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7641A -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 - Google Patents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27641A KR20150127641A KR1020157027252A KR20157027252A KR20150127641A KR 20150127641 A KR20150127641 A KR 20150127641A KR 1020157027252 A KR1020157027252 A KR 1020157027252A KR 20157027252 A KR20157027252 A KR 20157027252A KR 20150127641 A KR20150127641 A KR 2015012764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chine
- water
- bucket
- tank
- connec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57—Water-level indicato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특히 에스프레소 커피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로서, 베이스(2) 및 음료를 토출하기 위한 헤드(3)를 포함하고, 헤드는 음료의 적어도 하나의 원료의 일부, 특히 1 회분의 볶아서 분쇄한 커피를 수용하도록 된 추출 체임버를 구비하고, 펌프(5)에 의해 물통(4)에 접속된다. 이 기계는 토출 헤드(3)에 의해 토출되는 음료의 용기(6a)를 위한 지지대(6)를 포함한다. 음료 용기의 지지대(6)는 토출 헤드(3)와 물통(4)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재되므로, 베이스(2)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선(A)이 토출 헤드(3), 지지대(6) 및 물통(4)을 통과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계 내에 수용된 다량의 물을 사용하여 분할량으로 제조된 원료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에 관한 것이다. 분할량으로 제조된 원료는 카트리지 또는 포드(pod) 내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볶아서 분쇄한 커피 또는 용해성 커피 또는 분말 형태, 잎사귀 형태 또는 동결 건조된 형태의 식용 물질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농축물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카트리지나 포드 내에 수용된 1 회분의 볶아서 분쇄한 커피로부터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기계에 관한 것이다.
분할량으로 제조되어 카트리지 또는 포드 내에 수용된 원료로 음료, 특히 에스프레소 커피를 제조하기 위한 가정용 기계의 인기는 상승 중에 있고, 동시에 상기 기계가 설치되는 실내의 공간에 이 기계를 적합시킬 필요성도 증가일로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선택은 대부분 내부 부품의 재설계를 통해 기계의 치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이것은 얻어지는 음료의 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기계의 공간 점유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부품 중 하나는 음료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물의 물통이고, 이것은 통상적으로 이 기계의 측면 중 하나의 측면 상에 배치되는 부품의 외형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얻어진 음료의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고도 공간 점유를 감소시킨, 분할량으로 제조된 원료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를 제공함으로써 배경 기술의 결점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 목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통의 크기가 기계의 주위 공간 점유에 영향을 주지 않는, 분할량으로 제조된 원료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추출 프로세스를 중단하거나 추출 프로세스에 영향을 주지 않고 분할량으로 제조된 원료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중에도 물통을 충전 및/또는 보충할 수 있고, 이 목적을 위해 물통을 자신의 시트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분할량으로 제조된 원료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목적은 물통 내의 스케일의 형성의 위험성 및 가능한 미생물의 번식으로 인한 물통 내에 수집된 물의 품질의 변질을 가소시키도록 물통을 기계의 내측의 열원으로부터 이격하여 유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증발 현상에 기인되어 물통 내의 물의 체적의 감소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상기 증발 현상에 의해 발생된 수증기가 기계 내측의 부품을 손상시켜 수명을 감소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분할량으로 제조된 원료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뢰성이 높고, 제공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고, 가격 경쟁력이 있는 분할량으로 제조된 원료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 뿐만 아니라 이하에서 명백하게 될 이들 목적 및 다른 목적은 베이스 및 음료를 토출하기 위한 헤드를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로서, 헤드는 음료의 적어도 하나의 원료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된, 그리고 펌프에 의해 물통에 접속된 추출 체임버를 구비하고, 이 기계는 토출 헤드에 의해 토출되는 음료의 용기를 위한 지지대를 포함하고, 음료 용기의 지지대는 토출 헤드와 물통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재되므로 토출 헤드, 음료 용기의 지지대 및 물통을 베이스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선이 통과하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 및 장점은 첨부한 도면에서 비제한적인 실시예로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분할량으로 제조된 원료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의 바람직하지만 비배타적인 실시형태로부터 더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계의 제 1 실시형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기계의 물통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기계의 물통의 평면도이고;
도 4a, 도 4b 및 도 4c는 각각 도 3의 A-A, B-B 및 C-C 면을 따른 물통의 단면도이고;
도 5는 사용을 위한 정상적 구성의 도 1의 기계의 길이방향의 중심 평면을 따른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보충을 위해 물통을 부분적으로 인출한 도 1의 기계의 길이방향의 중심 평면을 따른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7은 기계로부터 분리 전에 물통이 완전히 인출된 구성의 도 1의 기계의 길이방향의 중심 평면의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계의 제 2 실시형태의 부분 절취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기계의 물통의 사시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2 개의 상이한 물통의 위치에서 도 8의 기계에서 사용되는 물통의 펌프를 구비한 밸브 및 커넥터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8의 기계의 하부 부품의 길이방향의 중심 평면을 따르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보충을 허용하도록 물통이 부분적으로 인출된 도 8의 기계의 부분 절취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기계의 하부 부품의 길이방향의 중심 평면을 따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물통이 기계로부터 분리되기 전의 위치에 있는 도 8의 기계의 부분 절취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기계의 하부 부품의 길이방향의 중심 평면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기계의 물통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기계의 물통의 평면도이고;
도 4a, 도 4b 및 도 4c는 각각 도 3의 A-A, B-B 및 C-C 면을 따른 물통의 단면도이고;
도 5는 사용을 위한 정상적 구성의 도 1의 기계의 길이방향의 중심 평면을 따른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보충을 위해 물통을 부분적으로 인출한 도 1의 기계의 길이방향의 중심 평면을 따른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7은 기계로부터 분리 전에 물통이 완전히 인출된 구성의 도 1의 기계의 길이방향의 중심 평면의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계의 제 2 실시형태의 부분 절취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기계의 물통의 사시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2 개의 상이한 물통의 위치에서 도 8의 기계에서 사용되는 물통의 펌프를 구비한 밸브 및 커넥터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8의 기계의 하부 부품의 길이방향의 중심 평면을 따르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보충을 허용하도록 물통이 부분적으로 인출된 도 8의 기계의 부분 절취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기계의 하부 부품의 길이방향의 중심 평면을 따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물통이 기계로부터 분리되기 전의 위치에 있는 도 8의 기계의 부분 절취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기계의 하부 부품의 길이방향의 중심 평면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100 미만의 숫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요소를 표시하고, 100 이상의 숫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요소를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계는 고려되는 실시형태에 따라 참조번호 1 또는 101로 일반적으로 표시되고, 베이스(2, 102) 및 음료를 토출하기 위한 헤드(3, 103)를 포함하고, 헤드는 음료의 적어도 하나의 원료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된 추출 체임버(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고, 상기 원료의 일부는 카트리지 또는 포드 내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설명에서, 기계(1, 101)는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기계이고, 특정의 경우 실제로 에스프레소 커피인 음료를 얻기 위해 가압된 고온수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분할량의 유일한 원료로서 볶아서 분쇄한 커피가 고려된다.
볶아서 분쇄한 커피는 추출 체임버 내에 수용될 수 있는 포드, 캡슐 또는 카트리지, 예를 들면, 유럽 특허 EP 2 049 416에 설명되어 있는 카트리지 내에 수용될 수 있다.
포드, 캡슐 또는 카트리지에 수용된 분할량으로 제조된 원료는 볶아서 분쇄한 커피 대신 용해성 커피나 분말 형태, 잎사귀 형태 또는 동결 건조된 형태의 다른 소모형 물질일 수 있고, 또는 농축물일 수 있다.
베이스(2)는 실질적으로 평평하거나 어떤 경우에도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는 지지 푸트(foot)를 포함한다.
토출 헤드(3, 103)는 펌프(5, 105)에 의해 물통(4, 104)에 접속된다. 펌프(5, 105)의 유체 회로는 도시되지 않은 가열 요소에 접속될 수 있고, 이것은 펌프(5, 105)에 의해 흡인된 물을, 예를 들면, 90℃ 내지 99℃의 원하는 온도까지 가열하도록 되어 있다.
토출 헤드(3, 103)는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헤드 내에 완전히 수용된 추출 체임버에 접근하기 위한 투입 도어(3a, 103a)를 구비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토출 헤드는 필터 배스킷 홀더(basket holder)를 구비한 유형일 수 있고, 즉, 추출 체임버는, 예를 들면, 유럽 특허 EP 1 579 793에 설명된 바와 같은 기계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분할량으로 제조된 원료를 지지하는 필터 배스킷 홀더로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이 기계(1, 101)는 토출 헤드(3, 103)에 의해 토출된 음료의 용기(6a), 예를 들면, 컵, 머그 또는 글라스를 위한 지지대(6, 106)를 포함한다. 지지대(6, 106)는 드립 캐처(drip catcher; 6b, 106b)에 결합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전복되거나 기계(1, 101)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지지대(6, 106)는 토출 헤드(3, 103)와 물통(4, 104)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재되므로, 베이스(2, 102)의 평면에 수직인 동일한 축선(A, A')이 토출 헤드(3, 103), 지지대(6, 106) 및 물통(4, 104)의 모두를 통과한다.
축선(A, A')은 용기(6a) 내로 음료를 토출하는 토출 헤드(3, 103)의 개구를 통과하거나, 예를 들면, 컵의 반경에 대응하는 반경 내의 축선의 주위에서 평행할 수 있다.
물통(4, 104)은 이 물통(4, 104)이 어떠한 경우에도 펌프(5, 105)와 유체적 접속을 유지하는 적어도 2 개의 위치 사이에서 베이스(2, 102)에 대해 이동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물통(4, 104)은 지지대(6, 106) 및 대응하는 드립 캐처의 하측에 배치되는 기계(1, 101)의 시트 내에 완전히 수용되고, 기계(1, 101)의 전방 부분으로부터 탱크(4, 104)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이것을 인출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부터 접근될 수 있는 표면을 포함한다. "기계의 전방 부분"이라는 표현은 토출 헤드(3, 103) 및 토출된 음료의 용기의 지지대(6, 106)가 돌출되는 기계의 측면을 의미한다.
이러한 인출 가능성에 의해, 물통(4, 104)이 통상적으로 외부의 장해가 없는 기계의 동일한 부분, 즉 사용자가 음료 제조 중에 추출 체임버 및 컵의 지지대에 접근하기 위해 작업하는 부분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므로 기계(1, 101)는 다른 제한된 공간을 점유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공지된 유형의 기계에서 발생하는 것과 같은 물통의 인출을 위해 필요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더 이상 기계의 주위에 추가의 공간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더욱이, 물통(4, 104)이 지지대(6, 106)의 축방향으로 하측에 있으므로 사용자가 수행하는 작업의 횟수를 감소시키는 어떤 방해도 없이 심지어 음료 추출 중에도 물통을 부분적으로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통(4, 104)이 취할 수 있는 안정한 위치는 적어도 2 개로서,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4, 104)이 기계(1, 101) 내에 완전히 삽입되어 있는 작동 위치, 및 도 6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6a) 내로 음료의 토출 중에도, 예를 들면, 물병(7)으로부터 직접 물통(4, 104) 내에 물을 주입함으로써, 물통(4, 104) 내에 물을 도입하기 위한 개구(43, 143)를 기계(1, 101)의 외측에 제공하는 보충 위치를 포함한다.
더욱 정확하게, 물통(4, 104)은 탱크(40, 140)를 포함하고, 기계(1, 101)는 위에서 설명된 작동 위치와 보충 위치의 적어도 2 개의 위치 사이에서 축선(A, A')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따라 탱크(40, 140)의 슬라이딩을 허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가이드(21, 121)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자연광에 실질적으로 투명한 재료로 제조된 탱크(40, 140)는 기계(1, 101)의 외측을 향하는 탱크(40, 140)의 유일한 표면을 형성하도록 불투명한 차폐물 또는 전방 플레이트(40b, 140b)에 의해 차폐된 전벽(40a, 140a)을 갖는다.
탱크의 전벽(40a, 140a)은, 도시된 경우와 같이,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 또는 한 쌍의 윈도우(44, 144)를 포함할 수 있고, 이것은 불투명한 차폐물(40b, 140b)에 제공된 대응하는 컷아웃(14, 114)과 조합하여 기계(1, 101)의 외측으로부터 물통의 수위의 검사를 허용함과 동시에 차폐물(40b, 140b)에 의해 형성된 제한된 크기의 윈도우(44, 144)로 인해 대부분의 주변 광이 탱크 내로 입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주변 광에 의해 탱크(40, 140) 내에 수집된 물의 품질의 변질의 우려가 감소된다.
윈도우(44, 144)에는 선택적으로 상기 물통을 파지하기 위한 촉각적 표시기를 제공하도록 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또는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 또는 함몰부는, 예를 들면, 탱크(40, 140)의 제조 중에 윈도우(44, 144)에 볼록 형상 또는 오목 형상을 제공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물통(4, 104)은 수위 표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탱크(40)의 저면으로부터 탱크(40) 내에 허용되는 최대 수위까지 돌출하는 핀(pin; 47)일 수 있다. 이 핀(47)은 보충수를 도입하기 위한 개구(43)를 통해, 그리고 선택적으로 윈도우(44)를 통해 보여질 수 있다.
대안으로서, 수위는 윈도우(44, 144)에 제공된 수위선에 의해, 및/또는 탱크(40, 140)의 전벽(40a, 140a)을 따른 융선(ridge)에 의해, 및/또는 탱크(40, 140)의 내부 프로파일을 따르는 전벽(40a, 140a)의 내측에 배치되는 윙(wing)에 의해, 및/또는 플로트(float)에 의해, 및/또는 물통 내에 수용된 최대 수위를 표시하도록 된 임의의 기기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더욱이 물통(4, 104)은 탱크(40, 14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구체적인 실시예에서와 같이 탱크(40, 140)를 완전히 덮도록 된 뚜껑(41, 14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뚜껑(41, 141) 및 탱크(40, 140)는 상호 슬라이딩할 수 있고, 기계(1, 101)는 상기 탱크가 보충 위치를 향해 기계(1, 101)로부터 인출될 때, 뚜껑(41, 141)이 탱크(40, 140)와 함께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 요소(11, 111)를 포함한다.
이 스톱 요소(11, 111)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후크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것은 뚜껑(41, 141) 상에 제공된 대응하는 접촉부(45, 145), 예를 들면, 함몰부 또는 압인부에 스냅(snap) 작용으로 맞물린다.
유리하게, 뚜껑(41, 141)은 뚜껑(41, 141)의 표면 상의 돌출부로서, 예를 들면, 주조 중에 얻어지는, 탱크(40, 140)를 향하도록 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로크 제한기(46, 1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뚜껑(41, 141)의 스트로크 제한기(46, 146)는 기계(1, 101)의 내측으로부터 보충 위치를 향한 탱크의 추출을 위한 슬라이딩 중에 탱크(40, 140)의 후측벽(40c, 140c)을 위한 접촉부를 형성한다.
일단 후측벽(40c, 140c)이 스트로크 제한기(46, 146)에 접촉하면, 기계(1, 101)로부터 이격되는 탱크(40, 140)의 추가의 견인에 의해 물통(4, 104)은 보충 위치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작동 위치에서 뚜껑(41, 141)의 함몰부 또는 압인부(45, 145)와 약한 간섭으로 맞물리는 스톱 요소(11, 111)의 해방이 유발된다. 그러므로 탱크(40, 140)는 자신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뚜껑(41, 141)을 보충 위치를 초과하여 연행한다. 따라서, 탱크(40, 140), 및 물통(4, 104)의 시트에서 횡방향으로 또한 안내되는 뚜껑(41, 141)은, 예를 들면, 세척을 위해 기계(1, 101)로부터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4, 104)은 기계(1, 101)로부터, 특히 기계(1, 101)의 전방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출될 수 있다.
물통(4, 104)이 펌프(5, 105)의 흡입 튜브(50, 15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보충 위치에 도달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 위해, 흡입 튜브(50, 150)에는 물통(4, 104)의 대응하는 커넥터(53, 15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마우스부(52, 152)가 구비된다.
제 1 실시형태에서, 원추형의 커넥터(53)는 물통(4)의 뚜껑(41)과 일체이고, 펌프(5)가 탱크(40) 내에 수용된 물의 실질적으로 전체를 흡인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탱크(40)의 저면까지 연장된 흡입 노즐(54)에 접속된다. 펌프(5)의 흡입 튜브(50)의 마우스부(52)는,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O링을 사용하여 커넥터(53) 내에 간섭에 의해 봉쇄될 수 있다.
펌프(5)의 배수 튜브(51)의 마우스부(56)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것을 위해서도 유사한 커넥터(55)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마우스부(52, 5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주조 부품으로서 제공될 수 잇다.
뚜껑(41) 상에 커넥터(53) 및 선택적 커넥터(55)를 제공함으로써, 물통(4)이 흡입 튜브(5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선택적으로 펌프(5)의 배수 튜브(51)가 없이 탱크(40)를 보충 위치로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뚜껑(41)은 물통(4)이 보충 위치에 있을 때 스톱 요소(41)에 의해 로킹된 상태로 유지된다.
제 2 실시형태에서, 대신에 펌프(105)의 흡입 튜브(150)를 위한 커넥터(153)는 탱크(140), 특히 후벽(140c)과 일체이므로 탱크(14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넥터(153)는 밸브의 스템(157b)과 동축인, 예를 들면, 나선 스프링(157a)에 의해 탱크(140)의 내측에 접속된 커넥터(153)의 측면(154)을 봉쇄하기 위해 커넥터(153)에 대해 탄성적으로 하중을 받는 포핏 밸브(157)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튜브(150)의 마우스부(152)는, 이 마우스부(152)가 커넥터에 삽입되었을 때, 포핏 밸브(157), 특히 그것의 스템(157b)을 탱크(140)의 내측을 향해 있는 커넥터(153)의 개구(154)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길이를 갖는다.
스템(157b)에는 스프링을 위한 지지 플랜지 및 마우스부(152)와 탱크(140) 사이의 유체 접속을 허용하기 위한 리세스가 구비될 수 있다.
마우스부(152)는 흡입용 제 1 덕트 및 물통의 하류의 유체 시스템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제 2 덕트의 2 개의 별개의 덕트를 단일 부품으로 일체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덕트는 흡입 튜브(150)에 접속될 수 있고, 제 2 덕트는 펌프(105)의 선택적인 배수 튜브(151)에 접속될 수 있다.
마우스부(152)의 제 2 덕트는 물통의 하류의 유체 시스템에 의한 리턴(return)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것은,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로부터 도달된 물을 운반할 수 있고, 그러나 대안으로서 이것은 추출 체임버를 밀폐/실링하기 위해 셀프-리세팅(self-resetting) 밸브 또는 일반적인 바이패스로부터 도달된 물, 또한 예를 들면, 유체 시스템으로부터 유래하는 물을 운반할 수 있다.
튜브(150, 151)의 마우스부(152) 및 커넥터(153)은 작동 위치와 보충 위치 사이에서 물통(104)과 함께 이동될 수 있으므로, 튜브(150, 151)는 이들 2 개의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 중에 물통(104)과의 오정렬을 방지하기 위해 가요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마우스부(152)는, 예를 들면, 기계(도시되지 않음)의 격납체(159)의 내벽 상에 제공된 직선상 레일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슬라이더(158)에 의해 안내된다.
본 기계(101)는 물통(104)의 작동 위치에 대한 스트로크 제한기(146)에 의해 규정되는 탱크(140)의 스트로크의 한계가 슬라이더(158)의 스트로크의 한계와 일치되거나 어떠한 경우에도 초과하도록 제공되므로, 슬라이더(158)의 스트로크가 대응하는 레일 상의 적절한 장해물의 존재에 기인되어 종료되는 경우, 탱크(140)의 추가의 인출은, 탱크(140)가 슬라이딩 인출로 뚜껑(141)의 연행을 개시하기 전에, 커넥터(153)로부터 마우스부(152)의 분리 및 밸브(157)에 의한 커넥터(153)의 대응하는 봉쇄를 유발한다.
기계의 전방 및 음료 용기 지지대의 저면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는 물통으로 인해 물통의 제거를 허용하기 위해 기계의 횡방향 및/또는 후방으로 적합된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른 기기는 의도하는 목적을 완전히 달성하는 것이 밝혀졌다.
이와 동시에 본 물통의 배열은 이것을 기계의 가열 부품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물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는 스케일의 형성 및 미생물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부분적 인출의 가능성에 의해 음료 추출 중에도 물통에 물을 보충할 수 있다.
기계로부터 물통의 완전한 분리를 방지하는 수단으로 인해 물통의 시트 내에서 물의 손실을, 예를 들면, 물통의 커넥터의 하류에서 기계의 덕트로부터 액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물통은 뚜껑을 가질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물통 내에 존재하는 물의 체적 및 증발 현상에 기인된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증발 현상에 의해 생성되는 수증기가 기계의 내측의 부품의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여 그 수명을 감소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기는 특히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기계용으로 묘사되었으나, 더 일반적으로는 어떠한 경우에도 이것은 기계 내에 내장된 물통으로부터 흡인되는 심지어 약한 압력으로 가압된 물에 의해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묘사된 기기는 수많은 개변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들 모두는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하고, 더욱이 모든 세부사항은 다른 기술적 등가의 요소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실제로, 사용되는 재료, 뿐만 아니라 치수는 기술분야의 요건 및 상태에 따라 임의의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출원이 우선권을 주장하는 이탈리아 특허 출원 번호 MI2013A000345의 개시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임의의 청구항에서 언급되는 기술적 특징부에 참조부호가 병기되는 경우, 이 참조 부호는 청구항의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을 위해 포함된 것에 불과하므로 이와 같은 참조 부호는 예로서 이와 같은 참조 부호에 의해 식별되는 각각의 요소의 해석에 관하여 제한하는 효과를 전혀 갖지 않는다.
Claims (14)
-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바람직하게는 에스프레소 커피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1, 101)로서, 상기 기계(1, 101)는 베이스(2, 102) 및 상기 음료를 토출하기 위한 헤드(3, 103)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3, 103)는 1 회분의 볶아서 분쇄한 커피와 같은 상기 음료의 적어도 하나의 원료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된 추출 체임버를 구비하고, 펌프(5, 105)에 의해 물통(4, 104)에 접속되며, 상기 기계(1, 101)는 상기 토출 헤드(3, 103)에 의해 토출되는 상기 음료의 용기(6a)를 위한 지지대(6, 106)를 포함하고, 상기 음료의 용기의 지지대(6, 106)는 상기 토출 헤드(3, 103)와 상기 물통(4, 104)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재되어, 상기 베이스(2, 102)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선(A, A')이 상기 토출 헤드(3, 103), 상기 음료 용기의 지지대(6, 106) 및 상기 물통(4, 104)을 통과하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4, 104)은 상기 물통(4, 104)이 상기 펌프(5, 105)와 유체 접속을 유지하는 적어도 2 개의 위치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2, 102)에 대해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2 개의 위치는 상기 물통(4, 104)이 상기 물통(4, 104) 내에 물을 도입하기 위한 개구(43, 143)를 상기 기계(1, 101)의 외측 상에 제공하는 보충 위치를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4, 104)은 탱크(40, 140)를 포함하고, 상기 기계는 상기 적어도 2 개의 위치 사이에서 상기 탱크(40, 140)의 상기 축선(A, A')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슬라이딩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21, 121)를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4, 104)은 상기 탱크(40, 14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폐하도록 된 뚜껑(41, 141)을 더 포함하고, 상기 뚜껑(41, 141) 및 상기 탱크(40, 140)는 상호에 대해 슬라이딩될 수 있고, 상기 기계(1, 101)는 상기 탱크(40, 140)의 슬라이딩 중에 상기 탱크(40, 140)에 의한 상기 커버(41, 141)의 견인을 방지하거나 제한하기 위한 스톱 요소(11, 111)를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4, 104)의 뚜껑(41, 141)은 상기 보충 위치를 향한 상기 탱크(40, 140)의 슬라이딩 중에 상기 탱크(40, 140)가 맞닿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로크 제한기(46, 146)를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 요소(11, 111)는 상기 물통의 뚜껑(41, 141)의 상기 접촉부(45, 145)와 탄성적으로 간섭하도록 된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로크 제한기(46, 146)에 맞닿아 있는 상기 탱크(40, 140)에 의한 상기 뚜껑(41, 141)의 견인 후, 접촉부(45, 145)로부터 분리되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4, 104)은 상기 기계(1, 101)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출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53, 153)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5, 105)는 마우스부(52, 152)를 구비한 흡입 튜브(50, 150)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 튜브는 상기 물통(4, 104)이 상기 보충 위치를 초과하여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53, 153)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53, 15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 -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하나 이상의 항 및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53)는 상기 뚜껑(41)과 일체이고, 상기 뚜껑(41, 141)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상기 탱크(40)의 저면까지 돌출하는 흡입 노즐(54)에 접속되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153)는 상기 탱크의 측벽(140c)과 일체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153)를 봉쇄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153)를 향해 탄성적으로 하중을 받는 포핏 밸브(157)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튜브(150)의 마우스부(152)는, 상기 마우스부(152)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153)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15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포핏 밸브(157)를 밀어주는 길이를 갖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 -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부(52, 152)는 흡입 덕트와 제 2 덕트를 일체형으로 일체화하고, 상기 흡입 덕트는 상기 펌프(5, 105)의 흡입 튜브(50, 150)에 접속될 수 있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 -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4, 104)은 상기 물통(4, 104)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물통(4, 104)에서 허용되는 최대 수위까지 돌출하는 핀(47)과 유사하게 형성된 수위 표시기를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 -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4, 104)은 자연광에 실질적으로 투명한 재료로 제조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1, 101)의 외측으로부터 접근될 수 있는 상기 물통의 표면(40a, 140a)은 자연광으로부터 상기 물통(4, 104)의 내측을 차폐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전방 플레이트(40b, 140b)에 의해 차폐되고, 상기 기계(1, 101)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물통(4, 104)의 수위를 검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44, 144)를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44, 144)는 상기 물통(4, 104)의 파지를 위한 촉각적 표시기를 제공하도록 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및/또는 함몰부 또는 다른 파지 요소를 결합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ITMI2013A000345 | 2013-03-07 | ||
IT000345A ITMI20130345A1 (it) | 2013-03-07 | 2013-03-07 |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
PCT/EP2014/053837 WO2014135438A1 (en) | 2013-03-07 | 2014-02-27 | Machine for preparing beverag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7641A true KR20150127641A (ko) | 2015-11-17 |
KR102184583B1 KR102184583B1 (ko) | 2020-12-01 |
Family
ID=48366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27252A KR102184583B1 (ko) | 2013-03-07 | 2014-02-27 |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US (1) | US9974413B2 (ko) |
EP (1) | EP2964062B1 (ko) |
JP (1) | JP6360842B2 (ko) |
KR (1) | KR102184583B1 (ko) |
CN (1) | CN105025763B (ko) |
CA (1) | CA2901834C (ko) |
ES (1) | ES2617209T3 (ko) |
IT (1) | ITMI20130345A1 (ko) |
TW (1) | TW201442678A (ko) |
WO (1) | WO201413543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722066B2 (en) * | 2010-12-04 | 2020-07-28 | Adrian Rivera | Windowed single serving brewing material holder |
US11832755B2 (en) * | 2007-07-13 | 2023-12-05 | Adrian Rivera | Brewing material container for a beverage brewer |
CA3124446C (en) * | 2010-07-22 | 2023-10-31 | K-Fee System Gmbh | Portion capsule having an identifier |
US10299628B2 (en) * | 2015-02-04 | 2019-05-28 | F'real Foods, Llc | Blender with removable spindle and monitored reservoir |
US9840424B2 (en) * | 2015-07-09 | 2017-12-12 |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 Water filter assembly for a beverage dispenser |
CA3010682A1 (en) * | 2016-01-08 | 2017-07-13 | Nestec S.A. | Beverage machine with an ergonomic water storage |
CA169697S (en) * | 2016-07-05 | 2017-03-31 | Novadelta - Comércio E Indústria De Cafés S A | Capsule espresso machine |
CN107969915B (zh) * | 2016-10-25 | 2022-05-17 | 富士电机株式会社 | 饮料供给装置 |
IT201700070372A1 (it) * | 2017-06-23 | 2018-12-23 | De Longhi Appliances Srl | Macchina da caffè da incasso |
IT201700115379A1 (it) * | 2017-10-13 | 2019-04-13 | De Longhi Appliances Srl | Macchina da caffè con sistema di riempimento del serbatoio dell’acqua perfezionato |
USD965370S1 (en) * | 2019-09-03 | 2022-10-04 | Strauss Water Ltd | Water dispenser with steam sterilizer |
CN111938431B (zh) * | 2020-07-24 | 2022-01-28 | 六安索伊电器制造有限公司 | 一种全自动胶囊咖啡机 |
USD1000883S1 (en) * | 2020-08-14 | 2023-10-10 | Brad A. Reid | Liquid and cup dispenser |
US11805934B1 (en) * | 2020-10-21 | 2023-11-07 | Adrian Rivera | Brewing material lid and container for a beverage brewer |
US20220175175A1 (en) * | 2020-12-03 | 2022-06-09 | Sunbeam Products, Inc. | Iced coffee system |
WO2023234745A1 (ko) * | 2022-06-03 | 2023-12-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08579A (ja) * | 1999-04-27 | 2000-11-07 | Sanyo Electric Co Ltd | コーヒサーバ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659875B2 (ja) | 2000-08-22 | 2005-06-15 | ユーシーシー上島珈琲株式会社 | コーヒー抽出機 |
AU2004206096A1 (en) * | 2003-01-24 | 2004-08-05 | Kraft Foods R & D, Inc. | Machin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
DE602004007478T2 (de) | 2004-03-26 | 2008-04-10 | Illycaffe S.P.A. | Anordnung zur Zubereitung eines Getränkes aus einer in einer Kartusche enthaltenen Pulversubstanz |
US20060112830A1 (en) * | 2004-11-26 | 2006-06-01 | Pasquini Imports, Inc. | Espresso coffee machine |
ITMI20061503A1 (it) | 2006-07-28 | 2008-01-29 | Illycaffe Spa | Perfezionamenti di capsule contenenti una sostanza in polvere da cui estrarre una bevanda,preferibilmente caffe' espresso |
DE202008001636U1 (de) * | 2008-02-05 | 2008-04-10 | Melitta Haushaltsprodukte Gmbh & Co. Kg | Maschine zur Zubereitung eines Getränks |
DE202008012456U1 (de) * | 2008-09-19 | 2010-02-11 | Wik Far East Ltd. | 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
CN201370471Y (zh) * | 2009-02-19 | 2009-12-30 | 潘毅强 | 一体化全自动冲泡机 |
US20110083563A1 (en) * | 2009-09-24 | 2011-04-14 | Regal Ware, Inc. | Steamer insert and method |
US9089115B2 (en) * | 2012-04-27 | 2015-07-28 | Nick Lari | Aquarium system |
-
2013
- 2013-03-07 IT IT000345A patent/ITMI20130345A1/it unknown
-
2014
- 2014-02-27 EP EP14711455.7A patent/EP2964062B1/en active Active
- 2014-02-27 JP JP2015560626A patent/JP6360842B2/ja active Active
- 2014-02-27 ES ES14711455.7T patent/ES2617209T3/es active Active
- 2014-02-27 CA CA2901834A patent/CA2901834C/en active Active
- 2014-02-27 US US14/773,706 patent/US9974413B2/en active Active
- 2014-02-27 CN CN201480012748.1A patent/CN105025763B/zh active Active
- 2014-02-27 KR KR1020157027252A patent/KR10218458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02-27 WO PCT/EP2014/053837 patent/WO2014135438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03-07 TW TW103108029A patent/TW201442678A/zh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08579A (ja) * | 1999-04-27 | 2000-11-07 | Sanyo Electric Co Ltd | コーヒサー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964062B1 (en) | 2016-12-21 |
KR102184583B1 (ko) | 2020-12-01 |
EP2964062A1 (en) | 2016-01-13 |
US20160045061A1 (en) | 2016-02-18 |
ES2617209T3 (es) | 2017-06-15 |
US9974413B2 (en) | 2018-05-22 |
JP2016513482A (ja) | 2016-05-16 |
WO2014135438A1 (en) | 2014-09-12 |
CN105025763B (zh) | 2018-04-03 |
CA2901834A1 (en) | 2014-09-12 |
JP6360842B2 (ja) | 2018-07-18 |
ITMI20130345A1 (it) | 2014-09-08 |
TW201442678A (zh) | 2014-11-16 |
CN105025763A (zh) | 2015-11-04 |
CA2901834C (en) | 2021-05-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127641A (ko) |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 | |
KR102314294B1 (ko) | 추출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 |
RU2589576C2 (ru) | Завар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 |
US9913558B2 (en) | Extraction unit with a shiftable multi-size cartridge receiver | |
EP2908706B1 (en) | Extensible cartridge cage with a lock | |
US9986869B2 (en) | Self-locking multi-size cartridge extraction unit | |
US20150272376A1 (en) | Multi-size cartridge extraction unit having guiding slides | |
US20150366397A1 (en) | Sensor for multi-size cartridge extraction unit | |
CA2889979A1 (en) | Extraction unit with multi-size cartridge cavity | |
JP5270660B2 (ja) | カップを保持する支持体及び該支持体を備えたコーヒー機械或いは同等機械 | |
US11013360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a brewed beverage | |
JP2018531103A (ja) | 飲料生成マシン | |
CN104329843B (zh) | 出冰装置及具有该出冰装置的制冰机和冰箱 | |
KR102242645B1 (ko) | 우려낸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US20170188745A1 (en) | Filter Assembly for a Beverage Dispenser | |
EP2910518A1 (en) | Water server | |
US10537201B2 (en) | Beverage production system using capsules | |
CN105147015B (zh) | 一种泡茶杯 | |
KR20240048917A (ko) | 음료제조장치 | |
BR112020014122A2 (pt) | dispositivo e processo para produção de bebida de infusão | |
KR20040026814A (ko) | 전자렌지용 커피추출기 | |
KR20110010781U (ko) | 착탈형 쿼터 캡 | |
JP2014042667A (ja) | 飲料抽出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