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6405A - 마이봄선을 표적화하는 영양 보충물 - Google Patents

마이봄선을 표적화하는 영양 보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6405A
KR20150126405A KR1020157027914A KR20157027914A KR20150126405A KR 20150126405 A KR20150126405 A KR 20150126405A KR 1020157027914 A KR1020157027914 A KR 1020157027914A KR 20157027914 A KR20157027914 A KR 20157027914A KR 20150126405 A KR20150126405 A KR 20150126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mega
effective amount
inflammatory
amount
fatty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7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4850B1 (ko
Inventor
에스. 그레고리 스미스
마이클 비. 그로스
올레이 이. 산네스
Original Assignee
피지션즈 레커멘디드 뉴트리슈티컬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94705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5012640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피지션즈 레커멘디드 뉴트리슈티컬즈, 엘엘씨 filed Critical 피지션즈 레커멘디드 뉴트리슈티컬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50126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6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4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48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23L1/300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61K31/20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e.g. linoleni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23L33/12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3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 A61K31/23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e.g. etretin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9Compounds containing 9, 10- seco-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 A61K31/5939,10-Secocholestane derivatives, e.g. cholecalciferol, i.e. vitamin D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6Fatty acids
    • A23V2250/1868Docosahexaen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6Fatty acids
    • A23V2250/187Eicosapentaen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6Fatty acids
    • A23V2250/1874Linole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성안의 증상, 후방안검염(posterior blepharitis) 및/또는 마이봄선(meibomian gland) 기능장애를 앓는 환자에서, 오메가-3 지수를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 눈물의 지질층을 향상 또는 개선시키고 눈물막 파괴시간(tear break up time)을 증가시키고 눈물 삼투압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마이봄선의 마이봄 조성의 질을 개선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마이봄 조성 중 각각, 항염증성으로 작용하는 오메가-3의 양에서의 증가를 촉진시키고, 염증성으로 작용하는 오메가-6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을 갖는 환자에게 오메가-3 지방산의 보충물를 투여함으로써, 눈물의 지질층을 정상화하고 연관된 증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오메가-3의 보충물은 에스테르화 또는 재-에스테르화 트리글리세리드 형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이봄선을 표적화하는 영양 보충물{Nutritional supplement targeting meibomian gland}
본 발명은 건성안의 증상, 후방안검염(posterior blepharitis) 및/또는 마이봄선(meibomian gland) 기능장애를 앓는 환자에서, 오메가-3 지수를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 눈물의 지질층을 개선 및 향상시키고 눈물막 파괴시간(tear break up time)을 증가시키는 방법 및,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이봄 조성 중 각각 항염증으로서 작용하는 오메가-3의 양에서의 증가를 촉진시키고 염증으로서 작용하는 오메가-6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을 갖는 환자에게 오메가-3 지방산의 보충물을 투여함으로써, 눈물의 지질층을 정상화하고 건성안, 후방안검염 및/또는 마이봄선 기능장애의 증상을 효과적으로 감소 또는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성안은 안구를 윤활시키고 안구에 영양을 공급하는 불충분한 눈물이 존재하는 상태이다. 눈물은 안구의 앞 표면의 건강을 유지시키고 맑은 시야를 제공하는데 필요하다. 건성안을 갖는 사람은 충분한 눈물을 생성하지 않거나 불량한 질의 눈물을 갖는다. 눈꺼풀을 깜빡꺼릴 때마다, 눈물은 윤활을 제공하고, 이물질을 씻어버리며 안구 표면을 매끄럽고 맑게 유지하기 위하여 각막 전역에 퍼진다.
눈물은 눈꺼풀 내 및 그 주변의 여러 선(gland)에 의해 생성된다. 정상적인 양의 눈물 생성이 감소하거나 각막 표면으로부터 눈물이 너무 빠르게 증발할 경우, 건성안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인식되는 바와 같이, 눈물은 오일, 물 및 점액으로 이루어진다. 각 요소가 안구의 앞 표면을 보호하고 영양을 공급하는데 있어서 특정된 기능을 제공한다. 매끄러운 오일층이 물 층의 증발을 방지하는 것을 돕고, 점액층(mucin layer)이 안구 표면 전역에 고르게 눈물을 퍼지게 하는데 있어서 기능한다. 3개의 눈물층 중 어느 것에 의한 결핍의 결과 눈물이 너무 빠르게 증발하거나 각막 전역에 고르게 퍼지지 않는 경우, 건성안 또는 후방안검염의 증상이 뒤따를 수 있다.
눈꺼풀의 가장자리(margin)를 따라, 마이봄선으로 불리는 일련의 작은 피지선이 존재한다. 마이봄선은, 눈물의 지질층을 구성하는 유성 물질인 마이봄의 공급을 생성하고 분배한다. 마이봄의 공급은 안구를 촉촉하게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기능을 하고 눈물막을 증발로부터 보호하는 경향이 있다. 대략 윗눈꺼풀 상에 25개의 마이봄선 및 아래 눈꺼풀 상에 25개의 마이봄선이 존재한다. 눈을 깜빡임에 의해, 윗눈꺼풀이 내려오고, 마이봄선에 의해 생성되는 유성 물질을 누르고, 한 시트의(a sheet of) 이 유성 물질을 상향으로 당김으로써, 그 밑의 눈물층을 코팅시켜 증발되지 못하게 한다. 그러므로 마이봄선에 의해 생성되는 (지질이 주요 성분인) 이 유성 물질 또는 마이봄은 건강한 안구 및 맑은 시야에 있어서 결정적이다.
마이봄선염(meibomianitis)은 당해 분야에서 마이봄선 기능장애로도 언급되는 마이봄선의 염증 또는 기능장애를 의미한다. 오메가-6 필수 지방산의 증가된 조성의 결과로 성질상 염증유발성인 마이봄의 생성으로 인해 마이봄선의 염증이 발생할 수 있다. 두 번째로, 박테리아가 마이봄선을 침입하고 그곳에 콜로니를 형성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일단 염증이 발생하면, 마이봄선은 통상적으로 안구를 적절하게 윤활시키는데 필요한 오일의 양과 질을 적절하게 생성하는 충분한 방식으로 기능하지 않을 것이다.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으로부터 생성되는 오일의 부피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고 생성되는 오일은, 치약과 같이, 조성에 있어서 점성이 더 높아진다. 또한, 이들 오일은 그의 특성상 비정상적이 된다. 수성층 전역에 고르게 퍼지는 것 대신, 오일이 합쳐져(coalesce), 수성분이 증발할 수 있는 각막 표면상의 영역 및 오일이 각막 표면 자체에 부착되는 기타 영역을 이탈한다. 이는 수성분이 침투할 수 없는 각막상에 건조점(dry spot)을 생성한다. 그와 같은 상태는 통상적으로 이물질 감각을 생성하고 그것이 지속될 경우, 검사시 각막 염색으로 확인되는 상피에 대한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그러므로, 오일 생성의 감소는 본질적으로 유성층의 질과 양에서의 양적 감소를 초래하여, 눈물을 보다 신속하게 증발하도록 유발한다. 점도가 높은 오일(thickened oil)이 안구를 적절하게 코팅하지 못하므로,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을 갖는 사람은, 하기를 한정으로서가 아닌 예로서 포함하는, 그의 안구에 의한 불편 또는 문제를 경험할 수 있다: (1) 건조; (2) 화끈거림(burning); (3) 가려움; (4) 자극 및 발적; (5) 시야 흐림(blurred vision); 및/또는 (6) 이물질 감각.
또한, 이 염증 과정은 눈꺼풀의 가장자리 전체에 퍼지고 안구 표면을 포함하도록 번져 상당한 안구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위아래 눈꺼풀에서 마이봄선의 염증은 추가로 혈관신생 및 섬유화를 야기하여, 협착증 및 그 후 마이봄선 오리피스(orifice)의 폐쇄를 유발할 수 있다. 증발을 억제하는 마이봄 또는 지질이 없는 경우, 눈물막 증발이 통상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유사하게, 눈물막의 결핍은 통상적으로 안구의 자극을 초래하나, 또한 안구 표면에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인식되는 바와 같이, 불규칙한 오일 패턴은 눈물을 파괴하고 대기에 대한 수성층의 증가된 노출 및 수성분의 증가된 증발을 가능하게 한다. 불행하게도, 마이봄선의 이 염증이 발생된 상태가 종종 만성인 것으로 밝혀졌다.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고려된 마이봄선염에 대한 치료 중 일부는 하기를 포함한다: (1) 인공 눈물의 적용; (2) 순한 베이비 샴푸를 이용한 발병된(affected) 눈꺼풀 가장자리의 세척; 및 (3) 정상적인 눈꺼풀 선의 기능을 촉진하기 위한 노력으로 1일 2 내지 3회 5-10분 따뜻하고 촉촉한 것을 적용하여 누르는 것. 또한, 의사는 하기와 같은 국소의 및/또는 경구 항생제, 예를 들면, 테트라시클린, 에리트로미신, 또는 독시시클린을 처방하여 선 내 발견되는 박테리아를 근절하는 것을 돕고 마이봄선으로부터 점도 높은 지질 분비물의 분해를 촉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여러 치료는 종종 치료받은 환자가 상당한 개선을 인식하기 전 수개월이 소요될 수 있다.
박테리아의 제거 또는 항생제의 항-염증 효과가 일시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것에도 불구하고, 알려진 치료적 방법론 중 어느 것도 환자에게 장기-지속되는 경감을 제공하지 않았다. 마이봄선 기능장애에 관계없이 환자에 의해 경험되는 건성안과 연관된 진행중인 증상에 대해 지속가능한 형태의 경감을 제공하기를 희망하면서, 눈물막 및 안구 표면에 대한 아마씨유와 생선유 조합의 식이 보충물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한 연구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수행되었다. 기저선에서, 연구의 모든 환자가 건성안의 병력 또는 하나 이상의 후방안검염의 증상을 가졌다. 연구의 말미에서, 임상 결과는 통계적 유의성을 달성하지 않았고, 여기서 오메가-3 보충된 군으로부터 수집된 시료의 지질 조성이 플라세보 군으로부터 수집된 것과 매우 유사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건성안 또는 마이봄선염을 치료하기 위한 아마씨유 및 오메가-3 지방산의 식이 보충물이 마이봄 조성 또는 수성 눈물 증발 속도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렸다.
전술과 일치하게, 건성안, 후방안검염, 또는 마이봄선 기능장애의 장기 효과를 조절 또는 해결하기 위하여, 마이봄선에 의해 생성되는 오일 (마이봄)의 특성 또는 성질이 정상화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요구되는 것은, 마이봄 조성의 질을 효과적으로 변화시켜, 건성안, 후방안검염, 및/또는 마이봄선 기능장애와 연관된 증상을 감소시키는 눈물 지질층의 기능 및/또는 조성을 향상 및 개선시키는 것과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갖는 마이봄 조성을 제공하는, 영양 또는 식이 보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치료 방법론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건성안의 증상을 앓는 환자에게 오메가-3 지방산의 보충물의 투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오메가-3 지방산의 보충물이 각각, 치료된 마이봄선의, 항-염증성으로 작용하는, 결과로 얻은 오메가-3의 함량에서의 증가, 및 염증성으로 작용하는, 결과로 얻은 오메가-6 (아라키돈산)의 양에서의 감소를 촉진하는데 충분한 유효량으로 제공되어, 눈물의 지질층의 정상화 및 연관된 건성안 증상에서의 상응하는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인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후방안검염의 증상을 앓는 환자에게 오메가-3 지방산 보충물을 투여하는 방법으로서, 재-에스테르화 트리글리세리드 형태의 오메가-3 지방산의 보충물이 효과적으로 마이봄 조성의 질을 변화시키는데 충분한 유효량으로 제공되어, 눈물막 파괴 시간을 개선 또는 증가시키고, 눈물 삼투압을 감소시키고, 오메가-3 지수를 상승시키는 반면, 후방안검염의 관련 증상을 제거 또는 감소시키는 치료된 마이봄 조성을 제공하는 것인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마이봄선염의 증상을 앓는 환자에게 오메가-3 지방산의 보충물을 투여하는 방법으로서, 재-에스테르화 트리글리세리드 형태의 오메가-3 지방산의 보충물이 효과적으로 마이봄 조성의 질을 변화시키는데 충분한 유효량으로 제공되어, 눈물막 파괴 시간을 개선 또는 증가시키고, 눈물 삼투압을 감소시키고, 오메가-3 지수를 상승시키는 반면, 마이봄선염의 관련 증상을 제거 또는 감소시키는 마이봄 조성을 제공하는 것인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체내에서 발견되는 피지선에 의해 생성되는 오일의 조성을 염증-유발성 오메가-6에서 항-염증성 오메가-3으로 변화시키는 방법으로서, 그에 의해 본 명세서에서 교시된 바와 같이 1일 투여량의 오메가-3 지방산의 보충물을 투여하는 것에 의해 치료된 선의 오일 생성을 정상화시키는 것인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이봄선에 의해 생성되는 마이봄의 조성을 염증-유발성 오메가-6에서 항-염증성 오메가-3로 개선시키는 방법으로서, 그에 의해 본 명세서에서 교시된 바와 같이 1일 투여량의 오메가-3 지방산의 보충물을 투여하는 것에 의해 마이봄선의 오일 생성을 정상화시키는 것인 방법을 교시한다.
전술과 일치하게, 본 발명은 건성안, 후방안검염 및/또는 마이봄선염의 증상을 앓는 환자에게 오메가-3 지방산의 보충물을 투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메가-3 지방산의 보충물은 마이봄선에 의해 생성되는 오일 (마이봄)의 조성을 염증-유발성 오메가-6에서 항-염증성 오메가-3로 변화시켜, 눈물막 파괴 시간을 개선 또는 증가시키고, 눈물 삼투압을 감소시키고, 오메가-3 지수를 상승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건성안, 후방안검염 또는 마이봄선염 (마이봄선 기능장애)을 제거 또는 감소시키기 위하여 마이봄선의 오일 생성을 정상화시키도록 제제화된 양으로 투여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유효량의 오메가-3 지방산을 포함하는 영양 또는 식이 보충 조성물을 투여함에 의해 마이봄선 염증 또는 기능장애와 연관된 건성안을 치료 및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보충물은 약 600 mg 내지 약 5,000 mg을 포함하는 1일 투여량을 포함하는 오메가-3 지방산의 유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오메가-3의 유효량은 재-에스테르화 트리글리세리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유효량의 오메가-3 지방산은 유효량의 에이코사펜타엔산 (EPA)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유효량의 EPA의 1일 투여량은 600 mg을 초과하는 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유효량의 오메가-3 지방산은 유효량의 도코사헥사엔산 (DHA)을 포함할 수 있다. 유효량의 DHA의 1일 투여량은 500 mg을 초과하는 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유효량의 오메가-3 지방산은 약 2,000 mg 내지 약 3,000 mg을 포함하는 1일 투여량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 유효량의 오메가-3 지방산은 유효량의 에이코사펜타엔산 (EPA) 및 유효량의 도코사헥사엔산 (DHA)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유효량의 EPA의 1일 투여량은 약 1,600 mg 내지 약 2,500 mg의 양을 포함할 수 있고 유효량의 DHA의 1일 투여량은 약 500 mg 내지 약 900 mg의 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메가-3 지방산의 추가적인 양이 투여되는 조성물 중에 포함될 수 있다. 이 추가의 오메가-3 지방산은 약 400 mg 내지 약 700 mg의 1일 투여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영양 또는 식이 보충 조성물은 유효량의 비타민 D (D3로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유효량의 비타민 D는 약 500 IU 내지 약 2,000 IU의 1일 투여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고려되는 바와 같이, 마이봄선의 마이봄 조성물의 질을 효과적으로 변화시키는 본 발명의 식이 또는 영양 보충 조성물의 투여가 연질겔, 정제, 액체, 과립, 미립자, 분말, 또는 기타 유효한 것으로 여겨지는 전달 시스템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본 명세서에 통상 기술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범위의 상이한 제조법으로 변형, 배열 및 설계될 수 있다는 것이 즉시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 및 시스템 및 방법의 구체예에 대한 하기 보다 상세한 기술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 청구된 만큼 넓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재-에스테르화 트리글리세리드 형태의 오메가-3(omega-3's in the re-esterified triglyceride form)"는 해양 및 기타 공급원으로부터 유래되는 오메가-3을 포함한다. 인식되는 바와 같이, 생선 중에 오메가-3은 트리글리세리드 형태로 존재한다. 해양 공급의 지방산은 이들 공급원에 보통 우세한 수은 및 기타 중금속 및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흡착제 및 분자 증류의 사용에 의해 정제를 경험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 정제 과정은, 대다수의 OTC 오메가-3 생성물이 판매되는 방식인 에틸 에스테르 형태로 존재하는 오메가-3을 제공한다. 연구에서 이용되고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되는 바와 같이, 해양 공급원으로부터 유래되는 오메가-3은, 오메가-3에 트리글리세리드 기를 복원시키기 위한 (rTG) 추가의 재-에스테르화 단계를 경험하였다. 결과적으로, 이 추가의, 오메가-3의 재-에스테르화 단계가 연구에 설명된 바와 같이 오메가-3를 흡수하는 신체의 능력을 크게 증가시켰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유효량(effective amount)"은 눈물의 지질층을 개선시키는 반면, 건성안, 후방안검염 및/또는 마이봄선의 관련 증상을 제거 또는 감소시키는 것과 직접적인 상관성을 갖는 마이봄 농도의 질을 효과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오메가-3 지방산의 양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건성안, 마이봄선염, 마이봄선 기능장애, 후방안검염 및 안검염(dry eye, meibomianitis, meibomian gland dysfunction, posterior blepharitis and blepharitis)"은 동의어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유효량의 오메가-3 지방산을 포함하는 영양 또는 식이 보충 조성물을 투여함에 의해 마이봄선 염증 또는 기능장애와 연관되는 건성안을 치료 및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이 보충물은 약 600 mg 내지 약 5,000 mg을 포함하는 1일 투여량을 포함하는 오메가-3 지방산의 유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유효량의 오메가-3 지방산은 유효량의 에이코사펜타엔산 (EPA)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유효량의 EPA의 1일 투여량은 600 mg을 초과하는 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유효량의 오메가-3 지방산은 유효량의 도코사헥사엔산 (DHA)을 포함할 수 있다. 유효량의 DHA의 1일 투여량은 500 mg을 초과하는 양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식이 또는 영양 보충물은 약 2,000 mg 내지 약 3,000 mg의 유효량을 포함하는 1일 투여량을 포함하는 유효량의 오메가-3 지방산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유효량의 오메가-3 지방산은 유효량의 에이코사펜타엔산 (EPA) 및 유효량의 도코사헥사엔산 (DHA)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유효량의 EPA의 1일 투여량은 약 1,600 mg 내지 약 2,500 mg의 양을 포함할 수 있고 유효량의 DHA의 1일 투여량은 약 500 mg 내지 약 900 mg의 양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인식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이 또는 영양 보충 조성물은, 한정으로서가 아닌 예로서, 트리글리세리드 형태, 재-에스테르화 트리글리세리드 농축물, 에틸 에스테르 형태, 유리 지방산 형태, 인지질 형태, 또는, 눈물의 지질층을 개선시키는 반면, 건성안 또는 마이봄선염의 관련 증상을 제거 또는 감소시키는 것과 직접적인 상관성을 갖는 마이봄선의 마이봄 조성의 질을 효과적으로 변화시키는데 충분한 기타 적합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는 오메가-3 지방산을 포함한다. 오메가-3의 보충물이 농축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는 반면, 유닛 부피 중 100%까지 오메가-3일 수 있다는 것이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눈물막 파괴 시간을 개선 또는 증가시키고, 눈물 삼투압을 감소시키고, 오메가-3 지수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 또는 기능장애인 마이봄선의 마이봄 농도의 질을 변화시키기 위한, 건성안, 후방안검염, 마이봄선염을 치료하기 위해 투여되는 식이 또는 영양 보충물 오메가-3 조성물은 재-에스테르화 트리글리세리드 형태의 오메가-3 지방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이 또는 영양 보충물 중에 포함되는 유효량의 에이코사펜타엔산 (EPA) 및/또는 유효량의 도코사헥사엔산 (DHA)은 알려진 공급원, 예를 들면 하기와 같고, 한정으로서가 아닌, 생선, 조류(algae), 오징어, 효모, 및 채소 공급원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또한, 스테아리돈산(stearidonic acid)이 EPA 및 DHA의 전구체이고 스테아리돈산이 풍부한 산물을 소비하는 것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이득을 달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된다.
본 발명의 영양 또는 식이 보충 조성물의 선택된 구체예에서, 유효량의 EPA/DHA가 각각, 약 800 mg 내지 1,250 mg 및 약 250 mg 내지 약 450 mg 범위의 양을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연질겔 캡슐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목적으로, 본 발명의 특정의 구체예에서, 1일 투여량은 각각 840 mg 및 280 mg의 양을 포함하는 유효량의 EPA/DHA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이 유효량의 EPA/DHA 형태가 3:1의 EPA/DHA 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선택된 구체예에서, 각 캡슐 중 EPA/DHA의 비율이 약 800 mg 내지 1,250 mg의 EPA 및 약 250 mg 내지 450 mg의 DHA의 범위로 존재할 수 있고, 그에 의해 두 캡슐이 1일 유효 투여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메가-3 지방산의 추가적인 양이 투여되는 조성물 중에 포함될 수 있다. 이 추가의 오메가-3 지방산은 약 400 mg 내지 약 700 mg의 1일 투여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영양 또는 식이 보충 조성물은 유효량의 비타민 D (D3로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유효량의 비타민 D는 약 500 IU 내지 약 2,000 IU의 1일 투여량을 포함할 수 있다.
하기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임상 연구가 수행되었다.
목적:
건성안 및 마이봄선 기능장애의 증상을 앓는 환자에 대한 재-에스테르화 트리글리세리드 형태의 오메가-3 지방산의 보충물의 경구 투여의 임상 효과를 평가하기 위함.
대상:
18-60세의 연령에 포함되고, 서면 고지된 동의(written informed consent)가 자발적으로 제공되고 연구 방문 일정에 맞출 수 있었던 총 21명의 대상자 또는 참가자가 등록되었다.
방문:
주치의에 의해 3회의 예정된 방문이 존재하였다. 제1 방문은 연구에의 포함을 위한 초기 기저선 분석을 포함하였다. 제2 방문은 4-주 추적 조사(follow-up)를 포함하였고 제3 방문은 8-주 추적 조사였다.
연구 집단:
참가자의 "포함"에 대한 연구 프로토콜의 파라미터가 하기 상태를 포함하였다: (1) 참가자는 고지된 동의에 서명할 때 18 내지 60세의 연령을 가져야 하고; (2) 연구 절차, 방문 일정, 및 제한사항을 이해하고 그에 완전히 맞출 의지를 갖고 있으며 가능하고, 가능성이 높아야 하며; (3) 건성안, 후방안검염, 및/또는 마이봄선염 기능장애의 증상을 갖는다.
참가자의 "배제"를 위한 연구 프로토콜의 파라미터가 하기 상태를 포함하였다: (1) 노치 변형(notch deformity), 불완전한 눈꺼풀 닫힘(incomplete lid closure), 안검 내반(entropion), 안검 외반(ectropion), 맥립종(hordeola), 또는 산립종(chalazia)과 같은 상태에 의해 유발되는 임상적으로 유의한 눈꺼풀 변형 또는 눈꺼풀 움직임 장애; (2) 하기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후유증을 남기거나 현재 DED를 위한 것 이외의 국소 안구 치료를 요구하는 이전의 안구 질환: 안구의 각막 또는 결막의 활성 감염 및 안구 표면 흉터; (3) 안구 또는 코의 활성 알레르기; (4) 방문 1의 1년 이내 또는 연구 중 임의의 시기에 수행된 LASIK 또는 PRK 수술; (5) 방문 1, 2, 또는 3의 2시간 이내에 안과 점안액의 사용; (6) 연구 중 임의의 시기에 임신 또는 수유; (7) 코눈물관(nasolacrimal drainage)의 비정상 (병력에 의함); (8) 이전의 눈물점 마개(punctal plug) 배치 또는 소작술(cauterization); 또는 (9) 항히스타민제, 항우울제, 이뇨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또는 면역-조절제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눈물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만성 전신성 약제의 투여를 방문 1, 2, 또는 3의 30일 이내에 개시 또는 변화시킴.
연구 설계:
이것은, 각 방문 사이에 약 4-주 간격을 갖는 3회 방문 과정에 걸친, 재-에스테르화 트리글리세리드 형태로 전달되는 오메가-3 지방산의 양에 의해 영양상의 치료적 요법을 경험하는, 건성안의 징후 및 증상을 갖는 참가자에 대한 단일-센터(single-center) 연구이다.
하기 임상 시험이 기저선의 각 참가자에 대해 수행되었다: (1) 대상의 증상을 점수화하고 정상 대상자와 건성안 질환 (정상, 경도 내지 중등도, 및 중증)을 갖는 환자를 구별하며 시력-관련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응답을 위한 그라데이션 스케일을 갖는, 요청되는 다수의 질문에 기초한 조사인 안구 표면 질환 지수(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2) 의사가 환자의 안구, 특히 눈꺼풀, 각막, 결막, 공막 및 홍채를 검사할 수 있도록 얇은 빔 중에서 빛나는 것(shine)에 초점을 맞출 수 있는 고-강도 광원과 조합된 저-전력 현미경의 사용을 포함하는 슬릿 램프 검사(Slit Lamp Examination); (3) 상피의 견고성 평가인 각막 염색(Corneal Staining); (4) 깜빡거림 후 각막 표면 상에 건조한 부위(dry spot)가 나타나는데 요구되는 시간을 결정하는 것에 의해 눈물막의 안정성을 결정하고 증발성(evaporative) 건성안을 조사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눈물막 파괴 시간 (Tear Break Up Time; TBUT); (5) 눈물의 삼투 용액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눈물 삼투압 (Tear Osmolarity) (TearLab®); (6) 마이봄 시료에 대하여 마스킨(Maskin) 프로브에 의해 마이봄선을 탐색함으로써 수행되는 HS Omega-3 지수 (OmegaQuant®)를 이용하는 EPA 및 DHA 적혈구 포화; 및 (7) 주어진 보충물에 의한 환자의 순응을 보장하기 위하여 혈액 오메가-3 수준이 수득되었음.
4개의 667 mg 캡슐로서, 각각 420 mg의 EPA, 140 mg의 DHA, 107 mg의 기타 오메가-3 및 250 mg의 비타민 D(D3)를 함유하는 재-에스테르화 트리글리세리드 형태 (rTG)의 2,668 mg의 1일 투여량을 포함하는 오메가-3 지방산의 보충물에 참가자를 두었다.
(1) HS Omega-3 Index (OmegaQuant®) 및 마이봄 분석을 제외한 모든 기저선 검사에 의해 4-주차 방문에서 참가자를 재평가하였다. 8-주차에, 기저선에서 수행된 모든 시험에 의해 참가자를 재평가하고, 또한, 각 참가자로부터 마이봄선 분비물을 수집하는데 Mastroda 패들을 이용하였다.
결과:
기저선에서 취해진 OSDI에 기초하여, 모든 21명의 참가자가 1차 통증의 감소를 보고하였고 21명의 환자 중 14명이 완전히 무증상(asymptomatic)이 되었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염증-유발성 에이코사노이드 유도체의 직접적인 전구체인 아라키돈산의 참가자의 수준은, 혈액에서 측정된 바와 같이 기저선에서의 12.2%로부터 8주차에 10.3%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004).
Figure pct00001
ARA= 아라키돈산; C20:4n6=아라키돈산; DPA=도코사펜타엔산; C22:5n6=도코사펜타엔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EPA의 참가자 수준이 RBC에서 기준선으로부터 8주차에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p<.00000) (각각 0.8% 및 3.2%) DHA 수준이 RBC에서 기준선으로부터 8주차에 증가하였다 (p<.00349) (각각 3.3% 및 4.1%).
Figure pct00002
(DHA=도코사헥사엔산; C22:6n3=도코사헥사엔산; EPA=에이코사펜타엔산; C20:5n3=에이코사펜타엔산)
이제 표 3에 관하여, 21명의 각 참가자에 대한 HS Omega-3 Index 점수가 제공된다.
HS 오메가-3 지수 점수
환자 # HS Omega 3/방문 1
지수 퍼센트
HS Omega 3/방문 2
지수 퍼센트
1 4.34% 9.52%
2 3.60% 5.05%
3 3.42% 7.74%
4 4.28% 7.46%
5 4.65% 6.78%
6 3.58% 7.70%
7 5.07% 9.79%
8 7.71% 9.63%
9 3.19% 6.15%
10 3.36% 7.24%
11 6.00% 8.08%
12 3.26% 8.11%
13 2.91% 6.76%
14 3.54% 6.81%
15 5.32% 9.65%
16 4.16% 6.76%
17 4.97% 9.20%
18 3.97% 8.64%
19 7.55% 9.44%
20 6.10% 6.08%
21 5.41% 7.09%
(HS-Omega-3 지수 퍼센트 = 오메가-3의 적혈구 막 포화)
표 4에 설명된 바와 같이, 눈물 삼투압이 8주의 검사 기간에 평균 17% 감소하였다.
눈물 삼투압
환자 # 방문 1 방문 2 방문 3
1 300/300 325/303 300/289
2 284/298 Px missed appt 315, 299 OD, 298 OS
3 290/307 305/293 286/300
4 307/303 309/288 303/309
5 345/318 302/292 292/308
6 349/305 301/306 310/317
7 305/301 330,302/292 305/303
8 337, below range, 311 323/297 320/334
9 308/298 300/315,285 308/303
10 298/292 289/288 275/296
11 279/280 276/below range x2 300/280
12 311/302 309/292 312/298
13 307/321 306/287 309/309
14 301/304 301/319 300/305
15 282/295 Px missed appt Unable gtts instilled
16 325/301 304/303 312/291
17 327/296,301 290/282 295/299
18 280/295 294/299 303/302
19 305/303 309/300 314/306
20 282/285 285/276 280/286
21 297/291 294/294 281/292
(밀리오스몰(milliosmol)의 좌안/우안의 삼투압) 나타낸 바와 같이, 환자들 사이에서 시작되는 삼투압에는 변이가 존재하였다. 삼투압을 조사한지 2시간 이내에 국소 점안액의 사용은 눈물에 대해 희석 효과를 가졌을 수 있으므로 환자 15의 검사에 대해 자격을 상실시켰다.
눈꺼풀의 가장자리에 대해 추적 스케일 상에서 등급을 매겼다 - 마이봄선 인스피세이션(insipisation)에 있어서 4. 임상 시험의 참가자들의 결과가 표 5에 설명되어 있다.
눈꺼풀 가장자리
환자 # 방문 1 방문 2 방문 3
1 irregular irreg slight irreg
2 1+ missed appt trace
3 tr-1 trace cl-tr
4 trace + clear - trace clear
5 irreg less irreg tr irreg
6 trace trace cl-tr
7 tr+ trace tr
8 tr-1 tr OD, tr-1 OS tr OU
9 tr+ w/ foam tr+ w/ foam tr no foam
10 irreg irreg mild irreg
11 1+ tr+ tr
12 tr-1 tr-1 tr-1 w/ foam
13 tr cl-tr cl OD, tr OS
14 irreg irreg slight irreg
15 3+OD, 4+OS missed appt 1+ OU
16 tr Tr cl-tr
17 tr OD, cl-tr OS cl-tr/irreg tr irreg
18 Tr/irreg tr/irreg mild irreg
19 tr-1 tr OD, cl-tr OS irreg
20 1+ tr-1 tr+
21 tr OD, tr-1 OS tr OD, tr-1 OS cl-tr OD, tr OS
(인스피세이션에 관한 마이봄선 외관의 등급화)
나타낸 바와 같이, 일부 환자는 인스피세이션을 갖지 않으나, 그들의 눈꺼풀 가장자리는 이전의 염증으로 인해 매끄러움 대비 불규칙하였다.
이제 표 6에 관하여, 8주차 눈물막 파괴 시간 (TBUT)의 개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00027).
눈물막 파괴 시간
환자 # 방문 1 방문 2 방문 3
1 2-3 sec OD, OS 3-4 sec OD, OS 4-5 OD, 3-4 OS
2 3 OD, OS, SPK OS>OD
missed appt
4 OD, OS no SPK OD, tr OS
3 3 sec OD, OS 3-4 OD, 2-3 OS 3 sec OU no SPK on any visit
4 3sec OU, SPK OD 3 OD, 4 OS, tr SPK OD 4-5 OU, no SPK
5 not noted, SPK OS>OD 4 OD, 5 OS tr SPK OU 4-5sec OU no SPK
6 3 sec OU 3 sec OU 4-5 OD, 4 OS no SPK on any visit
7 3 OU, tr SPK OU 3 OD, 4 OS, tr SPK OU 3 OU, minimal SPK OU
8 3 OU, SPK OD/denseOS 2-3 OU, Inf SPK OU 3-4 OD, 3 OS, minimal SPK inf OU
9 not noted, SPK OU sec ou, no SPK 4 sec OD, OS, no SPK
10 3-4 OD, 2 OS, SPKOD>OD
4 OD, 2-3 OS, tr SPK OS
4 OD, 3 OS, tr SPK OS
11 2-3 OD, 3 OS, no SPK not noted, no SPK 3 OU, minimal SPK OU
12 not noted 3 sec OU 4-5 sec OU
13 3-4 OD, 2-3 OS, SPK OS 4 OD, 3 OS, no SPK 4 OU, no SPK
14 1-2 OU, inf SPK OU 4 OD, 3 OS, Inf SPK OU 2-3 OD, 3 OS, tr SPK OU
15 Corneal Abrasions OU missed appt OD clear, Lt irreg
16 3 OU, tr SPK OU 4 OU, tr SPK OU 4 sec OU, no SPK OD, tr OS
17 3 OU, Inf SPK OU 3 OU, tr SPK OU
4 OD, 3-4 OS, sm tr SPK OU
18 3 OU, dense SPK OU 4 OU, no SPK OU 3 OU, tr inf SPK OU
19 3-4 OD, 3 OS no SPK OU 3 OD, 4-5 OS, tr SPK OD 3-4 OU, tr inf SPK OU
20 3 OU, no SPK 4-5 OU, mild SPK OU 4 OU, no SPK
21 2 OU, no SPK 2-3 OU, no SPK OU 3-4 OU, tr inf SPK OU
(초(second)의 눈물막 파괴시간)
나타낸 바와 같이, 19명의 참가자 중 15명이 기저선으로부터 그들의 TBUT의 연장을 입증하였다.
표 7 및 8에 설명된 바와 같이, 연구 참가자로부터 얻은 초기 시료로부터 마이봄 분석은, 13명의 참가자가 분석하기 불충분한 양의 오일을 갖는다는 것을 밝혔다. 판독가능했던 7명 중, 어느 참가자도 마이봄 중 오메가-3 지방산을 나타내지 않았다. 박테리아성 요소는 존재하는 오일 중 10 내지 15%를 포함하였다. 올레산 (18:1 w9c)은 34% 내지 60%를 포함하였다.
Figure pct00003
(이소 및 안티-이소는 박테리아성 요소를 나타냄)
Figure pct00004
8주 검사 기간에, 21개의 마이봄 시료 중 14개가 분석하기에 충분한 질을 가졌다. 모든 14개 마이봄 시료에 DHA (22:6n-3)가 존재하였다. DHA가 마이봄 조성 중 약 2% 내지 3% 존재하였다.
소량(trace), 1+, 2+, 3+, 및 4+의 스케일 상에서 각막 염색을 등급화하였다. 1등급의 개선은 임상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고려되었다. 21명의 환자 중 9명은 기저선에서의 각막 염색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나타낸 11명의 환자는 모두 4주차 검사의 슬릿 램프 검사에 의해 유의한 개선을 가졌다.
연구의 종점 부근에서, 모든 참가자가 개선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오메가-3 RBC 및 마이봄 조성에서의 증가가 기저선으로부터 눈물막 파괴 시간의 개선, 눈물 삼투압에서의 감소, 및 오메가-3 지수의 상승과 직접적인 상관성을 가졌다. 또한, 이 연구는 마이봄 자체 내의 오메가-3 지방산의 신규한 존재를 입증하였다.
하기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추가적인 임상 연구가 수행되었다:
목적:
건성안 및 마이봄선 기능장애의 증상을 앓는 환자의 마이봄에 대한 재-에스테르화 트리글리세리드 형태의 오메가-3 지방산의 보충물의 경구 투여의 임상 효과를 평가하기 위함.
개체/방문/연구 설계:
병원(clinic)으로부터 마이봄선 기능장애를 갖는 환자를 선택하였고 기저선 및 8주차에 Mastroda 패들을 이용하여 각 참가자로부터 마이봄 시료를 수득하였다. OmegaQuant® 시스템에 의해 분석하기 위하여 시료를 즉시 동결하고 드라이 아이스 상에서 보다 최근 날짜에 운송하였다. 4개의 667 mg 캡슐로서, 각각 420 mg의 EPA, 140 mg의 DHA, 107 mg의 기타 오메가-3 및 250 mg의 비타민 D(D3)를 함유하는 재-에스테르화 트리글리세리드 형태 (rTG)의 2,668 mg의 1일 투여량을 포함하는 오메가-3 지방산의 보충물에 참가자를 두었다.
결과:
18개의 이용가능한 참가자 시료 중 (3개 시료는 오염된 것으로 나타남), 12개가 거의 5배 및, 보다 구체적으로, 4.85배의 항-염증성 지방산 (오메가-3)의 수준에서 증가를 나타내었다. 염증성 지방산 (오메가-6)의 수준이 약 2배 감소하였다. 두 번째 연구의 결과는, OmegaQuant® 시스템의 사용에 의해 촉진되는 보다 정확한 분석 시스템에 의해 마이봄에서의 오메가-3의 증가를 나타낸 첫번째 연구의 발견을 확인한다.
또한, 이들 연구의 발견은, 눈을 깜빡거릴 때마다 염증성 물질, 즉 아라키돈산 (오메가-6)의 배드(bath)가 전체 안구 표면에 흐른다는 것을 나타낸다. 여기서, 리파아제 및 시클로옥시게나제와 같은 기타 효소가 이 화학물질을, 매우 강력한 염증제인 그의 프로스타글란딘 유도체로 분해시킬 기회를 갖는다. 재-에스테르화 트리글리세리드 형태의 오메가-3의 경구 보충물에 의해 처리될 경우, 마이봄은 눈을 깜빡거릴 때마다 염증성 배드로부터 항-염증성 배드로 변화된다. 염증성 성분을 약 2.5배 감소시키는 것은 마이봄에 의해 연속적으로 배딩된(bathed) 조직에 대해 극심한 영향을 미칠 것이고, 항-염증성에서 거의 5배의 증가로 변화하는 것이 안구 표면을 추가로 안정화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교시되는 바와 같이, 염증성 마이봄 대신 항-염증성 마이봄 중에서의 안구 표면의 배딩은, 재-에스테르화 트리글리세리드 형태이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투여량으로 전달되는 오메가-3의 보충물의 작용 기전이며, 그에 의해 상기 보충물이 건성안 증상의 해소, 눈물 삼투압, 눈물막 파괴 시간, 및 오메가의 혈액 포화를 개선시킨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여러 구체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통상 기술되고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양 또는 식이 보충 조성물은 다양한 제제 및 투여 형태로 합성될 것이다. 그러므로,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 제제 및 조성물의 구체예에 대한 하기 보다 상세한 기술은,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나, 단지 본 발명의 여러 고려되는 구체예를 대표하는 것이다.
실시예 I
마이봄선의 마이봄 조성 중 오메가-3 수준에서의 증가 및 오메가-6에서의 감소를 위해 투여되는 본 발명의 영양 또는 식이 보충 조성물에 대한 구체예의 1일 투여 제형이 하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된다:
오메가-3 지방산 600 mg - 5,000 mg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 또는 기능장애 마이봄선의 마이봄 농도의 질을 변화시키는 방법은, 마이봄 조성에서 각각 오메가-3의 수준을 증가시키고 오메가-6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실시예 I에 개시된 바와 같은 유효량의 오메가-3 지방산을 포함하는 보충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염증성 마이봄 대신 항-염증성 마이봄 중에 안구 표면을 배딩하는 것은, 건성안 증상의 해소를 개선시키고, 눈물 삼투압을 감소시키고, 눈물막 파괴 시간을 개선 또는 증가시키고, 및 오메가-3의 혈액 포화를 위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투여량으로 전달되는 오메가-3의 보충물의 작용기전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오메가-3 지방산은 에스테르화 또는 재-에스테르화 트리글리세르 형태를 포함한다.
실시예 II
마이봄선의 마이봄 조성 중 오메가-3 수준에서의 증가 및 오메가-6에서의 감소를 위해 투여되는 본 발명의 영양 또는 식이 보충 조성물에 대한 구체예의 1일 투여 제형이 하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된다
오메가-3 지방산 1,000 mg - 3,000 mg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 또는 기능장애 마이봄선의 마이봄 농도의 질을 변화시키는 방법은, 마이봄 조성에서 각각 오메가-3의 수준을 증가시키고 오메가-6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실시예 II에 개시된 바와 같은 유효량의 오메가-3 지방산을 포함하는 보충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염증성 마이봄 대신 항-염증성 마이봄 중에 안구 표면을 배딩하는 것은, 건성안 증상의 해소를 개선시키고, 눈물 삼투압을 감소시키고, 눈물막 파괴 시간을 개선 또는 증가시키고, 및 오메가-3의 혈액 포화를 위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투여량으로 전달되는 오메가-3의 보충물의 작용기전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오메가-3 지방산은 에스테르화 또는 재-에스테르화 트리글리세르 형태를 포함한다.
실시예 III
마이봄선의 마이봄 조성 중 오메가-3 수준에서의 증가 및 오메가-6에서의 감소를 위해 투여되는 본 발명의 영양 또는 식이 보충 조성물에 대한 구체예의 1일 투여 제형이 하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된다:
오메가-3 지방산 2,000 mg - 3,000 mg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 또는 기능장애 마이봄선의 마이봄 농도의 질을 변화시키는 방법은, 마이봄 조성에서 각각 오메가-3의 수준을 증가시키고 오메가-6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실시예 III에 개시된 바와 같은 유효량의 오메가-3 지방산을 포함하는 보충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염증성 마이봄 대신 항-염증성 마이봄 중에 안구 표면을 배딩하는 것은, 건성안 증상의 해소를 개선시키고, 눈물 삼투압을 감소시키고, 눈물막 파괴 시간을 개선 또는 증가시키고, 및 오메가-3의 혈액 포화를 위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투여량으로 전달되는 오메가-3의 보충물의 작용기전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오메가-3 지방산은 에스테르화 또는 재-에스테르화 트리글리세르 형태를 포함한다.
실시예 IV
마이봄선의 마이봄 조성 중 오메가-3 수준에서의 증가 및 오메가-6에서의 감소를 위해 투여되는 본 발명의 영양 또는 식이 보충 조성물에 대한 구체예의 1일 투여 제형이 하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된다:
에이코사펜타엔산 (EPA) ≥ 600 mg
도코사헥사엔산 (DHA) ≥ 500 mg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 또는 기능장애 마이봄선의 마이봄 농도의 질을 변화시키는 방법은, 마이봄 조성에서 각각 오메가-3의 수준을 증가시키고 오메가-6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실시예 IV에 개시된 바와 같은 유효량의 오메가-3 지방산을 포함하는 보충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염증성 마이봄 대신 항-염증성 마이봄 중에 안구 표면을 배딩하는 것은, 건성안 증상의 해소를 개선시키고, 눈물 삼투압을 감소시키고, 눈물막 파괴 시간을 개선 또는 증가시키고, 및 오메가-3의 혈액 포화를 위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투여량으로 전달되는 오메가-3의 보충물의 작용기전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오메가-3 지방산은 에스테르화 또는 재-에스테르화 트리글리세르 형태를 포함한다.
실시예 V
마이봄선의 마이봄 조성 중 오메가-3 수준에서의 증가 및 오메가-6에서의 감소를 위해 투여되는 본 발명의 영양 또는 식이 보충 조성물에 대한 구체예의 1일 투여 제형이 하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된다:
도코사헥사엔산 (DHA) ≥ 500 mg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 또는 기능장애 마이봄선의 마이봄 농도의 질을 변화시키는 방법은, 마이봄 조성에서 각각 오메가-3의 수준을 증가시키고 오메가-6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실시예 V에 개시된 바와 같은 유효량의 오메가-3 지방산을 포함하는 보충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염증성 마이봄 대신 항-염증성 마이봄 중에 안구 표면을 배딩하는 것은, 건성안 증상의 해소를 개선시키고, 눈물 삼투압을 감소시키고, 눈물막 파괴 시간을 개선 또는 증가시키고, 및 오메가-3의 혈액 포화를 위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투여량으로 전달되는 오메가-3의 보충물의 작용기전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오메가-3 지방산은 에스테르화 또는 재-에스테르화 트리글리세르 형태를 포함한다.
실시예 VI
마이봄선의 마이봄 조성 중 오메가-3 수준에서의 증가 및 오메가-6에서의 감소를 위해 투여되는 본 발명의 영양 또는 식이 보충 조성물에 대한 구체예의 1일 투여 제형이 하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된다:
에이코사펜타엔산 (EPA) ≥ 600 mg
도코사헥사엔산 (DHA) ≥ 500 mg
기타 오메가-3 지방산 400 mg - 700 mg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 또는 기능장애 마이봄선의 마이봄 농도의 질을 변화시키는 방법은, 마이봄 조성에서 각각 오메가-3의 수준을 증가시키고 오메가-6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실시예 VI에 개시된 바와 같은 유효량의 오메가-3 지방산을 포함하는 보충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염증성 마이봄 대신 항-염증성 마이봄 중에 안구 표면을 배딩하는 것은, 건성안 증상의 해소를 개선시키고, 눈물 삼투압을 감소시키고, 눈물막 파괴 시간을 개선 또는 증가시키고, 및 오메가-3의 혈액 포화를 위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투여량으로 전달되는 오메가-3의 보충물의 작용기전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오메가-3 지방산은 에스테르화 또는 재-에스테르화 트리글리세르 형태를 포함한다.
실시예 VII
마이봄선의 마이봄 조성 중 오메가-3 수준에서의 증가 및 오메가-6에서의 감소를 위해 투여되는 본 발명의 영양 또는 식이 보충 조성물에 대한 구체예의 1일 투여 제형이 하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된다:
에이코사펜타엔산 (EPA) 1,600 mg - 2,500 mg
도코사헥사엔산 (DHA) 500 mg - 900 mg
기타 오메가-3 지방산 400 mg - 700 mg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 또는 기능장애 마이봄선의 마이봄 농도의 질을 변화시키는 방법은, 마이봄 조성에서 각각 오메가-3의 수준을 증가시키고 오메가-6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실시예 VII에 개시된 바와 같은 유효량의 오메가-3 지방산을 포함하는 보충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염증성 마이봄 대신 항-염증성 마이봄 중에 안구 표면을 배딩하는 것은, 건성안 증상의 해소를 개선시키고, 눈물 삼투압을 감소시키고, 눈물막 파괴 시간을 개선 또는 증가시키고, 및 오메가-3의 혈액 포화를 위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투여량으로 전달되는 오메가-3의 보충물의 작용기전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오메가-3 지방산은 에스테르화 또는 재-에스테르화 트리글리세르 형태를 포함한다.
실시예 VIII
마이봄선의 마이봄 조성 중 오메가-3 수준에서의 증가 및 오메가-6에서의 감소를 위해 투여되는 본 발명의 영양 또는 식이 보충 조성물에 대한 구체예의 1일 투여 제형이 하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된다:
에이코사펜타엔산 (EPA) ≥ 600 mg
도코사헥사엔산 (DHA) ≥ 500 mg
비타민 D (D3로서) 500 IU - 2,000 IU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 또는 기능장애 마이봄선의 마이봄 농도의 질을 변화시키는 방법은, 마이봄 조성에서 각각 오메가-3의 수준을 증가시키고 오메가-6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실시예 VIII에 개시된 바와 같은 유효량의 오메가-3 지방산을 포함하는 보충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염증성 마이봄 대신 항-염증성 마이봄 중에 안구 표면을 배딩하는 것은, 건성안 증상의 해소를 개선시키고, 눈물 삼투압을 감소시키고, 눈물막 파괴 시간을 개선 또는 증가시키고, 및 오메가-3의 혈액 포화를 위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투여량으로 전달되는 오메가-3의 보충물의 작용기전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오메가-3 지방산은 에스테르화 또는 재-에스테르화 트리글리세르 형태를 포함한다.
실시예 IX
마이봄선의 마이봄 조성 중 오메가-3 수준에서의 증가 및 오메가-6에서의 감소를 위해 투여되는 본 발명의 영양 또는 식이 보충 조성물에 대한 구체예의 1일 투여 제형이 하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된다:
에이코사펜타엔산 (EPA) 1,600 mg - 2,500 mg
도코사헥사엔산 (DHA) 500 mg - 900 mg
비타민 D (D3로서) 500 IU - 2,000 IU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 또는 기능장애 마이봄선의 마이봄 농도의 질을 변화시키는 방법은, 마이봄 조성에서 각각 오메가-3의 수준을 증가시키고 오메가-6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실시예 IX에 개시된 바와 같은 유효량의 오메가-3 지방산을 포함하는 보충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염증성 마이봄 대신 항-염증성 마이봄 중에 안구 표면을 배딩하는 것은, 건성안 증상의 해소를 개선시키고, 눈물 삼투압을 감소시키고, 눈물막 파괴 시간을 개선 또는 증가시키고, 및 오메가-3의 혈액 포화를 위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투여량으로 전달되는 오메가-3의 보충물의 작용기전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오메가-3 지방산은 에스테르화 또는 재-에스테르화 트리글리세르 형태를 포함한다.
실시예 X
마이봄선의 마이봄 조성 중 오메가-3 수준에서의 증가 및 오메가-6에서의 감소를 위해 투여되는 본 발명의 영양 또는 식이 보충 조성물에 대한 구체예의 1일 투여 제형이 하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된다:
에이코사펜타엔산 (EPA) > 600 mg
도코사헥사엔산 (DHA) > 500 mg
기타 오메가-3 지방산 400 mg - 700 mg
비타민 D (D3로서) 500 IU - 2,000 IU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 또는 기능장애 마이봄선의 마이봄 농도의 질을 변화시키는 방법은, 마이봄 조성에서 각각 오메가-3의 수준을 증가시키고 오메가-6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실시예 X에 개시된 바와 같은 유효량의 오메가-3 지방산을 포함하는 보충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염증성 마이봄 대신 항-염증성 마이봄 중에 안구 표면을 배딩하는 것은, 건성안 증상의 해소를 개선시키고, 눈물 삼투압을 감소시키고, 눈물막 파괴 시간을 개선 또는 증가시키고, 및 오메가-3의 혈액 포화를 위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투여량으로 전달되는 오메가-3의 보충물의 작용기전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오메가-3 지방산은 에스테르화 또는 재-에스테르화 트리글리세르 형태를 포함한다.
실시예 XI
마이봄선의 마이봄 조성 중 오메가-3 수준에서의 증가 및 오메가-6에서의 감소를 위해 투여되는 본 발명의 영양 또는 식이 보충 조성물에 대한 구체예의 1일 투여 제형이 하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된다:
에이코사펜타엔산 (EPA) 1,600 mg - 2,500 mg
도코사헥사엔산 (DHA) 500 mg - 900 mg
기타 오메가-3 지방산 400 mg - 700 mg
비타민 D (D3로서) 500 IU - 2,000 IU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 또는 기능장애 마이봄선의 마이봄 농도의 질을 변화시키는 방법은, 마이봄 조성에서 각각 오메가-3의 수준을 증가시키고 오메가-6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실시예 XI에 개시된 바와 같은 유효량의 오메가-3 지방산을 포함하는 보충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염증성 마이봄 대신 항-염증성 마이봄 중에 안구 표면을 배딩하는 것은, 건성안 증상의 해소를 개선시키고, 눈물 삼투압을 감소시키고, 눈물막 파괴 시간을 개선 또는 증가시키고, 및 오메가-3의 혈액 포화를 위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투여량으로 전달되는 오메가-3의 보충물의 작용기전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오메가-3 지방산은 에스테르화 또는 재-에스테르화 트리글리세르 형태를 포함한다.
실시예 XII
마이봄선의 마이봄 조성 중 오메가-3 수준에서의 증가 및 오메가-6에서의 감소를 위해 투여되는 본 발명의 영양 또는 식이 보충 조성물에 대한 구체예의 1일 투여 제형이 하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된다:
에이코사펜타엔산 (EPA) 1,650 mg - 1,750 mg
도코사헥사엔산 (DHA) 500 mg - 600 mg
기타 오메가-3 지방산 400 mg - 500 mg
비타민 D (D3로서) 600 IU - 800 IU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 또는 기능장애 마이봄선의 마이봄 농도의 질을 변화시키는 방법은, 마이봄 조성에서 각각 오메가-3의 수준을 증가시키고 오메가-6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실시예 XII에 개시된 바와 같은 유효량의 오메가-3 지방산을 포함하는 보충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염증성 마이봄 대신 항-염증성 마이봄 중에 안구 표면을 배딩하는 것은, 건성안 증상의 해소를 개선시키고, 눈물 삼투압을 감소시키고, 눈물막 파괴 시간을 개선 또는 증가시키고, 및 오메가-3의 혈액 포화를 위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투여량으로 전달되는 오메가-3의 보충물의 작용기전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오메가-3 지방산은 에스테르화 또는 재-에스테르화 트리글리세르 형태를 포함한다.
실시예 XIII
마이봄선의 마이봄 조성 중 오메가-3 수준에서의 증가 및 오메가-6에서의 감소를 위해 투여되는 본 발명의 영양 또는 식이 보충 조성물에 대한 구체예의 1일 투여 제형이 하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된다:
에이코사펜타엔산 (EPA) 1,680 mg
도코사헥사엔산 (DHA) 560 mg
기타 오메가-3 지방산 428 mg
비타민 D (D3로서) 334 IU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 또는 기능장애 마이봄선의 마이봄 농도의 질을 변화시키는 방법은, 마이봄 조성에서 각각 오메가-3의 수준을 증가시키고 오메가-6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실시예 XIII에 개시된 바와 같은 유효량의 오메가-3 지방산을 포함하는 보충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염증성 마이봄 대신 항-염증성 마이봄 중에 안구 표면을 배딩하는 것은, 건성안 증상의 해소를 개선시키고, 눈물 삼투압을 감소시키고, 눈물막 파괴 시간을 개선 또는 증가시키고, 및 오메가-3의 혈액 포화를 위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투여량으로 전달되는 오메가-3의 보충물의 작용기전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오메가-3 지방산은 에스테르화 또는 재-에스테르화 트리글리세르 형태를 포함한다.
수행된 연구로부터 결론내린 바와 같이, 재-에스테르화 트리글리세리드 형태의 오메가-3의 보충물은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에 있어서 3 상(phase)의 영향을 갖는다. 첫째, 오메가-3의 수준이 증가되어 각각, 시클로옥시나제 상의 결합 부위에 대하여 아라키돈산 (오메가-6)과 경쟁한다. 둘째,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을 유발하는 아라키돈산의 양이 감소된다. 오메가-3에 작용하는 COX 1 & 2 효소의 산물이 오메가-6로부터의 프로스타글란딘 경로 중의 것과 경쟁하는 에이코사노이드를 생성한다. 셋째, 오메가-3로부터 레졸빈(resolvin)의 생성은 마이봄선 내에서 항-염증 작용을 하는 훨씬 더 큰 인자를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염증성 지방산 (오메가-6)의 수준이 약 2배 감소하였고 항-염증성 지방산 (오메가-3)의 수준이 거의 5배 증가하였다.
전술과 일치하게,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는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 또는 기능장애 마이봄선의 마이봄 농도의 질을 개선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1) 유효량의 오메가-3 지방산을 포함하는 보충물을 투여하는 단계; (2) 처리된 마이봄선의 마이봄 조성에서 항-염증성 오메가-3의 수준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3) 상기 마이봄 조성에서 염증성 오메가-6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단계. 염증성 마이봄 대신 항-염증성 마이봄 중에 안구 표면을 배딩하는 것은, 건성안, 후방안검염, 및/또는 마이봄선염의 연관된 증상을 제거 또는 감소시키고, 눈물 삼투압을 감소시키고, 눈물막 파괴 시간을 개선 또는 증가시키고, 및/또는 오메가-3 지수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투여량으로 전달되는 오메가-3의 보충물에 의한 작용기전을 촉진시킨다.
본 발명은 그의 기초적인 기능 또는 필수적인 특성으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기타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기술된 구체예는 모든 측면에서 단지 설명으로서, 및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설명적인 구체예의 의미 및 등가물의 범위 내에서 생기는 모든 변화가 그의 범위 내에 포괄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 또는 기능장애 마이봄선(meibomian gland)의 마이봄(meibum) 조성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 또는 기능장애 마이봄선을 갖는 포유동물에 유효량의 오메가-3 지방산을 투여하는 단계로서, 상기 유효량이 1일 투여량 기준으로 전달되는 600 mg 내지 5,000 mg을 포함하는 것인 단계;
    상기 처리된 마이봄선의 마이봄의 조성 중 항-염증성 오메가-3의 수준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마이봄의 조성 중 염증성 오메가-6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효량의 오메가-3 지방산이 1일 투여량 기준의 2,000 mg 내지 3,000 mg을 포함하는 것인,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 또는 기능장애 마이봄선의 마이봄 조성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메가-3 지방산이 재-에스테르화 트리글리세리드 형태를 포함하는 것인,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 또는 기능장애 마이봄선의 마이봄 조성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메가-3 지방산이 유효량의 에이코사펜타엔산 (EPA)을 포함하는 것인,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 또는 기능장애 마이봄선의 마이봄 조성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효량의 EPA가 600 mg을 초과하는 양을 포함하는 것인,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 또는 기능장애 마이봄선의 마이봄 조성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효량의 EPA가 1,600 mg 내지 2,500 mg의 양을 포함하는 것인,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 또는 기능장애 마이봄선의 마이봄 조성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EPA가 1,600 mg 내지 1,800 mg의 양을 포함하는 것인,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 또는 기능장애 마이봄선의 마이봄 조성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메가-3 지방산이 유효량의 도코사헥사엔산 (DHA)을 포함하는 것인,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 또는 기능장애 마이봄선의 마이봄 조성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유효량의 DHA가 500 mg을 초과하는 양을 포함하는 것인,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 또는 기능장애 마이봄선의 마이봄 조성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유효량의 DHA가 500 mg 내지 900 mg의 양을 포함하는 것인,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 또는 기능장애 마이봄선의 마이봄 조성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DHA가 500 mg 내지 600 mg을 포함하는 것인,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 또는 기능장애 마이봄선의 마이봄 조성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효량의 오메가-3 지방산이 유효량의 에이코사펜타엔산 (EPA) 및 유효량의 도코사헥사엔산 (DHA)을 3:1 비율로 포함하는 것인,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 또는 기능장애 마이봄선의 마이봄 조성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
  13. 청구항 1에 있어서, 1일 투여량 기준으로 전달되는 약 500 IU 내지 약 2,000 IU의 비타민 D를 투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 또는 기능장애 마이봄선의 마이봄 조성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유동물의 눈물막 파괴시간(tear break up time)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 또는 기능장애 마이봄선의 마이봄 조성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유동물의 눈물 삼투압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 또는 기능장애 마이봄선의 마이봄 조성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
  16.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 또는 기능장애 마이봄선의 마이봄 조성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 또는 기능장애 마이봄선을 갖는 환자에 유효량의 오메가-3 지방산을 재-에스테르화 형태로 투여하는 단계로서, 상기 유효량이 600 mg을 초과하는 양의 에이코사펜타엔산 (EPA) 및 500 mg을 초과하는 양의 도코사헥사엔산 (DHA)을 포함하는 것인 단계;
    상기 처리된 마이봄선의 마이봄의 조성 중 항-염증성 오메가-3의 수준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마이봄의 조성 중 염증성 오메가-6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단계;
    상기 처리된 환자의 눈물막 파괴 시간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환자의 눈물 삼투압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EPA의 양이 600 mg 내지 2,500 mg의 양을 포함하는 것인,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 또는 기능장애 마이봄선의 마이봄 조성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DHA의 양이 500 mg 내지 900 mg의 양을 포함하는 것인,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 또는 기능장애 마이봄선의 마이봄 조성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EPA의 양 및 상기 DHA의 양이 3:1 비율인 것인,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 또는 기능장애 마이봄선의 마이봄 조성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
  20. 청구항 16에 있어서, 1일 투여량 기준으로 전달되는 약 500 IU 내지 약 2,000 IU의 비타민 D를 투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염증이 발생된 마이봄선 또는 기능장애 마이봄선의 마이봄 조성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
KR1020157027914A 2013-03-12 2014-02-05 마이봄선을 표적화하는 영양 보충물 KR1019048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815,599 2013-03-12
US13/815,599 US9381183B2 (en) 2012-07-18 2013-03-12 Method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meibum composition of meibomian glands
PCT/US2014/014937 WO2014158356A1 (en) 2013-03-12 2014-02-05 Nutritional supplement targeting meibomian glan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405A true KR20150126405A (ko) 2015-11-11
KR101904850B1 KR101904850B1 (ko) 2018-10-08

Family

ID=49947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7914A KR101904850B1 (ko) 2013-03-12 2014-02-05 마이봄선을 표적화하는 영양 보충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381183B2 (ko)
EP (1) EP2968243B1 (ko)
JP (2) JP6538022B2 (ko)
KR (1) KR101904850B1 (ko)
CN (1) CN105358142A (ko)
CA (1) CA2904737C (ko)
CL (1) CL2015002713A1 (ko)
ES (1) ES2743614T3 (ko)
PE (1) PE20160123A1 (ko)
WO (1) WO20141583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60988A1 (en) 2005-07-18 2007-03-15 Grenon Stephen M Melting meibomian gland obstructions
US20090043365A1 (en) 2005-07-18 2009-02-12 Kolis Scientific, Inc.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or reducing intraocular pressure as a means of preventing or treating open-angle glaucoma
WO2013003594A2 (en) 2011-06-28 2013-01-03 Tearscienc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treating meibomian gland dysfunction using radio-frequency energy
US8950405B2 (en) 2006-05-15 2015-02-10 Tearscience, Inc. Treatment of obstructive disorders of the eye or eyelid
US20080114423A1 (en) 2006-05-15 2008-05-15 Grenon Stephen M Apparatus for inner eyelid treatment of meibomian gland dysfunction
US8915253B2 (en) 2005-07-18 2014-12-23 Tearscienc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gland dysfunction employing heated medium
US7981145B2 (en) 2005-07-18 2011-07-19 Tearscience Inc. Treatment of meibomian glands
US9314369B2 (en) 2006-05-15 2016-04-19 Tearscience, Inc. System for inner eyelid treatment of meibomian gland dysfunction
US10709680B2 (en) 2011-07-18 2020-07-14 Physicians Recommended Nutriceuticals, Llc Methods for treating dry eye
US9115078B2 (en) * 2011-07-18 2015-08-25 Physicians Recommended Nutriceuticals, Llc Composi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meibum composition of inflamed or dysfunctional meibomian glands
US20210121430A1 (en) 2011-07-18 2021-04-29 Prn Physician Recommended Nutriceuticals, Llc Omega-3 fatty acid supplementation for use in treating dry eye
ES2565402T3 (es) 2011-09-12 2016-04-04 Tassos GEORGIOU Uso de los ácidos grasos omega para el tratamiento de enfermedades
EP2862439A4 (en) * 2012-06-19 2016-04-13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METHOD FOR MODIFYING THE STATUS OF ANIMALS WITHOUT HAIR
US10842670B2 (en) 2012-08-22 2020-11-24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iagnosing and/or treating lipid transport deficiency in ocular tear films, and related components and devices
US9877975B2 (en) 2013-06-28 2018-01-30 Keio University Agent for treating meibomian gland dysfunction
EP3151827A4 (en) * 2014-06-04 2018-01-24 Tersus Pharmaceuticals, LLC METHODS OF TREATING CHRONIC DRY EYE DISEASE USING C16:1n7 PALMITOLEATE AND DERIVATIVES THEREOF
WO2018005685A1 (en) * 2016-06-29 2018-01-04 Physicians Recommended Nutriceuticals,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ing same for reducing levels of arachidonic acid in tissue having undergone an invasive procedure
CN108042522A (zh) * 2017-12-29 2018-05-18 广东海洋大学 一种用于提高抗炎症功能的不饱和脂肪酸组合物及其应用
EP4093372B1 (en) * 2020-01-23 2024-04-03 Visufarma S.p.A. Ophthalmic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dry eye diseas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0127A (ko) * 2002-07-08 2005-05-03 어드밴스드 비전 리서치 안구 건조증, 건판선염, 구내 건조증의 치료를 위한epa와 dha 풍부한 오메가-3 보충제
KR20110130431A (ko) * 2009-03-19 2011-12-05 티알비 케메디카 인터내셔널 에스.에이. 오메가-3 및 오메가-6 다가 불포화 지방산계 안과용 조성물
WO2012067224A1 (ja) * 2010-11-19 2012-05-24 日本水産株式会社 角膜上皮障害及び/又は結膜上皮障害の治療又は予防剤
KR20120115380A (ko) * 2010-01-11 2012-10-17 지티엑스, 인코포레이티드 마이봄선 기능 장애의 치료 방법
KR20120115965A (ko) * 2009-11-06 2012-10-19 알콘 리서치, 리미티드 안구 건조의 완화를 위한 영양 보충제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25398B (en) 1999-07-14 2004-12-21 R Tech Ueno Ltd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external secretion disorders
PL355998A1 (en) 1999-11-09 2004-05-31 Alcon Inc. Compositions containing hydroxyeicosatetraenoic acid derivatives and methods of use in treating dry eye disorders
US6506412B2 (en) 2000-11-29 2003-01-14 Sciencebased Health Treatment of dry eye syndrome
US20060127505A1 (en) 2002-01-16 2006-06-15 David Haines Anti-inflammatory formulations
US6649195B1 (en) 2002-07-11 2003-11-18 Vitacost.Com, Inc. Eyesight enhanced maintenance composition
US7041840B2 (en) 2002-12-18 2006-05-09 Alberta Research Council Inc. Antioxidant triacylglycerols and lipid compositions
US9192586B2 (en) 2003-03-10 2015-11-24 Zeavision Llc Zeaxanthin formulations with additional ocular-active nutrients, for protecting eye health and treating eye disorders
NZ552481A (en) * 2004-07-01 2008-12-24 Schepens Eye Re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eye disorders and conditions
US20070265341A1 (en) * 2004-07-01 2007-11-15 The Schepens Eye Research Institute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eye disorders and conditions
US8541413B2 (en) 2004-10-01 2013-09-24 Ramscor, Inc. Sustained release eye drop formulations
DE202004015931U1 (de) 2004-10-13 2005-01-05 Dr. Gerhard Mann Chem.-Pharm. Fabrik Gmbh Omega-3-Fettsäuren und Omega-6-Fettsäuren enthaltende Zusammensetzung
BRPI0620210A2 (pt) 2005-12-20 2011-11-01 Alcon Res Ltd composição e processos para a inibição da progressão da degeneração macular e para promover visão saudável
WO2008143642A2 (en) 2006-11-09 2008-11-27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Methods of treating and preventing ocular neovascularization with 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EP1932521A1 (en) 2006-12-15 2008-06-18 Novartis AG Nutritional supplement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ocular diseases
EP1932520A1 (en) 2006-12-15 2008-06-18 Novartis AG Nutritional supplement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ocular diseases
US20090226547A1 (en) 2008-03-05 2009-09-10 Gilbard Jeffrey P Dietary Supplement For Eye Health
WO2010040232A1 (en) 2008-10-09 2010-04-15 Waratah Pharmaceuticals Inc. Use of scyllo-inositols for the treatment of macular degeneration-related disorders
US20130011469A1 (en) 2009-07-23 2013-01-10 U.S. Nutraceuticals, Llc D/B/A Valensa International Krill oil and carotenoid composition, associated method and delivery system
CA2738357C (en) 2011-04-07 2019-08-06 Amerisciences, Lp Methods and compositions to promote ocular health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0127A (ko) * 2002-07-08 2005-05-03 어드밴스드 비전 리서치 안구 건조증, 건판선염, 구내 건조증의 치료를 위한epa와 dha 풍부한 오메가-3 보충제
KR20110130431A (ko) * 2009-03-19 2011-12-05 티알비 케메디카 인터내셔널 에스.에이. 오메가-3 및 오메가-6 다가 불포화 지방산계 안과용 조성물
KR20120115965A (ko) * 2009-11-06 2012-10-19 알콘 리서치, 리미티드 안구 건조의 완화를 위한 영양 보충제
KR20120115380A (ko) * 2010-01-11 2012-10-17 지티엑스, 인코포레이티드 마이봄선 기능 장애의 치료 방법
WO2012067224A1 (ja) * 2010-11-19 2012-05-24 日本水産株式会社 角膜上皮障害及び/又は結膜上皮障害の治療又は予防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38022B2 (ja) 2019-07-03
CN105358142A (zh) 2016-02-24
US20140024625A1 (en) 2014-01-23
US9381183B2 (en) 2016-07-05
WO2014158356A1 (en) 2014-10-02
CA2904737A1 (en) 2014-10-02
EP2968243A4 (en) 2016-09-14
CA2904737C (en) 2019-11-26
JP2019058194A (ja) 2019-04-18
EP2968243A1 (en) 2016-01-20
JP2016512245A (ja) 2016-04-25
PE20160123A1 (es) 2016-03-03
CL2015002713A1 (es) 2016-09-30
KR101904850B1 (ko) 2018-10-08
EP2968243B1 (en) 2019-06-19
ES2743614T3 (es) 2020-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4850B1 (ko) 마이봄선을 표적화하는 영양 보충물
US9115078B2 (en) Composi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meibum composition of inflamed or dysfunctional meibomian glands
Thode et al. Current and emerging therapeutic strategies for the treatment of meibomian gland dysfunction (MGD)
Kangari et al. Short-term consumption of oral omega-3 and dry eye syndrome
RU2747953C2 (ru) Сложные эфиры для лечения офтальмологических воспалитель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Cortina et al. Docosahexaenoic acid, protectins and dry eye
Romeo Villadóniga et al. Effects of oral supplementation with docosahexaenoic acid (DHA) plus antioxidants in pseudoexfoliative glaucoma: A 6-month open-label randomized trial
EP2755647B1 (en) Use of omega fatty acids for treating disease
US20160067204A1 (en) Therapeutic or prophylactic agent for corneal epithelium disorders and/or conjunctival epithelium disorders
JP2023184569A (ja) ドライアイ疾患及び瞼板腺炎の治療のための組成物
Downie et al. An artificial tear containing flaxseed oil for treating dry eye diseas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Downie et al. A pragmatic approach to the management of dry eye disease: evidence into practice
JP5748385B2 (ja) O/w型エマルション水性点眼剤
US10709680B2 (en) Methods for treating dry eye
US11648227B2 (en) Omega-3 fatty acid supplementation for use in treating dry eye
KR20160096376A (ko) 히알루론산, 미네랄 오일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안과용 조성물
AU2013101038A4 (en) A dietary supplement to treat dry eyes
WO2018005685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ing same for reducing levels of arachidonic acid in tissue having undergone an invasive procedure
Jain et al. Role of Omega-3 fatty acids in meibomian gland dysfunction
US20160310456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ing same for reducing levels of arachidonic acid in tissue having undergone an invasive procedure
KR102665229B1 (ko) 안구 건조 질환 및 마이봄선염의 치료를 위한 조성물
Hsu et al. Effects of Supplementation with Lutein Plus Docosahexaenoic Acid Oral Complex on Eye Dryness, Visual Function, and Memory Function in Healthy Subjects: A Single‐Arm Clinical Trial
Saif Oral linolenic acid dietary supplementation in posterior blepharitis and meibomian gland dysfunction
Franke et al. Neuromodulation for Treatment of Dry Eye
JP6033177B2 (ja) O/w型エマルション水性点眼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