드백 유로(140a)와 제2 피드백 유로(14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1 챔버(120a)는 오리피스부(130) 앞쪽의 고압(P1)을 공급받고, 상기 제2 챔버(120b)는 상기 레귤레이팅 스프링(310)이 설치되고 오리피스부(130) 뒤쪽의 저압(P2)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상기 오리피스부(130)는, 상기 출구(112)와 같은 안지름(D')을 가지며, 바닥면에 상기 출구(112)의 안지름(D')보다 작은 안지름(d)의 구멍을 가진 용기 형상의 어댑터(131); 및 상기 어댑터(131)가 출구(112)의 압력으로 하우징(100) 바깥쪽으로 밀려나지 않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우징(100)에 장착하는 고정 부재(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어댑터(131)는 오리피스부(130)의 전후 압력 차이를 조절할 수 있게 그 안지름(d)이 다른 것으로 교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1 챔버(120a)와 제2 챔버(120b)·오리피스부(130)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멍(112a)·상기 제1 피드백 유로(140a)와 제2 피드백 유로(140b)는 각각 하우징(100)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가변 오일펌프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아웃터 링의 압력 조절을 위해 오일펌프에서 출력하는 오일을 피드백시켜 주기 위한 구성을 오일펌프 내에 구성하므로 기존과 같이 이러한 피드백 구성을 별도로 구성하지 않아도 된다.
(2) 이에 오일펌프를 구성하는 전체 구성에서 이러한 피드백에 필요한 구성을 생략할 수 있어 그만큼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일펌프의 전체 구성을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3) 또한, 이처럼 구성의 생략은 오일펌프의 전체 크기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도 기존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한정된 엔진룸 내부의 공간에서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4) 특히, 이처럼 피드백 구성의 대부분을 하우징에 가공하여 형성하므로 이러한 기존 구성의 생략 효과와 더불어 공간 활용도를 더욱 크게 얻을 수 있다.
(5) 실제 아웃터 링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오리피스부의 어댑터를 교체하는 것만으로 챔버에 인가하는 오일의 압력을 다르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차종이나 오일펌프의 용량에 따라 오일 압력을 원하는 대로 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가변 오일펌프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챔버와 피드 백 유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에서의 "A"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오리피스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에서의 "B"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오리피스의 다른 예를 보여주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오리피스를 하우징에 장착한 예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자동차용 가변 오일펌프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입구(111)와 출구(112)를 가진 유압실(110)이 구성된 하우징(100)·이 유압실(110) 내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로터(200)·레귤레이팅 스프링(310)의 탄성 지지를 받아 유압실(110)을 가변하여 유출하는 오일 압력을 조절하는 아웃터 링(30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출구(112)에 오리피스부(130)를 구성하여 출구(112)에서 유출하는 오일 압력을 변화시켜 준다. 그리고, 이 오리피스부(130)의 전후 압력을 각각 상기 아웃터 링(3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하우징(110)에 형성한 제1 챔버(120a)와 제2 챔버(120b)로 피드백시켜 줌으로써, 이처럼 아웃터 링(300)을 동작시켜주기 위한 피드백 구성을 하우징(110)에 구성하여 오일펌프를 컴팩트하게 구성하면서도 한정된 공간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유압실(110)·로터(200) 그리고 아웃터 링(300)의 구성은 통상의 가변 오일펌프에 적용하는 구성과 같으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하우징(100)은, 도 1과 같이, 엔진의 한쪽에 장착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 형태로 제작한다. 그리고, 이 하우징(100)에는 실제 오일 압력을 발생하기 위한 유압실(110)이 구성되고, 이 유압실(110)에는 오일 통로가 되는 입구(111)와 출구(112)가 연결된다.
로터(200)는, 도 1과 같이, 유압실(110) 내에서 회전하면서 실질적으로 오일 압력을 생성한다. 이러한 로터(200)는 여러 개의 가변 베인을 갖추며, 베인은 아웃터 링(300)에 따라 변하는 유압실(110)의 내부 용적에 맞게 가변한다.
아웃터 링(300)은, 도 1과 같이, 로터(200)를 감싸면서 유압실(110) 내에 피벗(32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한다. 그리고, 이 아웃터 링(30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레귤레이팅 스프링(310)의 탄성 지지를 받으며, 출구(112) 측에서 별도로 구성한 피드백 구성을 통해 받는 오일 압력을 제공받아 오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피드백 구성이란,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변 오일펌프에서 유출하는 오일 압력을 일정압력으로 유지하기 위해 유출 오일의 일부를 이용하여 아웃터 링(300)을 회전시켜 유압실(110)의 용적을 가변시키기 위한 구성을 말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는 상기 하우징(100)에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제1 챔버(120a)와 제2 챔버(120b)·오리피스부(130)·제1 피드백 유로(140a)와 제2 피드백 유로(140b)를 더 구성한다.
제1 챔버(120a)와 제2 챔버(120b)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아웃터 링(300)에 유압을 가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 제1 챔버(120a)는 아웃터 링(300)이 피벗(320)을 중심으로 레귤레이팅 스프링(310)을 눌러 압축할 수 있는 위치에, 반대로 제2 챔버(120b)는 레귤레이팅 스프링(310)을 이완시킬 수 있는 위치에 각각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챔버(120a)와 제2 챔버(120b)는 하우징(100)에 직접 가공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펌프의 구성을 하우징(100)에 집약하여 오일펌프의 크기 변화를 최소화하면서도 기존과 같은 성능을 얻을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오리피스부(130)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출구(112)에 장착한다. 오리피스부(130)는 오일이 통과 전후에 따라 오일 압력을 가변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도 3에서는 조임판 또는 오리피스판으로 잘 알려진 플레이트 형태로 제작한 예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오리피스부(130)는 하우징(100)에 장착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을 통해 출구(112)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을 가변시켜 줄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술한 2개의 챔버와 마찬가지로 오리피스부(130)도 하우징(100)에 탑재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오일펌프의 구성을 하우징(100)에 집약하여 오일펌프의 크기 변화를 최소화하면서도 기존과 같은 성능을 얻을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제1 피드백 유로(140a)와 제2 피드백 유로(140b)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오리피스부(130)를 통해 가변한 오일 압력을 상술한 제1 챔버(120a)와 제2 챔버(120b)에 각각 제공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유로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피드백 유로(140a)는 도 3과 같이 오리피스부(130)를 통과하기 전인 고압(P1)을 제1 챔버(120a)에 제공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제2 피드백 유로(140b)는 도 3과 같이 오리피스부(130)를 통과한 저압(P2)을 제2 챔버(120b)에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 챔버(120b)에는 레귤레이팅 스프링(310)이 아웃터 링(300)을 탄성 지지하므로 힘의 평형을 위해서는 제1 챔버(120a)에 더 큰 힘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피드백 유로(140a)와 제2 피드백 유로(140b)는 하우징(100)에 직접 가공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술한 2개의 챔버 및 오리피스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오일펌프의 구성을 하우징(100)에 집약하여 오일펌프의 크기 변화를 최소화하면서도 기존과 같은 성능을 얻을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처럼 이루어진 실시예 1의 오일펌프는, 기존의 오일펌프와 마찬가지로 출구 측의 오일 압력을 통해 아웃터 링(300)의 작동을 제어하여 실질적으로 유압을 생성하는 유압실(110)의 용적을 변화시켜 준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오일펌프는 이와 같은 작용을 하게 하는 2개의 챔버 및 오리피스를 장착하기 위한 구멍 그리고 2개의 피드백 유로를 하우징에 구성함으로써, 오일펌프의 전체 구성을 줄이면서도 크기를 최소화하여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가변 오일펌프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오리피스부(130')의 구성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여기서는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오리피스부(13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실시예 2에 따른 오리피스부(130')는 이 오리피스부(130')를 통과하는 오일의 압력 차이가 다른 오리피스 기능을 하는 구성(어댑터)을 쉽게 교체할 수 있게 한다. 즉, 차종에 따라 다른 압력 차이를 가진 오리피스부가 필요하거나, 이미 장착한 오리피스부가 오랜 사용이나 레귤레이팅 스프링의 인장과 수축 불량 등으로 오일 압력을 가변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실시예 2에서는 오리피스부(130')를 쉽게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절한 압력 차이를 가진 오리피스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 2에 따른 오리피스부(13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실질적으로 오일 압력을 가변시켜 주는 어댑터(131)와, 이 어댑터(131)를 지지하고 쉽게 고정해 주기 위한 고정 부재(132)를 포함한다.
어댑터(131)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어댑터(131)는 안지름(D)이 출구(112)의 안지름(D')과 같게 형성하고, 바닥면에는 이 안지름(D')보다 작은 안지름(d)의 구멍을 관통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어댑터(131)는 이 안지름(d)의 크기에 따라 여기를 지나는 오일의 압력 차이가 달라진다. 즉, 안지름(d)이 커질수록 통과 전후의 오일 압력의 차이는 크지 않고, 반대로 안지름(d)이 작을수록 통과 전후의 오일 압력의 차이는 벌어진다. 이에, 본 발명은, 이처럼 다른 안지름(d)을 가진 어댑터(131)를 교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어댑터(131)의 통과 전후에 따라 다른 오일 압력을 얻을 수 있다.
고정 부재(132)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어댑터(131)와 같은 지름을 가진 관체 형태로 형성되며, 바깥 면에는 고정 부재(132)를 체결고정할 수 있게 플랜지(132a)가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2개의 플랜지(132a)가 대칭인 위치에 형성한 것을 보여준다.
한편, 실시예 2에 따른 오리피스부(130')는, 도 5와 같이, 출구(112)에 형성한 장착 구멍(112a)에 장착한다. 이를 위하여, 출구(112)를 형성하는 하우징(100)에는 이 출구(112)의 끝에 장착 구멍(112a)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장착 구멍(112a)에는 상술한 안지름(d)이 작은 구멍을 통해 오일이 통과할 수 있게 어댑터(131)를 끼우고, 이어 고정 부재(132)를 끼운 다음 이 고정 부재(132)를 스크루나 볼트와 같은 고정 수단(132b)로 고정할 수 있게 한다.
이에, 이 고정수단(132b)를 탈거한 다음 고정 부재(132)를 빼내면, 어댑터(131)를 뺄 수 있고, 다시 안지름(d)이 다른 어댑터를 끼워 조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오리피스부(130'), 바람직하게는 안지름(d)이 다른 어댑터를 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100 : 하우징
110 : 유압실
111 : 입구
112 : 출구
120a : 제1 챔버
120b : 제2 챔버
130, 130' : 오리피스부
131 : 어댑터
132 : 고정 부재
140a : 제1 피드백 유로
140b : 제2 피드백 유로
200 : 로터
300 : 아웃터 링
310 : 레귤레이팅 스프링

Claims (5)

  1. 입구(111)와 출구(112)를 가진 유압실(110)이 형성된 하우징(100); 상기 유압실(110) 내에 설치되는 로터(200); 로터(200)를 감싸도록 유압실(110) 내에 설치되며, 레귤레이팅 스프링(310)의 탄성 지지를 받아 유압실(110)의 크기를 변화시켜 유압을 조절하는 아웃터 링(300);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100)에는 아웃터 링(300)의 움직임에 따라 용적이 변하는 제1 챔버(120a)와 제2 챔버(120b)·상기 출구(112)에 형성한 오리피스부(130)·이 오리피스부(130)의 전후에서 각각 상기 제1 챔버(120a)와 제2 챔버(120b)로 연결한 제1 피드백 유로(140a)와 제2 피드백 유로(14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변 오일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120a)는 오리피스부(130) 앞쪽의 고압(P1)을 공급받고,
    상기 제2 챔버(120b)는 상기 레귤레이팅 스프링(310)이 설치되고, 오리피스부(130) 뒤쪽의 저압(P2)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변 오일펌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부(130)는,
    상기 출구(112)와 같은 안지름(D')을 가지며, 바닥면에 상기 출구(112)의 안지름(D')보다 작은 안지름(d)의 구멍을 가진 용기 형상의 어댑터(131); 및
    상기 어댑터(131)가 출구(112)의 압력으로 하우징(100) 바깥쪽으로 밀려나지 않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우징(100)에 장착하는 고정 부재(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변 오일펌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131)는 오리피스부(130)의 전후 압력 차이를 조절할 수 있게 그 안지름(d)이 다른 것으로 교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변 오일펌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120a)와 제2 챔버(120b)·오리피스부(130)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멍(112a)·상기 제1 피드백 유로(140a)와 제2 피드백 유로(140b)는 각각 하우징(100)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변 오일펌프.
KR1020140058717A 2014-05-16 2014-05-16 자동차용 가변 오일펌프 KR101573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717A KR101573225B1 (ko) 2014-05-16 2014-05-16 자동차용 가변 오일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717A KR101573225B1 (ko) 2014-05-16 2014-05-16 자동차용 가변 오일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2707A true KR20150132707A (ko) 2015-11-26
KR101573225B1 KR101573225B1 (ko) 2015-12-02

Family

ID=54847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8717A KR101573225B1 (ko) 2014-05-16 2014-05-16 자동차용 가변 오일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32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99670A (zh) * 2019-04-08 2019-06-18 湖南机油泵股份有限公司 一种对主油道油压进行反馈调节的转子泵
CN110332446A (zh) * 2019-07-17 2019-10-15 湖南机油泵股份有限公司 一种可以降低反馈油压力波动的机油泵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143B1 (ko) * 2010-06-25 2012-1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용량형 오일펌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99670A (zh) * 2019-04-08 2019-06-18 湖南机油泵股份有限公司 一种对主油道油压进行反馈调节的转子泵
CN109899670B (zh) * 2019-04-08 2024-03-15 湖南机油泵股份有限公司 一种对主油道油压进行反馈调节的转子泵
CN110332446A (zh) * 2019-07-17 2019-10-15 湖南机油泵股份有限公司 一种可以降低反馈油压力波动的机油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3225B1 (ko)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04647B1 (en) Variable displacement lubricant pump
US9534519B2 (en) Variable displacement vane pump with integrated fail safe function
JP5679958B2 (ja) 可変容量形ポンプ
US10030656B2 (en) Variable displacement vane pump with integrated fail safe function
EP3071836B1 (en) Variable displacement lubricant pump
US6352415B1 (en) variable capacity hydraulic pump
EP2976531B1 (en) Lubricant vane pump
JP2007239626A (ja) 可変容量型ベーンポンプおよび可変容量型ポンプの制御方法
KR101573225B1 (ko) 자동차용 가변 오일펌프
US20130263815A1 (en) Variable displacement lubricant pump
JP2008208826A (ja) 燃料噴射ポンプ
JP6039831B2 (ja) 可変容量形ポンプ
JP5029526B2 (ja) 回転式圧縮機における冷媒ガスの吸入量制御装置
CN101253330A (zh) 旋转泵
JP6897412B2 (ja) オイルポンプ
CA2930741C (en) Variable displacement vane pump with integrated fail safe function
JP6192369B2 (ja) 往復動式圧縮機
JP2007016789A (ja) 可変容量形ポンプ
JP5968921B2 (ja) ベーンポンプを備えた潤滑剤供給システム及び該潤滑剤供給システムを備えた自動車
JP2017137854A (ja) 可変容量ベーンポンプ
EP3377765B1 (en) A variable displacement lubricant pump
WO2017130843A1 (ja) 圧縮機
JP2015110907A (ja) ターボチャージャの潤滑油供給機構
JP2002098069A (ja) ポンプ装置
JP2015083839A (ja) 可変容量形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