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7374A - 복합 잣 생균제를 이용한 한우 사육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잣 생균제를 이용한 한우 사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7374A
KR20150127374A KR1020140054054A KR20140054054A KR20150127374A KR 20150127374 A KR20150127374 A KR 20150127374A KR 1020140054054 A KR1020140054054 A KR 1020140054054A KR 20140054054 A KR20140054054 A KR 20140054054A KR 20150127374 A KR20150127374 A KR 20150127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lex
pine nut
excipient
probiotic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7130B1 (ko
Inventor
송창수
김정범
진용일
Original Assignee
가평군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평군청 filed Critical 가평군청
Priority to KR1020140054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130B1/ko
Publication of KR20150127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7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4Pretreatment of feeding-stuffs with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잣 생균제를 이용한 한우 사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 복합균과 잣추출수와 부형제를 혼합 발효시켜 제조한 복합 잣 생균제를 준비하는 복합 잣 생균제 준비단계와; 상기 복합 잣 생균제를 한우에 급여하되, 한우의 하루 사료급여량의 1중량% 내지 3중량%를, 사료와 혼합하여 일일 2회 나누어 급여하는 급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복합 잣 생균제를 이용한 한우 사육방법은, 한우 육질의 전단력, 조직감, 지방산조성 등을 개선함과 동시에 잣추출수의 생리활성물질의 작용에 의해 고기의 지방산화를 억제하여 저장성을 개선시킬 수 있고 면역성을 증대시켜 항생제를 투여할 필요가 없는 한우를 사육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복합 잣 생균제를 이용한 한우 사육방법{Method for raising cattle using Complex pine nut probiotic}
본 발명은 복합 잣 생균제를 이용한 한우 사육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축산업은 빠른 속도로 집약화, 기업화, 대규모화 되고 있으며, 생산성을 최대로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기술들이 적용되어져 왔다. 그런데, 축산시설이 현대화되어 가축을 밀집 사육하게 됨에 따라, 성장촉진과 질병예방을 위한 항생제가 남용되고 있기도 하다. 가축을 좁은 장소에서 가두어 사육하게 되면, 질병에 약해지고 성장이 부진하여 성장촉진과 질병예방을 위한 항생제를 사용할 수 밖에 없다.
그런데, 항생제의 사용은 당장의 효과면으로는 만족할 수 있으나, 가축의 장내에 항생물질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미생물을 유도함은 물론, 축산물에서의 항생제 잔류 문제를 야기하고, 이를 섭취한 사람이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갖게 하는 등의 여러 가지 부작용을 낳는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안전한 물질의 개발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이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가령, 항생제의 대체물질로 생균제(probiotics)가 거론되기도 하는데, 생균제는 가축의 장내 미생물총을 정상적으로 유지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발효과정에서 효소, 항균물질, 유기산 등의 생리활성 물질을 생성하는 작용을 한다.
한편,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하여 등록한 국내등록특허 제10-1264824호(2012.8.7)의 잣한우 사육방법에 의하면, 잣송이에서 추출한 잣추출수를 한우에 급여할 경우, 한우의 저콜레스테롤(LDL) 수치를 낮추고, 육질의 보수력과 칼라 등을 어느 정도 개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한우 급여에 상기한 잣추출수만 사용하는 것은 효과가 그다지 좋지 않다. 그 이유는 추출수내에의 작용성분의 농도가 높지 않고 또한 한우가 잣추출수를 주요 먹이로 먹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잣추출수로 어느 정도의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꽤 오랜 급여기간을 가져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한우 육질의 전단력, 조직감, 지방산조성 등을 개선함과 동시에 잣추출수의 생리활성물질의 작용에 의해 고기의 지방산화를 억제하여 저장성을 개선시킬 수 있고 면역성을 증대시켜 항생제를 투여할 필요가 없는 한우를 사육할 수 있는 잣 생균체를 이용한 한우 사육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합 잣 생균제를 이용한 한우 사육방법은, 복합균과 잣추출수와 부형제를 혼합 발효시켜 제조한 복합 잣 생균제를 준비하는 복합 잣 생균제 준비단계와; 상기 복합 잣 생균제를 한우에 급여하되, 한우의 하루 사료급여량의 1중량% 내지 3중량%를, 사료와 혼합하여 일일 2회 나누어 급여하는 급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우는 월령이 18개월 내지 27개월 사이에 포함되는 비육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여단계는, 오전에 1회, 오후에 1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준비단계시 제조된 복합 잣 생균제는; 고초균(Bacillus)과 유산균(Lactobacillus)과 효모균(Saccharomyces)을 동일한 비율로 섞어 액상 배양하는 복합균 액상배양공정과, 상기 액상배양공정을 통해 얻은 복합균을 부형제와 혼합하는 부형제혼합공정과, 상기 복합균과 부형제의 혼합물에, 잣추출수를 가하여 수분함량을 35% 내지 45%의 범위내로 조절하는 잣추출수투입공정과, 상기 잣추출수투입공정을 마친 결과물을 발효기에서 인공발효시키는 발효공정과, 상기 발효단계를 마친 발효물을 수분함량 15% 이하로 건조시키되, 40℃ 이하의 열풍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건조공정을 통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형제는, 옥수수 또는 대두박 또는 소맥을 포함하고, 상기 부형제혼합공정시 복합균과의 혼합비는, 복합균 1리터 당 부형제 10kg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복합 잣 생균제를 이용한 한우 사육방법은, 한우 육질의 전단력, 조직감, 지방산조성 등을 개선함과 동시에 잣추출수의 생리활성물질의 작용에 의해 고기의 지방산화를 억제하여 저장성을 개선시킬 수 있고 면역성을 증대시켜 항생제를 투여할 필요가 없는 한우를 사육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잣 생균제를 이용한 한우사육방법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잣 생균제를 이용한 한우사육방법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잣 생균제를 이용한 한우사육방법은, 복합 잣 생균제 준비단계(100)와 급여단계(120)로 구성된다.
상기 복합 잣 생균제 준비단계(100)는, 복합균과 잣추출수와 부형제를 혼합 발효시켜 복합 잣 생균제를 제조하는 과정으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급여단계(120)는, 제조된 복합 잣 생균제를 한우에 급여하되, 한우의 하루 사료급여량의 1중량% 내지 3중량%를 사료와 혼합하여 급여하는 과정이다. 특히 상기 급여시 하루 급여량을 반반 나누어 오전에 1회, 오후에 1회 급여한다.
아울러, 급여 대상인 한우는 너무 어리거나 늙은 한우가 아닌, 월령이 18개월 내지 27개월 사이에 포함되는 비육우이다.
먼저, 상기 복합 잣 생균제 준비단계는, 고초균(Bacillus)과 유산균(Lactobacillus)과 효모균(Saccharomyces)을 동일한 비율로 섞어 액상 배양하는 복합균 액상배양공정(102)과, 상기 액상배양공정을 통해 얻은 복합균을 부형제와 혼합하는 부형제혼합공정(104)과, 상기 복합균과 부형제의 혼합물에 잣추출수를 가하여 수분함량을 35% 내지 45%의 범위내로 조절하는 잣추출수투입공정(106)과, 상기 잣추출수투입공정을 마친 결과물을 발효기에서 인공발효시키는 발효공정(108)과, 상기 발효단계를 마친 발효물을 수분함량 15% 이하로 건조시키되, 40℃ 이하의 열풍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건조공정(11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합균 액상배양공정(102)은, 별도로 준비된 고초균(Bacillus)과, 유산균(Lactobacillus)과, 효모균(Saccharomyces)을 동일한 비율로 혼합한 상태로 상온에서 교반하는 과정이다. 특히 경우에 따라 상기 3종의 균 이외에 누룩곰팡이균을 추가로 사용할 수 도 있다. 3종의 균을 사용하던, 4종의 균을 사용하던, 사용되는 균의 혼합비는 동일하다. 즉, 3종의 균을 사용할 때 각 균의 혼합비는 1:1:1 이고, 4종의 균을 사용할 때 각 균의 혼합비는 1:1:1:1이다.
이어지는 부형제 혼합공정(104)는, 상기 복합균 액상배양공정을 통해 얻어진 복합균과 부형제를 혼합 반죽하는 과정이다.
상기 부형제 혼합공정(104)을 위하여, 복합균이 미리 수용되어 있는 혼합조 내에 부형제를 쏟아 넣을 수 도 있고, 반대로 부형제가 채워져 있는 혼합조에 복합균을 부워 넣을 수 도 있다. 상기 복합균과 부형제는 혼합조 내에서 혼합되며 반죽된다.
상기 부형제로서 옥수수나 대두박 또는 소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생균제 즉 복합균과 혼합된 상태로 분말이나 펠릿의 형태로 성형되어 사료에 쉽게 혼합된다. 상기 옥수수나 대두박 또는 소맥은, 영양소의 균형을 고려한 선택 및 배합으로 기호성 증진과 더불어 보조사료로서의 이용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복합균에 대한 부형제의 혼합비율은, 복합균 1리터당 부형제 10kg정도이면 좋다. 예컨대 부형제를 2톤(ton) 사용할 때 복합균을 200리터 혼합하는 것이다.
이어지는 잣추출수투입공정(106)은, 부형제와 생균제 혼합물에 잣추출수를 가하여 총 수분함량을 40% 정도로 맞추는 과정이다.
상기 잣추출수는 잣나무 부산물인 잣송이(잣을 채취하고 남은 것)를 수증기 증류 추출하여 얻은 것으로서, 생리활성물질을 가져 가축에 급여시 콜레스테롤 수치를 개선하는 효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한 국내등록특허 제10-1264824호(2012.8.7.)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잣추출수를 얻는 과정을 참고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잣추출수를 채취하기 위해서는, 잣송이를 스팀챔버에 투입한 상태로 잣송이에 100℃ 이상의 스팀을 1시간 이상 가한다. 상기 스팀은 잣송이의 사이를 통과하며 잣송이를 가열하여 잣송이가 가진 성분(가령, 피톤치드나 오일 등)을 뽑아낸 후 응축되어 스팀챔버 바닥에 모인다. 상기 스팀챔버의 바닥에 모인 추출수 중 불필요한 부분을 걸러 잣추출수로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잣추출수투입공정(106)을 통해 생균제와 부형제와 잣추출수가 적정 비율로 혼합된 40%의 수분함량을 갖는 혼합체가 얻어진다.
이어지는 발효공정(108)은, 상기 혼합체를 호기성 발효장치에 넣고 인공 발효처리하는 과정이다. 상기 발효단계는 36℃의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진행된다. 발효가 호기성 발효이니만큼 발효시 혼합체를 계속적으로 교반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발효공정(108)이 완료되었다면 건조공정(110)을 수행한다. 상기 건조공정(110)은, 발효공정(108)을 마친 발효물을, 저장성을 고려하여 수분함량 15% 이하로 건조시키되, 40℃ 이하의 열풍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과정이다. 가장 바람직한 수분함량은 12%이다.
특히 상기 열풍의 온도가 40℃를 넘지 않아야 한다. 열풍의 온도가 상기 온도보다 높아지면 생균제를 구성하는 미생물이 모두 사멸하기 때문이다.
상기 건조공정(110)을 통해 건조된 복합 잣 생균제는, 분말상태로서 필요에 따라 펠릿(pellet) 형태로 성형하거나 분말 상태 그대로 사료에 혼합한다.
상기 과정을 통해 복합 잣 생균제가 준비되었다면, 급여단계(120)를 통해 한우에 복합 잣 생균제를 급여한다. 복합 잣 생균제의 급여방법은, 사료에 복합 잣 생균제를 섞어 급여하는 방식이다. 이 때 사용하는 사료로서 농후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급여할 한우의 월령은 18개월 내지 27개월이고, 일일 급여량은 사료급여량의 1% 내지 3%이다. 또한 일일급여패턴은 오전1회, 오후 1회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급여하여 사육한 결과, 후술할 축산물품질평가원에서 시행한 분석자료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매우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한편, 아래 표 1은 상기 복합 잣 생균제 준비단계를 통해 제조된 복합 잣 생균제의 일반 성분을 나타내 보인 것이다. 참고로 일반 생균제의 성분도 함께 나타내었다. 일반 생균제라 함은 잣추출수 대신 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생균제이다.
[표 1]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수분함량은 생균제의 저장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두 생균제 모두 12% 미만의 수분함량을 보여 양호한 상태이다. 또한 단백질 함량은 15% 이상으로서 사료로서의 영양학적 가치 또한 높다. 또한 조지방은 약 2.6%로 낮은 함량을 나타내어 급여량이 증가하더라도 불가식 지방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아래 [표 2]는 상기 복합 잣 생균제의, 생균제로서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미생물의 생균수를 측정한 결과이다.
[표 2]
Figure pat00002
[표 2]에 나타낸 바와같이, 복합 잣 생균제에서의 모든 미생물이 106 이상의 높은 생균수를 가짐으로서 생균제로서의 가치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시험예>
본 시험예는, 평균 23.5개월 령의 거세한우 20두(592.20±69.13kg)를 공시하여 처리당 5두, 5처리로 시행한 사양시험으로서,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소재 에코농장에서 2013년 3월부터 9월까지 6개월 간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무처리인 대조구, 일반생균제를 농후사료 급여량의 1% 첨가 급여한 처리구1, 복합 잣 생균제를 농후사료 급여량의 1% 첨가 급여한 처리구2, 복합 잣 생균제를 농후사료 급여량의 3% 첨가 급여한 처리구3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사료는 오전과 오후 총 2회 급여하였고, 농후사료는 일일 두당 8kg, 면실 및 볏짚은 각각 1kg 및 2kg으로 제한 급여하였다. 이외에 물과 미네럴블럭은 자유섭취하도록 하였고 기타 사양관리는 시험 농장의 일반관리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시험축은 사양시험 종료 후 2개월 이내에 모두 출하되었고, 축산물품질평가원에서 등급판정 후 도체성적을 수집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또한 등급판정 후 제 1요추와 제 2요추 사이의 채끝을 약 1kg 채취하여 육질을 분석하였다.
생균제 및 사료의 일반성분은 AOAC(Association of Official Agricultural Chemists, 1990)의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NDF 및 ADF는 Georing 및 Van Soest(1970)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에너지는 Parr oxygen bomb calori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아울러, 생균제의 생균수 측정은 시료 5g에 45ml의 멸균된 0.1% pepton 용액을 첨가하여 10배 희석하여 109배수까지 계단희석법을 사용하여 희석 후 단계별 Counting을 실시하였다. 고초균(Bacillus) 배지는 Plate count Agar(Difco)에 증류수 100ml을 첨가하였고, 유산균(Lactobacillus) 배지는 MRS Agar9Difco)에 0.02g Sodium axide와 증류수 100ml을 첨가하였으며, 효모균(Saccharomyces) 배지는 Potato dextros Agar(Difco)에 증류수 100ml와 주석산 1.8ml를 첨가하여 이용하였다.
또한, 혈액은 시험개시 및 종료 시에 시험축의 경정맥에서 개체별로 10ml를 채혈하였다. 일반혈액검사(Complete blood count, CBC) 분석을 위하여 EDTA Vacuum tube(BD Vacutainer, USA)에 혈액을 보관하고 자동혈액 분석기(Hema Vet 950, Hema Vet. Co., USA)를 이용하여 백혈구(White Blood Cell, WBC), 적혈구(Red Blood Cell, RBD), 헤모글로빈(Hemoglobin, Hb)을 측정하였다.
혈청화학검사(Serum chemistry)는 채취한 혈액을 Vacuum tube(BD Vacutainer, USA)에 보관하여 4℃에서 8시간 방치한 후 3,000 rpm으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이용하였다. 총 단백질(Total protein), 알부민(Albumin), 글로블린(Globulin),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중성지방(Triglyceride), HDL-콜레스테롤(HDL-Cholesterol), LDL-콜레스테롤(LDL-Cholesterol), 혈당(Glucose), 혈액요소질소(Blood urea nitrogen, BUN)는 생화학 분석장비(AU400, Olympus, Japan)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면역단백질인 IgG는 Dimension Vista 500(Siemens, US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스트레스 호르몬인 Cortisol은 Unicel Dxl 800 Immunoassay System (Beckman Coulter Inc., USA)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한편, 육질분석으로서, 일반성분함량, pH, 보수력, 드립감량 및 가열감량, 총육색소함량, 지방산조성, 지방산화, 표면육색, 전단력 및 조직감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상기 일반성분함량분석은 AOAC(1990) 방법에 의해 실시하였다. 수분은 105℃ 건조기에 의한 상압가열 건조법, 조단백질은 Kjeltec system(2200 Kjeltec Auto Distillation Unit, Foss Tecator, Sweden)에 의한 micro-Kjeldahl법, 조지방은 diethyl ether에 의한 Soxhlet 추출법, 조회분은 550℃ 회화로에 의한 건식 회화법을 이용하였다.
pH는, 시료 10g과 증류수 100mL를 homogenizer(PH91, SMT Co., Ltd., Japan)에 의해 10,000rpm에서 1분 동안 균질한 다음 pH meter(SevenEasy pH, Mettler-Toledo GmbH, Switzerland)로 측정하였다.
보수력(water-holding capacity, WHC)의 측정을 위해, 우선, plexi-glass plate(11.55.00.8cm) 위에 놓인 filter paper No. 2의 중앙에 시료 0.3g을 올려놓고 나머지 plexi-glass plate로 덮은 다음 동일한 힘으로 압착하여 5분 동안 방치하였다. 이후 digitizing area-line meter(Super PLANIX-, Tamaya Technics Inc., Japan)를 이용하여 내부의 시료면적과 전체 면적을 측정한 다음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보수력(%)=(내부의 시료면적/전체 면적)100)
드립감량은 저장 3일 동안 발생한 육즙의 양을 시료 초기무게의 백분율(%)로 산출하였으며, 가열감량은 80℃ 항온수조에서 30분 동안 가열한 후 발생한 육즙의 양을 초기무게의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총 육색소 함량은, 시료 4g과 4℃ 증류수 20mL를 homogenizer(Ultra turrax T25 basic, Ika Werke GmbH & Co., Germany)로 13,500rpm에서 10초 동안 균질한 다음 0℃, 15,000rpm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J2-21 Centrifuge, Beckman, USA) 하였다. 상등액의 흡광도를 525nm에서 UV-vis spectrophotometer(UV-mini-1240, Shimadzu, Japan)로 측정한 후 다음의 수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Mb(mg/g meat)=(ODMb의 MWdilution factor)/(molar extinction coefficient1000)
Mb의 MW(Drabkin, 1978): 16,110
Molar extinction coefficient(Bowen, 1949) : 7.6
지방산 조성 분석을 위한 시료의 지질은, 우선, 시료 6g과 chloroform : methanol(v/v, 2/1) 용액 30mL를 homogenizer(Ultra Turrax T25 basic, Ika Werke GmbH & Co., Germany)로 13,500 rpm에서 1분 동안 균질하였다. 0.88% KCl 6 mL를 넣고 3,0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GS-6R Centrifuge, Beckman Instruments Inc., USA)하였다. 하층액을 38℃에서 질소가스 농축기(MGS-2200, Eyela Tokyo Rikakikai Co., Ltd., Japan)로 완전히 농축시킨 다음 순수 지질을 AOAC(1990)의 방법에 의해 fatty acid methyl ester(FAME)로 전환시켰다. 시료의 FAME는 GC에 의해 지방산 standard들(Sigma-Aldrich, St. Louis, MO, USA)의 retention time과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때 GC의 분석 조건은 [표 3]과 같다.
[표 3]
Figure pat00003
지방산화는, 시료 0.5g과 항산화제[54%(w/w) propylene glycol-40%(w/w) Tween 20-3%(w/w) BHT-3%(w/w) BHA] 3방울, 1%(w/v) TBA-0.3%(w/v) NaOH 용액 3mL, 0.25%(w/v) TCA-3.6 mM HCl 용액 17mL를 혼합하고 98℃ water bath(OB-25E, Jeio Tech Co., Korea)에서 30분 동안 가열한 후 얼음물에 담가 10분 동안 냉각하였다. 반응액 5mL를 원심분리용 glass tube에 옮기고 chloroform 3mL를 넣은 다음 3,500rpm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GS-6R Centrifuge, Beckman Instruments Inc., USA)하였으며, 상등액의 흡광도를 UV-vis spectrophotometer(UV-mini-1240, Shimadzu, Japan)로 532nm에서 측정하였다. 최종수치는 시료 1kg당 mg malonaldehyde(MA)로 산출하였으며, blank는 증류수 0.5mL를 이용하였다.
(TBARS(mg MA/kg meat)=(시료의 흡광도-blank의 흡광도)46/0.5 g5)
시료의 표면육색은 chroma meter(CR-400, Konica Minolta Sensing, Inc., Japan)를 이용하여 CIE L*(lightness), a*(redness), b*(yellowness), C*(chroma=[a*2+b*2]1/2) 및 Ho(hue-angle =tan-1[b*/a*])을 측정하였다. 이때 calibrate plate(2 observer)의 illuminant C는 Y=93.6, x=0.3134, y=0.3194이었다.
전단력(Shear-Force) 및 조직감(texture profile analysis, TPA)은 가열감량의 측정을 완료한 시료들을 각각 1×1×1cm로 성형한 다음 Ø75mm의 aluminium platen을 장착한 texture analyser(TA-XT2i version 6.06, Stable Micro Systems Co., Ltd, UK)로 전단력(Shear-Force), 경도(hardness), 부서짐성(fractuability), 점착성(adhesiveness), 탄력성(springiness), 응집성(cohesiveness), 뭉침성(gumminess), 씹힘성(chewiness) 및 복원력(resilience)을 측정하였다. 이때 분석조건은 load cell 25kg, pre-test testposttest speed 1.0 mm/sec 및 distance 50%로 설정하였으며, 최종 수치는 kg으로 산출하였다.
한편, 생균제의 급여가 한우의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험개시 및 종료 시에 시험축의 경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혈액분석을 실시하였다.
아래의 [표 4]에 나타낸 바와같이, 시험종료 시의 혈액분석에서는 복합 잣 생균제 급여구인 처리구2 및 처리구3이 대조구에 비해 헤모글로빈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고, 글루코스는 처리구2가 다른 시험구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다. 이를 통해, 복합 잣 생균제 1% 및 3% 첨가 급여 시, 혈액내 헤모글로빈과 글루코스를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4]
Figure pat00004
a,b : p<0.05.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잣 생균제가 소고기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험축의 도체평가 후 채끝 부위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육질분석을 실시하였다.
소고기의 일반성분 및 물리화학적 특성은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에 나타난 바와같이, 수분은 모든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조단백질은 처리구3이 대조구 및 처리구1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높았고, 조지방 함량은 대조구가 다른 처리구들 비해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pH는 처리구1이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보수성은 처리구1 및 처리구3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낮게 나타났다. 지방산화도는 나타내는 TBARS는 처리구3이 유의적(p<0.05)으로 가장 낮게 나타나 다른 처리구에 비해 저장성이 좋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표 5]
Figure pat00005
a,b,c : p<0.05.
또한, [표 6]에 나타낸 바와같이, 소고기의 표면육색 분석 결과, 모든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명도(L*)가 낮게 나타났고, 휴앵글은 처리구1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표 6]
Figure pat00006
또한, 소고기의 전단력 및 조직감 분석 결과는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다. 전단력은 복합 잣 생균제 급여구인 처리구2 및 처리구3이 다른 처리구나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낮게 나타났다. 경도 및 탄력성은 처리구1이 유의적(p<0.05)으로 낮게 나타났고, 뭉침성은 처리구1 및 처리구3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씹힘성은 처리구3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높았고, 특히 처리구3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표 7]
Figure pat00007
a,b,c : p<0.05.
처리에 따른 소고기의 지방산 조성은 [표 8]에 나타내었다. Palmitic acid는 처리구1 및 처리구3이 대조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고(p<0.05), stearic acid는 처리구1이 유의적(p<0.05)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Gama-linolenic acid, EPA 및 DHA는 처리구1 및 처리구3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높았고, DTA는 처리구3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처리구2는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포화지방산이 높고, 불포화지방산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다중불포화지방산은 처리구3이 유의적(p<0.05)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n6/n3 지방산 비율은 생균제를 급여한 처리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였고, 특히 처리구1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낮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n3 지방산은 n6 지방산을 감소시킴으로서 항혈전 억제, cycloxygenase 및 lipoxy-genase 활성 억제, 혈장 내 지방 함량 감소, 트롬복산 및 루코트리엔 합성 감소, 항응집 증가, 프로스타클란딘 합성 증가 등을 일으킨다. 영국 보건부는 인간의 건강을 위해서는 식이 내 n6/n3 지방산 비율을 4~5로 감소하여야 한다고 보고한 바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잣 생균제를 이용한 한우사육방법은, 항생제가 없고 건강한 한우를 사육할 수 있도록 하여, 건강을 생각하는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것이다.
[표 8]
Figure pat00008
a,b,c : p<0.05.
저장기간에 따른 소고기의 pH 변화는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다. 저장 0일에서는 처리구1 및 처리구3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pH가 높게 나타났다. 저장 3일차에서는 모든 생균제 처리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높게 났고, 저장 6일차에는 처리구1 및 처리구2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pH를 나타냈다(p<0.05).
[표 9]
Figure pat00009
a,b,c : p<0.05.
또한, [표 10]에는 저장기간에 따른 소고기의 TBARS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저장일에 관계없이 복합 잣 생균제 3% 급여구인 처리구3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p<0.05)으로 낮은 TBARS 값을 나타냈고, 복합 잣 생균제 1% 급여구인 처리구2 역시 6일차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p<0.05)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잣추출수내의 생리활성 물질의 작용이다.
[표 10]
Figure pat00010
a,b,c : 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잣 생균제를 이용한 한우사육방법을 통해 사육된 한우는, 소고기의 육색, 전단력, 조직감, 지방산조성 및 저장성이 양호하고, n6/n3 지방산의 비율이 낮으며, 지방산화가 억제되어 저장성이 좋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복합 잣 생균제 준비단계 102:복합균액상배양공정
104:부형제혼합공정 106:잣 추출수 투입공정
108:발효공정 110:건조공정
120:급여단계

Claims (5)

  1. 복합균과 잣추출수와 부형제를 혼합 발효시켜 제조한 복합 잣 생균제를 준비하는 복합 잣 생균제 준비단계와;
    상기 복합 잣 생균제를 한우에 급여하되, 한우의 하루 사료급여량의 1중량% 내지 3중량%를, 사료와 혼합하여 일일 2회 나누어 급여하는 급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잣 생균제를 이용한 한우 사육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우는 월령이 18개월 내지 27개월 사이에 포함되는 비육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잣 생균제를 이용한 한우 사육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여단계는, 오전에 1회, 오후에 1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잣 생균제를 이용한 한우 사육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단계시 제조된 복합 잣 생균제는;
    고초균(Bacillus)과 유산균(Lactobacillus)과 효모균(Saccharomyces)을 동일한 비율로 섞어 액상 배양하는 복합균 액상배양공정과,
    상기 액상배양공정을 통해 얻은 복합균을 부형제와 혼합하는 부형제혼합공정과,
    상기 복합균과 부형제의 혼합물에, 잣추출수를 가하여 수분함량을 35% 내지 45%의 범위내로 조절하는 잣추출수투입공정과,
    상기 잣추출수투입공정을 마친 결과물을 발효기에서 인공발효시키는 발효공정과,
    상기 발효단계를 마친 발효물을 수분함량 15% 이하로 건조시키되, 40℃ 이하의 열풍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건조공정을 통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잣 생균제를 이용한 한우 사육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부형제는, 옥수수 또는 대두박 또는 소맥을 포함하고,
    상기 부형제혼합공정시 복합균과의 혼합비는, 복합균 1리터 당 부형제 10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잣 생균제를 이용한 한우 사육방법.
KR1020140054054A 2014-05-07 2014-05-07 복합 잣 생균제를 이용한 한우 사육방법 KR101657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054A KR101657130B1 (ko) 2014-05-07 2014-05-07 복합 잣 생균제를 이용한 한우 사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054A KR101657130B1 (ko) 2014-05-07 2014-05-07 복합 잣 생균제를 이용한 한우 사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7374A true KR20150127374A (ko) 2015-11-17
KR101657130B1 KR101657130B1 (ko) 2016-09-19

Family

ID=54786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054A KR101657130B1 (ko) 2014-05-07 2014-05-07 복합 잣 생균제를 이용한 한우 사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7130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35213A (zh) * 2016-06-16 2016-10-26 刘华武 一种成年高山黄牛的育肥饲喂方法
CN106070027A (zh) * 2016-06-23 2016-11-09 保山市康泰野生动物养殖有限公司 一种绿孔雀的饲养方法
CN106577480A (zh) * 2016-11-14 2017-04-26 广西兴业县金泉牧业养殖专业合作社 一种提高黄牛抗病力的养殖方法
CN106577528A (zh) * 2016-12-20 2017-04-26 怀宁县森源生态养殖有限公司 一种发酵床养猪方法
CN106962278A (zh) * 2017-04-21 2017-07-21 卓礼仕 防治瘤胃积食的黄牛养殖方法
CN107197830A (zh) * 2017-07-12 2017-09-26 习水县明辉畜禽良种繁育场 一种肉牛养殖方法
CN107211958A (zh) * 2017-07-07 2017-09-29 宣汉县蜀宣花牛养殖专业合作社 一种蜀宣花牛母牛集中饲养方法
CN107296005A (zh) * 2017-06-21 2017-10-27 马关县牧联肉牛养殖专业合作社联合社 一种高品质肉牛的养殖方法
CN107296006A (zh) * 2017-06-21 2017-10-27 马关县牧联肉牛养殖专业合作联合社 一种肉牛的快速养殖方法
CN107410165A (zh) * 2016-05-23 2017-12-01 黄宗威 一种土鸭的养殖方法
CN107691371A (zh) * 2017-11-15 2018-02-16 山东省农业科学院畜牧兽医研究所 一种农牧结合的母牛养殖方法
CN108703106A (zh) * 2018-04-04 2018-10-26 甘培彰 一种繁殖率高的养牛方法
CN108782454A (zh) * 2018-07-03 2018-11-13 界首市富涛家庭农场 一种提升肉牛幼年期存活率的养殖方法
CN108835050A (zh) * 2018-08-28 2018-11-20 仁怀市刘祥养殖场 一种生态养牛方法
CN109042530A (zh) * 2018-10-11 2018-12-21 贵州鑫港牧业发展有限公司 一种肉牛的育肥饲养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7394A (ko) * 2011-01-28 2012-08-07 가평군청 잣한우 사육 방법
KR20130036544A (ko) * 2011-10-04 2013-04-12 주식회사 한미양행 잣나무잎 향이 가미된 홍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55166B1 (ko) * 2013-01-25 2013-04-23 주식회사 한빛바이오 천연물을 이용한 발효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얻은 닭고기와 오리고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7394A (ko) * 2011-01-28 2012-08-07 가평군청 잣한우 사육 방법
KR20130036544A (ko) * 2011-10-04 2013-04-12 주식회사 한미양행 잣나무잎 향이 가미된 홍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55166B1 (ko) * 2013-01-25 2013-04-23 주식회사 한빛바이오 천연물을 이용한 발효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얻은 닭고기와 오리고기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10165A (zh) * 2016-05-23 2017-12-01 黄宗威 一种土鸭的养殖方法
CN106035213A (zh) * 2016-06-16 2016-10-26 刘华武 一种成年高山黄牛的育肥饲喂方法
CN106070027A (zh) * 2016-06-23 2016-11-09 保山市康泰野生动物养殖有限公司 一种绿孔雀的饲养方法
CN106577480A (zh) * 2016-11-14 2017-04-26 广西兴业县金泉牧业养殖专业合作社 一种提高黄牛抗病力的养殖方法
CN106577528A (zh) * 2016-12-20 2017-04-26 怀宁县森源生态养殖有限公司 一种发酵床养猪方法
CN106962278A (zh) * 2017-04-21 2017-07-21 卓礼仕 防治瘤胃积食的黄牛养殖方法
CN107296005A (zh) * 2017-06-21 2017-10-27 马关县牧联肉牛养殖专业合作社联合社 一种高品质肉牛的养殖方法
CN107296006A (zh) * 2017-06-21 2017-10-27 马关县牧联肉牛养殖专业合作联合社 一种肉牛的快速养殖方法
CN107211958A (zh) * 2017-07-07 2017-09-29 宣汉县蜀宣花牛养殖专业合作社 一种蜀宣花牛母牛集中饲养方法
CN107197830A (zh) * 2017-07-12 2017-09-26 习水县明辉畜禽良种繁育场 一种肉牛养殖方法
CN107691371A (zh) * 2017-11-15 2018-02-16 山东省农业科学院畜牧兽医研究所 一种农牧结合的母牛养殖方法
CN108703106A (zh) * 2018-04-04 2018-10-26 甘培彰 一种繁殖率高的养牛方法
CN108782454A (zh) * 2018-07-03 2018-11-13 界首市富涛家庭农场 一种提升肉牛幼年期存活率的养殖方法
CN108835050A (zh) * 2018-08-28 2018-11-20 仁怀市刘祥养殖场 一种生态养牛方法
CN109042530A (zh) * 2018-10-11 2018-12-21 贵州鑫港牧业发展有限公司 一种肉牛的育肥饲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7130B1 (ko) 201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7130B1 (ko) 복합 잣 생균제를 이용한 한우 사육방법
CN102271525B (zh) 微藻生物质的食品组合物
CN102630999B (zh) 一种核桃乳酸菌发酵饮料的制备方法
CN102946738A (zh) 新颖的微藻食物组合物
Cais‐Sokolińska et al. Evaluation of quality of kefir from milk obtained from goats supplemented with a diet rich in bioactive compounds
CN101700097A (zh) 一种茶饲料及其制备方法
Rossi et al. Effect of Yarrowia lipolytica RO25 cricket-based hydrolysates on sourdough quality parameters
CN104783175B (zh) 新颖的微藻食物组合物
KR101921475B1 (ko) 젖산 발효 또는 효모 발효를 통한 기능성 스피루리나 발효물 제조방법
WO2018203556A1 (ja) 麹菌発酵産物、食品組成物、化粧料組成物、麹菌発酵産物原料、麹菌発酵産物の製造方法及び酵素産生促進剤
RU2391844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исломолочного масла
KR101597314B1 (ko) 복합 잣 생균제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합 잣 생균제
Danków et al. The effect of supplementation with gold of pleasure (Camelina sativa) cake on the fatty acid profile of ewe milk and yoghurt produced from it.
Aleid Industrial biotechnology: date palm fruit applications
CN108450705A (zh) 一种复合微生物发酵剂、使用该发酵剂制备的生物发酵饲料及其制备方法
RU2624035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исломолочного продукта
KR101643501B1 (ko) 에르고티오네인이 함유된 채란용 닭의 사료 및 채란용 닭의 사육 방법
CN104489249A (zh) 一种低胆固醇生态鸡蛋的生产方法
JP2018145171A (ja) ビデンスピローザ発酵乾燥粉末、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配合物
KR101334996B1 (ko) 유산균 발효 사자발쑥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첨가용 조성물
KR20120046527A (ko) 항산화효과가 우수한 양파발효액을 이용한 삼계닭 항생제 대체 사료첨가제 및 삼계닭 계육 품질유지제의 제조 방법과 그 용도
KR101932935B1 (ko) 유산균 발효라드의 제조방법
KR101323349B1 (ko) 항산화효과가 우수한 양파발효액을 이용한 삼계닭 항생제 대체 사료첨가제 및 삼계닭 계육 품질유지제의 제조 방법과 그 용도
Djurayeva et al.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microbial contamination of emulsion fat composite mixtures
KR100903562B1 (ko) 바실러스 섭틸리스 cho47 균주를 이용한 생약초 함유기능성 청국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