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841B1 - 천연 광물을 이용한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천연 광물을 이용한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841B1
KR102264841B1 KR1020200164028A KR20200164028A KR102264841B1 KR 102264841 B1 KR102264841 B1 KR 102264841B1 KR 1020200164028 A KR1020200164028 A KR 1020200164028A KR 20200164028 A KR20200164028 A KR 20200164028A KR 102264841 B1 KR102264841 B1 KR 102264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wagumo
control
aged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현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현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현컴퍼니
Priority to KR1020200164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8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4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nitrogen atom attache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by a single or double bond, this nitrogen atom not being a member of a derivative or of a thio analogue of a carboxylic group, e.g. amino-carboxylic acids
    • A01N37/46N-acyl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3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광물을 이용한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견운모 분말을 기능성 천연재료와 혼합하여 숙성시킴으로써 닭의 와구모를 방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닭 분뇨에 의한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는 천연 광물을 이용한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광물을 이용한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제조 방법은, 건조 미역 분말, 헛깨나무 및 헛깨나무 열매 분말, 함초 분말 및 액상 동물성 아미노산 용액을 혼합하여 숙성시키는 기능성 약액 숙성 단계와, 숙성된 기능성 약액을 여과한 여과액을 물로 희석시킨 용액에 천연 견운모 분말을 혼합한 반죽을 숙성 및 건조시켜 분말로 제조하는 숙성 견운모 분말 제조 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연 광물을 이용한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EPAIRING COMPOSITION FOR CONTROLLING POULTRY RED MITE AND DEODORIZING USING NATURAL MINERALS}
본 발명은 천연 광물을 이용한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견운모 분말을 기능성 천연재료와 혼합하여 숙성시킴으로써 닭의 와구모를 방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닭 분뇨에 의한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는 천연 광물을 이용한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닭에 기생하여 흡혈하며 증식하는 와구모(닭 진드기)는 감염 시 흡혈로 인한 불안, 스트레스, 빈혈, 쇠약, 깃털 탈락을 유발하며 폐사율이 1~4% 증가하며, 산란율은 10% 감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 세계적으로 와구모 예방과 차단 및 닭 분뇨의악취 제거를 위해 농약이나 식물 추출물을 통한 화학적 방법, 규조토 또는 실리카(이산화규소)를 이용한 물리적 방법, 진드기의 천적이나 장내 미생물을 이용하는 생물학적 방법 등과 같이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나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어, 규조토(Diatom)를 이용한 분말 제품은 건조제로서 건조에 의해 곤충을 죽이는 기전에 불과하고, 와구모 방제 약품은 닭에 직접 살포할 수 없으며, 계사에 살포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와구모 방제 약품은 가격이 비싸 농가의 사용이 저조하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61260호(2020.06.02, 와구모 퇴치를 위한 양계용 음용수를 이용한 양계 사육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99825호(2020.04.06, 천연물을 이용한 닭진드기(와구모) 구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0998호(2019.04.16, 경구용 닭 와구모 구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21417호(2018.03.05, 천연물을 이용한 닭진드기(와구모) 구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등 에는 천연물만을 재료로 하여 외구모를 방제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천연 재료를 이용하는 와구모 방제 기술은 여전히 화학 약제가 첨가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효과가 검증되지 않아 적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한편, 닭의 사육시 발생되는 분뇨에 심한 악취가 발생되는데, 기존의 제제는 와구모 방제만의 효과를 가질 뿐 악취 제거와 관련된 효과는 제시되어 있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61260호(2020.06.02) : 와구모 퇴치를 위한 양계용 음용수를 이용한 양계 사육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99825호(2020.04.06) : 천연물을 이용한 닭진드기(와구모) 구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0998호(2019.04.16) : 경구용 닭 와구모 구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21417호(2018.03.05) : 천연물을 이용한 닭진드기(와구모) 구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견운모 분말을 기능성 천연재료와 혼합하여 숙성시킴으로써 닭의 와구모를 방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닭 분뇨에 의한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는 천연 광물을 이용한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연 광물을 이용한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제조 방법은, 건조 미역 분말, 헛깨나무 및 헛깨나무 열매 분말, 함초 분말 및 액상 동물성 아미노산 용액을 혼합하여 숙성시키는 기능성 약액 숙성 단계와, 숙성된 기능성 약액을 여과한 여과액을 물로 희석시킨 용액에 천연 견운모 분말을 혼합한 반죽을 숙성 및 건조시켜 분말로 제조하는 숙성 견운모 분말 제조 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연 광물을 이용한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제조 방법은, 제조된 숙성 견운모 분말, 참숯 분말 및 천연 견운모 분말을 혼합하는 분말 제제 제조 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연 광물을 이용한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제조 방법은, 상기 기능성 약액 숙성 단계에서는 건조 미역 분말은 500g, 헛깨나무 및 헛깨나무 열매 분말은 1000g, 함초 분말은 1000g, 액상 동물성 아미노산 용액 20ℓ가 혼합되고, 상기 숙성 견운모 분말 제조 단계는 숙성된 기능성 약액 6ℓ에 물 4ℓ를 첨가하여 희석시키고, 천연 견운모 분말 20kg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연 광물을 이용한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제조 방법은, 상기 기능성 약액 숙성 단계에서는 건조 미역 분말은 500g, 헛깨나무 및 헛깨나무 열매 분말은 1000g, 함초 분말은 1000g, 액상 동물성 아미노산 용액 20ℓ가 혼합되고, 상기 숙성 견운모 분말 제조 단계는 숙성된 기능성 약액 6ℓ에 물 4ℓ를 첨가하여 희석시키고, 천연 견운모 분말 20kg가 혼합되며, 상기 분말 제제 제조 단계에서는 제조된 숙성 견운모 분말 10kg, 참숯 분말 2kg, 천연 견운모 분말 80kg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연 광물을 이용한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제조 방법은, 제조된 분말 제제를 물과 혼합시킨 혼합물을 중탕시키는 중탕 단계와, 중탕된 혼합물을 여과하여 액상의 와구모 방제 제제와 침전된 분상의 악취 저감 제제를 분리하는 여과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연 광물을 이용한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제조 방법은 견운모 분말을 기능성 천연재료와 혼합하여 숙성시킴으로써 닭의 와구모를 방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닭 분뇨에 의한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 광물을 이용한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2는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를 국소 또는 경구 노출 후 28일 경과한 간 조직 병리학적 소견(Bar = 200 μm)을 도시한 사진
도 3은 그룹별 주간 산란율을 추이를 정리한 그래프
도 4는 감염후 4주째 혈액에서 나타난 PCV(packed cell volume)를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4주후에 페트리 디쉬 당 카운팅한 와구모 수를 도시한 그래프
도 6은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을 투여하거나 투여하지 않은 경우의 진드기 감염 후 28일 경과 후 간과 신장 조직 병리학적 소견(Bar = 100 μm)을 도시한 그래프
이하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연 광물을 이용한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제조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 광물을 이용한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2는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를 국소 또는 경구 노출 후 28일 경과한 간 조직 병리학적 소견(Bar = 200 μm)을 도시한 사진이며, 도 3은 그룹별 주간 산란율을 추이를 정리한 그래프이고, 도 4는 감염후 4주째 혈액에서 나타난 PCV(packed cell volume)를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5는 4주후에 페트리 디쉬 당 카운팅한 와구모 수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6은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을 투여하거나 투여하지 않은 경우의 진드기 감염 후 28일 경과 후 간과 신장 조직 병리학적 소견(Bar = 100 μm)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천연 광물을 이용한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제조 방법은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제조를 위해 기능성 약액 숙성 단계(S10), 숙성 견운모 분말 제조 단계(S20) 및 분말 제제 제조 단계(S3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기능성 약액 숙성 단계(S10)는 건조 미역 분말, 헛깨나무 및 헛깨나무 열매 분말, 함초 분말 및 액상 동물성 아미노산 용액을 혼합하여 숙성시켜 기능성 약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숙성 견운모 분말 제조 단계(S20)는 숙성된 기능성 약액을 여과한 여과액을 물로 희석시킨 용액에 천연 견운모 분말을 혼합한 반죽을 숙성 및 건조시켜 분말로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분말 제제 제조 단계(S30)는 제조된 숙성 견운모 분말, 참숯 분말 및 천연 견운모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천연 광물을 이용한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제조 방법은 액상의 와구모 방제 제제와 분상의 악취 저감 제제의 제조를 위해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를 중탕시키는 중탕 단계(S41) 및 액상과 침전물을 분리하는 여과 단계(S41)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중탕 단계(S41)는 상기 과정에서 제조된 분말 제제를 물과 혼합시킨 혼합물을 중탕으로 가열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중탕 단계에(S41)에 의해 분말 제제 포함된 와구모 방제와 관련된 기능성 물질이 물에 의해 추출된다.
상기 여과 단계(S42)는 중탕된 혼합물을 여과하여 액상의 와구모 방제 제제와 침전된 분상의 악취 저감 제제를 분리하는 단계이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제조>
- 기능성 약액 숙성 단계(S10) : 건조 미역 분말, 헛깨나무 및 헛깨나무 열매 분말, 함초 분말 및 액상 동물성 아미노산 용액을 혼합한 다음 이 혼합물을 실온(27℃)의 음지에서 4개월간 숙성시킨다. 이때, 건조 미역 분말은 500g, 헛깨나무 및 헛깨나무 열매 분말은 1000g, 함초 분말은 1000g, 액상 동물성 아미노산 용액 20ℓ가 혼합된다. 상기 동물성 아미노산 용액으로는 (주)이마팜에서 생산된 '아미노산 액비'를 이용하였으며 전체 질량 대비 그 성분은 질소 2.45wt%, 인산 0.55wt%, 가리 0.29wt%, 조단백 15.31wt%, 수분 78.76wt% 및 기타 미세 성분이 포함된 성분비를 갖는다.
- 숙성 견운모 분말 제조 단계(S20) : 상기 기능성 약액 숙성 단계(S10)를 거치면서 숙성된 기능성 약액을 여과한 여과액을 물로 희석시킨 용액에 천연 견운모 분말을 혼합한 반죽을 35℃의 음지에서 건조시킨다. 이때 숙성된 기능성 약액 6ℓ에 물 4ℓ를 첨가하여 희석시키고, 천연 견운모 분말은 20kg이 혼합된다. 건조 과정에서 혼합 반죽은 숙성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며, 건조된 반죽은 250mesh의 분말로 분쇄된다.
- 분말 제제 제조 단계(S30) : 상기 숙성 견운모 분말 제조 단계(S30)에서 제조된 숙성 견운모 분말과 함께 참숯 분말 및 천연 견운모 분말을 혼합하여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효과를 갖는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를 제조한다. 이때, 제조된 숙성 견운모 분말은 10kg, 참숯 분말은 2kg, 천연 견운모 분말은 80kg이 혼합된다.
<실시예 2 : 액상의 와구모 방제 제제와 침전된 분상의 악취 저감 제제의 ㅈ제조>
- 중탕 단계(S41) : 상기 분말 제제 제조 단계(S30)에서 제조된 분말 제제를 물과 혼합시킨 다음 그 혼합물을 물로 중탕시켜 분말 제제에서 와구모 방제의 유효 성분을 추출한다.
- 여과 단계(S42) : 중탕시킨 혼합물을 여과하여 액상의 와구모 방제 제제와 침전된 분상의 악취 저감 제제를 분리한다.
<실시예 3 :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생체독성 평가 실험>
천연 광물인 견운모를 기반으로 하여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독성평가를 위해 살아있는 동물을 이용한 생체독성평가(in vivo test)를 시행하였다. 정확한 독성평가를 위해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처리 농도를 3가지로 나눠 각 5마리씩 3그룹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아래의 표 1은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처리를위한 실험 설계를 정리한 것이다.
그룹 닭 마리수 분말 살포 처리 식이 급여 처리
대조군(Control) 5 천연광물 노출 없음 천연광물 급여 없음
High dose(고) 5 천연광물을 닭과 사육장에 뿌림(1일 2회, 주 5일) 식이에 급여
(1/100로 희석)
Middle dose(중) 5 천연광물을 닭과 사육장에 뿌림(1일 2회, 주 5일) 식이에 급여
(1/1,000로 희석)
Low dose(저) 5 천연광물을 닭과 사육장에 뿌림(1일 2회, 주 5일) 식이에 급여
(1/10,000로 희석)
표 2는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 분말의 처리를 위한 실험을 정리한 것으로, 좌측 상단의 사진은 와구모 방제 처리를 위한 제제 분말 사진이고, 우측 상단은 설계된 함량에 따라 사료에 제제 분말을 혼합한 사진이며, 좌측 하단은 설계에 함량에 따라 제제 분말이 혼합된 사료를 급이한 그룹의 닭의 사진이며, 우측 하단은 무처리(대조군) 그룹의 닭의 사진이다.
Figure 112020128993288-pat00001
본 생체 독성 실험은 약 90 주령의 닭을 사용하였으며,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적용은 제제 분말의 외부 살포 및 식이에 급여로 적용하였으며, 살포는 1일 2회, 주 5일 적용하였고 식이 급여는 1일 1회, 주 7일 적용하였다.
실험 중 매일 이상 징후 및 임상 증상 관찰을 하였고, 지정된 시험기간 종료 후 닭은 다음날 부검을 실시하여, 육안 및 조직독성평가를 수행하였다.
표 3은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를 4주간 국소 또는 경구 투여 후 닭의 사망률을 정리한 것이고, 표 4는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를 4주간 국소 또는 경구 투여 후 닭의 임상 징후를 정리한 것이다. 표 3 및 표 4를 참조하면, 매일 이상 징후 및 임상증상 관찰을 실시한 바, 고농도(mineral-1, 1/200으로 희석)에서 한 마리 소양감 및 식욕결핍이 관찰되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즉,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를 1/200~ 1/5000까지 희석하여 4주간 처리하였을 때 임상증상에서는 특별한 이상 소견은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Figure 112020128993288-pat00002
Figure 112020128993288-pat00003
<실시예 4 :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 농도에 따른 육안 부검 소견 및 조직독성 평가>
육안 부검 소견 결과 고농도 중간 농도 저농도 간에 특별한 병변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간의 조직독성평가 결과 고농도 그룹에서 유의미한 독성변화가 관찰되었다. 이는 1/100 이상을 닭에 적용시키는 것은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신장의 경우도 간과 유사하게 고농도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직독성효과가 나타났으며, 폐와 간의 조직독성결과를 비교해 볼 때 저농도 및 중간 농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직독성 효과가 관찰되지는 않았다.
도 2는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를 국소 또는 경구 노출 후 28일 경과한 간 조직 병리학적 소견(Bar = 200 μm)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2에서 (a)는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 분말에 노출되지 않은 대조군에 관한 것으로 대조군 그룹의 간의 정상적인 구조를 가졌다. (b)는 고용량 그룹에 관한 것으로 중등도 미만성 간세포 변성이 파악되었고,, (c)는 중간 용량 그룹에 관한 것으로 유의한 병변이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d)는 저용량 그룹에 관한 것으로 심각한 병변이 없는 것으로 파되었다.
표 5는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를 적용한 유도된 간 조직 병리학 적 평가를 정리한 것으로, 고용량 그룹의 빨간색 문자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 p <005)를 갖는 부분을 표시한 것이다.
상기 조직독성 효과를 고려하여 중간 농도인 1/1000을 사용하여 다음 시험을 수행하였다.
Figure 112020128993288-pat00004
위의 시험에서 4주 동안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에 노출되었을 때, 노출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해 본 바 중간농도 및 저농도에서 아무런 독성효과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이는 식이 기준으로 봤을 때, 중간농도에 해당하는 1/1,1000은 유효 예상 농도의 5배 높은 농도에 해당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식이 기준 1/1000 희석이 식이로 공급되어도 안정하다고 생각하였으며, 향후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효과를 판정하기 위해 기존에 지정한 농도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5 :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와구모 (Dermanyssus gallinae) 방제능력 평가>
(1) 와구모(Dermanyssus gallinae) 의 배양
와구모는 현재 와구모에 중감염된 산란계 농가 3곳을 선별하여, 실험실에서 인공적으로 감염시킨 뒤 사용하였다. 사육조건은 온도 29℃도 습도 80%를 유지하여 약 4주간 배양시켰다. 실험실에서 사용된 와구모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와구모 트랩(plastic mite trap)을 사용하여, 와구모(닭 진드기)를 수확한 뒤 70% 알코올로 고정하였다. 카운팅을 위해 세균 계수기(petri-dish counter)를 사용하였으며, 그 사진은 아래의 표 6과 같다. 표 6을 참조하면, 와구모(닭 진드기, hicken red mite)는 다양한 시기에 관찰되었고, 알(Eggs), 유충(larva), 애벌레(nymph), 성충(adult) 등 다양한 형태로 관찰되었다. 닭에 기생하여 피를 빨아먹는 단계인 n애벌레(nymph)와 성충(adult)을 대상으로 카운팅을 하였으며, 한 개의 플라스틱 트랩에 있는 진드기 수는 약 1,120±121 마리에 해당하였다.
Figure 112020128993288-pat00005
배양된 와구모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표 7과 같이 실험군을 작성하였다.
Figure 112020128993288-pat00006
<실시예 6 : 혈액검사와 카운팅을 통한 와구모 방제 능력의 평가>
와구모를 감염시킨 뒤,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를 처리하였ㄷ다.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는 분말을 사육장에 뿌려 닭 피부에 노출되게 했으며 식이로도 공급하였다. 각 군과의 교차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별도의 사육공간에서 사육하였다. 4주 동안 임상증상, 사료섭취량, 산란율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혈액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및 다중비교검정(turkey’s multiple comparison test)를 통해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4주 후 부검을 실시하여 육안 및 조직학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4주간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임상증상이 관찰되는지 확인해 표 8<4 주간 모니터링된 임상 징후 목록>에 정리하였다.
Figure 112020128993288-pat00007
또한, 결과 분석을 위해 모든 개체에서 아래 기준으로 점수를 매겨 평균값을 측정하여 표 9로 정리하였다. 표 9에서 굵은 문자는 무감염 군과 진드기 감염군의 유의차를 의미하고, 빨간색 문자는 무처리 진드기 감염군과 처리군 진드기 감염 군의 유의한 차이(p <005)를 의미한다.
실험 결과, 와구모에 감염된 그룹에서는 감염 10일 째부터 시작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임상증상의 변화가 관찰되었다(p <005).
와구모에 감염되어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를 적용하지 않은 그룹은 약 2주째 미약한 빈혈, 탈수 및 체중감소가 관찰되었으며, 약 4주째에는 그 정도가 중등도로 심화되었으고, 와구모에 감염되어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를 적용한 그룹은 상대적으로 약하게 임상증상이 관찰되었다.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를 적용하지 않은 그룹과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는 2주째부터 나타났다(p<005).
다음으로 와구모 감염과 산란율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모든 그룹에서 매주 주간 산란율을 측정하였으며, 도 3은 그룹별 주간 산란율을 추이를 정리한 그래프이다. 도 3에서 검정색은 와구모에 감염되지 않은 그룹의 산란율이고, 파란색은 와구모에 감염되어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가 적용된 그룹의 산란율이며, 빨간색은 와구모에 감염되었으나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를 적용하지 않은 그룹의 산란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산란율을 측정한 결과 진드기를 감염시키지 않은 그룹(검정색 그래프)에서는 약 65%의 산란율이 지속적으로 나타났으며, 진드기를 감염시킨 후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를 처리하지 않은 그룹(빨간색 그래프)에서는 2주째부터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산란율 감소가 관찰되었다(p<005). 감염 4주째 와구모에 감염된 그룹과 안된 그룹은 약 22 %의 산란율 차이가 있는 것으로 관측됨
와구모를 감염시킨 후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를 처리한 그룹(파란색 그래프)에서는 산란율 감소가 다소 억제되었으며, 3주와 4주째에는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를 처리하지 않은 그룹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가 관찰되었다(p<005). 감염 4주째 두 그룹간의 산란율 차이는 약 14%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Figure 112020128993288-pat00008
<실시예 7 : 혈액검사와 와구모 카운팅을 통한 와구모 방제 능력의 평가>
4주 째 혈액에서 나타난 PCV(packed cell volume)은 도 4와 같다. 도 4에서 검정색은 와구모에 감염되지 않은 그룹의 PCV이고, 파란색은 와구모에 감염되어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가 적용된 그룹의 PCV이며, 빨간색은 와구모에 감염되었으나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를 적용하지 않은 그룹의 PCV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와구모를 감염시킨 후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를 처리하지 않은 그룹과 감염시키지 않은 그룹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PCV 수치 상에 차이가 있었다.
실제로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만 처리한 그룹에서는 약 86.6% (13/15)가 정상 혈액 수치 범위 내에 들어왔으며, 와구모를 처리하고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를 적용시키지 않을 때 약 33.3%(5/15)가 정상 범위 내로 확인되었다. 이는 와구모 감염 후 빈혈을 발생빈도가 증가했음을 의미한다.
진드기 감염 후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를 처리한 그룹과 아닌 그룹을 비교해 보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PCV 수치 차이가 있었다. 와구모 감염 후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를 처리했을 때 66.6% (10/15)가 정상 범위의 수치를 가지고 있었다. 이는 진드기 감염 후 약물을 처리할 경우 빈혈의 발생빈도가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를 처리할 경우 와구모로 인한 빈혈을 개선시키는데 효과와 진드기 숫자 관에 유의성을 판단하기 위해 와구모의 수를 카운팅하였다. 와구모 수를 카운팅하기 위해 동일 규격의 plastic mite trap을 각 실험 공간 10군데에 설치하였고, 와구모는 고정하여 페트리 디쉬에서 카운팅을 실시하였다. 표 10은 페트리 디시에서 50배 확대 현미경을 이용하여 와구모 수를 카운팅한 상태를 도시한 사진이다. 살아있는 애벌레와 성충을 무작위로 선택된 지역을 선택하여 카운팅하였다.
Figure 112020128993288-pat00009
도 5는 4주후에 페트리 디쉬 당 카운팅한 와구모 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카운팅 결과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를 처리한 각 그룹(도 5에서 Mineral 부분)에서는 0개 측정되었고, 와구모에 감염되었으나 처리하지 않은 그룹(도 5에서 Mite + no Tx 부분)서는 1036 ± 335 개의 와구모가 측정되었으며, 와구모에 감염되고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가 처리된 그룹(도 5에서 Mite + mineral)에서는 742 ± 381 개의 진드기가 측정되었다.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및 다중비교검정(turkey’s multiple comparison test)를 이용해 통계학적 분석 결과, Mineral 그룹과 Mite + No Tx 그룹 사이에 통계학적 유의성이 관찰되었고(P < 0001), Mite + Mineral 그룹간에 통계학적 유의성이 관찰되었다(P < 005).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를 이용한 경우 와구모의 수를 줄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8 : 부검 및 조직병리검사를 통한 와구모 방제 능력의 평가>
4 주째 되는 날 부검을 실시하였으며, 도 6은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을 투여하거나 투여하지 않은 경우의 진드기 감염 후 28일 경과 후 간과 신장 조직 병리학적 소견(Bar = 100 μm)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에서 (a)는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에 노출되지 않은 정상적인 간 구조(대조군)에 관한 것이고, (b)는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에 노출되지 않은 정상적인 신장 구조(대조군)에 관한 것이며, (c)는 와구모에 감염되었으나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를 처리하지 않은 간 조직에 관한 것으로, 미만성 지방증 및 중등도 미만성 간세포 변성이 발견되고, (d) 와구모에 감염되었으나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를 처리하지 않은 간 조직에 관한 것으로, 다발성 국소 관상 괴사 및 중등도 사구체 신염이 발견된 것이며, (e)는 와구모에 감염되어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를 처리한 간 조직에 관한 것으로, 경증 간 지질 증 및 경증 간세포 변성이 발견된 것이다.
부검 결과,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만을 처리한 그룹에서는 특이한 이상소견은 관찰되지 않았고, 와구모를 감염시킨 그룹에서는 중등도의 지방간이 관찰되었으며, 비장이 위축되어 있었다. 또한, 좌측 및 우측 신장에는 다발성 괴사소가 관찰되었다.
와구모 감염과 함께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를 처리한 그룹에서는 이러한 병변이 완화된 것으로 관찰되었으고, 미약한 수준의 지방간이 관찰되었으며, 비장 및 신장에서 유의미한 이상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조직검사 결과,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만 처치한 그룹에서 특이한 병변은 관찰되지 않았고, 와구모를 감염시킨 그룹에서는 심한 지방간이 관찰되었으며, 신장에서는 다발성 세뇨관 괴사가 관찰되었다.
와구모 감염과 함께 분상의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를 처리한 그룹에서는 이러한 병변이 완화된 것으로 관찰되었으고, 미약한 수준의 지방간이 관찰되었으며, 신장에서도 미약한 수준의 세뇨관 괴사가 관찰되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천연 광물을 이용한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건조 미역 분말, 헛깨나무 및 헛깨나무 열매 분말, 함초 분말 및 액상 동물성 아미노산 용액을 혼합하여 숙성시키는 기능성 약액 숙성 단계와,
    숙성된 기능성 약액을 여과한 여과액을 물로 희석시킨 용액에 천연 견운모 분말을 혼합한 반죽을 숙성 및 건조시켜 분말로 제조하는 숙성 견운모 분말 제조 단계가 포함되되,
    상기 기능성 약액 숙성 단계에서는 건조 미역 분말은 500g, 헛깨나무 및 헛깨나무 열매 분말은 1000g, 함초 분말은 1000g, 액상 동물성 아미노산 용액 20ℓ가 혼합되고,
    상기 숙성 견운모 분말 제조 단계는 숙성된 기능성 약액 6ℓ에 물 4ℓ를 첨가하여 희석시키고, 천연 견운모 분말 20kg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광물을 이용한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조된 숙성 견운모 분말, 참숯 분말 및 천연 견운모 분말을 혼합하는 분말 제제 제조 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광물을 이용한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제조 방법.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약액 숙성 단계에서는 건조 미역 분말은 500g, 헛깨나무 및 헛깨나무 열매 분말은 1000g, 함초 분말은 1000g, 액상 동물성 아미노산 용액 20ℓ가 혼합되고,
    상기 숙성 견운모 분말 제조 단계는 숙성된 기능성 약액 6ℓ에 물 4ℓ를 첨가하여 희석시키고, 천연 견운모 분말 20kg가 혼합되며,
    상기 분말 제제 제조 단계에서는 제조된 숙성 견운모 분말 10kg, 참숯 분말 2kg, 천연 견운모 분말 80kg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광물을 이용한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제조 방법.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제조된 분말 제제를 물과 혼합시킨 혼합물을 중탕시키는 중탕 단계와,
    중탕된 혼합물을 여과하여 액상의 와구모 방제 제제와 침전된 분상의 악취 저감 제제를 분리하는 여과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광물을 이용한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제조 방법.
KR1020200164028A 2020-11-30 2020-11-30 천연 광물을 이용한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제조 방법 KR102264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028A KR102264841B1 (ko) 2020-11-30 2020-11-30 천연 광물을 이용한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028A KR102264841B1 (ko) 2020-11-30 2020-11-30 천연 광물을 이용한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841B1 true KR102264841B1 (ko) 2021-06-15

Family

ID=76412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028A KR102264841B1 (ko) 2020-11-30 2020-11-30 천연 광물을 이용한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841B1 (ko)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6577A (ko) * 2006-03-27 2007-10-02 권칠규 숯의 효능을 부가한 식품첨가제
KR100935020B1 (ko) * 2009-01-30 2010-01-06 한명규 도축 동물의 폐혈액 처리 시스템 및 도축 동물의 폐혈액을 이용하여 고품질의 아미노산 용액을 생산하는 방법
KR20100037378A (ko) * 2008-10-01 2010-04-09 경기도 김포시 함초발효액, 이를 이용한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05529A (ko) * 2010-09-08 2010-09-29 삼영이노텍주식회사 천연 미네랄 함유 기능성 분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096701A (ko) * 2010-02-23 2011-08-31 (주)바이어드 발효미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금류 사료첨가제
KR20150092403A (ko) * 2014-02-03 2015-08-13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기능성 천연광물 사료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21417A (ko) 2016-08-22 2018-03-05 주식회사 고려비엔피 천연물을 이용한 닭진드기(와구모) 구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04406B1 (ko) * 2018-06-11 2018-10-04 스트림바이오 주식회사 닭진드기 방제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닭진드기를 방제하는 방법
KR101970998B1 (ko) 2017-09-07 2019-04-22 (주)이엘티사이언스 경구용 닭 와구모 구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00006315A (ko) * 2018-07-10 2020-01-20 농업회사법인 마리아의마음 주식회사 가축용 천연항균성 스마트밀 조성물
KR102099825B1 (ko) 2018-02-19 2020-04-10 주식회사 고려비엔피 천연물을 이용한 닭진드기(와구모) 구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57581A (ko) * 2019-02-14 2020-05-26 주식회사 바이오에이엠 악취 억제를 위한 사료첨가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61260A (ko) 2018-11-23 2020-06-02 권예주 와구모 퇴치를 위한 양계용 음용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양계용 음용수를 이용한 양계 사육방법
KR20200094979A (ko) *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네이쳐프렌들리 반려동물 사료배합용 소취첨가제와 이를 함유한 반려동물 소취용 시리얼 조성물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6577A (ko) * 2006-03-27 2007-10-02 권칠규 숯의 효능을 부가한 식품첨가제
KR20100037378A (ko) * 2008-10-01 2010-04-09 경기도 김포시 함초발효액, 이를 이용한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935020B1 (ko) * 2009-01-30 2010-01-06 한명규 도축 동물의 폐혈액 처리 시스템 및 도축 동물의 폐혈액을 이용하여 고품질의 아미노산 용액을 생산하는 방법
KR20110096701A (ko) * 2010-02-23 2011-08-31 (주)바이어드 발효미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금류 사료첨가제
KR20100105529A (ko) * 2010-09-08 2010-09-29 삼영이노텍주식회사 천연 미네랄 함유 기능성 분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092403A (ko) * 2014-02-03 2015-08-13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기능성 천연광물 사료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21417A (ko) 2016-08-22 2018-03-05 주식회사 고려비엔피 천연물을 이용한 닭진드기(와구모) 구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70998B1 (ko) 2017-09-07 2019-04-22 (주)이엘티사이언스 경구용 닭 와구모 구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99825B1 (ko) 2018-02-19 2020-04-10 주식회사 고려비엔피 천연물을 이용한 닭진드기(와구모) 구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04406B1 (ko) * 2018-06-11 2018-10-04 스트림바이오 주식회사 닭진드기 방제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닭진드기를 방제하는 방법
KR20200006315A (ko) * 2018-07-10 2020-01-20 농업회사법인 마리아의마음 주식회사 가축용 천연항균성 스마트밀 조성물
KR20200061260A (ko) 2018-11-23 2020-06-02 권예주 와구모 퇴치를 위한 양계용 음용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양계용 음용수를 이용한 양계 사육방법
KR20200094979A (ko) *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네이쳐프렌들리 반려동물 사료배합용 소취첨가제와 이를 함유한 반려동물 소취용 시리얼 조성물
KR20200057581A (ko) * 2019-02-14 2020-05-26 주식회사 바이오에이엠 악취 억제를 위한 사료첨가제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7982B1 (ko) 천연식물추출물을 이용한 닭진드기 살비제 조성물
US20230108295A1 (en) Supplemented fish feed
CN101147498A (zh) 一种植物源杀虫剂
TR201722959A2 (tr) Bi̇tki̇sel ekstreler i̇çeren kati oral formülasyonlar
KR102264841B1 (ko) 천연 광물을 이용한 와구모 방제 및 악취 저감 제제의 제조 방법
KR102099825B1 (ko) 천연물을 이용한 닭진드기(와구모) 구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495420B (zh) 一种用于防治家禽红螨的方法
EP3443974B1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ity of insects and method thereof
CN112755130B (zh) 防控家蚕白僵病的组合物及其制备和应用
CN109833296A (zh) 可防控新勋恙螨病的植物精油微乳制剂及其制备方法
CN106692171B (zh) 宠物用复方赛拉菌素外用滴剂及其方法和应用
JP5320507B2 (ja) 魚の寄生虫の体内侵入を治療するためのカユプテおよびベイラム抽出物の使用
KR101470477B1 (ko) 모기 기피용 조성물
DE19917836A1 (de) Konservierungsmittel auf Citrusfruchtbasis und/oder Flavonoidbasis
KR101288541B1 (ko) 아세토페논 유도체를 포함하는 살비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진드기 살비제
DE102006032233A1 (de) Eukalyptol und Menthol enthaltende Zubereitung
KR102149424B1 (ko) 닭진드기에 대한 방제제 조성물
KR20130142588A (ko) 살충성 정유 및(또는) 식물첨가물을 함유한 살충성 조성물
CN106719881A (zh) 一种基于四味中草药的驱蚊液制备方法
CN109999014A (zh) 一种可防控新勋恙螨病的植物精油及其制备方法
CN108042558B (zh) 水产养殖用阿维菌素制剂及其制备方法
KR102096721B1 (ko) 옥살산을 이용한 저독성의 친환경 닭 진드기 방제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96720B1 (ko) 개미산을 이용한 저독성의 친환경 닭 진드기 방제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51942B1 (ko) 양봉용 면역증강제 조성물
KR102477969B1 (ko) 어류 기생충 구제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