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5894B1 - 살비아놀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살비아놀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5894B1
KR102465894B1 KR1020220111439A KR20220111439A KR102465894B1 KR 102465894 B1 KR102465894 B1 KR 102465894B1 KR 1020220111439 A KR1020220111439 A KR 1020220111439A KR 20220111439 A KR20220111439 A KR 20220111439A KR 102465894 B1 KR102465894 B1 KR 102465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preventing
composition
formula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1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현일
양현
구동륜
육진아
김성철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111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8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894B1/ko
Priority to PCT/KR2023/010423 priority patent/WO202404899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16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benactizyne, clofibr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11Aromat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비아놀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살비아놀산, 구체적으로 살비아놀산 A(Salvianolic acid A) 또는 메틸 살비오놀레이트 A(Methyl salvionolate A)는 조골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효과가 우수하고, 메틸 살비오놀레이트 A는 파골세포 분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며, 난소절제 마우스에서 살비아놀산 A의 투여에 의해 골소실이 억제되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살비아놀산 A 또는 메틸 살비오놀레이트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살비아놀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bone disease comprising salvianolic acid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살비아놀산, 구체적으로 살비아놀산 A 또는 메틸 살비오놀레이트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골은 석회화된 견고한 표면과 골수로 불리는 내부의 세포 성분이 결합된 특수조직이다. 생리적으로 상이한 이 두 구조의 결합은 일생을 두고 지속되는 골의 재형성(bone remodeling) 과정에 기인한 것인데,이는 골에 가해지는 호르몬이나 물리적 자극에 의해 골수에 있는 파골세포(osteoclast)들이 골의 표면으로 모여 골을 파고 들어가면서 파괴하는 골흡수(bone resorption)가 일어난 자리에 모여든 조골세포(osteoblast)에 의한 골기질의 합성(bone formation)으로 설명된다.
골은 조골세포와 파골세포 활성의 균형을 유지함으로 골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이들의 활성으로 골의 재생이 지속적으로 일어난다. 그러나 조골세포보다 파골세포의 활성이 증가하면 골량이 감소하여 골다공증이 유발된다.
골질환 중 현재 가장 중요한 사회적 문제 중 하나인 골다공증은 낮은 골양과 골기질의 파괴로 골절의 위험과 골의 취약성이 증가되는 골격질환을 말한다. 골다공증은 폐경기 이후 여성에서 특히 빈번하게 발생하며, 이는 에스트로겐의 분비 감소에 의하여 뼈의 양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질환이다.
골다공증은 그 자체보다는 뼈의 약화에 따라 초래되는 각종 골절, 특히 대퇴골 골절 또는 척추골절이 더 문제가 되며, 골절로 인하여 장기간 활동을 제한하여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없게 되고, 노인층 사망의 15%에 대한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골다공증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물질로는 에스트로겐(estrogen), 남성화 스테로이드 호르몬(androgenic anabolic steroid), 칼슘 제제, 인산염, 불소 제제, 이프리플라본(Ipriflavone), 비타민 D3 등이 있다. 에스트로겐이나 골다공증 치료제로 알려진 에스트라디올(Estradiol)은 조골세포의 세포 고사를 억제하여 세포의 생존기간을 증가시키고 파골세포의 세포 고사를 촉진하여 세포의 생존기간을 감소시켜 폐경 증상의 치료와 골밀도 유지에 어느 정도 효과적인 방법이나 유방암, 자궁내막 증식증 등을 유발하는 부작용이 있다.
골다공증은 약물의 단기 투여만으로는 치료할 수 없고 약물의 장기 투여가 필수적인 질환이므로, 약물을 장기 투여할 때에도 상기와 같은 부작용이 없고 에스트로겐을 대체할 수 있을 만큼 우수한 약효를 갖는 새로운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골질환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2214406호에 호박덩굴손 유래 신규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2334305호에 블루베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골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살비아놀산, 구체적으로 살비아놀산 A 또는 메틸 살비오놀레이트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 살비아놀산, 구체적으로 살비아놀산 A 또는 메틸 살비오놀레이트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유효성분인 살비아놀산 A(salvianolic acid A) 또는 메틸 살비오놀레이트 A(Methyl salvionolate A)가 조골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것을 확인하고, 메틸 살비오놀레이트 A는 파골세포 분화를 억제하며, 난소절제 마우스에서 살비아놀산 A의 투여는 골소실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2092688786-pat00001
상기 식에서, R은 -OH 또는 -OMe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수의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살비아놀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살비아놀산, 구체적으로 살비아놀산 A(salvianolic acid A) 또는 메틸 살비오놀레이트 A(Methyl salvionolate A)는 조골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고, 메틸 살비오놀레이트 A(Methyl salvionolate A)는 파골세포 분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고, 난소절제 마우스에서 살비아놀산 A(salvianolic acid A)의 투여에 의해 골소실이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살비아놀산 A(salvianolic acid A) 또는 이의 유사체들의 조골세포 분화 촉진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군 대비 살비아놀산 A 또는 메틸 살비오놀레이트 A 처리군의 조골세포 분화 촉진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p<0.01이다.
도 2는 메틸 살비오놀레이트 A의 파골세포 분화 억제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군 대비 메틸 살비오놀레이트 A 처리군의 파골세포 분화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p<0.01이다.
도 3은 메틸 살비오놀레이트 A의 파골세포 전구세포에 대한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난소절제(OVX) 골소실 동물모델에서 살비아놀산 A(SAA) 섭취에 의한 골소실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BMD는 대퇴 해면골의 골밀도를 측정한 결과이고(A), BV/TV는 골체적을 확인한 결과이고(B), Tb.Th는 골두께를 측정한 결과이며(C), Tb.N은 골소주의 개수이다(D). Sham은 가수술 대조군이다. ##은 정상군(Sham) 대비 시료 무처리 난소절제군의 골밀도, 골체적 또는 골소주의 개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p<0.01이다. **은 난소절제군 대비 본 발명의 SAA 투여군의 골밀도, 골체적, 골두께 또는 골소주의 개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p<0.01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22092688786-pat00002
상기 식에서, R은 -OH 또는 -OMe이다.
R이 -OH이면 하기 화학식 2의 살비아놀산 A(salvianolic acid A)로 명명하고, R이 -OMe이면 하기 화학식 3의 메틸 살비오놀레이트 A(Methyl salvionolate A)로 명명한다.
Figure 112022092688786-pat00003
Figure 112022092688786-pat00004
상기 유효성분은 조골세포 분화를 촉진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서, 상기 골질환은 골소실에 의해 야기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골다공증, 골 소실증, 골연화증, 골 결손, 고관절 감소증 및 골 형성장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통상의 산부가염,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과염소산, 브롬산과 같은 무기산으로부터 유도된 염 및 개미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숙신산, 벤조산, 시트르산, 말레인산, 말론산, 말산, 타르타르산, 글루콘산, 락트산, 게스티스산, 푸마르산, 락토비온산, 살리실산, 프탈산, 엠본산,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아세틸살리실산과 같은 유기산으로부터 유도된 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염은 글리신, 알라닌, 발린, 아이소루신, 세린, 시스테인, 시스틴, 아스파라진산, 글루타민, 리신, 아르기닌, 타이로신, 프롤린과 같은 아미노산으로부터 유도된 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염은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벤젠설폰산, 톨루엔설폰산과 같은 설폰산류의 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캡슐제, 산제, 과립제, 정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및 에어로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캡슐제, 산제, 과립제, 정제, 환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액, 에멀전, 시럽, 에어로졸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 용제 및 현탁 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 시 피부 외용 또는 복강 내, 직장,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량의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서,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또는 음료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유효성분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인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유효성분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체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건강 음료로 사용할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텍스트린, 사이클로텐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g당 일반적으로 약 0.01~0.04g, 바람직하게는 약 0.02~0.03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중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은 100 중량부 당 0.01~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사료관리법상의 보조사료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료'는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곡물류, 근과류, 식품 가공 부산물류, 조류, 섬유질류, 제약 부산물류, 유지류, 전분류, 박류 또는 곡물 부산물류 등과 같은 식물성 사료; 단백질류, 무기물류, 유지류, 광물성류, 유지류, 단세포 단백질류, 동물성 플랑크톤류 또는 음식물 등과 같은 동물성 사료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수의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수의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른 적절한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수의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세탄올, 스테아릴알콜, 유동파라핀, 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60, 메칠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수의학적 조성물은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신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한 수의학적 조성물은 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고, 제형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용액,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좌제, 멸균 주사용액, 멸균 외용제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의학적 조성물은 그 용도에 따라 상기 유효성분을 유효한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한 양은 동물의 개체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질환 내지 상태의 중증도, 개체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개체의 유효성분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투여 기간, 상기 조성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다른 조성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생리 내지 수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하, 제조예 및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제조예 및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실시예 1. 조골세포 분화 촉진 효과 확인
중간엽줄기세포주(D1 ORL UVA)에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50㎍/㎖) 및 β-글리세로포스페이트(β-glycerophosphate, 5mM)를 7일 동안 처리하여 조골세포 분화를 유도하며 살비아놀산 A 또는 이의 유사체(메틸 살비오놀레이트 A, 살비아놀산 D, 살비아놀산 Y 또는 9'메틸 리토스퍼메이트 B)를 2, 10 및 20μM 처리하였다.
조골세포 분화에 따른 석회화(mineralization) 정도 확인을 위해 알리자린 레드 S(Alizarin red S)로 염색 후 10%(v/v) 아세트산을 이용해 세포에 염색된 알리자린 레드 S를 추출하여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살비아놀산 A 또는 메틸 살비오놀레이트 A는 농도 의존적으로 조골세포 분화를 촉진하였고, 살비아놀산 D, 살비아놀산 Y 및 9'메틸 리토스퍼메이트 B는 조골세포 분화 촉진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도 1).
실시예 2.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과 확인
골수세포 유래 대식세포(BMM, 파골세포 전구세포)를 M-CSF(60ng/㎖) 및 RANKL(50ng/㎖)을 포함하는 배지에 4일 동안 배양함으로써 파골세포 분화를 유도하며, 2, 10 및 20μM의 메틸 살비오놀레이트 A를 처리하였다.
파골세포 분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기질 파라-니트로페닐 포스페이트(para-nitrophenyl phosphate)를 사용하여 TRAP(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메틸 살비오놀레이트 A는 농도 의존적으로 파골세포의 분화를 억제하였다(도 2).
파골세포 분화 억제효과가 세포 독성에 의한 것인지 확인하고자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골수세포 유래 대식세포(BMM, 파골세포 전구세포)에 M-CSF(60ng/㎖) 및 메틸 살비오놀레이트 A(2, 10 및 20μM)를 1일 동안 처리 하였다.
파골세포 전구세포의 생존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세포 계수 키트-8(Cell counting Kit-8, Dojindo Inc.)을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생존율(Cell viability)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메틸 살비오놀레이트 A는 파골세포의 전구세포에 독성이 없었고(도 3), 이를 통해 상기 메틸 살비오놀레이트 A에 의한 파골세포 분화 억제효과는 세포사멸에 의한 결과가 아님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난소절제 골소실 동물모델에서 골소실 억제 효과 확인
C57BL/6J 암컷 마우스를 가수술(Sham) 및 난소절제(OVX) 수술한 후, 회복 7일차에 증류수 및 살비아놀산 A(10mg/kg 또는 50mg/kg)를, 1일 1회 총 6주 동안 경구 투여하였다.
난소절제 및 살비아놀산 A 투여에 따른 골소실 영향 분석을 위해, 마이크로 컴퓨터단층촬영(micro-CT)으로 마우스 대퇴 해면골의 골밀도(BMD), 골체적(BV/TV), 골두께(Tb.Th) 및 골수(Tb.N)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살비아놀산 A는 마우스 골소실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였다(도4).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 골 소실증, 골연화증, 골 결손, 고관절 감소증 및 골 형성장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2105326443-pat00005

    상기 식에서, R은 -OH 또는 -OMe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조골세포 분화를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질환은 골소실에 의해 야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캡슐제, 산제, 과립제, 정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및 에어로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 골 소실증, 골연화증, 골 결손, 고관절 감소증 및 골 형성장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골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2105326443-pat00006

    상기 식에서, R은 -OH 또는 -OMe이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9.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 골 소실증, 골연화증, 골 결손, 고관절 감소증 및 골 형성장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골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
    [화학식 1]
    Figure 112022105326443-pat00007

    상기 식에서, R은 -OH 또는 -OMe이다.
  10.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 골 소실증, 골연화증, 골 결손, 고관절 감소증 및 골 형성장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수의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2105326443-pat00008

    상기 식에서, R은 -OH 또는 -OMe이다.
KR1020220111439A 2022-09-02 2022-09-02 살비아놀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65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439A KR102465894B1 (ko) 2022-09-02 2022-09-02 살비아놀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CT/KR2023/010423 WO2024048998A1 (ko) 2022-09-02 2023-07-19 살비아놀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439A KR102465894B1 (ko) 2022-09-02 2022-09-02 살비아놀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5894B1 true KR102465894B1 (ko) 2022-11-11

Family

ID=84043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439A KR102465894B1 (ko) 2022-09-02 2022-09-02 살비아놀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65894B1 (ko)
WO (1) WO20240489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8998A1 (ko) * 2022-09-02 2024-03-07 한국 한의학 연구원 살비아놀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916B1 (ko) * 2005-11-29 2007-06-11 주식회사 바이오 솔로몬 단삼 추출물 및 키토산을 포함하는 골손실 방지용 조성물
CN103690519B (zh) * 2013-12-19 2016-04-13 中国人民解放军南京军区南京总医院 丹酚酸a在制备治疗肿瘤多药耐药性药物中的应用
KR20180055519A (ko) * 2016-11-17 2018-05-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살비아논산 에이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85592B1 (ko) * 2018-05-28 2020-03-0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살비아놀릭산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81164A (ko) * 2019-12-23 2021-07-01 주식회사 유머스트알엔디 단삼음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465894B1 (ko) * 2022-09-02 2022-11-11 한국 한의학 연구원 살비아놀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rontiers in Pharmacology, 10, Article 97/1-13, 2019. *
Hinfawi Oxidative Medicine and Cellular Longevity, 2020, Article ID 5472096/1-9, 2020. *
PLoS ONE, 7(4), e334647/1-17, 2012.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8998A1 (ko) * 2022-09-02 2024-03-07 한국 한의학 연구원 살비아놀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48998A1 (ko) 202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05766A1 (en) Composition for inhibition or prevention of bone density reduction
KR101737046B1 (ko) 리나닐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2020533012A (ja) 益智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骨関節炎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組成物
KR102465894B1 (ko) 살비아놀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69208B1 (ko) 사우치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슐린 저항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08144B1 (ko) 아젤라신 d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11219656B2 (en) Method of using composition containing Hovenia dulcis Thunb.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bone diseases
KR20130081929A (ko) 디에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또는 고인슐린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112973A (ko) 비만 또는 제 2형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57525A (ko) 우슬 추출물 및 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80048395A (ko) 담즙산을 포함하는 허혈성 재관류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20152006A (ko) 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05555B1 (ko) 신이 활성 화합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448274B1 (ko) 보골지 추출물의 조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80295B1 (ko) 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10703B1 (ko) 석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39978B1 (ko) 크로멘-4-온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형성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KR102487651B1 (ko) 밀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57984B1 (ko) 솔라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대사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20974B1 (ko) 신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64690B1 (ko) 대나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2216142B1 (ko) 알킬 갈레이트, 이의 유도체, 용매화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한 여성 갱년기 증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1320975B1 (ko) 신이 활성 화합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94302B1 (ko) 당뇨병 또는 고지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효한 매엽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포함된 조성물
KR20230000907A (ko) 커큐민 유도체와 TGF-β 수용체 억제제의 병용투여를 통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치료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