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4795A - 고온에서 유지력이 우수한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온에서 유지력이 우수한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4795A
KR20150124795A KR1020140051813A KR20140051813A KR20150124795A KR 20150124795 A KR20150124795 A KR 20150124795A KR 1020140051813 A KR1020140051813 A KR 1020140051813A KR 20140051813 A KR20140051813 A KR 20140051813A KR 20150124795 A KR20150124795 A KR 20150124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mer
weight
acrylate
sensitive adhesiv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1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제환
정부영
천정미
김재원
곽용실
Original Assignee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주식회사 블루폴리텍
한국계면활성제접착제공업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주식회사 블루폴리텍, 한국계면활성제접착제공업협동조합 filed Critical 한국신발피혁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51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4795A/ko
Publication of KR20150124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79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에서 유지력이 우수한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갖는 단량체를 병용함에 따라 고온에서 장시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점착제의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유지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는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전이온도가 -20℃ 이하의 단량체와 -20℃초과 ~ 65℃이하의 단량체를 주성분으로 사용하고, 여기에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갖는 관능성 단량체로써 카르복실기를 갖는 단량체, 수산기와 아미드기를 함께 갖는 단량체 및 에폭시기를 갖는 단량체를 병용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점착력, 점착성 등 점착제 고유 물성을 유지하면서도 고온에서 유지력이 매우 우수한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온에서 유지력이 우수한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ACRYLIC ADHESIVE RESIN COMPOSITION WITH HOLDING ABILITY AT HIGH TEMPERATURE}
본 발명은 고온에서 유지력이 우수한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갖는 단량체를 병용함에 따라 고온에서 장시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점착제의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유지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는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착제는 점탄성의 물질로서 상온에서 고체 상태로 존재하며 열이나 용제에 의하여 활성화 되지 않더라도 지압 정도의 압력으로 접착이 가능하며 피착체로부터 흔적을 남기지 않고 제거가 가능한 물질로 정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점착제는 고무계, 아크릴계, 그리고 실리콘계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아크릴계 점착제는 그 조성을 변경시킴으로써 접착성, 점착성, 응집력의 균형을 변경시킬 수 있는 특성이 있어서 고기능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에 가장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할 경우, 점착제와 기재들 간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점착제의 구성성분, 가교구조 등을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하는데, 점착제 및 기재의 화학구조 및 표면특성의 차이에 의하여 밀착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에서는 반응성 관능기를 함유한 공중합체와 반응성 관능기를 함유하지 않는 공중합체를 1:4 내지 4:1의 중량비로 혼합함으로써 고온고습하의 조건에서 점착제의 응집력, 점착력 등이 우수하고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특정의 단량체를 함유한 아크릴 수지를 공중합하여 이를 혼합하고 여기에 가교제 및 실란계 커플링제를 포함한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조하여 내구성, 접착력 및 유지력 등의 제반 특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하였다.
하지만, 상기의 종래기술에서 사용하는 점착제는 특정의 단량체를 함유하고 있는 아크릴 조성물 제조하여 이를 다시 혼합하는 등 제조 공정이 복잡하며 고온하에서 점착제와 기재와의 유지력 및 접착력을 유지하기 위해 가교제 및 실란계 커플링제를 필히 사용하므로 가교 반응이 적절히 조절이 되지 않을 경우 점착제 물성의 경시 변화가 예상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점착력 및 점착성 등의 점착제의 주요 물성을 거의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고온에서 유지력이 우수한 새로운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0-207101호 "POLARIZING PLATE"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47540호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유리전이온도가 -20℃ 이하의 단량체와 -20℃초과 ~ 65℃이하의 단량체를 주성분으로 사용하고, 여기에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갖는 관능성 단량체로써 카르복실기를 갖는 단량체, 수산기와 아미드기를 함께 갖는 단량체 및 에폭시기를 갖는 단량체를 병용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점착력, 점착성 등 점착제 고유 물성을 유지하면서도 고온에서 유지력이 매우 우수한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함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유리전이온도가 -100℃ ~ -20℃ 이하의 단량체와, 유리전이온도가 -20℃ 초과 ~ 65℃ 이하의 단량체를 주성분으로 사용하고, 여기에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갖는 관능성 단량체가 병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에서 유지력이 우수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온에서 유지력이 우수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유리전이온도가 -100℃ ~ -20℃ 이하의 단량체 65 ~ 96 중량%와, 유리전이온도가 -20℃ 초과 ~ 65℃ 이하의 단량체 4 ~ 35 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갖는 관능성 단량체 0.7 ~ 6 중량부가 병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갖는 관능성 단량체는, 카르복실기를 갖는 단량체 0.3 ~ 3 중량부, 수산기와 아미드기를 함께 갖는 단량체 0.2 ~ 2 중량부 및 에폭시기를 갖는 단량체 0.2 ~ 1 중량부가 병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유리전이온도가 -100℃ ~ -20℃ 이하의 단량체는, 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아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헵틸아크릴레이트, 옥틸아크릴레이트, n-펜틸아크릴레이트 또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하며,
상기 유리전이온도가 -20℃ 초과 ~ 65℃ 이하의 단량체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또는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카르복실기를 갖는 단량체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인산, 푸말산 또는 이타콘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하며,
상기 수산기와 아미드기를 함께 갖는 단량체는, N-메틸롤아크릴아미드, N-메틸롤메타크릴아미드, N-에틸롤아크릴아미드 또는 N-부틸롤아크릴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하고,
상기 에폭시기를 갖는 단량체는,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메틸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또는 알릴글리시딜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은 점착력, 점착성 등 점착제의 주요 물성이 저하되지 않으며 고온에서 장기간 사용시 유지력이 저하되지 않으므로 고온이 요구되는 용도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온에서 유지력이 우수한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온에서 유지력이 우수한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유리전이온도가 -100℃ ~ -20℃ 이하의 단량체와, 유리전이온도가 -20℃ 초과 ~ 65℃ 이하의 단량체를 주성분으로 사용하고, 여기에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갖는 관능성 단량체가 병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유리전이온도가 -100℃ ~ -20℃ 이하의 단량체 65 ~ 96 중량%와, 유리전이온도가 -20℃ 초과 ~ 65℃ 이하의 단량체 4 ~ 35 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갖는 관능성 단량체 0.7 ~ 6 중량부가 병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리전이온도가 -100℃ ~ -20℃ 이하의 단량체로는 불포화카르본산에스테르로써 예를 들어 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아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헵틸아크릴레이트, 옥틸아크릴레이트, n-펜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등이 있으며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65 ~ 96 중량%가 사용되는데 유리전이온도가 -100℃ ~ -20℃ 이하의 단량체의 사용량이 65 중량% 미만일 경우, 점착성이 저하되어 점착제로서의 물성을 나타내지 못하며, 96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점착제의 흐름성이 너무 커서 점착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리전이온도가 -20℃ 초과 ~ 65℃ 이하의 단량체는 불포화카르본산에스테르로써 예를 들어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으며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이상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4 ~ 35 중량%가 사용되는데 유리전이온도가 -20℃ 초과 ~ 65℃ 이하의 단량체의 사용량이 4 중량% 미만일 경우, 응집력이 낮아 크리프성이 감소하고 저하되며, 35 중량%를 초과할 경우, Tg가 너무 높아 점착성이 저하되어 점착제로서의 물성을 나타내지 못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갖는 관능성 단량체는 고온에서 유지력을 부여하기 위해 병용되는 것으로, 상기 유리전이온도가 -100℃ ~ -20℃ 이하의 단량체와, 유리전이온도가 -20℃ 초과 ~ 65℃ 이하의 단량체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7 ~ 6 중량부가 병용되는데, 더욱 구체적으로는 카르복실기를 갖는 단량체 0.3 ~ 3 중량부, 수산기와 아미드기를 함께 갖는 단량체 0.2 ~ 2 중량부 및 에폭시기를 갖는 단량체 0.2 ~ 1 중량부가 병용된다.
한편, 상기 카르복실기를 갖는 단량체로는 디 또는 모노 불포화 카르본산 단량체를 사용하는데,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인산, 푸말산, 이타콘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이 0.3 중량부 미만일 경우 응집력이 낮아 점착물성이 저하되고, 3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기재에 대한 접착성이 증가되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착성이 저하하게 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수산기와 아미드기를 함께 갖는 단량체로는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아미드를 사용하는데, 예를 들면 N-메틸롤아크릴아미드, N-메틸롤메타크릴아미드, N-에틸롤아크릴아미드, N-부틸롤아크릴아미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이 0.2 중량부 미만일 경우, 응집력이 낮아 요구되는 고온 유지력(크리프성)을 얻을 수가 없고, 2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지나친 가교로 인해 점착성이 크게 저하되어 용도에 적합한 점착물성을 나타내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에폭시기를 갖는 단량체로는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메틸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이 0.2 중량부 미만일 경우, 고온조건하에 응집력이 낮아 크립성이 저하되고, 1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점착제의 유동 특성을 감소시키고 응집력 상승으로 점착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때, 상기 각 단량체의 종류는 상기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그외 다른 단량체를 모두 적용 및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단량체 이외에 통상적인 중합개시제 또는 물성 향상을 위한 가교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중합개시제로는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비스시클로헥산카르보닐니트릴 등의 아조계 중합개시제와 과산화벤조일, 과산화아세틸 등의 과산화물을 단독 또는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가교제로는 이소사아네이트계 및 에폭시계 가교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중에서 이소시아네이트계가 사용상 용이하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는 톨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롬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크실렌디이소시아네티트 등이 있다.
한편, 상기 중합개시제는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 1.5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으며, 0.5 중량부 미만이면 미반응의 단량체 구성성분들이 조성물 내에 잔류할 우려가 있고,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미반응 개시제가 존재하여 점착력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아울러, 상기 가교제는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 3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으며, 0.01 중량부 미만이면 물성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3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가교도가 높아 오히려 점착제로써의 사용이 불가할 우려가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용액중합법, 벌크중합법, 서스펜션중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액중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며, 통상적인 중합온도로써 60 ~ 110℃인 것이 바람직하고 단량체들이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에서 개시제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아래 실시 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의 구성은 아래의 실시예에 의해서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아크릴계 점착제 제조
(실시예 1)
혼합용기에 질소가스가 환류되고 온도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장치를 설치한 500ml 반응기에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과 같이 부틸아크릴레이트 40 중량%, 에틸아크릴레이트 25 중량% 및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35 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산 0.4 중량부와 N-메틸롤 아크릴아미드(50%) 0.3 중량부를 투입하였다. 그리고 용제로 에틸아세테이트 150 중량부를 투입하였다.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를 30분간 충분히 퍼징하며 교반한 후, 온도는 75℃로 유지하고, 반응 개시제인 아조비스이소브티로니트릴 0.06 중량부를 50% 농도로 에틸아세테이트에 희석시켜 투입하고 10 ~ 12시간 반응시켜 고형분 40중량%인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부틸아크릴레이트 50 중량% ,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40 중량%,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 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산 1.5 중량부와 N-메틸롤아크릴아미드(50%) 2 중량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1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중합공정으로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부틸아크릴레이트 70 중량%,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10 중량%,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15 중량%,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5 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산 2.5 중량부와 N-메틸롤아크릴아미드(50%) 3.5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중합공정으로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부틸아크릴레이트 20 중량%,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60 중량%, 에틸아크릴레이트 16 중량%,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4 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메타크릴산 2.5 중량부와 N-메틸롤아크릴아미드(50%) 1 중량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1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중합공정으로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부틸아크릴레이트 35 중량%,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35 중량%, 에틸아크릴레이트 10 중량%,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0 중량%를 사용하되,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갖는 관능성 단량체는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중합공정으로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부틸아크릴레이트 30 중량%,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60 중량%,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 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산 4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중합공정으로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부틸아크릴레이트 40 중량%,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40 중량%,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0 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2.5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중합공정으로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부틸아크릴레이트 10 중량%,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50 중량%,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5 중량%,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15 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메타크릴산 3 중량부, N-메틸롤아크릴아미드(50%) 5 중량부와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2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중합공정으로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 4와 비교예 1 ~ 4의 조성표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조성*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BA 40 50 70 20 35 30 40 10
EHA - 40 10 60 35 60 40 50
EA 25 - - 16 10 - - -
BMA 35 - 15 4 20 10 - 25
iso-BMA - 10 5 - - - 20 15
AA 0.4 1.5 2.5 - - 4 -
MA - - - 2.5 - - - 3
N-NMA(50%) 0.3 2 3.5 1 - - - 5
GMA - 1 - 1 - - 2.5 2
AIBN 0.06 0.06 0.06 0.06 0.06 0.06 0.06 0.06
EAc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 상기 조성의 약어는 다음과 같다.
BA: 부틸아크릴레이트, EHA: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EA: 에틸아크릴레이트, BMA: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iso-BMA: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AA:아크릴산, MA:메타크릴산 N-NMA(50%): N-메틸롤아크릴아미드, GMA: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AIBN: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EAc: 에틸아세테이트
**비교예 3은 아크릴 점착제 제조 과정 중 점도조절이 어려워 점착제로의 사용이 불가능하였다.
2. 아크릴계 점착제 평가
실시예 1 ~ 4와 비교예 1 ~ 4에 따라 제조된 아크릴 점착제를 PET 필름에 적용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1) 점착 시트 제작
제조된 아크릴 점착제를 PET 필름 위에 25㎛ 건조두께로 도포한 후 90℃에서 약 1분간 열처리한 후 상온에서 24시간 숙성하여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2) 경화
아크릴 점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를 1 중량부를 혼합시킨 후 첨가하지 않을 경우와 동일한 조건으로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3) 점착성 평가
제조된 점착제의 점착성 측정은 ASTM D3121-73에 의한 방법을 기준으로 하였다. 길이 200mm의 점착시트를 유리판에 평평하게 부착하고 직경 9.6㎜의 스테인레스 스틸구를 사용하여 경사각도 20。30', 경사높이 65mm의 위치에서 구가 굴러간 거리로서 점착성을 측정하였다.
(4) 점착력 평가
점착 시트를 스테인레스판에 손으로 압착하여 합체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180°박리강도를 측정하였다.
- 규격 : 20mm × 150mm
- 박리속도 : 200mm/min
(5) 유지력 (크리프성) 평가
점착 시트를 스테인레스판과 일정면적(25㎜×25㎜)으로 합체하여 압착시켰다. 실온에서 1시간 방치후 120℃, 150℃ 및 200℃에서 1kg의 하중을 걸어 12시간 동안 박리된 거리를 측정하여 고온 유지력 (크리프성)을 평가하였다.
특성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4
점착제 조성물
(중량부)
아크릴 점착제 100 100 100 100 100 100 100
가교제1) - 1 - 1 - 1 - 1 - 1 - 1 - 1
점착성 (mm)2) 119 110 115 104 121 108 118 113 200↑ 200↑ 56 40 46 34
유지력(크리프성)
(120℃, mm)3)
0 0 0 0 0 0 0 0 11분↓ 35분↓ 40분↓ 60분↓ 35분↓ 45분↓
유지력(크리프성)
(150℃, mm)3)
0 0 0 0 0 0 0 0 13분↓ 43분↓ 18분↓ 21분↓ 32분↓ 40분↓
유지력(크리프성)
(200℃, mm)3)
0 0 0 0 0 0 0 0 3분↓ 8분
15분↓ 18분↓ 14분↓ 22분↓
점착력 (gf/2cm) 630 830 570 750 610 760 650 810 230 280 680 830 640 790
1) Hexamethylene diisocyanate, ARF-40, 동성NSC
2) 200↑: 200mm 통과
3) ↓: 낙하시간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 4에 따른 아크릴계 점착제는 비교예에 비하여 점착성 및 점착력과 같은 점착제 고유 물성이 유지되면서도 120 ~ 200℃의 고온에서 그 유지력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온에서 유지력이 우수한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은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그 우수성이 확인되었으며, 그리고 본 발명은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유리전이온도가 -100℃ ~ -20℃ 이하의 단량체와, 유리전이온도가 -20℃ 초과 ~ 65℃ 이하의 단량체를 주성분으로 사용하고, 여기에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갖는 관능성 단량체가 병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에서 유지력이 우수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에서 유지력이 우수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유리전이온도가 -100℃ ~ -20℃ 이하의 단량체 65 ~ 96 중량%와, 유리전이온도가 -20℃ 초과 ~ 65℃ 이하의 단량체 4 ~ 35 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갖는 관능성 단량체 0.7 ~ 6 중량부가 병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에서 유지력이 우수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갖는 관능성 단량체는,
    카르복실기를 갖는 단량체 0.3 ~ 3 중량부, 수산기와 아미드기를 함께 갖는 단량체 0.2 ~ 2 중량부 및 에폭시기를 갖는 단량체 0.2 ~ 1 중량부가 병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에서 유지력이 우수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전이온도가 -100℃ ~ -20℃ 이하의 단량체는, 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아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헵틸아크릴레이트, 옥틸아크릴레이트, n-펜틸아크릴레이트 또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하며,
    상기 유리전이온도가 -20℃ 초과 ~ 65℃ 이하의 단량체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또는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에서 유지력이 우수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기를 갖는 단량체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인산, 푸말산 또는 이타콘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하며,
    상기 수산기와 아미드기를 함께 갖는 단량체는, N-메틸롤아크릴아미드, N-메틸롤메타크릴아미드, N-에틸롤아크릴아미드 또는 N-부틸롤아크릴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하고,
    상기 에폭시기를 갖는 단량체는,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메틸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또는 알릴글리시딜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에서 유지력이 우수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20140051813A 2014-04-29 2014-04-29 고온에서 유지력이 우수한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 KR201501247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813A KR20150124795A (ko) 2014-04-29 2014-04-29 고온에서 유지력이 우수한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813A KR20150124795A (ko) 2014-04-29 2014-04-29 고온에서 유지력이 우수한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795A true KR20150124795A (ko) 2015-11-06

Family

ID=54601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1813A KR20150124795A (ko) 2014-04-29 2014-04-29 고온에서 유지력이 우수한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479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4859A (ko) * 2016-04-06 2017-10-16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경화성 점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점착 필름
CN109181593A (zh) * 2018-08-11 2019-01-11 界首市梦佳怡家居有限公司 一种床垫垫层用耐氧化弹力胶的制备方法
KR102012285B1 (ko) * 2018-11-15 2019-08-23 주식회사 한울화학 재박리형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4859A (ko) * 2016-04-06 2017-10-16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경화성 점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점착 필름
CN109181593A (zh) * 2018-08-11 2019-01-11 界首市梦佳怡家居有限公司 一种床垫垫层用耐氧化弹力胶的制备方法
KR102012285B1 (ko) * 2018-11-15 2019-08-23 주식회사 한울화학 재박리형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53904B (zh) 可撓性顯示器用黏著劑、黏著板片、可撓性層積構件及可撓性顯示器
JP4776272B2 (ja) 粘着剤用重合体組成物、表面保護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EP2557486B1 (en) Adhesive film for a touch panel, and touch panel
EP2557135B1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sheet, and touch panel
TWI486417B (zh) A polarizing plate adhesive composition, and a polarizing plate obtained by using the polarizing plate
KR102207421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TWI811242B (zh) 黏著帶
JP6042592B1 (ja) 粘着性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JPWO2016147318A6 (ja) 粘着性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TW201934709A (zh) 樹脂組合物、樹脂層及積層片材
KR20150124795A (ko) 고온에서 유지력이 우수한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
JP2011157458A (ja)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JP6065486B2 (ja) 発泡体用粘着剤
JP4763379B2 (ja) 感圧接着性樹脂組成物
CN110551467B (zh) 用于柔面纸保护膜的丙烯酸酯改性压敏胶及其制备方法
KR100940707B1 (ko) 무유화제 유화중합을 이용한 전분-아크릴계 공중합체의제조방법
KR20100073923A (ko) 공중합을 이용한 고내열성 점착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22014313A1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JP2017197660A (ja) アクリル系共重合体、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WO2022163166A1 (ja) アクリル系粘着剤シート、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粘着フィルム、及び、フレキシブルデバイス
WO2022163165A1 (ja) アクリル系粘着剤、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粘着フィルム、及び、フレキシブルデバイス
JP4932237B2 (ja) 架橋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て得られる粘着剤
US20140329083A1 (en) Adhesive film for touch panel and touch panel
JP2019059902A (ja) 粘着剤組成物
US20140349055A1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sheet, and touch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