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4426A -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4426A
KR20150124426A KR1020150145962A KR20150145962A KR20150124426A KR 20150124426 A KR20150124426 A KR 20150124426A KR 1020150145962 A KR1020150145962 A KR 1020150145962A KR 20150145962 A KR20150145962 A KR 20150145962A KR 20150124426 A KR20150124426 A KR 20150124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photographing
review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7903B1 (ko
Inventor
노부요시 니시자카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24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4Warning ind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5/23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라이브 뷰 화상 표시 중에서의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의 표시 기능을 사용자에 의한 촬영 결과의 판별에 따라 적합한 것으로 하는 것이다.
라이브 뷰 화상 생성부는, 촬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촬상 화상을 라이브 뷰 화상으로서, 표시 화면에 순차적으로 표시하게 한다. 리뷰 화상 생성부는, 촬영 기록이 지시된 경우에, 촬상부로부터 출력된 기록용의 촬상 화상을,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표시 화면의 일부에 제1 리뷰 화상으로서 표시하게 한다. 촬영 결과 평가부는, 촬영 기록의 지시에 대응하여 촬상부로부터 출력된 기록용의 촬상 화상에 따라, 촬영을 평가한다. 리뷰 화상 생성부는, 촬영 결과 평가부에 의한 평가 결과에 따라, 제1 리뷰 화상의 표시 형태를 상이하게 하는 표시 제어를 행한다.

Description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기억 매체{IMAGE CAPTURE APPARATUS, IMAGE CAPTURE METHOD,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리뷰 화상을 표시 가능한 촬상(撮像) 장치, 촬상 장치의 표시 방법 및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촬영 모드에 있어서, 촬상부로부터 일정 시간마다 출력되는 촬상 화상의 데이터를 표시 화면에 실시간으로 표시하게 하는 라이브 뷰 표시 중인 사용자 조작에 의해 촬상된 촬상 화상을 사용자에게 확인시키기 위해, 라이브 뷰 화상 대신에 표시 화면 전체에 촬상 화상을 표시하게 하는 리뷰 표시 기능을 구비한 촬상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하, 라이브 뷰 표시 중에 있어서 표시 화면에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촬상 화상을 「라이브 뷰 화상」, 사용자에 의한 촬상 조작 후의 확인을 위해 표시되는 촬상 화상을 「리뷰 화상」이라고 한다.
또한, 리뷰 표시 기능을 구비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촬상된 촬상 화상을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한 채 표시 화면의 일부에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하,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한 채 표시 화면의 일부에 표시되는 촬상 화상을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이라고 한다.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한 채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을 표시함으로써, 리뷰 화상이 표시 화면 전체에 표시되는 경우와 같이, 라이브 뷰 표시가 중단되는 경우가 없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신속하게 촬영할 수 있는 상태를 계속하면서, 촬영 결과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한 채 표시 화면의 일부에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을 표시하는 촬상 장치에 관한 기술은,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 제2001-11716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 기술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의 표시 영역이 표시 화면 전체에 대하여 작게 설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에게 있어서 미니 촬영 리뷰 화상으로부터 촬영의 성공 여부를 판별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서는, 촬영 시에서의 라이브 뷰 화상 표시 중에서의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의 표시 기능이, 사용자에 의한 촬영 결과의 판별로 충분히 적합한 것은 아니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1-117163호 공보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라이브 뷰 화상 표시 중에서의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의 표시 기능을 사용자에 의한 촬영 결과의 판별에 따라 적합한 것으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관한 화상 장치는,
피사체의 화상을 촬상(撮像)하는 촬상부;
상기 촬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촬상 화상을 라이브 뷰 화상으로서, 표시 화면에 순차적으로 표시하게 하는 라이브 뷰 화상 표시부;
촬영 기록이 지시된 경우에, 상기 촬상부로부터 출력된 기록용의 촬상 화상을, 상기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표시 화면의 일부에 제1 리뷰 화상으로서 표시하게 하는 리뷰 화상 표시부;
상기 촬영 기록의 지시에 대응하여 상기 촬상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기록용의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촬영 결과를 평가하는 촬영 결과 평가부; 및
상기 촬영 결과 평가부에 의한 평가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리뷰 화상의 표시 형태를 상이하게 하는 표시 제어를 행하는 표시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관한 화상 방법은,
피사체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촬상 화상을 라이브 뷰 화상으로서, 표시 화면에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라이브 뷰 화상 표시 단계;
촬영 기록이 지시된 경우에, 상기 촬상부로부터 출력된 기록용의 촬상 화상을, 상기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표시 화면의 일부에 제1 리뷰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리뷰 화상 표시 단계;
상기 촬영 기록의 지시에 대응하여 상기 촬상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기록용의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촬영 결과를 평가하는 촬영 결과 평가 단계; 및
상기 촬영 결과 평가 단계에서의 평가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리뷰 화상의 표시 형태를 상이하게 하는 표시 제어를 행하는 표시 제어 단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관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는,
피사체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촬상 화상을 라이브 뷰 화상으로서, 표시 화면에 순차적으로 표시하게 하는 라이브 뷰 화상 표시 기능;
촬영 기록이 지시된 경우에, 상기 촬상부로부터 출력된 기록용의 촬상 화상을, 상기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표시 화면의 일부에 제1 리뷰 화상으로서 표시하게 하는 리뷰 화상 표시 기능;
상기 촬영 기록의 지시에 대응하여 상기 촬상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기록용의 촬상 화상에 따라, 촬영 결과를 평가하는 촬영 결과 평가 기능; 및
상기 촬영 결과 평가 기능에 의한 평가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리뷰 화상의 표시 형태를 상이하게 하는 표시 제어를 행하는 표시 제어 기능;
을 컴퓨터로 하여금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이 기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라이브 뷰 화상 표시 중에서의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의 표시 기능을 사용자에 의한 촬영 결과의 판별에 따라 적합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추가적인 목적, 및 새로운 특징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도면은 예시를 목적으로 한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의 하드웨어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촬상 장치의 기능적 구성 중, 촬영 결과 평가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촬영 실패 요인의 구체적 형태에서의 미니 촬영 리뷰 화상 및 리뷰 화상의 표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촬영 시에서의 표시 형태의 구체예(제1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도 1의 촬상 장치가 실행하는 촬영 결과 평가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a 및 도 6b는 촬영 시에서의 표시 형태의 구체예(제2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촬영 결과 평가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a∼도 8d는 촬영 시에서의 표시 형태의 구체예(제3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1)의 하드웨어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촬상 장치(1)는,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로서 구성된다.
촬상 장치(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1)와, ROM(Read Only Memory)(12)와, RAM(Random Access Memory)(13)과, 버스(14)와, 입출력 인터페이스(15)와, 촬상부(16)와, 입력부(17)와, 출력부(18)와, 기억부(19)와, 통신부(20)와, 드라이브(21)를 구비하고 있다.
CPU(11)는, ROM(12)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또는 기억부(19)로부터 RAM(13)에 로드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CPU(11)에는, 촬상부(16)의 출력 신호가 입력된다. 촬상부(16)의 출력 신호에 의해 표현되는 데이터를, 이하, 「촬상 화상의 데이터」라고 한다.
또한, CPU(11)는, 촬상부(16)로부터 연속하여 출력되는 복수의 촬상 화상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연속하여 촬상 화상을 표시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즉, CPU(11)는, 촬상부(16)에 의한 촬상 동작이 계속되어 있는 동안, 촬상부(16)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촬상 화상의 데이터를 메모리[RAM(13) 등]에 일시적으로 기억시키는 동시에, 일시적으로 기억된 촬상 화상의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판독하여 출력부(18)의 디스플레이에 화상을 표시하는 라이브 뷰 표시를 실행한다. 라이브 뷰 표시에 있어서, 출력부(18)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상을 이하, 「라이브 뷰 화상」이라고 한다. 그리고, 라이브 뷰 화상은, 출력부(18)의 디스플레이에서의 표시 영역 전체에 표시된다.
또한, CPU(11)는, 셔터 버튼의 누름(pressing) 등에 의한 사용자의 촬영 기록의 지시에 따라 촬상된 촬상 화상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라이브 뷰 화상에 중첩시켜 미니 촬영 리뷰 화상(제1 리뷰 화상)을 표시하는 처리나, 라이브 뷰 화상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리뷰 화상(제2 리뷰 화상)을 표시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서, 리뷰 화상이란, 사용자에 의해 촬영 기록이 지시된 촬상 화상의 데이터로부터 생성되는 촬영 결과를 나타내는 화상이며, 라이브 뷰 화상과 마찬가지로 출력부(18)의 디스플레이에서의 표시 영역 전체에 표시된다. 또한,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이란, 리뷰 화상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에 의해 촬영 기록이 지시된 촬상 화상의 데이터로부터 생성되는 촬영 결과를 나타내는 화상이지만, 출력부(18)의 디스플레이에서의 표시 영역의 일부에, 리뷰 화상보다 소사이즈로 표시되는 화상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은, 라이브 뷰 화상에 중첩시켜, 라이브 뷰 화상과 동시에 표시된다.
또한, CPU(11)는, ROM(12) 등에 기억되어 있는 촬영 결과 평가 처리(후술)를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촬영 기록이 지시된 촬상 화상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촬상 화상에 손 흔들림, 피사체 흔들림 또는 초점 어긋남 등, 촬영의 실패가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이하, 적절히 「촬영의 성공 여부」라고 함]을 판별한다. 그리고, CPU(11)는, 미니 촬영 리뷰 화상 또는 리뷰 화상을 촬영 결과 평가 처리에 의한 판별 결과를 식별 가능한 표시 형태로 표시하게 한다.
RAM(13)에는, CPU(11)가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 등 도 적절히 기억된다.
CPU(11), ROM(12) 및 RAM(13)은, 버스(14)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 버스(14)에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5)도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에는, 촬상부(16), 입력부(17), 출력부(18), 기억부(19), 통신부(20) 및 드라이브(21)가 접속되어 있다.
촬상부(16)는, 도시하지 않지만 포커스 렌즈나 줌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 렌즈부와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광학 렌즈부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포커스 렌즈나 줌 렌즈 등의 각종 렌즈로 구성된다.
포커스 렌즈는, 이미지 센서의 수광면에 피사체상을 결상시키는 렌즈이다. 줌 렌즈는, 초점 거리를 일정한 범위에서 가능하게 변화시키는 렌즈이다.
광학 렌즈부에는 또한, 필요에 따라, 초점, 노출, 화이트 밸런스 등의 설정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주변 회로가 설치된다.
이미지 센서는, 광전 변환 소자나, AFE(Analog Front End) 등으로 구성된다.
광전 변환 소자는, 예를 들면,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형의 광전 변환 소자 등으로 구성된다. 광전 변환 소자에는, 광학 렌즈부로부터 피사체상이 입사된다. 그래서, 광전 변환 소자는, 피사체상을 광전 변환(촬상)하여 화상 신호를 일정 시간 축적하고, 축적된 화상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서 AFE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AFE는, 이 아날로그의 화상 신호에 대하여, A/D(Analog/Digital) 변환 처리 등의 각종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각종 신호 처리에 의해, 디지털 신호가 생성되고, 촬상부(16)의 출력 신호로서 출력된다.
이와 같은 촬상부(16)의 출력 신호에 의해 표현되는 데이터는, 촬상 화상의 데이터로서, CPU(11)나 RAM(13) 등에 적절히 공급된다.
입력부(17)는, 전원 버튼, 셔터 버튼 등, 각종 버튼으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지시 조작에 따라 각종 정보를 입력한다.
출력부(18)는, 디스플레이나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며, 화상이나 음성을 출력한다.
기억부(19)는, 하드디스크 또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되며, 각종 화상의 데이터를 기억한다.
통신부(20)는,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장치(도시하지 않음)와의 사이에서 행하는 통신을 제어한다.
드라이브(21)에는, 자기(磁氣) 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착탈 가능(removable) 미디어(31)가 적절히 장착된다. 드라이브(21)에 의해 착탈 가능 미디어(31)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은, 필요에 따라 기억부(19)에 인스톨된다. 또한, 착탈 가능 미디어(31)는, 기억부(19)에 기억되어 있는 촬상 화상의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도, 기억부(19)와 마찬가지로 기억할 수 있다.
도 2는, 이와 같은 촬상 장치(1)의 기능적 구성 중, 촬영 결과 평가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촬영 결과 평가 처리란, 촬영을 행하기 위한 촬영 모드에 있어서, 사용자의 지시에 의해 촬상된 촬상 화상의 데이터에 대하여 촬영의 성공 여부를 판별하고, 그 판별 결과에 따른 표시 형태로 미니 촬영 리뷰 화상 또는 리뷰 화상을 표시하기까지의 일련의 처리를 말한다.
촬영 결과 평가 처리가 실행되는 경우, CPU(11)에 있어서는, 촬상 제어부(41)와, 화상 취득부(42)와, 라이브 뷰 화상 생성부(43)와, 촬영 결과 평가부(44)와, 리뷰 화상 생성부(45)가 기능한다.
촬상 제어부(41)는, 입력부(17)에 대한 각종 조작 등에 따라 촬상 조건을 설정하고, 설정한 촬상 조건에 기초하여 촬상부(16)의 촬상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촬상 제어부(41)는, 촬상부(16)로부터 출력되는 촬상 화상의 데이터를 라이브 뷰 화상으로서 RAM(13)에 순차적으로 기억시킨다. 또한, 촬상 제어부(41)는, 셔터 버튼이 눌러짐으로써, 촬영 기록(촬영 대상의 화상의 기록)이 지시되면, 촬상부(16)로부터 출력되는 촬상 화상의 데이터를 촬영 기록이 지시된 화상의 데이터로서 RAM(13)에 기억시키는 동시에, 기억부(19)에 기억시킨다.
화상 취득부(42)는, 촬상 장치(1)가 촬영 모드인 경우에, 라이브 뷰 화상으로서 RAM(13)에 기억된 촬상 화상의 데이터를 취득하고, 라이브 뷰 화상 생성부(43)에 출력한다. 또한, 화상 취득부(42)는, 촬영 기록이 지시된 촬상 화상의 데이터로서 RAM(13)에 기억된 촬상 화상의 데이터를 취득하고, 촬영 결과 평가부(44) 및 리뷰 화상 생성부(45)에 출력한다.
라이브 뷰 화상 생성부(43)는, 라이브 뷰 화상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라이브 뷰 화상의 표시용 데이터(보다 구체적으로는 표시용으로 래스터화(rasterize)된 라이브 뷰 화상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라이브 뷰 화상의 표시용 데이터를 출력부(18)에 출력한다(표시하게 한다).
촬영 결과 평가부(44)는, 촬영 결과 평가 처리를 실행하고, 화상 취득부(42)로부터 입력된 촬상 화상의 데이터(촬영 기록이 지시된 촬상 화상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촬영에 성공했는지 실패했는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촬영 결과 평가부(44)는, 촬상 화상에 손 흔들림, 피사체 흔들림, 인물인 피사체가 눈 감은 상태(이하, 「눈 감음」라고 함), 초점 어긋남, 노출 시간의 부적합(예를 들면, 노광 오버 또는 노광 언더) 중 하나 이상(이하, 이들을 모아서 「촬영 실패 요인」이라고 함)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 그 촬상 화상을 「촬영에 실패함」이라고 판별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촬영 결과 평가부(44)는, 촬영의 성공 여부에 더하여, 촬영 실패 요인의 내용을 특정하고 있다.
한편, 촬영 결과 평가부(44)는, 어느 촬영 실패 요인도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그 촬상 화상을 「촬영에 성공함」이라고 판별한다.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촬영 기록이 지시된 화상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리뷰 화상 또는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의 표시용 데이터(보다 구체적으로는 표시용으로 래스터화된 리뷰 화상 또는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리뷰 화상 또는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의 데이터를 출력부(18)에 출력한다(표시하게 한다).
이 때,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리뷰 화상 또는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의 미리 설정된 표시 조건에 따라, 촬영 결과 평가 처리의 결과에 따른 표시 형태로, 리뷰 화상 또는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을 표시하는 제어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촬상 화상에 어느 하나의 촬영 실패 요인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을, 촬영 실패 요인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 형태로 한다. 또한,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촬상 화상에 어느 하나의 촬영 실패 요인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 리뷰 화상에 있어서 촬영 실패 요인의 발생 개소(箇所)를 특정한 표시 형태로 한다.
도 3은, 촬영 실패 요인의 구체적 형태(손 흔들림, 피사체 흔들림, 눈 감음, 초점 어긋남, 노광량의 부적합)에서의 미니 촬영 리뷰 화상 및 리뷰 화상의 표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에 있어서, 소사이즈의 화상은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을 나타내고, 대사이즈의 화상은 리뷰 화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3a는, 손 흔들림의 경우의 표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촬영 결과 평가부(44)는, 예를 들면, 촬상 화상의 데이터에서의 동작 벡터 등에 의해 손 흔들림을 검출한다. 그리고, 손 흔들림이 검출된 경우,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ROM(12) 등에 기억된 미리 설정되어 있는 표시 조건을 참조하여,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의 외측 프레임을 손 흔들림을 나타내는 색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손 흔들림의 경우, 촬상 화상 전체가 흔들리기 때문에, 리뷰 화상에 있어서 촬영 실패 요인의 발생 개소는 특정되지 않는다.
도 3b는, 피사체 흔들림의 경우의 표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촬영 결과 평가부(44)는, 예를 들면, 촬상 화상의 데이터에서의 동작 벡터 등에 의해 피사체 흔들림을 검출한다. 그리고, 피사체 흔들림이 검출된 경우,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표시 조건을 참조하여,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의 외측 프레임을 피사체 흔들림을 나타내는 색으로 표시한다. 또한, 피사체 흔들림의 경우, 특정한 피사체의 화상이 흔들리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뷰 화상에 있어서 촬영 실패 요인(피사체 흔들림)의 발생 개소(예를 들면, 피사체를 에워싸는 직사각형 등)가 외측 프레임과 동일한 색으로 표시된다.
도 3c는, 눈을 감은 경우의 표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촬영 결과 평가부(44)는, 예를 들면, 촬상 화상의 데이터에 있어서 얼굴 검출 처리를 실행하고, 검출된 얼굴에 있어서 눈을 뜬 정도를 판정함으로써, 눈 감음을 검출한다. 그리고, 눈 감음이 검출된 경우,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표시 조건을 참조하여,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의 외측 프레임을 눈 감음을 나타내는 색으로 표시한다. 또한, 눈을 감은 경우, 눈 감음으로 되어 있는 눈을 특정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뷰 화상에 있어서 촬영 실패 요인(눈 감음)의 발생 개소(예를 들면, 눈 감음으로 되어 있는 눈을 에워싸는 직사각형 등)가 외측 프레임과 동일한 색으로 표시된다.
도 3d는, 초점 어긋남의 경우의 표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촬영 결과 평가부(44)는, 예를 들면, 촬상 화상에 있어서 인물 등의 주요 피사체를 특정하고, 주요 피사체의 화상의 에지의 강도에 따라, 주요 피사체로부터 초점이 어긋나 있는지의 여부(초점 어긋남)를 검출한다. 그리고, 초점 어긋남이 검출된 경우,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도 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표시 조건을 참조하여,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의 외측 프레임을 초점 어긋남을 나타내는 색으로 표시한다. 또한, 초점 어긋남의 경우, 초점 어긋남으로 되어 있는 주요 피사체를 특정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뷰 화상에 있어서 촬영 실패 요인(초점 어긋남)의 발생 개소(주요 피사체를 에워싸는 직사각형 등)가 외측 프레임과 동일한 색으로 표시된다.
도 3의 (E)는, 노광량이 부적합한 경우의 표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촬영 결과 평가부(44)는, 예를 들면, 촬상 화상에 있어서 인물 등의 주요 피사체를 특정하고, 주요 피사체의 화상의 휘도에 기초하여, 주요 피사체의 노광 상태를 검출한다.
그리고, 주요 피사체의 노광 오버 또는 노광 언더가 검출된 경우,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도 3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표시 조건을 참조하여,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의 외측 프레임을 노광량의 부적합을 나타내는 색으로 표시한다. 또한, 노광량이 부적합한 경우, 노광량이 부적합으로 되어 있는 주요 피사체를 특정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뷰 화상에 있어서 촬영 실패 요인(노광량의 부적합)의 발생 개소(주요 피사체를 에워싸는 직사각형 등)가 외측 프레임과 동일한 색으로 표시된다.
도 4는, 촬영 시에서의 표시 형태의 구체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도 4b는, 출력부(18)의 디스플레이에 미니 촬영 리뷰 화상 및 라이브 뷰 화상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촬영에 성공한 경우의 라이브 뷰 화상(81) 및 미니 촬영 리뷰 화상(82)을 나타내고 있다. 라이브 뷰 화상(81)은 출력부(18)의 디스플레이의 거의 전체면에 표시되고, 미니 촬영 리뷰 화상(82)은 디스플레이의 일부(여기서는 우측 아래의 소영역)에 라이브 뷰 화상(81)보다 작은 사이즈로 라이브 뷰 화상(81)에 중첩되어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촬영에 성공한 경우, 미니 촬영 리뷰 화상(82)의 외측 프레임이, 촬영에 성공한 것을 나타내는 색으로 표시된다.
도 4b는, 촬상에 실패한 경우의 라이브 뷰 화상(83) 및 미니 촬영 리뷰 화상(84)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4b에 있어서, (A)는 라이브 뷰 화상(83)의 우측 아래에 미니 촬영 리뷰 화상(84)이 중첩되어 표시된 상태, (B)는 리뷰 화상(85)에 있어서 촬영 실패 요인의 발생 개소가 표시된 상태, (C)는 복수의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이 라이브 뷰 화상의 하부에 중첩되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b에 있어서는, 촬영 실패 요인이 눈 감음인 경우를 예로서 나타내고 있다. 도 4b에 나타낸 예에서는, 미니 촬영 리뷰 화상(84)의 외측 프레임이, 눈 감음에 의해 촬영에 실패한 것을 나타내는 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4b의 (A)에 있어서, 라이브 뷰 화상(83) 내의 우측 아래에 미니 촬영 리뷰 화상(84)이 중첩되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촬영으로부터 소정 시간(예를 들면, 3초) 동안, 입력부(17)의 소정의 버튼(예를 들면, 십자 키 상을 나타내는 「△」버튼의 조작이 받아들여진다. 그리고, 사용자가 소정의 버튼을 조작하면,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라이브 뷰 화상(83) 대신에, 미니 촬영 리뷰 화상(84)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의 전체면에 리뷰 화상(85)으로서 표시하게 한다. 이 때,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리뷰 화상(85)에 있어서 눈을 감은 발생 개소를 눈 감음을 나타내는 색의 직사각형에 의해 특정하고 있다.
이로써, 미니 촬영 리뷰 화상(84)에 의해 촬영에 실패하고 있는 것을 식별하여 표시되는 동시에, 리뷰 화상(85)에 의해 보다 큰 화상에 있어서 촬영 실패 요인의 발생 개소가 표시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촬영에 실패하고 있는 것에 더하여, 촬영 실패 요인 및 그 발생 개소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복수의 화상이 촬상되었을 경우(예를 들면, 연사에 의해 촬영 기록이 행해진 경우)에, 도 4b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이브 뷰 화상의 하부에 복수의 미니 촬영 리뷰 화상(86a)∼(86d)를 중첩시켜 표시한다. 그리고, 촬영 결과 평가부(44)는, 표시된 복수의 미니 촬영 리뷰 화상(86a)∼(86d)의 각각에 대하여, 촬영의 성공 여부를 판별하고, 리뷰 화상 생성부(45)가 미니 촬영 리뷰 화상(86a)∼(86d)의 외측 프레임을 판별의 결과에 따른 색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미니 촬영 리뷰 화상(86a)∼(86d)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입력부(17)의 소정의 버튼(예를 들면, 십자 키 상을 나타내는 「△」버튼)을 조작하면,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도 4b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이브 뷰 화상(83) 대신에, 선택된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의 전체면에 리뷰 화상(85)으로서 표시하게 한다.
다음에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도 2에 나타낸 기능적 구성의 촬상 장치(1)가 실행하는 촬영 결과 평가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2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도 1의 촬상 장치가 실행하는 촬영 결과 평가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촬영 결과 평가 처리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17)에 대한 촬영을 지시하는 조작이 행해진 것을 계기로 하여 개시되고, 다음과 같은 일련의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S11에 있어서, 촬상 제어부(41)는, 사용자에 의해 촬영을 지시하는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촬영을 지시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단계 S11에 있어서 YES인 것으로 판정되고, 처리는 단계 S14으로 진행한다.
이에 대하여, 촬영을 지시하는 조작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경우, 단계 S11에 있어서 NO인 것으로 판정되고, 처리는 단계 S12로 진행한다.
단계 S12에 있어서, 촬상 제어부(41)는, 촬상 장치(1)에 대하여 촬영을 지시하는 조작 이외의 조작(예를 들면, 줌 조작, 매뉴얼 설정 등)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촬상 장치(1)에 대하여 촬영을 지시하는 조작 이외의 조작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경우, 단계 S12에 있어서 NO인 것으로 판정되고, 처리는 단계 S11로 돌아온다.
이에 대하여, 촬상 장치(1)에 대하여 촬영을 지시하는 조작 이외의 조작(예를 들면, 줌 조작, 매뉴얼 설정 등)이 행해진 경우, 단계 S12에 있어서 YES인 것으로 판정되고, 처리는 단계 S13으로 진행한다.
단계 S13에 있어서, 촬상 제어부(41)는, 조작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고, 처리는 단계 S11로 돌아온다.
단계 S14에 있어서, 촬상 제어부(41)는, 촬영 기록이 지시된 화상의 데이터로서, 촬상 화상의 데이터를 RAM(13) 등에 기억시킨다.
단계 S15에 있어서, 촬영 결과 평가부(44)는, 촬영 기록이 지시된 화상의 데이터에 대하여, 촬영에 성공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촬영 기록이 지시된 화상의 데이터에 대하여, 촬영에 성공하고 있는 경우, 단계 S15에 있어서 YES인 것으로 판정되고, 처리는 단계 S16으로 진행한다.
이에 대하여, 촬영 기록이 지시된 화상의 데이터에 대하여, 촬영에 실패하고 있는 경우, 단계 S15에 있어서 NO인 것으로 판정되고, 처리는 단계 S17로 진행한다.
단계 S16에 있어서,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외측 프레임을 촬영에 성공한 것을 나타내는 색으로서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을 표시하고, 처리는 단계 S11로 돌아온다.
단계 S17에 있어서,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촬영 결과 평가부(44)에 의해 판별된 촬영 실패 요인에 따라,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의 외측 프레임의 색을 특정한다.
단계 S18에 있어서,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의 표시 모드의 설정이,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을 1개 표시하는 모드로 되어 있는지(표시 모드 플래그= 0), 복수 표시하는 모드로 되어 있는지(표시 모드 플래그= 1)를 판정한다.
그리고, 표시 모드 플래그는, 입력부(17)를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설정되는 플래그이며, 출력부(18)의 디스플레이에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을 복수 표시하게 할 것인지의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플래그이다. 표시 모드 플래그는, 「0」인 경우에 디스플레이에는 1개의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이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고, 「1」인 경우에 디스플레이에는 복수의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이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S18에 있어서,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의 표시 모드의 설정이,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을 1개 표시하는 모드로 되어 있는 경우(표시 모드 플래그= 0의 경우), 처리는 단계 S19로 진행한다.
이에 대하여,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의 표시 모드의 설정이,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을 복수 표시하는 모드로 되어 있는 경우(표시 모드 플래그= 1의 경우), 처리는 단계 S26으로 진행한다.
단계 S19에 있어서,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단계 S14에 있어서 촬상된 촬상 화상의 데이터에 대하여 특정된 외측 프레임의 색으로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을 표시한다.
이 때,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은, 라이브 뷰 화상에 중첩되어 표시된다(도 4b의 (A) 참조].
단계 S20에 있어서,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촬영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촬영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단계 S20에 있어서 YES인 것으로 판정되고, 처리는 단계 S21로 진행한다.
이에 대하여,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촬영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 단계 S20에 있어서 NO인 것으로 판정되고, 처리는 단계 S22로 진행한다.
단계 S21에 있어서,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의 표시를 해제하고, 라이브 뷰 화상만이 표시된 상태로 된다.
그 후, 처리는 단계 S11로 돌아온다.
단계 S22에 있어서,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소정의 버튼(예를 들면, 십자 키 상을 나타내는 「△」버튼)이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소정의 버튼(예를 들면, 십자 키 상을 나타내는 「△」버튼)이 조작되지 않는 경우, 단계 S22에 있어서 NO인 것으로 판정되고, 처리는 단계 S20으로 돌아온다.
이에 대하여, 소정의 버튼(예를 들면, 십자 키 상을 나타내는 「△」버튼)이 조작되고 있는 경우, 단계 S22에 있어서 YES인 것으로 판정되고, 처리는 단계 S23으로 진행한다.
단계 S23에 있어서,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촬영 실패 요인의 발생 개소로서 표시하는 개소를 특정한다.
단계 S24에 있어서,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촬영 실패 요인의 발생 개소를 특정한 리뷰 화상을 전체 화면에 표시한다.
단계 S25에 있어서,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소정의 버튼(예를 들면, 십자 키 상을 나타내는 「△」버튼)이 조작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소정의 버튼(예를 들면, 십자 키 상을 나타내는 「△」버튼)이 조작되지 않는 경우, 단계 S25에 있어서 NO인 것으로 판정되고, 처리는 단계 S25로 돌아온다.
이에 대하여, 소정의 버튼(예를 들면, 십자 키 상을 나타내는 「△」버튼)이 조작되고 있는 경우, 단계 S25에 있어서 YES인 것으로 판정되고, 처리는 단계 S21으로 진행한다.
단계 S26에 있어서,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이미 표시되어 있는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을 시프트하여, 단계 S14에 있어서 촬상된 촬상 화상의 데이터에 대하여 특정된 외측 프레임의 색으로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을 추가하여 표시한다[도 4b의 (C) 참조]. 여기서는, 이미 표시되어 있는 복수의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을 좌측에 1 화상분씩 시프트하고, 빈 영역에 새롭게 촬영된 화상의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을 표시한다.
단계 S27에 있어서,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소정의 버튼(예를 들면, 십자 키 상을 나타내는 「△」버튼)이 조작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소정의 버튼(예를 들면, 십자 키 상을 나타내는 「△」버튼)이 조작되지 않는 경우, 단계 S27에 있어서 NO인 것으로 판정되고, 처리는 단계 S28로 진행한다.
이에 대하여, 소정의 버튼(예를 들면, 십자 키 상을 나타내는 「△」버튼)이 조작되고 있는 경우, 단계 S27에 있어서 YES인 것으로 판정되고, 처리는 단계 S23으로 진행한다.
단계 S28에 있어서,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을 선택하는 조작(예를 들면, 십자 키의 좌우를 나타내는 버튼의 조작)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을 선택하는 조작(예를 들면, 십자 키의 좌우를 나타내는 버튼의 조작)이 되고 있지 않은 경우, 단계 S28에 있어서 NO인 것으로 판정되고, 처리는 단계 S11로 돌아온다.
이에 대하여,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을 선택하는 조작(예를 들면, 십자 키의 좌우를 나타내는 버튼의 조작)이 되었을 경우, 단계 S28에 있어서 YES인 것으로 판정되고, 처리는 단계 S29으로 진행한다.
단계 S29에 있어서,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단계 S28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을 표시한다.
그 후, 처리는 단계 S27로 돌아온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촬영의 성공 시에는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을 표시하고, 촬영의 실패 시에는, 미니 촬영 리뷰의 표시를 행하지 않고, 리뷰 화상을 전체 화면 표시해도 된다. 또한, 이 때, 리뷰 화상에 있어서,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표시 형태로, 촬영 실패 요인의 발생 개소를 특정해도 된다. 이로써, 촬영에 성공한 경우에는, 라이브 뷰 화상의 표시를 계속하여 즉시 촬영 기록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촬영에 실패한 경우에는, 촬영 실패 요인의 발생 개소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촬영의 성공 여부에 따라, 새로운 촬영을 행할 것인지, 또는 촬영을 다시 할 것인지를 적절히 판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장치(1)는, 촬상부(16)와, 라이브 뷰 화상 생성부(43)와, 촬영 결과 평가부(44)와, 리뷰 화상 생성부(45)를 구비한다.
촬상부(16)는, 피사체의 화상을 촬상한다.
라이브 뷰 화상 생성부(43)는, 촬상부(16)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촬상 화상을 라이브 뷰 화상으로서, 표시 화면에 순차적으로 표시하게 한다.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촬영 기록이 지시된 경우에, 촬상부(16)로부터 출력된 기록용의 촬상 화상을,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표시 화면의 일부에 제1 리뷰 화상으로서 표시하게 한다.
촬영 결과 평가부(44)는, 촬영 기록의 지시에 대응하여 촬상부(16)로부터 출력된 기록용의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촬영 결과를 평가한다.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촬영 결과 평가부(44)에 의한 평가 결과에 따라, 제1 리뷰 화상의 표시 형태를 상이하게 하는 표시 제어를 행한다.
이로써, 라이브 뷰 화상의 표시를 계속하여 즉시 촬영 기록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촬영의 평가 결과를 제1 리뷰 화상의 표시 형태로서 표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촬영의 평가 결과에 따라, 새로운 촬영을 행할 것인지, 또는 촬영을 다시 할 것인지를 적절히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라이브 뷰 화상 표시 중에서의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의 표시 기능을 사용자에 의한 촬영 결과의 판별에 따라 적합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촬영 결과 평가부(44)는, 촬영에 성공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촬영의 성공 여부에 따라, 새로운 촬영을 행할 것인지, 또는 촬영을 다시 할 것인지를 적절히 판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제1 리뷰 화상의 프레임을 평가 결과에 따른 색으로 하는 표시 형태 또는 제1 리뷰 화상의 색을 평가 결과에 따른 색으로 하는 표시 형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한다.
이로써, 라이브 뷰 화상보다 사이즈가 작은 제1 리뷰 화상에 있어서, 제1 리뷰 화상의 프레임의 색 또는 제1 리뷰 화상의 색에 의해, 촬영 결과가 표시된다.
따라서, 라이브 뷰 화상보다 사이즈가 작은 제1 리뷰 화상이라도, 사용자가 알기 쉬운 형태로, 촬영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라이브 뷰 화상 대신에, 기록용의 촬상 화상을 제1 리뷰 화상보다 큰 사이즈의 제2 리뷰 화상으로서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
이로써, 제1 리뷰 화상에 의해 촬영 결과를 표시하는 것 외에, 보다 큰 사이즈의 제2 리뷰 화상에 의해, 사용자에게 있어서 보다 알기 쉬운 표시 형태로 촬영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제1 리뷰 화상의 표시 중에, 소정의 조작(예를 들면, 십자 키 상을 나타내는 「△」버튼의 조작)이 행해지는 것에 대응하여, 제1 리뷰 화상으로부터 제2 리뷰 화상으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제1 리뷰 화상에 의해, 촬영의 평가 결과를 신속하게 식별할 수 있는 동시에, 소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제2 리뷰 화상에 의해, 촬영의 평가 결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복수 회의 촬영에 따라, 복수의 제1 리뷰 화상을 표시 화면에 표시하고, 복수의 제1 리뷰 화상 각각에 대하여, 촬영 결과 평가부(44)에 의한 평가 결과에 따라, 표시 형태를 상이하게 한다.
이로써, 촬영이 끝난 복수의 촬상 화상(예를 들면, 연사에 의해 촬영된 촬상 화상 등)에 대하여, 촬영의 평가 결과를 사용자가 식별하기 쉬운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촬영 결과 평가부(44)는, 촬영에 실패한 것으로 판별한 경우, 촬영 실패의 요인을 특정한다.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촬영 결과 평가부(44)에 의해 특정된 촬영 실패의 요인에 따라, 복수의 요인마다 미리 결정된 복수의 표시 형태 중에서 제1 리뷰 화상의 표시 형태를 선택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제1 리뷰 화상의 표시 형태에 의해, 촬영 실패의 요인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촬영 결과 평가부(44)에 의해 촬영에 성공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촬영 결과를 나타내는 화상으로서, 제1 리뷰 화상을 표시 화면에 표시하고, 촬영 결과 평가부(44)에 의해 촬영에 실패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촬영 결과를 나타내는 화상으로서, 촬영의 실패 요인이 된 개소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한, 제1 리뷰 화상보다 큰 사이즈의 제2 리뷰 화상을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
이로써, 촬영에 성공한 경우에는, 라이브 뷰 화상의 표시를 계속하여 즉시 촬영 기록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촬영에 실패한 경우에는, 촬영 실패의 요인의 발생 개소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촬영의 성공 여부에 따라, 새로운 촬영을 행할 것인지, 또는 촬영을 다시 할 것인지를 적절히 판별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장치(1)는, 촬영에 실패한 경우의 미니 촬영 리뷰 화상 및 리뷰 화상의 표시 형태가,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이한 부분인 리뷰 화상 생성부(45)의 기능적 구성 및 촬영 결과 평가 처리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도 6은, 촬영 시에서의 표시 형태의 구체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도 6b는, 출력부(18)의 디스플레이에 미니 촬영 리뷰 화상 및 라이브 뷰 화상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촬영에 성공한 경우의 라이브 뷰 화상(91) 및 미니 촬영 리뷰 화상(92)을 나타내고 있다. 라이브 뷰 화상(91)은 출력부(18)의 디스플레이의 거의 전체면에 표시되고, 미니 촬영 리뷰 화상(92)은 디스플레이의 일부(여기서는 우측 아래의 소영역)에 라이브 뷰 화상(91)보다 작은 사이즈로 라이브 뷰 화상(91)에 중첩되어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촬상에 성공한 경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미니 촬영 리뷰 화상(92)의 외측 프레임이, 촬영에 성공한 것을 나타내는 색으로 표시된다.
도 6b는, 촬상에 실패한 경우의 라이브 뷰 화상(93) 및 미니 촬영 리뷰 화상(94)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그리고, 도 6b에 있어서, (A)는 라이브 뷰 화상(93)의 우측 아래에 미니 촬영 리뷰 화상(94)이 중첩되어 표시된 상태, (B)는 리뷰 화상(95)에 있어서 촬영 실패 요인의 발생 개소가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b에 있어서는, 촬영 실패 요인이 눈 감음인 경우를 예로서 나타내고 있다.
도 6b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라이브 뷰 화상(93)보다 작은 사이즈로 표시되어 있는 미니 촬영 리뷰 화상(94)에 있어서, 눈을 감은 발생 개소를 눈 감음을 나타내는 색의 직사각형에 의해 특정하고 있다.
그리고, 이 때, 미니 촬영 리뷰 화상(94)의 외측 프레임이 눈 감음을 나타내는 색으로 표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가 도 1에 나타낸 입력부(17)의 소정의 버튼(예를 들면, 십자 키 상을 나타내는 「△」버튼)을 미니 촬영 리뷰 화상(94)의 표시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 내에 조작함으로써,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라이브 뷰 화상(93) 대신에, 미니 촬영 리뷰 화상(94)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의 전체면에 리뷰 화상(95)으로서 표시하게 한다. 이 때,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뷰 화상(95)에 있어서 촬영 실패 요인(눈 감음)의 발생 개소(예를 들면, 눈 감음으로 되어 있는 눈을 에워싸는 직사각형 등)가 눈 감음에 대응하는 외측 프레임과의 색과 동일한 색으로 표시된다.
*이로써, 미니 촬영 리뷰 화상(94)에 의해 촬영에 실패하고 있는 것 및 촬영 실패 요인의 발생 개소가 식별되어 표시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미니 촬영 리뷰 화상(94)의 표시 형태에 의해, 촬영에 실패하고 있는 것에 더하여, 촬영 실패 요인 및 그 발생 개소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다음에 도 7을 참조하여, 제2 실시형태의 촬영 결과 평가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의 촬영 결과 평가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에 나타낸 촬영 결과 평가 처리 중, 단계 S41~S47의 처리는, 도 5에 나타낸 제1 실시형태의 촬영 결과 평가 처리에서의 단계 S11~S17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단계 S41에 있어서, 촬상 제어부(41)는, 사용자에 의해 촬영을 지시하는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촬영을 지시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단계 S41에 있어서 YES인 것으로 판정되고, 처리는 단계 S44로 진행한다.
이에 대하여, 촬영을 지시하는 조작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경우, 단계 S41에 있어서 NO인 것으로 판정되고, 처리는 단계 S42으로 진행한다.
단계 S42에 있어서, 촬상 제어부(41)는, 촬상 장치(1)에 대하여 촬영을 지시하는 조작 이외의 조작(예를 들면, 줌 조작, 매뉴얼 설정 등)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촬상 장치(1)에 대하여 촬영을 지시하는 조작 이외의 조작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경우, 단계 S42에 있어서 NO인 것으로 판정되고, 처리는 단계 S41로 돌아온다.
이에 대하여, 촬상 장치(1)에 대하여 촬영을 지시하는 조작 이외의 조작(예를 들면, 줌 조작, 매뉴얼 설정 등)이 행해진 경우, 단계 S42에 있어서 YES인 것으로 판정되고, 처리는 단계 S43으로 진행한다.
단계 S43에 있어서, 촬상 제어부(41)는, 조작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고, 처리는 단계 S41로 돌아온다.
단계 S44에 있어서, 촬상 제어부(41)는, 촬영 기록이 지시된 화상의 데이터로서, 촬상 화상의 데이터를 RAM(13) 등에 기억시킨다.
단계 S45에 있어서, 촬영 결과 평가부(44)는, 촬영 기록이 지시된 화상의 데이터에 대하여, 촬영에 성공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촬영 기록이 지시된 화상의 데이터에 대하여, 촬영에 성공하고 있는 경우, 단계 S45에 있어서 YES인 것으로 판정되고, 처리는 단계 S46으로 진행한다.
이에 대하여, 촬영 기록이 지시된 화상의 데이터에 대하여, 촬영에 실패하고 있는 경우, 단계 S45에 있어서 NO인 것으로 판정되고, 처리는 단계 S47로 진행한다.
단계 S46에 있어서,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외측 프레임을 촬영에 성공한 것을 나타내는 색으로서 리뷰 화상을 표시하고, 처리는 단계 S41로 돌아온다.
단계 S47에 있어서,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촬영 결과 평가부(44)에 의해 판별된 촬영 실패 요인에 따라, 리뷰 화상의 외측 프레임의 색을 특정한다.
단계 S48에 있어서,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촬영 실패 요인의 발생 개소로서 표시하는 개소를 특정한다.
단계 S49에 있어서,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외측 프레임을 촬영 실패 요인에 따른 색으로 하고, 촬영 실패 요인의 발생 개소를 특정한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을 전체 화면에 표시한다.
*단계 50에 있어서,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촬영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촬영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단계 S50에 있어서 YES인 것으로 판정되고, 처리는 단계 S41로 돌아온다.
이에 대하여,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촬영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 단계 S50에 있어서 NO인 것으로 판정되고, 처리는 단계 S51로 진행한다.
단계 S51에 있어서,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소정의 버튼(예를 들면, 십자 키 상을 나타내는 「△」버튼)이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소정의 버튼(예를 들면, 십자 키 상을 나타내는 「△」버튼)이 조작되지 않는 경우, 단계 S51에 있어서 NO인 것으로 판정되고, 처리는 단계 S50으로 돌아온다.
이에 대하여, 소정의 버튼(예를 들면, 십자 키 상을 나타내는 「△」버튼)이 조작되고 있는 경우, 단계 S51에 있어서 YES인 것으로 판정되고, 처리는 단계 S52로 진행한다.
단계 S52에 있어서,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촬영 실패 요인의 발생 개소를 특정한 리뷰 화상을 전체 화면에 표시한다.
단계 S53에 있어서,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소정의 버튼(예를 들면, 십자 키 상을 나타내는 「△」버튼)이 조작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소정의 버튼(예를 들면, 십자 키 상을 나타내는 「△」버튼)이 조작되지 않는 경우, 단계 S53에 있어서 NO인 것으로 판정되고, 처리는 단계 S53으로 돌아온다.
이에 대하여, 소정의 버튼(예를 들면, 십자 키 상을 나타내는 「△」버튼)이 조작되고 있는 경우, 단계 S53에 있어서 YES인 것으로 판정되고, 처리는 단계 S41로 돌아온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의 도 4b의 (C)와 마찬가지로, 라이브 뷰 화상의 하부에, 복수의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을 중첩시켜 표시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장치(1)에서는, 촬영 결과 평가부(44)에 의해 촬영에 실패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제1 리뷰 화상에 있어서 촬영 실패의 요인이 된 개소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제1 리뷰 화상의 표시 형태에 의해, 촬영에 실패하고 있는 것에 더하여, 촬영 실패의 요인의 발생 개소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의 표시 제어와 리뷰 화상의 표시 제어를 전환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8은, 촬영 시에서의 표시 형태의 구체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을 라이브 뷰 화상보다 작은 사이즈로 라이브 뷰 화상(91)에 중첩시켜 표시하게 하는 표시 모드(이하, 「미니 촬영 리뷰 표시 모드」라고 함)와 리뷰 화상만을 디스플레이의 전체면에 표시하게 하는 표시 모드(이하, 「전체 화면 리뷰 표시 모드」라고 함)를 전환하는 것이다.
도 8a 및 도 8b는, 촬상에 성공한 경우의 표시 형태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8a는, 미니 촬영 리뷰 표시 모드에 있어서, 라이브 뷰 화상(101)에 미니 촬영 리뷰 화상(102)이 중첩되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b는, 전체 화면 리뷰 표시 모드에 있어서, 전체 화면에 미니 촬영 리뷰 화상(102)이 확대된 리뷰 화상(103)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c 및 도 8d는, 촬영에 실패한 경우의 표시 형태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8c는, 미니 촬영 리뷰 표시 모드에 있어서, 라이브 뷰 화상(104)에, 외측 프레임의 색을 촬영 실패 요인을 식별하는 색으로 된 미니 촬영 리뷰 화상(105)이 중첩되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d는, 전체 화면 리뷰 표시 모드에 있어서, 촬영 실패 요인의 발생 개소가 식별된 리뷰 화상(106)이 전체 화면에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입력부(17)로부터의 전환 조작에 의해 미니 촬영 리뷰 표시 모드와 전체 화면 리뷰 표시 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8a에 나타낸 미니 촬영 리뷰 화상(102)에서는, 외측 프레임이 촬영의 성공을 나타내는 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8c에 나타낸 미니 촬영 리뷰 화상(105)에서는, 외측 프레임이 촬상의 눈 감음에 의한 실패를 나타내는 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8d에 나타낸 리뷰 화상(106)에서는, 외측 프레임을 어느 하나의 외측 프레임 색으로 표시하는 제어는 행해지지 않고, 촬영 실패 요인(눈 감음)의 발생 개소가 나타나 있다.
이로써, 촬영 시에,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을 표시하게 할 것인지, 리뷰 화상을 표시하게 할 것인지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촬영 실패 요인 및 실패 개소를 사용자가 식별하기 쉬운 표시 형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입력부(17)로부터의 전환 조작에 의해, 촬영에 실패한 경우에, 미니 촬영 리뷰 화상의 외측 프레임의 색에 의해 촬영 실패 요인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 형태[도 4b의 (A) 참조]와 미니 촬영 리뷰 화상에 있어서 촬영 실패 요인이 발생하고 있는 개소를 특정하는 표시 형태[도 6b의 (A) 참조]를 전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로써, 미니 촬영 리뷰 화상에 의해 촬영의 실패를 표시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의 사이즈 등에 따라, 촬영의 실패를 나타내는 표시 형태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촬영 시에, 라이브 뷰 화상의 표시를 계속하면서, 촬영 실패 요인 및 촬영 실패 개소를 사용자가 식별하기 쉬운 표시 형태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장치(1)에서는,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촬영 시에 촬영 결과를 나타내는 화상으로서, 제1 리뷰 화상을 표시하는 설정과 제2 리뷰 화상을 표시하는 설정을 전환 조작에 따라 전환하고, 촬영 결과 평가부(44)에 의한 평가 결과에 따라, 전환 조작에 따른 표시의 설정에 기초하여, 제1 리뷰 화상 또는 제2 리뷰 화상의 표시 형태를 선택한다.
이로써, 촬영 시에, 제1 리뷰 화상을 표시하게 할 것인지, 제2 리뷰 화상을 표시하게 할 것인지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촬영 실패 요인 및 실패 개소를 사용자가 식별하기 쉬운 표시 형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리뷰 화상 생성부(45)는, 촬영 결과 평가부(44)에 의해 촬영에 실패한 것으로 판별되고, 촬영 결과 평가부(44)에 의한 판별 결과에 따라 제1 리뷰 화상의 표시 형태를 상이하게 하는 경우에, 제1 리뷰 화상의 프레임을 평가 결과에 따른 색으로 하는 표시 형태와 제1 리뷰 화상에 있어서 촬영의 실패 요인이 된 개소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표시 형태를 전환 조작에 따라 전환한다.
이로써, 제1 리뷰 화상에 의해 촬영의 실패를 표시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의 사이즈 등에 따라, 촬영의 실패를 나타내는 표시 형태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 시에, 라이브 뷰 화상의 표시를 계속하면서, 촬영 실패 요인 및 촬영 실패 개소를 사용자가 식별하기 쉬운 표시 형태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촬영에 실패한 것을 미니 촬영 리뷰 화상 또는 리뷰 화상의 외측 프레임의 색으로 식별하여 표시함으로써 설명하였으나, 촬영에 성공한 경우에는 외측 프레임을 무색 즉 외측 프레임이 없는 것으로 하여, 보다 식별을 강조하도록 표시해도 된다. 또한, 미니 촬영 리뷰 화상 또는 리뷰 화상 자체를 보정하여 표시(예를 들면, 세피아색으로 보정하거나, 해칭(harching)하거나 하여 표시하는 등)함으로써, 촬영에 실패한 것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미니 촬영 리뷰 화상 또는 리뷰 화상의 색을 촬영 실패 요인에 따라, 상이한 색으로 함으로써(예를 들면, 촬영 실패 요인에 따른 색의 비율로 보정을 가한 색으로 하는 등 함으로써), 촬영에 실패한 것에 더하여, 촬영 실패의 요인도 식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촬영의 성공 여부에 따라 촬영 결과의 평가를 행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실패라고 파악할 수 있는 촬영 결과라도, 굳이 손떨림으로, 또는 피사체로서의 가지(tree branch)의 요동(搖動)으로 동적(動的)효과를 노리거나 하도록 한, 반드시 실패라고는 할 수 없는 경우에도 촬영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촬상 제어부(41)에 입력되는 촬상 화상의 데이터는, 촬상부(16)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촬상 화상의 데이터였지만,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른바 연사에 의해 얻어지는 복수의 정지 화상의 데이터 등, 연속하여 촬상된 복수의 화상의 데이터라도 된다. 또한, 상기 화상은, 촬상 장치(1)의 촬상부(16)에 의해 촬상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시하지 않은 다른 장치에 의해 촬상된 것이라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촬상 장치(1)는, 디지털 카메라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화상 해석 기능, 정보 통지 기능을 가지는 전자 기기(機器)에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본 발명은, 노트북형의 퍼스널 컴퓨터, 텔레비전 수상기, 비디오 카메라, 휴대형 네비게이션 장치, 휴대 전화기, 스마트 폰, 휴대용 게임기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도 2의 기능적 구성은 예시에 지나지 않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전술한 일련의 처리를 전체로서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이 촬상 장치(1)에 구비되어 있으면 되고, 이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어떠한 기능 블록을 사용하는의 것인지는 특별히 도 2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1개의 기능 블록은, 하드웨어 단체(單體)로 구성해도 되고, 소프트웨어 단체로 구성해도 되고,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컴퓨터 등에 네트워크나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컴퓨터는, 전용의 하드웨어에 내장되어 있는 컴퓨터라도 된다. 또한, 컴퓨터는, 각종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라도 된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는,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장치 본체와는 별도로 배포되는 도 1의 착탈 가능 미디어(31)에 의해 구성될뿐 아니라, 장치 본체에 미리 내장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록 매체 등으로 구성된다. 착탈 가능 미디어(31)는, 예를 들면, 자기 디스크(플로피 디스크를 포함함), 광디스크, 또는 광자기 디스크 등에 의해 구성된다. 광디스크는, 예를 들면, CD-ROM(Compact Disk-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k) 등에 의해 구성된다. 광자기 디스크는, MD(Mini-Disk) 등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장치 본체에 미리 내장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록 매체는, 예를 들면,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도 1의 ROM(12)나, 도 1의 기억부(19)에 포함되는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단계는, 그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아도, 병렬적 또는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형태는,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외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이나 치환 등 각종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본 명세서 등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또한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설명의 어떤 상세한 내용에 의해서도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Claims (13)

  1. 피사체의 화상을 촬상(撮像)하는 촬상부;
    상기 촬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촬상 화상을 라이브 뷰 화상으로서, 표시 화면에 순차적으로 표시하게 하는 라이브 뷰 화상 표시부;
    촬영 기록이 지시된 경우에, 상기 라이브 뷰 화상을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한 채로, 상기 촬상부로부터 출력된 기록용의 촬상 화상을 상기 표시 화면의 일부에 제1 리뷰 화상으로서 표시하게 하는 리뷰 화상 표시부;
    상기 촬영 기록의 지시에 대응하여 상기 촬상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기록용의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촬영 결과를 평가하는 촬영 결과 평가부; 및
    상기 촬영 결과 평가부에 의한 평가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리뷰 화상의 표시 형태를 색에 의해 상이하게 하는 표시 제어를 행하는 표시 제어부;
    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결과 평가부는 촬영에 성공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촬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1 리뷰 화상의 프레임을 상기 촬영 결과 평가부에 의한 평가 결과에 따른 색으로 하는 표시 형태, 또는 상기 제1 리뷰 화상의 색을 상기 평가 결과에 따른 색으로 하는 표시 형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시 형태로 하는, 촬상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결과 평가부에 의해 상기 촬영에 실패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1 리뷰 화상의 프레임을 상기 촬영 결과 평가부에 의한 상기 평가 결과에 따른 색으로 하는 표시 형태로 하면서, 상기 제1 리뷰 화상에 있어서 촬영의 실패 요인이 된 개소(箇所)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촬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뷰 화상 표시부는, 상기 라이브 뷰 화상 대신에, 상기 기록용의 촬상 화상을 상기 제1 리뷰 화상보다 큰 사이즈의 제2 리뷰 화상으로서 상기 표시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촬영 결과 평가부에 의한 평가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리뷰 화상의 표시 형태를 색에 의해 상이하게 하는 표시 제어를 행하는,
    촬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1 리뷰 화상의 표시 중에, 소정의 조작이 행해지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리뷰 화상 표시부에, 상기 라이브 뷰 화상과 상기 제1 리뷰 화상으로부터, 상기 촬상부에서 출력된 기록용의 촬상 화상을 표시하는, 상기 제1 리뷰 화상보다 큰 사이즈의 제2 리뷰 화상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촬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뷰 화상 표시부는, 복수 회의 촬영에 따라 복수의 상기 제1 리뷰 화상을 상기 표시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상기 제1 리뷰 화상 각각에 대하여, 상기 촬영 결과 평가부에 의한 평가 결과에 따라, 표시 형태를 색에 의해 상이하게 하는, 촬상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결과 평가부는, 상기 촬영에 실패한 것으로 판별한 경우, 촬영 실패의 요인을 복수의 요인 중에서 특정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촬영 결과 평가부에 의해 특정된 상기 촬영 실패의 요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요인마다 미리 결정된 색에 의한 복수의 표시 형태 중에서 상기 제1 리뷰 화상의 표시 형태를 선택하는, 촬상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뷰 화상 표시부는, 촬영 시에 촬영 결과를 나타내는 화상으로서, 상기 제1 리뷰 화상을 표시하는 설정과, 상기 제2 리뷰 화상을 표시하는 설정을 전환 조작에 따라 전환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촬영 결과 평가부에 의한 평가 결과에 따라, 상기 전환 조작에 따른 표시의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리뷰 화상 또는 상기 제2 리뷰 화상의 표시 형태를 선택하는, 촬상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1 리뷰 화상의 표시 중에는, 상기 제1 리뷰 화상의 프레임을 상기 촬영 결과 평가부에 의한 평가 결과에 따른 색으로 하는 표시 형태로 하고,
    한편, 상기 제2 리뷰 화상의 표시 중에는, 상기 제2 리뷰 화상에 있어서, 촬영의 실패 요인이 된 개소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표시 형태로 하는,
    촬상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촬영 결과 평가부에 의해 상기 촬영에 성공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촬영 결과를 나타내는 화상으로서, 상기 라이브 뷰 화상을 시인(視認)함과 병행하여, 상기 제1 리뷰 화상을, 그 프레임을 성공을 나타내는 색으로 표시하는 표시 형태로 상기 표시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촬영 결과 평가부에 의해 상기 촬영에 실패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상기 라이브 뷰 화상 대신에, 촬영 결과를 나타내는 화상으로서, 상기 촬영의 실패 요인이 된 개소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한, 상기 제1 리뷰 화상보다 큰 사이즈의 제2 리뷰 화상을 상기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촬상 장치.
  12. 피사체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촬상 화상을 라이브 뷰 화상으로서, 표시 화면에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라이브 뷰 화상 표시 단계;
    촬영 기록이 지시된 경우에, 상기 라이브 뷰 화상을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한 채로, 상기 촬상부로부터 출력된 기록용의 촬상 화상을 상기 표시 화면의 일부에 제1 리뷰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리뷰 화상 표시 단계;
    상기 촬영 기록의 지시에 대응하여 상기 촬상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기록용의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촬영 결과를 평가하는 촬영 결과 평가 단계; 및
    상기 촬영 결과 평가 단계에서의 평가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리뷰 화상의 표시 형태를 색에 의해 상이하게 하는 표시 제어를 행하는 표시 제어 단계;
    을 포함하는 표시 방법.
  13. 피사체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촬상 화상을 라이브 뷰 화상으로서, 표시 화면에 순차적으로 표시하게 하는 라이브 뷰 화상 표시 기능;
    촬영 기록이 지시된 경우에, 상기 라이브 뷰 화상을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한 채로, 상기 촬상부로부터 출력된 기록용의 촬상 화상을 상기 표시 화면의 일부에 제1 리뷰 화상으로서 표시하게 하는 리뷰 화상 표시 기능;
    상기 촬영 기록의 지시에 대응하여 상기 촬상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기록용의 촬상 화상에 따라, 촬영 결과를 평가하는 촬영 결과 평가 기능; 및
    상기 촬영 결과 평가 기능에 의한 평가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리뷰 화상의 표시 형태를 색에 의해 상이하게 하는 표시 제어를 행하는 표시 제어 기능;
    을 컴퓨터로 하여금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이 기억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KR1020150145962A 2013-03-15 2015-10-20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기억 매체 KR1015879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53538A JP5765590B2 (ja) 2013-03-15 2013-03-15 撮像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3-053538 2013-03-1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822A Division KR20140113413A (ko) 2013-03-15 2014-03-12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기억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426A true KR20150124426A (ko) 2015-11-05
KR101587903B1 KR101587903B1 (ko) 2016-01-22

Family

ID=515052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822A KR20140113413A (ko) 2013-03-15 2014-03-12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기억 매체
KR1020150145962A KR101587903B1 (ko) 2013-03-15 2015-10-20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기억 매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822A KR20140113413A (ko) 2013-03-15 2014-03-12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53406B2 (ko)
JP (1) JP5765590B2 (ko)
KR (2) KR20140113413A (ko)
CN (1) CN1040529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08106B2 (ja) * 2014-11-14 2018-04-1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072327B (zh) * 2015-07-15 2018-05-25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防闭眼的人像拍摄处理的方法和装置
JP6341184B2 (ja) * 2015-11-18 2018-06-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915791B (zh) * 2016-05-03 2019-02-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控制方法及装置、电子装置
JP6973298B2 (ja) * 2018-05-31 2021-1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物体監視装置
JP7475846B2 (ja) 2018-12-28 2024-04-3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撮像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7389558B2 (ja) * 2019-03-08 2023-11-3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7296750B2 (ja) * 2019-03-14 2023-06-2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7163A (ja) 1999-10-14 2001-04-27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装置
JP2006050541A (ja) * 2004-06-29 2006-02-16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撮像装置
JP2006237803A (ja) * 2005-02-23 2006-09-07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撮像システム、写真撮影スタジオ、撮像システム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7929B2 (ja) * 2005-03-16 2010-04-2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影装置
JP2007184683A (ja) * 2006-01-04 2007-07-19 Eastman Kodak Co 画像データ処理装置及び方法
US20080055453A1 (en) * 2006-09-05 2008-03-06 Battles Amy E Displaying a live view and captured images in a digital camera
JP2008092299A (ja) 2006-10-02 2008-04-17 Nikon System:Kk 電子カメラ
JP5136245B2 (ja) * 2008-07-04 2013-02-0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合成装置、画像合成プログラム及び画像合成方法
JP5210084B2 (ja) * 2008-08-07 2013-06-1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01729775A (zh) * 2008-10-24 2010-06-09 华晶科技股份有限公司 数字相机及其利用子母画面预视有兴趣影像的方法
JP5489636B2 (ja) 2009-10-19 2014-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151614A (ja) * 2010-01-21 2011-08-04 Nikon Corp 電子カメラ
JP2012015827A (ja) * 2010-07-01 2012-01-19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755598B1 (ko) * 2010-10-27 2017-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96481B1 (ko) * 2011-11-28 2017-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력 셔터랙 제거 방법,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7163A (ja) 1999-10-14 2001-04-27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装置
JP2006050541A (ja) * 2004-06-29 2006-02-16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撮像装置
JP2006237803A (ja) * 2005-02-23 2006-09-07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撮像システム、写真撮影スタジオ、撮像システム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179874A (ja) 2014-09-25
CN104052908A (zh) 2014-09-17
JP5765590B2 (ja) 2015-08-19
US9253406B2 (en) 2016-02-02
KR101587903B1 (ko) 2016-01-22
US20140267836A1 (en) 2014-09-18
KR20140113413A (ko) 2014-09-24
CN104052908B (zh) 201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7903B1 (ko)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기억 매체
JP5246159B2 (ja) 撮像装置、画像表示装置、プログラム
JP7276393B2 (ja) 撮影装置および撮影方法
JP5036612B2 (ja) 撮像装置
US892266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display unit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US10237466B2 (en) Recognition of degree of focus of an image
JP6124700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11182252A (ja) 撮像装置および画像撮影方法
KR101004914B1 (ko)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
US10419686B2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rough image data based on shutter state
JP6476064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制御方法
KR101630303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448868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4887840B2 (ja) 撮影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983479B2 (ja) 撮像装置
JP2006128793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229371B2 (ja) 撮像装置
JP4810440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5761387B2 (ja) 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168424B2 (ja) 撮像装置
JP4968389B2 (ja) 撮影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9296143A (ja) 撮像装置
JP2016213619A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6200262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20102794A (ja) 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5