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5965A - 안구 건조의 완화를 위한 영양 보충제 - Google Patents

안구 건조의 완화를 위한 영양 보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5965A
KR20120115965A KR1020127011614A KR20127011614A KR20120115965A KR 20120115965 A KR20120115965 A KR 20120115965A KR 1020127011614 A KR1020127011614 A KR 1020127011614A KR 20127011614 A KR20127011614 A KR 20127011614A KR 20120115965 A KR20120115965 A KR 20120115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tary supplement
vitamin
dry eye
omega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1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존 씨. 랑
Original Assignee
알콘 리서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콘 리서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알콘 리서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20115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596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23L33/12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61K31/20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e.g. linole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61K31/355Tocopherols, e.g.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75Ascorbic acid, i.e. vitamin C;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4Artificial tears; Irrigation 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구 건조 증상의 완화를 위한 증진된 식이 보충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이 보충제는 오메가-3 지방산 및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다.

Description

안구 건조의 완화를 위한 영양 보충제{NUTRITIONAL SUPPLEMENTS FOR RELIEF OF DRY EYE}
본 출원은 35 U.S.C. §119 하에 2009년 11월 6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258,867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의 전문은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눈 질환 완화를 위한 영양적 방법 및 조성물, 더욱 특별히, 안구 건조증의 완화를 위한 개선된 방법 및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건성각결막염(keratoconjunctivitis sicca)이라고도 지칭되는 안구 건조는 매년 수백만명에게 발견되는 흔한 안과 질환이다. 이 질환은 특히 생식력 중지에 따른 호르몬 변화 때문에 폐경 후의 여성 사이에 널리 퍼져있다. 안구 건조는 개인을 다양한 통증으로 괴롭힐 수 있다. 경증의 경우에는, 환자는 화끈거림, 건조함의 느낌, 및 종종 눈꺼풀과 눈 표면 사이에 존재하는 작은 이물질에 의해 야기되는 것과 같은 끊임없는 자극을 경험할 수 있다. 심한 경우에는, 시력이 실질적으로 악화될 수 있다. 다른 질병들, 예를 들어 쉐그렌 질환(Sjogren's disease) 및 반흔성유천포창(cicatricial pemphigoid)은 또한 안구 건조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굴절 수술과 연관된 안구 건조의 일시적 증상은 몇몇 경우에서 수술 후 6 주 내지 6 개월 또는 그 이상 지속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안구 건조가 많은 무관한 병원성 원인으로부터 야기될 수 있는 듯 보이긴 하지만, 모든 존재하는 합병증은 보통의 결과인, 눈 표면의 노출, 건조, 및 상기 서술한 많은 증상을 야기하는 시토카인(cytokine) 생산을 야기하는, 눈 앞에 붙은 눈물 막의 파괴를 공유한다 (문헌 [Lemp, Report of the National Eye Institute/Industry Workshop on Clinical Trials in Dry Eyes, The CLAO Journal, volume 21, number 4, pages 221-231 (1995)]).
의사들은 안구 건조의 치료를 위한 몇 가지 접근을 해왔다. 한가지 보통의 접근은 낮 동안 내내 스며드는 이른바 인공 눈물을 사용하여 눈의 눈물 막을 안정화시키고 보충하는 것이다. 다른 접근들은 눈물 대체제 또는 내인성 눈물 생산의 자극을 제공하는 눈 삽입물의 사용을 포함한다.
눈물 대체제 접근의 예는 완충되는, 등장성의 염류 용액, 용액을 더욱 점성이 있고 따라서 쉽게 눈으로부터 흐를 수 없게 하는 수용성 고분자를 함유한 수용액의 사용을 포함한다. 눈물 복원은 또한 인지질 및 오일과 같은 눈물 막의 하나 이상의 성분을 제공하는 것으로 시도된다. 인지질 조성물은 안구 건조를 치료하는데에 유용한 것으로 보여지고 있고; 예를 들어, 문헌 [McCulley and Shine, Tear film structure and dry eye, Contactologia, volume 20(4), pages 145-49 (1998)]; 및 문헌 [Shine and McCulley, Keratoconjunctivitis sicca associated with meibomian secretion polar lipid abnormality, Archives of Ophthalmology, volume 116(7), pages 849-52 (1998)]을 참조한다.
또 다른 접근은 인공 눈물 대신에 윤활 물질의 공급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818,537호 (Guo)는 윤활제, 리포솜(liposome)계 조성물의 사용을 설명하고, 미국 특허 제5,800,807호 (Hu et al.)는 안구 건조의 치료를 위한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설명한다.
이들 접근은 몇 가지 성공을 얻기는 했지만, 눈물 대체제의 사용은 일시적인 효과가 있는 반면, 일반적으로 환자의 깨어있는 시간 동안에 반복적인 사용이 요구되기 때문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구 건조의 치료에서 문제점들이 남아있다. 환자가 낮 동안 인공 눈물 용액을 10 내지 20 회 사용해야 하는 것은 드문 것이 아니다. 이런 일은 성가시고 시간 소모가 클 뿐만 아니라 잠재적으로 매우 비싸다.
상기 기술한 노력 외에, 주로 안구 건조와 관계된 증상의 일시적인 완화를 위한 것으로, 이런 증상을 야기하는 생리학적 질환의 치료에 대한 방법 및 조성물이 또한 추구되어왔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041,434호 (Lubkin)는 폐경 후 여성의 안구 건조 질환의 치료를 위한 성 스테로이드, 예를 들어 공액된 에스트로겐의 사용을 설명하고; 미국 특허 제5,290,572호 (MacKeen)는 눈 앞의 눈물 막 생성을 자극하기 위한 미분 칼슘 이온 조성물의 사용을 설명한다.
안구 건조의 근본적인 원인을 치료하기 위한 이런 노력들은 관련된 눈 조직의 염증 및 마이봄샘(meibomian gland) 기능장애를 치료하는데 집중되어왔다. 이런 안구 건조 환자의 치료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약의 사용이, 스테로이드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958,912호; 문헌 [Marsh et al., Topical nonpreserved methylprednisolone therapy for keratoconjunctivitis sicca in Sjogren syndrome, Ophthalmology, 106(4): 811-816 (1999)]; 및 미국 특허 제6,153,607호 (Pflugfelder et al.)), 시토카인 방출 억제제 (WO 00/03705 A1 (Yanni, J. M.; et. al.)), 시클로스포린(cyclosporine) A (문헌 [Tauber, J. Adv. Exp. Med. Biol. 1998, 438 (Lacrimal Gland, Tear Film, and Dry Eye Syndromes 2), 969]), 및 15-HETE와 같은 뮤코시크리타토구스(mucosecretatogues) (미국 특허 제5,696,166호 (Yanni et.al.))를 포함하여 설명되어왔다.
또한 안구 건조에 대해 유익하다고 주장하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영양 상품이 있다. 식이 보충제의 섭취는 안구 건조 증상의 완화 수단을 제공하는 반면에 온종일 윤활제 방울의 수회의 반복 사용의 필요성을 없앤다. 식이 보충제는 시력 증진 또는 시력 감퇴에 대한 예방을 포함하는 다양한 이유로 사용된다. 건강한 눈을 증진시키는데 유용한 (그러나 안구 건조 증상을 완화시키지는 않음) 식이 보충제 세트의 예는 ICAPS® 다이어테리 서플리먼츠(Dietary Supplements) (텍사스 주, 포트 워스, 알콘 래보래토리스, 인크.(Alcon Laboratories, Inc.))이다. 식이 보충제는 일반적으로 분말, 정제, 씹을 수 있는 정제, 캡슐, 젤라틴 캡슐 또는 액체 충전 연질 젤라틴(softgel)의 형태이고 다양한 비타민, 미네랄, 및 허브 또는 다른 유기 구성 성분을 포함한다. 몇몇 식이 보충제는 비들렛(beadlet)으로 제형화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안구 건조 증상 완화를 위한 성분의 좁은 선택을 함유하는 임의의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식이 보충제는 없는 것 같다.
본 발명은 안구 건조 증상의 완화에 유용한 비타민, 미네랄 및 필수 영양분의 특정한 조합을 함유하는 식이 보충제를 제공함으로써 선행 기술의 이들 및 다른 단점들을 극복한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개선된 제제는 제니스테인(genistein)과 함께 필수 오메가-3 지방산을 포함한다. 이런 개선된 제제는 추가적으로 2000 mg 이하의 EPA/DHA, 200 mg 이하의 알파-리놀렌 산, 60 mg 이하의 비타민 C, 200 mg 이하의 d-알파-토코페릴 아세테이트, 150 mcg 이하의 비타민 D, 30 mg 이하의 아연, 100 mg 이하의 구리, 70 mcg 이하의 셀레늄, 4 mg 이하의 망간, 100 mg 이하의 제니스테인, 25 mg 이하의 리코펜, 및 25 mg 이하의 카르노솔 또는 카르노스 산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이하"는 언급된 성분이 없는 경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600 mg 이하의 EPA/DHA"는 0 mg 내지 600 mg의 EPA/DHA를 의미한다. 바람직한 제제는 에틸 에스테르로 EPA/DHA 약 300 mg, 에틸 에스테르로 알파-리놀렌 산 약 50 mg, 비타민 C 약 30 mg, d-알파-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약 50 mg, 비타민 D 약 5 mcg, 아연 약 15 mg, 구리 약 1 mg, 셀레늄 약 35 mcg, 망간 약 2 mg, 제니스테인 약 50 mg, 리코펜 약 10 mg, 및 로즈마리 오일 또는 로즈마리 추출물로 카르노솔 또는 카르노스 산 약 10 mg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라, 조성물의 요소는 피토케미컬(phytochemical) 제니스테인과 함께 필수 오메가-3 지방산을 제공함으로써 안구 건조 증상을 완화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안구 건조는 종종 염증을 동반한다. 예를 들어, 다래끼(blepharitis)는 흔하게 안구 건조의 화끈거림 및 자극과 연관된다. 전구염증성 시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은 안구 건조가 있는 몇몇 환자에게서 발견되어 왔고, 특히 안구 건조의 더욱 심한 타입, 예를 들어 쉐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에서 증가된다.
천연 유래이고 냉 수성 어류의 조직에 풍부한, 오메가-3 지방산은 또한 인간 망막에 광수용체의 시신경 유두에 풍부하다. 전염병학적으로, AMD의 출현은 오메가-3 지방산이 결핍된 음식물을 섭취한 개체에서 더 높다는 것, 즉, 음식물에서의 오메가-3의 양은 AMD의 출현과 반비례 관계라는 것이 밝혀졌다 (Seddon and Willett et al). 필수 오메가-3 지방산, 예를 들어 C20 에이코사펜타엔 산(eicosapentaenoic acid) (EPA) 및 C22 도코사헥사엔 산(docosahexaenoic acid) (DHA)은 시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 및 리폭시게나아제(lipoxygenase)에 대한 기질로 아라키돈 산(arachidonic acid)과 경쟁하는 전구염증성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의 함량을 조절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들 중요한 어유-유래의 필수 영양분은 염증 수반에 따른 결과로, AMD의 발생정도 및 진행을 감소시킨다고 믿어진다. 폴리엔 오메가-3 지방산은 쉽게 산화된다. 이런 산화 생성물은 쉽게 생체 내에서, 특히 시토크롬 효소에 의해 기능화된다. 몇몇 오메가-3 지방산은 막 구조에 있어서 필수적이다. 다른 것들은 전사 인자 또는 핵 수용체에 대한 리간드로 기능하는 것으로 보이고, 핵 활성도를 활성화 또는 불활성화하는 전달자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오메가-3 지방산 부류의 구성원들은 본 발명의 식이 보충제에서 더해진 효과 기간을 제공할 수 있고, 또는 안정성을 줄 수 있는 반면, 이 필수 지방 부류에 동반될 수 있는 불쾌한 "생선" 냄새는 피할 수 있다.
눈 건강에 중요한, 두 가지 두드러진 오메가-3 지방산, 공액된 지방산은 DHA 및 EPA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DHA"는 이들 두 가지 두드러진 오메가-3 지방산 중 하나 또는 이 둘의 혼합물을 지칭하고; 즉, 용어 "DHA"가 사용될 때, 통상의 기술자는 DHA, EPA, 또는 EPA 및 DHA의 혼합물 중 하나가 각 경우에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혼합물이 사용될 때 EPA 대 DHA의 바람직한 비율은 EPA:DHA가 0.8:0.2 내지 0.2:0.8이다. 도코사헥사엔산이 발효 및 생명공학의 공급원으로부터 이용가능하게 만들어지지만, 바람직한 블렌드는 대게 어류로부터 수확되고 이어서 정제/탈취된다.
바이오플라보노이드(bioflavonoid), 또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는 주로 과일 및 야채에서 발견되는 플라본- 및 이소플라본-유사 구조이다. 플라보노이드 (종종 추적하기 어려운 대사 산물을 생산하고, 생체내에서 쉽게 관능화되는 폴리페놀릭)는 좋은 항산화제 및 생물학적 전달자 모두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모 물질이거나 관능화된 다른 이소플라본은 또한 전사 또는 번역을 조절하는 핵 전달자로서의 기능 그리고 그렇게 함으로써 쥐에 제니스테인 기능으로서 인간에게 효과적으로 세포 분비 또는 염증을 조절하는 단백질에 영향을 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 1 참조). 관능화된 이소플라본은 생물학적 효과의 지속 기간 또는 효력, 형성된 물질의 안정성, 또는 생물학적 이용 가능성에 대해 선택될 수 있다. 바이오플라보노이드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고 또는 이 분야에 공지된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다. 바이오플라보노이드의 예는, 비제한적으로, 케르세틴(quercetin), 아카세틴(acacetin), 리퀴리틴(liquiritin), 루틴(rutin), 탁시폴린(taxifolin), 노빌레틴(nobiletin), 탄게레틴(tangeretin), 아피게닌(apigenin), 키르신(chyrsin), 미리세틴(myricetin), 제니스테인, 다이드제인(daidzein), 루테올린(luteolin), 나린제닌(naringenin), 및 캄페롤(kaempferol), 및 그들의 유도체, 예를 들어 상응하는 메톡시-치환된 유사체를 포함한다. 바이오플라보노이드는 생체 내에서 효소-매개 반응의 속도의 조절자로서 영양상의 건강에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이 보충제 및 제제에서 성분의 조합 (즉, 오메가-3 지방산 및 플라보노이드)은 이들을 함유하는 식이 보충제에게 첨가제일 뿐만 아니라 상승효과 또한 제공할 것이라고 믿어진다. 오메가-3 지방산과 플라보노이드의 조합은 안구 건조 치료에 대해, 잠재적으로 염증, 건조함, 및 마이봄 분비의 정도에 영향을 주는 것에 대해 단독일 때보다 더 큰 혜택이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식이 보충제는 하나 이상의 오메가-3 지방산 및 하나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식이 보충제에 사용하기 위한 바람직한 오메가-3 지방산은 로푸파(Ropufa) 75 N-3 EE (DSM에 의해 생산된 오메가-3 지방산의 등록상표의 블렌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이 보충제에 사용하기 위한 바람직한 플라보노이드는 케르세틴, 아카세틴, 리퀴리틴, 루틴, 탁시폴린, 노빌레틴, 탄게레틴, 아피게닌, 키르신, 미리세틴, 제니스테인, 다이드제인, 루테올린, 나린제닌, 및 캄페롤, 및 이들의 유도체, 예를 들어 상응하는 메톡시-치환된 유사체를 포함한다.
예상되는 복용 형태는 연질 젤라틴일 것이다. 바람직한 복용 요법은 각각, 약 60 중량%의 오메가-3 및 약 40 중량%의 플라보노이드를 가지는 블렌드를 함유하는, 총 중량 약 일 그램 (1 g)을 하루에 2 내지 3 개의 연질 젤라틴 캡슐로 섭취하는 것일 것이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제제는 실시예 1-4의 것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제는 또한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항산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항산화제는 소수성 또는 친수성일 수 있다. 항산화제는 카로티노이드 성분의 산화, 광화학적 및/또는 열적 열화를 막는 역할을 한다. 항산화제가 또한 영양학적 건강에 유용하다고 생각되어지기 때문에, 이들은 또한 몇몇 영양학적 이점을 숙주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보통, 항산화제는 천연 항산화제 또는 그것으로부터 유도된 시약일 수 있다. 천연 항산화제 및 관련 유도체들의 예는, 비제한적으로, 비타민 E 및 관련 유도체, 예를 들어 토코트리에놀(tocotrienol), 알파-, 베타-, 감마-, 델타- 및 엡실론-토코페롤, 및 이들의 유도체, 예를 들어 상응하는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비타민 C 및 관련 유도체, 예를 들어,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및 천연 오일, 예를 들어 로즈마리 오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제제는 하나 이상의 소수성의 항산화제를 함유할 것이다. 제제에 함유된 항산화제(들)의 양은 카로티노이드 성분의 산화, 광화학적 및/또는 열적 열화를 막거나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일 것이다. 이런 양은 본 명세서에서 "하나 이상의 항산화제 유효량"으로 지칭한다. 보통, 이런 양은 크산토필(xanthophyll) 및 카로틴(carotene)/레티노이드(retinoid) 성분 및 존재하는 임의의 다른 화학적으로 민감한 성분, 예를 들어, 바이오플라보노이드 양의 약 0.1 내지 10 배 범위일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로티노이드 단독으로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여 약 0.5-25 %w/w를 포함할 것인, 바람직한 제제는 항산화제 약 2 내지 10 %w/w를 함유할 것이다. 항산화제는 복용 형태로 통합하기 전에 코비들렛(cobeadlet)의 분리된 저장부에 지정된 영양소와 합쳐질 수 있다. 모두 본 명세서의 참고문헌으로 포함된, 미국 특허 제6,582,721호 및 제6,716,447호 및 미국 특허 출원 제2005/0106272호, 및 제2005/0147698호에서 설명하는 것들과 같은 코비들렛은 본 발명의 제제에 유용하다.
제제는 또한 하나 이상의 응고, 팽창 및 응집제를 포함할 것이다 (총괄하여 본 명세서에서 "응고제(들)"로 지칭). 응고제(들)은 모두, 오일을 과립화, 블렌딩, 및 타정에 요구되는 압착에 적합한 안정한 응집물로 변환시킬 수 있는, 비들렛과 같은 고형-유사 운반체 생산에 및 타정에 사용된다. 제제의 제조에 유용한 응고제들의 예는, 비제한적으로, 자당(sucrose), 포도당(glucose), 과당(fructose), 전분(starch) (예를 들어, 옥수수 전분), 시럽(syrup) (예를 들어, 옥수수 시럽), 및 비제한적으로, PEG 및 다른 폴리 에테르-유사 알콕시 셀룰로오스 화합물 (HPMC), 젤란(gellan), 카라기닌(carrageenan), 유케마 젤라티내(Eucheuma gelatenae), 구아(guar), 히알루론산염(hyaluronate), 알긴염(alginate), 콘드로이틴 황산염(chondroitin sulfate), 펙틴(pectin), 및 단백질 (예를 들어, 콜라겐 또는 그들의 가수분해 생성물 (예를 들어, 젤라틴 또는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이온성 및 비 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한다. 식이 보충제 제조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다른 응고제들은 또한 본 발명의 제제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응고제(들)의 양은 제제에 함유되는 다른 구성성분에 따라, 다양할 것이나, 일반적으로 식이 보충제의 가장 큰 중량 및 부피를 구성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식이 보충제의 복용 형태는 바람직하게는 환자가 하루 한 번 또는 두 번의 1 내지 4의 복용량을 가지는 경구 투여용 정제, 캡슐 또는 연질 젤라틴 형태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총 복용량이 단일 복용 또는 달리 여러 번의 복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고 의도한다. 조성물은 또한 시간에 맞춘 방출(timed-release) 또는 지연된 방출(delayed-release) 형태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경구 투여를 위해, 본 조성물은 잘 알려진 방법에 따라 제조된, 캡슐, 옻칠한 정제, 옻칠하지 않은 정제, 연질 젤라틴, 또는 방출 조절 분말의 블렌드일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람직한 수회의 복용량에 따라, 각 정제, 캡슐, 또는 연질 젤라틴은 바람직하게 거의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다른 오일이 본 발명의 제제에 존재할 수 있다. 제제에 첨가되는 별도의 카로틴/레티노이드 및/또는 크산토필 성분은 일반적으로 희석된 식물성 오일 또는 오일 현탁액, 또는 함유 수지(oleoresin) 추출물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기 때문에, 제제는 통상적으로 식물성 오일 또는 함유 수지의 양을 포함할 것이다. 이런 오일/함유 수지의 양은 통상적으로 제제에서 크산토필 또는 카로틴 함량의 약 1 내지 100 배의 범위이다. 예를 들어, 식이 보충제에 포함되는 크산토필 추출물은 20 %w/w의 루테인, 2 %w/w의 제아잔틴 및 78 %의 식물성 오일/함유 수지를 함유할 수 있다. 다른 오일들 또한 제제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는 또한 식이 보충제의 제조 및 가공에 유용한 추가적인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부형제는 소화관에서 제제의 용해를 늦추는데 유용한 시간에 맞춘 방출 고분자 코팅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고분자의 예는, 이온성 및 비이온성 고분자로, 예를 들어 PEG 및 다른 폴리 에테르-유사 알콕시 셀룰로오스 화합물 (HPMC), 젤란, 카라기닌, 유케마 젤라티내, 전분, 히알루론산염, 콘드로이틴 황산염, 펙틴, 및 단백질, 예를 들어, 콜라겐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크산토필/카로틴이 매우 착색되어 있기 때문에, 코팅 기술이 단일한 색의 식이 보충제를 제공하기 위하여 식이 보충제에 적용될 수 있다. 색 코팅제의 예는, 비제한적으로, 고분자, 착색제, 실란드 및 지방산 및 에스테르, 디- 및 트리글리세리드를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는 표면 활성제, 모노- 및 디-알킬 글리세릴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인지질을 포함하는 표면 활성제, 비이온성 시약 (설탕, 다당류, 예를 들어, HPMC 및 폴리소르베이트 80) 및 이온성 시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설명한 제제에 함유되는 성분은, 일부 경우에, 식이 보충제 안에서 미소구를 형성할 수 있다. 식이 보충제는 다양한 크기 및 모양일 수 있다.
식이 보충제는 이 분야에 공지된 많은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하루에 권장 수의 식이 보충제를 섭취할 때 매일의 복용량 (하루에 소비되는 양)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본 발명의 식이 보충제에 존재한다.
일부 복용 형태, 예를 들어 연질 젤라틴에서, 영양소의 농축된 오일 상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이것들은 복합 유동성 코어에 혼합될 수 있고 동시에 보통의 희석제 및 항산화제의 도움으로 보호받을 수 있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도시하기 위해 포함된다. 다음의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기술들은 발명자에 의해 발견된 기술이 본 발명의 실시에서 잘 기능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그리고 따라서 이 실시에 대한 바람직한 방식을 구성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에 비추어, 많은 변화를 설명된 특별한 실시양태에 적용할 수 있음을, 그리고 여전히 본 발명의 본질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같거나 또는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인식한다.
실시예 1
다음의 표는 본 발명의 방법 및 조성물에 유용하다고 간주되는 플라보노이드 및 오메가-3 지방산의 예를 제공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에 제공된 시약이 제공되는 범위 내의 임의의 양으로 본 발명의 식이 보충제에 포함될 수 있고, 추가적으로, 표에 실린 1차 및 2차 성분의 임의의 조합이 식이 보충제에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Figure pct00001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제의 추가적인 예는 다음의 예에 제공된다.
실시예 2
Figure pct00002
실시예 3
Figure pct00003
실시예 4
Figure pct00004
실시예 5
Figure pct00005
실시예 6
Figure pct00006
실시예 7
Figure pct00007
실시예 8
Figure pct00008
실시예 9
Figure pct00009
실시예 10
Figure pct00010
* 정제 형태에서 제외될 수 있음.
** 로즈마리 오일로 제공될 수 있음.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고 청구된 방법 및/또는 조성물 모두는 본 자료에 비추어 과도한 실험 없이 만들어지고 시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조성물은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면에서 설명되었지만, 변형이 본 발명의 개념, 본질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방법 및/또는 조성물 및 방법의 단계 또는 일련의 단계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분명할 것이다. 게다가 특히, 화학적 그리고 구조적으로 모두 연관된 특정한 시약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시약과 치환되어 비슷한 결과를 형성할 수 있음이 자명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당연한 모든 이런 치환물 및 수정물은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본질, 범위 및 개념에 속한다고 여겨진다.
참고문헌
다음의 참고문헌은, 그들이 본보기 제조공정 또는 본 명세서의 앞에 기재된 것들에 대한 다른 자세한 보충을 제공하는 정도로, 분명히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되어있다.
미합중국 특허 및 공개된 출원
Figure pct00011
서적
Figure pct00012
다른 출판물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Claims (11)

  1. 하나 이상의 오메가-3 지방산 및 하나 이상의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는 안구 건조 증상의 완화를 위한 식이 보충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메가-3 지방산이 로푸파(ROPUFA) 75 N-3 EE인 식이 보충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보노이드는 케르세틴(quercetin), 아카세틴(acacetin), 리퀴리틴(liquiritin), 루틴(rutin), 탁시폴린(taxifolin), 노빌레틴(nobiletin), 탄게레틴(tangeretin), 아피게닌(apigenin), 키르신(chyrsin), 미리세틴(myricetin), 제니스테인(genistein), 다이드제인(daidzein), 루테올린(luteolin), 나린제닌(naringenin), 및 캄페롤(kaempferol), 및 이들의 유도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식이 보충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보노이드는 제니스테인인 식이 보충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이 보충제가 총 중량 일 그램 (1 g)을 가지는 연질 젤라틴의 형태이고, 상기 오메가-3 지방산의 농도는 약 60 중량% 및 플라보노이드의 농도는 약 40 중량%인 식이 보충제.
  6. 제1항에 있어서,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항산화제를 포함하는 것인 식이 보충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제는 비타민 E 및 관련 유도체; 비타민 C 및 관련 유도체; 및 천연 오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식이 보충제.
  8. 600 mg 이하의 EPA/DHA, 200 mg 이하의 알파-리놀렌 산, 60 mg 이하의 비타민 C, 200 mg 이하의 d-알파-토코페릴 아세테이트, 150 mcg 이하의 비타민 D, 30 mg 이하의 아연, 100 mg 이하의 구리, 70 mcg 이하의 셀레늄, 4 mg 이하의 망간, 100 mg 이하의 제니스테인, 25 mg 이하의 리코펜, 및 25 mg 이하의 카르노솔 또는 카르노스 산을 포함하는 안구 건조 증상 완화를 위한 식이 보충제.
  9. 제8항에 있어서, 에틸 에스테르로 EPA/DHA 약 300 mg, 에틸 에스테르로 알파-리놀렌 산 약 50 mg, 비타민 C 약 30 mg, d-알파-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약 50 mg, 비타민 D 약 5 mcg, 아연 약 15 mg, 구리 약 1 mg, 셀레늄 약 35 mcg, 망간 약 2 mg, 제니스테인 약 50 mg, 리코펜 약 10 mg, 및 카르노솔 또는 카르노스 산 약 10 mg을 포함하는 식이 보충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노솔 및 카르노스 산은 로즈마리 오일로 제공되는 것인 식이 보충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식이 보충제는 캡슐인 식이 보충제.
KR1020127011614A 2009-11-06 2010-11-08 안구 건조의 완화를 위한 영양 보충제 KR201201159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5886709P 2009-11-06 2009-11-06
US61/258,867 2009-11-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965A true KR20120115965A (ko) 2012-10-19

Family

ID=43566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1614A KR20120115965A (ko) 2009-11-06 2010-11-08 안구 건조의 완화를 위한 영양 보충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10111055A1 (ko)
EP (1) EP2496233A1 (ko)
JP (1) JP2013510095A (ko)
KR (1) KR20120115965A (ko)
AU (1) AU2010314956A1 (ko)
BR (1) BR112012010586A2 (ko)
CA (1) CA2774054A1 (ko)
WO (1) WO201105718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6405A (ko) * 2013-03-12 2015-11-11 피지션즈 레커멘디드 뉴트리슈티컬즈, 엘엘씨 마이봄선을 표적화하는 영양 보충물
WO2019212199A1 (ko) * 2018-04-30 2019-11-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염증성 안구표면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46496A0 (en) 2001-11-14 2002-07-25 Lycored Natural Prod Ind Ltd Carotenoid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tecting skin
US20100159029A1 (en) * 2008-12-23 2010-06-24 Alcon Research, Ltd. Composition and nutritional supplements for improving ocular health and reducing ocular inflammatory response
PL2575795T3 (pl) 2010-05-26 2020-06-01 Kerecis Ehf STABILIZOWANY PREPARAT ZAWIERAJĄCY KWASY TŁUSZCZOWE OMEGA-3 ORAZ ZASTOSOWANIE KWASÓW TŁUSZCZOWYCH DO PIELĘGNACJI SKÓRY l/LUB PIELĘGNACJI RAN
US9115078B2 (en) * 2011-07-18 2015-08-25 Physicians Recommended Nutriceuticals, Llc Composi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meibum composition of inflamed or dysfunctional meibomian glands
US20210121430A1 (en) 2011-07-18 2021-04-29 Prn Physician Recommended Nutriceuticals, Llc Omega-3 fatty acid supplementation for use in treating dry eye
US10709680B2 (en) 2011-07-18 2020-07-14 Physicians Recommended Nutriceuticals, Llc Methods for treating dry eye
ES2428665B1 (es) * 2012-05-04 2014-10-01 Universidad De Valladolid Composición para su uso en el tratamiento y/o prevención de la inflamación, el estrés oxidativo y la neovascularización ocular
TWI671014B (zh) 2012-11-26 2019-09-11 美商通路實業集團國際公司 抗氧化膳食增補劑及其相關方法
US20150374660A1 (en) * 2013-02-26 2015-12-31 Jiva Pharma, Inc. Ascorbate Esters of Omega-3 Fatty Acids and Their Formulations and Uses
US9901562B2 (en) * 2013-04-04 2018-02-27 Lycored Ltd. Anti-inflammatory omega-3 synergistic combinations
JP6236304B2 (ja) * 2013-12-04 2017-11-22 ライオン株式会社 涙液分泌促進剤
WO2015085045A1 (en) 2013-12-06 2015-06-11 Ambo Innovations, Llc Omega-3 fatty acid articles of manufacture,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SI3197556T1 (sl) 2014-09-22 2024-03-29 Ntc S.R.L Sestavek za preprečevanje in/ali zdravljenje alergijskih simptomov
WO2017183651A1 (ja) * 2016-04-20 2017-10-26 花王株式会社 分離型液体調味料
JP7323984B2 (ja) * 2016-08-31 2023-08-09 ロート製薬株式会社 飲食品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8753A (en) * 1974-08-13 1976-12-21 Hoffmann-La Roche Inc. Water dispersible carotenoid preparations and processes thereof
CH627449A5 (de) * 1977-03-25 1982-01-15 Hoffmann La Roch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ikrokristallinem vitamin a-acetat, sowie von trockenen, frei-fliessenden praeparaten, in welchen vitamin a-acetat in mikrokristalliner form vorliegt.
US4657928A (en) * 1982-05-27 1987-04-14 International Copper Research Association, Inc. Organic copper complexes as radioprotectants
US4670247A (en) * 1983-07-05 1987-06-02 Hoffman-Laroche Inc. Process for preparing fat-soluble vitamin active beadlets
US4818537A (en) 1986-10-21 1989-04-04 Liposome Technology, Inc. Liposome composition for treating dry eye
US5041434A (en) * 1991-08-17 1991-08-20 Virginia Lubkin Drugs for topical application of sex steroids in the treatment of dry eye syndrome, and methods of preparation and application
US5958912A (en) 1992-04-21 1999-09-28 The Schepens Eye Research Institute, Inc. Ocular therapy in keratoconjunctivitis sicca using topically applied androgens of TGF-β
US5290572A (en) 1992-08-06 1994-03-01 Deo Corporation Opthalmic composition for treating dry eye
JPH09119504A (ja) * 1995-10-26 1997-05-06 Nsk Warner Kk トルクコンバータに用いる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
US5696166A (en) 1995-10-31 1997-12-09 Yanni; John M. Compositions containing hydroxyeicosatetraenoic acid derivatives and methods of use in treating dry eye disorders
WO1997020578A1 (en) 1995-12-04 1997-06-12 University Of Miami Non-preserved topical corticosteroid for treatment of dry eye, filamentary keratitis, and delayed tear clearance
US5800807A (en) * 1997-01-29 1998-09-01 Bausch & Lomb Incorporated Ophthalmic compositions including glycerin and propylene glycol
KR100598723B1 (ko) 1998-07-14 2006-07-11 알콘 매뉴팩츄어링, 리미티드 비알레르기성 안염증 질환 치료 및 안혈관신생 예방용약제를 제조하기 위한11-(3-디메틸아미노프로필리덴)-6,11-디하이드로디벤즈[β,ε]옥세핀-2-아세트산의 용도
US5955102A (en) * 1998-09-04 1999-09-21 Amway Corporation Softgel capsule containing DHA and antioxidants
US6582721B1 (en) * 1999-09-17 2003-06-24 Alcon, Inc. Stable carotene-xanthophyll beadle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US7097868B2 (en) * 2001-08-23 2006-08-29 Bio-Dar Ltd. Stable coated microcapsules
AR039170A1 (es) * 2002-03-28 2005-02-09 Bio Dar Ltd Co-granulos de dha y romero y metodos de uso
AU2003220417B2 (en) 2002-03-28 2009-03-12 Alcon, Inc. Co-beadlet of DHA and rosemary and methods of use
US20040076695A1 (en) * 2002-07-08 2004-04-22 Advanced Vision Research EPA and DHA enriched omega-3 supplement for the treatment of dry eye, meibomianitis and xerostomia
US7638142B2 (en) * 2005-10-12 2009-12-29 Vitamin Science, Inc. Therapeutic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dry eye syndrome
ZA200805146B (en) * 2005-12-20 2009-10-28 Alcon Res Ltd Composition and methods for inhibiting the progression macular degeneration and promoting healthy vision
WO2007116052A1 (en) * 2006-04-12 2007-10-18 Unilever Plc Oral composition comprising dha and genistein for enhancing skin properties
ES2423484T3 (es) * 2007-04-02 2013-09-20 Dsm Ip Assets B.V. Uso de genisteína para tratar síndrome de ojo seco
US20100021573A1 (en) * 2008-07-22 2010-01-28 Michael J Gonzalez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6405A (ko) * 2013-03-12 2015-11-11 피지션즈 레커멘디드 뉴트리슈티컬즈, 엘엘씨 마이봄선을 표적화하는 영양 보충물
WO2019212199A1 (ko) * 2018-04-30 2019-11-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염증성 안구표면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74054A1 (en) 2011-05-12
AU2010314956A1 (en) 2012-04-12
EP2496233A1 (en) 2012-09-12
US20110111055A1 (en) 2011-05-12
WO2011057183A1 (en) 2011-05-12
JP2013510095A (ja) 2013-03-21
BR112012010586A2 (pt) 201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5965A (ko) 안구 건조의 완화를 위한 영양 보충제
EP1471898B1 (en) Lutein/zeaxanthin for glare protection
US5955102A (en) Softgel capsule containing DHA and antioxidants
US20070141170A1 (en) Composition and methods for inhibiting the progression macular degeneration and promoting healthy vision
US20100159029A1 (en) Composition and nutritional supplements for improving ocular health and reducing ocular inflammatory response
JPWO2008143182A1 (ja) 甘草ポリフェノールを含有する組成物
KR20090003281A (ko) 신체적 외관의 개선을 위한 화합물 및 화합물의 조합물의 신규한 용도
WO2005110375A1 (en) Nutritional supplement for treatment of ocular diseases
JP5405528B2 (ja) 肥満の治療および太りすぎの美容的処置用の薬剤を製造するためのフランアルキルの使用
CA2738357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to promote ocular health
CN105079009B (zh) 预防和/或治疗心脑血管疾病的组合物
US20050112210A1 (en) Eye nutritional supplement
CN116617196A (zh) 将多酚用于肌肉骨骼健康的组合物和方法
MX2013011295A (es) Composiciones para el tratamiento de trastornos neurologicos.
EP2859896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muscular disorders
US20190008814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peripheral neuropathy
ES2331847T3 (es) Uso de alquil-furanos para la preparacion de un medicamento destinado al tratamiento de la diabetes.
JP2021059589A (ja) 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
EP2476425B1 (en) Composition comprising OPC and Omega-3 for preventing and/or inhibiting the development of diabetic retinopathy
CA2346647C (en) Treatment of dyspepsia
JP2007051084A (ja) 皮膚改善剤
US20220152140A1 (en) Composition of desmodium and trivalent chromium, and ocular use
RU2211043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лекарственных форм и обогащения продуктов питания, способствующая коррекции нарушений липидного обмена, профилактики и лечения атеросклероза
US20180085382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ognitive health and memory
MX2008007883A (en) Composition and methods for inhibiting the progression macular degeneration and promoting healthy vi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