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5444B1 - 코팅된 유산균 분말 및 생강 분말을 함유하는 육계용 사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코팅된 유산균 분말 및 생강 분말을 함유하는 육계용 사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5444B1
KR101635444B1 KR1020140095479A KR20140095479A KR101635444B1 KR 101635444 B1 KR101635444 B1 KR 101635444B1 KR 1020140095479 A KR1020140095479 A KR 1020140095479A KR 20140095479 A KR20140095479 A KR 20140095479A KR 101635444 B1 KR101635444 B1 KR 101635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ic acid
acid bacteria
broiler
powder
g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5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3546A (ko
Inventor
한종권
남정옥
박근태
오미향
지기쁨
김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래자원엠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래자원엠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래자원엠엘
Priority to KR1020140095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444B1/ko
Publication of KR20160013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3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44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계용 사료에 생강 코팅 캡슐 분말과 유산균 코팅 캡슐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계용 사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육계용 사료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육계용 사료를 육계에게 급여함으로써, 증체량, 면역력 및 육질 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육계용 사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육계용 사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코팅된 유산균 분말 및 생강 분말을 함유하는 육계용 사료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feed for broiler containing coated lactic acid bacteria powder and ginger powder}
본 발명은 육계용 사료에 생강 코팅 캡슐 분말과 유산균 코팅 캡슐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계용 사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육계용 사료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육계용 사료를 육계에게 급여함으로써, 증체량, 면역력 및 육질 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육계용 사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육계용 사료에 관한 것이다.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은 락트산 균 또는 젖산균이라고도 하며, 포유류의 장내에 서식하여 잡균에 의한 이상발효를 방지해 정장제(整腸劑)로도 이용되는 유용한 세균이다. 상기와 같이 유용한 유산균은 장에 정착하여 장관운동 활성화, 유해균 억제, 비타민 및 면역증강 물질 촉진 등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를 발휘하는데, 인체의 구조상 사람이 유산균을 섭취하면 유산균이 위산 또는 담즙산으로 인해 사멸하여 유산균 본래의 생리활성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생강은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蒜)이라고도 하며, 예로부터 우리나라에서 기호식품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던 식물로서, 이미 <본초강목>에 '어릴 때부터 생강을 상식하면 신체의 성장이 빨라져 정신적으로는 미숙해도 몸은 성숙해져 성인이 되어 버리는 강장적 작용을 한다.'고 기술되어 있을 만큼 자 양 강장제로 이용되어 왔다. 또한, 여러 연구의 결과 항암 및 항균, 진통효과, 혈액순환 개선, 호르몬 분비 촉진 등의 많은 생리활성을 띠고 있음이 보고되어 있다.
소비자의 소득 증대에 따라 식생활의 기호 변화에 부응하여 다양한 축산물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수요에 발맞추어 좋은 품질의 축산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도축하기 전에 동물들이 병에 걸리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육질을 개선하여 좋은 품질의 축산물을 공급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러나, 가축에게 항생제나 화학적 치료제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제품의 항생제 잔류나 내성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어, 항생제 사용에 대한 규제가 전 세계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고 가축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사료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04-0037971호에는 모자반을 함유한 육계용 사료가 개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2012-0130504호에는 발아 및 발효콩을 포함하는 육계용 사료첨가제가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코팅된 유산균 분말 및 생강 분말을 함유하는 육계용 사료의 제조방법과는 상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육계용 사료에 생강 코팅 캡슐 분말과 유산균 코팅 캡슐 분말을 적정량 첨가하여 육계의 증체량 개선과 면역력 및 육질 향상에 도움을 주어, 육계의 생산성 향상 및 품질이 우수한 닭고기를 생산할 수 있는 육계용 사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육계용 사료에 생강 코팅 캡슐 분말과 유산균 코팅 캡슐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계용 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육계용 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육계용 사료는 닭 소화 과정에서 생강의 영양성분 손실과 유산균 감소를 최소화하여 생강의 유효성분이 효과적으로 닭 소화과정에서 흡수되고, 유산균은 효과적으로 대장에 도달할 수 있게 되어, 생강 및 유산균의 첨가 효과를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육계용 사료를 육계에게 급여함으로써, 증체량, 면역력 및 육질 등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최대로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유산균 코팅 캡슐 분말, 감태 코팅 캡슐 분말 및 생강 코팅 캡슐 분말 사진을 보여준다.
도 2는 캡슐화되지 않은 유산균(Free cells)과 제조예 1의 캡슐화된 유산균(capsules)의 균수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현탁액(control)과 제조예 1의 분무건조 전의 유산균 코팅 캡슐(emulsified capsule)과 제조예 2의 분무건조 후의 유산균 코팅 캡슐 분말(spray dried powder)의 균수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사료 종류를 달리하여 생산한 육계의 간 및 소장 조직을 관찰한 결과이다. 도 4의 (1)은 간의 조직사진이고, (2)는 소장의 융모 길이를 측정한 결과이며, a는 1 처리구, b는 2 처리구, c는 3 처리구, d는 4 처리구, e는 5 처리구 및 f는 6 처리구를 의미한다.
도 5는 사료 종류를 달리하여 생산한 육계의 IgG(%) 함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1은 1 처리구, 2는 2 처리구, 3은 3 처리구, 4는 4 처리구, 5는 5 처리구 및 6은 6 처리구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호화된 전분 용액에 생강 분말 용액을 첨가한 후 균질화하고 분무건조하여 생강 코팅 캡슐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b) 호화된 전분 용액에 유산균 배양액 및 식용유를 첨가하고 균질화한 후 원심분리하여 식용유를 제거한 후, 분무건조하여 유산균 코팅 캡슐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육계용 사료에 상기 (a)단계의 제조한 생강 코팅 캡슐 분말과 (b)단계의 제조한 유산균 코팅 캡슐 분말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계용 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육계용 사료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b)단계의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균주일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락토바실러스 퍼멘툼(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및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균주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육계용 사료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c)단계의 생강 코팅 캡슐 분말과 유산균 코팅 캡슐 분말은 육계용 사료 기준으로 각각 0.08~0.12 중량% 첨가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각각 0.1 중량%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육계용 사료를 육계에게 급여함으로써, 육계의 증체량, 면역력 및 육질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육계용 사료의 제조방법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a) 전분 160~240 g에 물 0.8~1.2 L를 넣고 호화시킨 전분 용액에 0.8~1.2%(w/v) 생강 분말 용액 80~120 mL를 첨가한 후 균질화하고 분무건조기 입구 온도가 140~180℃, 시료 주입 속도 400~600 mL/시간으로 설정된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무건조하여 생강 코팅 캡슐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b) 8~12%(w/v) 전분 용액을 호화시킨 후, 호화시킨 전분 용액 부피대비 6~10 log CFU/mL 농도의 유산균 배양액 8~12%와 1.6~2.4배 양의 식용유를 첨가하고 균질화한 후 원심분리하여 식용유를 제거한 후, 분무건조기 입구 온도가 140~180℃, 시료 주입 속도 400~600 mL/시간으로 설정된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무건조하여 유산균 코팅 캡슐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육계용 사료에 육계용 사료 기준으로 상기 (a)단계의 제조한 생강 코팅 캡슐 분말과 (b)단계의 제조한 유산균 코팅 캡슐 분말을 각각 0.08~0.12 중량%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a) 전분 200 g에 물 1 L를 넣고 호화시킨 전분 용액에 1%(w/v) 생강 분말 용액 100 mL를 첨가한 후 균질화하고 분무건조기 입구 온도가 160℃, 시료 주입 속도 500 mL/시간으로 설정된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무건조하여 생강 코팅 캡슐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b) 10%(w/v) 전분 용액을 호화시킨 후, 호화시킨 전분 용액 부피대비 8 log CFU/mL 농도의 유산균 배양액 10%와 2배 양의 식용유를 첨가하고 균질화한 후 원심분리하여 식용유를 제거한 후, 분무건조기 입구 온도가 160℃, 시료 주입 속도 500 mL/시간으로 설정된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무건조하여 유산균 코팅 캡슐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육계용 사료에 육계용 사료 기준으로 상기 (a)단계의 제조한 생강 코팅 캡슐 분말과 (b)단계의 제조한 유산균 코팅 캡슐 분말을 각각 0.1 중량%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육계용 사료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a)단계와 같은 조건으로 생강 코팅 캡슐 분말을 제조하는 것이 생강 특유의 강한 향과 맛을 차단하여 사료의 기호도를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닭의 소화과정에서 생강의 영양성분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영양성분이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b)단계와 같은 조건으로 유산균 코팅 캡슐 분말을 제조하는 것이 닭의 소화과정에서 유산균의 감소를 최소화하여 효과적으로 대장에 도달할 수 있게 하여 장내 pH를 낮추어 유익한 균(유산균)의 활성을 돕고, 유해균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육계용 사료의 제조방법에서, 육계용 사료에 생강 코팅 캡슐 분말과 유산균 코팅 캡슐 분말을 단독으로 첨가하는 것에 비해, 생강 코팅 캡슐 분말과 유산균 코팅 캡슐 분말을 모두 첨가하여 제조된 육계용 사료를 육계에게 급여함으로써, 육계의 증체량, 면역력 및 육질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증진시켜 육계의 생산성 향상시키고 품질이 우수한 닭고기를 제공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육계용 사료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W/O 에멀젼을 활용한 유산균 코팅
10% 전분 용액(w/v)을 호화시킨 후, 호화시킨 전분 용액 부피대비 8 log CFU/mL 농도의 유산균(Lactobacillus plantarum) 용액 10%와 호화시킨 전분 용액 2배 양의 식용유를 첨가하고, 11,000 rpm으로 균질화한 후 원심분리하여 식용유를 제거하여 유산균을 코팅하였다.
제조예 2: 분무건조를 이용한 유산균 코팅 캡슐 분말 제조
제조예 1의 방법으로 W/O 에멀젼 기법을 이용하여 캡슐화시킨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을 가금류의 사료에 적용하기 위하여 분말화 하고자 분무건조를 수행하여 유산균 코팅 캡슐 분말을 수득하였다. 분무건조를 위해 W/O 에멀젼 기법을 이용하여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을 캡슐화한 후 이를 다시 멸균된 0.9%(w/v) NaCl 수용액에 현탁하여 10%(w/v) 농도의 유산균 코팅 캡슐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이 현탁액을 분무건조기(EYELA SD-1000, Tokyo Rikakikai Co., Ltd., Japan)를 이용하여 분무 건조하였으며, 입구온도(inlet temperature)는 160℃, 송풍 속도(blower rate)는 0.60 m3/min, 압력은 220 kPa, 시료의 주입 속도는 400 mL/h로 설정하였다. 분무건조 후 수기병에 모인 시료들만을 회수하였으며, 이때의 수율은 건물 대비 26.27±16.84%로 측정되었다(도 1).
제조예 3: 감태 또는 생강을 첨가한 기능성 코팅 캡슐 분말 제조
전분 200 g에 물 1 L를 넣고 호화시킨 후 온도가 60℃로 냉각되었을 때 1%(w/v) 감태 분말 용액 또는 1%(w/v) 생강 분말 용액 100 mL를 첨가하였다. 그 후에 물을 추가로 넣어 전분의 농도가 8%가 되도록 맞추고 고속 균질한 후 제조예 2의 방법으로 분무건조를 통해 코팅 캡슐을 제조하였다(도 1).
1. 유산균의 양계(육계) 생산성에 대한 실험
(1) 실험동물: 육계(1,200수)를 입고 후 1일간의 적응기간을 거쳐 2일령에 체중 측정을 거쳐 실험구 배치한 후 전기 기간(21일), 후기 기간(12일)을 거쳐 총 33일령의 사양성적을 실험하였다.
(2) 실험사료: 실험 처리구는 하기 표 1과 같으며, 대조구는 시판중인 육계 전기 배합사료(흥성사료)를 의미하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배양액이며, 코팅 유산균은 제조예 2의 방법으로 제조된 유산균 코팅 캡슐 분말이고, 코팅 감태 및 코팅 생강은 제조예 3의 방법으로 제조된 캡슐 분말을 의미한다.
실험 처리구
1 처리구 대조구
2 처리구 대조구 + 유산균 0.1%
3 처리구 대조구 + 감태 분말 0.1% + 유산균 0.1%
4 처리구 대조구 + 코팅 유산균 0.1%
5 처리구 대조구 + 코팅 유산균 0.1% + 코팅 감태 0.1%
6 처리구 대조구 + 코팅 유산균 0.1% + 코팅 생강 0.1%
7 처리구 대조구 + 생강 분말 0.1%
(3) 사양관리: 물과 사료는 자유 급식토록 하였으며, 3일 단위로 사료량을 기록하였고, 점등시간은 1일 23시간이 되도록 하였다.
(4) 조사항목 및 분석 방법: 처리구 간의 사양 성적을 산출하기 위하여 각 처리구간의 증체량과 사료 섭취량을 실험개시일 초이기간종료(5일령), 전기기간종료(21일령), 후기기간종료(33일령)에 체중을 기록하여 사료효율을 평가하였다. 실험 종료일에 각 처리구 당 유사 체중을 갖는 병아리를 희생하여 채혈과 해부를 통하여 혈액 분석과 장기 무게를 비교하였으며, 맹장 적출물을 채취하여 장내 미생물 균총을 조사하였다. 또한, 같은 날 처리구 당 4마리씩 희생하여 육질평가를 실시하였다.
2. 육질 특성 분석
(1) 공시재료: 도체는 6가지 처리구(1~6번)와 각각 처리구에 있어 4마리의 시료(총 24마리)를 각각 가슴육과 다리살을 발골한 이후 육질특성 분석에 사용하였다.
(2) pH 측정
pH는 시료 5 g을 취하여 증류수 20 mL과 혼합한 뒤, Ultra Turrax(Janken and Kunkel, Model No. T-25, Germany)를 이용하여 8,000 rpm에서 1분간 균질한 후 pH 미터(Mettler Toledo 340, Switzerlan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3) 공시재료 육색 측정
시료의 표면을 색차계(Chromameter, CR210, Minolta, Japan)를 사용하여 명도(lightness)를 나타내는 CIE L-값, 적색도(redness)를 나타내는 CIE a-값과 황색도(yellowness)를 나타내는 CIE b-값을 측정하였다. 이때의 표준색은 CIE L-값은 97.83, CIE a-값이 -0.43 및 CIE b-값이 +1.98인 백색 표준판을 사용하였다.
(4) 공시재료 보수력 측정
가슴과 다리육의 보수력은 Grau-Hamm의 여과지 압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보수력(%) = 육조직이 묻어있는 면적(M)/수분이 젖어있는 총면적(T) × 100
(5) 공시재료 가열감량 측정
가슴과 다리는 근육부위를 사용하여 폴리에틸렌 백에 넣어 75℃ 항온수조(Dae Han Co, Model 10-101, Korea)에서 30분간 가열하였다. 가열된 시료는 상온에서 60분간 방냉시킨 후 가열감량을 측정하였다. 가열감량은 가열 전 무게에 대한 중량손실을 백분율로 환산하여 계산하였다.
가열감량(%) = (가열 전 시료 중량(g) - 가열 후 시료 중량(g))/가열 전 시료 중량(g) × 100
(6) 공시재료 전단력(shear force) 측정
가열된 가슴과 다리근육은 근섬유와 평행하게 동일한 모양으로 시료를 취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전단력의 측정은 blade set(Warner-Bratzler blade)가 장착된 조직감 측정기(TA-XT2i, Stable Micro Systems, England)로 수행하였다.
실시예 1: 코팅된 유산균 보호 효과
본 실험은 제조예 1의 W/O 에멀젼을 활용한 유산균 코팅 기술을 통해 얻은 유산균 캡슐의 유산균 보호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유산균 캡슐과 코팅하지 않은 유산균 농축액을 배양한 후 균수 측정 실험을 통해 배양 시간에 따른 균수의 변화를 측정해 유산균 캡슐의 보호 효과를 조사하였다.
유산균 농축액과 유산균 캡슐 시료 1 mL를 각각 pH 2 완충용액 9 mL에 희석해 총 2종류의 시료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료를 진탕 배양기를 이용해 40℃에서 배양하는 도중, 특정 시간마다 0.1 mL씩 취해 희석한 후 DifcoTM 젖산균 MRS 한천 플레이트에 도말하였다. 도말한 플레이트를 배양기를 이용해 37℃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균수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pH 2의 조건 하에서 캡슐화되지 않은 유산균(Free cells)은 1시간 내에 급격히 사멸했으나 캡슐화된 유산균(capsules)은 2시간까지 균수가 서서히 감소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W/O 에멀젼을 활용한 유산균 코팅 기술을 통해 얻은 유산균 캡슐의 유산균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분무건조를 이용한 유산균 코팅 캡슐의 보호 효과
본 실험은 분무건조를 통해 분말화된 유산균 코팅 캡슐 분말의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실험에 사용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현탁액(control)과 제조예 1의 분무건조 전의 유산균 코팅 캡슐(emulsified capsule)과 제조예 2의 분무건조 후의 유산균 코팅 캡슐 분말(spray dried powder)을 이용해 균수 측정 실험을 수행하여 캡슐 내의 유산균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3가지 시료를 각각 pH 2 완충용액에 현탁한 후 닭의 체온과 유사한 40℃에 보관하여 위장에서의 소화를 모방하였고, 보관 30분 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시료의 pH를 7로 보정하여 소장에서의 소화를 모방하였으며, 특정 시간마다 시료를 취해 균수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세 시료 모두 pH 2 조건 하에서 균수가 감소하였지만 분무건조를 통해 분말화된 유산균 코팅 캡슐(제조예 2)의 균수 감소 폭이 가장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분무건조를 통해 분말화된 유산균 코팅 캡슐 분말이 닭의 사료로 사용되었을 경우 유산균이 효과적으로 대장에 도달할 것으로 기대되었다(도 3).
실시예 3: 육계 생산성 결과
사료 종류를 달리하여 초이기간, 전기기간 및 후기기간의 전체기간에 걸쳐 육계를 생산한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결과적으로, 증체면에서 볼 때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5 처리구 및 6 처리구가 높은 증체량을 보였으며, 그 중 6 처리구(대조구 + 코팅 유산균 0.1% + 코팅 생강 0.1%)가 가장 높은 증체 효과를 나타내었다.
육계 생산성 결과
처리구 증체량
(g/bird)
사료섭취량
(g/bird)
사료요구율(feed conversion ratio, 사료섭취량/증체량
1 처리구 1,839±13.3 2,639±56.6 1.44±0.07
2 처리구 1,837±23.0 2,876±51.6 1.57±0.07
3 처리구 1,853±19.3 2,897±42.5 1.56±0.04
4 처리구 1,863±15.3 2,920±60.5 1.57±0.04
5 처리구 1,887±18.9 2,837±48.8 1.50±0.06
6 처리구 1,894±15.3 2,967±51.6 1.56±0.05
7 처리구 1,850±14.8 2,637±48.7 1.42±0.05
실시예 4: 육계의 장내 pH 에 미치는 영향
육계 생시 초이기간 7일령, 전기기간 21일령, 후기기간 33일령에 각각 2마리씩 임의 선별하여 소장과 맹장의 pH를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초이기간에서 후기기간까지의 전체 기간에서 각 기간마다 대조구에 비하여 처리구 2 내지 6에서 소장과 맹장의 pH가 전반적으로 내려간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아마도 유산균에 활성에 의한 장내 환경이 변화된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후기기간에 소장에서 6 처리구가 가장 낮은 pH를 나타내었다. 장내 낮은 pH 유지는 장내세균의 분포를 감소시키는데, 즉, 장내에서 pH를 낮추어 유익한 균(유산균)의 활성을 돕고, 유해균의 활성을 저해하게 된다.
육계의 장내 pH에 미치는 영향
초이기간 전기기간 후기기간
소장 맹장 소장 맹장 소장 맹장
처리구 1 6.36 6.30 6.48 6.58 6.99 6.67
처리구 2 6.02 5.73 6.10 6.36 6.59 6.53
처리구 3 6.01 5.75 6.34 6.38 6.47 6.35
처리구 4 6.13 5.86 5.99 6.49 6.58 6.38
처리구 5 5.98 5.80 6.29 6.27 6.65 6.34
처리구 6 5.79 5.66 6.11 6.25 6.34 6.38
실시예 5: 육계의 간 및 소장 조직에 미치는 영향
사료 종류를 달리하여 생산한 육계의 간 및 소장 조직을 관찰한 결과는 도 4와 같다. 도 4의 (1)은 간의 조직사진이고, (2)는 소장의 융모 길이를 측정한 결과사진이다. 소장의 융모 길이는 대조에 비하여 차이가 없기 때문에 그림은 두 장만 올렸다. 관찰 결과, 사료 종류에 따라 별다른 특이점은 확인하지 못했으며, 따라서, 감태 코팅 캡슐 분말 및 생강 코팅 캡슐 분말이 소장의 소화 흡수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간조직을 현미경으로 검사한 결과는 지방간이나 조직의 괴사, 염증 등 임상적인 증상은 확인되지 않아, 감태 코팅 캡슐 분말 및 생강 코팅 캡슐 분말이 독성으로 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6: 육계 육질평가 분석 결과
육질평가를 한 경우 가슴살과 다리살의 두 곳의 경향이 비슷하지 않는데, 이것은 육질의 가슴과 다리의 육질 조직적 성상이 다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가열감량의 경우 대조구에 비하여 처리구들의 다리살은 전체적으로 다 높은 것으로 보아 수율이 다소 낮게 나왔으나 가슴살의 경우 코팅 처리를 한 처리구에서 가열감량이 조금은 개선된 것을 알 수 있다. 보수력은 대조구와 처리구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pH의 경우 가슴살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다리살의 경우 대조구의 pH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전단력은 다리살의 경우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6 처리구가 낮게 측정되어 육질이 부드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육색은 고기의 품질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게 평가되는 요소인데, 전반적으로 대조구에 비하여 코팅한 처리구에서 적색도와 황색도가 낮게 나타났다. 적색도는 적색과 녹색을 표현하며 그 범위는 3.9~7.7, 황색도는 황색과 청색을 표현하며 그 범위는 7.2~14.4이다. 따라서 적색도는 낮을수록 적색에 가까우며 낮을수록 좋고, 황색도도 낮을수록 황색에 가깝기 때문에 역시 낮을수록 육색이 좋다.
육계 육질평가 분석 결과
항목 부위 대조구 2 처리구 3 처리구 4 처리구 5 처리구 6 처리구
가열감량(%) 가슴살 15.08 15.04 15.86 14.94 13.29 13.21
pH 가슴살 5.92 5.91 5.91 5.98 5.84 5.89
다리살 6.14 6.13 6.10 6.14 6.00 5.99
육색 L 가슴살 54.08 54.46 53.70 54.48 54.68 54.39
a 11.01 10.77 11.56 10.97 11.17 10.35
b 9.68 9.85 9.85 9.50 9.10 9.03
L 다리살 55.63 55.26 55.57 54.62 56.37 56.17
a 13.37 14.42 14.53 14.55 14.25 14.23
b 8.34 8.41 8.35 7.40 8.29 8.27
전단력 다리살 6.62 6.97 6.92 6.80 6.52 6.48
보수력 가슴살 41.74 40.13 40.41 41.42 40.64 41.46
다리살 39.42 40.67 38.67 39.72 37.70 37.19
실시예 7: 육계의 면역력에 미치는 영향
가금류에서는 IgA는 15% 정도밖에 안되지만, IgG는 약 75% 정도로 비중이 높아서 외부환경으로부터의 자극에 반응과 항체형성능력에 IgG가 보다 크게 기여한다.
사료 처리구별로 육계의 면역력에 미치는 영향은 도 5와 같다. 그 결과 IgG의 경우 코팅 유산균을 단독으로 투여하였을 때보다는 유산균에 생강을 혼합하여 투여하였을 경우에 외부 자극에 대항하는 저항력이 커져서, 스트레스와 같은 외부로부터 자극이 들어올 때 이에 대항하기 위해서 IgG를 많이 생성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IgG 값이 적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4, 5 처리구와 같이 코팅 유산균을 단독으로 투여할 때 혹은 코팅 유산균과 감태를 같이 혼합하여 투여하였을 때는 외부 자극에 대항 효과가 별로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6 처리구와 같이 코팅 유산균과 생강을 혼합하여 투여했을 때는 시너지 효과에 의해 IgG가 낮게 나타나 스트레스에 저항하는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5)

  1. (a) 전분 160~240 g에 물 0.8~1.2 L를 넣고 호화시킨 전분 용액에 0.8~1.2%(w/v) 생강 분말 용액 80~120 mL를 첨가한 후 균질화하고 분무건조기 입구 온도가 140~180℃, 시료 주입 속도 400~600 mL/시간으로 설정된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무건조하여 생강 코팅 캡슐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b) 8~12%(w/v) 전분 용액을 호화시킨 후, 호화시킨 전분 용액 부피대비 6~10 log CFU/mL 농도의 유산균 배양액 8~12%와 1.6~2.4배 양의 식용유를 첨가하고 균질화한 후 원심분리하여 식용유를 제거한 후, 분무건조기 입구 온도가 140~180℃, 시료 주입 속도 400~600 mL/시간으로 설정된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무건조하여 유산균 코팅 캡슐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육계용 사료에 육계용 사료 기준으로 상기 (a)단계의 제조한 생강 코팅 캡슐 분말과 (b)단계의 제조한 유산균 코팅 캡슐 분말을 각각 0.08~0.12 중량%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계용 사료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계용 사료의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육계용 사료.
KR1020140095479A 2014-07-28 2014-07-28 코팅된 유산균 분말 및 생강 분말을 함유하는 육계용 사료의 제조방법 KR101635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479A KR101635444B1 (ko) 2014-07-28 2014-07-28 코팅된 유산균 분말 및 생강 분말을 함유하는 육계용 사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479A KR101635444B1 (ko) 2014-07-28 2014-07-28 코팅된 유산균 분말 및 생강 분말을 함유하는 육계용 사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546A KR20160013546A (ko) 2016-02-05
KR101635444B1 true KR101635444B1 (ko) 2016-07-01

Family

ID=55353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5479A KR101635444B1 (ko) 2014-07-28 2014-07-28 코팅된 유산균 분말 및 생강 분말을 함유하는 육계용 사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44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7429A1 (en) * 2010-11-01 2012-07-26 Viva Pharmaceutical Inc. Probiotic soft gel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4305A (ko) * 2008-11-14 2010-05-25 이승철 가금류 사료의 단계별 제조방법에 따른 사료
KR101355003B1 (ko) * 2010-11-02 2014-01-24 정명준 다중 코팅층을 갖는 유산균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7429A1 (en) * 2010-11-01 2012-07-26 Viva Pharmaceutical Inc. Probiotic soft gel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546A (ko) 2016-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46614B (zh) 一种功能性钙果酵素、酵素饮料及其生产方法
EP1478246B1 (en) Dietetic and/or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human and/or animal use based on probiotic microbial preparations
CN103702569B (zh) 含有益生微生物的宠物食物制品
CN108244252A (zh) 益生菌多元蛋白粉及其制备方法
CN108112987A (zh) 一种调节胃肠道健康的功能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164528A (zh) 包含食窦魏斯氏菌wikim28作为有效成分的用于预防或治疗癌症的药学组合物
JP2012017282A (ja) 迷走神経活性化剤
CN105410365B (zh) 一种可替代抗生素的饲料添加剂及其应用
CA2600118A1 (en) Fermented compositions having immunomodulatory actions
KR20060135016A (ko) 유카 추출물, 퀼라야 추출물 및 유산균을 포함하는 조성물및 상기 조성물을 함유하는 음식물
CN109069555A (zh) 面向新生儿的用于改善脑功能的组合物
CN109288063A (zh) 一种增殖肠道益生菌的多联复合维生素制剂及其制作方法
Gotteland et al. Probiotic screening and safety evaluation of Lactobacillus strains from plants, artisanal goat cheese, human stools, and breast milk
Zhou et al.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probiotics (Bacillus subtilis, Bacillus licheniformis, and Bacillus natto) on broiler muscle development and meat quality
KR101761840B1 (ko) 프로바이오틱스 균주 및 황칠 추출물이 함유된 에다머 치즈의 제조방법
KR100912468B1 (ko) 대두발효복합사료 및 그 대두발효복합사료로 생산된 계란및 육류
JP6823302B2 (ja) 乳児向けの抗アレルギー剤
CN103932227B (zh) 一种蛋粉咀嚼片及其制备方法
JPH0696537B2 (ja) 血清コレステロ−ル上昇抑制剤
KR20100125527A (ko) 흙 마늘과 키토산,뽕잎 성분을 갖는 기능성 계란 사료 제조방법
JP5950993B2 (ja) 迷走神経活性化剤
JP2021534745A (ja) 改善された人間用食品
Makała Impact of Selected Feed Additives in Broiler Nutrition on Breeding and the Meat Quality Features
KR101635444B1 (ko) 코팅된 유산균 분말 및 생강 분말을 함유하는 육계용 사료의 제조방법
KR101334996B1 (ko) 유산균 발효 사자발쑥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첨가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