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6701A - 발효미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금류 사료첨가제 - Google Patents

발효미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금류 사료첨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6701A
KR20110096701A KR1020100016081A KR20100016081A KR20110096701A KR 20110096701 A KR20110096701 A KR 20110096701A KR 1020100016081 A KR1020100016081 A KR 1020100016081A KR 20100016081 A KR20100016081 A KR 20100016081A KR 20110096701 A KR20110096701 A KR 20110096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ed
feed
egg
seaweed extract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6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종근
이상락
이선녀
박선영
Original Assignee
(주)바이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어드 filed Critical (주)바이어드
Priority to KR1020100016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6701A/ko
Publication of KR20110096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70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효미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금류 사료첨가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미역을 분쇄한 다음 물과 동량으로 혼합하여 상온에서 발효시켜 제조한 발효미역 추출물과, 상기 발효미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가금류 사료첨가제, 그리고 상기 발효미역 추출물 사료 첨가제를 1일 1회 사료와 함께 산란계에게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 사육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생산된 기능성 계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효미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가금류 사료 첨가제를 산란계에게 급여할 경우 산란율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생산된 계란은 난각강도, 난황색 및 신선도가 일반 계란과 비교해 우수하고, 계란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출 수 있으므로 기능성 계란의 생산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발효미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금류 사료첨가제{Poultry feed additives including fermented Undaria pinnatifida extract}
본 발명은 발효미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금류 사료첨가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쇄한 건조미역을 물과 동량으로 혼합하여 상온에서 발효시켜 제조한 발효미역 추출물과, 상기 발효미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가금류 사료첨가제, 그리고 상기 발효미역 추출물 사료 첨가제를 1일 1회 사료와 함께 산란계에게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 사육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생산된 기능성 계란에 관한 것이다.
안전한 먹거리는 건강한 삶의 조건이 되고 있다. 높아지는 소득 수준과 의식 수준의 향상으로 안전한 먹거리를 선호하는 국민들에게 안전하면서도 질 좋고 우수한 축산물을 공급하는 것은 앞으로 축산업이 나아가야 하는 방향임에 틀림없다.
따라서, 축산의 과도한 항생제 사용과 성장촉진제의 사용을 금지하고, 친환경 축산물 생산을 위해 천연자원을 이용한 사료첨가제의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가금 산업에서도 친환경적이고 건강지향적인 방법, 즉, 식품안정성, 무항생제, 저지방, 동물복지 등을 고려한 사육방법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축산물 생산에 사용되는 기능성 소재로서 다양한 천연생리활성물질이 주목받고 있다(강혜경, 자가디쉬 벨로, 손시환, 장인석, 문양수, Korean J. Poult, 36(1):39-45, 2009).
천연식물에서 분리한 유기산과 플라보노이드(flavonoides), 베타-카로틴(β-carotene) 등의 생리활성 물질은 질병의 예방, 치료 및 건강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신길구, 신씨본초학, 1981, 진재인, 원설한방의학대사전(중국약??대전), 1990), 천연 식물 사료 첨가제는 주로 항산화 기능을 가지고 있어 이러한 물질은 지방산의 산패에 의한 사료 품질을 보호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가축이 섭취했을 때 체조직의 항산화, 면역증진 및 번식 능력 등과 같은 생리적 작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강혜경, 자가디쉬 벨로, 손시환, 장인석, 문양수, Korean J. Poult, 36(1):39-45, 2009).
현재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안전한 축산물의 생산을 목적으로 천연자원에서 그 물질을 찾아 대체제로서 사료로의 이용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는데, 심(심재민, 건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에 의하면, 해조류는 그 종이 다양하고 축산업 분야에서도 해양 생물의 자원화가 시도되고 있으므로 그 이용가능성이 가능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해조류는 예로부터 아시아 지역에서 널리 섭취해 왔으며, 영양학적으로 열량은 매우 낮으면서 비타민과 무기질, 식이섬유소가 풍부하고, 육지식물에는 없는 비소화성의 점질성 다당류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채소류와 비교해서 필수 아미노산과 불포화지방산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Jimenez-Escrig, A., and I. Goni Cambrodon, Arch. Latinoam. Nutr., 49:114-120, 1999). 국내에서는 식용 해조류가 약 50여종에 이르고 있다(Kwak, C, S., S. A. Kim, and M. S. Le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8):1143-1150, 2005).
해조류의 그 이용가능성과 생리활성물질이 널리 알려지면서 그 이용가치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었으며, 부존자원으로서의 활용가능성이 크게 부각되었다. 그 중 우리나라는 전 연안에 분포하며 연해주, 중국, 일본 등 극동지방 특산의 해조류인 미역(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은 다시마목 미역과에 속하는 대표적인 갈조류로서 2000년 기준으로 양식수산물 생산량의 33%와 양식해조류의 57%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중요한 식자원 중의 하나이다(최재석, 배희정, 김양춘, 박남희, 김태봉, 최영주, 최은영, 박선미, 최인순, 생명과학회지. 18(3):387-394, 2008).
우리 식문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미역은 수분을 제외하면 단백질, 탄수화물, 무기질이 주성분으로, 이 중 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은 콩, 어육 단백질과 유사하여 영양학적으로도 우수하며, 무기질은 칼슘, 마그네슘, 유황, 요오드, 철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비타민 A 함량은 5550IU로서 다른 식품재료에 비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알카리성 건강식품이며, 생리활성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 여러 가지 영양성분이 풍분한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Lu, Y. F., Nutrition Research, 9:345-352, 1989, R. D. A., Rural Nutrition Istitute. R. D. A. Korea, 172-173, 1991, Choi, J.H., I. S. Kim, and T. H. Yoon, Kor. J. Geronto,. 1:173-178, 1991, Kim, K. H., and C. S. Kim, Kor. J. Food Sci. Tech. 14: 336-341, 1882, Yun, S. M., J. H. Jang, and J. S. Le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2):149-154, 2007).
최근 미역은 식량자원으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성을 토대로 실용적 가치가 있는 의약산업, 사료산업 등에서 인정되고, 그 중요성이 널리 인식되고 있는 실정이며, 미역의 항산화, 항균, 항암효과 이외의 다양한 기능은 가금사료의 성장촉진용으로 사용해오던 항생제의 대체제로서 그 활용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을 이용하여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사료첨가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노력을 계속한 결과, 해조류 중 생산량이 가장 많은 미역을 사용하여 미역에 함유된 생리활성물질을 자연발효과정을 통해 도출시킨 다음 산란계에 급여하여 난생산성과 계란품질, 및 장내균총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 본 발명을 성공적으로 완성하였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발효미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금류 사료첨가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효미역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효미역 추출물은 건조미역을 분쇄한 다음 물과 동량으로 혼합하여 상온에서 발효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추출물은 추출액, 정제물, 희석액, 농축액 및 건조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발효미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금류 사료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효미역 추출물은 통상적인 사료와 함께 사료 총 중량의 0.1 내지 5.0%를 급여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발효미역 추출물 사료 첨가제를 1일 1회 사료와 함께 사료 총 중량의 0.1 내지 5.0%를 산란계에게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 사육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생산된 기능성 계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효미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가금류 사료 첨가제를 산란계에게 급여할 경우 산란율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생산된 계란은 난각강도, 난황색 및 신선도가 일반 계란과 비교해 우수하고, 계란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출 수 있으므로 기능성 계란의 생산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발효미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가금류 사료 첨가제는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사료첨가제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발효미역 추출물을 제공한다.
상기 발효미역 추출물은 건조된 미역을 분쇄기로 분쇄한 다음 동량의 비율로 물을 첨가하여 24~26℃의 상온에서 발효 개시시 pH 7.10에서 pH 5.22 상태까지 발효시킨 후 건조기에서 건조한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추출액, 정제물, 희석액, 농축액 및 건조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발효미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금류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효미역 추출물은 건조된 미역을 분쇄기로 분쇄한 다음 동량의 비율로 물을 첨가하여 24~26℃의 상온에서 발효 개시시 pH 7.10에서 pH 5.22 상태까지 발효시킨 후 건조기에서 건조한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며, 통상적인 사료와 함께 급여하되, 사료 총 중량의 0.1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를 급여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발효미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금류 사료 첨가제는 산란계에게 1일 1회 사료와 함께 급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발효미역 추출물은 산란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난각강도, 난황색, 및 신선도가 일반 계란과 비교해 우수할뿐더러 콜레스테롤의 함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발효미역 사료 첨가제를 1일 1회 사료와 함께 사료 총 중량의 0.1 내지 5%를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 사육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생산된 저콜레스테론 계란을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발효미역 추출물의 제조
시중에서 판매되는 완도상 건미역 완제품을 구입하여 그라인더로 분쇄한 다음 수돗물과 1 : 1의 비율(w/w)로 혼합하고, 24~26℃가 유지되는 상온에서 발효시켰다. 이때, 발효는 발효개시 시 pH 7.10인 것을 pH 5.22가 될 때 까지 자연발효 시켰으며, 발효가 완료되면 건조기(Dae han sceintific Co., 한국)를 이용하여 60℃에서 48시간 건조하였다.
수득된 건조물은 믹서(mixer; HM-2500, Hyun dae household appliances Co., Ltd., 한국)로 분쇄하여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발효 전의 일반미역과 상기 발효미역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항목 미역(발효 전) 발효미역
건물(%) 88.24 89.51
조단백질(%DM) 28.39 28.91
조지방(%DM) 0.52 1.39
조섬유(%DM) 5.86 7.84
조회분(%DM) 28.65 21.94
칼슘(%DM) 1.47 1.70
인(%DM) 0.36 0.38
칼로리(㎈/g) 3,957 4,774
실험예 1. 산란계에 대한 발효미역 추출물 급여 효과 확인
1-1. 공시동물
산란계에 대한 발효미역 추출물의 급여가 산란율 및 난중, 난질, 난각질, 계란의 지질특성 및 분변의 미생물 균총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60주령 Hy-Line 갈색 산란계 120수를 실험동물로 공시하여 각 처리구별 60수, 반복 당 10수씩을 산란율이 유사하도록 실험용 케이지에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1-2. 사료제조 및 급여
항생제 등 성장 촉진 인자를 첨가하지 않은 일반 무항생제 사료를 기초사료(control)로 하고, 기초사료의 옥수수와 대두박 일부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발효미역 추출물(1.0%)로 대체한 시험사료구의 2개 처리구로 구성하였으며, 각 처리구당 6반복으로 설계하였다.
이때, 사료는 옥수수와 대두박을 기초로 하여 질소보정진정대사에너지(TMEn)가 2,800 ㎉/㎏이고, 조단백질 함량이 18%가 되도록 배합하였으며, 실험사료 내 다른 영양소 함량은 NRC 요구량(Nutrient Requirement of Poultry(NRC), 9th ed.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1994)을 충족시키거나 상회하는 수준으로 배합하였다(표 2 참조).
또한, 공시 산란계는 3단 철제 케이지(수당 가로×세로×깊이: 23.5×40×35 ㎝)에서 사육하였으며, 실험사료는 1일 120g으로 제한 급이를 실시하고, 물은 자유 음식시켰으며, 점등은 전 실험기간(6주/42일) 동안 20시간 점등, 4시간 소등으로 고정하였다.
Figure pat00001
1-3. 조사항목 및 방법
(1) 산란율 및 난중의 변화
실험기간 동안 매일 오후 2시 30분에 수집한 정상란 개수와 연란, 파란 등을 합한 총 산란 개수를 사육수 수로 나누어 산란율을 구하였으며, 2주 간격으로 수집된 정상란의 무게를 측정하여 정상란 수로 나누어 평균 난중을 산출하였다.
또한, 일 산란량(egg mass)은 처리구별 산란율과 평균 난중의 곱으로 구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산란율에 있어서, 발효미역 1.0% 첨가 급여구에서 대조구(control)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사료급여 첫 주를 사료전환기로 보면, 2주부터 6주의 평균산란율은 대조구가 78.17±1.54%, 발효미역 1.0% 첨가 급여구 82.38±0.90%으로 발효미역 1.0% 첨가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평균 난중은 통계적인 유의차는 나타나지 아니하였으나, 대조구가 68.71±0.56g/egg, 발효미역 1.0% 첨가구가 69.50±0.85g/egg로 대조구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고, 일 산란량은 대조구가 53.42±1.81g/일/수, 발효미역 첨가구가 53.41±1.23g/일/수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Figure pat00002
(2) 난질 및 난각질
실험 사료 급여 후, 2주 단위로 생산된 계란을 반복구당 5개씩 수집하여 난각강도, 난각두께, 난황색 및 Haugh unit 등 난각질과 내부 난질 관련 항목을 조사하였다.
난각강도는 난각강도계(FHK 卵殼强度計, 富士平工業株式會社, Japan)를 이용하여 계란의 둔단부를 위로하고 수직으로 고정한 후 압력을 가해 파각되는 순간의 압력을 측정하였으며, 난각강도 측정 후 난각두께는 계란 중앙부의 난각 파편을 채취하여 난각 후도계(FHK Peacock, 富士平工業株式會社, Japan)를 통해 측정한 두께의 평균치로 하였다.
난백의 높이를 조사하여 난중을 대비한 신선도(Haugh unit)를 구하였으며(FHK, 富士平工業株式會社, Japan), 난황색은 로쉐 컬러팬(Roche Color fan)과 대조한 색도로서 표시하였다. 또한, 난각색은 색도를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해 난각색도계(QCM+TM, Technical Services and Supplies, Englan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augh unit = 100 log (H - 1.7W0.37 + 7.6)
(H: 농후 난백의 높이(㎜), W: 계란의 중량(g))
그 결과,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난각의 질을 나타내는 지표인 난각강도와 난각두께는 대조구와 발효미역 1.0% 첨가 급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난각강도는 대조구가 2.41±0.09㎏/㎠, 발효미역 1.0% 첨가 급여구가 2.36±0.07㎏/㎠로 대조구가 첨가구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난각두께는 대조구가 32.99±0.47㎜/100, 발효미역 1.0% 첨가 급여구가 32.21±0.47㎜/100로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난간색에서는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대조구가 22.63±0.40, 발효미역 1.0% 첨가 급여구가 24.03±0.59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난황색은 대조구가 7.32±0.06R.C.F.인데 반해, 발효미역 1.0% 첨가 급여구가 7.82±0.07R.C.F.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1), 계란의 신선도의 척도가 되는 Haugh unit에서도 대조구가 76.80±1.03, 발효미역 1.0% 첨가 급여구 80.51±1.23으로 대조구에 비해 발효미역 1.0% 첨가 급여구가 유의하게 높았다(P<0.05).
Figure pat00003
(3) 계란의 지질특성
가. 계란 내 지질함량
실험 종료 시 각 처리구에서 5개의 계란을 선별하여 난황 내 지질함량을 분석하기 위해, 계란 내 난황을 분리하여 분석 전까지 -20℃에서 냉동보관 후, Folch 등의 방법(Folch, J., M. Lees, and G. H. Sloane-Stanley, J. Biol. Chem., 226:497-509, 1957)을 응용하여 계란 내의 총 지질을 추출하였으며, 안 등의 방법(An, B. K., H. Nishiyama, K. Tanaka, S. Ohtani, T. Iwata, K. Tsutsumi, and M. Kasai, Poult. Sci., 76:689-695, 1997)에 따라 IATRO SCAN(MK-6 TLC/FID analyzer, Iatron Laboratories, Inc., Tokyo, Japan)으로 계란 내의 각 지질분획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① 총지질의 추출
계란 내의 지질추출은 Folch 등의 방법(Folch, J., M. Lees, and G. H. Sloane-Stanley, J. Biol. Chem., 226:497-509, 1957)에 기초하여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Folch 용액(클로로포름 : 메탄올 = 2 : 1, υv/υv) 10 ㎖에 난황 1g을 취하여 탈이온수로 10배 희석한 계란 시료 0.5 ㎖와 내부표준물질(0.1% cholesterol acetate in Folch solution) 1 ㎖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5분간 균질화한 다음 여과지(Whatman No. 541)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단백질 제거를 위해 탈이온수 1 ㎖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원심분리기(HA-1000-3, Hanil industry, Korea)에서 원심분리(25,500rpm×10분) 하고, 흡입기(aspirator)를 이용하여 상층부를 흡입, 제거하고 하층 기저부를 감압건조기로 완전히 건조시켰다. 방랭한 이후, Folch 용액 1 ㎖를 첨가하여 재용해한 다음 이를 추출액으로 사용하였다.
② 지질분획의 분리
상기 추출액을 마이크로스펜서(microdispenser)을 이용하여 Silica gelchromarod(CHROMAROD-SⅢ, Mitsubishi Kagaku, Iatron, Inc., Japan)에 1 ㎕ 스팟(spot)하고, 제1 전개용액(헥산 : 디에틸에테르 : 포름산 = 60 : 10 : 0.1 ㎖)이 들어있는 전개조 내에서 9 ㎝ 높이까지 1차 전개시키고, 60℃ 건조기에서 2분간 건조시켰다. 건조 후 제2 전개용액(벤젠 : 헥산 = 40 : 40 ㎖)이 들어있는 전개조 내에서 10 ㎝ 높이까지 2차 전개시킨 후 60℃ 건조기에서 다시 2분간 건조시켰다.
③ IATRON SCAN을 이용한 지질분획의 분석
상기 1, 2차 전개를 통해 분리된 각 지질분획은 IATRON SCAN을 이용하여 주석하였으며, 이때 분석조건을 하기 표 5와 같다.
분석조건
고정상 CHROMAROD-SⅢ
이동상 10㎖
1차; 헥산:디에틸에테르:포름산 60㎖:10㎖:0.1㎖
2차; 벤젠:헥산 40㎖:40㎖
수소 유입(Hydrogen flow) 160㎖/분
공기 유입(Air flow) 2,000㎖/분
스캔 속도(Scanning speed) 30초/scan
④ 각 지질분획의 정량
IATRON SCAN의 FID는 검출하는 물질에 따라 감도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정량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측정된 면적비 대 성분량의 상대적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각 실험 성분의 무게를 정확히 측정한 후, 혼합하고 이를 Folch 용액(클로로포름 : 메탄올 = 2 : 1, υv/υv) 1 ㎖로 용해시켰다. 이때, 사용한 표준혼합시료의 성분 농도는 표 6과 같으며, 표준혼합시료용액을 사용하여 상기의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크로마토그램을 얻었다.
실험성분과 내부표준물질의 첨두(peak) 면적비(Ax/As)를 통해 실험성분과 내부표준물질의 중량비(Wx/Ws)를 구하였으며, 아래의 식에 따라 계란 난황의 각 지질분획의 함량을 계산하였다.
계란 내 함량(㎎/g) = (Wx/Ws) × 내부표준물질(㎎)/시료(㎎) × 10
IATRON SCAN을 이용한 지질분획 분석을 위한 표준용액의 각 성분의 농도(단위: ㎎/㎖)
팔미트산 콜레스테롤 아세트산 콜레스테롤 트리팔미틴 콜레스테롤 L-3-포스파티일콜린 디팔미트산
No.1 12.00 1.0 7.50 2.00 12.50
No.2 6.00 1.0 3.75 1.00 6.25
No.3 3.00 1.0 1.88 0.50 3.13
No.4 1.50 1.0 0.94 0.25 1.57
No.5 0.75 1.0 0.47 0.13 0.79
또한, 하기 표 7은 발효미역를 1.0% 첨가 급여하였을 때 지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난황 내 지질분획 함량은 대조구와 발효미역 1.0% 첨가 급여구 간에 유의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콜레스테롤은 대조구가 8.09±0.44㎎/g, 발효미역 1.0% 첨가 급여구가 7.84±0.40㎎/g으로 나타나 대조구에 비해 발효미역 1.0% 첨가 급여구가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중성지질과 인지질을 발효미역 1.0% 첨가 급여구에 비해 대조구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Figure pat00004
(4) 분변의 미생물 균총 검사
실험 종료 후 각 반복별로 3수씩에서 수집한 분변(처리구별 18수, 총 36수)을 균총 검사 전까지 -20℃에서 보관하였다.
분변 1 g에 0.85% 살린 완충액(saline buffer) 9 ㎖를 첨구하여 혼합한 후, 10-1부터 10-6까지 각각의 비율로 희석하였으며, 총균, 유산균, E. Coli, Enterococcus sp., Staphylococcus aureusCitrobacter를 측정하기 위해, LB agar(Difco, BD science, USA), MRS agar(Difco, BD science, USA), Chromagar Orientation(Chromagar Microbiology, France) 및 Chromagar Salmonella(Chromagar Microbiology, France)를 사용하였다.
균총을 조사하기 위하여 LB agar 및 상기 세가지 선택배지 평판에 희석된 시료를 각각 100 ㎕씩 분주하여 도말한 후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균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총균수는 처리구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대조구에 비해 발효미역 1.0% 첨가 급여구가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유산균도 동일한 경향을 보였다.
반면, E. Coli는 발효미역 1.0% 첨가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였고, Enterococcus sp. 및 S. aureus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대조구가 첨가구에 비해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표 8 참조).
Figure pat00005
1-4. 통계분석
상기 모든 결과에 대한 통계분석은 Stastical Analysis System(SAS Institute, 2002)의 t-test procedure를 이용하여 처리간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이상,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건조미역을 분쇄한 다음 물과 동량으로 혼합하여 24~26℃의 상온에서 발효시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미역 추출물.
  2. 제 1항의 발효미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금류 사료 첨가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미역 추출물은 사료와 함께 사료 총 중량의 0.1 내지 5.0%를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4. 제 2항의 발효미역 추출물 사료 첨가제를 1일 1회 사료와 함께 사료 총 중량의 0.1 내지 5.0%를 산란계에게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 사육방법.
  5. 제 4항의 사육방법에 의해 생산된 저콜레스테롤 계란.
KR1020100016081A 2010-02-23 2010-02-23 발효미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금류 사료첨가제 KR201100967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081A KR20110096701A (ko) 2010-02-23 2010-02-23 발효미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금류 사료첨가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081A KR20110096701A (ko) 2010-02-23 2010-02-23 발효미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금류 사료첨가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701A true KR20110096701A (ko) 2011-08-31

Family

ID=44931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6081A KR20110096701A (ko) 2010-02-23 2010-02-23 발효미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금류 사료첨가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670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0267A (ko) 2013-12-31 2015-07-09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유카 추출물 및 탄수화물 분해효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류용 사료첨가제, 이를 이용한 사료 조성물 및 사육 방법
KR101833043B1 (ko) * 2016-11-30 2018-02-27 선 바이오 (주) 미역 발효물을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사료첨가제
CN111449165A (zh) * 2019-01-18 2020-07-28 乡海精炼株式会社 包含海藻的乳酸发酵混合物的饲料及其制造方法
KR102264841B1 (ko) * 2020-11-30 2021-06-15 주식회사 서현컴퍼니 천연 광물을 이용한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제조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0267A (ko) 2013-12-31 2015-07-09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유카 추출물 및 탄수화물 분해효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류용 사료첨가제, 이를 이용한 사료 조성물 및 사육 방법
KR101833043B1 (ko) * 2016-11-30 2018-02-27 선 바이오 (주) 미역 발효물을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사료첨가제
CN111449165A (zh) * 2019-01-18 2020-07-28 乡海精炼株式会社 包含海藻的乳酸发酵混合物的饲料及其制造方法
KR102264841B1 (ko) * 2020-11-30 2021-06-15 주식회사 서현컴퍼니 천연 광물을 이용한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anella et al. Microalgae of the genus Nannochloropsis: Chemical composition and functional implications for human nutrition
Sobczak et al. The effect of a probiotic preparation containing Bacillus subtilis ATCC PTA-6737 on egg production and physiological parameters of laying hens
Supamattaya et al. Effect of a Dunaliella extract on growth performance, health condition, immune response and disease resistance in black tiger shrimp (Penaeus monodon)
Ao et al. Effects of grape seed extract on performance, immunity, antioxidant capacity, and meat quality in Pekin ducks
KR100934252B1 (ko) 산삼배양근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사료
CA2648266A1 (en) Feed formulations containing docosahexaenoic acid
KR101255166B1 (ko) 천연물을 이용한 발효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얻은 닭고기와 오리고기
Vakili et al. Performance and egg quality of laying hens fed diets supplemented with herbal extracts and flaxseed.
Jeong et al. Effect of astaxanthin produced by Phaffia rhodozyma on growth performance, meat quality, and fecal noxious gas emission in broilers
Turcu et al. Grapeseed meal used as natural antioxidant in high fatty acid diets for Hubbard broilers
Ahmed et al. Improving the nutritional quality and shelf life of broiler meat by feeding diets supplemented with fermented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by-products
KR20110096701A (ko) 발효미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금류 사료첨가제
Kolluri et al. Effects of Spirulina (Arthrospira platensis) as a drinking water supplement during cyclical chronic heat stress on broiler chickens: Assessing algal composition, production, stress, health and immune-biochemical indices
Jiang et al. Moringa oleifera leaf improves meat quality by modulating intestinal microbes in white feather broilers
Kurve et al. The effect of feeding native warm season grasses in the stocker phase on the carcass quality, meat quality, and sensory attributes of beef loin steaks from grain-finished steers
JP2018509161A (ja) 生物活性動物用飼料中における古細菌、その組成物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前記組成物を用いる方法
KR101422062B1 (ko)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KR101600669B1 (ko) β-글루칸 및 케이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류의 육질 개선용 사료첨가제, 이를 이용한 사료 조성물 및 사육 방법
CN109077193B (zh) 裂壶藻及其制剂在提高蛋鸡产蛋率中的应用
KR20070060527A (ko) 산란계용 사료 조성물 및 올레산 함량과 항산화능이 강화된계란
Dai et al. Dietary inclusion effect of citrus peel by-product as an additive on the growth performance, body composition, and various stress resistance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compared to ethoxyquin
KR20120108821A (ko) 발효 대두펩타이드와 풀빅산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한 산란율을 증가 및 저 콜레스테롤 계란 생산 효능을 가진 조성물
Choudhary et al. Effect of different protein levels on growth and survival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fry
Kim et al. Performance, immunity, meat composition and fatty acid pattern in broilers after dietary supplementation of fermented Ginkgo biloba and Citrus junos
KR20110094871A (ko) 발효 매실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금류 사료첨가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