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7394A - 잣한우 사육 방법 - Google Patents

잣한우 사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7394A
KR20120087394A KR1020110008554A KR20110008554A KR20120087394A KR 20120087394 A KR20120087394 A KR 20120087394A KR 1020110008554 A KR1020110008554 A KR 1020110008554A KR 20110008554 A KR20110008554 A KR 20110008554A KR 20120087394 A KR20120087394 A KR 20120087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e
water
months
weight
bee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4824B1 (ko
Inventor
김정범
송창수
Original Assignee
가평군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평군청 filed Critical 가평군청
Priority to KR1020110008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4824B1/ko
Publication of KR20120087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7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잣한우 사육 방법은, 잣나무의 잣송이를 탱크에 투입하는 단계; 섭씨 101도 내지 107도의 증기를 60 내지 80분간 상기 탱크를 통과시켜 증류에 의해 추출되는 잣정유를 채취한 후, 잔류하는 부산물인 액체 추출수를 5 내지 15 중량%로 급수에 혼합하는 추출수의 혼합 준비단계; 상기 준비된 혼합수를 한우에 3-6개월간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한우는 대체로 비육 후기인 20개월 - 27 개월 사이에 또는 24 개월 이후의 한우에 대하여 상기한 준비된 추출수 혼합수를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한우에 대하여 상기한 준비된 추출수 혼합액을 급여시, 7-10일간 급여 실험을 행하여 한우가 적응하는가 여부를 관찰한 후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추출수를 5 내지 15 중량%로 급수에 혼합하는 혼합액 준비단계에서, 사용하는 5-15%중량 추출수 대신, 추출수를 제외한 나머지 잣부산물인 잣송이를 분쇄하여 이를 잣송이 톱밥으로 만들어, 사료에 대해 5-15 중량%를 혼합하여 한우에 3-6개월간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잣한우 사육 방법{breeding method of pine-nuts korean beef}
본 발명은 잣을 이용한 한우 사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쇠고기는 맛있는 대표적인 동물성 단백질 공급원으로 건강에 유익한 것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나 동물성 지방의 높은 콜레스테롤 등의 이유로 꺼리는 사람도 있다. 그리고 저가의 수입 쇠고기로 인해 국내 한우의 경쟁력은 결국 품질 개발에 달려 있는 것이라는 것도 이미 모든 국내 축산업자에게도 충분히 인식되어 있다
따라서 현재에도 경쟁력 있는 우수한 한우 육성을 위해, 몸에 이로운 여러가지 각종 재료를 사용하여 키운 한우가 여러 형태의 것이 나와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한우들은 한정된 공간에서 사육되므로 운동량이 부족하여 건강하지 못하고 질병에 약한 단점이 있어 많은 양의 항생제가 투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예기치 못한 구제역 등의 질병이 발생할 경우엔 속수무책으로 폐사시키는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질병에 강하고 맛있는 쇠고기를 공급할 수 있는 한우 사육 방법을 개발한 것으로, 일반인이 예기치 못한 전혀 새로운 재료를 사료에 포함시켜, 질병에 강하고 맛있고 건강에 유익한 질 좋은 쇠고기 공급할 수 있는 새로운 사육 방법을 발명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재료 원료는 잣이다
일반적으로, 잣은 동의보감 및 본초강목에서 뇌졸증, 고혈압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민간요법으로 이용하는 잣송이술은 체내 좋은 콜레스테롤을 증가시켜 동맥 경화 치료용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항산화제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이미 널리 입증되어 있다
잣나무 진은 Terpenoid 계, Phenol 계, 탄닌과 알카로이드 성분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Terpenoid는 불포화 탄화수소로 약 12% 함유하고 있어 항균, 살충 작용, 소염효과, 소독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terpenoid는 항생, 항암, 혈압강하, 호르몬 분비 촉진, 진정작용 (stress 저하) 효과가 있으며, Terpenolene과 borneal 성분은 담즙분비 촉진으로 콜레스테롤 분해하는 효과가 있다. 잣송이 성분은, 단백질 3.1%, 지방 13.1%, 에너지함량 6,104 Kcal/Kg, 지방산 함량 : 포화지방산 1.5%, 단일불포화 지방산 24%, 지방산 51%, 지방산 24%로 매우 높은 함량의 기능성 지방산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잣한우 사육 방법은, 잣나무의 잣송이를 탱크에 투입하는 단계; 섭씨 101도 내지 107도의 증기를 60 내지 80분간 상기 탱크를 통과시켜 증류에 의해 추출되는 잣정유를 채취한 후, 잔류하는 부산물인 액체 추출수를 5 내지 15 중량%로 급수에 혼합하는 추출수의 혼합 준비단계; 상기 준비된 혼합수를 한우에 3-6개월간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한우는 대체로 비육 후기인 20개월 - 27 개월 사이에 또는 24 개월 이후의 한우에 대하여 상기한 준비된 추출수 혼합수를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한우에 대하여 상기한 준비된 추출수 혼합액을 급여시, 7-10일간 급여 실험을 행하여 한우가 적응하는가 여부를 관찰한 후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추출수를 5 내지 15 중량%로 급수에 혼합하는 혼합액 준비단계에서, 사용하는 5-15%중량 추출수 대신, 추출수를 제외한 나머지 잣부산물인 잣송이를 분쇄하여 이를 잣송이 톱밥으로 만들어, 사료에 대해 5-15 중량%를 혼합하여 한우에 3-6개월간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잣 정유 후의 추출수 및 잣껍질을 포함하는 잣송이 등의 부산물을 먹인 소는 면역성 증대되어 항생제를 투입할 필요가 없게 되어 질 좋은 쇠고기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또한 잣 부산물을 먹인 소는 건강에 유익한 고콜레스테롤(HDL) 함량은 증가하고, 반대로 건강에 나쁜 저콜레스테롤(LDL) 함량은 저하되는 효과가 있어 총콜레스테롤 함량이 감소하는 약리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어 우수한 품질의 쇠고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쇠고기의 색, 보수력 등이 양호하여 더욱 맛있는 쇠고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육 방법에 의하면, 최소 최적의 잣부산물 투여와 효과적인 사육 방법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양질의 쇠고기를 양산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 은 도 1 은 한국화학시험연구소에서 잣나무 추출물의 성분분석 자료이고,
도 2 는 도 1 에서 5.753분 대에서 스캔된 어떤 많은 양의 물질을 수치적 데이타로 나타낸 것이고,
도 3a 및 3b 는 도 2 에서 나타낸 5.751분대에서 검출된 물질의 분석을 나타낸 것이며,
도 4 는 분석방법 중 최상의 크로마토 그래프이며
도 5 는 시료별 공조 배양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술한다
잣나무 부산믈은 잣송이를 사용한다
잣나무의 잣송이를 탱크에 투입하여 섭씨 101도 내지 107도의 증기를 60 내지 80분간 상기 탱크를 통과시켜 증류에 의해 추출되는 잣정유를 채취한 후, 잔류하는 부산물인 액체 추출수를 모아 준비한다
증기 온도가 상기 범위 이상으로 지나치게 높으면 잣의 추출물질의 성분에 영향을 미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증기 공급 시간은 약 70분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시간 범위 이상으로 정유하면 유효성분의 추출 성분 함량이 희석되어 정유물의 농도가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증기 정유 후, 부산물인 추출수는 별도로 모아 한우 급수시 5 내지 15 중량% 혼합하여 한우에 투여한다. 추출수의 투여는 물과 혼합하거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사료에 혼합하여 투여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물과 혼합하여 투여하는 것으로 실험하였다
한우에의 급여는 3-6개월 바람직하기로는 5 개월간 급여한다. 지나치게 오래 급여하면 불필요하게 추출수를 낭비하게 되고 효과상 더 증대되는 효과도 없다.
상기한 사육우는 대체로 비육 후기인 20개월 - 27 개월 사이에 또는 24 개월 이후의 사육우에 대하여 상기한 준비된 추출수를 투여한다. 그 이전에 투여하여도 되나 빠른 상품화를 위한 것이라면 이미 성장한 후에 투여하는 것이 효과상 큰 차이 없이 비용 절감에 도움이 된다
상기한 사육우에 대하여 상기한 준비된 추출수를 급여시, 7-10일간 투여량을 점차 늘리는 급여 실험을 행하여 비육우의 적응 여부를 관찰한 후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설사를 하는 등의 부적응성이 나타나면 그 투입량을 어느 정도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추출수를 5 내지 15 중량%로 급수에 혼합하는 준비단계에서, 사용하는 5-15%중량 추출수 대신, 추출수를 제외한 나머지 잣부산물인 잣송이를 사용할 경우에는 이를 분쇄하여 잣송이 톱밥으로 만들어, 사료에 대해 5-15 중량%를 바람직하기로는 약 10 중량% 혼합하여 3-6개월간 급여한다. 나머지 방법은 상기한 방법과 동일하다. 15중량% 넘어가면 맛이 떨어져 거부하는 경우가 생기고 효과면에서도 더욱 증대되는 효과가 없다. 5중량% 이하는 투여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실시 예]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잣부산물을 사료의 첨가제로 사용하되, 사용하는 잣 부산물 재료는 아래와 같이 2 가지 종류를 사용하였다
1. 잣껍질(송이)을 스팀 정유 채취 후, 잔류하는 부산물인 액체 추출수를 사용
2. 상기 액체 추출수를 제거한 나머지 잣껍질 송이 부산물을 분쇄하여 톱밥 형태로 만들어 활용
실험 대상 실험구(소)에 대한 투입 정도는 다음과 같다
추출수 음수 처리구는 3 종류로, 즉, 한우에 공급되는 급수의 물에 5중량%, 10중량%, 15중량% 를 각각 투여하였다. 그리고 잣송이 분쇄톱밥 급여구는, 1일 두당 평균 사료 급여량의 10중량%를 혼합하여 투여하였다. 비교하기 위한 대비구는, 일반 관행처럼 물과 사료를 급여하였다.
실험 기간은 2010년 7월 22일부터 12월 7일까지 약 5개월간 실시하였다
먼저, 예비 급여 형식으로 7-10일간 시험 사료첨가제(추출수, 톱밥)을 실험 대상 소가 무리없이 섭취할 수 있는가 관찰하고 이상이 없을 시, 급여 실증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증 농가는 경기도 가평군 상면 행현리 남서우 한우농장에서 실시하였다
종축은 한우 25개월 거세비육우 25두를 대상으로 5개월간 실시하였다
5처리구 당 5반복 총 25두를 축사에 임의 배치하여 실시하였다
사료첨가제 및 사료 급여 방식은, 처리구별 차등없이 일반 비육 한우 급여 사료량인 1일평균 9키로그램을 기준으로 즉, 통상 농가 급여용 사료를 기준으로 하여 급여하고, 추출수 및 음수 급여도 평균 음수량인 1일 60리터 를 기준으로 자유 급수하였다
실시 후, 조사항목은 8개 항목으로 하였는 바, 등급과 지방산 조성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 및 분석항목은, 일반성분(수분, 단백질, 지방, 회분), 육질 pH, 육질 보수력, 육질 전단력, 헌터(hunter) 육색, 지방산(profile) 조성 및 분석을 행하였다. 분석 의뢰는 (주)선진축우 식육연구센터에 의뢰하였으며, 분석 부위와 중량은, 우육 채끝 등심 100그램 이상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상기 분석 결과에 의하면, 비육우 육질 등급판정 성적은 A+ 등급 이상이 나왔다. 이화학적 특성은 아래의 [표 1]로 나타내었다. 참고로 표 1,2,3은 아래 표 4,5,6의 평균치에 대한 평균치 표이다
이화학적 특성
Treat 대조구 5% 10% 15%

물리적특성
pH 5.71±0.23 5.49±0.04 5.45±0.01 5.44±0.02
보수력 57.61±1.53 58.06±1.61 57.31±0.37 55.89±3.13

CIE
명도(L) 41.05±4.02 38.83±2.37 43.59±3.71 39.96±0.40
적색도(a) 20.19±0.74b 24.75±2.92a 23.07±0.37ab 22.33±0.13ab
황색도(b) 11.04±0.55 12.76±1.76 13.05±0.24 12.18±0.12
표 1 에서 보듯이,
물리적 특성은, pH가 추출수 15중량% 투입한 소에서 가장 높은 결과가 나타나 추출수 투입량이 많을 수록 pH가 높아짐을 알 수 있고, 보수력도 추출수 농도에 따라 증가하여 추출수 15중량%가 가장 높게 나왔다
헌터 색채 분류에 의한 육색을 살펴 보면, 명도는 추출수 10중량% 투입구가 가장 높았고, 5중량% 및 15중량% 경우 대조구 보다 명도가 낮았다
적색도(a)는 5중량% 경우 가장 높고, 다음으로 10중량%, 15중량%, 대조구 수능로 적색도가 낮았다. 황색도(b)는 10중량%가 가장 높았고 5중량%, 15중량% 순으로 황색도가 높았다.
상기 [표 1]의 결과는 추출수 투입한 구는 pH는 낮아지고 보수력은 좋아지며, 명도는 10중량%가 가장 좋고 적색도 및 황색도도 추출수 투입구가 대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추출수 투여구가 색상 및 보수력 등에서 우수한 효과가 나왔다
일반성분(%)
대조구 5% 10% 15%
수분 60.07±1.13b 60.15±1.61ab 61.12±1.02ab 64.01±1.63a
단백질 20.42±0.52ab 20.36±0.10ab 19.73±0.30b 21.37±0.42a
지방 20.22±0.24a 20.36±0.10a 19.68±0.37a 13.33±3.09b
회분 0.81±0.01 0.81±0.01 0.81±0.00 0.81±0.01
표 2 에서는 성분에 대한 분석이다.
표 2 에서 보듯이, 수분은 추출수 투입 중량%에 따라 점차 증가하여 15중량%가 가장 수분함량이 많았으며, 단백질 차이는 별로 없으며 지방은 15중량%일때 지방 함량이 현저히 떨어졌다. 회분은 변화가 없었다
[표 2]에 의한 결론은 추출수 투입구가 대조구에 비해 수분이 풍부하고 지방이 현저히 감소하는 효과를 가져오므로 육즙이 풍부하고 지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지방산(%)
대조구 5% 10% 15%
C14:0 Myristic acid 2.59±0.14 2.88±0.60 2.91±0.74 2.67±0.14
C16:0 Palmitic acid 26.05±1.05 24.2±0.17 24.68±1.11 24.42±1.01
C16:1n7 Palmitoleic acid 4.66±0.52 5.04±0.42 4.73±1.15 4.73±0.99
C18:0 Stearic acid 11.57±0.15 10.46±0.66 10.56±2.08 11.77±0.69
C18:1n9 Oleic acid 51.00±0.67b 53.78±1.34a 53.64±0.66a 53.09±0.69ab
C18:1n7 Vaccenic acid 0.74±0.10 0.57±0.21 0.44±0.08 0.58±0.08
C18:2n6 Linoleic acid 1.87±0.18 2.05±0.31 2.03±0.08 1.67±0.21
C18:3n6 r-Linoleic acid 0.11±0.01a 0.06±0.01b 0.08±0.01b 0.09±0.01ab
C18:3n3 Linolenic acid 0.36±0.06 0.28±0.06 0.25±0.04 0.23±0.04
C20:1n9 Eicosenoic acid 0.98±0.01 0.57±0.24 0.55±0.19 0.63±0.12
C20:4n6 Arachidonic acid 0.10±0.01 0.13±0.04 0.15±0.01 0.15±0.05
포화지방산 40.20±1.06 37.53±1.09 38.15±0.23 38.86±1.56
불포화지방산 59.80±1.06 62.47±1.09 61.85±0.23 61.15±1.56
단가 불포화지방산 57.37±1.29 59.95±1.36 59.30±0.28 59.03±1.87
다가 불포화지방산 2.43±0.23 2.53±0.28 2.50±0.02 2.12±0.31
표 3 은 지방산에 대한 비교이다
미리스트산은 추출수 투입에 따라 약간 증가하고,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추어 주는 유익한 성분인 팔미산은 대조구에 비해 떨어져 유익한 것으로 나타났고, 팔미톨레산은 약간 높아지며, 식물성 지방에서 나오는 유익한 성분인, 포화지방산인 스테아린산은 큰 변화 없으며, 오레인산은 증가하며 박센산은 크게 떨어지며 리놀렌산은 상승하나 15중량%에서는 오히려 떨어지며 감마리놀렌산은 크게 떨어지며, 에이코세노산은 크게 떨어지며 아라키돈산은 상승한다
그리고 포화지방산은 떨어지고 불포화지방산은 상승하며 다가 불포화지방산은 약간 상승하다가 15중량%일때는 떨어진다
상기 표의 결과에 의하며 대체로 인체에 유익한 지방산은 그 성분이 증가하고 인체에 유익하지 못한 성분은 그 함량이 반대로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래 표 4,5,6 은 상기 표 1,2,3의 평균치를 산출하기 전의 것이다
여기서 대조구 우측에 기재된 번호는 도축소를 식별하기 위한 도축소의 고유식별번호이다
이화학적 특성
Treat 대조구 대조구 214 219 212 218 215 216
- - 5% 5% 10% 10% 15% 15%
물리적특성 pH 5.55 5.87 5.51 5.46 5.44 5.46 5.45 5.42
보수력 58.69 56.53 56.92 59.19 57.57 57.04 58.1 53.68

CIE
명도(L) 43.89 38.21 40.5 37.15 40.96 46.21 39.68 40.24
적색도(a) 19.66 20.71 26.81 22.68 23.33 22.8 22.42 22.24
황색도(b) 11.43 10.65 14 11.51 12.88 13.22 12.09 12.26
일반성분
Treat
대조구 대조구 214 219 212 218 215 216
- - 5% 5% 10% 10% 15% 15%
수분 59.27 60.87 61.29 59.01 61.84 60.4 62.86 65.16
지방 20.39 20.05 20.29 20.43 19.94 19.41 15.51 11.14
단백질 20.78 20.05 20.29 20.43 19.94 19.51 21.66 21.07
회분 0.81 0.8 0.81 0.8 0.81 0.81 0.8 0.81
지방산(%)
Treat 대조구 대조구 214 219 212 218 215 216
5% 5% 10% 10% 15% 15%
C14:0 Myristic acid 2.49 2.69 2.45 3.30 2.38 3.43 2.77 2.57
C16:0 Palmitic acid 26.79 25.30 24.32 24.08 23.89 25.46 23.7 25.13
C16:1n7 Palmitoleic acid 4.29 5.03 4.74 5.33 3.91 5.54 5.43 4.03
C18:0 Stearic acid 11.67 11.46 9.99 10.92 12.03 9.09 11.28 12.26
C18:1n9 Oleic acid 50.52 51.47 54.73 52.83 54.11 53.17 53.57 52.60
C18:1n7 Vaccenic acid 0.67 0.81 0.71 0.42 0.50 0.38 0.63 0.52
C18:2n6 Linoleic acid 2.00 1.74 1.83 2.27 1.97 2.08 1.52 1.82
C18:3n6 r-Linoleic acid 0.10 0.11 0.07 0.05 0.08 0.07 0.08 0.09
C18:3n3 Linoleic acid 0.40 0.31 0.32 0.23 0.27 0.22 0.20 0.25
C20:1n9 Eicosenoic acid 0.98 0.97 0.74 0.40 0.68 0.41 0.71 0.54
C20:4n6 Arachidonic acid 0.09 0.11 0.10 0.16 0.16 0.14 0.11 0.18
포화지방산 40.95 39.45 36.76 38.30 38.31 37.99 37.75 39.96
불포화지방산 59.09 60.55 63.24 61.70 61.69 62.01 62.25 60.04
단가 불포화지방산 56.46 58.28 60.91 58.98 59.10 59.50 60.35 57.70
다가 불포화지방산 2.59 2.27 2.33 2.73 2.48 2.51 1.90 2.34
이하, 첨부 도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한국화학시험연구소에서 시험한 상기한 잣나무 추출수의 성분분석 자료이다
시험 항목은 유기물 정성시험이며, 시험방법은 KS M 0027: 2008으로, 관에 성분 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시험하고자 하는 물질을 관 내에 흘려 감지기에서 감지되는 물질의 양을 살펴 본 것이다
그 결과,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좌표는 시간이고 세로좌표는 물질 추출량을 나타내는데, 가로축의 5.753분 시간위치에서 약 25,000에 해당하는 량의 어떤 물질이 성분감지기에 의해 감지되었다
도 2 는 도 1 에서 5.753분 대에서 스캔된 어떤 많은 양의 물질을 수치적 데이타로 나타낸 것으로, 가장 근접한 시간대에서 데이타로 기록된 것은 5.751분대로, 이 시간대에서 최대 피크 높이가 22,543의 검출량 수치를 나타내고 있어 도 1 의 그래프상의 검출량과 거의 근접하므로 일치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b 는 도 2 에서 나타낸 5.751분대에서 검출된 물질의 분석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분석된 물질은,
bicyclo[3.1.1]hept-3-en-2-one, 4,6,6-trimethyl-, 1-verbenone, verbenone, 2-pinen-4-one 물질일 확률이 98%(제일 우측에 98 표시)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4,6,6-trimethylbicyclo[3.1.1]hept-3-en-2-one, bicyclo[3.1.1]hept-3-en-2-one, 4,6,6-trimethyl-, (+)-(1r,5r)-2(10) pine-4-one, (-)-verbenone 물질일 확률이 97%이며, bicycle[3.1.1]hept-3-en-2-one, 4,6,6-trimethyl-, 1-verbenone, verbenone, 2-pinen-4-one 물질일 확률이 95%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를 종합하면, 98%,95% 일 확률인 물질이 동일하고, 97%일 물질일 확률인 물질도 그 성분이 거의 동일한 물질로 확인된다
이하는, 대한민국 경기도 가평군농업기술센타에서 자체 분석한 자료이다
잣껍질 피톤치드 생산시 부산물인 증류수의 동물 사양시험 결과 혈액 중 저밀도 콜레스테롤(LDL) 함량이 낮은 현상이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나타내어 이러한 결과를 초래하는 유효성분에 대한 탐색을 시도하였다
HPLC 분석 방법 및 디텍터의 선택이 다양하나 본 실험에서 RT 5분 경 피크가 주물질이며 스펙트럼은 플라본 형태로 크리신 성분 등 14가지 성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분석 방법]
분석 방법은 표 7,8,9 과 같다
HPLC 분석조건
컬럼 XTerra MS C18 3.5㎛(2.1×150㎜)
컬럼온도 30±5℃
이동상A Acetic Acid 2.0%
이동상B Acetonitrile 50% + water(0.5% Acetic acid) 50%
유속 0.2㎖/min
디렉터 260NM(200~600NM):Water 2996 PAD
인젝션볼륨 10㎛
HPLC 이동상 조건
시간 유속 %A %B %C %D 커브
0.01 0.2 88 12 0 0 6
5 0.2 88 12 0 0 6
9 0.2 78 22 0 0 6
20 0.2 70 30 0 0 6
30 0.2 70 30 0 0 6
35 0.2 88 12 0 0 6
40 0.2 88 12 0 0 6
분석시료 3 점
Project 분석 Method Time 바이알 샘플이름
jh91225 정성분석71008 09-12-25 11:40 2 잣껍질증류원액
jh91225 정성분석71008 09-12-25 11:40 2 잣껍질증류원액
jh91225.1 정성분석 09-12-25 13:20 2 잣껍질증류원액
[분석 결과]
분석 결과, 잣껍질 증류수 원액의 유효성분은 다음의 [표 10]과 같다
분석결과
분석시간 이름 머무름시간 면적 % 면적 높이
2009-12-24 PM9:15:41KST 잣껍질증류원액 0.1 1,083 0 270
2009-12-24 PM9:15:41KST 잣껍질증류원액 0.4 5,155 0 698
2009-12-24 PM9:15:41KST 잣껍질증류원액 1.2 49,704 0 2,377
2009-12-24 PM9:15:41KST 잣껍질증류원액 1.5 49,241 0 3,904
2009-12-24 PM9:15:41KST 잣껍질증류원액 1.8 337,624 2 16,387
2009-12-24 PM9:15:41KST 잣껍질증류원액 2.5 612,087 4 44,087
2009-12-24 PM9:15:41KST 잣껍질증류원액 2.9 1,793,575 12 139,689
2009-12-24 PM9:15:41KST 잣껍질증류원액 3.1 1,069,235 7 84,903
2009-12-24 PM9:15:41KST 잣껍질증류원액 3.4 494,584 3 37,085
2009-12-24 PM9:15:41KST 잣껍질증류원액 3.9 353,976 2 19,317
2009-12-24 PM9:15:41KST 잣껍질증류원액 4.3 1,243,137 8 121,448
2009-12-24 PM9:15:41KST 잣껍질증류원액 4.6 263,345 2 21,114
2009-12-24 PM9:15:41KST 잣껍질증류원액 5.1 7,156,352 46 727,019
2009-12-24 PM9:15:41KST 잣껍질증류원액 5.8 735,926 5 45,355
2009-12-24 PM9:15:41KST 잣껍질증류원액 6.2 706,926 5 52,174
2009-12-24 PM9:15:41KST 잣껍질증류원액 7.4 48,038 0 2,555
2009-12-24 PM9:15:41KST 잣껍질증류원액 8.0 145,889 1 11,049
2009-12-24 PM9:15:41KST 잣껍질증류원액 9.7 32,071 0 2,343
2009-12-24 PM9:15:41KST 잣껍질증류원액 10.3 196,802 1 12,465
2009-12-24 PM9:15:41KST 잣껍질증류원액 11.1 42,556 0 2,230
2009-12-24 PM9:15:41KST 잣껍질증류원액 37.7 2,949 0 411
2009-12-24 PM9:15:41KST 잣껍질증류원액 38.9 162,329 1 1,821
[표 10]에서 보듯이, 체류시간 5.1 분에서 727.019 높이로 나타나 유효성분이 크게 나타났으며, 도 4 에서 보듯이 최상의 크로마토그래프로 보면, 5.1분 대에서 가장 높은 6,000으로 나타나 잣나무의 유효성분 존재를 입증하였다
그리고 도 5 는 시료별 공조 배양한 결과이다
시료는 3 종류로 하였는데, 잣껍질(잣송이 분쇄물 포함) 증류원액, 잣껍질증류원약과 퀘세틴과 물을 혼합한 것, 그리고 잣껍질 증류원액과 퀘세틴과 클로로겐산을 혼합한 것을 공조 배양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로 동시에 함께 나타내었다. 그 결과에 의하면, 잣껍질 증류원액의 유효 성분이 퀘세틴과 클로로겐산의 중간 높이로 나타나, 잣껍질이 이들 특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퀘세틴은 붉은 사과와 붉은 양파에 그 성분이 많이 포함된 것으로, 피로를 완화시켜주고, 강략한 항산화제재며 천연 항히스테테민제, 항염제 작용을 한다
또한 클로로겐산은 커피 속에 다량 포함되어 있는 폴리페놀 화합물의 일종이며, 이는 생체 내에서 과산화지질의 생성 억제효과, 콜레스테롤 생합성 억제효과 및 항산화 작용, 항암작용 등을 한다. 화학식 C16H18O9. 분자량은 354.31이다. 물, 알코올, 아세톤에는 가용성이며 철(Fe)과 반응하여 검은색 화합물로 변한다. 쌍떡잎 식물의 과일과 잎에서 분리되었으며, 감자, 고구마의 껍질에도 많이 함유되어 있다. 고구마에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을 가하여 음식물(빵 등)을 만들 때 녹색으로 변하게 하는 원인물질이기도 하다.
클로로겐산은 생체 내에서 과산화지질의 생성 억제효과, 콜레스테롤 생합성 억제효과 및 항산화 작용, 항암작용이 있다. 또한 식사 후 혈액으로 글루코스 방출을 느리게 하고 심장질환을 예방하며, 글리코겐 및 글루코스-6-인산의 간 내부 농축을 증가시키고 혈당수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연구에서는 무기질의 분배를 개선시키고, 혈장 및 간의 지방을 감소시키며, 글루코스 내성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실험 결과에 의하면, 결론적으로 잣껍질(잣송이 분쇄물 포함)은 항암, 항산화 작용을 하는 물질을 포함하고 있음을 증명할 수 있다.
없음

Claims (4)

  1. 잣나무의 잣송이를 탱크에 투입하는 단계;
    섭씨 101도 내지 107도의 증기를 60 내지 80분간 상기 탱크를 통과시켜 증류에 의해 추출되는 잣정유를 채취한 후, 잔류하는 부산물인 액체 추출수를 5 내지 15 중량%로 급수에 혼합하는 추출수의 혼합 준비단계;
    상기 준비된 혼합액을 비육우에 3-6개월간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잣한우 사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비육우는 비육 후기인 20개월 - 27 개월 사이에 또는 24 개월 이후의 비육우에 대하여 상기한 준비된 추출수 혼합액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잣한우 사육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비육우에 대하여 상기한 준비된 추출수 혼합액을 급여시, 7-10일간 급여 실험을 행하여 비육우의 적응 여부를 관찰한 후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잣한우 사육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추출수를 5 내지 15 중량%로 급수에 혼합하는 사료 준비단계에서,
    사용하는 5-15%중량 추출수 대신, 추출수를 제외한 나머지 잣부산물인 잣송이를 분쇄하여 이를 잣송이 톱밥으로 만들어, 사료에 대해 5-15 중량%를 혼합하여 비육우에 3-6개월간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잣한우 사육 방법
KR1020110008554A 2011-01-28 2011-01-28 잣한우 사육 방법 KR101264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554A KR101264824B1 (ko) 2011-01-28 2011-01-28 잣한우 사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554A KR101264824B1 (ko) 2011-01-28 2011-01-28 잣한우 사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394A true KR20120087394A (ko) 2012-08-07
KR101264824B1 KR101264824B1 (ko) 2013-05-15

Family

ID=46872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554A KR101264824B1 (ko) 2011-01-28 2011-01-28 잣한우 사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48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7374A (ko) * 2014-05-07 2015-11-17 가평군청 복합 잣 생균제를 이용한 한우 사육방법
KR20210049448A (ko) * 2019-10-25 2021-05-06 박창하 잣부산물 이용한 단미사료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463B1 (ko) 2005-12-27 2007-05-10 대한민국 잣나무로부터 천연정유물질을 고수율로 추출하는 방법
KR100949670B1 (ko) 2009-06-15 2010-03-29 허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gu1와 이를 이용한 사료첨가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7374A (ko) * 2014-05-07 2015-11-17 가평군청 복합 잣 생균제를 이용한 한우 사육방법
KR20210049448A (ko) * 2019-10-25 2021-05-06 박창하 잣부산물 이용한 단미사료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4824B1 (ko) 201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ifonzo et al. Functional compounds from olive pomace to obtain high‐added value foods–a review
Paul et al. Pomegranate seed oil in food industry: Extraction, characterization, and applications
Souilem et al. Emerging technologies for recovery of value-added components from olive leaves and their applications in food/feed industries
Nunes et al. Olive by-products for functional and food applications: Challenging opportunities to face environmental constraints
Faria et al. Nutritional composition of rice bran submitted to different stabilization procedures
Achilonu et al. Biochemical proximates of pumpkin (Cucurbitaeae spp.) and their beneficial effects on the general well‐being of poultry species
Stevens et al. Proximate and anti-nutritional composition of leaves and seeds of Moringa oleifera in Nigeria: a comparative study
KR100934252B1 (ko) 산삼배양근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사료
Vekiari et al. Compositional changes of major chemical compounds in Greek carob pods during development
Boschin et al.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oil from Lupinus albus cv. Luxe as affected by environmental and agricultural factors
Khan et al. Ameliorating effects of okra (Abelmoschus esculentus) seed oil on hypercholesterolemia
KR101264824B1 (ko) 잣한우 사육 방법
CN108478679A (zh) 一种宠物驱虫剂及其制备方法
Obasi Effect of scent leaf-extract (ocimum grafissimum) and neem leaf-extract (Azadirachta Indica) fed as antimicrobial feed additive on finishing broilers
Mohamed Chemical profile, agaritine and selenium content of Agaricus bisporus
KR101647917B1 (ko) 초석잠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재 추출액과 밤 약술 및 그 제조방법
CN105394515A (zh) 一种凤尾菇-香蒲固态发酵功能饮品及制备方法
Soleyman Dehkordi et al. Studying the effect of the Ziziphora tenuior L. plant on some biochemical factors of serum in rats
Radali et al. Periwinkle (Catharanthus roseus) Leaves and Lemongrass (Cympoogon citratus): An Analysis of Their Nutritional Composition, Anti-Nutritional Factors and Antioxidant Content
Mittal et al. Hemp (Cannabis sativa L.) agronomic practices, engineering properties, bioactive compounds and utilization in food processing industry
CN107410167A (zh) 一种生态虫子鸡的养殖方法
Sari et al. Overview of traditional use,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cucumber (Cucumis sativus L.)
David-Oku et al. Proximate and anti-nutrient profile changes in differently processed tuber flours of Icacina senegalensis A. Juss (Icacinaceae) from Southern Nigeria
Dambhare et al. A review on: phytochemical screening and pharmacological activity on Madhuca longifolia
Özdikicierler et al. Bioactive Phytochemicals from Acorn (Quercus spp.) Oil Processing By-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