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4871A - 발효 매실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금류 사료첨가제 - Google Patents

발효 매실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금류 사료첨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4871A
KR20110094871A KR1020100014577A KR20100014577A KR20110094871A KR 20110094871 A KR20110094871 A KR 20110094871A KR 1020100014577 A KR1020100014577 A KR 1020100014577A KR 20100014577 A KR20100014577 A KR 20100014577A KR 20110094871 A KR20110094871 A KR 20110094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m
feed
fermented
extract
fermented pl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종근
이상락
이선녀
박선영
Original Assignee
(주)바이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어드 filed Critical (주)바이어드
Priority to KR1020100014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4871A/ko
Publication of KR20110094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48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실농축액 추출하고 남은 부산물로서 매실농축액을 추출한 후 수분과 씨를 제거하지 않고 통째로 2~3개월간 자연발효 시킨 발효 매실박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육계 또는 산란계 사료 첨가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발효 매실박 추출물은 가축의 소화기 및 호흡기 감염을 일으키는 병원성 균류들에 대해 높을 항균활성을 가지므로, 상기 발효 매실박은 육계나 산란계 사료의 원료나 첨가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효 매실박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가금류 사료 첨가제는 육계 및 산란계에게 급여할 경우,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계육이나 계란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추고, 육질과 난질을 개선시켜 고품질의 기능성 가금류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발효 매실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금류 사료첨가제{Poultry feed additives including fermented plum by-products}
본 발명은 발효 매실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금류 사료첨가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실농축액 추출하고 남은 부산물로서 매실농축액을 추출한 후 수분과 씨를 제거하지 않고 통째로 2~3개월간 자연발효 시킨 발효 매실박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육계 또는 산란계 사료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가축에 대한 과도한 항생제의 사용은 병원성균류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켜 가축뿐 아니라 인간의 건강도 위협할 수 있다. 안전한 축산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가축에 대한 항생제 처리는 치료목적을 제외하고는 금지되어야 한다.
항생제는 인간의 각종 질병의 치료에 폭넓게 사용되어 왔으나, 1950년대부터는 가축의 사양성적과 사료효율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양계와 양돈을 중심으로 사료 중에 첨가하여 사용해 왔다(Umesh K. Garg, Asim K. Pal, Gautam J. Jha, and Sanjay B. Jadhao. Haemato-biochemical and immuno-pathophysiological effects of chronic toxicity with synthetic pyrethroid, organophosphate and chlorinated pesticides in broilernext term chicks. 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4:1709-1722. 2004). 그 후 항생제 사용량은 꾸준히 증가하여 1999년 한 해 동안 유럽연합(EU)에서 사용된 항생제 13,288톤 중 29%가 가축에 사용되었다(Nicole Kemper, Ecological indicators, 8, 4, 2008). 미국의 경우도 2001년 기준으로 전체 항생제 사용량의 70% 이상이 가축용으로 사용되었으며(Union of concerned Scientists. 70 Percent of All Antibiotics Given to Healthy Livestock. Cambridge, MA, USA. 2001(Press release, 8 January)), 우리나라도 1970년대부터 가축사용에 많은 양의 항생제를 사용하여 왔다. 특히, 2008년도 현재 연간 총 1,211톤의 항생제를 사료에 첨가하여 가축에게 급여하고 있다(국립수의과학검역원. 가축 및 축산물내 주요 항생제 내성실태 조사 및 평가. 2009).
항생제는 주로 소의 유선염, 송아지의 호흡기 질병, 이유자돈의 장내 질병과 폐렴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이나,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할 경우에는 생산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대표적으로 이용되는 항생제는 타이로신(tylosin), 테트라싸이클린(tetracycline), 술폰아마이드(sulphonamides) 등이며, 사료 내에 첨가하여 닭에게 급여하면 성정과 사료의 효율이 약 3~5%로 증가한다고 한다(J.P. Dahiya, Animal feed science and technology, 129, 60-88, 2006.).
그러나, 항생제는 짧은 시간 안에 제 기능을 발휘한 뒤 체외로 방출되어야 하는데 급여된 항생제의 체외 방출율은 항생제의 종류와 투여 형태에 따라 다르지만 테트라싸이클린과 술폰아마이드의 경우는 40~90%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Berger, K., B. Petersen, and H. Buning-Pfaue. Persistence of drugs occurring in liquid manure in the food chain. Archiv. Lebensmittelhygiene. 37:99-102. 1986; Haller, M. Y., S. R. Muller, C. S. McArdell, A. C. Alder, and M. Suter. Quantification of veterinary antibiotics (sulfonamids and trimethoprim) in animal manure by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J. Chromatogr. A. 952:111-120. 2001; Halling-Sㆈrensen, B. Inhibition of aerobic growth and nitrification of bacteria in sewage sludge by antibacterial agents. Arch. Environ. Contam. Toxicol. 40. 2001).
또한, 설파메톡사졸(sulphamethoxazole)은 85% 정도가 분해되지만, 아목시실린(amoxicillin)은 분해율이 10~20% 정도로 대부분이 체내에 잔류하게 된다(Hirsch, R., T. Ternes, K. Haberer, and K. L. Kratz. Occurrence of antibiotics in the aquatic environment. Sci. Total Environ. 225:109-118. 1999).
이러한 항생제의 가축 체내 잔류와 항생제 내성균의 출현 등의 문제가 소비자들에게 알려지면서 EU는 2006년도부터 성장촉진을 목적으로 사료에 항생제를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고, 많은 나라들 역시 항생제 사용을 규제하고 있다(Øverland, M, N. P. Kjos, M. Borg and H. Sørum. Organic acids in diets for entire male pigs. Livestock Science. 109 : 170-173. 2007).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식약품안전청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04년 기준으로 국내 육류 총생산량은 149만3천 톤, 항생제 사용량은 1,368톤으로, 육류 생산량 대비 항생제 사용량(가축항생제 투입률)이 0.916으로 산출됐다. 이는 미국의 가축항생제 투입률(0.254)에 비해 3.6배, 일본(0.355)의 2.6배 그리고 호주(0.063)에 비해서는 14.5배 많은 규모라고 보고하고 있다(www.cbs.co.kr, 2007). 우리나라도 2012년부터 사료 내에 항생제를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을 금지할 계획이다(배합사료제조용 동물용의약품 사용기준 개정고시 2005-3호, 2005).
그러나 항생제를 가축사양에 사용하지 못하게 되면 사양성적이 떨어지고 폐사율이 증가함에 따라 농가소득의 감소가 초래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우리나라는 물론이고 해외에서도 항생제를 대체할 물질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Øverland, M, N. P. Kjos, M. Borg and H. Sørum. Organic acids in diets for entire male pigs. Livestock Science. 109 : 170-173. 2007). 항생제 대체제로는 유기산류, 지방산류, 특정 단백질 및 효소류, lysozyme, bacteriocin, 식물추출물 그리고 생균제 등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는데(Øverland, M, N. P. Kjos, M. Borg and H. Sørum. Organic acids in diets for entire male pigs. Livestock Science. 109 : 170-173. 2007, 여러 후보물질 중 유기산은 가축질병 유발 병원성균류를 광범위하게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격도 비교적 저렴한 편이어서 현재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과실류는 많은 양의 유기산을 함유하고 있는데, 과실류 중에서도 매실은 항균효과가 뛰어난 시트르산(citric acid)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여러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매실(Plum; prunus mume)은 매화나무(Prunus mume Sieb. et Zuccarini)의 과실로 주로 우리나라,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 생산된다. 매실은 3~4월경에 꽃이 피고, 열매를 맺어 6월경에 청매(靑梅)로 수확된다. 매실은 섬유소와 유리당, 시토스테롤(sitosterol)과 무기질 함량이 풍부하며, 숙신산(succinic acid), 시트르산, 말산(malic acid) 및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등의 유기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알칼리성 식품이다.
이러한 매실은 피로회복, 간 기능 회복, 소화촉진, 당뇨병 개선, 항암작용, 혈압상승과 순환기 질환 예방, 항산화 작용, 식중독 예방 및 장내 환경 개선 및 해독과 구충 기능 등의 다양한 효과가 있다고 하여(배지현, 김기진, 김성미, 이원재, 이선장. 매실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개발. 한국식품과학회지. 32:713-719. 2000), 오래전부터 한방에서 각광받아 오고 있다.
매실은 주로 매실주(梅實酒), 매실환, 희석과즙음료 및 매실농축액(엑기스) 등으로 가공되어 이용되는데, 이 과정에서 부산물로써 많은 양의 매실박이 생성된다(강민영, 정윤화, 은종방. 매실 과육과 매실 착즙박의 이화학적 특성. 한국식품과학회지. 31:1434-1439. 1999). 그러나, 매실박은 일부 퇴비화에 이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매실박은 식품을 가공한 잔사로, 설탕을 이용하여 매실농축액을 추출한 경우에는 상당량의 설탕 성분이 남아있어서 에너지 함량이 높고 기호성이 좋은 뿐만 아니라 다량의 유기산을 함유하고 있어서 가축에게 급여할 경우 항생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선행 연구(특허출원 제2008-0066322호)에서 이유자돈에게 매실박을 1% 첨가한 사료를 5주간 급여했을 때 분 중에 돼지 질명 유발균주가 감소하는 등 장내 균총 환경이 개선되었으며, 임신모돈에게 사료섭취량의 1.5% 및 3.0%의 수준으로 분만 30일 전부터 분만 후 20일까지 급여했을 때 장내 질병 유발균주의 수가 현저하게 저하되고, 매실박의 급여 농도가 증가할수록 자돈의 생시체중이 직선적으로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가금류를 대상으로 매실박의 급여 효과에 대해서는 어떠한 개시나 교시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무항생제 가금류 사양체계 및 관련 기술을 확립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발효 매실박을 사료와 함께 급여한 후 유기산 함량 및 항균활성에 대해 조사하고, 발효 매실박의 급여가 육계와 산란계 가금의 생산성과 분내 미생물 균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성공적으로 완성하였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발효 매실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금류 사료첨가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효 매실박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효 매실박 추출물은 매실농축액 추출하고 남은 부산물로, 매실농축액을 추출한 후 수분과 씨를 제거하지 않고 통째로 2~3개월간 자연발효 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발효 매실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금류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효 매실박은 매실농축액 추출 부산물로서 매실농축액을 추출한 후 수분과 씨를 제거하지 않고 통째로 자연발효 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며, 통상적인 사료와 함께 사료 총 중량의 0.1~10%를 급여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발효 매실박 사료 첨가제를 1일 1회 사료와 함께 사료 총 중량의 0.1~10%를 육계 또는 산란계에게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 사육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효 매실박 추출물은 가축의 소화기 및 호흡기 감염을 일으키는 병원성 균류들에 대해 높을 항균활성을 가지므로, 상기 발효 매실박은 육계나 산란계 사료의 원료나 첨가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효 매실박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가금류 사료 첨가제는 육계 및 산란계에게 급여할 경우, 사양성적을 개선시켜 생산성을 높혀주는 효과가 있으며, 계육이나 계란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출 수 있고, 육질과 난질을 개선시켜 고품질의 기능성 가금류의 생산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발효 매실박 추출액의 항균 작용을 확인한 결과로, FP는 본 발명의 발효 매실박 추출액; CP는 매실액; BA1은 벤조산 0.1%; BA2는 벤조산 0.5%; BA3는 벤조산 1.0%; CA1은 시트르산 0.1%; CA2는 시트르산 0.5%; CA3은 시트르산 1.0% 및 Con: 대조군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발효 매실박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효 매실박 추출물은 매실농축액 추출하고 남은 부산물로, 매실농축액을 추출한 후 수분과 씨를 제거하지 않고 통째로 2~3개월간 자연발효 시킨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추출액, 정제물, 희석액, 농축액, 및 건조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발효 매실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금류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효 매실박은 매실농축액 추출 부산물로서 매실농축액을 추출한 후 수분과 씨를 제거하지 않고 통째로 2~3개월간 자연발효 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료 첨가제는 통상적인 사료와 함께 급여하되, 사료 총 중량의 0.1 내지 10%를 급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를 급여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발효 매실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금류 사료 첨가제는 육계 또는/및 산란계에게 1일 1회 사료와 함께 급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발효 매실박 추출물은 가축의 소화기 및 호흡기를 감염시키는 병원성 균류들에 대하여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며, 매실이 가지고 있는 생리활성 기능을 그대로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육계나 산란계 사료의 원료나 첨가제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발효 매실박 사료 첨가제를 1일 1회 사료와 함께 사료 총 중량의 0.1~10%를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 사육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발효 매실박 추출물의 제조
2008년 6월 말경에 전라남도 광양에 소재하고 있는 매실농장에서 매실을 채취하여 50ℓ 아크릴병에 액상과당과 1 : 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2개월간 발효, 숙성과정을 거쳐 추출된 매실액을 거르고 남은 매실박을 그대로 2개월간 상온에서 자연 발효시켰다.
상기 자연 발효된 매실박은 균일식 농산물 자동건조기(HANSUNG, HSED-A, 한국)를 이용하여 60℃에서 48시간 건조한 후, 분쇄기(DAE HWA, GN-dH610, 한국)로 분쇄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하기 표 1은 매실액 및 발효 매실박 추출물의 화학적 조성과 칼로리 함량 및 유기산 함량을 나타낸 것으로, 발효 매실박 추출물의 일반 조성분 함량은 각각 수분 7.44%, 조단백질 3.67% DM, 조지방 9.00% DM, 조섬유 16.83% DM, 그리고 조회분 0.99% DM으로 확인되었다.
항목 매실
매실액 발효 매실박 추출물
화학조성(%)
수분 87.86 58.65
조단백질 0.37 1.23
에테르 추출액 0.00 0.50
조섬유 2.08 17.07
조회분 0.88 1.78
칼슘(Ca) 0.32 0.21
인(P) 0.25 0.16
열량(㎉/g) 3.38 4.07
유기산(ppm)
시트르산(Citric acid) 124,614.30 14,972.80
말산(Malic acid) 92,130.38 14,926.90
숙신산(Succinic acid) 71,726.16 3,729.22
옥살산(Oxalic acid) 13,252.62 254.66
푸마르산(Fumaric acid) 15.37 39.61
실험예 1. 발효 매실박의 항균활성 조사
1-1. 발효 매실박 추출액 제조
본 발명에 따른 발효 매실박의 가축 질병 유발균주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발효 매실박을 증류수로 세척한 후, 물기를 제거하여 녹즙기로 착즙하고, 착즙액은 12시간 정치하여 상등액만을 취해 원심분리하였다.
다시 상등액을 취하여 여과지로 1차 여과한 다음 0.45 ㎛ 주사기 필터(syringe filter)로 최종 여과하여 착즙액 중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완전히 제거한 발효 매실박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1-2. 병원균주 준비
본 발명의 발효 매실박 추출액의 항균활성 조사에 사용한 균주는 닭은 포함한 가축의 주요 질병 유발균인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전스 타입 E(가스괴저균, Clostridium perfringens type E), 보데텔라 애비움(보데텔로균, Bordetella avium), 클렙시엘라 뉴모니애 아종 뉴모니애(폐렴균, Klebsiella pneumoniae subsp. pneumoniae),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충치균, Streptococcus mutans), 엔테로톡시제닉 이세리키아 콜리(장 독소생산 대장균,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Salmonella enteritidis),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엄(Salmonella typhimurium), 해모필러스 파라쉬스(글래서씨병원균, Haemopillus parasuis), 맨헤이미아 해모라이티카 타입 A Ns(맨헤이미아 폐렴균, Mannheimia haemolytica type A Ns)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어스(황색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 등 10종으로, 한국미생물 보존센터와 국립수의과학검역원으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상기 균주가 일으키는 병명과 가축에서의 증상을 호흡기 및 소화기 관련 균주로 구분하여 하기 표 2에 정리하였다.
Figure pat00001
1-3. 배지 조제
또한, 상기 균주들을 배양하기 위한 기본배지로는 LB 브로스(트립톤 10 g, 이스트 추출액 5 g, 염화나트륨 10 g; 증류수 1000 ㎖)를 사용하였으며, LB 아가(agar) 조제를 위하여 1.5% 아가를 첨가하였다. 모든 배지는 121℃, 1 ㎏/㎠으로 20분간 멸균 후 사용하였다.
1-4. 균주의 seed 배양
각 균주들의 seed 배양은 LB 아가 배지에 스트리킹(streaking) 후 37℃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1-5. 균주들의 항균활성 조사를 위한 배양
LB 브로스를 삼각 플라스크에 담아 멸균한 후 10개의 시험관에 각각 7 ㎖씩 담은 것을 배양액으로 하여 상기 seed 배양에서 생성된 10개의 균주들의 집락(colony)을 접종하여 볼텍싱(voltexing)하고, 37℃의 배양기(incubator)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되면 각 균액을 100 ㎕씩 취하여 LB 배지에 도말하여 37℃의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1-6. 항균활성 확인
LB 아가 플레이트에 상기의 균주를 도말한 후 멸균된 파스퇴르 피펫을 사용하여 구멍을 뚫은 다음 발효 매실박 추출액 50 ㎕를 주입한 다음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발효 매실박 추출액에 의하여 균주가 자라지 못한 구멍주위의 환(clear zone) 생성 여부와 직경(㎜)을 측정하였다.
이때, 항균활성의 비교를 위해 상용 매실액과 0.1, 0.5 및 1.0% 벤조산 및 0.1, 0.5 및 1.0% 시트르산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그 결과, 표 3, 표 4 및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반 사료 첨가 항생제 대체제로 사용되는 순수 시트르산과 벤조산에 비해 본 발명의 발효 매실박 추출액에서 가축질병 유발균에 대한 저해 능력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발명의 발효 매실박 추출액 내의 주요 유기산인 시트르산 외의 다른 유기산과 유효 물질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 소화기계 질병 유발균인 S. mutansS. typhimurium의 경우 매실액에서는 항균력을 나타내었지만 발효 매실박 추출액에서는 항균력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C. perfringens, S. aureus, K. pneumoniaesM. haemolytica의 경우 매실액에 준하는 항균력을 나타내어 본 발명의 발효 매실박에는 여전히 유해균을 저해할 수 있는 유효물질이 상당 부분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본 발명의 발효 매실박은 항생제 대체제로서 충분히 활용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발효 매실박 추출액의 항균활성 1(clear zone diameter, ㎜)
항목 Bordetella avium Klebsiella pneumoniae subsp. pneumoniae Haemopillus parasuis Mannheimia haemolytica
type A Ns
발효매실박 25 15 25 15
매실액 27 9 26 13
벤조산 0.1% 9 0 12 0
벤조산 0.5% 14 11 14 11
벤조산 1.0% 15 11 15 12
시트르산 0.1% 9 0 15 0
시트르산 0.5% 18 0 22 9
시트르산 1.0% 22 9 23 10
본 발명에 따른 발효 매실박 추출액의 항균활성 2(clear zone diameter, ㎜)
항목 Clostridium perfringens type E Strepto -
coccus mutans
Enterotoxigeni c
Escherichia coli
Salmonella
enteritidis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ureus
발효 매실박 19 0 25 17 0 25
매실액 17 0 24 16 0 21
벤조산 0.1% 8 0 9 0 0 0
벤조산 0.5% 11 0 13 9 11 9
벤조산 1.0% 11 0 15 12 12 12
시트르산0.1% 8 0 0 10 0 0
시트르산0.5% 12 15 18 14 10 10
시트르산1.0% 18 23 22 19 13 15
1-7. 병원성균류에 대한 발효 매실박 추출액의 최소 저해 농도 확인
본 발명의 발효 매실박 추출액의 최소 저해 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는 표 5 및 표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C. perfringens, B. avium, H. parasuisS. aureus는 발효 매실박의 농도 3.13과 6.25% 사이에서 나타났고, K. pneumoniae, E. ColiM. haemolytica는 6.25와 12.5% 사이였으며, S. mutans는 0.78과 1.56% 사이에서 나타났다.
즉, 본 발명의 발효 매실박 추출액은 약 6% 이하의 낮은 농도에서 대부분의 가축빌병 유발균의 생육을 저해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어, 발효 매실박을 항생제 대체제로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발효 매실박 추출액의 최소 저해 농도 1(Optical density, A600)
발효 매실박
추출액의 농도
(%)
Bordetella avium Klebsiella pneumoniae subsp. pneumoniae Haemopillus parasuis Mannheimia haemolytica
type A Ns
50.00 0.015 0.041 0.011 0.014
25.00 0.011 0.016 0.013 0.014
12.50 0.007 0.127 0.013 0.016
6.25 0.005 0.119 0.009 0.897
3.13 0.348 0.755 0.068 1.122
1.56 0.381 0.770 0.105 1.091
0.78 0.418 0.710 0.120 0.997
본 발명에 따른 발효 매실박 추출액의 최소 저해 농도 2(Optical density, A600)
발표 매실박
추출액의
농도(%)
Clostridium perfringens type E Strepto -
coccus mutans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Salmonella
enteritidis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ureus
50.00 0.019 0.019 0.013 0.016 0.020 0.016
25.00 0.008 0.010 0.010 0.011 0.018 0.010
12.50 0.007 0.012 0.008 0.100 0.174 0.006
6.25 0.008 0.009 0.677 0.226 0.264 0.076
3.13 0.479 0.008 0.606 0.299 0.332 1.026
1.56 0.837 0.008 0.734 0.384 0.357 0.884
0.78 0.860 0.318 0.784 0.333 0.417 0.872
실험예 2. 육계에 대한 발효 매실박의 급여 효과 확인
2-1. 공시동물
육계에 대한 발효 매실박의 급여가 사육성적과 장내 미생물의 분포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1일령의 Ross 육용종 수평아리 600수를 실험동물로 공시하여 각 처리구별 150수, 반복당 30수씩 5회 반복으로 체중이 유사하도록 왕겨를 깔짚으로 사용한 가로×세로×높이가 180×180×200 ㎝인 floor pen에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2-2. 사료제조 및 급여
항생제 등 성장 촉진 인자를 첨가하지 않은 무항생제 사료를 기초로 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발효 매실박 추출물을 사료 총 중량에 대해 각각 1.5 및 3.0%로 첨가한 실험군과, 무항생제 사료를 급여하는 음성 대조군 및 avilamycin을 0.05% 수준으로 첨가한 항생제 사료를 급여하는 양성 대조군으로 구성된 전체 4개의 처리구에 5반복으로 설계하였다.
이때 모든 공시 병아리에게는 1일령부터 21일령까지는 육계전기사료를, 22일령부터 35일령까지는 육계후기사료를 각각 급여하였으며(NRC, Nutrient Requirements of Poultry, 9th ed.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1994), 실험사료는 옥수수와 대두박을 기초로 하여 제조하되, 전기 및 후기사료 내 대조구의 질소보정진정대사에너지(TMEn) 수준은 각각 3,150 및 3,200 ㎉/㎏, 조단백질 수준은 각각 21 및 20%, 라이신 함량은 각각 0.18 및 0.16%, 그리고 메티오닌 함량은 각각 0.20 및 0.10%로 설계하여 무항생제 사료를 제조하였으며, 여기에 (주)CTC바이오에서 제공받은 avilamycin을 0.05% 수준으로 첨가하여 항생제 사료로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발효 매실박 첨가 사료는 상기 무항생제 사료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발효 매실박 추출물을 각각 1.5 및 3.0%로 첨가하여 제조하였다(표 7 및 표 8 참조).
상기와 같이 제조한 사료는 각 pen별로 배치한 사료 급이기를 통해 총 5주 동안 급여하였으며, 급수 니플은 pen별로 10개씩 동일하게 설치하여 사료와 물과 함께 자유로이 섭취하도록 하였다. 모든 실험기간 동안 24시간 종일점등을 실시하였으며, 처음 1일령의 계사 내의 온도는 33℃로 하였고, 주당 4℃씩 감온하여 이후에는 21±1℃를 유지하였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2-3. 조사항목 및 방법
(1) 사양성적
체중은 매주 반복별로 측정하고, 사료 섭취량은 매주 체중 측정 시 사료잔량을 측정하여 총 급여량에서 잔량을 제외하여 측정하였으며, 매주의 증체량과 사료섭취량으로부터 사료 요구율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표 9와 표 10에 나타내었다.
표 9에서와 같이, 육계의 주별 체중과 증체량은 전체적으로 모든 처리구 간에 통계적인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실험 시작일로부터 2주와 3주째 되는 날의 평균체중은 무항생제 사료 급여구에 비해 발효 매실박 3.0% 사료 급여구에서 상당히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증체량의 경우에서도 마지막 주를 제외하고 2주 이후부터 항생제 사료 급여구와 발효 매실박 3.0% 사료 급여구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4
또한, 표 10은 사료섭취량과 사료 전환율을 나타낸 것으로, 실험개시 후 2주째에 발효 매실박 3.0% 사료 급여구의 사료섭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5), 발효 매실박 3.0% 사료 급여구의 사료 전환율 역시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5주 동안의 평균 사료섭취량의 경우, 항생제 사료 급여구에 비하여 발효 매실박 3.0% 사료 급여구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4주째의 사료 전환율의 경우 발효 매실박 3.0% 사료 급여구에서 가장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폐사율은 전체적으로 3~4%로서 각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발효 매실박 내의 유기산 및 기타 유효성분들에 의해 육계 체내에서 항균력 및 생리활성을 나타내어 사료 전환율 등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측된다.
Figure pat00005
(2) 기관별 상대적 중량
실험 5주차 종료 시에 각 처리구에서 생체중 측정치의 평균에 유사한 개체를 처리구별로 8수씩 선발하여 도살한 후, 가슴근육, 다리근육, 근위, 복강지방, 간, 비장 및 F낭(Bursa of Fabricius)을 채취하였고, 생체중 100 g당 상대적 중량으로 환산하여 표기하였다.
그 결과를 나타낸 표 11에서 보듯이, F낭의 경우 무항생제 사료 급여구나 항생제 사료 급여구에 비하여 발효 매실박 사료 급여구에서 중량이 감소되었다. 또한, 앞가슴살의 경우는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발효 매실박 3.0% 사료 급여구에서 중량이 증가되었으며, 다리근육에서도 항생제 사료 급여구에 준하여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Figure pat00006
(3) 육질특성
① pH 측정
실험 종료 시에 각 처리구에서 8수씩 도살한 개체에서 채취한 가슴근육과 다리근육을 pH 측정기(HI 120, No.398809, HANA Instrumen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② 보수력 측정
그라우스 등의 여과지 압착법(Filter paper press method; Grau, R., and R. Hamm. Eine einfache methode zur bestimmung der wqsserbindung in muskel. Naturwissenschaften. 40:29. 1953)을 응용하여 특수 제작된 플렉시 유리판(plexiglass plate) 중앙에 여과지(Whatman No.2)을 놓고 시료 300 ㎎을 취하여 그 위에 놓은 다음 플렉시 유리판 1개를 그 위에 포개 놓고 일정한 압력으로 3분간 압착시킨 후 여과지를 꺼내어 고기 육편이 묻어 있는 부분의 면적(M)과 수분이 젖어 있는 부분의 총 면적(T)을 면적계(planimeter; Type KP-21, 일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7

③ 가열감량 측정
시료를 일정량 취하여 폴리에틸렌 백(polyethylene bag)에 넣어 75℃ 수욕조(water bath; HB-205SW, HANBAEK Scientific Co., 한국)에서 30분간 가열하고 상온에서 30분간 방랭 시킨 후 가열감량을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8

④ 육색 측정
가슴근육과 다리근육의 표면을 색도계(Colormeter; Chromameter, CR210, Minolta, Japan)를 사용하여 명도(lightness)를 나타내는 L-값, 적색도(redness)를 나타내는 a-값과 황색도(yellowness)를 나타내는 b-값을 측정하였다. 이때, 표준색은 L-값 +97,83m a-값 -0.43, 및 b-값 +1.98인 백색 표준판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가슴살의 백색도는 발효 매실박 1.5% 사료 급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다리의 경우에는 발효 매실박 3.0% 사료 급여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또한, 다리의 가열감량은 발효 매실박 3.0% 사료 급여구가 16.2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리의 적색도와 황색도는 무항생제 사료 급여구에 비하여 항생제 사료 급여구, 발효 매실박 1.5% 사료 급여구 및 발효 매실박 3.0% 사료 급여구의 순으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여, 발효 매실박의 유효물질이 계육의 명도 및 가열감량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사료된다(표 12 참조).
Figure pat00009
(4) 혈중 지질 특성
실험 종료 시 각 처리구에서 8수씩 선발한 개체의 혈액을 채취하고, 혈청병(serum bottle; SST, Ref.367955, VD vacutainer)에 보관 후, 의료법인 삼광의료재단에 의뢰하여 혈청 내의 알부민, 총 단백질, 총 지질, GOT(glutamic-oxaloacetic transminase), 유리 지방산(free fatty acid), HDL-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triglyceride)를 분석하였다.
하기 표 13은 본 발명의 발효 매실박 사료의 1.5%와 3.0% 수준으로 육계에 5주 동안 급여했을 때 그에 따른 혈액 내의 콜레스테롤 및 유리 지방산 등을 조사한 결과이다.
혈액 내의 면역물질은 전반적으로 발효 매실박 3.0% 사료 급여구에서 개선된 효과를 보였으며, 전체 콜레스테롤의 경우 발효 매실박 3.0% 사료 급여구에서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HDL-콜레스테롤은 항생제 사료 급여구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GOT는 발효 매실박 1.5% 사료 급여구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5), 발효 매실박 3.0% 사료 급여구에서는 유리 지방산과 전체 지질의 양이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10
(5) 간의 지질 특성
① 간 내 지질 함량
실험 종료 시 각 처리구에서 8수씩 도살한 개체에서 채취한 간을 분석 직전까지 -20℃에서 냉동보관 후, 폴치 등의 방법(Folch, J., M. Lee, and G. H. Sloane-Stanley.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 J. Biol. Chem., 226:497-509. 1957)을 응용하여 간 내의 총 지질을 추출하였으며, 안 등의 방법(An, B. K., H. Nishiyama, K. Tanaka, S. Ohtani, T. Iwata, K. Tsutsumi, and M. Kasai. Dietary safflower phospholipid reduces liver lipids in laying hens. Poult. Sci. 76:689-695. 1997)에 따라 IATRO SCAN(MK-6 TLC/FID analyzer, Iatron Laboratories, Inc., Tokyo, Japan)으로 간 내의 각 지질분획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가) 총지질의 추출
간 내의 지질추출은 폴치 등의 방법(1957)에 기초하여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폴치 용액(Folch solution; 클로로포름 : 메탄올 = 2 : 1, υv/υv) 10 ㎖에 간 1 g을 취하여 탈이온수로 10배 희석한 간 시료 0.5 ㎖와 내부표준물질(0.1% 초산 콜레스테롤 in 폴치 용액) 1 ㎖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5분간 균질화한 후 여과지(Whatman No.541)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단백질 제거를 위해 탈이온수 1 ㎖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원심분리기(HA-1000-3, Hanil industry, Korea)에서 25,5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흡입기(aspirator)로 상층부를 흡입, 제거하였다. 하층 기저부는 감압건조기를 이용하여 완전히 건조시켜 방랭한 다음 폴치 용액 1 ㎖를 첨가하여 재용해한 후 이를 추출액으로 사용하였다.
나) 지질분획의 분리
상기 추출액을 마이크로디스펜서(microdispenser)를 이용하여 실리카겔 크로마로드(silica gel chromarod; CHROMAORD-SⅢ, Mitsubishi Kagaku Iatron, Inc., Japan)에 1 ㎕를 스팟(spot)하고, 제 1 전개용액(헥산 : 디에틸에테르 : 포름산 = 60 : 10 : 0.1 ㎖)이 들어있는 전개조 내에서 9 ㎝의 높이까지 1차 전개시키고, 60℃ 건조기에서 2분간 건조시켰다. 건조한 후에는 제 2 전개용액(벤젠 : 헥산 = 40 : 40 ㎖)이 들어있는 전개조 내에서 10 ㎝ 높이까지 2차 전개시킨 후 60℃ 건조시에서 다시 2분간 건조시켰다.
다) IATRO SCAN을 이용한 지질분획의 분석
1, 2차 전개를 통해 분리된 각 지질분획은 IATRON SCA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때 분석 조건은 표 14와 같다.
분석조건
고정상 CHROMAROD-SⅢ
이동상
1차; 헥산:디에틸에테르:포름산 60㎖:10㎖:0.1㎖
2차; 벤젠:헥산 40㎖:40㎖
수소 유입(Hydrogen flow) 160㎖/분
공기 유입(Air flow) 2,000㎖/분
스캔 속도 30초/스캔
라) 각 지질분획의 정량
IATRO SCAN의 FID는 검출하는 물질에 따라 감도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정량분석을 실행하기 위해 측정된 면적비 대 성분량의 상대적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각 실험 성분의 무게를 정확히 측정한 후 혼합하여 이를 폴치 용액 1 ㎖로 용해시켰으며, 표준혼합시료용액을 사용하여 상기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하고 크로마토그램을 얻었다. 이때, 사용된 표준혼합시료용액의 성분농도는 표 15에 나타내었다.
실험성분과 내부표준물질의 첨두(peak) 면적비(Ax/As)를 통해 실험성분과 내부표준물질의 중량비(Wx/Ws)를 구하였으며, 아래의 식에 따라 혈청의 각 기질분획의 함량을 계산하였다.
간 내 함량(㎎/g) = (Wx/Ws) × 내부표준물질(㎎)/시료(㎎) × 10
(단위: ㎎/㎖)
팔미트산
콜레스테롤
아세트산
콜레스테롤
트리팔미틴 콜레스테롤 L-3-포스파티딜콜린
디팔미트산
No.1 12.00 1.0 7.50 2.00 12.50
No.2 6.00 1.0 3.73 1.00 6.26
No.3 3.00 1.0 1.88 0.50 3.13
No.4 1.50 1.0 0.94 0.25 1.57
No.5 0.75 1.0 0.47 0.13 0.79
그 결과, 표 1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발효 매실박 3.0% 사료 급여구의 콜레스테롤이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중성지방은 발효 매실박 1.5% 사료 급여구에서 감소효과를 나타내었고 인지질(phospholipid)의 경우 발효 매실박 1.5 및 3.0% 사료 급여구에서 다소 낮게 나타났다.
Figure pat00011
(6) 장내 미생물 균총
실험 종료 시에 각 처리구에서 8수씩 도살한 개체에서 채취한 맹장을 내용물과 함께 적출하여 익일 균총 검사 직전까지 4℃에서 보관하였다.
맹장 내용물 1 g에 0.85% 살린 완충액(saline buffer) 9 ㎖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10-1부터 10-6까지 각각의 비율로 희석하였다.
총균, 유산균, E. coli, Enterococcunesp., Staphylococcuneaureune 및 Citrobacter를 측정하기 위해 LB agar(Difco, BDescience, USA), MRSeagar(Difco, BDescience, USA), Chromagar Orientation(Chromagar Microbiology, France) 및 Chromagar Salmonella(Chromagar Microbiology, France)를 사용하였다.
균총을 조사하기 위해, LB agar 및 상기 세 가지 선택배지 평판에 희석된 시료를 각각 100 ㎕씩 분주하여 도말한 후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균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총균의 경우 발효 매실박 3.0% 사료 급여구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5), 유산균은 다른 처리구에 비해 발효 매실박 1.5% 사료 급여구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E. coli, Enterococcus sp., S. aureusCitrobacter의 장내 균총에 대하여 발효 매실박 3.0% 사료 급여구에서 전반적으로 낮은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표 17 참조).
Figure pat00012
2-4. 통계분석
상기 모든 결과에 대한 통계분석은 Stastical Analysis System(SAS Institute, 2002)의 일반 선형 모델(General Linear Model, GLM)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유의차가 인정되는 경우 던컨의 다중검정(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해 처리간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실험예 3. 산란계에 대한 발효 매실박의 급여 효과 확인
3-1. 공시동물
산란계에 대한 발효 매실박의 급여가 사육성적과 장내 미생물의 분포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60주량 Hy-Line Brown 산란계 180수를 실험동물로 공시하여 각 처리구별 60수, 반복당 10수씩 산란율이 유사하도록 실험용 케이지에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3-2. 사료제조 및 급여
항생제 등 성장 촉진 인자를 첨가하지 않은 일반 무항생제 사료를 기초로 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발효 매실박 추출물을 사료 총 중량에 대해 각각 1.5 및 3.0%로 첨가한 실험군과, 무항생제 사료를 급여하는 대조군 하는 3개의 처리구로 구성하고, 각 처리구당 6반복으로 설계하였다.
이때 사료는 옥수수와 대두박을 기초로 하여 질소보정진정대사에너지(TMEn)를 2,800 ㎉/㎏으로, 조단백질 함량을 18%가 되도록 동일하게 배합하였으며, 실험사료 내 다른 영양소 함량은 NRC 요구량(NRC, Nutrient Requirements of Poultry, 9th ed.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1994)을 충족시키거나 상회하는 수준으로 배합하였다(표 18 참조).
공시 산란계는 3단 단수 철제 케이지(수당 가로×세로×깊이: 23.5×40×35 ㎝)에서 6주 동안 사육하였으며, 실험사료는 하루 120 g으로 제한 급이를 실시하고, 물은 자유 음수 시켰으며 점등은 전 실험기간 동안 20시간 점등, 4시간 소등으로 고정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발효 매실박 첨가 사료는 상기 무항생제 사료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발효 매실박 추출물을 각각 1.5 및 3.0%로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13
3-3. 조사항목 및 방법
(1) 난생산성
실험기간 동안 매일 오후 2시 30분에 수집한 정상란 개수와 연란, 파란 등을 합한 총 산란 개수를 사육수 수로 나누어 산란율을 구하였으며, 2주 간격으로 수집된 정상란 전부의 무게를 측정하여 정상란 수로 나누어 평균 난중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난생산성은 대조구에 비하여 발효 매실박 1.5%와 3.0% 사료 급여구에서 전반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실험기간(6주) 동안의 평균 난생산성은 발효 매실박 1.5% 사료 급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또한, 난중의 경우 통계적인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6주 동안의 평균 일 산란량은 발효 매실박의 급여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표 19 참조).
Figure pat00014
(2) 난질 및 난각질
실험사료 급여 후 2주 단위로 생산된 계란을 반복구당 5개씩 수집하여 난각강도, 난각두께 등 난각질 관련 항목을 조사하였다. 이때, 난각강도는 난각강도계(FHK 卵殼强度計, 富士平工業株式會社, Japan)를 이용하여 계란의 둔단부를 위로 하고 수직으로 고정한 후 압력을 가하여 파각되는 순간의 압력을 측정하였으며, 난각강도 측정 후 난각두께는 계란 중앙부의 난각 파편을 채취하여 난각후도계(FHK Peacock, 富士平工業株式會社, Japan)를 통해 측정한 두께의 평균치로 하였다.
또한, 난백의 높이를 조사하여 난중(Egg weight)을 대비한 신선도(Haugh unit)를 구하였으며(FHK, Japan), 난황색은 로쉐 색깔팬(Roche color fan)과 대조한 색도로서 표시하였다.
또한, 난간색은 색도를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해 난각색도계(QCM+TM, Technical Services and Supplies, Englan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하기 표 20은 본 발명의 발효 매실박을 산란계에 급여하였을 때의 난각질, 난질을 평가한 것이다.
발효 매실박 3.0% 사료 급여구의 난각의 강도와 두께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난각의 색은 발효 매실박 1.5% 사료 급여구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p<0.05). 또한, 신선도(Haugh unit) 역시 발효 매실박 1.5% 사료 급여구에서 전체적으로 높은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15
(3) 계란의 지질특성
① 계란 내 지질함량
폴치 등의 방법(Folch, J., M. Lee, and G. H. Sloane-Stanley.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 J. Biol. Chem., 226:497-509. 1957)을 응용하여 계란(난황 1g) 내의 총 지질을 추출하였으며, 안 등의 방법(An, B. K., H. Nishiyama, K. Tanaka, S. Ohtani, T. Iwata, K. Tsutsumi, and M. Kasai. Dietary safflower phospholipid reduces liver lipids in laying hens. Poult. Sci. 76:689-695. 1997)에 따라 IATRO SCAN(MK-6 TLC/FID analyzer, Iatron Laboratories, Inc., Tokyo, Japan)으로 계란 내의 각 지질분획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또한, 계란 내 지질함량의 세부적인 분석은 실험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계란 내 함량(㎎/g) = (Wx/Ws) × 내부표준물질(㎎)/시료(㎎) × 10
그 결과,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 인지질의 수치는 발효 매실박 1.5% 사료 급여구에서 모두 낮은 경향을 보였다(표 21 참조).
Figure pat00016
(4) 분 중 미생물 균총
실험 6주차 종료 시에 각 반복별로 3수씩 수집한 분변(처리구별 18수, 총 54수)을 균총 검사 전까지 -20℃에서 보관하였다. 분변 1 g에 0.85% 식염수 완충액(saline buffer) 9 ㎖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10-1부터 10-6까지 각각의 비율로 희석하여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균수를 측정하였다.
전반적으로 모든 균총은 분변 g당 106~109 cfu로 나타났으며, 총균의 경우 처리구별 사이에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유산균 수의 경우에는 대조구에 비하여 발효 매실박 3.0% 사료 급여구에서 3배에서 4배 사이로 증가하였으며, E. Coli는 발효 매실박 3.0% 사료 급여구에서 2배 감소하였다(표 22 참조).
Figure pat00017
3-4. 통계분석
상기 모든 결과에 대한 통계분석은 Stastical Analysis System(SAS Institute, 2002)의 일반 선형 모델(General Linear Model, GLM)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유의차가 인정되는 경우 던컨의 다중검정(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해 처리간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이상,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매실농축액을 추출한 후 수분과 씨를 제거하지 않고 통째로 2~3개월간 자연발효 시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매실박 추출물.
  2. 발효 매실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금류 사료 첨가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매실박은 매실농축액 추출 부산물로서 매실농축액을 추출한 후 수분과 씨를 제거하지 않고 통째로 2~3개월간 자연발효 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 사료 첨가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첨가제는 사료와 함께 사료 총 중량의 0.1~10%를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 사료 첨가제.
  5. 제 2항의 발효 매실박 사료 첨가제를 1일 1회 사료와 함께 사료 총 중량의 0.1~10%를 육계 또는 산란계에게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 사육 방법.
KR1020100014577A 2010-02-18 2010-02-18 발효 매실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금류 사료첨가제 KR201100948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577A KR20110094871A (ko) 2010-02-18 2010-02-18 발효 매실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금류 사료첨가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577A KR20110094871A (ko) 2010-02-18 2010-02-18 발효 매실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금류 사료첨가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871A true KR20110094871A (ko) 2011-08-24

Family

ID=44930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577A KR20110094871A (ko) 2010-02-18 2010-02-18 발효 매실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금류 사료첨가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487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048B1 (ko) * 2011-11-07 2014-01-24 대한민국 홍삼박을 함유한 산란계 사료 조성물
KR101871771B1 (ko) 2017-02-28 2018-06-27 주식회사 계림당 우렁이 유효성분과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음료 제조방법
KR102434892B1 (ko) * 2021-07-12 2022-08-19 백인혁 매실 착즙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사료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048B1 (ko) * 2011-11-07 2014-01-24 대한민국 홍삼박을 함유한 산란계 사료 조성물
KR101871771B1 (ko) 2017-02-28 2018-06-27 주식회사 계림당 우렁이 유효성분과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음료 제조방법
KR102434892B1 (ko) * 2021-07-12 2022-08-19 백인혁 매실 착즙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사료 조성물
WO2023287017A1 (ko) * 2021-07-12 2023-01-19 백인혁 매실 착즙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사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erdous et al. Beneficial effects of probiotic and phytobiotic as growth promoter alternative to antibiotic for safe broiler production
El Jeni et al. Probiotics and potential applications for alternative poultry production systems
Ahmed et al. Effects of dietary natural and fermented herb combination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traits and meat quality in grower-finisher pigs
Zheng et al. The dietary effects of fermented Chlorella vulgaris (CBT®) on production performance, liver lipids and intestinal microflora in laying hens
Yakhkeshi et al. The effects of comparison of herbal extracts, antibiotic, probiotic and organic acid on serum lipids, immune response, GIT microbial population, intestinal morphology and performance of broilers
Zhao et al. Effect of Portulaca oleracea extracts on growth performance and microbial populations in ceca of broilers
CN102292430B (zh) 单胃动物饲料
KR100816957B1 (ko) 녹차와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기능성 발효녹차미생물제 및 그 제조방법과 그것을 이용한 돼지의 사육방법과 그로부터 얻어진 돈육
CN107996823A (zh) 复合益生菌发酵饲料及其制备方法和用途
Shah et al.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treated King grass silage on the performance traits and serum metabolites in New Zealand white rabbits (Oryctolagus cuniculus)
Elbaz et al. Effect of dietary probiotic, antibiotic or combination on broiler performance, cecum microbial population and ileal development
Cécere et al. Addition of propolis to milk improves lactating lamb’s growth: Effect on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immune responses in animals
Zhang et al. Alleviating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benzoic acid, Enterococcus faecium and essential oil complex on coccidia and Clostridium perfringens challenge in laying hens
Denli et al. Replacement of antibiotics in poultry diets.
KR20200080867A (ko) 발효된 주스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Jabri et al. Effect of Olive leaves extract supplementation in drinking water on zootechnical performances and cecal microbiota balance of broiler chickens
KR20110094871A (ko) 발효 매실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금류 사료첨가제
Sugiharto et al. Effect of a Fermented Mixture of Papaya Leaf and Seed Meal on Production Traits and Intestinal Ecology of the Indonesian Indigenous Crossbred Chickens.
Benlemlih et al. The effect of supplementing diets with dried fennel and thyme on the zootechnical parameters and caecal microflora of growing rabbit
KR20110096701A (ko) 발효미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금류 사료첨가제
Brzóska et al. Effect of Pediococcus spp. in feed instead of antibiotic on broiler chicken body weight, mortality, slaughter traits and meat quality
Kaplan et al.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a herbal extract on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 quails raised under thermal-neutral and heat stress conditions.
Sheikh et al. Effect of probiotics mix supplementation on haemato-biochemical parameters and bacterial faecal shedding in Corriedale lambs fed paddy straw based complete feed
Khan et al. Lower illeal microflora and growth performance of broilers supplemented with organic acid blend (Aciflex®) during starter phase
Ipcak et al. Addition of capsicum oleoresin, Carvacrol, Cinnamaldehyde and their mixtures to the broiler mixed feed I.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intestinal microflora, some blood parameters and IGF-1 gene expression lev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