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5166B1 - 천연물을 이용한 발효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얻은 닭고기와 오리고기 - Google Patents

천연물을 이용한 발효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얻은 닭고기와 오리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5166B1
KR101255166B1 KR1020130008385A KR20130008385A KR101255166B1 KR 101255166 B1 KR101255166 B1 KR 101255166B1 KR 1020130008385 A KR1020130008385 A KR 1020130008385A KR 20130008385 A KR20130008385 A KR 20130008385A KR 101255166 B1 KR101255166 B1 KR 101255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additive
fermentation
crushed
fee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주
정창영
김재환
고석영
양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빛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빛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빛바이오
Priority to KR1020130008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51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5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5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50Poultry products, e.g. poultry saus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6Yeasts;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8Baker's yeast; Brewer's yeast
    • C12N1/185Saccharomyces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 C12R2001/85Saccharomyces
    • C12R2001/865Saccharomyces cerevisia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otan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물을 이용한 발효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사료 첨가제를 이용하여 얻은 닭고기와 오리고기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울금, 어성초, 매실, 복분자, 오디 및 곡물발효원을 유용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한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사료 첨가제를 이용하여 얻은 닭고기와 오리고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사료 첨가제를 사료에 첨가 급여하여 닭과 오리를 사육하게 되면, 동일 사육기간동안 증체량과 사료효율 및 면역성이 현저하게 향상되기 때문에, 이로부터 지방 함량 및 콜레스테롤 함량이 낮으면서도 필수지방산 함량이 많이 함유된 닭고기와 오리고기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천연물을 이용한 발효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얻은 닭고기와 오리고기 {The manufacturing method of natural fermented feed additive and obtained chicken and duck by using the feed additive}
본 발명은 천연물을 이용한 발효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사료 첨가제를 이용하여 얻은 닭고기와 오리고기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울금, 어성초, 매실, 복분자, 오디 및 곡물발효원을 유용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한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사료 첨가제를 이용하여 얻은 닭고기와 오리고기에 관한 것이다.
국내 가금(양계, 오리)산업의 전망을 어둡게 하는 주된 요인은 대외 경쟁력 부족에 있다. 가금 산업과 관련하여 국내 사료업계에 의해 생산되는 사료의 질은 선진국과 대등한 수준이며, 가금농장의 규모도 90년대 이후 연간 3만수 이상의 대형농장도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국내 가금산업의 양적, 질적인 팽창에도 불구하고 출하체중, 출하연령에 있어서는 미국, 일본 등과 같은 선진국에 비하여 크게 못 미치는 수준에 있다. 국내 육계 출하체중이 1.5kg 전후에 불과하여 일본 2.2kg, 미국 2.0kg, 대만 2.3kg에 비하여 매우 낮은 실정에 있다(류경선 등, 2001). 이는 동일한 양의 사료, 인건비, 연료비 등으로 사양관리상 제한요인에 의해 선진국 수준의 출하체중으로까지 키울 수 없기 때문이다. 사양관리상 제한요인은 위생관리가 적절치 못해 전염성 질병이 빈발하고, 부화장에서는 부화율과 병아리의 생존율이 떨어지고, 육계사육장에서는 질병과 항생제의 과다투여로 인해 체중증가의 둔화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발생하여 생산성이 떨어진다는데 있다(김동욱 등, 2007). 따라서 국내 가금산업의 대외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혁신적인 질병예방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이 요구된다.
미국, 유럽 및 일본에서는 비항생제적 생물학적 방법인 유용미생물을 활용한 제제를 이용하여 양계장의 사양관리에서 항생제 사용을 줄여가면서 생산성을 높이고 계육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기술을 실용화하고 있다(백인기, 1989). 국내에서도 유용미생물과 천연 물질을 활용한 기술을 시급히 확보하여 양계의 생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여야 될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날로 강화되는 위생에 대한 인류의 요구, 각국의 항생제 사용규제 강화, 세계화의 가속화로 축산물의 국제교류가 활발해지는 현시점에서 친환경적인 기술의 개발 및 도입은 국내 양계산업이 생존할 수 있는 기술적 대안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양계농장에서는 살모넬라 감염증인 가금티푸스, 추백리 등 후진적인 질병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가금티푸스는 폐사율이 90% 이상의 치명적인 질병으로 전국 양계농장의 70%가 원인 병원균인 살모넬라 갈리나리움(Salmonella gallinarium)에 오염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국내 양계산업의 기반을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백인기, 1989). 살모넬라 감염증은 대표적인 인수공통전염병의 하나이며, 동물에서 유산을 유발하며, 음식에 의해 감염되고 사람에서 장염 및 장티푸스를 유발하는 중요한 세균성 질병이다(Valle 등, 2005). 살모넬라 감염증의 원인체인 살모넬라 속 균주(Salmonella spp.)는 운동성이 있는 간균으로 그람 음성균이며, 특히 탐식세포 및 비탐식세포 내에서 증식이 가능한 세균이기 때문에 치료가 상당히 어려운 대표적인 난치성 질병 중 하나이다. 최근 항생제 등의 약물을 오남용함으로써 약물에 대한 저항성을 가진 살모넬라 속 균주가 나타나 공중보건학적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Miriagou 등, 2006).
1950년대 이후에는 어린 가축의 성장 촉진과 사료효율을 개선하고 축산물의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페니실린(penicillin), 바시트라신(bacitracin) 등과 같은 항생제가 사료 첨가제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Chiang 등, 1995). 항생제의 작용기전은 먼저 가축체내에 존재하는 살모넬라, 대장균, 클로스트리디움 등과 같은 장내 병원성균의 세포막을 분해하여 사멸시키고 소장 흡수세포벽을 얇게하여 영양소의 흡수율을 증대시켜 성장을 촉진시킨다고 알려져 있다(Abdukalykova 등, 2008). 그러나 가축 생산성 증대와 같은 긍정적인 효과에도 불구하고 항생물질이 고기, 우유, 계란 등의 축산물에 잔류될 수 있다는 점과 축산물을 통하여 섭취된 항생물질이 인체의 내성을 증가시켜 항생물질에 대하여 저항성을 나타낼 수 있다는 일부 부정적인 효과가 밝혀지면서 최근 항생제의 사용에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Kim 등, 2008). 스웨덴, 덴마크 등과 같은 유럽 국가들을 중심으로 가축 사료 첨가제로서 항생제 사용이 금지 또는 극도로 제한되고 있다. 최근 이와 같은 시대적 흐름에 따라 사료에 첨가되는 항생제를 53종에서 25종으로 대폭 축소하고 2012년 농장에 대한 HACCP(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제도를 도입하는 등 사료 위생관리를 엄격히 관리하는 단계로 접어들면서, 항생제를 대치 할 수 있는 대체제제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축산식품 소비자는 물론 생산자를 위해서도 사료에 첨가되는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안전성이 확보된 후보 물질의 개발연구 및 효능 연구는 미래 지속가능한 동물산업을 위해 필연적으로 해결해야만 하는 향후의 숙제이다. 이러한 사실과 더불어 국민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웰빙에 대한 관심 고조로 동물성 식품에 대한 선호도가 양 보다는 질 위주로 급격하게 변화되고 있어 천연자원을 이용한 다양한 항생제 대체 사료 첨가제의 개발이 우선적으로 중요하다.
울금은 생강과(Zingiberaceae)에 속하는 강황속(Curcuma)으로 분류되는 다년생 식물로서 이에 속하는 식물에는 봄 울금(Curcuma aromatica), 가을 울금(Curcuma longa) 및 보라색 울금(Curcuma zedoaria) 등이 있으며, 학자들에 따라 30∼70여종의 독립종이 존재한다고 밝히고 있지만 정확한 종의 수는 알려지지 않고 있으며, 대부분 외관상 형태는 비슷하다(Purseglove 등, 1981). 울금은 카레의 주요 성분으로서 널리 이용되며, 특유의 맛과 향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울금은 모노테르페노이드류(monoterpenoids), 세스키테르페노이드류(sesquiterpenoids) 및 커큐미노이드류(curcuminoids)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Tang 등, 1992), 이중 커큐민(curcumin)은 항산화성, 항돌연변이성, 항암효과(Ohtsu 등, 2002) 및 항염증(Ishita 등, 2004) 등 여러 가지 기능성이 밝혀지면서 의약분야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매화나무(Prunus mume Sieb. et Zucc)의 과실인 매실은 장미나무과의 앵두나무속에 속하는 핵과류이며, 예로부터 한국, 일본, 중국 등에서 식음료 재료로 사용되어 왔으며, 본초강목 등에 의하면 만성 기침, 하열에 의한 가슴의의 열기나 목마름, 오래된 학질, 만성 설사, 치질에도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또한 매실은 숙신산(suuccinic acid), 구연산(citric acid), 말산(malic acid) 및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등의 유기산 뿐만 아니라 시토스테롤(sitosterol)과 무기물 함량이 많은 알칼리성 식품이며, 다양한 연구에서 간 기능 회복 및 위 소화 촉진, 당뇨병 개선, 항암 작용, 혈압 상승 예방 및 순환기 질환 예방, 항산화 및 항균작용 등 매실의 약리효과에 대해 다양하게 보고되었다(Nakajima 등, 2006; Kim과 Bae, 1999).
복분자(Rubus coreanus Miquel)는 우리나라 중남부지방과 중국 유럽 등지에서 자생하는 장미과(Rosaceae)의 낙엽활엽 덩굴성 식물로 6월경에 반구형의 열매가 붉게 익은 후 검게 변하는데, 한방에서는 미성숙 열매를 건조시킨 것을 복분자라고 한다(권경순 등, 2004). 복분자에 관한 연구는 잎, 줄기 등 각 부위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중 미숙과를 이용한 연구로는 갈산(gallic acid), 2, 3-(s)-HHDP-D-글루코-피로노즈(2, 3-(s)-HHDP-D-gluco-pyronose), 상구인 H-6(sanguiin H-6)의 가수분해성 탄닌을 확인 동정하였고(Pang 등, 1996), 항산화작용, 면역활성 증가, 항암 및 항스트레스 효과에 관한 연구 등이 보고되었다(Park 등, 2004).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는 삼백초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해독 및 이뇨 효과가 있으며, 백일해, 기관지염, 간염 등의 증상을 완화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어성초의 성분 중 퀘르시트린(quercitrin)은 퀘르세틴(quercetin)의 배당체로서 생엽에 함유되어 있고 이뇨, 강심작용, 항바이러스 작용, 폐렴 유발에 대한 면역기능 증강효과 및 항종양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 (Tang 등, 2005).
오디(Mulberry fruit)는 영양성분이 일반과실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은 편이며, 그 중에서 칼슘, 칼륨, 비타민 C의 함량은 후지사과에 비하여 각각 14배, 2배, 18배가 높고 특히 비타민 C가 많은 것으로 알려진 감귤보다 그 함량이 1.5배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오디의 주요 유기산은 구연산(citric acid) 0.43%, 옥살산(oxalic acid) 0.01%, 말론산(malonic acid)과 말산(malic acid) 각각 0.04%, 푸마르산(fumaric acid)와 숙신산(succinic acid)가 각각 0.03% 등이 함유되어있으며, 주요 지방산은 리놀레산(linoleic acid)과 팔미트산(palmitic acid)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되었다 (고광출, 1994).
또한 항생제 대체물질 중 가장 각광받고 있는 생균제(probiotics)는 1980년대 후반부터 가축의 생산성을 개선시킬 목적으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등이 주로 연구되고 이용되어 왔으며, 생균제로서 가장 많은 연구가 진행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Lactobacillus spp.)는 락타아제(lactase)와 같은 소화 효소를 생산하며, 장내 유익한 미생물수를 증가시킨다(Fuller, 1989). Chiang과 Hsieh(1995)는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p.), 바실러스 속(Bacillus spp.), 엔테로코커스 속(Enterococcus spp.) 등을 혼합한 생균제를 여러 수준으로 육계에 급이시 증체량이 향상되고 사료효율이 개선된다고 보고하였다. Tortuero(1973)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를 배양하여 육계에 급여한 결과, 맹장과 대장내의 미생물 균총에 유익균을 증가시키고 유해균은 감소시키는 영향을 준다고 보고하였다. 건강한 동물의 소화기에는 혐기성 세균이 우점하고 있으며, 소화기상부에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중부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하부에는 엔트로코크스 페시움(Enterococcus facium)이 정착하기 알맞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혼합 생균제를 이용하면, 그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백인기, 1989). 최근에는 단일 생균제의 연구보다는 다양한 기능을 가진 균들을 혼합하여 사용시 다양한 효과를 한번에 기대할 수 있는 혼합 생균제의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점을 착안하여 울금, 어성초, 매실, 복분자 및 오디를 유용미생물을 활용하여 생물학적 발효과정을 통한 천연물 발효 사료 첨가제를 제조하고, 천연물 발효 사료 첨가제를 일반배합사료에 첨가 혼합하여 닭과 오리에게 급여하는 방식으로 사육하여, 동일 사육기간동안에 증체량, 사료효율과 면역성이 향상되도록 하고, 상기 천연물 발효 사료 첨가제를 이용하여 사육한 닭고기와 오리고기를 도축하였을 때, 지방 함량과 콜레스테롤 함량이 낮으며, 필수지방산과 아미노산 함량이 높은 닭고기 또는 오리고기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울금 발효물을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이 한국등록특허 제1031363호에 개시되어 있고, 어성초 발효물을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에 대해서는 한국등록특허 제568689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매실 발효물을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이 한국등록특허 제398478호, 복분자 발효물을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이 한국등록특허 제815256호에 개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울금, 어성초, 매실, 복분자 및 오디를 모두 함유하는 발효 사료 첨가제 또는 사료 등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는 선행기술은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았다.
한국등록특허 제398478호 (기능성 매실 발효사료 및 그 제조방법, 2003.09.03) 한국등록특허 제568689호 (어성초를 이용한 기능성 발효사료와 그 제조방법과 그것을 이용한 돼지의 사육방법 및 그로부터 얻어진 돈육, 2006.03.31) 한국등록특허 제815256호 (복분자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2008.03.13) 한국등록특허 제1031363호 (구아바 및 울금을 함유하는 양계 사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생산된 계란, 2011.04.19)
권경순, 김영수, 송근섭, 홍선표, 복분자 착즙액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약학회지. 2004. 17(3), 272-277 고광출, 뽕나무과실의 과수화와 이용연구(Ⅰ). 뽕나무과수화 기초연구 농업특정연구개발사업보고서. 1994 김동욱, 김상호, 유동조, 강근호, 김지혁, 강환구, 장병귀, 나재천, 서옥석, 장인석, 이규호, 식물 추출물, 한방 발효물, 유산균의 단독 및 혼합 첨가 급여가 육계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2007. 34, 189-196 류경선, 어영수, 류명선, 박홍석, 김상호, 단일 및 혼합 생균제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2001. 28, 41-47 백인기, 생균제 (Probiotics)의 사용효과. 한국영양사료학회지. 1989. 13, 175-183 Abdukalykova, S. T., Zhao, X. and Ruiz-Feria, C. A., Arginine and vitamin E modulate the subpopulations of T lymphocytes in broiler chickens. Poult. Sci. 2008. 87, 50-55 Chiang, S. H., Hsieh, W. M., Effect of direct-fed microorganisms on broiler growth performance and liter ammonia level. Asisn-Australian J. Anim. Sci. 1995. 8, 159-162 Kim, K. S., Lim, J. C., Shin, M. S., Choi, Y. I., Lee, S. C., and Cho, S. K., Effect of dietary combined probitics (Any-Lac, R) supplementation contained with Phaffiarhodozyma on the growth performances and meat quality of pigs. Korean J. Anim. Sci. Technol. 2008. 50, 656-666 Miriagou, V., Carattoli, A. and Fanning, S., Antimicrobial resistance islands: resistance gene clusters in Salmonella chromosome and plasmids. Microbes. Infect. 2006. 8(7), 1923-1930 Purseglove, J. W., E. G. Brown, C. L. Green and S. R. J. Robbins., Spices. Longman. Inc., New York NY, USA. 1981. 100-286 Valle, E. and Guiney, D., G., Characterization of Salmonella-induced cell death in human macrophagelike THP-1 cells. Infect. Immun. 2005. 73, 2835-2840 Tang, W. and G. Eisenbrand., Curcuma spp.. In chinese drugs of plant origin. Springer, NY, USA. 1992. 401-415 Tang, B. X., Duan, L. D., Wang, Y., Zhao, L. Z., Yu, Y. G. and Li, X. S. J., Shaoyang University (Natural Sciences). 2005. 2(87), 80-81 Ohtsu, H., Z. Xiao, J. Ishida, M. Nagai, H., K. Wang,. Curcumin analogues as noverl androgen receptor antagonist with potential ad anti-prostate cancer agenrs. J. Med. Chem. 2002. 45, 5037-5042 Ishita, C., B. Kaushik, B. Uday and K. Ranajit., Turmeric and curcumin: Biological actions and medicinal applications. Current Science. 2004. 87, 1-10 Nakajima, S., Fujita, K., Inoue, Y., Nishio, M., Seto, Y., Effect of the folk remedy, Bainiku- ekisu, a concentrate of Prunus mume juice, on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humans. Helicobacter. 2006. 11(6), 589-591 Kim K, J., Bae J. H., Effects of sports drink including the extract from Prunus mume on the changes of respiratory variables, heart rate, and blood lactate concentration in submaximal exercise. J. East Asian Dietary Life. 1999. 9, 177-187 Pang, K. C., Kim, M. S., Lee, M. W., Hydrolyzable tannins feom the fruits of Rubus coreanum. Kor. J. Phamacogn. 1996. 27, 366-370 Park J. H, Lee H. S, Mun H. C., Kim D. H., Seong N. S., Jung J. K., Bang J. K., Lee H. Y., Effect of ultrasonification process on enhancement of immunostimulatory activity of Ephedera sinica Stapf and Rubus coreanus Miq. Kor. J. Biotechnol Bioeng. 2004. 19, 113-117 Fuller, R., Probiotics in man and animals. A review. J. Appl. Bacteriol. 1989. 66, 365-378 Chiang, S. H., Hsieh, W. M., Effect of direct-fed microorganisms on broiler growth performance and liter ammonia level. Asisn-Australian J. Anim. Sci. 1995. 8, 159-162 Tortuero, F., Influencce of implantation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in chicks on the growth, feed conversion, malabsorption of fats syndrome and intestinal flora. Poultry Sci. 1973. 52, 197 Jung, B. G., Toan, N. T., Cho, S. J., Ko, J. H., Jung, Y. K. and Lee, B. J., Dietary aluminosilicate supplement enhances immune activity in mice and reinforces clearance of porcine circovirus type 2 in experimentally infected pigs. Vet. Microbiol. (in press). 2009. AOAC 1995 Officai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Chapter 32, pl-43.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물을 이용한 발효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울금, 어성초, 매실, 복분자, 오디 및 곡물발효원을 유용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한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천연물을 이용한 발효 사료 첨가제를 닭과 오리의 사료에 첨가 급여하는 방식으로 사육함으로써 동일 사육기간 동안 증체량, 사료효율 및 면역성을 현저하게 향상시켜, 지방 함량 및 콜레스테롤 함량이 낮으면서도 필수지방산 함량이 많이 함유된 닭고기와 오리고기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천연물을 이용한 발효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울금, 어성초, 매실, 복분자, 오디 및 곡물발효원을 이용하여 발효한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사료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사료 첨가제는,
(1단계) 울금 분쇄물, 어성초 분쇄물, 매실 분쇄물, 복분자 분쇄물, 오디 분쇄물 및 곡물발효원을 혼합한 후, 수분을 45~55%, pH 4.5~5.0로 조절하는 단계;
(2단계) 상기 1단계의 혼합물에 효모를 혼합하고, 25∼30℃에서 3~7일간 발효하여 1차 발효물을 제조하고, pH 5.0~6.0으로 조절하는 단계;
(3단계) 상기 2단계의 1차 발효물에 유산균을 혼합하여 45∼50℃ 조건에서 1~3일간 발효하여 2차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4단계) 상기 3단계의 2차 발효물을 15~25℃의 열풍으로 20∼24시간 건조하여 수분 10∼15%, pH 5.5∼6.5의 상태로 건조된 천연물 발효 사료 첨가제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1단계에서, 울금 분쇄물, 어성초 분쇄물, 매실 분쇄물, 복분자 분쇄물, 오디 분쇄물 및 곡물발효원은, 울금 분쇄물 10~30 중량%, 어성초 분쇄물 10~30 중량%, 매실 분쇄물 5~20 중량%, 복분자 분쇄물 5~20 중량%, 오디 분쇄물 5~20 중량% 및 곡물발효원 20~40 중량%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1단계에서 곡물발효원으로는 대두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2단계에서,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3단계에서 1차 발효물에 혼합되는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및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균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사료 첨가제를 배합사료에 각각 0.1~2.0 중량%로 첨가 혼합하여 닭 또는 오리를 사육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얻은 닭고기 또는 오리고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1단계에서, 울금 분쇄물 또는 어성초 분쇄물은, 건조된 상태의 울금 또는 어성초를 60~120메시(mesh) 크기로 분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1단계에서, 매실 분쇄물, 복분자 분쇄물 또는 오디 분쇄물은 매실, 복분자 또는 오디를 60~120메시(mesh) 크기로 분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2단계의 효모는 1×106 ~ 1×107cfu/㎖의 농도 상태로서 1단계 혼합물의 전체 0.1~5 중량%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2단계의 효모액은 상기 1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의 표면에 골고루 분사되어 혼합될 수 있다.
상기 2단계의 1차 발효물은 수분 25∼35%인 상태에서 발효가 완료되며, 적갈색의 시큼한 향과, 달콤한 향을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단계의 유산균은 1×106 ~ 1×107cfu/㎖의 농도 상태로서 1단계 혼합물의 전체 0.1~5 중량%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3단계의 유산균은 상기 2단계에서 제조된 1차 발효물의 표면에 골고루 분사되어 혼합될 수 있다.
상기 4단계에서 최종적으로 제조된 사료 첨가제는 암갈색의 달콤한 향을 내는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한 사료 첨가제를 이용하여 얻은 닭고기와 오리고기는, 상기 사료 첨가제를 닭 또는 오리에게 사료총량을 기준으로 배합사료에 1.0~2.0 중량%로 첨가 혼합된 사료를 무제한 급여하여 사육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사육한 닭 또는 오리는 동일 사육기간 동안 증체량과 사료효율 및 면역성이 높아지고, 이를 도축하여 얻은 닭고기 또는 오리고기는 지방 함량과 콜레스테롤 함량이 낮으며, 필수지방산 함량이 높고 육질이 부드러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천연물을 이용한 발효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사료 첨가제를 이용하여 얻은 닭고기와 오리고기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울금, 어성초, 매실, 복분자, 오디 및 곡물발효원을 유용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한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사료 첨가제를 이용하여 얻은 닭고기와 오리고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사료 첨가제를 사료에 첨가 급여하여 닭과 오리를 사육하게 되면, 동일 사육기간동안 증체량과 사료효율 및 면역성이 현저하게 향상되기 때문에, 이로부터 지방 함량 및 콜레스테롤 함량이 낮으면서도 필수지방산 함량이 많이 함유된 닭고기와 오리고기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천연물 발효 사료 첨가제의 제조 공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 실시예 1. 울금 , 어성초, 매실, 복분자, 오디 및 대두박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의 제조>
울금과 어성초를 분쇄기에서 80mesh 정도로 분쇄한 각각의 분말과 매실과 복분자, 오디를 분쇄기에서 100mesh 정도로 분쇄한 각각의 과육과 과즙을 대두박과 함께 각각 표 1의 중량비율로 총 100kg을 혼합하였다. 생약 혼합 후, 수분을 45~55%, pH 4.5~5.0로 조절하였고, 1×107cfu(colony forming units)/㎖ 농도인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Saccharomyces cerevisiae , KCTC 7928) 균주 1ℓ를 혼합물의 표면에 골고루 분사 접종하고, 25℃, 1차 발효과정을 5일간 진행하여 수분 25∼35%의 적갈색의 시큼한 향과, 달콤한 향을 내는 1차 발효물을 만들었다. 이 때, 1차 발효물의 pH는 5.0~6.0으로 조절하였다. 이 때, 상기 과정들에서 pH의 조절은 수산화칼륨 용액, 수산화나트륨 용액, 묽은 염산 용액 등을 이용하였다.
이 후, 상기 1차 발효물에 각각 1×107cfu/㎖ 농도의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 3155)와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 KCTC 3244) 균주를 1ℓ씩 총 2ℓ를 혼합물의 표면에 골고루 분사 접종하여, 45℃, 2일간 2차 발효를 진행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후에는 상기 발효물을 20℃의 열풍으로 20시간 동안 건조하여, 수분 10∼15%, pH 5.5∼6.5의 암갈색의 달콤한 향을 내는 천연물 발효 사료 첨가제를 제조하였다. 또한, 생약 혼합물은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정치배양하였으며, 2차 발효 완료 후 각 샘플을 채취하여 총균수를 분석한 바, 2~3×108cfu/g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건 중량(kg)
울금 분쇄물 어성초 분쇄물 매실 분쇄물 복분자 분쇄물 오디 분쇄물 대두박
실시예 1-1 20 20 10 10 10 30
실시예 1-2 30 10 20 5 5 30
실시예 1-3 10 30 5 20 5 30
실시예 1-4 10 30 5 5 20 30
실시예 1-5 30 10 15 15 10 20
실시예 1-6 20 20 5 5 10 40
실시예 1-7 10 20 20 10 10 30
실시예 1-8 10 10 10 20 20 30
< 비교예 1. 비교대상 사료 첨가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사료 첨가제를 제조하되, 하기 표 2의 조건으로 생약을 혼합한 후 사료 첨가제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3007266795-pat00001
< 비교예 2. 효모만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제조>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조건으로 사료 첨가제를 제조하되, 2차 발효시 효모를 유산균과 동량으로 첨가하여 사료 첨가제를 제조하였다. 즉, 모든 발효과정에서 효모만 이용하여 발효하였으며, 25℃에서 발효하였다.
< 비교예 3. 유산균만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제조>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사료 첨가제를 제조하되, 1차 발효시 효모균 대신 유산균을 첨가하였다. 즉, 모든 발효과정에서 유산균을 사용하였으며, 45℃에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정치배양하였다.
< 실험예 1. 병아리 사육 및 닭고기의 성분 비교>
실험예 1-1. 천연물 사료 첨가제를 이용한 병아리의 사육
실시예 1 및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천연물 사료 첨가제를 이용하여 닭에 대한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 시용된 병아리는 평균체중 3일령 로스(Ross) 육계용 병아리를 이용하였으며, 각 샘플군당 15마리의 병아리를 사용하였다. 대조군에는 일반배합사료만 급여하였고, 사료 첨가제 급여구에는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사료 첨가제를 일반배합사료에 1~2중량%씩 첨가하였다.
상기 조건의 사료를 병아리에 35일간 급여한 후, 이 기간동안의 각 병아리들의 증체량, 사료섭취량, 사료효율을 확인하였다. 사료섭취량은 개시부터 시험 종료시까지 1주마다 처리구별로 체중 측정 전에 사료의 잔량을 측정하여 사료섭취량을 구하였고, 사료효율은 사료섭취량을 증체량으로 나누어서 구하였다.

사료
첨가제
사료섭취량(g) 증체량(g) 사료효율(ratio)
사료첨가제가
1중량% 첨가된 배합사료
사료첨가제가 2중량% 첨가된 배합사료 사료첨가제가 1중량% 첨가된 배합사료 사료첨가제가 2중량% 첨가된 배합사료 사료첨가제가 1중량% 첨가된 배합사료 사료첨가제가 2중량% 첨가된 배합사료
실시예 1-1 3,269.8 3,275.7 2,085.4 2,148.5 1.57 1.53
실시예 1-2 3,305.5 3,299.5 2,091.2 2,185.7 1.58 1.51
실시예 1-3 3,255.4 3,258.5 2,083.2 2,139.5 1.57 1.53
실시예 1-4 3,285.8 3,280.5 2,105.4 2,204.5 1.56 1.49
실시예 1-5 3,257.5 3,242.2 2,075.5 2,105.8 1.57 1.54
실시예 1-6 3,245.1 3,250.4 2,075.2 2,107.4 1.57 1.55
실시예 1-7 3,225.2 3,235.6 2,081.2 2,165.5 1.55 1.50
실시예 1-8 3,230.5 3,228.7 2,078.5 2,138.2 1.56 1.51
비교예 1-1 3,328.2 3,325.8 1,874.5 1,885.3 1.78 1.77
비교예 1-2 3,335.5 3,338.2 1,868.4 1,865.2 1.79 1.79
비교예 1-3 3,395.4 3,358.1 1,981.8 1,865.5 1.72 1.80
비교예 1-4 3,425.8 3,358.5 1,979.3 1,986.5 1.73 1.69
비교예 1-5 3,212.7 3,151.5 1,758.5 1,780.1 1.83 1.77
비교예 1-6 3,248.3 3,265.5 1,882.5 1,895.6 1.73 1.73
비교예 1-7 3,200.5 3,221.4 1,835.8 1,866.5 1.75 1.73
비교예 1-8 3,108.5 3,110.8 1,798.5 1,814.7 1.73 1.72
비교예 1-9 3,225.2 3,220.5 1,835.1 1,840.3 1.76 1.75
비교예 1-10 3,251.8 3,182.2 1,820.5 1,810.5 1.79 1.76
비교예 1-11 3,125.0 3,114.5 1,792.7 1,815.1 1.75 1.72
비교예 2 3,217.5 3,265.5 1,930.5 2,009.2 1.67 1.63
비교예 3 3,225.1 3,270.8 1,935.8 2,045.5 1.67 1.60
대조군 3,285.7 1,745.5 1.89
상기 표 3을 확인하면, 본원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3의 사료 첨가제를 급여한 병아리들의 평균사료섭취량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약 30g~150g정도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비교예 1~3의 사료 첨가제를 급여한 병아리들의 증체량과 사료효율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증체량은 약 13g~300g 정도 차이가 났으며, 사료효율은 1.67~1.83으로 대조군보다 0.22~0.06정도 낮게 나타나는 반면, 실시예 1의 사료 첨가제를 급여한 병아리들은 증체량이 약 300g~459g 정도로 차이가 나 체중이 크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사료효율은 1.50~1.58로 대조군보다 0.39~0.31 정도의 큰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실시예 1의 사료 첨가제를 급여한 처리군은 대조군과 비교예 1~3과 동일기간동안 사육한 결과를 비교해 보면, 실시예 1의 처리군들은 적은 사료를 먹고도 체중이 현저하게 증가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비교예 1의 사료 첨가제에는 울금, 어성초, 매실, 복분자, 오디 중의 생약이 2~3개만이 혼합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5개의 생약이 모두 혼합되어 있기는 하지만 울금 분쇄물 10~30 중량%, 어성초 분쇄물 10~30 중량%, 매실 분쇄물 5~20 중량%, 복분자 분쇄물 5~20 중량%, 오디 분쇄물 5~20 중량% 및 대두박 20~40 중량%의 생약 혼합물의 혼합 비율을 벗어난 것으로서,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생약 혼합물의 혼합 범위가 닭의 사육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2 및 3에서는 효모 또는 유산균만을 이용하여 사료 첨가제를 제조하였는데, 효모와 유산균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사료 첨가제의 품질을 높이는데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1-2. 닭고기의 조지방함량 , 조단백질함량 , 전단력 확인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사료 첨가제를 급여한 병아리들을 도축하여, 닭고기의 조지방함량, 조단백질함량, 전단력 등을 비교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
닭고기의 조지방함량과 조단백질함량 분석은 사양 시험 종료 직후 각 처리구에서 평균 체중에 가까운 닭을 처리군당 5수를 선발하여 수행하였다. 도축직후 정강이 고기와 가슴고기를 각각 적출하여 만육기로 분쇄한 것을 분석 시료로 하여 지방과 단백질 함량을 AOAC(1995)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닭고기의 전단력 측정은 가슴살을 스테이크 모양으로 절단하여 은박지 포장 후 항온수조에서 고기의 내부온도를 80℃로 하여 1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직경 0.5 inch의 코아로 근섬유 방향으로 시료를 채취한 후 전단력 측정기(Warner-Bratzler shear force meter,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은 속이 비어있는 마름모꼴의 칼날 안쪽 하단 부의에 수직으로 시료를 넣고, 기계를 작동시켜 시료를 아래로 내려가면서 잘려지게 되는데 이때 받는 힘을 전단력으로 측정하였다.

사료
첨가제
조지방함량(%/100g) 조단백질함량(%/100g) 전단력(kg/0.5inch2)
1중량%
첨가
2중량%
첨가
1중량%
첨가
2중량%
첨가
1중량%
첨가
2중량%
첨가
실시예 1-1 1.73 1.71 24.48 24.56 1.94 1.87
실시예 1-2 1.85 1.78 23.55 24.22 1.85 1.81
실시예 1-3 1.92 1.85 23.45 24.58 1.98 1.85
실시예 1-4 1.95 1.82 22.66 23.51 1.95 1.91
실시예 1-5 1.73 1.70 24.45 26.33 1.95 193
실시예 1-6 1.80 1.80 24.36 24.65 2.02 1.97
실시예 1-7 1.75 1.71 24.08 24.65 1.96 1.91
실시예 1-8 1.83 1.79 23.11 23.52 1.84 1.78
비교예 1-1 2.08 1.89 22.05 22.24 2.14 2.08
비교예 1-2 2.72 2.63 20.12 20.81 2.11 2.07
비교예 1-3 1.93 2.03 21.08 21.05 2.25 2.30
비교예 1-4 2.51 2.26 20.34 20.55 2.15 2.15
비교예 1-5 2.72 2.68 20.67 20.68 2.21 2.23
비교예 1-6 1.96 1.98 21.41 20.48 2.34 2.25
비교예 1-7 2.43 2.18 20.36 20.45 2.18 2.13
비교예 1-8 2.43 2.51 20.73 20.24 2.32 2.30
비교예 1-9 2.51 2.55 20.51 20.45 2.28 2.28
비교예 1-10 2.30 2.25 20.52 20.58 2.31 2.34
비교예 1-11 2.75 2.48 20.12 20.32 2.25 2.22
비교예 2 2.01 1.96 21.46 21.85 2.14 2.13
비교예 3 2.32 2.21 20.36 20.45 2.18 2.15
대조군 2.68 20.12 2.31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비교예 1~3의 사료 첨가제를 급여한 닭고기의 조지방함량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낮게 나타났으며, 조단백질함량은 실시예 1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처리구별 닭고기의 절단시 힘의 양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천연물 발효 사료 첨가제 급여구에서 절단력이 낮은 부드러운 고기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 실험예 2. 천연물 발효 사료를 급여한 병아리에 대한 면역성 평가>
본 실험의 면역성 평가방법은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대조군 사료 첨가제를 배합한 사료를 급여한 병아리들의 혈청과 비장에서의 라이소자임(lysozyme) 활성 평가, 말초혈액의 림프구 증식력 평가 등 2개의 실험을 실시하여 평가하였다.
실험예 2-1. 라이소자임 활성 평가
실시예 1, 비교예 1~3 및 대조군 사료 첨가제가 혼합된 배합사료를 20일령 로스(Ross) 육계용 병아리를 각 군당 6마리씩에 2주간 급여 후, 병아리의 혈청에서의 라이소자임 활성 평가를 위해서, 15일째에 각각의 병아리의 날개 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했다.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10분간 원심분리(4℃, 2,000×g)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라이소자임의 활성 측정에 이용하였다. 라이소자임 활성 측정용 표준용액의 조제는 크리스탈린 라이소자임(crystalline lysozyme, Sigma-Aldrich, St. Louis, MO, U.S.A.)을 인산 완충액(phosphate buffer, pH 6.2)에 용해시켜 0.5, 1.0, 2.0, 3.0, 4.0, 5.0 또는 6.0㎍/㎖의 농도로 단계별 희석하여 표준용액을 만들었다. 이 후, 96-웰 마이크로 타이터 플레이트(96-well microtiter plate)에 각 농도의 용액을 20㎕씩 2개의 웰에 채웠으며, 한개의 웰에는 인산 완충액을 200㎕ 가하고 다른 웰에는 Micrococcus lysodeikticus 용액(600㎎/ℓ 인산완충액; Sigma-Aldrich)을 200㎕를 가하였다. 이 후, 15, 30, 45 및 60분간 41℃에서 배양한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각 농도에 따른 흡광도와 시간사이의 회귀계수(b)를 계산하였다. 혈청시료는 표준용액과 같은 방법으로 처리했다. 라이소자임의 활성은 계수 b와 라이소자임 농도 사이의 상관관계에 기초하여 측정하였다.
비장의 라이소자임 활성 측정을 위해서는 모든 병아리를 경추탈골로 희생시켜 비장을 적출하였으며, 지방과 막을 제거한 뒤 비장조직(0.5g)을 5㎖의 차가운 PBS(hosphate buffered saline)에서 균질화하였다. 균질액은 1㎎/㎖의 농도가 되도록 희석하였으며, 희석된 균질액의 라이소자임 활성은 혈청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라이소자임 활성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사료
첨가제
혈장 라이소자임 농도 (㎍/㎖) 비장 라이소자임 농도 (㎍/㎎ tissue)
사료첨가제가
1중량% 첨가된
배합사료
사료첨가제가
2중량% 첨가된
배합사료
사료첨가제가
1중량% 첨가된
배합사료
사료첨가제가
2중량% 첨가된
배합사료
실시예 1-1 2.82 3.04 2.72 3.95
실시예 1-2 2.78 3.18 2.76 3.76
실시예 1-3 2.85 3.26 2.87 4.27
실시예 1-4 2.96 3.17 2.75 4.38
실시예 1-5 2.77 3.18 2.86 4.19
실시예 1-6 2.88 3.09 2.97 3.96
실시예 1-7 2.74 2.96 2.78 4.07
실시예 1-8 2.75 3.27 2.89 4.15
비교예 1-1 0.86 0.98 1.66 1.86
비교예 1-2 0.86 0.85 1.57 1.87
비교예 1-3 0.98 0.96 1.68 1.98
비교예 1-4 0.95 0.97 1.66 1.89
비교예 1-5 0.86 1.34 1.55 1.86
비교예 1-6 0.87 1.25 1.56 1.87
비교예 1-7 0.84 1.36 1.57 1.88
비교예 1-8 1.15 1.27 1.67 1.96
비교예 1-9 1.26 0.88 1.65 1.95
비교예 1-10 1.17 0.96 1.66 1.86
비교예 1-11 0.94 0.97 1.57 1.97
비교예 2 1.26 1.55 1.75 2.11
비교예 3 1.43 1.57 1.68 2.02
대조군 0.73 1.51
표 5를 참고하면, 그람 양성균의 펩티도글리칸(peptidoglycan)에 대한 강한 항균효과가 있는 라이소자임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실시예 1의 천연물 발효 사료 첨가제를 급여한 군에서의 혈청 라이소자임 농도가 비교예 1~3의 사료 첨가제를 급여한 군이나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
또한 마찬가지로, 실시예 1의 천연물 발효 사료 첨가제를 급여한 군에서의 비장 라이소자임 농도가 비교예 1~3의 사료 첨가제를 급여한 군이나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2. 말초혈액의 림프구 증식력 평가
말초혈액의 림프구 증식력 평가방법을 위해서, 실시예 1, 비교예 1~3 및 대조군 사료 첨가제가 혼합된 배합사료를 20일령 로스(Ross) 육계용 병아리 각 군당 6마리씩에 2주간 급여 후, 15일째에 각각의 병아리의 날개 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했다. 채취된 혈액시료는 PBS로 희석하여 용액 부피의 1/2이상 Lymphoprep™(Axis-Shield, Oslo, Norway)에 적용시키고 상온 800×g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PBMC(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를 채취하였다. 상기 채취된 PBMC를 PBS로 3회 세척한 뒤, 2㎖ RPMI-1640 배지(2%[v/v] antibiotic-antimycotics 포함)에 재부유시켰다. 살아있는 세포수는 트리판블루(trypan blue)로 염색 후, 현미경으로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이 후, 상기 세포 부유물을 RPMI-1640 배지(2% antibiotic-antimycotics 포함)에 최종농도 1×107cells/㎖이 되도록 희석하였고, 세포 부유액 1㎖과 RPMI-1640 배양액 1㎖ 및 LPS(lipopolysaccharide ; Sigma-Aldrich) 100㎍/㎎를 24-웰 배양 플레이트(24-well culture plate, Iwaki, Tokyo, Japan)에 각각 가하였다. 이 후, 인큐베이터(41℃, 5% CO₂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2H-tetrazolium bromide) 용액을 첨가하여 500㎍/㎖이 되게 하였다. 4시간 동안 더 배양 후, 300㎕ DMSO(dimethyl sulfoxide; Sigma-Aldrich)를 가하고 10분간 흔들어 완전히 섞이도록 하였다. 각각의 시료는 PBS로 10배 희석하여 희석된 시료, 100㎕씩을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였다. 각 시료의 흡광도는 ELISA 분석기(Enzyme-Linked Immuno Sorbent Assay plate reader, Thermo Labsystems, Helsinki, Finland)를 이용하여 540nm에서 측정하였으며, 이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사료 첨가제
Optical Density value 540nm
사료첨가제가 1중량%
첨가된 배합사료
사료첨가제가 2중량%
첨가된 배합사료
실시예 1-1 0.51 0.58
실시예 1-2 0.50 0.56
실시예 1-3 0.52 0.55
실시예 1-4 0.51 0.58
실시예 1-5 0.53 0.56
실시예 1-6 0.50 0.57
실시예 1-7 0.49 0.58
실시예 1-8 0.51 0.57
비교예 1-1 0.38 0.40
비교예 1-2 0.39 0.41
비교예 1-3 0.30 0.31
비교예 1-4 0.39 0.31
비교예 1-5 0.39 0.32
비교예 1-6 0.39 0.32
비교예 1-7 0.38 0.41
비교예 1-8 0.40 0.41
비교예 1-9 0.38 0.32
비교예 1-10 0.37 0.32
비교예 1-11 0.39 0.31
비교예 2 0.40 0.43
비교예 3 0.41 0.42
대조군 0.37
표 6을 참고하면, PBMC에 LPS를 처리하여 MTT 어세이를 이용하여 세포 증식 정도를 확인한 결과, 실시예 1의 사료 첨가제 급여구의 PBMC 증식이 비교예 1~3의 사료첨가제 급여구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3. 오리 사육 및 오리고기의 성분 비교>
실험예 3-1. 오리의 사육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천연물 발효 사료 첨가제를 이용하여 오리를 6주간 사육하였다. 본 시험에 사용된 오리는 평균 체중 85~90g인 육용오리 초생추를 이용하였으며, 각 군당 7마리씩, 오리용 일반배합사료에 각 사료 첨가제를 1~2중량%로 첨가하여 급여하였다. 이 때, 사료는 무제한 급이하였으며, 물은 자유 섭취도록 하였다. 대조군에는 상기 사료 첨가제를 첨가하지 않았으며, 각 실험 결과는 이 대조군과 대비하여 확인하였다.
실험예 3-2. 오리의 증체량 , 사료섭취량, 사료효율 확인
상기 실험예 1에 있어, 체중 측정은 개시부터 시험 종료시까지 1주마다 각 처리구별로 총 체중을 측정하였다. 사료섭취량은 개시부터 시험 종료시까지 1주마다 처리구별로 체중 측정 전에 사료의 잔량을 측정하여 사료섭취량을 구하였고, 사료효율은 사료섭취량을 증체량으로 나누어서 구하였다. 상기한 오리 사양시험의 생산성 평가 결과를 다음 표 7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3007266795-pat00002
상기 표 7을 확인하면, 대조군과 대비하여, 사료 급여량은 거의 차이가 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천연물 발효 사료 첨가제가 혼합된 사료를 급여한 군에서는 증체량이 현저하게 증가되고, 사료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실험예 4. 오리고기의 특성분석>
실험예 1에서 사육된 오리들을 각 군에서 평균체중에 가까운 오리를 3마리씩 선발하였다. 각 군별로 선발된 오리로부터 가슴살 및 다리살 부위를 적출하여 일반성분시험법, 미량영양성분법을 식품공전(2005)에 따라 분석하였다.
실험예 4-1. 오리고기의 육질분석
실험예 3에서 사육된 오리의 육질분석 결과 중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및 콜레스테롤 함량은 하기 표 8와 같다.

사료
첨가제
조단백질
(g/100g)
조지방
(g/100g)
조회분
(g/100g)
콜레스테롤
(mg/100g)
1중량%
첨가
2중량%
첨가
1중량%
첨가
2중량%
첨가
1중량%
첨가
2중량%
첨가
1중량%
첨가
2중량%
첨가
실시예 1-1 22.5 22.8 1.9 1.7 1.1 1.2 125.8 115.5
실시예 1-2 21.8 22.8 1.9 1.6 1.2 1.1 123.9 118.8
실시예 1-3 21.7 23.7 1.8 1.7 1.1 1.2 124.7 116.9
실시예 1-4 22.2 22.8 1.9 1.8 1.2 1.1 123.8 119.7
실시예 1-5 22.3 22.7 1.8 1.6 1.2 1.2 125.5 116.0
실시예 1-6 22.4 22.8 1.9 1.7 1.1 1.1 122.6 117.7
실시예 1-7 22.5 23.2 1.8 1.7 1.2 1.2 125.3 118.8
실시예 1-8 21.9 22.3 1.8 1.6 1.1 1.1 122.2 115.9
비교예 1-1 20.8 20.8 2.2 2.4 1.1 1.2 161.9 156.7
비교예 1-2 20.6 20.8 2.3 2.3 1.1 1.1 162.6 157.8
비교예 1-3 20.7 20.9 2.3 2.4 1.2 1.1 163.7 159.6
비교예 1-4 20.9 20.8 2.3 2.3 1.2 1.2 162.8 156.7
비교예 1-5 20.6 20.7 2.3 2.4 1.2 1.2 165.9 157.8
비교예 1-6 20.7 20.8 2.2 2.4 1.1 1.1 163.6 155.9
비교예 1-7 20.9 20.9 2.3 2.4 1.1 1.2 162.7 154.7
비교예 1-8 20.9 20.7 2.3 2.4 1.1 1.1 164.8 155.8
비교예 1-9 20.8 20.6 2.3 2.3 1.2 1.1 163.9 156.9
비교예 1-10 20.8 20.7 2.3 2.3 1.2 1.2 162.0 157.7
비교예 1-11 20.9 20.8 2.4 2.5 1.1 1.1 161.7 158.8
비교예 2 20.7 20.9 2.3 2.4 1.2 1.1 163.7 160.5
비교예 3 20.9 20.8 2.3 2.3 1.1 1.2 162.2 163.3
대조군 20.2 2.5 1.2 163.8
상기 표 8를 참고하면, 어떤 사료 첨가제를 사용하더라도 조회분은 모두 비슷하였으나, 조단백질은 대조구에 비하여 실시예 1의 천연물 발효 사료 첨가제 급여구의 오리고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조지방 및 콜레스테롤은 실시예 1의 천연물 발효 사료 첨가제 급여구의 오리고기에서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비교예 1~3의 사료 첨가제 급여구에서는 조단백질, 조지방, 콜레스테롤 모두 대조군과 거의 유사하거나 약간의 증감이 있을 뿐,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4-2. 시험처리구별 오리고기의 지방산 분석
실험예 3에서 사육된 오리의 육질분석 결과 중 지방산 함유율은 하기 표 9과 같다.
Figure 112013007266795-pat00003
상기 표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이 실시예 1의 천연물 발효 사료 첨가제 급여구의 오리고기에서 비교예 1~3의 사료 첨가제 급여구나 대조군보다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오리고기의 품질 향상을 고려하여 볼 때, 천연물 발효 사료 첨가제를 현재 시판되고 있는 오리배합사료에 첨가시, 첨가하지 않은 것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단백질 및 필수지방산의 함량이 높고, 지방 함량과 콜레스테롤의 함량이 낮은 오리고기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Claims (10)

  1. (1단계) 울금 분쇄물, 어성초 분쇄물, 매실 분쇄물, 복분자 분쇄물, 오디 분쇄물 및 곡물발효원을 혼합한 후, 수분을 45~55%, pH 4.5~5.0로 조절하는 단계;
    (2단계) 상기 1단계의 혼합물에 효모를 혼합하고, 25∼30℃에서 3~5일간 발효하여 1차 발효물을 제조하고, pH 5.0~6.0으로 조절하는 단계;
    (3단계) 상기 2단계의 1차 발효물에 유산균을 혼합하여 45∼50℃ 조건에서 1~3일간 발효하여 2차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4단계) 상기 3단계의 2차 발효물을 15~25℃의 열풍으로 20∼24시간 건조하여 수분 10∼15%, pH 5.5∼6.5의 상태로 건조된 천연물 발효 사료 첨가제를 제조하는 단계;
    를 통해 제조된 천연물 발효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울금 분쇄물, 어성초 분쇄물, 매실 분쇄물, 복분자 분쇄물, 오디 분쇄물 및 곡물발효원은,
    울금 분쇄물 10~30 중량%, 어성초 분쇄물 10~30 중량%, 매실 분쇄물 5~20 중량%, 복분자 분쇄물 5~20 중량%, 오디 분쇄물 5~20 중량% 및 곡물발효원 20~40 중량%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 발효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의 곡물발효원은 대두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 발효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서,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 발효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에서 효모 발효 배양물에 혼합되는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및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 발효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한 사료 첨가제.
  7. 제6항의 사료 첨가제를 0.1~2.0 중량%로 첨가한 배합사료.
  8. 제7항의 배합사료를 이용하여 닭 또는 오리를 사육하는 방법.
  9. 제7항의 배합 사료를 이용하여 얻은 조지방 함량 1.7~2.0%/100g, 조단백질 함량 22~27%/100g, 전단력 1.7~2.1kg/0.5inch2 닭고기.
  10. 제7항의 사료 첨가제를 이용하여 얻은 단백질 함량 21~24g/100g, 지방 함량 1.6~1.9g/100g, 콜레스테롤 함량 115~130mg/100g 및 필수지방산인 올레산 함량이 37~40%/100g인 오리고기.












KR1020130008385A 2013-01-25 2013-01-25 천연물을 이용한 발효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얻은 닭고기와 오리고기 KR101255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385A KR101255166B1 (ko) 2013-01-25 2013-01-25 천연물을 이용한 발효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얻은 닭고기와 오리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385A KR101255166B1 (ko) 2013-01-25 2013-01-25 천연물을 이용한 발효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얻은 닭고기와 오리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5166B1 true KR101255166B1 (ko) 2013-04-23

Family

ID=48443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385A KR101255166B1 (ko) 2013-01-25 2013-01-25 천연물을 이용한 발효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얻은 닭고기와 오리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516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2457A1 (ko) * 2013-07-02 2015-01-0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피드업 대두박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유산균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발효대두박의 제조방법
KR20150011475A (ko) * 2013-07-23 2015-02-02 이강원 다시마를 포함하는 흑염소 보조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 보조사료를 이용한 흑염소 고기의 생산 방법
KR20150127374A (ko) * 2014-05-07 2015-11-17 가평군청 복합 잣 생균제를 이용한 한우 사육방법
KR101781914B1 (ko) 2015-01-06 2017-10-23 씨제이제일제당(주) 효모부산물을 이용한 기능성 발효 대두박의 제조 방법
KR102084859B1 (ko) * 2018-10-16 2020-03-04 사단법인 한국불교 바로알기 울금꽃 모링가 발효효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35554B1 (ko) * 2019-12-31 2020-07-20 강기갑 가축용 생균제 제조방법
KR20210043877A (ko) * 2019-10-14 2021-04-22 염상구 복합 균주를 이용한 완전배합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KR102322119B1 (ko) * 2020-12-18 2021-11-10 주식회사 솔담바이오 모링가를 포함하는 친환경 무항생의 단미사료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포함하는 양돈 배합사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851B1 (ko) * 2006-09-26 2008-03-24 (주)두루 뽕잎과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뽕잎발효사료첨가제 및 그제조방법과 그것으로 사육하여 얻어진 오리고기와 닭고기
KR20080102865A (ko) * 2007-05-22 2008-11-26 부안군 오리사료 첨가물 및 상기 오리사료 첨가물을 배합한 오리사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851B1 (ko) * 2006-09-26 2008-03-24 (주)두루 뽕잎과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뽕잎발효사료첨가제 및 그제조방법과 그것으로 사육하여 얻어진 오리고기와 닭고기
KR20080102865A (ko) * 2007-05-22 2008-11-26 부안군 오리사료 첨가물 및 상기 오리사료 첨가물을 배합한 오리사료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2457A1 (ko) * 2013-07-02 2015-01-0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피드업 대두박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유산균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발효대두박의 제조방법
KR20150011475A (ko) * 2013-07-23 2015-02-02 이강원 다시마를 포함하는 흑염소 보조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 보조사료를 이용한 흑염소 고기의 생산 방법
KR102048590B1 (ko) 2013-07-23 2019-11-25 이강원 다시마를 포함하는 흑염소 보조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 보조사료를 이용한 흑염소 고기의 생산 방법
KR20150127374A (ko) * 2014-05-07 2015-11-17 가평군청 복합 잣 생균제를 이용한 한우 사육방법
KR101657130B1 (ko) 2014-05-07 2016-09-19 가평군청 복합 잣 생균제를 이용한 한우 사육방법
KR101781914B1 (ko) 2015-01-06 2017-10-23 씨제이제일제당(주) 효모부산물을 이용한 기능성 발효 대두박의 제조 방법
KR102084859B1 (ko) * 2018-10-16 2020-03-04 사단법인 한국불교 바로알기 울금꽃 모링가 발효효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43877A (ko) * 2019-10-14 2021-04-22 염상구 복합 균주를 이용한 완전배합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KR102255611B1 (ko) 2019-10-14 2021-05-24 염상구 복합 균주를 이용한 완전배합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KR102135554B1 (ko) * 2019-12-31 2020-07-20 강기갑 가축용 생균제 제조방법
KR102322119B1 (ko) * 2020-12-18 2021-11-10 주식회사 솔담바이오 모링가를 포함하는 친환경 무항생의 단미사료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포함하는 양돈 배합사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5166B1 (ko) 천연물을 이용한 발효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얻은 닭고기와 오리고기
El Jeni et al. Probiotics and potential applications for alternative poultry production systems
Park et al. Egg production, egg quality, and cecal microbial populations of layersfed diets supplemented with fermented phytogenic feed additive
KR101137893B1 (ko) 발효홍삼박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chilonu et al. Biochemical proximates of pumpkin (Cucurbitaeae spp.) and their beneficial effects on the general well‐being of poultry species
KR101748368B1 (ko) 액상발효유황이 함유된 가축용 발효사료
Yuanita et al. Feeding Dayak onion (Eleutherine palmifolia) extract and Lactobacillus acidophilus mixture on blood biochemicals,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and growth performance in broiler chickens
KR101168658B1 (ko) 생균제와 그 제조 방법 및 생균제와 농산부산물을 이용한 고체 발효 사료 및 그 제조 방법
Kim et al. Effect of fermented ginkgo biloba and camelia sinensis-based probiotics on growth performance, immunity and caecal microbiology in broilers
Adeniyi et al. Effects of dietary tamarind (Tamarindus indica L.) leaves extract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utilization, gut physiology, and susceptibility to Aeromonas hydrophila infection in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L.)
Antara et al. Effects of Moringa oleifera leaf and probiotics mixed fermented extract on the egg production and cholesterol contents in egg of laying hens
KR101873514B1 (ko) L-카르니틴이 풍부한 발효산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효산물
KR101087269B1 (ko) 약쑥 발효물을 포함하는 유해세균 억제용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사료 첨가제 급여에 의한 계란의 생산방법
Tajudeen et al. Effect of wild ginseng on the laying performance, egg quality, cytokine expression, ginsenoside concentration, and microflora quantity of laying hens
Ahmad et al. Effects of replacing antibiotic growth promoters (AGPS) with botanical extracts and oils in feed of laying hens on production, performance and some microbial counts in feces.
KR20150014150A (ko) 알리움 후커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 및 이의 용도
KR101774492B1 (ko) 미생물(담자균류균사) 발효 및 효소처리 생물전환공정을 통해 생물전환된 미강생물전환산물
Yin et al. Ethanol extracts of yacon and ginger in diet of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effect on growth, feed utilization, body composition, plasma chemistry and challenge test against Vibrio anguillarum
KR20110096701A (ko) 발효미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금류 사료첨가제
Zulkifli et al. Effects of Euphorbia hirta and virginiamycin supplementation to the diet on performance, digestibility, and intestinal microflora population in broiler chickens
Stastnik et al. The effect of hemp by-products feeding on gut microbiota and growth of broiler chickens
Al-Khaldani et al. Effect of adding Moringa oleifera leaf powder with or without probiotic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some biochemical blood characteristics for broiler
Habibi et al. Evaluation of the use of some medicinal plants as diet additive on carcass quality, microbial count and immune responses in Japanese quail.
Nguse et al. Optimizing amla (Phyllanthus emblica) fruit powder supplementation in liquid feed fed to Holstein dairy calves: Insights from growth performance and health events
Ali et al. Response of immune system and microbial content of gut to feeding with different levels of crushed laurel leaves (Laurus nobilis) in broiler chick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