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7893A - 캐리어 부재를 이용한 임베디드 타입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캐리어 부재를 이용한 임베디드 타입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7893A
KR20150127893A KR1020140054062A KR20140054062A KR20150127893A KR 20150127893 A KR20150127893 A KR 20150127893A KR 1020140054062 A KR1020140054062 A KR 1020140054062A KR 20140054062 A KR20140054062 A KR 20140054062A KR 20150127893 A KR20150127893 A KR 20150127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p
core layer
embedded
layer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3931B1 (ko
Inventor
김민준
이종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심텍
Priority to KR1020140054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3931B1/ko
Publication of KR20150127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7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2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components moun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e.g. insert mounted components [IMC]
    • H05K1/185Components encapsulated in the insulating substrate of the printed circuit or incorporated in internal layers of a multilayer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11Working of insulating substrates or insulating layers
    • H05K3/0044Mechanical working of the substrate, e.g. drilling or punch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0Forming 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3/42Plated through-holes or plated via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97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having cavities, e.g. for mounting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Abstract

내장 칩을 칩 삽입 홀 내에 내장함으로써, 두께 및 부피를 최소화하면서도, 전기적 연결 경로를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내부 회로패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캐리어 부재를 이용한 임베디드 타입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임베디드 타입 인쇄회로기판은 상면 및 하면을 구비하며, 상기 상면 및 하면을 각각 관통하는 관통 비아 및 칩 삽입 홀을 구비하는 코어층; 상기 코어층의 상면 및 하면과, 상기 관통 비아 내에 형성된 내부 회로패턴; 상기 코어층의 칩 삽입 홀 내에 삽입된 내장 칩; 상기 칩 삽입 홀 내에 충진되어, 상기 내장 칩을 보호하는 충진 부재; 상기 코어층의 상면 및 하면을 덮으며, 상기 내장 칩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1 비아 홀과, 상기 내부 회로패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 비아 홀을 각각 갖는 제1 및 제2 수지층; 상기 제1 및 제2 수지층 상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 비아 홀을 통해 상기 내장 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부 접속패턴; 및 상기 제1 및 제2 수지층 상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2 비아 홀을 통해 상기 내부 회로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부 회로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캐리어 부재를 이용한 임베디드 타입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EMBEDDED TYPE PRINTED CIRCUIT BOARD USING CARRIER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임베디드 타입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장 칩을 칩 삽입 홀 내에 내장함으로써, 두께 및 부피를 최소화하면서도, 전기적 연결 경로를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내부 회로패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캐리어 부재를 이용한 임베디드 타입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 PCB)은 내부 회로층 형성, 프레스 공정, 드릴링 공정, 외부 회로층 형성, 솔더 마스크 형성 등의 과정을 진행하여 제조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제조된 인쇄회로기판의 칩 실장 영역에 표면실장 기술을 이용하여 칩(Chip)을 실장하고 있다.
즉, 인쇄회로기판이 만들어진 이후에는 다이 어태치 장치를 이용한 표면실장 공정으로 칩을 실장하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의 두께와 부품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데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특히, 고속 동작을 요하는 고 사양의 제품 개발로 인해 부품의 두께를 줄이는 것은 한계점에 이르렀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임베디드 타입(Embedded Type)의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개발이 선호되고 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44978호(2013.05.03. 공개)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임베디드 인쇄회로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장 칩을 칩 삽입 홀 내에 내장함으로써, 두께 및 부피를 최소화하면서도, 전기적 연결 경로를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임베디드 타입의 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 회로패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더불어, 코어층의 두께를 내장 칩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하여 슬림한 임베디드 타입 인쇄회로기판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베디드 타입 인쇄회로기판은 상면 및 하면을 구비하며, 상기 상면 및 하면을 각각 관통하는 관통 비아 및 칩 삽입 홀을 구비하는 코어층; 상기 코어층의 상면 및 하면과, 상기 관통 비아 내에 형성된 내부 회로패턴; 상기 코어층의 칩 삽입 홀 내에 삽입된 내장 칩; 상기 칩 삽입 홀 내에 충진되어, 상기 내장 칩을 보호하는 충진 부재; 상기 코어층의 상면 및 하면을 덮으며, 상기 내장 칩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1 비아 홀과, 상기 내부 회로패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 비아 홀을 각각 갖는 제1 및 제2 수지층; 상기 제1 및 제2 수지층 상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 비아 홀을 통해 상기 내장 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부 접속패턴; 및 상기 제1 및 제2 수지층 상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2 비아 홀을 통해 상기 내부 회로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부 회로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베디드 타입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은 (a) 캐리어 부재의 상면 및 하면에 더미 금속층을 형성한 후, 1차 드릴링하여 더미 금속 패턴 및 칩 삽입 홀을 갖는 코어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칩 삽입 홀 내에 내장 칩을 삽입한 후, 상기 내장 칩을 보호하는 충진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더미 금속패턴을 제거한 후, 상기 코어층을 2차 드릴링하여 관통 비아를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코어층의 상면 및 하면과 관통 비아 내에 내부 회로패턴을 형성한 후, 상기 코어층의 상면 및 하면에 제1 수지층 및 제1 동박과, 제2 수지층 및 제2 동박을 차례로 적층하는 단계; (e) 상기 제1 동박 및 제1 수지층과, 제2 동박 및 제2 수지층을 3차 드릴링하여 상기 내부 회로패턴의 일부 및 상기 내장 칩의 일부를 각각 노출되는 제1 및 제2 비아 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1 및 제2 수지층 상에 상기 제1 비아 홀을 통해 내장 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부 접속패턴과, 상기 제2 비아 홀을 통해 내부 회로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부 회로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부재를 이용한 임베디드 타입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은 코어층, 씨드층 및 금속층이 차례로 적층된 캐리어 부재의 상면 및 하면에 더미 금속층을 형성한 후, 칩 삽입 홀 내에 내장 칩의 삽입 및 충진제의 도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충진제의 침투로 내부 회로패턴이 손상될 염려가 없으므로 내부 회로패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부재를 이용한 임베디드 타입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은 캐리어 부재의 상면 및 하면에 더미 금속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내장 칩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코어층의 두께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실질적인 코어층의 두께를 내장 칩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슬림한 임베디드 타입의 기판 제작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부재를 이용한 임베디드 타입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은 충진 부재를 이용하여 내장 칩을 고정시킴으로써, 고가의 칩 접합용 필름이 이용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코어층의 상면 및 하면에 일괄적으로 적층을 진행하기 때문에 공정 간소화를 통해 비용 절감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베디드 타입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베디드 타입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을 공정 순서에 따라 차례로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부재를 이용한 임베디드 타입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베디드 타입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베디드 타입 인쇄회로기판(100)은 코어층(111), 내장 칩(130), 충진 부재(145), 내부 회로패턴(150), 제1 및 제2 수지층(160, 170), 외부 접속패턴(180) 및 외부 회로패턴(182)을 포함한다.
코어층(111)은 상면 및 상면에 반대되는 하면을 구비하며, 상면 및 하면을 각각 관통하는 관통 비아(도 8의 TH) 및 칩 삽입 홀(도 5의 CH)을 갖는다. 이러한 코어층(111)은 인쇄회로기판(100)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그 재질로는 프리프레그(prepreg), 폴리이미드 수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칩 삽입 홀은 내장 칩(130)을 수용하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이때, 칩 삽입 홀이 코어층(111)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도 있다.
내장 칩(130)은 코어층(111)의 칩 삽입 홀 내에 삽입된다. 이러한 내장 칩(130)은 메모리 칩(memory chip), 구동 칩(driving chip), 커패시터(capacitor), 인버터(inverter) 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특히, 내장 칩(130)은 코어층(111)의 상면 및 하면으로 일부가 각각 돌출된다.
이때, 내장 칩(130)은 코어층(111)의 칩 삽입 홀 내에 내장되며, 제1 비아 홀(도 11의 V1)을 통해 외부 접속패턴과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된다. 이와 같이, 코어층(111)의 내부에 내장 칩(130)이 내장되는데 기인하여 인쇄회로기판(100)의 두께 및 부피를 최소화하면서도, 와이어 본딩을 이용하는 기술과 비교해볼 때 전기적 연결 경로가 획기적으로 단축될 수 있다.
충진 부재(145)는 칩 삽입 홀 내에 충진되어, 내장 칩(130)을 보호한다. 이러한 충진 부재(145)는 코어층(111)의 칩 삽입 홀 내에 완벽히 채워지며, 표면 평탄화 처리에 의해 그 표면이 매끄럽게 개질된다. 이때, 충진 부재(145)는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비전도성 잉크(non-conductive ink) 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내부 회로패턴(150)은 코어층(111)의 상면 및 하면과, 관통 비아 내에 형성된다. 내부 회로패턴(150)은 제1 씨드층(미도시)을 매개로 한 도금 공정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 회로패턴(150)과 대응되는 하부에는 제1 씨드 패턴(116)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지층(160, 170)은 코어층(111)의 상면 및 하면을 덮으며, 내장 칩(130)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1 비아 홀(도 11의 V1)과, 내부 회로패턴(150)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 비아 홀(도 11의 V2)을 각각 갖는다.
이때, 제1 비아 홀은 내장 칩(130)의 일단 및 타단을 각각 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비아 홀은 제1 비아 홀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지층(160, 170)의 재질로는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외부 접속패턴(180)은 제1 및 제2 수지층(160, 170) 상에 각각 배치되어, 제1 비아 홀을 통해 내장 칩(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외부 회로패턴(182)은 제1 및 제2 수지층(160, 170) 상에 배치되어, 제2 비아 홀을 통해 내부 회로패턴(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베디드 타입 인쇄회로기판(100)은 제1 및 제2 솔더 마스크 패턴(192, 194), 표면 처리층(190) 및 외부접속단자(1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솔더 마스크 패턴(192, 194)은 외부 회로패턴(182)의 일부는 노출시키고, 제1 및 제2 수지층(160, 170)과 외부 접속패턴(180)의 전면을 덮는다. 이때, 제1 및 제2 솔더 마스크 패턴(192, 194)은 PSR(photo solder resist), 감광성 액상 커버레이(liquid photosensitive coverlay), 포토 폴리이미드 필름(photo polyimide film), 에폭시(epoxy) 수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표면 처리층(190)은 외부 접속패턴(180) 및 외부 회로패턴(182)의 표면 상에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표면 처리층(190)의 재질로는 니켈/팔라듐(Ni/Pd)합금, 니켈/금(Ni/Au) 합금이나, 금(Au)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표면 처리층(190)은 전해 도금 또는 무전해 도금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외부접속단자(195)는 표면 처리층(190) 상에 부착되며, 솔더 볼이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접속단자(195)는 외부 접속패턴(180) 및 외부 회로패턴(18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베디드 타입 인쇄회로기판은 코어층, 씨드층 및 금속층이 차례로 적층된 캐리어 부재의 상면 및 하면에 더미 금속층을 형성한 후, 칩 삽입 홀 내에 내장 칩의 삽입 및 충진제의 도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충진제의 침투로 내부 회로패턴이 손상될 염려가 없으므로 내부 회로패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베디드 타입 인쇄회로기판은 캐리어 부재의 상면 및 하면에 더미 금속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내장 칩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코어층의 두께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실질적인 코어층의 두께를 내장 칩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되기 때문에 슬림한 임베디드 타입의 기판 제작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베디드 타입 인쇄회로기판은 충진 부재를 이용하여 내장 칩을 고정시킴으로써, 고가의 칩 접합용 필름이 이용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코어층의 상면 및 하면에 일괄적으로 적층을 진행하기 때문에 공정 간소화를 통해 비용 절감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부재를 이용한 임베디드 타입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베디드 타입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을 공정 순서에 따라 차례로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층(111)과, 코어층(111)의 양면에 각각 부착된 씨드층(112)이 차례로 적층된 3층 구조를 갖는 캐리어 부재(110)를 마련한다.
다음으로, 캐리어 부재(110)의 상면 및 하면에 더미 금속층(120)을 형성한다. 이때, 더미 금속층(120)은 코어층(111)의 강도 및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목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두께는 5 ~ 30㎛를 갖는 것이 적절하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 금속층(도 2의 120)이 형성된 캐리어 부재의 상면 및 하면을 1차 드릴링하여 더미 금속패턴(122) 및 칩 삽입 홀(CH)을 갖는 코어층(111)을 형성한다.
1차 드릴링은 칩 삽입 홀 형성 영역에 대응되는 더미 금속층 및 씨드층(도 2의 112)을 펀칭 가공, 기계적 드릴링으로 제거한 후, 그 하부로 노출된 코어층(111)을 레이저 드릴링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1차 드릴링에 의해, 코어층(111)의 상면 및 하면에는 칩 삽입 홀 형성 영역의 외측으로 씨드 패턴(114) 및 더미 금속패턴(122)이 차례로 적층 형성되고, 칩 삽입 홀 형성 영역에는 코어층(111)을 관통하는 칩 삽입 홀(CH)이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칩 삽입 홀(CH)을 갖는 코어층(111)의 하면에 캐리어 필름(200)을 부착한 후, 캐리어 필름(200)을 매개로 칩 삽입 홀(CH) 내에 내장 칩(130)을 삽입한다. 이때, 내장 칩(130)은 칩 삽입 홀(CH)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캐리어 필름(200)에 부착되어, 코어층(111)의 칩 삽입 홀(CH) 내에 삽입된다. 내장 칩(130)으로는 메모리 칩(memory chip), 구동 칩(driving chip), 커패시터(capacitor), 인버터(inverter) 등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층(111)의 칩 삽입 홀(도 5의 CH) 내에 충진제(140)를 도포하여 내장 칩(130)을 밀봉한다. 이때, 충진제(140)는 코어층(111)의 칩 삽입 홀 내에 완벽히 채워지며, 내장 칩(130)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칩 삽입 홀의 외부로 일부가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충진제(140)로는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비전도성 잉크(non-conductive ink) 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장 칩(130)의 상면을 덮는 충진제(도 6의 140)를 경화한 후 표면 평탄화 처리를 실시하거나, 또는 충진제를 표면 평탄화 처리한 후 경화하여 상기 내장 칩(130)을 보호하는 충진 부재(145)를 형성한다. 이때, 표면 평탄화 처리는 샌딩 방법, 브러싱 방법, 스크러빙 방법 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표면 평탄화 처리에 의해, 충진 부재(145)의 표면이 매끄럽게 개질되며, 더미 금속패턴(122)의 표면과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층(111)의 하면에 부착된 캐리어 부재(도 7의 200)를 제거한다. 이에 따라, 코어층(111)의 상면 및 하면에 배치된 더미 금속패턴(도 7의 122)이 외부로 노출된다.
다음으로, 코어층(111)의 상면 및 하면에 배치된 더미 금속패턴을 제거한 후, 코어층(111)을 2차 드릴링하여 관통 비아(TH)를 형성한다. 이때, 더미 금속패턴은 습식 식각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2차 드릴링은 레이저 드릴링이 이용될 수 있다.
더미 금속패턴의 제거로, 씨드 패턴(114)과 충진 부재(145)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층(111)의 상면 및 하면과 관통 비아 내에 내부 회로패턴(150)을 형성한다. 이때, 내부 회로패턴(150)은 코어층(111) 상면의 씨드 패턴(도 7의 114)을 매개로 한 도금 공정을 실시하여 내부 회로층(미도시)을 형성한 후, 내부 회로층을 선택적으로 식각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 회로패턴(150)과 대응되는 하부에는 씨드 메탈 패턴(116)이 형성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층(111)의 상면 및 하면에 제1 수지층(160) 및 제1 동박(161)과, 제2 수지층(170) 및 제2 동박(171)을 차례로 적층한다.
제1 및 제2 수지층(160, 170)은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제1 수지층(160) 및 제1 동박(161)과 제2 수지층(170) 및 제2 동박(171)은 코어층(111)의 상면과 이격된 상부에 제1 수지층(160) 및 제1 동박(161)을 차례로 배치시키고, 코어층(111)의 하면과 이격된 하부에 제2 수지층(170) 및 제2 동박(171)을 차례로 배치시킨 상태에서 열 압착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적층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동박(161) 및 제1 수지층(160)과, 제2 동박(171) 및 제2 수지층(170)을 3차 드릴링하여 내부 회로패턴(150)의 일부 및 내장 칩(130)의 일부를 각각 노출되는 제1 및 제2 비아 홀(V1, V2)을 형성한다. 이때, 제1 비아 홀(V1)은 내장 칩(130)의 일단 및 타단을 각각 노출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3차 드릴링은 펀칭 가공, 기계적 드릴링, 레이저 드릴링 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수지층(160, 170) 상에 제1 비아 홀(도 11의 V1)을 통해 내장 칩(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부 접속패턴(180)과, 제2 비아 홀(도 11의 V2)을 통해 내부 회로패턴(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부 회로패턴(182)을 형성한다.
이러한 외부 접속패턴(180)과 외부 회로패턴(182)은 제1 및 제2 수지층(160, 170) 상에 메탈 씨드층(미도시)을 형성한 후, 메탈 씨드층을 매개로 한 도금 공정을 실시하여 제1 및 제2 수지층(160, 170)의 상면과 관통 비아 내에 외부 회로층(미도시)을 형성하고 나서, 외부 회로층을 선택적으로 식각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접속패턴(180) 및 외부 회로패턴(182)과 대응되는 하부에는 제1 메탈 씨드 패턴(162) 및 제2 메탈 씨드 패턴(17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회로패턴(182)의 일부는 노출시키고, 제1 및 제2 수지층(160, 170)과 외부 접속패드(180)의 전면을 덮는 제1 및 제2 솔더 마스크 패턴(192, 194)을 형성한다. 이때, 제1 및 제2 솔더 마스크 패턴(192, 194)은 PSR(photo solder resist), 감광성 액상 커버레이(liquid photosensitive coverlay), 포토 폴리이미드 필름(photo polyimide film), 에폭시(epoxy) 수지 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외부 접속패턴(180) 및 외부 회로패턴(182)에 표면 처리층(190)을 형성한 후, 외부접속단자(195)를 부착한다.
이때, 표면 처리층(190)의 재질로는 니켈/팔라듐(Ni/Pd)합금, 니켈/금(Ni/Au) 합금이나, 금(Au)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표면 처리층(190)은 전해 도금 또는 무전해 도금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외부접속단자(195)는 표면 처리층(190)에 부착되며, 솔더 볼이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부재를 이용한 임베디드 타입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은 캐리어 부재의 상면 및 하면에 더미 금속층을 형성하고, 내장 칩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코어층의 두께를 확보한 상태에서 칩 삽입 홀 형성 영역에 배치되는 더미 금속층, 금속층 및 씨드층을 차례로 제거한 후, 칩 삽입 홀 형성 영역에 배치되는 코어층을 레이저 드릴링으로 제거하여 칩 삽입 홀을 형성하고, 칩 삽입 홀 내에 내장 칩을 삽입한 후, 충진제를 도포하여 내장 칩을 고정하는 것에 의해 코어층의 강도 및 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내장 칩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베디드 타입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은 코어층의 칩 삽입 홀 내에 충진된 충진제를 경화시킨 후, 표면 평탄화 처리를 실시하여 그 표면 매끄럽게 개질한 후, 더미 금속층을 제거하고 나서 내층 작업 및 외층 작업을 실시함으로써, 공정 간소화를 통해 비용 절감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인쇄회로기판 111 : 코어층
116 : 씨드 메탈 패턴 130 : 내장 칩
145 : 충진 부재 150 : 내부 회로패턴
160 : 제1 수지층 162 : 제1 메탈 씨드 패턴
170 : 제2 수지층 172 : 제2 메탈 씨드 패턴
180 : 외부 접속패턴 182 : 외부 회로패턴
190 : 표면 처리층 192 : 제1 솔더 마스크 패턴
194 : 제2 솔더 마스크 패턴 195 : 외부접속단자

Claims (12)

  1. 상면 및 하면을 구비하며, 상기 상면 및 하면을 각각 관통하는 관통 비아 및 칩 삽입 홀을 구비하는 코어층;
    상기 코어층의 상면 및 하면과, 상기 관통 비아 내에 형성된 내부 회로패턴;
    상기 코어층의 칩 삽입 홀 내에 삽입된 내장 칩;
    상기 칩 삽입 홀 내에 충진되어, 상기 내장 칩을 보호하는 충진 부재;
    상기 코어층의 상면 및 하면을 덮으며, 상기 내장 칩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1 비아 홀과, 상기 내부 회로패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 비아 홀을 각각 갖는 제1 및 제2 수지층;
    상기 제1 및 제2 수지층 상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 비아 홀을 통해 상기 내장 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부 접속패턴; 및
    상기 제1 및 제2 수지층 상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2 비아 홀을 통해 상기 내부 회로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부 회로패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베디드 타입 인쇄회로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칩은
    상기 코어층의 상면 및 하면으로 일부가 각각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베디드 타입 인쇄회로기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칩은
    메모리 칩(memory chip), 구동 칩(driving chip), 커패시터(capacitor) 및 인버터(inverter)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베디드 타입의 인쇄회로기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 부재는
    상기 내장 칩의 측면 및 상면을 덮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베디드 타입 인쇄회로기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 부재는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및 비전도성 잉크(non-conductive ink)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베디드 타입 인쇄회로기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외부 회로패턴의 일부는 노출시키고, 상기 제1 및 제2 수지층과 외부 접속패턴의 전면을 덮는 제1 및 제2 솔더 마스크 패턴과,
    상기 외부 접속패턴 및 외부 회로패턴에 부착된 외부접속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베디드 타입 인쇄회로기판.
  7. (a) 캐리어 부재의 상면 및 하면에 더미 금속층을 형성한 후, 1차 드릴링하여 더미 금속 패턴 및 칩 삽입 홀을 갖는 코어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칩 삽입 홀 내에 내장 칩을 삽입한 후, 상기 내장 칩을 보호하는 충진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더미 금속패턴을 제거한 후, 상기 코어층을 2차 드릴링하여 관통 비아를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코어층의 상면 및 하면과 관통 비아 내에 내부 회로패턴을 형성한 후, 상기 코어층의 상면 및 하면에 제1 수지층 및 제1 동박과, 제2 수지층 및 제2 동박을 차례로 적층하는 단계;
    (e) 상기 제1 동박 및 제1 수지층과, 제2 동박 및 제2 수지층을 3차 드릴링하여 상기 내부 회로패턴의 일부 및 상기 내장 칩의 일부를 각각 노출되는 제1 및 제2 비아 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1 및 제2 수지층 상에 상기 제1 비아 홀을 통해 내장 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부 접속패턴과, 상기 제2 비아 홀을 통해 내부 회로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부 회로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베디드 타입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코어층의 하면에 캐리어 필름을 부착한 후, 상기 캐리어 필름을 매개로 상기 칩 삽입 홀 내에 내장 칩을 삽입하는 단계와,
    (b-2) 상기 칩 삽입 홀 내에 충진제를 도포하여, 상기 내장 칩을 밀봉하는 단계와,
    (b-3) 상기 내장 칩의 상면을 덮는 충진제를 경화한 후 표면 평탄화 처리를 실시하거나, 또는 충진제를 표면 평탄화 처리한 후 경화하여 상기 내장 칩을 보호하는 충진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베디드 타입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제는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및 비전도성 잉크(non-conductive ink) 중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베디드 타입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2) 단계에서,
    상기 표면 평탄화 처리는
    샌딩 방법, 브러싱 방법 및 스크러빙 방법 중 어느 하나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베디드 타입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내장 칩은
    메모리 칩(memory chip), 구동 칩(driving chip), 커패시터(capacitor) 및 인버터(inverter)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베디드 타입의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
    (f) 상기 외부 회로패턴의 일부를 노출시키고, 상기 제1 및 제2 수지층과 외부 접속패턴의 전면을 덮는 제1 및 제2 솔더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g) 상기 외부 접속패턴 및 외부 회로패턴에 외부접속단자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베디드 타입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
KR1020140054062A 2014-05-07 2014-05-07 캐리어 부재를 이용한 임베디드 타입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 KR101603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062A KR101603931B1 (ko) 2014-05-07 2014-05-07 캐리어 부재를 이용한 임베디드 타입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062A KR101603931B1 (ko) 2014-05-07 2014-05-07 캐리어 부재를 이용한 임베디드 타입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7893A true KR20150127893A (ko) 2015-11-18
KR101603931B1 KR101603931B1 (ko) 2016-03-17

Family

ID=54838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062A KR101603931B1 (ko) 2014-05-07 2014-05-07 캐리어 부재를 이용한 임베디드 타입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39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5666A (ko) * 2017-05-15 2018-11-26 주식회사 심텍 캐리어 글래스를 이용한 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5366B2 (ja) * 2000-01-31 2012-02-29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配線基板の製造方法
KR100725481B1 (ko) 2006-02-24 2007-06-07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 소자 내장형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5666A (ko) * 2017-05-15 2018-11-26 주식회사 심텍 캐리어 글래스를 이용한 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3931B1 (ko) 2016-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4368B2 (en) Flying tail type rigid-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JP5997260B2 (ja) 印刷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37331A (ko)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JP2008112996A (ja) 印刷回路基板の製造方法
JP2010219121A (ja) 半導体装置及び電子装置
CN109788666B (zh) 线路基板及其制作方法
KR102134019B1 (ko) 볼 랜드를 포함하는 기판 및 반도체 패키지와, 그 제조방법
JP2008282842A (ja) 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11812556B2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96705B1 (ko) 칩 내장형 pcb 및 그 제조 방법과, 그 적층 패키지
US20160037647A1 (en) Wiring board with built-in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60010960A (ko)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US20140174805A1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56810B1 (ko) 전자부품내장형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JP5599860B2 (ja) 半導体パッケージ基板の製造方法
KR20140103787A (ko) 칩 내장형 임베디드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16814A (ko) 소자 내장형 연성회로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JP6798076B2 (ja) エンベデッド基板及びエンベデッド基板の製造方法
KR101603931B1 (ko) 캐리어 부재를 이용한 임베디드 타입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
US20120266463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 board
KR20090063116A (ko) 반도체 장치용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01125A (ko) 복합 직접회로소자 패키지 제조방법
KR101158213B1 (ko) 전자부품 내장형 인쇄회로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00071568A (ko) 절연층 아래로 매립된 최외각 회로층을 갖는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36914A (ko)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