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7982B1 - 천연식물추출물을 이용한 닭진드기 살비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식물추출물을 이용한 닭진드기 살비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7982B1
KR101827982B1 KR1020160074410A KR20160074410A KR101827982B1 KR 101827982 B1 KR101827982 B1 KR 101827982B1 KR 1020160074410 A KR1020160074410 A KR 1020160074410A KR 20160074410 A KR20160074410 A KR 20160074410A KR 101827982 B1 KR101827982 B1 KR 101827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oil
extract
chicken
ginkgo bilob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1409A (ko
Inventor
최창원
구정모
오성
지성미
노한별
Original Assignee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74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7982B1/ko
Publication of KR20170141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98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6Meliaceae [Chinaberry or Mahogany family], e.g. mahogany, langsat or ne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haracterised by the surfact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6Coniferophyta [gymnosperms], e.g.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0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e.g. pea, lentil, soybean, clover, acacia, honey locust, derris or millett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4Lauraceae [Laurel family], e.g. laurel, avocado, sassafras, cinnamon or camph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10Insect repellent
    • Y10S514/919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Zo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살비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님 오일 및 은행잎 냉수 추출물의 혼합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닭진드기 살비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님 오일 및 은행잎 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살비제 조성물은 천연 추출물을 단독으로 살포하는 때에 비해 증가된 살비효과를 나타내며, 천연 추출물의 살비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계면활성제, 식물성 오일 및 산화방지제 조성을 최적 조건으로 포함하므로, 유기화학제를 배제하고 천연추출물 성분으로 닭진드기에 대한 방제가 가능하여,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이다.

Description

천연식물추출물을 이용한 닭진드기 살비제 조성물{Red mite acaricidal composition having natural plant extracts}
본 발명은 천연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살비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님 오일 및 은행잎 냉수 추출물의 혼합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닭진드기 살비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시스템화 된 계사구조의 도입에 따라 일상관리가 기계화되었고 또한, 계사내부의 온도 및 습도 환경은 연간 일정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배경으로 닭진드기(Dermanyssus gallinae)의 증식이 계절에 상관없이 증식하거나 닭진드기 기생에 의한 산란계의 피해가 증대하고 있다. 더욱이 약제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닭진드기의 출현이나 예외적인 사용허가약품에 의해서는 방제가 곤란한 상황이다.
닭진드기는 응애목, 중기문아목의 진드기과에 속하는 외부기생충으로, 조류에 기생하여 흡혈한다. 진드기가 닭에 기생하여 흡혈하는 것은 주로 야간으로, 낮 동안은 그늘진 부분이나 틈새에 몸을 숨기고 있어 발견하기 어렵고, 알아차렸을 때에는 이미 다량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부화 후 어린 진드기는 체장 0.5mm 정도이고 다리가 3쌍이다. 성충 진드기는 체장 1 mm에 다리 4쌍이다. 성충 진드기는 흡혈 직후 포혈기에는 1 mm를 넘는 경우도 있어 혈액에 의해 검은 적색의 외관을 보인다. 한 마리당 흡혈량은 극미량이지만 대량 발생한 농장에서는 닭이 빈혈로 폐사하는 경우도 있다.
닭진드기는 알에서 부화 후 유충 진드기가 되며 흡혈 과정 없이 제1 어린 진드기가 된다. 제1 어린 진드기는 흡혈 후 24시간 이내 제2 어린 진드기가 되며, 그 후 더욱 흡혈하여 성숙한 진드기가 된다. 알에서 약 9일 정도면 성숙한 진드기가 되어 흡혈 및 산란을 반복한다.
닭진드기에 의한 대표적인 피해는 흡혈에 의한 빈혈이나 폐사, 스트레스에 의한 산란율 저하, 그 밖에 다른 진드기 배설물이나 흡혈한 진드기가 터져서 생기는 오염란의 발생이다. 또한 닭진드기 기생에 의해서 백신 접종에 대한 면역 반응의 저하도 보고되고 있다. 국내 양계장을 대상으로 한 닭진드기 피해에 대한 설문지 조사에서 오염란의 발생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산란 저하, 빈혈 및 원기소실, 폐사 등의 순서로 이러한 합계는 56%였다. 또한 불쾌감이나 알러지 등, 작업자에게 영향을 주는 회답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다.
또한 닭진드기는 흡혈에 의해서 다양한 세균 및 바이러스 감염증이 매개되는 경우도 빈번하다. 개도국에서는 살모넬라 감염증, 돈단독 감염증 등 복수의 감염증에 닭진드기의 관여된다고 보고되었다. 닭진드기 체내에서 증식된 살모넬라균이 계란을 통하여 다음 세대로 전파가 나타나고 있다. 일본에서도 닭진드기 오염계사에서의 계두 발생이 확인되었고, 해당 계사에서 채취된 닭진드기로부터 계두 바이러스가 검출되었다. 계두 발생 닭에게는 계두 백신접종 이력이 있어, 닭진드기 기생에 의한 스트레스 등이 면역계에 어떠한 영향을 줄 가능성도 있다고 예측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닭진드기의 방제에 사용되는 약제로는 피레트로이드(pyrethroid)계, 카바메이트(carbamate)계, 유기인계 농약(organophosphorus)계가 대표적이며, 최근 페닐피라조에(phenylpyrazoe)계의 피프로닐(fipronil)도 사용되고 있다. 국내 동물약품회사에서는 포름산(formic acid) 및 2-tert-butyl-5-(4-tert-butylbenzylthio)-4-chloropyridazin-3(2H)-one 가 함유된 "와구프리"라는 제품을 출시하였지만, 내성으로 인해서 Bifenthrin(2-methyl[1,1'-biphenyl]-3-yl-methyl3-(2-chloro-3,3,3-trifluoro-1-propenyl2 및 2-dimethylcyclopropanecarboxylate가 함유된 "와구프리블루"라는 제품을 출시하였다. 한편, 일부 산란계 농장에서는 음성적으로 농업용 화학유기농약인 살충제를 무분별하게 사용하고 있다. 국외에서는 식물오일성분을 이용하여 훈증법으로 방제하고 있으며, 국내와 마찬가지로 화학 살비제를 사용하고 있다. 즉, 닭진드기를 위해서 현재 화학제를 사용하거나 음성적으로 농작물의 해충을 억제하는 유기합성농약 살충제를 대체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농장에서 생산되는 축산물에 유해 화학물질 또는 농약 성분이 잔류할 수 있으므로 이를 섭취하는 국민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축산 농가에서 보다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닭진드기를 살비하기 위한 살비제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님(Neem, Azadirachta indica) 오일, 고삼(Sophora flavescens) 추출물, 계피(Cinnamomum verum) 추출물 및 은행(Ginkgo biloba) 추출물이 닭진드기에 대한 살비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며, 님 오일과 은행잎 냉수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액을 살포하였을 때 닭진드기에 대한 살비 활성이 증진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님 오일과 은행잎 냉수 추출물을 살비제 조성물로서 사용하는데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계면활성제, 식물성 오일 및 산화방지제 조성을 선별하여 최적 조건을 선별함으로써, 본 발명의 살비제 조성물이 닭진드기에 대한 살비제 조성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님 오일과 은행잎 냉수 추출물을 살비제 조성물로서 사용하는데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계면활성제, 식물성 오일 및 산화방지제 조성을 선별하여 최적 조건을 선별함으로써, 본 발명의 살비제 조성물이 닭진드기에 대한 살비제 조성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화합물을 배제하고 천연 식물 유래의 추출물을 사용한 살비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님(Neem, Azadirachta indica) 오일, 고삼(Sophora flavescens) 추출물, 계피(Cinnamomum verum) 추출물 및 은행(Ginkgo biloba)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비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님 오일 및 은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비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 또는 메탄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은행 추출물은 은행잎을 냉수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님 오일 및 은행 추출물은 각각 30 내지 70%(v/v) 중량부 및 15 내지 50%(v/v)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살비제 조성물은 메틸 올레이트(Methyl oleate), 2-도데콕시에탄올(2-dodecoxyethanol), 폴리옥시에틸렌 모노올레이트(Polyoxyethylene monooleate) 또는 트윈80(Tween 80) 중 어느 하나의 계면활성제를 2 내지 10%(v/v) 농도로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살비제 조성물은 채종유, 피마자유, 옥수수유 또는 식용유 중 어느 하나의 식물성 오일을 3 내지 10%(v/v) 농도로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살비제 조성물은 에톡시퀸(ethoxyquin), BHA(buylated hydroxyannisole) 또는 BHT(buylated hydroxytoluene) 중 어느 하나의 산화방지제를 50 내지 100 ppm의 농도로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살비제는 집먼지진드기, 털진드기, 닭진드기 및 귀진드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살비제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천연식물추출물인 님 오일 및 은행잎 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닭진드기 살비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님 오일 및 은행잎 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살비제 조성물은 천연 추출물을 단독으로 살포하는 때에 비해 증가된 살비효과를 나타내며, 천연 추출물의 살비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계면활성제, 식물성 오일 및 산화방지제 조성을 최적 조건으로 포함하므로, 유기화학제를 배제하고 천연추출물 성분으로 닭진드기에 대한 방제가 가능하여,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이다.
도 1은 식물 추출물의 단독 투여에 의한 닭진드기 살비 효과의 확인을 나타낸다.
도 2는 식물 추출물의 혼합 투여에 의한 닭진드기 살비 효과의 확인을 나타낸다.
도 3은 님 오일 및 은행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닭진드기 살비제 조성물의 살비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닭진드기를 살비하기 위한 종래 방법에서는 현재 화학제를 사용하거나 음성적으로 농작물의 해충을 억제하는 유기합성농약 살충제를 대체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농장에서 생산되는 축산물에 유해 화학물질 또는 농약 성분이 잔류할 수 있으므로 이를 섭취하는 국민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살비제 조성물은 천연 추출물을 단독으로 살포하는 때에 비해 증가된 살비효과를 나타내며, 천연 추출물의 살비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계면활성제, 식물성 오일 및 산화방지제 조성을 최적 조건으로 포함하므로, 유기화학제를 배제하고 천연추출물 성분으로 닭진드기에 대한 방제가 가능하여,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님(Neem, Azadirachta indica) 오일, 고삼(Sophora flavescens) 추출물, 계피(Cinnamomum verum) 추출물 및 은행(Ginkgo biloba)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비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님 오일 및 은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비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 메탄올 또는 부탄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식물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한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고삼, 은행 또는 계피는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은행은 은행나무 잎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식물 추출물의 추출 방법으로는 여과법,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냉각 추출 및 초음파추출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살비제 조성물”은 님 오일 및 은행잎 물 추출물의 혼합액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님 오일은 30 내지 70%(v/v) 농도로 포함되고 은행잎 물 추출물은 15 내지 50%(v/v) 농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살비제 조성물”은 지용성 성분인 님 오일 및 수용성 성분인 은행잎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므로, 수층과 오일층의 혼합을 위해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계면활성제는 메틸 올레이트(Methyl oleate), 2-도데콕시에탄올(2-dodecoxyethanol), 폴리옥시에틸렌 모노올레이트(Polyoxyethylene monooleate) 또는 트윈80(Tween 80)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계면활성제는 트윈8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적이면서 본 발명의 살비제 조성물의 안정화 및 사용상의 편리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당업계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라면 어떤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2 내지 10%(v/v) 농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7.5 내지 10%(v/v) 농도로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층과 오일층을 혼합하였을때 유화성을 지속시킬 수 있는 정도의 농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계면활성제가 2%(v/v)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수층과 오일층의 유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10%(v/v) 초과의 농도로 포함되는 경우 인체 또는 살포 대상 가축에게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효과적이지 않다.
본 발명의 “살비제 조성물”은 오일 층을 포함하므로 닭을 포함하는 대상 가축에게 살포시, 물 표면에 퍼져 가축 표면에 효과적으로 살포되도록 하는 수면 전개 양상을 증가시키고 이를 통해 살비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식물성 오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물성 오일은 채종유, 피마자유, 옥수수유 또는 식용유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식용유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저렴하고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식물성 오일로서 살비제 조성물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당업계에 알려진 것이라면 어떤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식물성 오일은 3 내지 10%(v/v) 농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3 내지 5%(v/v) 농도로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살비제 조성물의 물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농도를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살비제 조성물”에 포함된 오일 층이 살비제로서 살포되어 공기 중에 노출된 후, 물리화학적 안정성 및 지속적인 살충 효과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오일 층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는 산화 방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비제 조성물은 에톡시퀸(ethoxyquin), BHA(buylated hydroxyannisole) 또는 BHT(buylated hydroxytoluene)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에톡시퀸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산화 방지제는 50 내지 100 ppm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60 내지 80 ppm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살비제 조성물에 산화방지제가 50 ppm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수면 전개 양상이 바람직하게 나타나지 않아 효과적이지 않고, 100 ppm 초과의 농도로 첨가되어도 수면 전개 양상이 증진되지 않으므로 경제적이지 않다.
본 발명의 “살비제 조성물”은 집먼지진드기, 털진드기, 닭진드기 및 귀진드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살비제인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닭진드기 제어용 살비제 조성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살비제 조성물로서 사용하기 위해 살충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식물의 추출물을 구입 및 제조하였고, 님 오일, 고삼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을 구입 또는 제조하여 닭진드기에 대한 살비 효과를 확인한 결과, 각각의 추출물이 닭진드기에 대하여 살비효과를 나타내나(표 1 및 도 1), 님 오일 및 은행잎 물 추출물을 60:40(v/v)로 혼합하였을 때 닭진드기에 대해 살비 효과가 단독 추출물을 살포하는 경우보다 증가된 수준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2 및 도 2).
또한, 본 발명자들은 님 오일 및 은행잎 물 추출물의 혼합액을 살비제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함에 있어서, 살비 효과를 증진시키고자 계면활성제 및 보조제 성분을 선별하고 최적 농도를 확인한 결과, 2.5% 트윈 80, 4% 식용유 및 75 ppm 에톡시퀸을 포함하는 경우 살비제의 수층 및 오일층의 혼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유화성이 증진되며 수면 전개 양상이 가장 양호한 것을 확인하였다(표 3 및 표 4).
또한, 본 발명자들은 님 오일 및 은행잎 물 추출물의 혼합액과 보조제 성분을 혼합하여 시작품을 제작하고(표 5), 이의 살비 효과를 확인한 결과, 1/100 내지 1/250 이내의 희석배율로 적용하는 경우 닭진드기에 대한 살비 활성이 유의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6 및 도 3).
따라서, 본 발명의 님 오일 및 은행잎 물 추출물의 혼합액은 천연 추출물을 단독으로 살포하는 때에 비해 닭진드기에 대해 증가된 살비효과를 나타내며, 천연 추출물의 살비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계면활성제, 식물성 오일 및 산화방지제 조성을 최적 조건으로 포함하므로, 유기화학제를 배제하고 천연추출물 성분으로 닭진드기에 대한 방제가 가능하여,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식물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에서 살비제 조성물로서 사용하기 위해 살충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식물의 추출물을 구입 및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님(Neem, Azadirachta indica) 추출물 및 고삼(Sophora flavescens) 추출물은 상용화된 원료를 사용하였다. 계피(Cinnamomum verum) 및 은행잎(Gingko)은 물, 50% 에탄올 수용액 또는 100%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계피의 경우, 계피껍질을 절편하여 계피 25 g를 물, 50% 에탄올 수용액 또는 100% 에탄올의 추출용매 75 ㎖에 침지하여 7 일 동안 실온에서 추출하였다. 은행잎은 분쇄기에 넣어 분쇄한 후 수거하여 추출용기에 은행잎 40g을, 추출 용매 200 ㎖에 침지하여 7 일간 실온에서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거름망으로 찌꺼기를 제거하였고, 추가적으로 윈심분리하여 상등액을 회수하여 식물 추출물로서 수득하였다. 최종적으로 추출된 추출물은 살비 테스트하기 전까지 냉장보관하였다.
식물 추출물의 살비 효과 확인
<2-1> 식물 추출물의 단독 투여에 의한 닭진드기 살비 효과 확인
식물 추출물이 닭진드기에 대해서 나타내는 살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닭진드기에 식물 추출물을 살포하여 닭진드기의 사멸 정도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산란계 농장에서 닭진드기를 대량 채집하여, 실험 전까지 온도 30℃, 상대습도 60%, 암 조건에서 개체수를 유지시켰다. 그런 다음, 넓이가 63.5cm2인 플랜트 배양 플레이트(plant culture plate)에 멸균된 여과지(filter paper)를 깔고 진드기가 호흡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 뚜껑에 천공하고 미세메쉬로 마감하여 배양 플레이트를 준비하였다. 준비한 플레이트에 상기 개체수를 유지시킨 닭진드기를 각각 100 마리씩 분리하였다. 분리 후, 상기 <실시예 1>에서 구입 또는 제조한 식물 추출물을 1/100 농도로 희석하고 분무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플레이트에 2 ㎖씩 균일하게 살포하였다. 살포 24 시간 후, 가는 침으로 진드기를 건드려 움직임이 없는 개체를 죽은 진드기로 간주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는 물을 살포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는 100% 에탄올을 사포하였으며, 살비테스트는 3회 반복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 및 도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님 오일이 닭진드에 대한 살비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표 1 및 도 1).
식물 추출물의 단독 투여에 의한 닭진드기 살비 효과 확인
식물 추출물 평균 치사율(%)
음성 대조군 9.6
양성 대조군 11.6
님 오일 74.3
고삼 추출물 42.3

은행잎
물 추출물 60.3
5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39.5
100% 에탄올 추출물 55.3

계피
물 추출물 52.3
5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34.7
100% 에탄올 추출물 49.3
<2-2> 식물 추출물의 혼합 투여에 의한 닭진드기 살비 효과 확인
각각의 식물 추출물이 닭진드기에 대해서 살비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므로, 평균 치사율 50% 이상을 나타내는 추출물을 혼합하여 닭진드기에 식물 추출물을 살포해 닭진드기의 사멸 정도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님 오일 60%을 기본으로 하고, 은행잎 물 추출물, 은행물 100% 에탄올 추출물 또는 계피 물 추출물을 각각 40%로 혼합하여 추출물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무첨가 대조군으로는 님 오일 100%를 사용하였고, 상기 실시예 <2-1>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닭진드기에 살포하고 살비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2 및 하기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님 오일을 단독으로 처리하는 경우보다 님오일과 은행잎 물 추출물을 혼합하는 살비제 조성이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다(도 2 및 표 2).
추출물 혼합액 평균 치사율(%)
님 오일 100% 65.4

님 오일 60%
은행잎 물 추출물 40% 70.2
은행잎 에탄올 추출물 40% 56.7
계피 물 추출물 40% 53.1
살비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계면활성제 및 보조제 성분의 선별
<3-1> 유화 테스트
생물학적 물질을 살비제 조성물로서 제형화하기 위해서는, 제품 물성의 안정화 및 사용상의 편리성을 위하여 일정의 계면활성제의 이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로,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적인 소재가 요구되기 때문에 안전성이 확보된 원료를 대상으로 추출물 혼합물에 대한 유화 정도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후보 물질은 EPA list 4A, 4B에 해당하는 계면활성제인 메틸 올레이트(Methyl oleate), 2-도데콕시에탄올(2-dodecoxyethanol), 폴리옥시에틸렌 모노올레이트(Polyoxyethylene monooleate), 트윈80(Tween 80)을 사용하였다. 그런 다음, 님 오일 60% 및 은행잎 물 추출물 40%을 혼합한 추출물 혼합액에, 각각의 계면활성제를 1.0%, 2.5%, 5.0%, 7.5% 또는 10.0%의 농도로 첨가하고 24 시간 동안 혼합하였다. 24 시간 후, 유화성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우수(+++) 양호(++), 보통(+), 불량(-)의 총 4 단계로 나누어 판단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트윈 80의 유화성이 가장 우수하며, 2.5% 이상의 농도로 처리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하였다(표 3).
살비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계면 활성제의 선별
구분 EPA lsit 첨가 농도(%)
1 2.5 5 7.5 10
메틸 올레이트 4B - - + ++ ++
2-도데콕시에탄올 4B - - + + ++
폴리에틸렌 모노올레이트 4B - - + ++ +++
트윈 80 4B + ++ ++ +++ +++
<3-2> 수면 전개 양상 개선을 위한 식물성 오일 테스트
님 오일을 포함하는 지용성 층을 살비제 조성물로 사용하면서 수면 전개 양상을 개선하고, 살비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한 보조제를 선별하기 위해, 식물성 오일을 농도별로 투입하여 주성분의 수면전개 양상을 비교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후보 물질의 식물성오일은 채종유, 피마자유, 옥수수유 또는 식용유를 사용하였다. 그런 다음, 님 오일에 각각의 식물성오일을 1%, 2%, 4% 또는 8%의 농도로 첨가하고 20 일동안 수면 전개 양상을 관찰하였다. 관찰 시에는, 우수(+++) 양호(++), 보통(+), 불량(-)의 총 4 단계로 나누어 판단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채종유, 피마자유, 옥수수유 및 식용유의 식물성 오일은 4% 농도로 첨가하는 경우 물성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그 중에서 채종유, 식용유의 효과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구입이 편리하고 원가에 부담이 적은 식용유를 선별하였다(표 4).
살비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식물성 오일의 선별
투입율
경과시간(일)
식물성오일
채종유 파마자유 옥수수유 식용유
1%


5 +++ ++ +++ +++
10 ++ ++ ++ ++
15 ++ ++ + ++
20 + + + +
2%


5 +++ +++ +++ +++
10 ++ ++ ++ +++
15 ++ ++ + ++
20 + + + +
4%


5 +++ +++ +++ +++
10 ++ ++ ++ +++
15 ++ ++ ++ ++
20 ++ + + ++
8%


5 +++ +++ +++ +++
10 ++ ++ ++ ++
15 + + + ++
20 + + + +
<3-3> 수면 전개 양상 개선을 위한 산화방지제 선발
기선발한 유효성분이 식물성 오일이기 때문에 살비제로서 살포되어 공기 중에 노출되면 물리화학적 안정성 및 지속적인 살충효과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유효성분의 효과 유지를 위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산화 방지제를 선별하였다.
구체적으로, 후보 물질은 식품용 및 가축 사료 첨가용으로 사용되는 산화방지제인 에톡시퀸(ethoxyquin), BHA(buylated hydroxyannisole) 또는 BHT(buylated hydroxytoluene)를 사용하였다. 그런 다음, 님 오일과 은행잎 물 추출물을 1:1(v:v) 비율로 혼합한 추출물 혼합액에 각각의 산화방지제를 25, 50, 75 또는 100 ppm의 농도로 투입하여 경시안전성 및 수면전개 양상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산화방지제의 농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에톡시퀸을 75 ppm으로 처리하였을 때 20 일 후에 수면 전개 양상이 가장 양호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에톡시퀸은 사료 첨가가 가능한 물질이며,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BHA 또는 BHT보다 저렴하여 유리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에톡시퀸을 선별하였다.
님 오일 및 은행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닭진드기 살비제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서 선별 및 선택한 성분을 포함하는 살비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5]의 조성을 준비하고 은행잎 물 추출물 및 글리세린을 혼합기에 넣고 5 분 정도 혼합하여 수용층을 제작하였다. 그런 다음, 님 오일, 식용유, 에톡시퀸 및 트윈80을 순서대로 혼합기에 넣고 10 분 정도 혼합하여 오일층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오일층은 균질기에 가하여 균질기를 작동하면서 수용층을 추가하고, 20 분 정도 유화시켜 시작품을 제작하고 이를 보관하였다. 보관한 시작품에 대한 살비효과는 상기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였으며, 시작품은 1/100, 1/250, 1/500 또는 1/1000의 비율로 희석하여 살포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조성물로 혼합하지 않은 님 오일을 살포하여 사용하였다.
님 오일 및 은행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닭진드기 살비제 조성물의 조성
성분명 첨가 비율(V/V, %)
은행잎 물 추출물 35
글리세린 4
님 오일 52
식용유 4
에톡시퀸 0.0075
트윈80 5
합계 100
그 결과, 도 3 및 하기 [표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시작품은 제작 후 3 개월이 경과하여도 유화된 조성물의 층이 분리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닭진드기에 대한 살비활성은 1/100 내지 1/250 이내의 희석배율로 적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님 오일 및 은행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닭진드기 살비제 조성물의 살비효과
희석 배수 평균
치사율(%)
대조군 7.3
1/100 64.9
1/250 49.4
1/500 27.6
1/1000 14.2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님(Neem, Azadirachta indica) 오일 및 은행잎(Ginkgo biloba)을 냉수 추출한 은행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닭진드기(Dermanyssus gallinae)에 대한 살비제 조성물.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님 오일 및 은행 추출물은 각각 30 내지 70%(v/v) 및 15 내지 50%(v/v)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진드기에 대한 살비제 조성물.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살비제 조성물은 메틸 올레이트(Methyl oleate), 2-도데콕시에탄올(2-dodecoxyethanol), 폴리옥시에틸렌 모노올레이트(Polyoxyethylene monooleate) 또는 트윈80(Tween 80) 중 어느 하나의 계면활성제를 2 내지 10%(v/v) 농도로 추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진드기에 대한 살비제 조성물.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살비제 조성물은 채종유, 피마자유, 옥수수유 또는 식용유 중 어느 하나의 식물성 오일을 3 내지 10%(v/v) 농도로 추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진드기에 대한 살비제 조성물.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살비제 조성물은 에톡시퀸(ethoxyquin), BHA(buylated hydroxyannisole) 또는 BHT(buylated hydroxytoluene) 중 어느 하나의 산화방지제를 50 내지 100 ppm의 농도로 추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진드기에 대한 살비제 조성물.
  11. 삭제
KR1020160074410A 2016-06-15 2016-06-15 천연식물추출물을 이용한 닭진드기 살비제 조성물 Expired - Fee Related KR101827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410A KR101827982B1 (ko) 2016-06-15 2016-06-15 천연식물추출물을 이용한 닭진드기 살비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410A KR101827982B1 (ko) 2016-06-15 2016-06-15 천연식물추출물을 이용한 닭진드기 살비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409A KR20170141409A (ko) 2017-12-26
KR101827982B1 true KR101827982B1 (ko) 2018-02-13

Family

ID=60937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410A Expired - Fee Related KR101827982B1 (ko) 2016-06-15 2016-06-15 천연식물추출물을 이용한 닭진드기 살비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79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928A (ko) 2018-03-16 2019-09-25 부산외국어대학교 산학협력단 Led 제어에 의한 닭진드기 방제 시스템
KR20230006157A (ko) 2021-07-02 2023-01-10 주식회사 바이오리브 식물성 오일을 이용한 친환경 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KR20230023871A (ko) 2021-08-10 2023-02-20 주식회사자연엔에스 천연식물추출물을 이용한 살비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708B1 (ko) * 2018-01-08 2019-12-03 우진 비앤지 주식회사 소독 및 살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닭 진드기 방제 방법
KR20190087713A (ko) 2018-01-17 2019-07-25 세종물산 주식회사 닭진드기 살충제 조성물 및 이의 사용방법
CN108938724B (zh) * 2018-08-24 2021-06-18 云南希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印楝叶提取物及其制备工艺、应用
BR112021005676B1 (pt) * 2018-09-25 2024-04-30 FLORES SAMANIEGO, Beatriz Composição acaricida à base de extratos naturais para o controle e/ou eliminação de ácaros-praga em culturas agrícolas
KR102149424B1 (ko) * 2018-11-29 2020-08-31 (주)비오지노키 닭진드기에 대한 방제제 조성물
KR102141600B1 (ko) * 2018-12-13 2020-08-05 대한민국 소석회를 포함하는 닭진드기 살비제 조성물
CN109964932A (zh) * 2019-04-29 2019-07-05 广西壮族自治区农业科学院 一种环保型杀虫杀螨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036480B1 (ko) * 2019-05-28 2019-10-24 한석주 닭진드기 퇴치용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닭진드기 퇴치용 조성물
KR102155499B1 (ko) * 2019-09-06 2020-09-14 주식회사 가온아이피엠 고삼과 파극천을 이용한 천연 살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28360B1 (ko) * 2019-12-27 2021-11-17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시나몬 오일을 포함하는 살비용 조성물
KR102328359B1 (ko) * 2019-12-27 2021-11-17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인디안베이 오일을 포함하는 살비용 조성물
KR102328354B1 (ko) * 2019-12-27 2021-11-17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정향 오일을 포함하는 살비용 조성물
KR102328358B1 (ko) * 2019-12-27 2021-11-17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시더우드 오일을 포함하는 살비용 조성물
KR102328357B1 (ko) * 2019-12-27 2021-11-17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로즈제라늄 오일을 포함하는 살비용 조성물
KR102328353B1 (ko) * 2019-12-27 2021-11-17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라벤더 오일을 포함하는 살비용 조성물
KR102183223B1 (ko) * 2020-07-07 2020-11-25 정윤수 친환경 살충제 조성물
KR102212587B1 (ko) * 2020-07-14 2021-02-05 주식회사 가온아이피엠 동양하루살이 맞춤형 천연 살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12590B1 (ko) * 2020-07-17 2021-02-05 주식회사 가온아이피엠 인체에 무해한 천연 살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02303B1 (ko) * 2020-07-29 2021-01-13 이준홍 은행잎을 이용한 살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01133B1 (ko) 2021-04-16 2023-11-10 한국친환경농식품자재수출마케팅협동조합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친환경 닭진드기 방제용 연막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닭진드기의 방제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47502B2 (ja) * 2009-02-03 2013-07-24 大日本除蟲菊株式会社 屋内ダニよけスプレー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47502B2 (ja) * 2009-02-03 2013-07-24 大日本除蟲菊株式会社 屋内ダニよけスプレー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928A (ko) 2018-03-16 2019-09-25 부산외국어대학교 산학협력단 Led 제어에 의한 닭진드기 방제 시스템
KR20230006157A (ko) 2021-07-02 2023-01-10 주식회사 바이오리브 식물성 오일을 이용한 친환경 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KR20230023871A (ko) 2021-08-10 2023-02-20 주식회사자연엔에스 천연식물추출물을 이용한 살비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409A (ko) 2017-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7982B1 (ko) 천연식물추출물을 이용한 닭진드기 살비제 조성물
KR101904406B1 (ko) 닭진드기 방제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닭진드기를 방제하는 방법
CN107996622B (zh) 一种含植物精油的蚊虫驱避剂
EP3737241B1 (en) Solid nutritional composition with acaricide activity for apiculture for use in the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varroa infestations
CN104054758A (zh) 无害植物灭虫剂
KR102328354B1 (ko) 정향 오일을 포함하는 살비용 조성물
KR20190052979A (ko) 4종의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해충관리용 유기농업자재 조성물
KR20180021417A (ko) 천연물을 이용한 닭진드기(와구모) 구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4820662B2 (ja) 天然植物抽出物を利用した魚類寄生虫駆虫用組成物{Anthelminticcompositionforfishparasiteusingnaturalplantextracts}
KR101482764B1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천연 살충제 조성물
CN111838211A (zh) 一种除螨祛味植物提取物组合液、方法及应用
KR102272717B1 (ko) 쿼세틴 및 티몰을 이용한 꿀벌응애 구제용 조성물
KR102099825B1 (ko) 천연물을 이용한 닭진드기(와구모) 구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28358B1 (ko) 시더우드 오일을 포함하는 살비용 조성물
CN106922751A (zh) 天然植物灭虫剂
KR101400713B1 (ko) 살충성 정유 및(또는) 식물첨가물을 함유한 살충성 조성물
KR101470477B1 (ko) 모기 기피용 조성물
KR102328353B1 (ko) 라벤더 오일을 포함하는 살비용 조성물
KR102328360B1 (ko) 시나몬 오일을 포함하는 살비용 조성물
KR102328357B1 (ko) 로즈제라늄 오일을 포함하는 살비용 조성물
KR102328359B1 (ko) 인디안베이 오일을 포함하는 살비용 조성물
KR102149424B1 (ko) 닭진드기에 대한 방제제 조성물
KR101288541B1 (ko) 아세토페논 유도체를 포함하는 살비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진드기 살비제
CN106359480A (zh) 高效杀虫消毒剂
KR102568335B1 (ko) 식물성 성분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흰줄숲모기 및 작은소피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7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