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8134B1 - 밀봉 접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밀봉 접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8134B1
KR101708134B1 KR1020157005196A KR20157005196A KR101708134B1 KR 101708134 B1 KR101708134 B1 KR 101708134B1 KR 1020157005196 A KR1020157005196 A KR 1020157005196A KR 20157005196 A KR20157005196 A KR 20157005196A KR 101708134 B1 KR101708134 B1 KR 101708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ular
contact
arc
annular flange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5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2115A (ko
Inventor
히로미 시마
마사키 모리
타쿠마 오카모토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22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23Details concerning sealing, e.g. sealing casing with res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01H1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of switch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relay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4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 H01H9/443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using permanent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4Projection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02Casings sea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08Casings metall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26Details concerning isolation between driving and switching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8Contact arrangements for miniaturised re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02Non-polarised relays
    • H01H51/04Non-polarised relays with single armature; with single set of ganged armatures
    • H01H51/06Armature is movable between two limit positions of rest and is moved in one direction due to energisation of an electromagnet and after the electromagnet is de-energised is returned by energy stored during the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e.g. by using a spring, by using a permanent magnet, by gravity
    • H01H51/065Relays having a pair of normally open contacts rigidly fixed to a magnetic core movable along the axis of a solenoid, e.g. relays for starting automobi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34Stationary parts for restricting or subdividing the arc, e.g. barrier pl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 Contacts (AREA)

Abstract

부품 갯수가 적고, 생산성이 높은 밀봉 접점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판형상 요크(37)의 상면에, 금속제 케이스(32)의 하방 개구 연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재한 환형상 차양부(32a)를 용접 일체화하여 내부공간 내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내부공간 내에 고정 접점(33a) 및 가동 접점(48a)을 접리 가능하게 대향시킨 밀봉 접점 장치이다. 특히, 판형상 요크(37)의 상면에, 상기 환형상 차양부(32a)의 하면에 따라서 마련한 환형상 돌기(32c)를 저항 용접으로 일체화하였다.

Description

밀봉 접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SEAL CONTACT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밀봉 접점 장치, 특히, 그 밀봉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밀봉 접점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 베이스(10)의 상면에 마련한 외주테두리부(14)에, 금속 캡(20)의 하방 개구 연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재한 플랜지부(22)를 용접 일체화하여 내부공간 내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내부공간 내에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으로 이루어지는 접점 부품(100)을 배치한 밀봉 접점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히, 저항 용접으로 일체화하는 경우에는, 상기 외주테두리부(14)의 상면에 돌설한 돌조(16)를, 상기 금속 캡(20)의 플랜지부(22)에 접합한 후, 저항 용접으로 일체화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2-75108호 공보
그러나, 상기 밀봉 접점 장치에서는, 상기 금속 베이스(10)와 금속 캡(20)으로 외주테두리부(14)를 끼어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 갯수가 많고, 생산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부품 갯수가 적고, 생산성이 높은 밀봉 접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밀봉 접점 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판형상 요크의 상면에, 금속제 케이스의 하방 개구 연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재한 환형상 차양부를 용접 일체화하여 내부공간 내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내부공간 내에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을 접리 가능하게 대향시킨 밀봉 접점 장치로서, 판형상 요크의 상면에, 상기 환형상 차양부의 하면에 따라서 마련한 환형상 돌기를 저항 용접으로 일체화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판형상 요크에 금속제 케이스를 직접, 용접 일체화하기 때문에, 부품 갯수가 적고, 생산성이 높은 밀봉 접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환형상 돌기를, 2방향에서의 비팅 가공(beating process)으로 형성하여 두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적은 가공 공수로 상기 환형상 돌기를 형성할 수 있고, 보다 한층 생산성이 높은 밀봉 접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환형상 돌기를, 돌출(突出) 가공으로 형성하여 두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생산 방법의 선택 범위가 넓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환형상 차양부의 외주연부에 마련한 노치부에 접하지 않는 상기 환형상 돌기를 마련하여 두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저항 용접에 의해 상기 환형상 돌기부가 용융하여도, 용접 부분에 불연속한 영역이 존재하지 않고, 기밀성에 우수한 밀봉 접점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환형상 차양부의 인접하는 2개의 변에 마련한 상기 환형상 돌기를, 상기 노치부가 마련된 영역에서, 원호형상으로 연결하여 두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용접 후에 내압이 높아진 경우에도, 압력이 1개소에 집중하는 일이 없고, 기밀 누설이 생기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환형상 차양부의 상기 환형상 돌기를 마련한 면과 반대측의 면을, 상기 판형상 요크와 상기 금속제 케이스가 상기 환형상 돌기 이외의 개소에서 접촉하는 일이 없도록, 상기 판형상 요크에 대한 상기 환형상 차양부의 경사각도를 정하여 두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판형상 요크에 금속제 케이스의 환형상 돌기를 확실하게 용접할 수 있고, 신뢰성이 높은 밀봉 접점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밀봉 접점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판형상 요크의 상면에 금속제 케이스의 하방 개구 연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재한 환형상 차양부를 용접 일체화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내부공간 내에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을 접리 가능하게 대향시킨 밀봉 접점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판형상 요크의 상면에, 상기 환형상 차양부의 하면에 따라서 마련한 환형상 돌기를 저항 용접으로 일체화한 공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판형상 요크에 금속제 케이스를 직접, 용접 일체화하기 때문에, 부품 갯수가 적고, 생산성이 높은 밀봉 접점 장치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A, 1B는 본 발명에 관한 밀봉 접점 장치의 실시 형태를 다른 각도에서 본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밀봉 접점 장치의 동작 전의 정면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밀봉 접점 장치의 동작 전의 측면 단면도.
도 4A는 아크를 소실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4B는 밀봉 접점 장치의 부분 평면 단면도.
도 5A, 5B는 아크를 소실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밀봉 접점 장치의 부분 정면 단면도 및 부분 측면 단면도.
도 6은 1A에 도시한 밀봉 접점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1B에 도시한 밀봉 접점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8A, 8B는 도 6에 도시한 금속제 통형상 플랜지 및 제1 요크의 사시도.
도 9A, 9B는 도 6에 도시한 금속제 통형상 플랜지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및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0A는 도 1에 도시한 아크용 실드 부재의 사시도, 도 10B, 10C는 제2,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아크용 실드 부재의 사시도.
도 11A, 11B, 11C는 제4, 제5,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아크용 실드 부재의 사시도.
도 12A, 12B, 12C는 제7, 제8,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아크용 실드 부재의 사시도.
본 발명에 관한 밀봉 접점 장치를 밀봉형 전자 계전기에 적용한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12의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밀봉형 전자 계전기는, 도 1 내지 도 10, 특히,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10)에 커버(20)를 조립하여 형성한 하우징 내에, 접점 기구부(30)와, 이 접점 기구부(30)를 밀봉 공간(43)의 밖에서 구동하는 전자석부(50)를 수납하고 있다. 접점 기구부(30)는, 세라믹 플레이트(31), 금속제 통형상 플랜지(32), 판형상 제1 요크(37) 및 바닥이 있는 통체(41)로 이루어지는 밀봉 공간(43) 내에 조립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0)는, 개략 상자형 형상의 수지 성형품이고, 외측면의 하방 귀퉁이부에 부착 금구(11a)를 압입한 부착 구멍(11)을 마련하는 한편, 그 측면 모퉁이부에 도시하지 않은 리드선을 인출하기 위한 팽출부(12)를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대향하는 측면의 개구 연부에 계지 구멍(13)을 마련하고 있다.
상기 커버(20)는, 상기 케이스(10)의 개구부를 피복 가능한 평면 형상을 가짐과 함께, 그 상면 중앙에 돌설한 칸막이벽(21)의 양측에 단자 구멍(22, 22)을 각각 마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커버(20)는, 그 편측 측면에, 상기 케이스(10)의 팽출부(12)에 삽입함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리드선의 이른바 펄럭임을 방지할 수 있는 돌출부(23)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커버(20)는, 대향하는 측면의 개구 연부에 상기 케이스(10)의 계지 구멍(13)에 계지 가능한 계지용 폴부(24)를 마련하고 있다.
상기 접점 기구부(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세라믹 플레이트(31), 금속제 통형상 플랜지(32), 판형상 제1 요크(37) 및 바닥이 있는 통체(41)로 형성된 밀봉 공간(43)(도 2 참조) 내에 배치되고, 자석 홀더(35), 통형상 고정 철심(38), 가동 철심(42), 가동축(45) 및 가동 접촉편(48)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31)는, 후술하는 금속제 통형상 플랜지(32)의 상방 개구 연부에 솔더링 가능한 평면 형상을 가지며, 한 쌍의 단자 구멍(31a, 31a)을 마련하고, 보조 플레이트(31c)와 조합시켜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31)는, 그 상면의 외주연부 및 상기 단자 구멍(31a)의 개구 연부에 도시하지 않은 금속층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31)의 단자 구멍(31a)에, 하단부에 고정 접점(33a)을 고착한 고정 접점 단자(33)를 솔더링한다.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31)의 상면 외주연부에 솔더링 일체화된 금속제 통형상 플랜지(32)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으로 형성한 개략 통형상을 갖는 것이다. 특히, 상기 금속제 통형상 플랜지(32)는, 그 하방 개구 연부로부터 환형상 차양부(32a)를 측방으로 연재시킴과 함께, 상기 환형상 차양부(32a)의 모퉁이부에 노치부(32b)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금속제 통형상 플랜지(32)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환형상 차양부(32a)의 하면에 따라서 환형상 돌기(32c)를 좌우에서의 2회의 비팅 가공(beating process)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환형상 돌기(32c)는 돌출 가공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금속제 통형상 플랜지(32)는, 상기 환형상 차양부(32a)에 마련한 환형상 돌기(32c)를 통하여 후술하는 판형상 제1 요크(37)의 상면에 저항 용접으로 일체화된다. 단, 상기 환형상 돌기(32c)는 상기 노치부에 접하지 않도록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저항 용접시에 용접 불량이 생길 우려는 없다.
또한, 환형상 차양부(32a)의 제1 요크(37)의 상면에 대한 경사각도는, 저항 용접시에 환형상 돌기(32c)에 균일하면서 안정된 가압을 행함과 함께, 금속제 통형상 플랜지(32)와 제1 요크(37)가 환형상 돌기(32c) 이외의 부분에서 접촉하는 일이 없도록, 그 각도 범위가 정하여져 있다.
또한, 상기 환형상 돌기(32c)의 정각(頂角)의 각도로서는, 60도 내지 80도, 바람직하게는 70도가 알맞다. 60도 미만이면, 환형상 돌기(32c)의 형성이 곤란하고, 80도를 초과하면, 환형상 돌기(32c)의 높이 치수에 편차가 생기기 쉽고, 저항 용접한 경우에 균일하게 용접하는 것이 곤란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환형상 돌기(32c)는, 상기 노치부(32b)의 부근에서, 노치부(32b)에 접하지 않도록 배치되고, 또한, 환형상 차양부(32a)의 인접하는 2개의 변에 마련한 환형상 돌기(32c)를 원호형상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환형상 차양부(32a)의 단부로부터 환형상 돌기(32c)까지의 거리가 좁은 영역이 있는 경우에도, 저항 용접시에 용접 불량이 생기지 않고, 확실하게 용접할 수 있다. 또한, 환형상 돌기(32c)가 원호형상으로 매끈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가령 용접 후에 금속제 통형상 플랜지(32)의 내압이 높아진 경우에도, 압력이 1개소에 집중하는 일이 없고, 기밀 누설은 생기지 않는다.
그리고, 환형상 돌기(32c)를, 제1 요크(37)보다도 얇은 금속제 통형상 플랜지(32)의 환형상 차양부(32a)에 마련하기 때문에, 환형상 돌기(32c)를 형성할 때의 가공 에너지를 작게 할 수 있다. 가령, 두꺼운 제1 요크(37)측에 환형상 돌기를 비팅 가공이나 돌출 가공 등으로 형성하려고 하면, 환형상 돌기(32c)를 형성하기 위해 큰 가공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대형의 생산 설비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얇은 금속제 통형상 플랜지(32)측에 환형상 돌기(32c)를 마련함에 의해, 그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상기 금속제 통형상 플랜지(32) 내에 수납되는 자석 홀더(35)는, 상자 형상을 갖는 내열성의 절연재로 이루어지고, 그 대향하는 양측 외측면에 영구자석(36)을 지지할 수 있는 포켓 홈(35a)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자석 홀더(35)는, 그 저면 중앙에 환형상 받이대(35c)(도 2 참조)를 1단 낮게 마련함과 함께, 상기 환형상 받이대(35c)의 중심으로부터 통형상 절연부(35b)를 하방측으로 돌설하고 있다. 상기 통형상 절연부(35b)는, 아크가 발생하고, 금속제 통형상 플랜지(32), 판형상 제1 요크(37) 및 통형상 고정 철심(38)의 경로로 고전압이 되어도, 통형상 고정 철심(38)과 가동축(45)을 절연함에 의해, 양자의 용착 일체화를 방지한다. 또한, 자석 홀더(35)의 내부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위치 결정용 플레이트(26)가 가동 접촉편(48)에 당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동 접촉편(48)을 회전 정지하여 위치 결정하고 있다. 그리고, 자석 홀더(35)와 제1 요크(37)와의 사이에는, 한 쌍의 고무판(27)이 배치되어, 고정 접점(33a)과 가동 접점(48a)이 이간할 때에, 자석 홀더(35)와 환형상 차양부(45a)와의 사이에 생기는 충격을 완충하고 있다.
또한, 자석 홀더(35)의 내부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아크용 실드 부재(61)가 배설되어 있다. 이 아크용 실드 부재(61)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등 금속제이고,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개략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아크용 실드 부재(61)는,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형상의 연결체(62)와, 상기 연결체(62)의 양단부를 상방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완부(63)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체(62)의 대향하는 연부에는 각각, 상방으로 잘라 세운 위치 결정 설편(아크 받이편)(64)이 형성되어 있다. 완부(63)는, 그 양측 연부를 상기 연결체(62)측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내방 리브(아크 받이편)(65)과, 외방 리브(아크 받이편)(66)을 갖고 있다. 한 쌍의 상기 외방 리브(66, 66)의 사이에는, 상기 영구자석(36)의 자속을 통과시키기 위한 스페이스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아크용 실드 부재(6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체(62)가 자석 홀더(35)의 저벽에 재치되고,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완부(63)가 자석 홀더(35)의 대향하는 측벽에 고정된다.
상기 판형상 제1 요크(37)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개구 연부에 감합 가능한 평면 형상을 가지며, 그 상면에 탄성 플레이트(37a)를 고정함과 함께, 그 중심에 코킹 구멍(37b)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코킹 구멍(37b)의 양측에는 위치 결정 돌기(37c)를 돌설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판형상 제1 요크(37)는, 그 코킹 구멍(37b)에 통형상 고정 철심(38)의 상단부를 코킹 고정하고 있는 한편, 금속제 통형상 플랜지(32)의 환형상 차양부(32a)에 마련한 환형상 돌기(32c)를 저항 용접하여 일체화하고 있다.
상기 통형상 고정 철심(38)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관통 구멍에, 상기 자석 홀더(35)의 통형상 절연부(35b)를 통하여, 환형상 차양부(45a)를 구비한 가동축(45)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하고 있다. 상기 가동축(45)은, 복귀 스프링(39)을 삽입함과 함께, 그 하단부에 가동 철심(42)을 용접으로 고정하고 있다.
상기 가동 철심(42)을 수납하는 바닥이 있는 통체(41)는, 그 개구 연부를 상기 판형상 제1 요크(37)에 마련한 코킹 구멍(37b)의 하면 연부에 기밀 접합된다. 그리고, 가스 빼기 파이프(34)로부터 내부 공기를 흡인하여 밀봉함에 의해, 밀봉 공간(43)이 형성된다.
상기 가동축(45)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중간부에 마련한 환형상 차양부(45a)에 접시형상 받이구(46)을 계지하여, 삽통한 접점 스프링(47) 및 가동 접촉편(48)의 탈락을 방지함과 함께, 그 상단부에 빠짐방지 링(49)를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 접촉편(48)의 상면 양단부에 마련한 가동 접점(48a)은, 상기 금속제 통형상 플랜지(32) 내에 배치된 고정 접점 단자(33)의 고정 접점(33a)에 접리 가능하게 대향하고 있다.
상기 전자석부(5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51)을 권회한 스풀(52)의 차양부(52a)에 코일 단자(53, 54)를 압입, 고정함과 함께, 상기 코일 단자(53, 54)를 통하여 상기 코일(51)과 도시하지 않은 리드선을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스풀(52)의 관통 구멍(52b)에 상기 바닥이 있는 통체(41)를 삽통함과 함께, 제2 요크(56)의 감합 구멍(56a)에 감합한다. 계속해서, 상기 제2 요크(56)의 양측부(57, 57)의 상단부를 상기 판형상 제1 요크(37)의 양단부에 각각 계합하고, 코킹, 압입 또는 용접 등의 수단으로 고정함에 의해, 상기 전자석부(50)와 접점 기구부(30)가 일체화된다.
다음에,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밀봉형 전자 계전기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51)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는, 복귀 스프링(39)의 스프링력으로 가동 철심(42)이 하방측으로 가세되어, 가동축(45)이 하방측으로 압하되고, 가동 접촉편(48)이 하방측으로 끌어내려져 있다. 이 때, 가동축(45)의 환형상 차양부(45a)가 자석 홀더(35)의 환형상 받이대(35c)에 계합하고, 가동 접점(48a)이 고정 접점(33a)으로부터 개리하고 있지만, 가동 철심(42)은 바닥이 있는 통체(41)의 저면에 당접하지 않는다.
계속해서, 상기 코일(51)에 전압을 인가하여 여자되면, 통형상 고정 철심(38)에 가동 철심(42)이 흡인되어, 가동축(45)이 복귀 스프링(39)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상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그리고, 가동 접점(48a)이 고정 접점(33a)에 접촉한 후에도, 복귀 스프링(39) 및 접점 스프링(47)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가동축(45)이 밀어올려져, 가동축(45)의 상단부가 가동 접촉편(48)의 축 구멍(48b)으로부터 돌출하고, 가동 철심(42)이 통형상 고정 철심(38)에 흡착한다.
그리고, 상기 코일(51)에의 전압의 인가를 정지하여 여자를 풀면, 접점 스프링(47) 및 복귀 스프링(39)의 스프링력에 의거하여, 가동 철심(42)이 통형상 고정 철심(38)으로부터 떨어진다. 이 때문에, 가동축(45)이 하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가동 접점(48a)이 고정 접점(33a)으로부터 개리한 후, 가동축(45)의 환형상 차양부(45a)가 자석 홀더(35)의 환형상 받이대(35c)에 계합하고,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 때, 고전압의 고정 접점(33a)과 가동 접점(48a)과의 사이에 아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아크는, 도 4A 중에서, 고정 접점(33a)과 가동 접점(48a)과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 및 대향하는 영구자석(36)의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생기는 자력에 의해, 플레밍의 왼손의 법칙에 따라, 유인된다. 그리고, 이 아크가 유인되는 방향으로 아크용 실드 부재(61)의 완부(63)를 마련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아크가 임의의 방향으로 발생하여도, 우선, 고정 접점(33a)과 가동 접점(48a)과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 및 대향하는 영구자석(36)의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생기는 자력으로 아크를 소망하는 방향으로 유인하기 때문에, 아크를 아크용 실드 부재(61)에 닿게 하여 소실시킬 수 있다.
특히, 아크용 실드 부재(61)는, 그 완부(63)의 양측 연부에 내방 리브(65) 및 외방 리브(66)을 갖고 있기 때문에, 발생한 아크를 둘러싸, 아크를 효율적으로 소실시킬 수 있다.
또한, 아크용 실드 부재(61)의 단면 문형으로 형성하고, 밀봉 공간(43)(자석 홀더(35)) 내에 연결체(기부)(62)를 자석 홀더(35) 내의 저면에 재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단순한 판형상으로 형성한 경우에 비하여, 아크용 실드 부재(61)를 파지하기 쉬게 되어, 밀봉 공간(43)(자석 홀더(35))에의 부착 작업성이 좋아진다. 또한, 고정 접점(33a)과 가동 접점(48a)과의 개폐 동작을 방해하지 않고서, 아크용 실드 부재(61)의 밀봉 공간(43) 내로의 재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아크용 실드 부재(61)의 완부(63)를 고정 접점(33a) 및 가동 접점(48a)의 양측에, 또한, 영구자석(36)의 대향면에 따라 배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류나 자속의 방향이 변화하여 아크의 발생 방향이 변하여도, 어느 일방의 완부(63)에 아크를 닿게 하여, 소실시킬 수 있다.
상기 아크용 실드 부재(61)는 금속제이기 때문에, 아크용 실드 부재(61)에 닿는 아크를 효율적으로 냉각하고, 소실시키는 능력이 높다.
(제2 실시 형태)
도 10B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아크용 실드 부재(61)를 도시한다.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아크용 실드 부재(61)는, 그 완부(63)에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내방 리브보다도 큰 내방 리브(65)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발생한 아크가 완부(63)에 침입한 경우에, 상기 아크를 보다 확실하게 둘러싸 넣어 소실시킬 수 있다. 그 외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 형태)
도 10C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아크용 실드 부재(61)를 도시한다.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은, 상기 완부(63)의 상단부로부터 연재한 상방 리브(67)를 상기 연결체(62)측으로 절곡한 점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발생한 아크가 완부(63)에 침입한 경우에, 상기 아크를 확실하게 둘러싸 넣어 효과적으로 소실시킬 수 있다. 그 외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4 실시 형태)
도 11A에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아크용 실드 부재(61)를 도시한다.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은, 한 쌍의 완부(63, 63)에 건너지르도록 칸막이벽(68)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칸막이벽(68)에 자속이 통과할 수 있도록 자속 구멍(68a)을 마련한 점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기계적 강도가 높고, 또한, 영구자석측으로 아크를 확실하게 날리지 않는 아크용 실드 부재(61)를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 외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5, 6 실시 형태)
도 11B, 11C에 본 발명의 제5,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아크용 실드 부재(61)를 도시한다.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아크용 실드 부재(61)는, 그 완부(63)의 내방 연부에 내방 리브(65)를 마련함과 함께, 그 외방 연부에 자속 구멍(68a)을 구비한 칸막이벽(68)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아크용 실드 부재(61)는, 그 완부(63)의 내방 연부에 상기 연결체(62)에 달하는 내방 리브(65)를 마련함과 함께, 그 외방 연부에 자속 구멍(68a)을 구비한 칸막이벽(68)을 마련하고 있다. 제5, 제6 실시 형태는 모두 기계적 강도가 높고, 또한, 영구자석측으로 아크를 확실하게 날리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그 외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7 실시 형태)
도 12A에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아크용 실드 부재(61)를 도시한다.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아크용 실드 부재(61)는, 그 완부(63, 63)의 내방 연부에 내방 리브(65, 65)를 각각 형성함과 함께, 상기 완부(63, 63)의 외방 연부에 노치부(68b)를 구비한 칸막이벽(68)을 건너지른 경우이다.
제7 실시 형태에 의하면, 기계적 강도가 높고, 아크를 소실시킬 수 있음과 함께, 재료의 수율이 좋은 아크용 실드 부재(61)를 얻을 수 있다. 그 외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8 실시 형태)
도 12B에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아크용 실드 부재(61)를 도시한다.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아크용 실드 부재(61)는, 그 완부(63, 63)의 내방 연부에 내방 리브(65, 65)를 각각 형성함과 함께, 상기 완부(63, 63)의 외방 연부에 칸막이벽(68)을 건너지르고 있다. 상기 칸막이벽(68)에는, 측방으로 연신하는 복수개의 슬릿(68c)이 병설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칸막이벽(68)에 마련한 복수개의 슬릿(68c)을 통하여 영구자석의 자속이 통과할 수 있음과 함께, 아크의 연신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아크를 확실하게 소실시킬 수 있다. 그 외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9 실시 형태)
도 12C에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아크용 실드 부재(61)를 도시한다.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아크용 실드 부재(61)는, 그 완부(63, 63)의 내방 연부에 내방 리브(65, 65)를 각각 형성함과 함께, 상기 완부(63, 63)의 외방 연부에 칸막이벽(69)을 건너지르고 있다. 상기 칸막이벽(69)은, 연결체(62)의 양측 연부에 위치 결정 설편(64, 64)를 각각 형성할 수 있도록, 그 하단 연부가 상기 연결체(62)로부터 떨어져 있음과 함께, 자속 구멍(69a)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면서, 위치 결정하기 쉽고, 생산성이 높은 아크용 실드 부재(61)를 얻을 수 있다. 그 외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외방 리브(66, 66) 사이의 거리, 자속 구멍(68a, 69a)의 폭 치수, 노치부(68b)의 폭 치수, 슬릿(68c)의 폭 치수는, 적어도 접점의 직경과 동등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를 유인하는 자속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고, 소망하는 유인력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자속 구멍(68a, 69a)의 높이 치수, 슬릿(68c)의 높이 치수는 적어도 접점 사이 거리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개의 슬릿(68c)의 높이 치수가 상기 접점 사이 거리보다도 작은 경우라도, 복수개의 슬릿(68c)의 높이 치수의 총합이 접점 사이 거리와 동등 이상이라면 좋다. 아크를 유인하는 자속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여, 소망하는 유인력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관한 밀봉 접점 장치는, 전술한 밀봉형 전자 계전기로 한하지 않고, 다른 전자 스위치에 적용하여도 좋음은 물론이다.
10 : 케이스(하우징) 20 : 커버(하우징)
32 : 금속제 통형상 플랜지 32a : 환형상 차양부
32b : 노치부 32c : 환형상 돌기
33a : 고정 접점 36 : 영구자석
37 : 판형상 제1 요크 37a : 탄성 플레이트
37b : 코킹 구멍 37c : 위치 결정 돌기
43 : 밀봉 공간 48a : 가동 접점
61 : 아크용 실드 부재 62 : 연결체(기부)
63 : 완부 64 : 설편(아크 받이편)
65 : 내방 리브(아크 받이편) 66 : 외방 리브(아크 받이편)
67 : 상방 리브(아크 받이편) 68 : 칸막이벽(아크 받이편)
68a : 자속 구멍 68b : 노치부
68c : 슬릿 69 : 칸막이벽(아크 받이편)
69a : 자속 구멍

Claims (7)

  1. 판형상 요크의 상면에, 금속제 케이스의 하방 개구 연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재한 환형상 차양부를 용접 일체화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내부공간 내에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을 접리 가능하게 대향시킨 밀봉 접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환형상 차양부의 하면에 따라 환형상 돌기를 마련하는 한편,
    상기 환형상 차양부의 외주연부 중, 인접하는 2개의 변으로 형성된 모퉁이부에 노치부를 마련하고,
    상기 노치부가 마련된 영역에서, 상기 환형상 차양부의 인접하는 2개의 변에 따라서 마련한 상기 환형상 돌기를 상기 노치부에 접하지 않도록 원호형상으로 연결함과 함께, 상기 환형상 돌기를 상기 판형상 요크의 상면에 저항 용접으로 일체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접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상 돌기를 2방향에서의 비팅 가공(beating process)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접점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상 돌기를, 돌출 가공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접점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상 차양부의 상기 환형상 돌기를 마련한 면과 반대측의 면이, 상기 판형상 요크와 상기 금속제 케이스가 상기 환형상 돌기 이외의 개소에서 접촉하는 일이 없도록, 상기 판형상 요크에 대한 상기 환형상 차양부의 경사각도가 정하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접점 장치.
  5. 판형상 요크의 상면에 금속제 케이스의 하방 개구 연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재한 환형상 차양부를 용접 일체화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내부공간 내에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을 접리 가능하게 대향시킨 밀봉 접점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환형상 차양부의 하면에 따라 환형상 돌기를 마련하는 한편,
    상기 환형상 차양부의 외주연부 중, 인접하는 2개의 변으로 형성된 모퉁이부에 노치부를 마련하고,
    상기 노치부가 마련된 영역에서, 상기 환형상 차양부의 인접하는 2개의 변에 따라서 마련한 상기 환형상 돌기를 상기 노치부에 접하지 않도록 원호형상으로 연결함과 함께, 상기 환형상 돌기를 상기 판형상 요크의 상면에 저항 용접으로 일체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접점 장치의 제조 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157005196A 2014-03-14 2014-08-08 밀봉 접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7081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52495 2014-03-14
JP2014052495A JP5741740B1 (ja) 2014-03-14 2014-03-14 封止接点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PCT/JP2014/071068 WO2015136730A1 (ja) 2014-03-14 2014-08-08 封止接点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115A KR20150122115A (ko) 2015-10-30
KR101708134B1 true KR101708134B1 (ko) 2017-02-17

Family

ID=53537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5196A KR101708134B1 (ko) 2014-03-14 2014-08-08 밀봉 접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52948B2 (ko)
EP (1) EP3118880B1 (ko)
JP (1) JP5741740B1 (ko)
KR (1) KR101708134B1 (ko)
CN (1) CN205376419U (ko)
WO (1) WO20151367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12801A1 (de) * 2015-07-08 2017-01-12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Elektrische Schaltanordnung mit verbesserter linearer Lagerung
JP6782443B2 (ja) * 2016-08-16 2020-11-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磁リレー
KR102324514B1 (ko) * 2018-08-31 2021-11-10 엘에스일렉트릭 (주) 직류 릴레이
KR20200000311A (ko) * 2018-08-31 2020-01-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직류 릴레이
WO2020094135A1 (zh) * 2018-11-09 2020-05-14 厦门宏发电力电器有限公司 抗短路电流的直流继电器
JP7310474B2 (ja) * 2019-09-13 2023-07-19 オムロン株式会社 リレー
JP7044333B1 (ja) 2020-09-30 2022-03-30 株式会社荏原製作所 機械学習装置、摺動面診断装置、推論装置、機械学習方法、機械学習プログラム、摺動面診断方法、摺動面診断プログラム、推論方法、及び、推論プログラム
CN114749783A (zh) * 2021-01-08 2022-07-15 昆山联滔电子有限公司 密封焊接设备和密封焊接方法
CN115458368B (zh) * 2022-11-09 2023-04-28 浙江英洛华新能源科技有限公司 继电器的金属壳与轭铁板固定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5108A (ja) * 2000-08-28 2002-03-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封止接点装置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456A (ja) * 1992-07-17 1994-02-08 Toshiba Corp 電子部品の製造方法
WO2011115055A1 (ja) * 2010-03-15 2011-09-22 オムロン株式会社 接点開閉装置
EP2637190A4 (en) * 2010-11-01 2014-11-19 Ngk Spark Plug Co RELAY
JP5864902B2 (ja) * 2011-05-19 2016-02-17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電磁接触器の消弧室組立方法
JP5806561B2 (ja) * 2011-09-06 2015-11-10 富士電機株式会社 電磁接触器の製造方法
JP5966469B2 (ja) * 2012-03-15 2016-08-10 オムロン株式会社 封止接点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5108A (ja) * 2000-08-28 2002-03-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封止接点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5376419U (zh) 2016-07-06
WO2015136730A1 (ja) 2015-09-17
JP2015176761A (ja) 2015-10-05
US9552948B2 (en) 2017-01-24
EP3118880A1 (en) 2017-01-18
EP3118880A4 (en) 2017-10-11
JP5741740B1 (ja) 2015-07-01
EP3118880B1 (en) 2022-10-05
KR20150122115A (ko) 2015-10-30
US20160260563A1 (en) 2016-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8134B1 (ko) 밀봉 접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717862B1 (ko) 밀봉 접점 장치
EP3139396B1 (en) Contact switching device
JP5966469B2 (ja) 封止接点装置
US9007156B2 (en) Electromagnetic relay
WO2017183266A1 (ja) 接点機構および電磁継電器
US20180144894A1 (en) Contact device and electromagnetic contact apparatus using same
CN111599646A (zh) 电磁继电器和基体
US20190013158A1 (en) Contact device
JP2021044215A (ja) リレー
JP5924398B2 (ja) 封止接点装置
JP2014203784A (ja) 接点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磁リレー
CN216793562U (zh) 电磁继电器
JP6464900B2 (ja) 電磁接触器
JP2014203785A (ja) 接点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磁リレ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