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7910A - 두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소모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두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소모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7910A
KR20150127910A KR1020140054193A KR20140054193A KR20150127910A KR 20150127910 A KR20150127910 A KR 20150127910A KR 1020140054193 A KR1020140054193 A KR 1020140054193A KR 20140054193 A KR20140054193 A KR 20140054193A KR 20150127910 A KR20150127910 A KR 20150127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cle
pharmaceutical composition
extract
express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4205B1 (ko
Inventor
신흥묵
양인준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54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205B1/ko
Publication of KR20150127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7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6Eucommiaceae (Eucommia family), e.g. hardy rubber tr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regeneration or building of ligaments o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Abstract

본 발명은 근육 소모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두충 추출물을 포함 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충추출물을 이용하여 근육 소모 관련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을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근육 소모 관련 질환의 치료에 있어서 보다 근본적으로 접근하여 타겟 치료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두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소모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Eucommiae coretex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muscle wasting disease}
본 발명은 근육 소모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두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두충은 장미목 두충과 낙엽교목으로 원산지는 중국이지만, 한국, 일본에서도 재배하고 있다. 두충나무는 자르면 끈끈한 점질의 실이 나온다. 한방에서는 두충나무 껍질을 건조시킨 것을 두충 또는 당두충이라고 하여, 강장제, 관절염, 류머티즘 진통제로 사용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나무껍질 이외에도 잎과 더불어 씨의 사용도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노화성 근육 감소증(Sarcopenia)은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동반되는 골격근의 감소와 근력의 감소로 정의된다. 노화에 의한 근육량과 근육력의 감소는 운동 지구력을 감소시키고, 신체 활동의 저하로 이어져 다양한 대사질환과 낙상으로 인한 사망을 유발한다.
현대사회에서 조기 사망의 감소로 인한 평균 수명의 연장은 이와 같은 근육 감소증 환자의 발생율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며, 이로 인한 노인 의존적 생활의 연장은 사회적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근육량과 근육의 감소는 30대부터 시작되며, 60대에 15%, 80세 이상은 40%의 근육 감소증을 보이며, 이로 인한 의료비용은 2000년 미국의 경우 185불이 소요되었으며, 이는 건강관리비용의 1.5%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노화성 근육 감소증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성장 호르몬(GH)에 의한 치료가 근육 질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러한 치료는 매우 고가이며, 평균 연령의 단축 등과 같은 바람직하지 않는 몇몇 부작용을 발생시켰다. 또한 환자 또는 병상에 누워있는 환자등에 있어서는 매우 부적절한 방법으로서, 근육의 재생 및 분화를 유도할 수 있는 근육 감소증 치료 약물 및 기술개발이 주요한 과제의 대상이 되고 있고, 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한국 특허공개번호 10-2012-0058457),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두충(Eucommiae cortex)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소모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두충(Eucommiae cortex)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소모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두충(Eucommiae cortex)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소모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근육 소모 관련 질환은 근이영양증(Muscle Dystrophy), 근육 위축증(Muscle Atropy), 카켁시아(Cachexia), 영양실조, 나병, 당뇨병, 신장병, 만성 폐쇄성 폐병(Chronic O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암, 말기 신부전, 사르코페니아(Sarcopenia), 기종(Emphysema), 골연화증(Osteomalacia), HIV감염 및 심근증(Cardiomyopathy)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근원성 분화를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근관 위축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염증 반응을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NF-κB기전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두충(Eucommiae cortex)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소모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근육 소모 관련 질환은 근이영양증(Muscle Dystrophy), 근육 위축증(Muscle Atropy), 카켁시아(Cachexia), 영양실조, 나병, 당뇨병, 신장병, 만성 폐쇄성 폐병(Chronic O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암, 말기 신부전, 사르코페니아(Sarcopenia), 기종(Emphysema), 골연화증(Osteomalacia), HIV감염 및 심근증(Cardiomyopathy)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육 소모 관련 질환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두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근육 소모 관련 질환의 치료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두충(Eucommiae cortex)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두충 추출물은 근원성 분화 촉진, 근관 위축 감소 및 염증반응을 억제시킬 수 있는 바, 근육 소모 관련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EC(Eucommiae cortex) 추출물 처리에 의한 C2C12 근원세포와 근관의 생존능력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2는 근관의 형성을 Contrast microscopy로 확인한 실험결과이다.
도 3은 EC 추출물 처리에 의한 형성된 근관의 muscle creatine kinase 활성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4는 EC 추출물 처리에 의한 MHC, HES-6, N-CAD, MEF-2a 및 MEF-2D의 발현을 RT-PCR로 확인한 실험결과이다.
도 5는 EC 추출물 처리에 의한 myoD, myigenin, MRF4, myf5, IGF-1, IGF-1R의 발현을 RT-PCR로 확인한 실험결과이다.
도 6은 EC 추출물 처리에 의한 myoD, myigenin, MRF4, myf5, IGF-1, IGF-1R 발현의 실험결과이다.
도 7은 (a) 대조군, (b) TNF-α(10ng/ml)와 INF-γ(100IU/ml)를 처리한 경우, (c) EC 추출물 0.1mg/ml를 첨가한 경우, (d) EC 추출물 0.5mg/ml를 첨가한 경우, (e) EC 추출물 1.0mg/ml를 첨가한 경우, 근관 위축을 Contrast microscopy로 확인한 실험결과이다.
도 8은 EC 추출물 처리에 의한 위축된 근관의 muscle creatine kinase 활성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9는 EC 추출물 처리에 의한 Myosin heavy chain(MHC), Troponin-T의 발현을 Western blot으로 확인한 실험결과이다.
도 10은 EC 추출물 처리에 의한 Atrogin-1/MAFbx, MuRF1 mRNA의 발현을 RT-PCR로 확인한 실험결과이다.
도 11은 EC 추출물 처리에 의한 Atrogin-1/MAFbx, MuRF1, myoD, myogenin 단백질의 발현을 Western blot으로 확인한 실험결과이다.
도 12는 EC 추출물 처리에 의한 근원세포의 (a) IL-1β, IL-6, iNOS, COX-2 mRNA의 발현을 RT-PCR로 확인한 실험결과 및 (b) iNOS, COX-2 단백질의 발현을 Western blot으로 확인한 실험결과이다.
도 13은 EC 추출물 처리에 의한 근관의 (a) IL-1β, IL-6, iNOS, COX-2 mRNA의 발현을 RT-PCR로 확인한 실험결과 및 (b) iNOS, COX-2 단백질의 발현을 Western blot으로 확인한 실험결과이다.
도 14는 EC 추출물 처리에 의한 근원세포의 NF-κB p65(세포질), NF-κB p65(핵), IκB-α, P-IκB-α의 발현을 Western blot으로 확인한 실험결과이다.
도 15는 EC 추출물 처리에 의한 근관의 NF-κB p65(세포질), NF-κB p65(핵), IκB-α, P-IκB-α의 발현을 Western blot으로 확인한 실험결과이다.
본 발명자들은 근육 소모 관련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연구 노력한 결과, 두충 추출물이 근원성 분화의 촉진, 근관 위축의 감소, 염증반응의 억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이에 기초 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두충(Eucommiae cortex)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소모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근육 소모 관련 질환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근육 소모 관련 질환에 대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근육 소모 관련 질환은 만성적인 신경병성(neurological), 유전성, 또는 감염성 병리상태(pathology), 질병(disease), 또는 증상(condition)과 관련이 있다.
근육 소모 관련 질환의 예로는,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근이영양증(Muscle Dystrophy), 근육 위축증(Muscle Atropy), 카켁시아(Cachexia), 영양실조, 나병, 당뇨병, 신장병, 만성 폐쇄성 폐병(Chronic O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암, 말기 신부전, 사르코페니아(Sarcopenia), 기종(Emphysema), 골연화증(Osteomalacia), HIV감염 및 심근증(Cardiomyopathy)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근이영양증은 뒤센느 근이영양증(Duchenne Muscular Dystrophy) 또는 근육 긴장성 이영양증(Myotonic Dystrophy)일 수 있고, 상기 근육 위축증은 포스트 폴리오 근 위축증(Post-polio Muscle Atropy)일 수 있으며, 상기 카켁시아는 심장 카켁시아(Cachexia), AIDS 카켁시아 또는 카켁시아일 수 있으나,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타 환경 및 조건도 근육 소모 관련 질환과 관련이 있으며, 이를 유발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것에는 만성적인 하부요통(chronic lower back pain), 고령(advanced age), 중추신경계 손상(CNS damage), 말초 신경 손상, 척수 손상, 화학적 손상, 화상, 다리 고정시 발생하는 불사용 탈조건화(disuse deconditioning), 질환 또는 상해로 인한 장기 입원, 및 알코올 중독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두충 추출물은 천연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두충 추출물은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두충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추출, 초음파 추출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추출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실시예 1).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근원성 분화를 촉진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MHC, HES-6 및 MEF-2와 같은 근육 특이성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MyoD, Myogenin 및 MRF-4와 같은 근육조절인자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IGF-1과 같은 근육 비특이적 전사인자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근육세포 분화는 MyoD, Myf5, 미오게닌(myogenin), MRF4와 같은 다양한 근육 조절 인자(muscle regulatory factors; MRFs)에 의해 조절된다. MyoD는 근육-특이 유전자의 발현을 개시하게 하고 중간엽줄기세포가 근육세포 계열로 분화하는 것을 유도한다. myogenin 발현의 유도는 MyoD 활성에 의해 조절되고, 최종 분화와 MHC(myosin heavy chain), MCK(muscle creatine kinase)와 같은 근육 특이 유전자의 유도에 중요한 요소이다. IGF-1은 고농도에서 혈장에서 순화되고 대부분의 조직에서 검출되는 7.5-kD의 폴리펩타이드이며, 인슐린-유사 성장 인자로서 세포 분화 및 세포증식과 같은 여러 조직의 성장 및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전체 성장을 조절한다. IGF-1에 자극된 세포 증식 또는 분화를 유도하는 형질도입 경로는 IGF-1 수용체와의 결합이며, IGF-1 수용체(IGF-1R)는 2개의 하위단위로 알파 서브유닛(전체적으로 세포외이고 리간드 결합작용을 하는 130 내지 135-kD의 단백질) 및 베타 서브유닛(막간 및 세포질 도메인을 갖은 95-kD 의 막간 단백질)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두충 추출물의 근원세포 및 근관에 대한 세포 독성여부를 확인하였으며(실시예 2), 근원세포의 분화 촉진효과를 확인하였다(실시예 3).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근관 위축을 감소시킬 수 있다.
위축된 근관은 근관의 수가 감소할 뿐 아니라, 근관의 직경의 감소가 관찰된다. 또한, 근관의 위축에 의해서 CK(muscle creatine kinase)의 활성이 감소하며, Myosin heavy chain(MHC), Troponin-T와 같은 골격근 특이 단백질을 발현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근육 특이성 Ubiquitin-Ligase인 Atrogin-1/MAFbx의 발현을 감소시킬 수 있다. Atrogin-1 유전자의 발현은 근육통, 근육세포 손상, 나아가 횡문근융해의 근육 독성을 일으키며, PGC-1α전사인사 활성은 Atrogin-1 유전자의 발현에 연관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두충 추출물의 근관세포 위축(myotube atrophy) 감소효과를 확인하였다(실시예 4).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염증반응을 억제할 수 있다.
근원세포로 불리는 근육조직에서 발견되는 미성숙 세포는 새로운 근관을 형성하기 위해서 길게 늘어진 배열되어 있거나 융합된 상태로 존재하며, 이는 muscle regulatory Factor(MRF)/insuline-like growth factor(IGF)에 의하여 조절된다, MRF/IGF는 염증성 cytokine에 의하여 하향 조절되며, 이에 따라, 근원세포의 분화를 늦추며, 융합단계를 지연시킨다. 또한, 염증은 ubiquitin-proteasome system에 의해서 근육감소증의 발생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Ubiquitin-proteasome proteolytic pathway의 활성에 의하여 급격한 골격근 단백질의 분해가 일어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두충추출물의 염증반응 감소효과를 확인하였다(실시예 5).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NF-κB기전을 억제시킬 수 있다.
NF-κB는 면역글로불린 κL사슬유전자의 인트론증폭자에 결합하는 전사인자이며, 결합하는 배열은 κB모티프로서, 10염기쌍(GGGACTTTCC)으로 구성된다. NF-κB는 B세포에 특이적이며, B세포 분화에 따라 발현하는 세포 특이적 유전자의 발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NF-κB는 면역글로불린유전자 외에 인터류킨2, 인터류킨2 수용체α등 여러 가지 유전자의 전사조절영역에서도 결합하고, 이들 유전자의 전사를 활성화한다. 이 밖에도 비-B세포(Non-B cell)에서도 바이러스, 세균, 사이토카인, 지질다당(LPS)와 같은 세포외 자극에 의해서 유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NF-κB기전 활성의 억제를 확인하였다(실시예 6).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 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로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연령, 성별, 상태, 체중, 체내에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율 및 배설속도, 질병종류, 병용되는 약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1 kg 당 0.001 내지 150 mg,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mg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회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비만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육 소모 질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개체"란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또는 비-인간인 영장류, 생쥐(mouse), 개, 고양이, 말 및 소 등의 포유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두충(Eucommiae cortex)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소모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선"이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근육 소모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하여 해당 질환의 발병 단계 이전 또는 발병 후, 치료를 위한 약제와 동시에 또는 별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은 담체, 희석제, 부형제 및 첨가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분말제, 켑슐제 및 액제 제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로 제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에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각종 식품류,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제,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더 포함될 수 있는 첨가제로는, 천연 탄수 화물, 향미제,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풍미제(합성 풍미제, 천연 풍미제 등), 착색제, 충진제, 팩트산 및 그의 염, 일간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오이드 증점제, PH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산화 방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화제 및 과육으로 이루어진 구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기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팩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에 다른 조성물은 천영 과일 주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희석제 및 첨가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락토스, 덱스트로즈, 슈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에리스리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칼슘,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미세결정성 셀룰로즈, 폴리비닐키롤리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로리돈, 메틸셀룰로즈, 물, 설탕시럽, 메틸 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트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두충추출물의 제조
두충 20 g에 200 ml의 증류수를 가하여 3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된 용액을 0.2 mm 여과지(Whatman International, Maidstone, UK) 에서 여과한 후, rotary evaporator (VV2000, Heidolph, Walpersdorfer, Germany)를 이용하여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을 얻었다. 분말은 실험직전 증류수나 배지에 희석하여 0.2 μm syringe filter(Thermo Fisher Scientific, Roskilde, Denmark)에 여과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EC의 세포독성 확인
분화되지 않은 근원세포와 분화된 근관에 대한 EC(Eucommiae cortex)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쥐의 C2C12 골격근 cell line과 TNF-α/IFN-γ 혼합제를 이용하여 근원세포와 근관의 생존능력을 측정하였다. 근원세포와 근관을 24시간 동안 TNF-α(10ng/ml) 및 IFN-γ(100IU/ml)와 EC(0, 0.1, 0.5, 1.0 mg/ml)로 처리 하였으며, 이 후 근원세포와 근관의 생존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XTT assay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근관의 생존능력은 EC의 투여용량과 관계없이 80%이상이었으며, 근원세포의 생존능력은 EC 1.0 mg/ml 처리한 군에서 생존능력 감소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3. EC가 근원성 분화에 미치는 영향
배양된 C2C12 근원세포(myoblast)는 80% 이상의 confluence에 도달하였으며, 이 후 differentiation media로 교체하였다. 배지는 매일 교체해주었으며, TNF-α(10ng/ml) 및 IFN-γ(100IU/ml)와 EC(0, 0.1, 0.5mg/ml)를 보충해 주었다.
가. 근관 형성 평가.
근관 형성에 대한 EC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분화 96시간 후, Contrast microscopy의 영상을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TNF-α/IFN-γ에 노출된 근관은 근관형성의 감소를 확인하였으며, 분화 중인 근원세포에 EC(0.5 and 1.0 mg/ml)를 추가로 처리한 경우, 근관의 형성이 발달됨을 확인하였다.
나. CK ( muscle creatine kinase )의 활성 평가
분화 96시간 후, 진단키트를 이용하여, 성숙한 골격근에서 발현되는 효소인 muscle creatine kinase의 활성을 평가 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TNF-α/IFN-γ에 노출된 경우, CK 활성의 급격한 감소를 확인하였으며, EC(0.5 and 1.0 mg/ml)를 추가로 처리한 경우, CK 활성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다. skeletal muscle specfic gene의 발현 평가
골격근 특이적 유전자인 MHC, HES-6, N-CAD, MEF-2a 및 MEF-2D의 발현을 측정하기 위하여 RT-PCR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TNF-α/IFN-γ에 노출된 경우,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된 반면, EC(0.5 and 1.0 mg/ml)를 추가로 처리한 경우,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 하였다. 또한, CK활성의 증가는 MHC, HES-6, MEF-2등과 같은 근육 특이성 유전자의 발현 증가와 일치하였다.
라. MRF 와 IGF-1 family mRNA의 발현 평가
분화 24, 48, 72시간 후, myoD, myigenin, MRF4, myf5, IGF-1, IGF-1R의 발현을 측정하기 위하여, RT-PCR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TNF-α/IFN-γ에 노출된 경우, 분화 72시간 동안 MyoD, Myogenin 및 MRF-4와 같은 근원성 조절인자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반면, EC(0.5 and 1.0 mg/ml)를 추가로 처리한 경우, 상대적으로 유전자 발현이 증가하였다. 또한, TNF-α/IFN-γ에 노출된 경우, IGF-1의 발현이 분화 후 72 시간 동안 거의 관찰되지 않았지만, EC(0.5 and 1.0 mg/ml)를 추가로 처리한 경우, 분화 72시간 후, IGF-1의 발현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4. EC가 근관 위축에 미치는 영향
배양된 C2C12 근원세포(myoblast)는 80% 이상의 confluence에 도달하였으며, 이 후 differentiation media로 교체하였다. 배지는 매일 교체 해주었으며, TNF-α(10ng/ml) 및 IFN-γ(100IU/ml)와 EC(0, 0.1, 0.5, 1.0 mg/ml)를 보충해 주었다.
가. 근관 위축 평가
근관 위축에 대한 EC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분화 72시간 후, Contrast microscopy의 영상을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TNF-α/IFN-γ에 노출된 경우, 근관 직경의 현저한 감소를 확인하였으며, EC(0.1, 0.5 and 1.0 mg/ml)를 추가로 처리한 경우, 근관의 직경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나. CK(muscle creatine kinase)의 활성 평가
진단키트를 이용하여, 성숙한 골격근에서 발현되는 효소인 muscle creatine kinase의 활성을 평가 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TNF-α/IFN-γ에 노출된 경우, CK 활성의 급격한 감소를 확인하였으며, EC(0.5 and 1.0 mg/ml)를 추가로 처리한 경우, CK 활성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다. skeletal muscle specfic protein의 농도 평가
골격근 특이 단백질인 Myosin heavy chain(MHC), Troponin-T의 농도를 검출하기 위해서 Western Blot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TNF-α/IFN-γ에 노출된 경우, 단백질 농도의 감소를 확인하였으며, EC(0.5 and 1.0 mg/ml)를 추가로 처리한 경우, 단백질의 농도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라. Procachectic and promyogenic factor 의 발현 평가
E3 ubiquitin ligase에 속하는 Atrogin-1/MAFbx, MuRF1의 발현은 염증조건하에서 근육 감소증을 초래하기 때문에, 근관위축에 대한 EC의 저해효과와 상기 신호와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Atrogin-1/MAFbx, MuRF1 mRNA 발현을 평가하기 위해 RT-PCR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TNF-α/IFN-γ에 노출된 경우, Atrogin-1/MAFbx, MuRF1 mRNA 발현의 증가를 확인하였으며, EC(0, 0.1, 0.5, 1.0 mg/ml)를 추가로 처리한 경우, Atrogin-1/MAFbx 발현 감소를 확인하였지만, MuRF1 발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Atrogin-1/MAFbx, MuRF1, myoD, myogenin의 단백질 발현을 평가하기 위해 Western Blot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EC(0, 0.1, 0.5, 1.0 mg/ml)를 추가로 처리한 경우 Atrogin-1/MAFbx 발현 감소를 확인하였지만, MuRF1 발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myoD, myogenin 발현 증가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5. EC가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
염증반응은 직접적인 이화성 효과 및/또는 근원세포에서 근관으로 분화의 저해를 통하여, 골격근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EC가 분화계속 중 또는 분화 후 염증반응을 저해시킬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가. C2C12 근원세포에서 Pro-inflammatory cytokine의 발현 평가
근원세포에 24시간 동안 TNF-α(10ng/ml)와 IFN-γ(100IU/ml)와 EC(0, 0.1, 0.5, 1.0 mg/ml)를 보충해 주었다. catabolic pro-inflammatory mediator인 IL-1β, IL-6, iNOS, COX-2 mRNA 발현을 평가하기 위하여 RT-PCR을 수행하였으며, iNOS, COX-2 단백질 발현을 평가하기 위하여 Western Blot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도 12에 나타내었다.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TNF-α/IFN-γ에 노출된 경우, 발현의 증가를 확인하였으며, EC(0, 0.1, 0.5, 1.0 mg/ml)를 추가로 처리한 경우, 발현의 감소를 확인하였다.
나. C2C12 근관세포에서 Pro-inflammatory cytokine의 발현 평가
근관에 24시간 동안 TNF-α(10ng/ml)와 IFN-γ(100IU/ml)와 EC(0, 0.1, 0.5, 1.0 mg/ml)를 보충해 주었다. catabolic pro-inflammatory mediator인 IL-1β, IL-6, iNOS, COX-2 mRNA 발현을 평가하기 위하여 RT-PCR을 수행하였으며, iNOS, COX-2 단백질 발현을 평가하기 위하여 Western Blot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도 13에 나타내었다.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TNF-α/IFN-γ에 노출된 경우, 발현의 증가를 확인하였으며, EC(0, 0.1, 0.5, 1.0 mg/ml)를 추가로 처리한 경우, 발현의 감소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6. EC가 NF-κB pathway에 미치는 영향
cytokine 매개 근육감소증의 근원적인 메카니즘을 조사하기 위해서, NF-κB신호 pathway에 초점을 두어 실험을 하였다.
가. C2C12 근원세포에서 IκB-α, P-IκB-α, NF -κB p65 의 발현 평가
근원세포를 1시간 동안 EC(0, 0.1, 0.5, 1.0 mg/ml)로 전 처리를 한 후, TNF-α(10ng/ml) 및 IFN-γ(100IU/ml)로 1시간 동안 처리 하였다. IκB-α, P-IκB-α, NF-κB p65 단백질 발현을 평가하기 위하여 Western Blot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도 14에 나타내었다.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TNF-α/IFN-γ에 노출된 경우, NF-κB p65는 translocation에 의해 핵내 발현이 증가하며, IκB-α 발현의 감소와 P-IκB-α의 농도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EC(0, 0.1, 0.5, 1.0 mg/ml)를 추가로 처리한 경우, NF-κB p65은 세포질내 발현이 증가하며, IκB-α 발현의 증가와 P-IκB-α의 농도의 감소를 확인하였다.
나. C2C12 근관세포에서 IκB-α, P-IκB-α, NF -κB p65 의 발현 평가
근관세포를 1시간 동안 EC(0, 0.1, 0.5, 1.0 mg/ml)로 전 처리를 한 후, TNF-α(10ng/ml)와 IFN-γ(100IU/ml)로 1시간 동안 처리 하였다. IκB-α, P-IκB-α, NF-κB p65 단백질 발현을 평가하기 위하여 Western Blot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도 15에 나타내었다.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TNF-α/IFN-γ에 노출된 경우, NF-κB p65은 translocation에 의해 핵내 발현이 증가하며, IκB-α 발현의 감소와 P-IκB-α의 농도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EC(0, 0.1, 0.5, 1.0 mg/ml)를 추가로 처리한 경우, NF-κB p65은 세포질내 발현이 증가하며, IκB-α 발현의 증가와 P-IκB-α의 농도의 감소를 확인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8)

  1. 두충(Eucommiae cortex)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소모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은 근이영양증(Muscle Dystrophy), 근육 위축증(Muscle Atropy), 카켁시아(Cachexia), 영양실조, 나병, 당뇨병, 신장병, 만성 폐쇄성 폐병(Chronic O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암, 말기 신부전, 사르코페니아(Sarcopenia), 기종(Emphysema), 골연화증(Osteomalacia), HIV감염 및 심근증(Cardiomyopathy)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근원성 분화를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근관 위축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염증 반응을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NF-κB기전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7. 두충(Eucommiae cortex)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소모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은 근이영양증(Muscle Dystrophy), 근육 위축증(Muscle Atropy), 카켁시아(Cachexia), 영양실조, 나병, 당뇨병, 신장병, 만성 폐쇄성 폐병(Chronic O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암, 말기 신부전, 사르코페니아(Sarcopenia), 기종(Emphysema), 골연화증(Osteomalacia), HIV감염 및 심근증(Cardiomyopathy)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140054193A 2014-05-07 2014-05-07 두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소모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14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193A KR101614205B1 (ko) 2014-05-07 2014-05-07 두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소모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193A KR101614205B1 (ko) 2014-05-07 2014-05-07 두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소모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7910A true KR20150127910A (ko) 2015-11-18
KR101614205B1 KR101614205B1 (ko) 2016-05-02

Family

ID=54838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193A KR101614205B1 (ko) 2014-05-07 2014-05-07 두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소모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20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0961A (ko) * 2016-07-21 2018-01-3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위축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366919B1 (ko) * 2021-05-28 2022-02-2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이비채 상지, 두충, 오가피 및 흑두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 억제 기능성 건강식품 조성물
KR20220151285A (ko) 2021-05-06 2022-11-15 주식회사 바이오의생명공학연구소 두충 발효 포접체 추출물을 이용한 근 기능 증진 조성물
CN116173093A (zh) * 2022-07-26 2023-05-30 浙江大学 杜仲雄花提取物在制备抗肌肉衰老的食品或药物中的应用
WO2023113402A1 (ko) * 2021-12-13 2023-06-22 한국한의약진흥원 근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6173093B (zh) * 2022-07-26 2024-05-14 浙江大学 杜仲雄花提取物在制备抗肌肉衰老的食品或药物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564B1 (ko) * 2008-03-03 2010-04-01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0961A (ko) * 2016-07-21 2018-01-3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위축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20151285A (ko) 2021-05-06 2022-11-15 주식회사 바이오의생명공학연구소 두충 발효 포접체 추출물을 이용한 근 기능 증진 조성물
KR102366919B1 (ko) * 2021-05-28 2022-02-2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이비채 상지, 두충, 오가피 및 흑두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 억제 기능성 건강식품 조성물
WO2023113402A1 (ko) * 2021-12-13 2023-06-22 한국한의약진흥원 근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6173093A (zh) * 2022-07-26 2023-05-30 浙江大学 杜仲雄花提取物在制备抗肌肉衰老的食品或药物中的应用
CN116173093B (zh) * 2022-07-26 2024-05-14 浙江大学 杜仲雄花提取物在制备抗肌肉衰老的食品或药物中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4205B1 (ko) 2016-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985B1 (ko) 지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줄기세포로부터 근육세포로의 분화 촉진용 조성물,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운동수행 능력 향상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US20100105766A1 (en) Composition for inhibition or prevention of bone density reduction
KR101341692B1 (ko) 복합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성 말초 신경병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1614205B1 (ko) 두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소모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7132344B2 (ja) 悪液質および筋損失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組成物
KR102189891B1 (ko) 쌀겨 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65894B1 (ko) 살비아놀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10780B1 (ko) 백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13828B1 (ko) 지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줄기세포로부터 근육세포로의 분화 촉진용 조성물,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운동수행 능력 향상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20120112973A (ko) 비만 또는 제 2형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81929A (ko) 디에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또는 고인슐린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634982B1 (ko) 오스모틴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파킨슨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50272A (ko) 국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200022789A (ko) 디옥시콜산 (Deoxycholic acid)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근력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42400B1 (ko) 스트레스로 인한 염증성 질환의 예방용 기능성 식품
US20100093852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hikonin derivatives from lithospermum erythrorhiz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diabetes mellitus and the use thereof
KR20110099369A (ko) 당뇨 질환의 예방, 치료용 배초향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치료용 제제
KR101542694B1 (ko) 겉보리 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29596A (ko) 초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99530B1 (ko) 벤조피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중감소용 조성물
KR102216142B1 (ko) 알킬 갈레이트, 이의 유도체, 용매화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한 여성 갱년기 증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1687102B1 (ko) 뇌신경 질환 치료 타겟으로서 Brd2 용도
KR20230130432A (ko) miRNA204 억제제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56425A (ko) 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심근 손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68291A (ko) 자소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강화, 근력증가 또는 근감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