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8646A - 밀봉 접점 장치 - Google Patents

밀봉 접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8646A
KR20150128646A KR1020157005404A KR20157005404A KR20150128646A KR 20150128646 A KR20150128646 A KR 20150128646A KR 1020157005404 A KR1020157005404 A KR 1020157005404A KR 20157005404 A KR20157005404 A KR 20157005404A KR 20150128646 A KR20150128646 A KR 20150128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contact
shielding member
movable contac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5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7862B1 (ko
Inventor
히로미 시마
마사키 모리
타쿠마 오카모토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28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8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36Stationary parts of magnetic circuit, e.g. yoke
    • H01H50/38Part of main magnetic circuit shaped to suppress arcing between the contacts of the re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64Protective enclosures, baffle plates, or screens for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23Details concerning sealing, e.g. sealing casing with res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29Relays having armature, contacts, and operating coil within a sealed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4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 H01H9/443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usin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6Contact arrangements for contactors having bridging contacts

Abstract

발생한 아크를 유인하여 신속하면서 확실하게 소실시키는 기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밀봉 접점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서 대향하도록 배치한 고정 접점(33a) 및 가동 접점(48a)과, 상기 고정 접점(33a) 및 상기 가동 접점(48a)에 각각 대향하도록 배치한 한 쌍의 영구자석(36, 36)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접점(33a) 및 상기 가동 접점(48a)의 사이에서 발생한 아크를, 상기 고정 접점(33a)과 상기 가동 접점(48a)과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 및 상기 영구자석(36, 36)의 자력에 의해 유인하는 전자 계전기이다. 특히, 상기 하우징 내의 아크가 유인되는 위치에, 아크용 실드 부재(61)를 배치하였다.

Description

밀봉 접점 장치{SEAL CONTACT DEVICE}
본 발명은 밀봉 접점 장치, 특히, 발생한 아크를 신속하게 소실시킬 수 있는 파워 부하용 전자 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밀봉 접점 장치로서,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20)의 여자, 소자에 의거하여 축심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가동축(44)이, 한 쌍의 가동 접점(32, 32)을 탑재한 접점 반송부재(28)를 왕복 이동시킴에 의해, 상기 가동 접점(32)을 고정 접점(34)에 접리하는 밀봉형 전자 계전기가 개시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그리고, 상기 밀봉형 전자 계전기에서는, 가동 접점(32)과 고정 접점(34)과의 사이에 생긴 아크를 유인하기 위해 한 쌍의 영구자석(30)이 수지제 용기(26)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EP2218086B1호 공보
그러나, 상기 전자 계전기에서는, 가동 접점(32)과 고정 접점(34)과의 사이에 생긴 아크가 상기 용기(26)의 내주면에 당접함에 의해, 상기 용기(26)가 손상되고, 나아가서는, 영구자석(30)을 아크가 가열, 급냉 시킴에 의해, 영구자석(30)의 자기 특성을 열화시킨다. 이 때문에, 아크를 효율적으로 소실시키는 것을 장기간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생한 아크를 유인하여 신속하면서 확실하게 소실시키는 기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밀봉 접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밀봉 접점 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서 대향하도록 배치한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 및 상기 가동 접점에 각각 대향하도록 배치한 한 쌍의 영구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접점 및 상기 가동 접점의 사이에서 발생한 아크를,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과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 및 상기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유인하는 전자 계전기로서, 상기 하우징 내의 아크가 유인되는 위치에, 아크용 실드 부재를 배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크가 임의의 방향으로 발생하여도, 전류 및 자력으로 소망하는 방향으로 유인하여 아크용 실드 부재에 닿게 함으로써, 아크를 소실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하우징뿐만 아니라, 영구자석의 자기 특성의 열화를 방지하고, 아크를 신속하면서 확실하게 소실시키는 기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아크용 실드 부재가, 상기 고정 접점 및 상기 가동 접점의 통전 방향과, 상기 통전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영구자석의 자력의 방향에 대해 각각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됨과 함께, 상기 영구자석의 대향면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하고 있어서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고정 접점 및 상기 가동 접점의 사이에 생긴 아크가, 영구자석에 당접하기 전에 아크용 실드 부재에 닿기 쉽게 되어, 아크를 효율적으로 소실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아크용 실드 부재가, 판형상의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의 양단을 개략 수직하게 각각 절곡하여 형성한 완(arm)부로 이루어지는 단면 문형이라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류나 자성이 변화함에 의해, 아크가 발생하는 방향이 변하여도, 아크용 실드 부재의 어느 일방의 완부에 아크가 당접합하고, 소실한다.
또한, 단면 문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아크용 실드 부재가 파지하기 쉬워져서, 내부공간 내에의 부착 작업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아크용 실드 부재의 상기 연결체 및 상기 완부의 연부(緣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연부에, 적어도 하나의 아크 받이편을 마련하여 두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아크 받이편에 아크가 닿기 쉽게 되어, 아크를 보다 한층 효율적으로 소실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한 쌍의 상기 완부의 상방 연부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의 상방 연부로부터 상방 리브를 측방으로 연재하고 있어서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과의 사이에 생긴 아크가, 완부의 상방 연부로부터 연재한 상방 리브에 닿아서 소실하기 때문에, 상기 아크가 누출되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한 쌍의 상기 완부의 외방 연부로부터 서로 접근하도록 외방 리브를 연재하고 있어서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과의 개폐 동작을 방해하지 않고서, 아크가 영구자석에 닿는 것을 저지할 수거 있어서, 영구자석의 자기 특성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한 쌍의 상기 완부의 외방 연부에, 자속 구멍을 구비한 칸막이벽을 건너질러 두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아크용 실드 부재의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면서, 아크를 효율적으로 소실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한 쌍의 상기 완부의 외방 연부에, 노치부를 구비한 칸막이벽을 건너질러 두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아크용 실드 부재의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면서, 아크를 효율적으로 소실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한 쌍의 상기 완부의 외방 연부에, 적어도 1개의 슬릿을 구비한 칸막이벽을 건너질러 두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아크용 실드 부재의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면서, 아크를 효율적으로 소실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A, 1B는 본 발명에 관한 밀봉 접점 장치의 실시 형태를 다른 각도에서 본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밀봉 접점 장치의 동작 전의 정면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밀봉 접점 장치의 동작 전의 측면 단면도.
도 4A는 아크를 소실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4B는 밀봉 접점 장치의 부분 평면 단면도.
도 5A, 5B는 아크를 소실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밀봉 접점 장치의 부분 정면 단면도 및 부분 측면 단면도.
도 6은 1A에 도시한 밀봉 접점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1B에 도시한 밀봉 접점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8A, 8B는 도 6에 도시한 금속제 통형상 플랜지 및 제1 요크의 사시도.
도 9A, 9B는 도 6에 도시한 금속제 통형상 플랜지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및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0A는 도 1에 도시한 아크용 실드 부재의 사시도, 도 10B, 10C는 제2,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아크용 실드 부재의 사시도.
도 11A, 11B, 11C는 제4, 제5,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아크용 실드 부재의 사시도.
도 12A, 12B, 12C는 제7, 제8,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아크용 실드 부재의 사시도.
본 발명에 관한 밀봉 접점 장치를 밀봉형 전자 계전기에 적용한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12의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밀봉형 전자 계전기는, 도 1 내지 도 10, 특히,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10)에 커버(20)를 조립하여 형성한 하우징 내에, 접점 기구부(30)와, 이 접점 기구부(30)를 밀봉 공간(43)의 밖에서 구동하는 전자석부(50)를 수납하고 있다. 접점 기구부(30)는, 세라믹 플레이트(31), 금속제 통형상 플랜지(32), 판형상 제1 요크(37) 및 바닥이 있는 통체(41)로 이루어지는 밀봉 공간(43) 내에 조립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0)는, 개략 상자형 형상의 수지 성형품이고, 외측면의 하방 귀퉁이부에 부착 금구(11a)를 압입한 부착 구멍(11)을 마련하는 한편, 그 측면 모퉁이부에 도시하지 않은 리드선을 인출하기 위한 팽출부(12)를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대향하는 측면의 개구 연부에 계지 구멍(13)을 마련하고 있다.
상기 커버(20)는, 상기 케이스(10)의 개구부를 피복 가능한 평면 형상을 가짐과 함께, 그 상면 중앙에 돌설한 칸막이벽(21)의 양측에 단자 구멍(22, 22)을 각각 마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커버(20)는, 그 편측 측면에, 상기 케이스(10)의 팽출부(12)에 삽입함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리드선의 이른바 펄럭임을 방지할 수 있는 돌출부(23)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커버(20)는, 대향하는 측면의 개구 연부에 상기 케이스(10)의 계지 구멍(13)에 계지 가능한 계지용 폴부(24)를 마련하고 있다.
상기 접점 기구부(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세라믹 플레이트(31), 금속제 통형상 플랜지(32), 판형상 제1 요크(37) 및 바닥이 있는 통체(41)로 형성된 밀봉 공간(43)(도 2 참조) 내에 배치되고, 자석 홀더(35), 통형상 고정 철심(38), 가동 철심(42), 가동축(45) 및 가동 접촉편(48)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31)는, 후술하는 금속제 통형상 플랜지(32)의 상방 개구 연부에 솔더링 가능한 평면 형상을 가지며, 한 쌍의 단자 구멍(31a, 31a)을 마련하고, 보조 플레이트(31c)와 조합시켜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31)는, 그 상면의 외주연부 및 상기 단자 구멍(31a)의 개구 연부에 도시하지 않은 금속층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31)의 단자 구멍(31a)에, 하단부에 고정 접점(33a)을 고착한 고정 접점 단자(33)를 솔더링한다.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31)의 상면 외주연부에 용접 일체화되는 금속제 통형상 플랜지(32)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으로 형성한 개략 통형상을 갖는 것이다. 특히, 상기 금속제 통형상 플랜지(32)는, 그 하방 개구 연부로부터 환형상 차양부(32a)를 측방으로 연재시킴과 함께, 상기 환형상 차양부(32a)의 모퉁이부에 노치부(32b)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금속제 통형상 플랜지(32)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환형상 차양부(32a)의 하면에 따라서 환형상 돌기(32c)를 좌우에서의 2회의 고출(叩出) 가공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환형상 돌기(32c)는 돌출 가공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금속제 통형상 플랜지(32)는, 상기 환형상 차양부(32a)에 마련한 환형상 돌기(32c)를 통하여 후술하는 판형상 제1 요크(37)의 상면에 저항 용접으로 일체화된다. 단, 상기 환형상 돌기(32c)는 상기 노치부에 접하지 않도록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저항 용접시에 용접 불량이 생길 우려는 없다.
상기 금속제 통형상 플랜지(32) 내에 수납되는 자석 홀더(35)는, 상자 형상을 갖는 내열성의 절연재로 이루어지고, 그 대향하는 양측 외측면에 영구자석(36)을 지지할 수 있는 포켓 홈(35a)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자석 홀더(35)는, 그 저면 중앙에 환형상 받이대(35c)(도 2 참조)를 1단 낮게 마련함과 함께, 상기 환형상 받이대(35c)의 중심으로부터 통형상 절연부(35b)를 하방측으로 돌설하고 있다. 상기 통형상 절연부(35b)는, 아크가 발생하고, 금속제 통형상 플랜지(32), 판형상 제1 요크(37) 및 통형상 고정 철심(38)의 경로로 고전압이 되어도, 통형상 고정 철심(38)과 가동축(45)을 절연함에 의해, 양자의 용착 일체화를 방지한다. 또한, 자석 홀더(35)의 내부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위치 결정용 플레이트(26)가 가동 접촉편(48)에 당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동 접촉편(48)을 회전 정지하여 위치 결정하고 있다. 그리고, 자석 홀더(35)와 제1 요크(37)와의 사이에는, 한 쌍의 고무판(27)이 배치되어, 고정 접점(33a)과 가동 접점(48a)이 이간할 때에, 자석 홀더(35)와 환형상 차양부(45a)와의 사이에 생기는 충격을 완충하고 있다.
또한, 자석 홀더(35)의 내부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아크용 실드 부재(61)가 배설되어 있다. 이 아크용 실드 부재(61)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등 금속제이고,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개략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아크용 실드 부재(61)는,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형상의 연결체(62)와, 상기 연결체(62)의 양단부를 상방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완부(63)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체(62)의 대향하는 연부에는 각각, 상방으로 잘라 세운 위치 결정 설편(아크 받이편)(64)이 형성되어 있다. 완부(63)는, 그 양측 연부를 상기 연결체(62)측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내방 리브(아크 받이편)(65)과, 외방 리브(아크 받이편)(66)을 갖고 있다. 한 쌍의 상기 외방 리브(66, 66)의 사이에는, 상기 영구자석(36)의 자속을 통과시키기 위한 스페이스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아크용 실드 부재(6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체(62)가 자석 홀더(35)의 저벽에 재치되고,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완부(63)가 자석 홀더(35)의 대향하는 측벽에 고정된다.
상기 판형상 제1 요크(37)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개구 연부에 감합 가능한 평면 형상을 가지며, 그 상면에 탄성 플레이트(37a)를 고정함과 함께, 그 중심에 코킹 구멍(37b)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코킹 구멍(37b)의 양측에는 위치 결정 돌기(37c)를 돌설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판형상 제1 요크(37)는, 그 코킹 구멍(37b)에 통형상 고정 철심(38)의 상단부를 코킹 고정하고 있는 한편, 금속제 통형상 플랜지(32)의 환형상 차양부(32a)에 마련한 환형상 돌기(32c)를 저항 용접하여 일체화하고 있다.
상기 통형상 고정 철심(38)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관통 구멍에, 상기 자석 홀더(35)의 통형상 절연부(35b)를 통하여, 환형상 차양부(45a)를 구비한 가동축(45)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하고 있다. 상기 가동축(45)은, 복귀 스프링(39)을 삽입함과 함께, 그 하단부에 가동 철심(42)을 용접으로 고정하고 있다.
상기 가동 철심(42)을 수납하는 바닥이 있는 통체(41)는, 그 개구 연부를 상기 판형상 제1 요크(37)에 마련한 코킹 구멍(37b)의 하면 연부에 기밀 접합된다. 그리고, 가스 빼기 파이프(34)로부터 내부 공기를 흡인하여 밀봉함에 의해, 밀봉 공간(43)이 형성된다.
상기 가동축(45)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중간부에 마련한 환형상 차양부(45a)에 접시형상 받이구(46)을 계지하여, 삽통한 접점 스프링(47) 및 가동 접촉편(48)의 탈락을 방지함과 함께, 그 상단부에 빠짐방지 링(49)를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 접촉편(48)의 상면 양단부에 마련한 가동 접점(48a)은, 상기 금속제 통형상 플랜지(32) 내에 배치된 고정 접점 단자(33)의 고정 접점(33a)에 접리 가능하게 대향하고 있다.
상기 전자석부(5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51)을 권회한 스풀(52)의 차양부(52a)에 코일 단자(53, 54)를 압입, 고정함과 함께, 상기 코일 단자(53, 54)를 통하여 상기 코일(51)과 도시하지 않은 리드선을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스풀(52)의 관통 구멍(52b)에 상기 바닥이 있는 통체(41)를 삽통함과 함께, 제2 요크(56)의 감합 구멍(56a)에 감합한다. 계속해서, 상기 제2 요크(56)의 양측부(57, 57)의 상단부를 상기 판형상 제1 요크(37)의 양단부에 각각 계합하고, 코킹, 압입 또는 용접 등의 수단으로 고정함에 의해, 상기 전자석부(50)와 접점 기구부(30)가 일체화된다.
다음에,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밀봉형 전자 계전기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51)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는, 복귀 스프링(39)의 스프링력으로 가동 철심(42)이 하방측으로 가세되어, 가동축(45)이 하방측으로 압하되고, 가동 접촉편(48)이 하방측으로 끌어내려져 있다. 이 때, 가동축(45)의 환형상 차양부(45a)가 자석 홀더(35)의 환형상 받이대(35c)에 계합하고, 가동 접점(48a)이 고정 접점(33a)으로부터 개리하고 있지만, 가동 철심(42)은 바닥이 있는 통체(41)의 저면에 당접하지 않는다.
계속해서, 상기 코일(51)에 전압을 인가하여 여자되면, 통형상 고정 철심(38)에 가동 철심(42)이 흡인되어, 가동축(45)이 복귀 스프링(39)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상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그리고, 가동 접점(48a)이 고정 접점(33a)에 접촉한 후에도, 복귀 스프링(39) 및 접점 스프링(47)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가동축(45)이 밀어올려져, 가동축(45)의 상단부가 가동 접촉편(48)의 축 구멍(48b)으로부터 돌출하고, 가동 철심(42)이 통형상 고정 철심(38)에 흡착한다.
그리고, 상기 코일(51)에의 전압의 인가를 정지하여 여자를 풀면, 접점 스프링(47) 및 복귀 스프링(39)의 스프링력에 의거하여, 가동 철심(42)이 통형상 고정 철심(38)으로부터 떨어진다. 이 때문에, 가동축(45)이 하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가동 접점(48a)이 고정 접점(33a)으로부터 개리한 후, 가동축(45)의 환형상 차양부(45a)가 자석 홀더(35)의 환형상 받이대(35c)에 계합하고,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 때, 고전압의 고정 접점(33a)과 가동 접점(48a)과의 사이에 아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아크는, 도 4A 중에서, 고정 접점(33a)과 가동 접점(48a)과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 및 대향하는 영구자석(36)의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생기는 자력에 의해, 플레밍의 왼손의 법칙에 따라, 유인된다. 예를 들면, 가동 접점(48a)으로부터 고정 접점(33a)을 향하여 전류(흑색 화살표)가 흐르고(지면)의 하측부터 상측을 향하여), 영구자석(36)의 자력(가늘고 긴 백색 화살표)을 전류에 대해 수직 방향(지면의 우측부터 좌측)으로 준 경우, 플레밍의 왼손의 법칙에 의거하여, 아크는 전류 및 자력의 각각에 대해 수직한 방향(지면의 속측부터 바깥측으로 유인되다.
또한, 일반적으로 자력의 방향은, 대향하는 영구자석(36)의 중심축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원호형상으로 만곡한 것으로 된다. 또한, 전류와 자력에 의해, 유인된 아크에도 전류가 흐르고, 그 아크 전류가 흐르는 방향도 만곡하면서 가동 접점(48a)으로부터 고정 접점(33a)을 향하게 된다. 이들의 요인이 가미되어, 고정 접점(33a)과 가동 접점(48a)과의 사이에서 발생한 아크는, 접점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영구자석(36)에 근접하도록 유인되고 간다.
따라서 상기 아크가 최초에 유인되는 방향(전류와 자력에 각각 수직한 방향)에 아크용 실드 부재(61)의 완부(63)를 설치하고, 발생한 상기 아크가 또한 유인되는 방향(영구자석(36)에 근접하는 방향)에 영구자석(36)의 일부를 덮도록 외방 리브(66)을 마련하고 있다(단, 영구자석(36)의 중심축을 덮지 않도록 스페이스가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고정 접점(33a)과 가동 접점(48a)과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전환한 경우라도, 대향하는 영구자석(36)의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생기는 자력에 의해 유인되는 아크를, 아크용 실드 부재(61)에 닿게 하여 소실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용 실드 부재(61)는, 아크가 자석 홀더(35)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자석 홀더(35)의 파손에 수반하는 영구자석(36)의 열화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아크용 실드 부재(61)는, 그 완부(63)의 양측 연부에 내방 리브(65) 및 외방 리브(66)을 갖고 있기 때문에, 발생한 아크를 둘러싸, 아크를 효율적으로 소실시킬 수 있다.
또한, 아크용 실드 부재(61)의 단면 문형으로 형성하고, 밀봉 공간(43)(자석 홀더(35)) 내에 연결체(기부)(62)를 자석 홀더(35) 내의 저면에 재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단순한 판형상으로 형성한 경우에 비하여, 아크용 실드 부재(61)를 파지하기 쉬게 되어, 밀봉 공간(43)(자석 홀더(35))에의 부착 작업성이 좋아진다. 또한, 고정 접점(33a)과 가동 접점(48a)과의 개폐 동작을 방해하지 않고서, 아크용 실드 부재(61)의 밀봉 공간(43) 내로의 재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아크용 실드 부재(61)의 완부(63)를 고정 접점(33a) 및 가동 접점(48a)의 양측에, 또한, 영구자석(36)의 대향면에 따라 배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류나 자속의 방향이 변화하여 아크의 발생 방향이 변하여도, 어느 일방의 완부(63)에 아크를 닿게 하여, 소실시킬 수 있다.
상기 아크용 실드 부재(61)는 금속제이기 때문에, 아크용 실드 부재(61)에 닿는 아크를 효율적으로 냉각하고, 소실시키는 능력이 높다.
(제2 실시 형태)
도 10B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아크용 실드 부재(61)를 도시한다.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아크용 실드 부재(61)는, 그 완부(63)에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내방 리브보다도 큰 내방 리브(65)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발생한 아크가 완부(63)에 침입한 경우에, 상기 아크를 보다 확실하게 둘러싸 넣어 소실시킬 수 있다. 그 외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 형태)
도 10C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아크용 실드 부재(61)를 도시한다.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은, 상기 완부(63)의 상단부로부터 연재한 상방 리브(67)를 상기 연결체(62)측으로 절곡한 점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발생한 아크가 완부(63)에 침입한 경우에, 상기 아크를 확실하게 둘러싸 넣어 효과적으로 소실시킬 수 있다. 그 외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4 실시 형태)
도 11A에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아크용 실드 부재(61)를 도시한다.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은, 한 쌍의 완부(63, 63)에 건너지르도록 칸막이벽(68)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칸막이벽(68)에 자속이 통과할 수 있도록 자속 구멍(68a)을 마련한 점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기계적 강도가 높고, 또한, 영구자석측으로 아크를 확실하게 날리지 않는 아크용 실드 부재(61)를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 외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5, 6 실시 형태)
도 11B, 11C에 본 발명의 제5,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아크용 실드 부재(61)를 도시한다.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아크용 실드 부재(61)는, 그 완부(63)의 내방 연부에 내방 리브(65)를 마련함과 함께, 그 외방 연부에 자속 구멍(68a)을 구비한 칸막이벽(68)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아크용 실드 부재(61)는, 그 완부(63)의 내방 연부에 상기 연결체(62)에 달하는 내방 리브(65)를 마련함과 함께, 그 외방 연부에 자속 구멍(68a)을 구비한 칸막이벽(68)을 마련하고 있다. 제5, 제6 실시 형태는 모두 기계적 강도가 높고, 또한, 영구자석측으로 아크를 확실하게 날리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그 외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7 실시 형태)
도 12A에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아크용 실드 부재(61)를 도시한다.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아크용 실드 부재(61)는, 그 완부(63, 63)의 내방 연부에 내방 리브(65, 65)를 각각 형성함과 함께, 상기 완부(63, 63)의 외방 연부에 노치부(68b)를 구비한 칸막이벽(68)을 건너지른 경우이다.
제7 실시 형태에 의하면, 기계적 강도가 높고, 아크를 소실시킬 수 있음과 함께, 재료의 수율이 좋은 아크용 실드 부재(61)를 얻을 수 있다. 그 외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8 실시 형태)
도 12B에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아크용 실드 부재(61)를 도시한다.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아크용 실드 부재(61)는, 그 완부(63, 63)의 내방 연부에 내방 리브(65, 65)를 각각 형성함과 함께, 상기 완부(63, 63)의 외방 연부에 칸막이벽(68)을 건너지르고 있다. 상기 칸막이벽(68)에는, 측방으로 연신하는 복수개의 슬릿(68c)이 병설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칸막이벽(68)에 마련한 복수개의 슬릿(68c)을 통하여 영구자석의 자속이 통과할 수 있음과 함께, 아크의 연신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아크를 확실하게 소실시킬 수 있다. 그 외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9 실시 형태)
도 12C에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아크용 실드 부재(61)를 도시한다.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아크용 실드 부재(61)는, 그 완부(63, 63)의 내방 연부에 내방 리브(65, 65)를 각각 형성함과 함께, 상기 완부(63, 63)의 외방 연부에 칸막이벽(69)을 건너지르고 있다. 상기 칸막이벽(69)은, 연결체(62)의 양측 연부에 위치 결정 설편(64, 64)를 각각 형성할 수 있도록, 그 하단 연부가 상기 연결체(62)로부터 떨어져 있음과 함께, 자속 구멍(69a)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면서, 위치 결정하기 쉽고, 생산성이 높은 아크용 실드 부재(61)를 얻을 수 있다. 그 외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외방 리브(66, 66) 사이의 거리, 자속 구멍(68a, 69a)의 폭 치수, 노치부(68b)의 폭 치수, 슬릿(68c)의 폭 치수는, 적어도 접점의 직경과 동등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를 유인하는 자속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고, 소망하는 유인력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자속 구멍(68a, 69a)의 높이 치수, 슬릿(68c)의 높이 치수는 적어도 접점 사이 거리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개의 슬릿(68c)의 높이 치수가 상기 접점 사이 거리보다도 작은 경우라도, 복수개의 슬릿(68c)의 높이 치수의 총합이 접점 사이 거리와 동등 이상이라면 좋다. 아크를 유인하는 자속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여, 소망하는 유인력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관한 밀봉 접점 장치는, 전술한 밀봉형 전자 계전기로 한하지 않고, 다른 전자 스위치에 적용하여도 좋음은 물론이다.
10 : 케이스(하우징) 20 : 커버(하우징)
32 : 금속제 통형상 플랜지 32a : 환형상 차양부
32b : 노치부 32c : 환형상 돌기
33a : 고정 접점 36 : 영구자석
37 : 판형상 제1 요크 37a : 탄성 플레이트
37b : 코킹 구멍 37c : 위치 결정 돌기
43 : 밀봉 공간 48a : 가동 접점
61 : 아크용 실드 부재 62 : 연결체(기부)
63 : 완부 64 : 설편(아크 받이편)
65 : 내방 리브(아크 받이편) 66 : 외방 리브(아크 받이편)
67 : 상방 리브(아크 받이편) 68 : 칸막이벽(아크 받이편)
68a : 자속 구멍 68b : 노치부
68c : 슬릿 69 : 칸막이벽(아크 받이편)
69a : 자속 구멍

Claims (9)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서 대향하도록 배치한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 및 상기 가동 접점에 각각 대향하도록 배치한 한 쌍의 영구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접점 및 상기 가동 접점의 사이에서 발생한 아크를,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과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 및 상기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유인하는 전자 계전기로서,
    상기 하우징 내의 아크가 유인되는 위치에, 아크용 실드 부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접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용 실드 부재가, 상기 고정 접점 및 상기 가동 접점의 통전 방향과, 상기 통전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영구자석의 자력의 방향에 대해 각각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됨과 함께, 상기 영구자석의 대향면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접점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용 실드 부재가, 판형상의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의 양단을 개략 수직하게 각각 절곡하여 형성한 완부로 이루어지는 단면 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접점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용 실드 부재의 상기 연결체 및 상기 완부의 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연부에, 적어도 하나의 아크 받이편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접점 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완부의 상방 연부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의 상방 연부로부터 상방 리브를 측방으로 연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접점 장치.
  6.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완부의 외방 연부로부터 서로 접근하도록 외방 리브를 연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접점 장치.
  7.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완부의 외방 연부에, 자속 구멍을 구비한 칸막이벽을 건너지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접점 장치.
  8.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완부의 외방 연부에, 노치부를 구비한 칸막이벽을 건너지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접점 장치.
  9.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완부의 외방 연부에, 적어도 1개의 슬릿을 구비한 칸막이벽을 건너지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접점 장치.
KR1020157005404A 2014-03-14 2014-08-08 밀봉 접점 장치 KR1017178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52386 2014-03-14
JP2014052386A JP5673878B1 (ja) 2014-03-14 2014-03-14 封止接点装置
PCT/JP2014/071071 WO2015136731A1 (ja) 2014-03-14 2014-08-08 封止接点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646A true KR20150128646A (ko) 2015-11-18
KR101717862B1 KR101717862B1 (ko) 2017-03-17

Family

ID=52573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5404A KR101717862B1 (ko) 2014-03-14 2014-08-08 밀봉 접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48065B2 (ko)
EP (1) EP2942798B1 (ko)
JP (1) JP5673878B1 (ko)
KR (1) KR101717862B1 (ko)
CN (1) CN105122414B (ko)
WO (1) WO20151367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59243B (zh) 2013-06-28 2018-06-05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触点装置以及搭载有该触点装置的电磁继电器
JP6287727B2 (ja) * 2014-09-25 2018-03-07 アンデ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KR20170009348A (ko) 2015-07-16 2017-01-2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영구자석을 포함한 전기자동차용 릴레이 및 그 제조방법
KR101961661B1 (ko) 2015-07-31 2019-03-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고전압 릴레이 장치
KR101943365B1 (ko) * 2015-10-14 2019-01-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직류 릴레이
CN105719911B (zh) * 2016-04-29 2018-06-01 浙江英洛华新能源科技有限公司 高压直流继电器挡弧结构
CN105826131B (zh) * 2016-04-29 2018-03-13 浙江英洛华新能源科技有限公司 高压直流继电器
JP6668997B2 (ja) * 2016-07-29 2020-03-18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6782443B2 (ja) * 2016-08-16 2020-11-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磁リレー
CN106960766B (zh) * 2017-05-09 2018-09-07 浙江英洛华新能源科技有限公司 导弧式拍合式继电器
JP6743834B2 (ja) * 2018-01-31 2020-08-19 アンデ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DE102018109403A1 (de) 2018-04-19 2019-10-24 Tdk Electronics Ag Schaltvorrichtung
KR102324514B1 (ko) * 2018-08-31 2021-11-10 엘에스일렉트릭 (주) 직류 릴레이
KR20200000311A (ko) * 2018-08-31 2020-01-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직류 릴레이
KR102652528B1 (ko) * 2018-11-09 2024-03-29 샤먼 홍파 일렉트릭 파워 컨트롤즈 컴퍼니 리미티드 단락전류 방지용 직류 릴레이
JP7145465B2 (ja) * 2018-11-12 2022-10-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接点装置及び電磁継電器
KR20210025959A (ko) * 2019-08-28 2021-03-10 엘에스일렉트릭(주)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US11335520B2 (en) * 2020-05-13 2022-05-17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Rupture resistant relay
DE102020114383A1 (de) * 2020-05-28 2021-12-02 Tdk Electronics Ag Schaltvorricht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18086B1 (en) 2007-11-01 2012-01-2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Hermetically sealed relay
KR20130105343A (ko) * 2012-03-15 2013-09-25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밀봉 접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6455A (en) * 1994-02-24 1995-05-16 Eaton Corporation Direct current switching apparatus
JP5991848B2 (ja) * 2012-04-27 2016-09-14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継電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18086B1 (en) 2007-11-01 2012-01-2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Hermetically sealed relay
KR20130105343A (ko) * 2012-03-15 2013-09-25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밀봉 접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122414B (zh) 2017-04-05
KR101717862B1 (ko) 2017-03-17
WO2015136731A1 (ja) 2015-09-17
US9748065B2 (en) 2017-08-29
EP2942798A4 (en) 2016-03-09
JP2015176758A (ja) 2015-10-05
CN105122414A (zh) 2015-12-02
JP5673878B1 (ja) 2015-02-18
EP2942798B1 (en) 2017-03-29
EP2942798A1 (en) 2015-11-11
US20160260566A1 (en) 2016-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7862B1 (ko) 밀봉 접점 장치
JP5966469B2 (ja) 封止接点装置
KR101708134B1 (ko) 밀봉 접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EP3139396B1 (en) Contact switching device
WO2017183305A1 (ja) 接点開閉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磁継電器
US9007156B2 (en) Electromagnetic relay
US20190035585A1 (en) Electromagnetic relay
JP2017050274A (ja) 接点開閉装置
US20190013158A1 (en) Contact device
JP2022141412A (ja) 電磁継電器
JP2021044215A (ja) リレー
JP2011204476A (ja) 接点装置
JP5924398B2 (ja) 封止接点装置
JP2021051978A (ja) 接点装置および当該接点装置を搭載した電磁継電器
JP2012059630A (ja) 接点装置
JP6464900B2 (ja) 電磁接触器
JP6417808B2 (ja) 電磁接触器
JP2014197549A (ja) 接点装置
JP2013219062A (ja) 接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