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4305A - 가금류 사료의 단계별 제조방법에 따른 사료 - Google Patents

가금류 사료의 단계별 제조방법에 따른 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4305A
KR20100054305A KR1020080113170A KR20080113170A KR20100054305A KR 20100054305 A KR20100054305 A KR 20100054305A KR 1020080113170 A KR1020080113170 A KR 1020080113170A KR 20080113170 A KR20080113170 A KR 20080113170A KR 20100054305 A KR20100054305 A KR 20100054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weight
parts
poultry
centipe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3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철
차보영
Original Assignee
이승철
차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철, 차보영 filed Critical 이승철
Priority to KR1020080113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4305A/ko
Publication of KR20100054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43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3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encapsulating; by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ys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일반사료 100 중량부당 황토분말 5 내지 10 중량부, 지네 2 내지 5 중량부, 수분함량 5∼15 중량%로 건조하여 분쇄기로 분말화한 인삼, 감초, 대추, 생강, 마늘 각각을 1 내지 5 중량부, 옻나무 껍질 5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사료 5 내지 20 중량부를 배합한 1단계 사료;
일반사료 100 중량부당, 동물의 사체를 30℃ 내지 40℃의 상태로 보관하며 파리를 접촉하여 파리가 동물의 사체에 알을 낳도록 유도하며, 파리의 알이 동물의 사체에서 부화하여 발생하는 유충을 수거하여 건조기에서 수분함량이 5∼15중량%로 건조하여 10 내지 20 중량부로 배합한 2단계 사료;
일반사료 100 중량부당 동물의 사체에서 부화한 파리유충을 수분함량 5∼15 중량%로 건조시킨 파리유충 5 내지 10 중량부 및 옻나무 껍질, 지네, 버섯, 인삼, 마늘, 감초를 혼합한 혼합사료 10 내지 50 중량부를 배합한 3단계 사료;
일반사료 100중량부당 동물의 사체에서 부화한 파리유충을 수분함량 5∼15 중량%로 건조시킨 파리유충 100중량부 및 옻나무 껍질, 지네, 버섯, 인삼, 마늘, 감초를 혼합한 혼합사료 50중량부, 지네 10중량부로 배합한 4단계 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 사료
가금류, 사료, 계란, 닭, 오골계, 오리

Description

가금류 사료의 단계별 제조방법에 따른 사료 { The poultry's feed made by stages }
본 발명은 닭, 오리, 오골계 등과 같은 가금류의 사육을 위한 사료의 제조방법과 그 사료로 사육된 가금류에 관한 것으로, 본 출원인들에 의해 지난 2007년07월02일 출원된 '뱀닭을 이용한 사계탕(蛇鷄湯)의 제조방법(등록번호10-0811395호)' 의 후출원이다.
종래에 출원번호 10-2005-0051622(산란계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과 그 사료를 급이시켜생산된 계란), 출원번호 10-2002-0066823(모자반을 함유한 산란계용 사료와 이를 이용하여 생산된 계란)과 같은 기술이 있어왔다.
종래의 기술은 주로 사료에 모자반, 키토산, 한약재, 목초액, 황토등을 첨가해 사료를 제조하는 방법과 그 사료를 먹여 생산된 계란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었다.
출원번호 10-2000-0039440(지렁이 양식방법)은 지렁이가 살기 위한 최적의 조건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탄소와 질소의 비율 및 환경을 조성한 것에 관한 것이었다.
본 발명은 출원인들에 의해 선출원된 발명내용 중 청구항 4항의 내용중 "일반사료 100 중량부당 황토분말 5 내지 10 중량부와 수분함량 5∼15%로 건조하여 분쇄기로 분말화한 인삼, 감초, 대추, 생강, 마늘, 버섯을 각각 0.1 내지 5 중량부와 인체에 알러지를 일으키는 식물성 독성물질을 포함하는 옻나무 껍질 5 내지 10 중량부와 인체에 독이되는 동물성 독성물질을 포함하는 지네 0.5 내지 5 중량부와 뱀의 사체를 30℃ 내지 40℃의 상태로 보관하며 파리를 접촉하게 하여 파리가 뱀의 사체에 알을 낳도록 유도하여 파리의 알이 뱀의 사체에서 부화하여 발생하는 유충을 수거하여 건조기에서 수분함량이 5∼15%로 건조하여 10 내지 20 중량부로 배합한 사료로 사육된 토종닭‥" 의 사육과정에 있어 사육자가 사료를 가금류에게 급이 시키는 과정에서 옻나무 껍질을 맨손으로 접촉하여 알러지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옻나무에 의한 알러지는 사람에 따라 심한경우 옻칠한 나무만 만져도 알러지가 생기기도 하지만 옻나무를 만지거나 먹어도 알러지가 전혀 생기기지 않는 등 사람에 따라 다양한 반응을 보이게 된다.
또한, 가금류를 사육하기 위해 사료를 생산하여 먹이로 제공함에 있어 동물성 독을 자체적으로 함유하는 지네, 뱀 등을 사료로 직접 제공할 경우 가금류가 뱀독, 지네독에 중독되어 폐사 되거나, 산란에 지장을 주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사료의 제조방법과 그 사료를 먹여 생산된 육류와 계란의 생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기술이 최적의 환경 제공과 최적의 사료를 제공하여 양질의 부산물을 얻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은 가금류의 폐사율을 줄이는 것을 주 목적으로 종래 기술과는 근본적인 차이점이 있다. 일부 옻나무, 유황, 지네 등의 약용 성분을 축적시키는 전래의 방법이 있으나, 일반사료에 일정량을 단순 배합하여 급이 시키는 방법으로 종래의 방법은 사육도중 가금류의 폐사율이 높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급이 시키지 못하고 짧은 기간 동안만 먹인 후 도살하기 때문에 약용성분이 충분히 축적되지를 못한 체 식용되어 왔다.
본 발명은 독성물질에 의한 폐사율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독성물질을 포함한 사료를 생육 단계별로 조정한 4단계의 단계별 사료 및 그 단계별 사료로 사육하여 폐사율을 줄이면서도 9개월 이상 사육이 가능한 것에 그 중요한 특징이 있다.
특히, 1단계 사료를 통해 식물성 독성물질을 포함한 옻나무와 동물성 독성물질을 포함한 지네를 급이하여 내성을 기른 후 2단계 사료에서 가금류에게 가장 치명적인 뱀과 같은 파충류의 독성물질을 포함하는 사료를 직접 먹일 경우 가금류가 90%이상 폐사함에 따라 파리유충을 통해 약 2개월간 급이하고, 이때부터 높아지는 가금류의 폐사율을 낮추기 위해 3단계 사료에서 보편적으로 유통되는 일반 육계용 사료에 1단계에서 사용한 옻나무 껍질, 지네, 인삼, 마늘, 감초에 버섯을 추가하여 배합한 사료를 급이한 후 마지막으로 가장 강한 독성의 사료들을 중심으로 한 4단계 사료를 2개월 이상 먹여 사육하는 것을 통하여 폐사율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사람이 직접 섭취할 경우 독이 되는 유황의 경우 대표적인 가금류인 오리에게 먹여 유황의 성질을 변이 및 오리 체내에 축적시켜 사육된 오리를 먹음으로써 유황의 약용성분을 효과적으로 안전하게 사람이 섭취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왔다.
유황이 사람에게는 큰 독이 되나 오리에게는 치명적인 해(害)를 미치지 않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기는 하나, 오리에게 전혀 위해(危害)를 가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현대인의 건강에 최대의 적이 되는 중금속, 화공독, 유해물질 등이 호흡과 음식물 섭취를 통해 체내에 유입되는데, 그 독성물질을 제독하는 효능이 오리에게 있음이 밝혀짐에 따라 21세기형 해독제라 할 만큼 인기가 상승하고 있다.
아직 오리 이외에는 유황을 소화시켜 해독할 수 있는 동물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왔는데 이는 오리의 해독력과 유황의 독성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유황오리는 이처럼 인간의 손으로 제독하기 힘든 유황을 오리라는 생명체의 장부기능을 이용하여 제독하게 되는 것이며 오리는 유황의 열독을 제거하고 유황의 약성만 오리 체내에 축적하게 됨은 물론 오리를 통해 자동으로 임상 실험까지 거치게 됨으로써 가장 안전한 유황 약제가 되는 것인데 사육기간 동안 유황독을 견디지 못한 오리는 거의 죽고 사계절을 지나 유황독을 이기고 살아남은 오리만이 강한 약성을 갖추게 되는데 유황독에 의한 폐사율이 높은 것은 아직까지 해결되지 못하는 부분이다.
오리가 유황을 비롯하여 각종 독을 제독할 수 있는 비밀은 오리의 뇌수와 적혈구에 있는데 오리가 독을 먹고도 죽지 않는 까닭은 오리의 뇌수에서 유황 아미노산 단백질인 메탈로티오네인과 글루타티온 등이 다량 분비되기 때문인데 이 물질들은 혈액을 통해서 운반되는 것이 아니라 뇌수에서 직접 합성된다고 한다.
따라서 오리가 유황을 자꾸 먹게 될수록 오리의 뇌수에서는 더욱 더 많은 양 의 해독물질이 분비되는데 이 물질을 사람이 섭취하게 되면 몸 속의 독을 중화시켜 독성이 뼈나 혈액에 침투되지 않도록 오줌이나 땀으로 신속히 배설될 수 있게 도와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한국농업전문학교(학장 박해상) 장현유, 김완영 교수팀과 하바드 의대 강충민 박사팀이 (주)ABT(Agro-Biotech 대표 장현국)의 지원으로 3년여의 연구 끝에 유기 셀레늄(Selenium; Se)이 보강된 새로운 기능성 팽이버섯 '셀머쉬(Sel-Mush)'이 국내에서 최초로 개발한 경우가 있다.
위 개발된 '셀머쉬'는 무기 셀레늄을 버섯배지에 일정량 첨가시킴으로서 버섯에 전이되도록 하고 전이된 무기 셀레늄이 버섯내에서 유기 셀레늄으로 전환 되도록 한 것으로 손쉽게 소비자가 적은 비용으로 셀레늄을 식탁에서 접할 수 있게 한 예이다.
본 발명은 유황오리와 유사한 원리로 약용성분을 함유한 옻나무 껍질, 지네, 뱀을 사료로 가금류에 급이시 가금류의 폐사율을 줄이기 위한 사료의 제조 방법과 가금류의 사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식물성 독성물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하는 옻나무 껍질은 인체에 알러지를 일으키는 우루시올 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현재 간경화 예방물질로 밝혀졌으며, 지네나 뱀과 같은 동물에 포함되어 있는 동물성 독성물질은 인체에 바로 섭취시 독이 될 수 있으나 지네독은 관절염의 치료효과를 뱀독(특히 살모사 독)의 디스인테그린은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등록번호 10-0396323호 옻나무를 이용한 가축사료 제조방법 및 가축의 사육방법에는 청구항 1항에서 가축사료 제조방법을 청구항 7항에서 배합사료를 급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닭, 오리의 사육방법으로 동시에 보호받고 있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1] 대한민국특허 등록번호10-0811395호 뱀닭을 이용한 사계탕(蛇鷄湯)의 제조방법
[문헌1] 대한민국특허 등록번호 10-0396323호 옻나무를 이용한 가축사료 제조방법 및 가축의 사육방법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첫째, 사육과정에 있어서 사육자가 사료를 가금류에게 급이 시키는 과정에서 옻나무 껍질을 맨손으로 접촉하여 알러지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첫 번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두 번째, 사료로 제공하는 옻나무껍질의 우루시올, 지네의 지네독, 뱀의 뱀독(살모사의 디스인테그린) 등에 의해 가금류에 털이 빠지고 산란율이 떨어지면서 폐사하는 폐사율을 최소화 하는 것을 두 번째 기술적과제로 한다.
세 번째, 사료 조성물을 가공하여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게 하며, 가금류를 계절에 관계없이 상시 사육이 가능하게 하는 건조된 사료를 만드는 것을 세 번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이 사육자가 옻나무 껍질에 알러지를 일으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분함량 5∼15 중량%로 건조하여 분쇄기로 분말화한 인삼, 감초, 대추, 생강, 마늘, 옻나무 껍질, 사료의 소화를 촉진하기 위해 목질 등의 세포벽을 파괴하는 섬유소 분해효소인 셀룰라아제(cellulase), 전분, 물을 혼합하여 24시간 발효 후 직경 5 내지 20mm 크기로 잘라 건조시킨 후 다시 그 위에 액상 전분을 코팅하여 재건조하여 사용한다.
가금류의 폐사율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가금류의 성장 속도에 맞춘 단계별 사료를 급이 하여 폐사율을 줄이는 것으로 가금류의 내성을 기르기 위해 옻나무 껍질의 우루시올, 지네의 지네독, 디스인테그린과 같은 뱀독의 함량을 단계별 사료에서 가감하여 폐사율을 줄인 발명으로 그 함량의 가감 비율은 본 발명을 완성하기 위해 다년간 연구와 실험의 반복에 의해서 얻은 결과로 당업자로 하여금 단순히 함량의 조절로 얻어낸 당연한 결과는 아니며, 조성비에 의해 종래의 것에 비해 탁월한 효과가 있을 경우 그 기술은 당연히 보호되는 것은 당연한 결과로 다수의 판례에서 밝혀져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금류를 사육하는 과정에서 가금류의 생존율이 우수하며 사육자가 옻나무 껍질을 직접 접촉하지 않아 우루시올에 의해 피부염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조사료로 가공하여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게 하며, 가금류를 계절에 관계없이 상시 사육이 가능한 건조 사료이며 소화효소인 셀룰라아제를 첨가하여 소화율을 향상시킨 사료이다.
이하 '일반사료' 란, 시중에서 가금류 육성사료로 시중에서 판매되는 일반의 닭, 오리등의 가금류 사료로써 일반적으로 옥수수, 밀, 보리, 대두박, 육분, 어분, 지방, 석회석(가루), 제2인산칼슘, 요드화염, 비타민, 광물질, 메치오닌조단백질, 칼슘 , 인, 나트륨, 메치오닌, 트립토판, 라이신, 트레오닌 등을 혼합한 가금류 육성사료이다.
일 예로 주식회사 삼양사에서 출시되는 씽크로 산란사료, 백두사료의 월드브로 사료등과 같은 통상적인 사료이다.
상기 일반사료에 추가로 공급되는 옻나무 껍질은 인체에 알러지를 일으키는 식물성 독성물질인 우루시올을 함유한 옻나무 껍질이며, 우루시올은 간경화 예방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흔히 닭과 함께 삶아 옻닭 이라고 한다.
인체에 독이 되는 동물성 독성물질인 뱀독은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그 효능 역시 현재 다양하게 알려져 있다. 특히 살모사의 독성분 중 디스인테그린은 항암물질로 알려져 있다.
사람이 직접 섭취할 경우 독이 되는 유황의 경우 대표적인 가금류인 오리에게 먹여 유황의 성질을 변이 및 오리 체내에 축적시켜 사육된 오리를 먹음으로써 유황의 약용성분을 효과적으로 안전하게 사람이 섭취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왔으며, 한국농업전문학교와 하바드 의대팀의 연구 끝에 유기 셀레늄이 보강된 새로운 기능성 팽이버섯 '셀머쉬(Sel-Mush)'와 같이 무기 셀레늄을 버섯배지에 일정량 첨가시킴으로서 버섯에 전이되도록 하고 전이된 무기 셀레늄이 버섯내에서 유기 셀레늄으로 전환 되도록 한 것으로 손쉽게 소비자가 적은 비용으로 셀레늄을 식탁에서 접할 수 있게 한 예가 있다.
본 발명은 가금류에게 뱀, 지네, 옻나무를 사료로 제공할 경우 폐사율이 높아지는 것을 줄이기 위한 단계별 사료의 제조 방법과 그 사료로 사육된 가금류이다.
특히, 동물성 독을 지니고 있는 지네(지네의 체내에 보유한 독성분)의 독과 파충류중 뱀의 체내에 보유한 독성분을 가금류에게 먹일 경우 가금류는 털이 빠지며 산란율이 떨어지고 폐사율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본 발명에 따라 생후 3개월에서 선별된 튼튼한 양질의 가금류를 3개월에서 4개월까지 먹이게 되는 사료로 일반사료에 인삼, 감초, 대추, 생강, 마늘과 같은 식물성 사료와 인삼으로 인한 가금류의 변비를 막기 위해 황토를 같이 먹이며, 특히 인체에 알러지를 일으키는 식물성 독성물질(우루시올 등)을 포함하는 옻나무 껍질과 인체에 독이되는 동물성 독성물질(지네독)을 포함하는 지네를 배합한 1단계 사료를 사용하는 것으로 독성물질(옻나무, 지네)의 비중은 적다.
상기, 일반사료는 일반적인 가금류 육성사료로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육계사료이다.
그러나, 1단계 사료로 사육하는 단계에서 이미 폐사하는 가금류가 일부 나타난다.
생후 5개월에서 6개월까지 먹이게 되는 사료는 뱀의 사체에서 발생한 구더기를 주요사료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뱀의 사체에서 발생한 구더기를 배합한 사료를 먹임에 따라 가금류의 폐사율이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을 한다.
생후 7개월에서 8개월까지 급이되는 사료로 앞서 사료로 인한 폐사율을 줄이기 위해 1단계 사료에서 내성이 생긴 옻나무 껍질과 지네를 다시 먹여 독에 대한 내성을 기른 후 마지막 4단계에서 다시 뱀의 사체에서 발생한 구더기를 중심으로 하는 사료를 집중적으로 2개월 이상을 먹인 후 가금류를 도살한다.
도살 직전까지 생산되는 계란은 꾸준히 뱀의 사체에서 발생한 구더기를 중심으로 사료를 급이하는 것보다 생후 7개월에서 8개월째 급이하는 3단계 사료의 과정을 거쳤을 때 9개월 이상에서 계란의 생산이 원활해진다.
1단계 사료를 통해 옻나무, 지네를 급이하여 내성을 기른 후 2단계 사료에서 가금류에게 가장 치명적인 뱀과 같은 파충류의 독성물질을 포함하는 사료를 직접 먹일 경우 가금류는 독성때문에 폐사율이 높아짐에 따라 파리유충을 통해 약 2개월간 급이하고, 이때부터 높아지는 가금류의 폐사율을 낮추기 위해 3단계 사료에서 보편적으로 유통되는 일반 육계용 사료에 1단계에서 사용한 옻나무 껍질, 지네, 인삼, 마늘, 감초에 버섯을 추가하여 배합한 사료를 급이한 후 마지막으로 가장 강한 독성의 사료들을 중심으로 4단계 사료를 2개월 이상 먹여 사육하는 것을 통하여 가금류의 폐사율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살 직전까지 생산되는 계란은 꾸준히 뱀의 사체에서 발생한 구더기를 중심으로 사료를 급이하는 것보다 생후 7개월에서 8개월까지 급이하는 3단계 사료의 과 정을 거쳤을 때 9개월 이상에서 계란의 생산이 원활해지며, 개월수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자세히 설명하면, 1개월을 30일기준으로 생후 3개월에서 4개월까지 급이되는 사료란 생후 3개월 1일째부터 4개월 30일까지 급이되는 사료란 의미이며, 생후 5개월에서 6개월까지 급이되는 사료란 생후 5개월 1일째부터 6개월 30일까지 급이되는 사료, 생후 7개월에서 8개월까지 급이되는 사료란 생후 7개월 1일째부터 8개월 30일까지 급이되는 사료, 9개월이상 급이되는 사료란 생후 8개월 30일 이후 급이되는 사료를 의미하는 것으로 1달을 30일 기준으로 잡고 계산한 일 실시 예로써, 특허법 제42조 제3항에 의한 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하였으며, 발명과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평균적 기술능력을 가진 자가 당해 발명을 명세서 자체에 의하여 출원당시의 기술수준으로 보아 특수한 지식을 부가하지 않고서도 그 발명의 내용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이를 재현할 수 있을 정도로 기재하였으며 도 1를 통하여 뱀의 사체를 30℃ 내지 40℃의 상태로 보관하며 파리를 접촉하게하여 파리가 뱀의 사체에 알을 낳도록 유도하며, 파리의 알이 뱀의 사체에서 부화하여 발생하는 유충을 수거하여 건조기에서 수분함량이 5∼15 중량%로 건조하여 제조된 사료를 3개월 이후 지속적으로 먹인 토종닭 대조군 100수 및 본 발명에 따라 생후 3개월에서 4개월까지 급이되는 사료로 일반사료 100 중량부당 황토분말 5 내지 10 중량부, 지네 2 내지 5 중량부, 수분함량 5∼15 중량%로 건조하여 분쇄기로 분말화한 인삼, 감초, 대추, 생강, 마늘을 각각 1 내지 5 중량부, 옻나무 껍질 5 내지 10 중량부, 셀룰라아제 0.1 내지 1 중량부, 전분 10 내지 20 중량부, 물 50 내지 100 중량 부를 혼합하여 24시간 발효 후 직경 5 내지 20mm 크기로 잘라 건조시킨 후 그 위에 액상전분을 코팅(액상전분에 넣었다 빼어)하여 다시 건조한 혼합 코팅사료 5 내지 20 중량부를 배합한 1단계 사료; 생후 5개월에서 6개월까지 급이되는 사료로 일반사료 100 중량부당, 동물의 사체를 30℃ 내지 40℃의 상태로 보관하며 파리를 접촉하여 파리가 동물의 사체에 알을 낳도록 유도하며, 파리의 알이 동물의 사체에서 부화하여 발생하는 유충을 수거하여 건조기에서 수분함량이 5∼15 중량%로 건조하여 10 내지 20 중량부로 배합한 2단계 사료;
생후 7개월에서 8개월까지 급이되는 사료로 일반사료 100 중량부당 동물의 사체에서 부화한 파리유충을 수분함량 5∼15 중량%로 건조시킨 파리유충 5 내지 10 중량부, 옻나무 껍질 : 지네 : 버섯 : 인삼 : 마늘 : 감초 : 셀룰라아제 : 전분 : 물의 비율을 3 : 2 : 1.5 : 2 : 1 : 0.4 : 0.1 : 5 : 20의 비율로 혼합하여 24시간 발효 후 직경 5 내지 20mm 크기로 잘라 건조시킨 후 그 위에 액상전분을 코팅하여 다시 건조한 혼합 코팅사료 10 내지 50 중량부로 배합한 3단계 사료;
생후 9개월이상 급이되는 사료로 일반사료 100중량부당 동물의 사체에서 부화한 파리유충을 수분함량 5∼15 중량%로 건조 시킨 파리유충 100중량부, 옻나무 껍질 : 지네 : 버섯 : 인삼 : 마늘 : 감초 : 셀룰라아제 : 전분 : 물의 비율을 3 : 2 : 1.5 : 2 : 1 : 0.4 : 0.1 : 5 :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24시간 발효 후 직경 5 내지 20mm 크기로 잘라 건조시킨 후 그 위에 액상전분을 코팅하여 다시 건조한 혼합 코팅사료 50중량부, 지네 10중량부로 배합한 4단계 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 사료의 제조방법과 그 사료로 사육된 토종닭 실험군 100수에 대 한 폐사율 그래프를 통해 본 발명의 실험데이터를 제공하며 역시 폐사하지 않고 살아남은 토종닭들의 산란율을 나타낸 것으로 일 실시 예로 생후 6개월까지(6개월30일째)에 대조군 토종닭이 30마리 살아남아 일일 평균 10개의 알을 낳으면 산란율은 약33%, 생후 6개월까지에 실험군 토종닭이 90마리 살아남아 일일 평균 45개의 알을 낳으면 산란율은 약 50%가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하 가금류 사료의 제조방법과 그 사료를 먹여 생산된 가금류와 계란의 생산 방법을 구체적인 일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생후 3개월에서 4개월까지 급이되는 사료로 일반사료 100 중량부당 황토분말 5 내지 10 중량부, 지네 2 내지 5 중량부, 수분함량 5∼15 중량%로 건조하여 분쇄기로 분말화한 인삼, 감초, 대추, 생강, 마늘을 각각 1 내지 5 중량부, 옻나무 껍질 5 내지 10 중량부, 셀룰라아제 0.1 내지 1 중량부, 전분 10 내지 20 중량부, 물 50 내지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24시간 발효 후 직경 5 내지 20mm 크기로 잘라 건조시킨 후 그 위에 액상전분을 코팅하여 다시 건조한 혼합 코팅사료 5 내지 20 중량부를 배합한 1단계 사료; 생후 5개월에서 6개월까지 급이되는 사료로 일반사료 100 중량부당, 동물의 사체를 30℃ 내지 40℃의 상태로 보관하며 파리를 접촉하여 파리가 동물의 사체에 알을 낳도록 유도하며, 파리의 알이 동물의 사체에서 부화하여 발생하는 유충을 수거하여 건조기에서 수분함량이 5∼15 중량%로 건조하여 10 내지 20 중량부로 배합한 2단계 사료; 생후 7개월에서 8개월까지 급이되는 사료로 일반사료 100 중량부당 동물의 사체에서 부화한 파리유충을 수분함량 5∼15 중량%로 건조시킨 파리유충 5 내지 10 중량부, 옻나무 껍질 : 지네 : 버섯 : 인삼 : 마 늘 : 감초 : 셀룰라아제 : 전분 : 물의 비율을 3 : 2 : 1.5 : 2 : 1 : 0.4 : 0.1 : 5 : 20의 비율로 혼합하여 24시간 발효 후 직경 5 내지 20mm 크기로 잘라 건조시킨 후 그 위에 액상전분을 코팅하여 다시 건조한 혼합 코팅사료 10 내지 50 중량부로 배합한 3단계 사료;
생후 9개월이상 급이되는 사료로 일반사료 100중량부당 동물의 사체에서 부화한 파리유충을 수분함량 5∼15 중량%로 건조 시킨 파리유충 100중량부, 옻나무 껍질 : 지네 : 버섯 : 인삼 : 마늘 : 감초 : 셀룰라아제 : 전분 : 물의 비율을 3 : 2 : 1.5 : 2 : 1 : 0.4 : 0.1 : 5 :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24시간 발효 후 직경 5 내지 20mm 크기로 잘라 건조시킨 후 그 위에 액상전분을 코팅하여 다시 건조한 혼합 코팅사료 50중량부, 지네 10중량부로 배합한 4단계 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 사료의 단계별 제조방법에 따른 사료
일 실시 예로, 동물의 사체는 인체에 독이되는 동물성 독성물질을 포함하는 파충류를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 사료의 단계별 제조방법에 따른 사료
일 실시 예로, 동물의 사체는 인체에 독이되는 동물성 독성물질을 포함하는 뱀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 사료의 단계별 제조방법에 따른 사료
일 실시 예로, 동물의 사체는 사슴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 사료의 단계별 제조방법에 따른 사료
일 실시 예로, 버섯은 팽이버섯 양송이버섯 표고버섯 영지버섯 느타리버섯 중 하나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 사료의 단계별 제조방법에 따른 사료
일 실시 예로, 1단계 사료, 2단계 사료, 3단계 사료, 4단계 사료를 먹여 사 육된 가금류와 계란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 사료의 단계별 제조방법에 따른 사료
일 실시 예로, 가금류는 닭, 오골계, 오리 중 어느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 사료의 단계별 제조방법에 따른 사료
일 실시 예로, 일반사료 100 중량부당 황토분말 5 내지 10 중량부, 지네 2 내지 5 중량부, 수분함량 5∼15 중량%로 건조하여 분쇄기로 분말화한 인삼, 감초, 대추, 생강, 마늘 각각을 1 내지 5 중량부, 옻나무 껍질 5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사료 5 내지 20 중량부를 배합한 1단계 사료; 일반사료 100 중량부당, 동물의 사체를 30℃ 내지 40℃의 상태로 보관하며 파리를 접촉하여 파리가 동물의 사체에 알을 낳도록 유도하며, 파리의 알이 동물의 사체에서 부화하여 발생하는 유충을 수거하여 건조기에서 수분함량이 5∼15 중량%로 건조하여 10 내지 20 중량부로 배합한 2단계 사료;
일반사료 100 중량부당 동물의 사체에서 부화한 파리유충을 수분함량 5∼15 중량%로 건조시킨 파리유충 5 내지 10 중량부 및 옻나무 껍질, 지네, 버섯, 인삼, 마늘, 감초를 혼합한 혼합사료 10 내지 50 중량부를 배합한 3단계 사료;
일반사료 100중량부당 동물의 사체에서 부화한 파리유충을 수분함량 5∼15 중량%로 건조 시킨 파리유충 100중량부 및 옻나무 껍질, 지네, 버섯, 인삼, 마늘, 감초를 혼합한 혼합사료 50중량부, 지네 10중량부로 배합한 4단계 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가금류 사료의 단계별 제조방법에 따른 사료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료를 급이한 실험군과 뱀의 사체에서 발생한 유충만을 급이한 대조군의 생존율과 산란율 그래프

Claims (8)

  1. 생후 3개월에서 4개월까지 급이되는 사료로 일반사료 100 중량부당 황토분말 5 내지 10 중량부, 지네 2 내지 5 중량부, 수분함량 5∼15 중량%로 건조하여 분쇄기로 분말화한 인삼, 감초, 대추, 생강, 마늘을 각각 1 내지 5 중량부, 옻나무 껍질 5 내지 10 중량부, 셀룰라아제 0.1 내지 1 중량부, 전분 10내지 20중량부, 물 50내지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24시간 발효 후 직경 5 내지 20mm 크기로 잘라 건조시킨 후 그 위에 액상전분을 코팅하여 다시 건조한 혼합 코팅사료 5 내지 20 중량부를 배합한 1단계 사료;
    생후 5개월에서 6개월까지 급이되는 사료로 일반사료 100 중량부당, 동물의 사체를 30℃ 내지 40℃의 상태로 보관하며 파리를 접촉하여 파리가 동물의 사체에 알을 낳도록 유도하며, 파리의 알이 동물의 사체에서 부화하여 발생하는 유충을 수거하여 건조기에서 수분함량이 5∼15중량%로 건조하여 10 내지 20 중량부로 배합한 2단계 사료;
    생후 7개월에서 8개월까지 급이되는 사료로 일반사료 100 중량부당 동물의 사체에서 부화한 파리유충을 수분함량 5∼15 중량%로 건조시킨 파리유충 5 내지 10 중량부, 옻나무 껍질 : 지네 : 버섯 : 인삼 : 마늘 : 감초 : 셀룰라아제 : 전분 : 물의 비율을 3 : 2 : 1.5 : 2 : 1 : 0.4 : 0.1 : 5 : 20의 비율로 혼합하여 24시간 발효 후 직경 5 내지 20mm 크기로 잘라 건조시킨 후 그 위에 액상전분을 코팅하여 다시 건조한 혼합 코팅사료 10 내지 50 중량부로 배합한 3단계 사료;
    생후 9개월이상 급이되는 사료로 일반사료 100중량부당 동물의 사체에서 부화한 파리유충을 수분함량 5∼15 중량%로 건조 시킨 파리유충 100중량부, 옻나무 껍질 : 지네 : 버섯 : 인삼 : 마늘 : 감초 : 셀룰라아제 : 전분 : 물의 비율을 3 : 2 : 1.5 : 2 : 1 : 0.4 : 0.1 : 5 :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24시간 발효 후 직경 5 내지 20mm 크기로 잘라 건조시킨 후 그 위에 액상전분을 코팅하여 다시 건조한 혼합 코팅사료 50중량부, 지네 10중량부로 배합한 4단계 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 사료의 단계별 제조방법에 따른 사료
  2. 제 1 항에 있어서, 동물의 사체는 인체에 독이되는 동물성 독성물질을 포함하는 파충류를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 사료의 단계별 제조방법에 따른 사료
  3. 제 1 항에 있어서, 동물의 사체는 인체에 독이되는 동물성 독성물질을 포함하는 뱀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 사료의 단계별 제조방법에 따른 사료
  4. 제 1 항에 있어서, 동물의 사체는 사슴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 사료의 단계별 제조방법에 따른 사료
  5. 제 1 항에 있어서, 버섯은 팽이버섯 양송이버섯 표고버섯 영지버섯 느타리버섯 중 하나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 사료의 단계별 제조방법에 따른 사료
  6. 제 1 항에 있어서, 1단계 사료, 2단계 사료, 3단계 사료, 4단계 사료를 먹여 사육된 가금류와 계란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 사료의 단계별 제조방법에 따른 사료
  7. 제 1 항에 있어서, 가금류는 닭, 오골계, 오리 중 어느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 사료의 단계별 제조방법에 따른 사료
  8. 일반사료 100 중량부당 황토분말 5 내지 10 중량부, 지네 2 내지 5 중량부, 수분함량 5∼15 중량%로 건조하여 분쇄기로 분말화한 인삼, 감초, 대추, 생강, 마늘 각각을 1 내지 5 중량부, 옻나무 껍질 5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사료 5 내지 20 중량부를 배합한 1단계 사료;
    일반사료 100 중량부당, 동물의 사체를 30℃ 내지 40℃의 상태로 보관하며 파리를 접촉하여 파리가 동물의 사체에 알을 낳도록 유도하며, 파리의 알이 동물의 사체에서 부화하여 발생하는 유충을 수거하여 건조기에서 수분함량이 5∼15중량%로 건조하여 10 내지 20 중량부로 배합한 2단계 사료;
    일반사료 100 중량부당 동물의 사체에서 부화한 파리유충을 수분함량 5∼15 중량%로 건조시킨 파리유충 5 내지 10 중량부 및 옻나무 껍질, 지네, 버섯, 인삼, 마늘, 감초를 혼합한 혼합사료 10 내지 50 중량부를 배합한 3단계 사료;
    일반사료 100중량부당 동물의 사체에서 부화한 파리유충을 수분함량 5∼15 중량%로 건조 시킨 파리유충 100중량부 및 옻나무 껍질, 지네, 버섯, 인삼, 마늘, 감초를 혼합한 혼합사료 50중량부, 지네 10중량부로 배합한 4단계 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 사료의 단계별 제조방법에 따른 사료
KR1020080113170A 2008-11-14 2008-11-14 가금류 사료의 단계별 제조방법에 따른 사료 KR201000543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170A KR20100054305A (ko) 2008-11-14 2008-11-14 가금류 사료의 단계별 제조방법에 따른 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170A KR20100054305A (ko) 2008-11-14 2008-11-14 가금류 사료의 단계별 제조방법에 따른 사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305A true KR20100054305A (ko) 2010-05-25

Family

ID=42279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3170A KR20100054305A (ko) 2008-11-14 2008-11-14 가금류 사료의 단계별 제조방법에 따른 사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430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372B1 (ko) * 2011-12-08 2012-04-26 (주)케이비친환경 한약재 미세캡슐을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N102511684A (zh) * 2011-12-19 2012-06-27 张家港市金洲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肉鸡中草药饲料添加剂
CN102511679A (zh) * 2011-12-19 2012-06-27 张家港市金洲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鸭用中草药饲料添加剂
CN103127280A (zh) * 2012-12-24 2013-06-05 黄天双 一种治疗神经性皮炎的中药组合物
KR20160013546A (ko) * 2014-07-28 2016-02-05 주식회사 미래자원엠엘 코팅된 유산균 분말 및 생강 분말을 함유하는 육계용 사료의 제조방법
CN107788228A (zh) * 2016-08-30 2018-03-13 湖南山河美生物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加酶类添加剂的养禽专用混合饲料
KR20220102969A (ko) * 2021-01-14 2022-07-21 유일상 기능성 계란 산란용 사료첨가제 및 식수첨가제, 기능성 계란 및 그의 생산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372B1 (ko) * 2011-12-08 2012-04-26 (주)케이비친환경 한약재 미세캡슐을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N102511684A (zh) * 2011-12-19 2012-06-27 张家港市金洲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肉鸡中草药饲料添加剂
CN102511679A (zh) * 2011-12-19 2012-06-27 张家港市金洲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鸭用中草药饲料添加剂
CN102511679B (zh) * 2011-12-19 2013-06-19 张家港市金洲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鸭用中草药饲料添加剂
CN102511684B (zh) * 2011-12-19 2013-07-10 张家港市金洲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肉鸡中草药饲料添加剂
CN103127280A (zh) * 2012-12-24 2013-06-05 黄天双 一种治疗神经性皮炎的中药组合物
KR20160013546A (ko) * 2014-07-28 2016-02-05 주식회사 미래자원엠엘 코팅된 유산균 분말 및 생강 분말을 함유하는 육계용 사료의 제조방법
CN107788228A (zh) * 2016-08-30 2018-03-13 湖南山河美生物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加酶类添加剂的养禽专用混合饲料
KR20220102969A (ko) * 2021-01-14 2022-07-21 유일상 기능성 계란 산란용 사료첨가제 및 식수첨가제, 기능성 계란 및 그의 생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usyoka et al. Utilization of the earthworm, Eisenia fetida (Savigny, 1826) as an alternative protein source in fish feeds processing: A review
Driemeyer Evaluation of black soldier fly (Hermetia illucens) larvae as an alternative protein source in pig creep diets in relation to production, blood and manure microbiology parameters
Adewumi et al. Livestock waste-menace: Fish wealth-solution
KR20100054305A (ko) 가금류 사료의 단계별 제조방법에 따른 사료
Woods et al. Artificial diets for neonatal black soldier fly (Hermetia illucens) larvae
CN106819654A (zh) 一种鲢鱼的生态养殖方法
Tamir et al.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dried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eaves inclusion in finisher ration on feed intake, growth, and carcass yield performance of Ross broiler chicks
CN103960531B (zh) 降低半散养传统黑猪粪便中氮磷重金属排放的饲养方法
Emeka et al. Natural products and aquaculture development
Yohana et al. A review on the use of azolla meal as a feed ingredient in aquatic Animals’ diets
Heuzé et al. Apple snails as animal feed.
Nyadjeu et al. Effect of Zingiber officinale and Allium sativum powders as natural feed additives promoting growth, feed utilization and whole-body composition in Clarias gariepinus fry
Pastorelli et al. Hydroponic fodders for livestock production–a review
Syromyatnikov et al. Recycling biological waste using the fly Hermetia illucens, environmental risks and biosafety for Russia
Fomichev The concept of" One health" and the potential use of natural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and micronutrients-taxifolin, arabinogalactan and microalgae arthrospira platensis in organic livestock production
Dlaza Growth of juvenile abalone under aquaculture conditions
Rowland et al. Effects of diets with different plant proteins on the performance of silver perch (Bidyanus bidyanus Mitchell) and on water quality in earthen ponds
Tang et al. Mitsuokella jalaludinii supplementation improved nutrient utilization of broilers fed low-available phosphorus diet
RU2778153C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продуктивности петушков кросса ломан-браун
Paguia et al. Feeding Value of Fermented Duckweed Meal (Lemna minor Linn.) as a Plant Protein Components in the Formulated Diets of Free-Range Chicken (Gallus gallus domesticus Linn.)
US20230263853A1 (en) Ectoparasiticide veterinary composition
Nyaku et al. Diseases associated with livestock integrated fish farming in Nigeria: A Review
Ukoha et al. Proximate, vitamin and mineral composition of earthworm (Hyperiodrilus euryaulos) cultured indifferent Animal dung Media
Latsamy et al. Fly larvae, earthworms and duckweed as feeds for frogs in an integrated farming system
Baqer et al. Effect of Adding Aqueos Extract of Pomegranate (Punica Granatum) Peel and Moringa (Moringa Oleifera) Dried Leaves Powder and their Mixture to Drinking Water in Carcass Characteristics and Some Immunological Tarits of Broiler Chick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